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6039A - 유연 와이어 - Google Patents
유연 와이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76039A KR20180076039A KR1020160180107A KR20160180107A KR20180076039A KR 20180076039 A KR20180076039 A KR 20180076039A KR 1020160180107 A KR1020160180107 A KR 1020160180107A KR 20160180107 A KR20160180107 A KR 20160180107A KR 20180076039 A KR20180076039 A KR 2018007603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lloy
- flexible wire
- examination
- shape memory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4—Flexible cables, conductors, or cords, e.g. trailing cab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6—Extensible conductors or cables, e.g. self-coiling cords
Landscapes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연 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테인레스, 형상기억합금 및 저융점합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반복적인 변형이나 응력에도 전위의 슬립, 피로 및 경화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심사가 제공되는 형태의 유연 와이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연 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테인레스, 형상기억합금 및 저융점합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반복적인 변형이나 응력에도 전위의 슬립, 피로 및 경화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심사가 제공되는 형태의 유연 와이어에 관한 것이다.
유연 와이어는 인체나 물체 등에 쉽게 거치 및 제거가 가능해야 한다. 인체 또는 물체에 거치 및 제거하기 위해 유연 와이어는 반복적으로 변형 및 신축이 진행되고, 반복적인 변형 및 신축에 모양을 유지하고, 끊어지지 않는 내구성을 보유해야 한다.
종래 유연 와이어에 사용되는 금속은 인장 변형으로 탄성이 약 0.5%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의 금속 유연 와이어는 신축성이 요구되는 플렉서블 및 웨어러블 기기에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도 1(a)는 고무줄에 종래의 금속을 나선형 형태로 둘러싼 형태의 금속 와이어를 도시하며, 도 1(b)는 고무줄을 인장시켜 종래의 금속 와이어를 인장시킨 상태를 도시하며, 그리고 도 1(c)는 고무줄에 응력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다. 특히, 상술된 바와 같이, 응력을 제거한 경우 고무줄은 원래 상태로 돌아오는데, 금속 와이어는 원래 상태에 비해서 늘어나 있거나 파단이 된 상태를 보여준다.
구리 혹은 스테인레스와 같은 일반금속을 소성 변형시키면 전위의 슬립이 일어나고, 전위가 증식되면서 슬립이 더 어려워져 경화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어를 구부린 다음 다시 반듯하게 피더라도 와이어에 경화가 일어나게 되어 원래의 반듯한 형상으로 돌아가기 어렵다. 이러한 변형을 반복하면 경화현상이 심해져 와이어를 변형시키기가 어려워지고 원하는 형상으로 변형이 어려워진다. 이때, 더 많은 변형을 가할 경우 피로에 의한 파괴가 일어나기 쉬워진다. 따라서, 일반금속은 큰 변형을 가하거나 무한정 반복하여 사용하는데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심사에 외부 힘을 가해 반복적으로 변형을 가할 때 경화가 일어나지 않고 피로파괴에 대한 저항을 증가시키기 위해 마르텐사이트 상태에서 가역적으로 쉽게 변형이 가능한 형상기억합금을 포함하는 유연 와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반복 변형 시 경화된 입자 및 전위를 상온에서 제거하기 위해 재결정 온도가 상온보다 낮은 저융점합금을 포함하는 유연 와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테일레스, 형상기억합금과 저융점합금을 복합적으로 사용한 심사를 포함하는 유연 와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연 와이어는, 유연성이 있는 심사; 및 상기 심사의 외부를 둘러싸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심사는, 스테인레스, 형상기억합금 및 저융점합금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형상기억합금은, Ni-Ti, Cu-Zn-Al, Cu-Al-Ni 및 Fe-Mn-Si 합금 중 어느 하나의 합금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융점합금은, Sn, Sn-Ag, Sn-Cu-P 및 Sn-Ag-Cu-P 합금 중 어느 하나의 합금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심사는, 속이 빈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 전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심사는, 코어; 및 상기 코어 외부를 나선형으로 둘러싼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심사는, 나선형으로 형성된 제1 코일; 및 상기 제1 코일과 교차되게 나선형으로 형성된 제2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연 와이어는, 하나 이상의 심사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연 와이어는, 휴대단말기에 마련되어 있는 전원연결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이 공급되는 단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연 와이어는, 상기 단자부를 통해 공급된 전력이 출력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압축 및 신장이 가능한 지그재그 형태로 주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연성 있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제조된 심사가 제공되는 형태의 유연 와이어를 제공함으로써, 유연 와이어는 외부 힘에 의한 반복적인 변형에도 경화가 일어나지 않고 피로파괴에 대한 저항이 증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연성 있는 저융점합금으로 제조된 심사가 제공되는 형태의 유연 와이어를 제공함으로써, 유연 와이어의 반복 변형 후 상온에서 새로운 결정립으로 치환되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테인레스, 형상기억합금과 저융점합금이 복합적으로 사용된 심사가 제공되는 형태의 유연 와이어를 제공함으로써, 스프링백 현상이 일어나지 않고 일정 부분에 집중적인 변형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a)는 종래의 신축성 섬유를 구리와 같은 금속이 코일 형태로 둘러싼 형태의 유연 와이어를 도시하며, 도 1(b)는 종래의 유연 와이어에 응력을 가하여 인장시킨 상태를 도시하며, 그리고 도 1(c)는 종래의 유연 와이어에 응력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연 와이어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연 와이어의 심사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연 와이어의 개략도이다.
도 5(a), (b) 및 (c)는 각각 종래 금속, 형상기억합금 및 저융점합금을 포함하는 유연 와이어의 평상시 상태, 응력을 가하여 인장시킨 상태 및 응력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된 심사를 반복적으로 굴곡변형 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 및 (b)는 각각 종래 금속 및 저융점 합금을 포함하는 심사를 반복적으로 굴곡변형 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a) 및 (b)는 저융점합금으로 제공된 심사 및 저융점합금과 형상기억합금 결합된 심사에 굽힘변형을 가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연 와이어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연 와이어의 심사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연 와이어의 개략도이다.
도 5(a), (b) 및 (c)는 각각 종래 금속, 형상기억합금 및 저융점합금을 포함하는 유연 와이어의 평상시 상태, 응력을 가하여 인장시킨 상태 및 응력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된 심사를 반복적으로 굴곡변형 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 및 (b)는 각각 종래 금속 및 저융점 합금을 포함하는 심사를 반복적으로 굴곡변형 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a) 및 (b)는 저융점합금으로 제공된 심사 및 저융점합금과 형상기억합금 결합된 심사에 굽힘변형을 가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용이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연
와이어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연 와이어(100)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연 와이어(100)의 심사(10)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연 와이어(100’)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연 와이어(100)는 심사(10) 및 하우징(20)을 포함할 수 있다.
심사(10)는 유연 와이어(100)의 중심에 위치되어 유연 와이어(100)의 유연성을 결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심사(10)는 스테인레스, 형상기억합금 및 저융점합금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우선, 형상기억합금은 오스테나이트 구조 및 마르텐사이트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오스테나이트 구조에서 마르텐사이트 구조로 변하는 변태온도는 -100℃ 내지 100℃정도로 합금의 조성과 열처리로 변태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형상기억합금은 형상기억효과 및 초탄성 성질을 가질 수 있다.
형상기억효과는 변태온도(Af온도)이하의 온도에서 형상기억합금을 변형시킨 후 응력을 제거할 경우, 합금이 변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를 변태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면 변형된 형상기억합금이 오스테나이트 구조로 변화되면서 합금을 변형시키기 전 형태로 돌아오게 되는 효과를 의미한다. 그러나, 형상기억효과를 가지는 형상기억합금은 가역적 변형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아울러, 초탄성 성질은 Af온도 이상에서 형상기억합금에 응력을 가해 변형시킨 후 응력을 제거하면 원래 형태로 돌아오는 성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심사(10)는 탄성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초탄성 성질을 가지는 형상기억합금은 본 발명에 따른 심사(10)로 적용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심사(10)는 상기 형상기억효과나 초탄성 성질을 이용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심사(10)에 형상기억합금을 사용할 경우, 저온상의 마르텐사이트 구조를 가지는 형상기억합금을 사용할 수 있고, 이때, 마르텐사이트 구조의 가역적으로 쉽게 변형되는 성질을 이용할 수 있다. 즉, 마르텐사이트 구조에서 변형을 가할 경우 쌍정의 계면이동에 의해서 새로운 면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산화물이 형성되지 않아 경화 및 피로파괴가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가역적 변형이 가능해져 변형시킨 모양에서 원래 형상으로 돌아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심사(10)에 사용되는 형상기억합금은 니켈계(Ni), 구리계(Cu) 및 철계(Fe) 합금을 중 어느 하나의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Ni-Ti, Cu-Zn-Al, Cu-Al-Ni 및 Fe-Mn-Si 합금 중 어느 하나의 합금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합금은 Pd, Pt, Au 및 Hf와 같은 고가의 원소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경제적인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이 중, Ni-Ti계 합금은 다른 합금에 비해 뛰어난 형상기억성과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반복적인 변형 후에도 형상을 회복하는 능력이 뛰어남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심사(10)에 Ni-Ti계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i-Ti계 합금 제조 시 Ni과 Ti의 원자비는 49:51 내지 51:49로 형성하고, 변태온도(마르텐사이트 개시온도:Ms)를 200K 내지 300K로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Ni 및 Ti의 함유량 중 10%이하를 Fe, Co, Cr, Al 및 Pd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치환할 수 있음을 유의한다.
Cu-Zn-Al계 합금은 합금의 Al 함량에 따라 냉간가공 특성이 변화하나, 변태온도가 40℃ 이하인 저Al 합금은 냉간가공성이 좋고, 좀 더 많은 Al을 함유하는 변태점이 높은 합금은 냉간가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Cu-Zn-Al계 합금은 밀도는 7.7g/㎤ 내지 8.0 g/㎤, 융점은 960℃ 내지 990℃, 비열은 0.1㎈/㏖·℃, 선팽창계수는 18 내지 19, 열전도율은 0.17㎈/㎝·℃·s 내지 0.27㎈/㎝ 및 비저항은 9 Ω·㎝ 내지 11 Ω·㎝ 의 물리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Cu-Al-Ni계 합금은 고내식성, 고열안정 특성을 가지고 있어 실용화가 기대되는 합금으로 대기 중에서 용해될 수 있어서 고가의 진공용해장치를 사용하지 않아도 됨으로 용해가 비교적 용이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Fe-Mn-Si계 합금은 가격이 저렴하여 니켈계 및 구리계보다 경제적인 효과가 뛰어나고, 오스테나이트 상태에서 가공한 후, 시효하면 더욱 우수한 형상기억특성이 얻어질 수 있다. Fe-Mn-Si계 합금은 일정한 온도가 유지되면 니오브 카바이드(NbC)가 석출되는 시효 석출에 의해 형상기억효과가 높아지는 특성이 있다.
저융점합금이란 재결정 온도가 상온, 즉 20℃ 내지 25℃ 이하인 합금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저융점합금을 본 발명에 따른 심사(10)로 사용하는 경우, 상온에서 항상 재결정이 일어남으로 심사(10)에 반복적인 변형을 가하여도 전위 및 경화가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저융점합금은 스프링 백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 합금으로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유연 와이어(100)의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유연 와이어(100)는 제조 및 작동 시 온도가 100℃ 이상으로 상승할 수 있음으로 심사(10)로 사용되는 저융점합금의 융점은 100℃ 이상인 것을 유의한다.
저융점합금으로는 납(Pb), 주석(Sn) 및 비스무스(Bi)계 합금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납은 인체에 해로운 작용을 할 수 있고, 강도가 낮아 부적합하고, 비스무스 역시 강도가 낮아 깨지기 쉬우므로 부적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심사(10)에 사용되는 저융점합금은 주석계 합금이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Sn, Sn-Ag, Sn-Cu-P 및 Sn-Ag-Cu-P 합금 중 어느 하나의 합금으로 제공될 수 있다.
순수 주석은 융점이 231.9℃로 본 발명에 따른 심사(10)로 사용하기에 적합하고, 주석-은 합금은 주석 함량이 90% 내지99%이고, 은의 함량은 0.001% 내지 10%일 수 있다. 은의 함량이 10%를 초과할 경우 비경제적인 문제가 발생하게 될 수 있다. 아울러, 주석-구리 합금은 주석 함량이 99.5% 내지 99.99%이고, 구리 함량이 0.01% 내지 0.7%일 수 있다. 구리 함량이 0.7% 초과할 경우, 저융점합금의 강도가 낮아져 심사(10)의 형상을 유지하는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주석-은 합금 및 주석-구리 합금은 주석의 함유량은 줄이고 인을 첨가할 수 있음을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심사(10)는 스테인레스, 형상기억합금 및 저융점합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원기둥 형상으로 제공할 수 있고, 도 3을 참고하면, 심사(10)는 원기둥 형상 이외에 3가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우선, 코어(11) 및 코어(11) 외부를 나선형으로 둘러싼 코일(12)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나선형으로 형성된 제1 코일(13) 및 제1 코일(13)과 교차되고, 나선형으로 형성된 제2 코일(14)을 포함할 수 있고, 마지막으로 제1 반원기둥(15) 및 제2 반원기둥(16)을 포함할 수 있다.
코어(11) 및 코일(12)을 포함하는 형태와 제1 코일(13) 및 제2 코일(14)을 포함하는 형태의 경우, 스테인레스, 형상기억합금 및 저융점합금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나선형의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심사(10)를 구부리거나 심사(10)의 길이를 늘리는데 유용하고 반복변형에 따른 변형량이 매우 작아지게 되고, 그로 인해 탄성 변형만이 발생하게됨으로 유연 와이어(100)의 가역성 및 내구성이 우수해지는 장점이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심사(10)가 코어(11) 및 코일(12)을 포함하는 형태일 경우, 코어(11)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제공되고 코일(12)은 저융점합금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심사(10)는 하나 이상의 형상기억합금 및 저융점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원기둥 형상의 형상기억합금 2개 혹은 3개를 결합하여 심사(10)를 형성할 수 있다. 형상기억합금을 2개 이상 결합시킬 경우, 심사(10)를 물체에 감거나 고정시킬 때 심사(10)의 형상을 유지시켜 주는 힘이 증가되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심사(10)는 속이 빈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내부에 전선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유연 와이어(100)의 반복되는 변형에 의해 심사(10) 내부에 위치된 전선 또한 반복적으로 변형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반복적으로 사용하여도 전도성 및 신축성이 유지될 수 있는 전선을 사용해야 하는 점을 유의한다.
하우징(20)은 심사(10)의 외부를 둘러싸고 있고, 유연 와이어(100)의 외관을 결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출력부(30)에 결합되는 전자 기기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부러짐이 가능하고 형태 유지가 가능한 재질을 사용하는 한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하우징(20)은 유연 와이어(100)의 반복되는 변형에 의해 손상되는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해 압축 및 신장이 가능한 지그재그 형태로 주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연 와이어(100’)는 본 발명에 따른 유연 와이어(100) 일측 및 타측에 출력부(30) 및 단자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30)는 단자부(40)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단자부(40)를 통해 공급된 전력을 출력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30)에는 선풍기, 전구, 카메라, 가습기 등 전자 기기가 결합 될 수 있다.
단자부(40)는 출력부(30)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휴대단말기에 마련되어 있는 전원연결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출력부(30)로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단자부(40)의 형태는 컴퓨터 및 보조 배터리에 연결될 수 있게 USB 단자로 형성될 수 있고, 혹은 스마트폰과 연결될 수 있는 5핀 또는 8핀 단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스마트폰의 종류에 구애받지 않기 위해 이어폰 잭 플러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
실험예
1>
도 5(a), (b) 및 (c)는 각각 종래 금속, 형상기억합금 및 저융점합금을 포함하는 유연 와이어의 평상시 상태, 응력을 가하여 인장시킨 상태 및 응력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신축성이 있는 고무줄 외부에 나선형으로 유연 와이어를 감싸 시험편을 준비하였다. 비교예 1은 구리로 형성된 심사를 사용하였고, 실시예 1은 Ni-Ti합금, 실시예 2는 Sn-Ag 합금을 사용하였다.
코일 형태로 형성된 심사를 길이의 약 3배 정도 인장시키는 변형을 반복하였다. 그 결과, 비교예 1은 약 2회 및 3회의 변형을 가했을 때 파단이 일어났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는 약 2000회 반복적인 인장 변형에도 파단이 발생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2>
도 6은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된 심사를 반복적으로 굴곡변형 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실시예 1은 Ni-Ti 합금으로 원자비가 50:50이고 변태온도(Af)가 60℃로 상온(20℃ 내지 25℃)에서 저온상으로 존재한다. 실시예 1을 드릴 형태로 가공한 다음, 금형을 이용하여 J자 형상으로 구속시킨다. 그 후, 드릴을 이용하여 실시예 1을 회전시킨다. 그 결과 실시예 1의 합금은 17,000회 반복변형에서 파단이 일어난 것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3>
도 7(a) 및 (b)는 각각 종래 금속 및 저융점 합금을 포함하는 심사를 반복적으로 굴곡변형 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비교예 1은 직경이 0.5㎜인 스테일레스 와이어로 제공되는 심사를 포함하고, 실시예 1은 Sn-Ag-Cu 저융점합금으로 제공되는 심사를 포함한다. 비교예 1 및 실시예 1을 직경 30㎜의 봉에 대고 밴딩(bending) 변형시킨 후, 다시 반대방향으로 밴딩 변형시키는 것을 반복 실시 하였다.
비교예 1은 반복적인 밴딩 변형에 의해 가공경화가 심해져 밴딩된 형상으로도 변형 전의 일자 형상으로도 돌아가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은 반복적인 밴딩 변형에도 스프링 백 현상 없이 항상 원하는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4>
도 8(a), (b), (c) 및 (d)는 스테인레스만으로 제공된 심사, 스테인레스와 형상기억합금이 결합되어 제공된 심사, 저융점합금으로 제공된 심사 및 저융점합금과 형상기억합금 결합된 심사에 굽힘변형을 가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비교예 1은 스테인레스를 포함하는 유연 와이어이고, 실시예 2는 스테인레스와 Ni-Ti 합금을 결합시킨 심사를 포함하는 유연 와이어이고, 실시예 3은 Sn-Ag-Cu 저융점합금을 포함하는 유연 와이어이며, 실시예 4는 저융점합금과 형상기억합금을 결합한 심사를 포함하는 유연 와이어이다. 스테인레스만으로 심사를 구성할 경우 실시예 1 내지 3보다 국부적인 변형이 심하게 일어나 유연 와이어의 곡률이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3은 비교예 1보다 곡률이 크나, 실시예 3개 중 저융점합금만으로 심사를 구성한 실시예 2가 국부적인 변형이 가장 심하고, 실시예 1 및 3은 곡률이 유사하고, 변형된 부위가 커지고 변형량이 작아져 저융점합금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피로수명 상승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100’: 유연 와이어
10: 심사
11: 코어
12: 코일
13: 제1 코일
14: 제2 코일
15: 제1 반원기둥
16: 제2 반원기둥
20: 하우징
30: 출력부
40: 단자부
10: 심사
11: 코어
12: 코일
13: 제1 코일
14: 제2 코일
15: 제1 반원기둥
16: 제2 반원기둥
20: 하우징
30: 출력부
40: 단자부
Claims (10)
- 유연성이 있는 심사; 및
상기 심사의 외부를 둘러싸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심사는,
스테인레스, 형상기억합금 및 저융점합금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 와이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기억합금은,
Ni-Ti, Cu-Zn-Al, Cu-Al-Ni 및 Fe-Mn-Si 합금 중 어느 하나의 합금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 와이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합금은,
Sn, Sn-Ag, Sn-Cu-P 및 Sn-Ag-Cu-P 합금 중 어느 하나의 합금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 와이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사는,
속이 빈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 전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 와이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사는,
코어; 및
상기 코어 외부를 나선형으로 둘러싼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 와이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사는,
나선형으로 형성된 제1 코일; 및
상기 제1 코일과 교차되게 나선형으로 형성된 제2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 와이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 와이어는,
하나 이상의 심사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 와이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 와이어는,
휴대단말기에 마련되어 있는 전원연결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이 공급되는 단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 와이어.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 와이어는,
상기 단자부를 통해 공급된 전력이 출력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 와이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압축 및 신장이 가능한 지그재그 형태로 주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 와이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80107A KR20180076039A (ko) | 2016-12-27 | 2016-12-27 | 유연 와이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80107A KR20180076039A (ko) | 2016-12-27 | 2016-12-27 | 유연 와이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76039A true KR20180076039A (ko) | 2018-07-05 |
Family
ID=62920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80107A KR20180076039A (ko) | 2016-12-27 | 2016-12-27 | 유연 와이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76039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2463U (ko) * | 2019-05-02 | 2020-11-11 | 김태완 | 타프폴대 선반 |
-
2016
- 2016-12-27 KR KR1020160180107A patent/KR2018007603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2463U (ko) * | 2019-05-02 | 2020-11-11 | 김태완 | 타프폴대 선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611874A (en) | Clad shape memory alloy composite structure and method | |
US6329069B1 (en) | Composite structure and devices made from same and method | |
JP2015164539A (ja) | 耐疲労性の向上したニチノール器具及びその製造方法 | |
JP2011051012A (ja) | 形状記憶合金コイルばねの製造方法 | |
JP5565847B1 (ja) | 医療用ガイドワイヤ | |
WO2010030340A2 (en) | Apparatus for absorbing shock | |
JP4415992B2 (ja) | 変形爪矯正具及びその製造方法 | |
US20030000605A1 (en) | Shape memory alloy actuator and method of designing the same | |
KR20180076039A (ko) | 유연 와이어 | |
US20150045695A1 (en) | Guide wire with core made from low-modulus cobalt-chromium alloy | |
JP2016539488A (ja) | 塑性変形に抵抗する形状記憶合金導体 | |
JP5107661B2 (ja) | Ti基合金 | |
CN201438244U (zh) | 一种形状记忆合金绞线以及应用该种绞线的眼镜 | |
Rahman | Patents on superelastic shape memory alloy | |
US20090095863A1 (en) | Support arm with reversed elastic and inelastic ranges | |
JP2795463B2 (ja) | 二方向形状記憶コイルばねの製造方法 | |
JPH0665740B2 (ja) | NiTi系形状記憶材の製造方法 | |
JPS59162262A (ja) | 二方向形状記憶効果を有するバネの製造方法 | |
JPH10219404A (ja) | アンテナ材料とその製造方法 | |
JP3915543B2 (ja) | 部分的に超弾性を有する部品とその製造方法 | |
JPH07126780A (ja) | 超弾性線材 | |
JPH06109049A (ja) | 超弾性バネ | |
JPH0762506A (ja) | 超弾性ばねの製造方法 | |
JP2795464B2 (ja) | 二方向形状記憶コイルばねの製造方法 | |
JP2795465B2 (ja) | 二方向形状記憶コイルばね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