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6194A - 근접무선인식기능이 포함된 스마트키 - Google Patents

근접무선인식기능이 포함된 스마트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6194A
KR20180076194A KR1020160180382A KR20160180382A KR20180076194A KR 20180076194 A KR20180076194 A KR 20180076194A KR 1020160180382 A KR1020160180382 A KR 1020160180382A KR 20160180382 A KR20160180382 A KR 20160180382A KR 20180076194 A KR20180076194 A KR 20180076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key
proximity wireless
signal
wireless recognitio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0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160180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6194A/ko
Publication of KR20180076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61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0082Keys or shanks being removably stored in a larger object, e.g. a remote control or a key fob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5/00Locks for use with special keys or a plurality of keys ; keys therefor
    • E05B35/007Locks for use with special keys or a plurality of keys ; keys therefor the key being a card, e.g. perforated,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1Mechanica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ands-free locking or unlo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07C9/0003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접무선인식기능이 포함된 스마트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근접무선인식기능이 포함된 스마트키는, 근접무선인식 단말기로부터 신호를 수신받고 그에 대응하는 신호를 근접무선인식 단말기로 송신하며,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근접무선인식부; 및 근접무선인식 단말기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근접무선인식부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근접무선인식 단말기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근접무선인식기능이 포함된 스마트키{THE SMART KEY INCLUDING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본 발명은 근접무선인식기능이 포함된 스마트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제어를 위한 무선 리모컨 기능뿐만 아니라 근접무선인식이 가능한 곳에서도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근접무선인식기능이 포함된 스마트키에 관한 것이다.
현대 생활에서 자동차가 필수품이 되어감에 따라, 항상 소지해야 하는 자동차 키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자동차 키는 집의 문을 여는 것과 같은 금속 막대 열쇠의 형태를 취한 이후 오랫동안 그 모습이 유지되다가, 시동 키와 도어 키가 하나로 합쳐지게 되었고, 최근에는 리모컨 기능이 가능한 자동차 키를 널리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리모컨 기능이 가능한 자동차 키는 스마트키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으로, 스마트키 시스템은 운전자가 차량의 키 박스에 별도의 키를 삽입하거나, 작동을 위한 특별한 조작 없이도 외부에서 차량 도어의 개폐 및 차량의 시동이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이다. 이때, 스마트키는 일반적인 포브키(FOB key) 및 휴대가 용이한 카드 형태의 스마트키가 사용되고 있다.
카드 형태의 스마트 키는 얇은 두께(약 3~10mm)를 가지고 있으며, 지갑 등에 보관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일반적인 리모컨과 달리 주머니에서 끄집어내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자동차에 내장된 안테나가 스마트키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감지하고 자동으로 차량의 도어 잠금장치를 해제하도록 한다.
한편, 2000년대 후반에 상용화가 완료된 근거리 무선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무선인식)의 하나로 13.56M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로, 10cm의 가까운 거리에서 단말기 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로 결제뿐만 아니라 마켓, 여행정보, 교통, 출입통제, 잠금장치 등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즉, 최근에는 스마트키뿐만 아니라 상기 NFC 시스템이 적용된 단말기나 카드도 항상 소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차량 스마트키 시스템과 NFC RFID 시스템은 각각의 무선 리모턴이나 NFC 칩이 내장된 단말기나 카드를 각각 필요로 하여, 외출 시 각각의 리모컨이나 단말기 및 카드를 전부 소지하여야 했다.
즉, 신용카드(교통카드)나 NFC 태그 단말기와 차량 스마트키의 무선 리모컨이 따로 나누어져있어 각각의 키가 별도로 필요하여 소지해야 할 물품이 많아지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9049호(등록일 : 2015.05.04.등록)인 "카드형 스마트키"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차량 제어를 위한 무선 리모컨 기능뿐만 아니라 근접무선인식이 가능한 곳에서도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근접무선인식기능이 포함된 스마트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근접무선인식기능이 포함된 스마트키는, 근접무선인식 단말기로부터 신호를 수신받고 그에 대응하는 신호를 상기 근접무선인식 단말기로 송신하며,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근접무선인식부; 및 상기 근접무선인식 단말기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근접무선인식부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상기 근접무선인식 단말기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근접무선인식부는, NFC 칩(Near Field Communication-Chip)을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신상에 대한 개인정보, 사용자 소유의 카드에 대한 결제정보, 사용자가 재직 중인 회사정보 및 스마트키 고유의 ID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 내에 위치한 차량 스마트키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수신받고 그에 대응하는 신호를 상기 차량 스마트키 제어부로 송신하는 스마트키 신호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키 신호 송수신부는, 상기 차량 스마트키 제어부와 RF/LF 통신을 수행하되, RF신호를 상기 차량 스마트키 제어부에 송신하고, 상기 차량 스마트키 제어부로부터 LF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차량 스마트키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키가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하여,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키로부터 제공받은 인증정보에 따라 상기 스마트키를 인증하고 차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무선인식기능이 포함된 스마트키는, 차량 제어를 위한 무선 리모컨 기능뿐만 아니라 근접무선인식이 가능한 곳에서도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근접무선인식기능을 일체화함으로써, 하나의 기기로 자동차키 및, 신용카드, 교통카드, ID카드 등과 같은 근접무선인식 태그가 가능한 카드의 역할을 할 수 있게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증가시키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무선인식기능이 포함된 스마트키의 사용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무선인식기능이 포함된 스마트키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무선인식기능이 포함된 스마트키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무선인식기능이 포함된 스마트키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무선인식기능이 포함된 스마트키의 사용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무선인식기능이 포함된 스마트키를 나타낸 블록구성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근접무선인식기능이 포함된 스마트키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무선인식기능이 포함된 스마트키는, 근접무선인식부(110), 스마트키 신호 송수신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하여, 차량 스마트키 제어부(200) 및 근접무선인식 단말기(3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스마트키(100)는 카드 형태로, 근접무선인식부(110), 스마트키 신호 송수신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다만, 스마트키(100)는 종래의 포브키(FOB key) 형태일 수도 있으며, 그 형태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스마트키(100)는 기존 스마트키보다 디자인 및 휴대 편의성 향상을 위해 얇게 카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키(100)는 종래의 포브키와 같이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키(100)는 크게 버튼 기능과 패시브 접근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버튼 기능은 사용자가 스마트키(100)의 버튼을 누르면 차량 문의 잠금, 잠금 해제, 트렁크 열기, 경고음 발생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패시브 접근 제어 기능은 패시브 스타트 및 엔트리(Passive Start And Entry, PASE) 기능으로 불리우기도 하며, 사용자가 스마트키를 소지한 상태로 차량에 접근하면, 차량이 LF/RF무선 통신으로 스마트키의 고유 ID를 확인할 후 부가기능(미등 점등, 차량 문 잠금 해제, 시동버튼을 눌러 엔진시동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스마트키 신호 송수신부(120)는 차량 내에 위치한 차량 스마트키 제어부로(200)부터 신호를 수신받고 그에 대응하는 신호를 다시 차량 스마트키 제어부(200)로 송신한다.
다시 말해, 스마트키 신호 송수신부(120)는 차량 스마트키 제어부(200)와 RF/LF 통신을 수행하되, RF신호를 차량 스마트키 제어부(200)에 송신하고, 차량 스마트키 제어부(200)로부터 LF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키(100)에는 스마트키 고유의 고유ID가 있어, 차량 스마트키 제어부(200)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30)는 스마트키 신호 송수신부(120)를 통해 고유ID에 대한 신호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차량 스마트키 제어부(200)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인증정보는 차량 스마트키 제어부(200)에서 스마트키(100)가 차량 소유자의 스마트키(100)인지 인증하기 위한 스마트키(100)의 고유ID일 수 있다. 다만, 스마트키(100)가 복수 개인 경우, 복수개의 스마트키(100)의 고유ID들을 모두 등록할 수 있다.
차량 스마트키 제어부(200)는 차량 내에 위치하여, 스마트키(100)를 찾기 위해 스마트키(100)에 신호를 송신한다. 즉, 차량 스마트키 제어부(200)는 스마트키(100)가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하여,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스마트키(100)에 LF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일정 거리는 RF신호가 수신되는 거리로, 차량 근처에서 차량 내부까지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즉, 차량 스마트키 제어부(200)는 LF신호를 송출하는 LF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운전자의 지시를 기다리는 Start/Stop 버튼과 모든 무선 통신 데이터를 처리하는 내부 안테나 그리고 무선 신호 및 입력된 신호를 바탕으로 도어 잠금장치 제어, 조향잠금장치 제어, 차량 전원 변경 및 엔진 시동을 제어하는 ECU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키 신호 송수신부(120)로부터 인증정보를 포함한 RF신호가 수신되면, 차량 스마트키 제어부(200)는 스마트키(100)의 스마트키 신호 송수신부(120)로부터 제공받은 인증정보에 따라 스마트키(100)를 인증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 스마트키 제어부(200)는 스마트키(100)로부터 차량 제어에 대한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그 신호에 해당하는 차량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근접무선인식부(110)는 근접무선인식 단말기(300)로부터 신호를 수신받고 그에 대응하는 신호를 다시 근접무선인식 단말기(300)로 송신하는 것으로, 예컨대 NFC 칩(Near Field Communication-Chip)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NFC 칩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무선인식)의 하나로 13.56M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로, 10cm의 가까운 거리에서 단말기 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로 결제뿐만 아니라 마켓, 여행정보, 교통, 출입통제, 잠금장치 등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키(100)에 근접무선인식부(110)를 포함함으로써, 신용카드 결제, 교통카드 결제, 회사 출퇴근 확인용 ID카드 및 도어락 오픈 등에 스마트키(100)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근접무선인식부(110)는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여, 근접무선인식 단말기(300)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한 신호를 다시 근접무선인식 단말기(30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신상에 대한 개인정보, 사용자 소유의 카드에 대한 결제정보, 사용자가 재직 중인 회사정보 및 스마트키 고유의 ID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정보는 이 외에도 NFC 칩에 저장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때, 근접무선인식부(110)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는 근접무선인식부(110)에 해당하는 서버에 저장될 수 있으며, 이는 근접무선인식부(110)와 근접무선인식 단말기(300)가 연결될 때 접속되어 사용자 정보가 근접무선인식 단말기(300)에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근접무선인식 단말기(300)는 근접무선인식이 가능한 단말기로, 신용카드 결제 단말기, 교통카드 결제 단말기, 회사 출퇴근 확인용 ID카드 접촉 단말기 및 도어락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근접무선인식 단말기(300)는 이 외에도 근접무선인식이 가능한 모든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근접무선인식 단말기(300)는 차량 내에 설치된 내비게이션 장치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장치일 수도 있는데, 스마트키(100)와 근접무선인식기능을 통해 접속되면 스마트키(100)의 정보가 차량 내 장치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을 정리하면, 제어부(130)는 근접무선인식 단말기(300)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근접무선인식부(110)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상기 근접무선인식 단말기(300)에 제공한다. 이때, 제어부(130)는 근접무선인식 단말기(300)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신호의 종류를 확인하여 근접무선인식부(110)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 중 상기 신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근접무선인식부(110)와 근접무선인식 단말기(300)가 연결됨에 따라 서버에 접속되어 사용자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차량 스마트키 제어부(200)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스마트키 인증정보를 상기 차량 스마트키 제어부(200)에 제공한다. 즉, 제어부(130)는 차량 스마트키 제어부(200)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스마트키(100) 고유의 고유ID 정보에 대한 신호를 제공하여, 스마트키(100)가 해당 차량에 인증된 스마트키(100)임을 알릴 수 있는 인증정보를 차량 스마트키 제어부(200)에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스마트키(100)는 스마트키 신호 송수신부(120)뿐만 아니라, 근접무선인식부(110)를 포함하여 차량 제어뿐만 아니라 NFC를 이용하는 곳에서도 이용될 수 있어, 외출 시 스마트키(100)만 소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별도의 기술 개발을 필요치 않고 PCB ASS'Y에 NFC 칩을 내장하거나 NFC 칩 결합 부분을 설계하여 스마트키(100)에 근접무선인식부(110)를 포함시킴으로써, 사용의 편리성 증가뿐만 아니라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무선인식기능이 포함된 스마트키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근접무선인식기능이 포함된 스마트키 제어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무선인식기능이 포함된 스마트키 제어 방법은, 먼저 제어부(130)는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확인한다(S100).
이때, 신호는 차량 스마트키 제어부(200) 또는 근접무선인식 단말기(300)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S100 단계에서, 신호가 입력된 경우, 신호의 종류를 확인한다(S200).
이때, 제어부(130)는 스마트키 신호 송수신부(120)를 통해 차량 스마트키 제어부(200)와 RF/LF 통신을 수행하므로, 신호를 확인하여 차량 스마트키 제어부(200)로부터 LF신호가 수신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근접무선인식 단말기(300)와 근접무선인식 기능을 통해 연결되므로, 근접무선인식부(110)와 근접무선인식 단말기(300)가 태그되어 NFC 신호가 수신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S100 단계에서, 제어부(130)는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종료할 수 있다.
S200 단계 이후, 제어부(130)는 차량 스마트키 제어부(200)로부터의 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를 차량 스마트키 제어부(200)에 다시 송신한다(S300).
즉, 제어부(130)는 스마트키 신호 송수신부(120)를 통해 차량 스마트키 제어부(200)와 RF/LF 통신을 수행하되, 차량 스마트키 제어부(200)로부터 LF신호를 수신받은 경우, 차량 스마트키 제어부(200)에 RF신호를 다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키(100)에는 스마트키 고유의 고유ID가 있어, 차량 스마트키 제어부(200)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30)는 스마트키 신호 송수신부(120)를 통해 고유ID에 대한 신호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차량 스마트키 제어부(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차량 스마트키 제어부(200)는 스마트키(100)가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하여,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스마트키(100)에 LF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키 신호 송수신부(120)로부터 인증정보를 포함한 RF신호가 수신되면, 차량 스마트키 제어부(200)는 스마트키(100)의 스마트키 신호 송수신부(120)로부터 제공받은 인증정보에 따라 스마트키(100)를 인증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 스마트키 제어부(200)는 스마트키(100)로부터 차량 제어에 대한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그 신호에 해당하는 차량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반면, S200 단계 이후, 제어부(130)는 근접무선인식 단말기(300)로부터의 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를 근접무선인식 단말기(300)에 다시 송신할 수도 있다(S350).
즉, 제어부(130)는 근접무선인식부(110)를 통해 근접무선인식 단말기(300)로부터 신호를 수신받고 그에 대응하는 신호를 다시 근접무선인식 단말기(300)로 송신할 수 있으며, 이때 근접무선인식부(110)는 예컨대 NFC 칩(Near Field Communication-Chip)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키(100)에 근접무선인식부(110)를 포함함으로써, 신용카드 결제, 교통카드 결제, 회사 출퇴근 확인용 ID카드 및 도어락 오픈 등에 스마트키(100)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근접무선인식부(110)에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여 근접무선인식 단말기(300)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한 신호를 다시 근접무선인식 단말기(3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근접무선인식부(110)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는 근접무선인식부(110)에 해당하는 서버에 저장될 수 있으며, 이는 근접무선인식부(110)와 근접무선인식 단말기(300)가 연결될 때 접속되어 사용자 정보가 근접무선인식 단말기(300)에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스마트키(100)의 근접무선인식부(110)와 근접무선인식 단말기(300)가 근접무선인식 기능에 의해 태그되어 제어부(130)가 근접무선인식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태그에 의한 신호를 수신받으면, 근접무선인식부(110)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 중 상기 신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무선인식기능이 포함된 스마트키는, 차량 제어를 위한 무선 리모컨 기능뿐만 아니라 근접무선인식이 가능한 곳에서도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근접무선인식기능을 일체화함으로써, 하나의 기기로 자동차키 및, 신용카드, 교통카드, ID카드 등과 같은 근접무선인식 태그가 가능한 카드의 역할을 할 수 있게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증가시키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스마트키
110 : 근접무선인식부
120 : 스마트키 신호 송수신부
130 : 제어부
200 : 차량 스마트키 제어부
300 : 근접무선인식 단말기

Claims (5)

  1. 근접무선인식 단말기로부터 신호를 수신받고 그에 대응하는 신호를 상기 근접무선인식 단말기로 송신하며,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근접무선인식부; 및
    상기 근접무선인식 단말기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근접무선인식부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상기 근접무선인식 단말기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근접무선인식기능이 포함된 스마트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무선인식부는,
    NFC 칩(Near Field Communication-Chip)을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무선인식기능이 포함된 스마트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신상에 대한 개인정보, 사용자 소유의 카드에 대한 결제정보, 사용자가 재직 중인 회사정보 및 스마트키 고유의 ID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무선인식기능이 포함된 스마트키.
  4. 제 1항에 있어서,
    차량 내에 위치한 차량 스마트키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수신받고 그에 대응하는 신호를 상기 차량 스마트키 제어부로 송신하는 스마트키 신호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키 신호 송수신부는,
    상기 차량 스마트키 제어부와 RF/LF 통신을 수행하되, RF신호를 상기 차량 스마트키 제어부에 송신하고, 상기 차량 스마트키 제어부로부터 LF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무선인식기능이 포함된 스마트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스마트키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키가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하여,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키로부터 제공받은 인증정보에 따라 상기 스마트키를 인증하고 차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무선인식기능이 포함된 스마트키.
KR1020160180382A 2016-12-27 2016-12-27 근접무선인식기능이 포함된 스마트키 KR201800761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382A KR20180076194A (ko) 2016-12-27 2016-12-27 근접무선인식기능이 포함된 스마트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382A KR20180076194A (ko) 2016-12-27 2016-12-27 근접무선인식기능이 포함된 스마트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194A true KR20180076194A (ko) 2018-07-05

Family

ID=62920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0382A KR20180076194A (ko) 2016-12-27 2016-12-27 근접무선인식기능이 포함된 스마트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619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64004A (zh) * 2019-05-16 2019-08-23 东风小康汽车有限公司重庆分公司 一种智能钥匙的激活方法、系统、控制装置和客户端
CN111260825A (zh) * 2018-11-14 2020-06-09 上海博泰悦臻电子设备制造有限公司 基于银行卡的汽车钥匙控制方法、系统、钥匙及电子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60825A (zh) * 2018-11-14 2020-06-09 上海博泰悦臻电子设备制造有限公司 基于银行卡的汽车钥匙控制方法、系统、钥匙及电子锁
CN110164004A (zh) * 2019-05-16 2019-08-23 东风小康汽车有限公司重庆分公司 一种智能钥匙的激活方法、系统、控制装置和客户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86566B2 (en) Vehicle authentication system and in-vehicle device
JP4723352B2 (ja) 電子キーシステム及び通信ユニット
US10322694B2 (en) Bluetooth verification for vehicle access systems
US9110772B2 (en) Mobile device-activated vehicle functions
US95363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keyless entry and remote starting vehicle with an OEM remote embedded in vehicle
CN102363422B (zh) 钥匙遥控器和在它与机动车侧控制设备间交换信号的方法
US10062223B2 (en) Intermediary access device for communication with a vehicle
US9997000B2 (en) Door unlocking system and door unlocking method
US20120100806A1 (en) Utilization of Ubiquitous Transmitting Devices to Provide Access Control to Vehicles and /or Other Controlled Access Items/Areas
US20110291797A1 (en) Bypass system and method for the remote start of a vehicle
CN107564145B (zh) 内置安全芯片的汽车双模式自动开关车门系统及其方法
US10147250B2 (en) Door unlocking system and door unlocking method
KR20120035439A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는 자동차용 스마트키 장치(ⅰ)
JP2007137136A (ja) 電子キーシステム及び通信ユニット
JP2009046837A (ja) ドアロック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KR20180076194A (ko) 근접무선인식기능이 포함된 스마트키
CN102404467A (zh) 基于rfsim卡的无钥匙车辆进入和启动识别系统
JPH08274682A (ja) 送受信システム
JP4923626B2 (ja) 車両用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US20130208890A1 (en) Key with remote control, in particular for motor vehicles, and arrangement with such a key
Roz et al. Using low power transponders and tags for RFID applications
JP2012041713A (ja) 車両の遠隔制御システム及び遠隔制御方法
JP6424098B2 (ja) 機器制御システム
KR20130113160A (ko) 자동차 시동 제어 방법 및 장치
JP6253003B1 (ja) 電子キーシステム及び該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セキュリティユニット並びに電子キ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