KR20180076515A - 정도 확보를 위한 육상 플랜트 블록 제작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육상 플랜트 - Google Patents

정도 확보를 위한 육상 플랜트 블록 제작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육상 플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6515A
KR20180076515A KR1020160180753A KR20160180753A KR20180076515A KR 20180076515 A KR20180076515 A KR 20180076515A KR 1020160180753 A KR1020160180753 A KR 1020160180753A KR 20160180753 A KR20160180753 A KR 20160180753A KR 20180076515 A KR20180076515 A KR 20180076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assembly
box
frame
type block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0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진수
허성수
최용관
최경석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0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6515A/ko
Publication of KR20180076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65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5/00Supports for the drilling machine, e.g. derricks or ma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08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02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쪽 블록 어셈블리를 박스형으로 제작하고 중간 프레임으로 간격을 조정하여 볼팅 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정도 확보를 위한 육상 플랜트 블록 제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개의 플레이트 거더에 빔, 프레임을 조립하여 블록 어셈블리를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블록 어셈블리를 박스형으로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제작된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를 정도를 유지한 후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작된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를 정도를 유지한 후 조립하는 단계에 있어, 대조 정반에 메인 거더를 마킹하는 단계와, 상기 마킹된 위치에 마크(mark)를 실시하는 단계와, 상기 마크를 활용하여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를 세팅하는 단계와, 상기 세팅된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에 대조프레임을 세팅하고 마크와 일치하는지를 확인 후 가 용접하는 단계와, 상기 가 용접된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의 정도 확인 후 완전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도 확보를 위한 육상 플랜트 블록 제작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육상 플랜트{BLOCK MANUFACTURING METHOD FOE PLANT WITH DIMENSIONAL AND THE SAME PLANT DESIGNED BY IT}
본 발명은 정도 확보를 위한 육상 플랜트 블록 제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쪽 블록 어셈블리를 박스형으로 제작하고 중간 프레임으로 간격을 조정하여 볼팅 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정도 확보를 위한 육상 플랜트 블록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랜트 사업이란 원유나 천연 가스를 채취하는 공장이나 시설물을 말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원유나 천연 가스를 채취하는 플랜트는 그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해상 플랜트와 육상 플랜트로 구성되는데, 상기 육상 플랜트는 원유 내지 천연 가스를 채취하는 목적 이외에 전기를 발전시키는 발전소 등과 같은 목적으로 지상에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현재 우리나라의 조선소는 해상에 설치되는 플랜트 이외에 지상에 설치되는 육상 플랜트에 적극적인 투자로 인해 원유를 채취하는 중동 이외에 다른 나라도 그 점차 범위를 넓혀가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블록 제작 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며, 도 2는 종래에 따른 블록 제작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블록 제작 방법은 플레이트 거더(20)를 제작하고 제작된 플레이트 거더(20)를 플랜지(30)에 부착하는 단계(S10)와, 상기 플랜지(30)가 부착된 플레이트 거더(20)에 제작된 빔(40)을 조립하는 단계(S20)와, 상기 빔(40)이 조립된 각각의 플레이트 거더(20)를 연결하여 블록(10)을 완성하는 단계(S30)와, 상기 완성된 블록(10)을 도장 작업하는 단계(S40)와, 상기 도장 작업이 완료된 각각의 블록(10)을 탑재할 때 블록(10)과 블록(10)을 캡 플레이트(50)와 플랜지(30)에 볼팅 홀(h)을 시공하여 볼트(B)로 체결하여 탑재하는 단계(S50)를 거쳐 제작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블록 제작 방법은 플레이트 거더(20)와 빔(40)을 별도로 제작함으로 인하여 캡 플레이트(50)와 플랜지(30)의 볼팅 홀(h) 및 정도 관리 부분의 플레이트 거더(20) 간격 및 평행, 직진도의 확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캡 플레이트(50)와 플랜지(30)의 볼팅 홀(h) 시공 단계가 안벽에서 수행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 사고 유발 및 현장 작업 시수가 과다하게 발생되어 작업성이 떨어지며, 캡 플레이트(50)와 플랜지(30)가 각각 다른 블록 소속으로 인해 정도 맞춤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양쪽의 어셈블리를 박스형으로 제작하고 중간 프레임으로 간격을 조정하여 원활한 볼팅 정도를 확보할 수 있어 안벽 작업 기간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정도 확보를 위한 육상 플랜트 블록 제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도 확보를 위한 육상 플랜트 블록 제작 방법은 복수개의 플레이트 거더에 빔, 프레임을 조립하여 블록 어셈블리를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블록 어셈블리를 박스형으로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제작된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를 정도를 유지한 후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를 제작함에 있어,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 제작 시 간격 확보 및 비틀림 방지를 위해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 제작 전용 정반에 플레이트 거더와 프레임을 박스형으로 세팅할 수 있다.
상기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를 제작함에 있어, 상기 플레이트 거더의 외측에 직선스토퍼가 설치되고 직선스토퍼에 직각유지 브라켓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를 제작함에 있어, 상기 플레이트 거더와 프레임을 대각선 방향의 순서대로 용접할 수 있다.
상기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를 제작함에 있어, 상기 플레이트 거더와 프레임의 가로, 세로, 대각선 방향 치수를 체크하고 평형도를 체크하며, 플레이트 거더와 프레임의 안쪽에 나머지 프레임과 빔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제작된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를 정도를 유지한 후 조립하는 단계에 있어, 대조 정반에 메인 거더를 마킹하는 단계와, 상기 마킹된 위치에 마크(mark)를 실시하는 단계와, 상기 마크를 활용하여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를 세팅하는 단계와, 상기 세팅된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에 대조프레임을 세팅하고 마크와 일치하는지를 확인 후 가 용접하는 단계와, 상기 가 용접된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의 정도 확인 후 완전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도 확인 후 완전 용접 단계에 있어, 상기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를 용접 시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와 대조프레임의 끝단 바깥쪽 부분을 대각선 방향의 순서로 용접한 다음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와 안쪽의 대조프레임을 대각선 방향의 순서로 용접할 수 있다.
상기 정도 확인 후 완전 용접 단계에 있어, 상기 대조프레임의 사이에 복수개의 빔을 설치하여 용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정도 확보를 위한 육상 플랜트 블록 제작 방법에 의해 제조된 육상 플랜트가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도 확보를 위한 육상 플랜트 블록 제작 방법에 의하면, 제작된 블록 어셈블리를 박스형으로 제작하되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를 전용 정반에서 제작하여 쉽게 정도를 확보하고 중간 프레임의 경우 대조 정반에서 조정하게 됨으로써 정도를 사전에 확보하여 안벽 작업을 최소화하고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재작업 방지에 따른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블록 제작 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2는 종래에 따른 블록 제작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정도 확보를 위한 육상 플랜트 블록 제작 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도 확보를 위한 육상 플랜트 블록 제작 방법의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를 제작하는 공정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도 확보를 위한 육상 플랜트 블록 제작 방법의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를 조립하는 공정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육상 플랜트 블록 제작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육상 플랜트 블록 제작 방법의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의 조립단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정도 확보를 위한 육상 플랜트 블록 제작 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도 확보를 위한 육상 플랜트 블록 제작 방법의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를 제작하는 공정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도 확보를 위한 육상 플랜트 블록 제작 방법의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를 조립하는 공정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육상 플랜트 블록 제작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육상 플랜트 블록 제작 방법의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의 조립단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도 확보를 위한 육상 플랜트 블록 제작 방법은, 먼저 캡 플레이트(200)와 플랜지(300)를 제작하고 캡 플레이트(200)와 플랜지(300)에 볼팅 홀(h)을 시공하게 된다.
상기 캡 플레이트(200)와 플랜지(300)에 볼팅 홀(h)을 시공함에 있어, 캡 플레이트(200)와 플랜지(300)의 볼팅 홀(h)을 복수개로 시공하여 캡 플레이트(200)와 플랜지(300)를 안정적으로 조립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캡 플레이트(200)와 플랜지(300)에 선 도장 후 캡 플레이트(200)와 플랜지(300)의 볼팅 홀(h)에 볼트(B)를 체결하여 캡 플레이트(200)와 플랜지(300)를 조립하게 된다.
또한, 상기 캡 플레이트(200)와 플랜지(300)의 볼팅 홀(h)에 볼트(B)를 체결 시 캡 플레이트(200)와 플랜지(300) 사이에 갭(gap)(G)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캡 플레이트(200)와 플랜지(300)의 볼팅 홀(h)에 볼트(B)를 체결하고 상기 캡 플레이트(200)와 플랜지(300)의 외부면을 용접(W)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캡 플레이트(200)와 플랜지(300)에 볼팅 홀(h)을 시공하고 볼트(B) 체결 작업을 먼저 시공하게 됨으로써 블록(100)의 안벽 작업을 조립 전 작업으로 변경하게 되어 작업의 안전도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플레이트 거더(400)를 제작하고 제작된 플레이트 거더(400)를 볼트(B) 및 용접(W)으로 조립된 캡 플레이트(200)와 플랜지(300)에 조립하게 된다.
이후, 도 3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 거더(400)를 복수개로 제작하고 복수개의 플레이트 거더(400)에 빔(500)과 프레임(600)을 조립하여 블록 어셈블리(110)를 제작하게 된다(S100).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작된 블록 어셈블리(110)를 박스형으로 제작하게 된다(S200).
즉, 제작된 각각의 블록 어셈블리(110)를 박스형으로 제작함으로써 캡 플레이트(200) 간격 및 수직도, 평형도 맞춤에 용이하게 된다.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100)를 제작하는 단계(S200)에 있어, 상기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100) 제작 시 전용 정반(900)에 플레이트 거더(400)와 프레임(600)을 사각 박스 형태로 세팅하게 된다.
이에 상기 전용 정반(900)에 박스 형태로 플레이트 거더(400)와 프레임(600)을 세팅함으로써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100) 제작 시 간격을 확보할 수 있으며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100)를 제작(S200)함에 있어, 상기 플레이트 거더(400)와 프레임(600)을 박스 형태로 세팅할 때 플레이트 거더(400)의 외측에 직선스토퍼(700)를 설치하고 상기 직선스토퍼(700)에 플레이트 거더(400)의 직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직각유지 브라켓(710)을 설치하게 된다.
즉, 상기 플레이트 거더(400)의 측부에 직선스토퍼(700)와 직각유지 브라켓(710)이 설치되어 플레이트 거더(400)를 직각이 유지되게 지지할 수 있어 플레이트 거더(400)의 정도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100)를 제작(S200)함에 있어, 상기 플레이트 거더(400)와 프레임(600)을 대각선 방향의 순서대로 용접을 수행하게 된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 거더(400)와 프레임(600)의 좌측 상단 ①번 부분을 먼저 용접하고 그 다음 대각선 방향인 우측 하단 ②번 부분을 용접한 후 좌측 하단 ③번 부분을 용접하며, 대각선 방향인 우측 상단 ④번 부분을 용접한다.
또한, 상기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100)를 제작(S200)함에 있어, 상기 플레이트 거더(400)와 프레임(600)을 용접한 다음 상기 플레이트 거더(400)와 프레임(600)의 가로, 세로, 대각선 방향 치수를 체크하고 평형도를 체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거더(400)와 프레임(600)의 안쪽에 일정 간격을 두고 나머지 복수의 프레임(600)을 설치하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플레이트 거더(400)와 프레임(600)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빔(500)을 설치하게 된다.
도 5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제작된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100)를 정도를 유지한 후 조립하여 완성하게 된다(S300).
도 5 및 도 7에서와 같이, 상기의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100)를 정도를 유지한 후 조립하는 단계(S300)는, 대조 정반(910)에 메인 거더를 마킹(marking)(800)하는 단계(S310)와, 상기 마킹(800)된 위치에 마크(mark)(810)를 실시하는 단계(S320)와, 상기 마크(810)를 활용하여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100)를 세팅하는 단계(S330)와, 상기 세팅된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100)에 마크(810)가 일치하는지를 확인 후 대조프레임(610)을 세팅하고 가 용접하는 단계(S340)와, 상기 가 용접된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100)의 정도 확인 후 완전 용접하는 단계(S350)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마킹(800)된 위치에 마크(mark)(810)를 실시(S320)함에 있어, 상기 마크(mark)(810)를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100)가 세팅되는 각 모서리 부분에 실시하게 된다.
상기 마크(810)된 대조 정반(910)에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100)를 세팅(S330)함에 있어, 상기 대조 정반(910)의 양쪽에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100)를 세팅한다.
상기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100)의 정도 확인 후 완전 용접하는 단계(S350)는, 상기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100)를 용접 시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100)와 대조프레임(610)의 모서리 끝단 바깥쪽 부분을 대각선 방향의 순서로 용접한 다음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100)와 안쪽의 대조프레임(610)을 대각선 방향의 순서로 용접하게 된다.
즉, 도 5에서와 같이 위쪽의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100)와 좌측의 대조프레임(610) 상단 ①번 부분을 먼저 용접하고 그 다음 대각선 방향인 아래쪽의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100)와 우측의 대조프레임(610) 하단 ②번 부분을 용접하며, 아래쪽의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100)와 좌측의 대조프레임(610) 하단 ③번 부분을 용접한 다음 대각선 방향인 위쪽의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100)와 우측의 대조프레임(610) 상단 ④번 부분을 용접하게 된다.
이후, 상기 위쪽의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100)와 안쪽의 좌측 대조프레임(610)의 상단 ⑤번 부분을 용접하고 그 다음 대각선 방향인 아래쪽의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100)와 안쪽의 우측 대조프레임(610)의 하단 ⑥번 부분을 용접하며, 아래쪽의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100)와 안쪽의 좌측 대조프레임(610) 하단 ⑦번 부분을 용접한 다음 대각선 방향인 위쪽의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100)와 안쪽의 우측 대조프레임(610) 상단 ⑧번 부분을 용접하게 된다.
상기의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100)와 대조프레임(610)의 용접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대조프레임(610)의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빔(500)을 설치하고 빔(500)을 용접하여 완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복수개의 플레이트 거더(400)에 빔(500)과 프레임(600)을 부착하여 블록 어셈블리(110)를 제작하고 블록 어셈블리(110)를 박스형으로 제작하되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100)를 제작 시 전용 정반(900)에서 제작하며 플레이트 거더(400)를 직선스토퍼(700)와 직각유지 브라켓(710)으로 직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대조프레임(610)을 대조 정반(910)에서 조정하여 용접하게 됨으로써 정도를 사전에 확보할 수 있어 안벽 작업을 최소화하고 재작업 방지에 따른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정도 확보를 위한 육상 플랜트 블록 제작 방법에 의해 제조된 육상 플랜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정도 확보를 위한 육상 플랜트 블록 제작 방법에 따른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먼저, 상기 캡 플레이트(200)와 플랜지(300)를 제작하고 캡 플레이트(200)와 플랜지(300)에 볼팅 홀(h)을 시공하며, 상기 캡 플레이트(200)와 플랜지(300)를 볼트(B)로 체결하여 조립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캡 플레이트(200)와 플랜지(300)의 볼팅 홀(h)을 선 시공하고 볼트(B)로 체결하게 됨으로써 안벽 작업을 조립 전 작업으로 변경하게 되어 작업자의 안전을 최대한 확보하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거더(400)를 제작하여 조립된 캡 플레이트(200)와 플랜지(300)에 플레이트 거더(400)를 조립하고 플레이트 거더(400)와 제작된 빔(500)을 조립하되 복수개의 플레이트 거더(400)에 빔(500)과 프레임(600)을 부착하여 블록 어셈블리(110)를 제작하게 된다.
또한, 제작된 블록 어셈블리(110)를 박스형으로 제작하되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100)를 제작 시 전용 정반(900)에서 제작하여 간격 확보 및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 거더(400)의 외측에 직선스토퍼(700)와 직각유지 브라켓(710)을 설치하여 플레이트 거더(400)의 정도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대조 정반(910)에 마킹(marking)(800)하고 마크(mark)(810)를 실시하여 마크(810) 활용으로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100)를 세팅하고 대조프레임(610)을 세팅한 다음 정도 확인 후 대각선 방향의 순서대로 용접하게 됨으로써 정도를 사전에 확보하여 안벽 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 110 : 블록 어셈블리
200 : 캡 플레이트 300 : 플랜지
400 : 플레이트 거더 500 : 빔
600 : 프레임 610 : 대조프레임
700 : 직선스토퍼 710 : 직각유지 브라켓
800 : 마킹 810 : 마크
900 : 전용 정반 910 : 대조 정반
h : 볼팅 홀 B : 볼트
G : 갭 W : 용접

Claims (9)

  1. 복수개의 플레이트 거더에 빔, 프레임을 조립하여 블록 어셈블리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블록 어셈블리를 박스형으로 제작하는 단계; 및
    상기 제작된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를 정도를 유지한 후 조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도 확보를 위한 육상 플랜트 블록 제작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를 제작함에 있어,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 제작 시 간격 확보 및 비틀림 방지를 위해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 제작 전용 정반에 플레이트 거더와 프레임을 박스형으로 세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도 확보를 위한 육상 플랜트 블록 제작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를 제작함에 있어, 상기 플레이트 거더의 외측에 직선스토퍼가 설치되고 직선스토퍼에 직각유지 브라켓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도 확보를 위한 육상 플랜트 블록 제작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를 제작함에 있어, 상기 플레이트 거더와 프레임을 대각선 방향의 순서대로 용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도 확보를 위한 육상 플랜트 블록 제작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를 제작함에 있어, 상기 플레이트 거더와 프레임의 가로, 세로, 대각선 방향 치수를 체크하고 평형도를 체크하며, 플레이트 거더와 프레임의 안쪽에 나머지 프레임과 빔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도 확보를 위한 육상 플랜트 블록 제작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작된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를 정도를 유지한 후 조립하는 단계에 있어,
    대조 정반에 메인 거더를 마킹하는 단계;
    상기 마킹된 위치에 마크(mark)를 실시하는 단계;
    상기 마크를 활용하여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를 세팅하는 단계;
    상기 세팅된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에 대조프레임을 세팅하고 마크와 일치하는지를 확인 후 가 용접하는 단계; 및
    상기 가 용접된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의 정도 확인 후 완전 용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도 확보를 위한 육상 플랜트 블록 제작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도 확인 후 완전 용접 단계에 있어, 상기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를 용접 시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와 대조프레임의 끝단 바깥쪽 부분을 대각선 방향의 순서로 용접한 다음 박스형 블록 어셈블리와 안쪽의 대조프레임을 대각선 방향의 순서로 용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도 확보를 위한 육상 플랜트 블록 제작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도 확인 후 완전 용접 단계에 있어, 상기 대조프레임의 사이에 복수개의 빔을 설치하여 용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도 확보를 위한 육상 플랜트 블록 제작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도 확보를 위한 육상 플랜트 블록 제작 방법에 의해 제조된 육상 플랜트.
KR1020160180753A 2016-12-28 2016-12-28 정도 확보를 위한 육상 플랜트 블록 제작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육상 플랜트 KR201800765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753A KR20180076515A (ko) 2016-12-28 2016-12-28 정도 확보를 위한 육상 플랜트 블록 제작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육상 플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753A KR20180076515A (ko) 2016-12-28 2016-12-28 정도 확보를 위한 육상 플랜트 블록 제작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육상 플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515A true KR20180076515A (ko) 2018-07-06

Family

ID=62921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0753A KR20180076515A (ko) 2016-12-28 2016-12-28 정도 확보를 위한 육상 플랜트 블록 제작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육상 플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651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11723A (zh) * 2020-04-02 2020-07-14 林进卓 一种装配式楼层板及其制备方法
CN114799621A (zh) * 2022-02-22 2022-07-29 中铁宝桥(扬州)有限公司 一种大型桥梁钢箱梁块体组焊工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11723A (zh) * 2020-04-02 2020-07-14 林进卓 一种装配式楼层板及其制备方法
CN114799621A (zh) * 2022-02-22 2022-07-29 中铁宝桥(扬州)有限公司 一种大型桥梁钢箱梁块体组焊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14462B (zh) 一种钢柱地脚螺栓预埋的定位支架以及施工方法
EP3760815B1 (d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teilstücks eines turms
KR20180076515A (ko) 정도 확보를 위한 육상 플랜트 블록 제작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육상 플랜트
CN103184766A (zh) 一种大型钢结构及其制作方法
CN105937264A (zh) 一种可拆式异形立体钢架结构建筑施工工艺
CN104759818B (zh) 一种用于箱体下部腹板无码装配的定位固定装置
CN204183158U (zh) 一种桁架节梁焊接胎具
CN204183157U (zh) 一种管型材压紧装置
EP3411544B1 (en) Service pit and method for assembling and installing the service pit
CN105643207A (zh) 一种自升式钻井平台井架建造工艺
CN204565502U (zh) 一种用于箱体下部腹板无码装配的定位固定装置
CN204098230U (zh) 钢结构柱脚砼的固定连接装置
KR20180076514A (ko) 육상 플랜트 블록 제작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육상 플랜트
KR101314058B1 (ko)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한 교통시설물 철주
CN201744814U (zh) 用于造桥机牛腿的组对焊接胎架
CN104775652A (zh) 塔式结构及其加工安装方法
KR101594999B1 (ko) 해양 탑사이드 블록 제작 방법
CN204531100U (zh) 可调式幕墙龙骨系统
JP6031149B2 (ja) 建物ユニット位置決部材、建物ユニット位置決構造、および、建物ユニットの設置方法
JP6755102B2 (ja) 外壁パネルの地組架台および外壁面材の施工方法
CN218904117U (zh) 客车中段车架的焊接定位工装
CN110900032B (zh) 一种物料运输车工具箱总成的装配方法
JP6519026B2 (ja) 鉄骨軸組建屋用の胴縁受け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0617972B1 (ko) 화력발전용 스프링 바 설치를 위한 티플레이트 및 이를이용한 스프링바 설치방법
JP5799533B2 (ja) 部材接合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