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2278A - 멀티 태핑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 태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2278A
KR20180072278A KR1020160175683A KR20160175683A KR20180072278A KR 20180072278 A KR20180072278 A KR 20180072278A KR 1020160175683 A KR1020160175683 A KR 1020160175683A KR 20160175683 A KR20160175683 A KR 20160175683A KR 20180072278 A KR20180072278 A KR 20180072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ping
motor
gear
workpiece
tapp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5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0041B1 (ko
Inventor
홍종현
신광순
Original Assignee
홍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현 filed Critical 홍종현
Priority to KR1020160175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0041B1/ko
Publication of KR20180072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2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1/00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 B23G1/16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in holes of workpieces by taps
    • B23G1/20Machines with a plurality of working spi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1/00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 B23G1/44Equipment or accessories specially designed for machines or devices for thread cutting
    • B23G1/50Equipment or accessories specially designed for machines or devices for thread cutting for cutting thread by successive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6/00Equipment for precise positioning of tool or work into particular loc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16/02Index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61Work-clamping means adapted for holding a plurality of work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Abstract

제1태핑기와 제2태핑기에서 서로 다른 구멍에 대한 태핑작업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제1태핑기와 제2태핑기에서 태핑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에 작업자가 다른 지그 상의 공작물을 교체할 수 있어서 종래의 것보다 태핑작업 능률이 월등한 멀티 태핑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멀티 태핑 장치는 회전테이블, 상기 회전 테이블 상의 3개 이상의 지그, 제1위치에 도달한 상기 지그 상의 공작물에 암나사들을 형성하기 위한 제1태핑기, 제2위치에 도달한 상기 지그 상의 공작물에 암나사들을 형성하기 위한 제2태핑기, 인덱스 기어모터와 간헐회전수단을 구비하는 인덱스 회전장치, 지지프레임 및 상기 회전 테이블이 정지하고 있는 동안 제1위치에 있는 상기 지그 상의 상기 공작물과 제2위치에 있는 상기 지그 상의 상기 공작물에 대해 동시에 각각 태핑가공을 하고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모터와 상기 제2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한다.

Description

멀티 태핑 장치{Multi-tapping machine}
본 발명은 멀티 태핑 장치의 개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 오디오 케이스용 섀시 등에 형성된 여러 개의 구멍에 동시에 암나사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멀티 태핑 장치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설치되는 오디오나 각종 전자제품의 하우징 등에는 그 설치되는 곳의 프레임 등에 자신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내부에 여러 가지 필요한 부품을 고정할 수 있도록 여러 개의 구멍에 볼트를 결합할 수 있도록 암나사를 형성해 두어야 한다. 이처럼 여러 개의 구멍에 동시에 태핑을 하는 데, 멀티 태핑 장치가 사용된다.
이러한 멀티 태핑 장치의 일례는 등록번호 20-0434223호(고안의 명칭: 자동 멀티 태핑머신, 고안자: 윤정근)의 등록실용신안공보(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것은 기존의 여러 대의 태핑 장치에서 이루어지던 공정을 하나의 태핑 장치에서 수행할 수 있게 한 장점은 있지만, 지그에 섀시 장착, 한쪽의 다수의 탭으로 태핑, 지그 이동 및 다른 쪽의 다수의 탭으로 태핑의 과정으로 태핑작업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태핑 장치보다 태핑작업 능률이 획기적으로 향상된 멀티 태핑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태핑 장치는 중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자리 회전 가능케 설치된 회전테이블; 상기 회전 테이블 상에 일정 각도 간격으로 배치되고 태핑하기 위한 공작물을 장착하기 위한 3개 이상의 지그; 제1모터, 상기 제1모터에 의해 회전구동 되는 복수 개의 제1탭과 승강 가능한 제1헤드를 구비하여 제1위치에 도달한 상기 지그 상의 공작물에 암나사들을 형성하기 위한 제1태핑기; 상기 제1태핑기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제2모터, 상기 제2모터에 의해 회전구동 되는 복수 개의 제2탭과 승강 가능한 제2헤드를 구비하여 제2위치에 도달한 상기 지그 상의 공작물에 암나사들을 형성하기 위한 제2태핑기; 인덱스 기어모터와 상기 인덱스 기어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축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간헐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간헐회전수단을 구비하는 인덱스 회전장치; 상기 인덱스 회전장치의 설치장소를 제공하며 상기 인덱스 회전장치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회전 테이블이 정지하고 있는 동안 제1위치에 있는 상기 지그 상의 상기 공작물과 제2위치에 있는 상기 지그 상의 상기 공작물에 대해 동시에 각각 태핑가공을 하고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모터와 상기 제2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한다.
상기 제1탭과 상기 제2탭은 헤드본체의 저면에 설치된 브래킷에 회전 가능케 지지가 된 스핀들에 장착된 콜릿에 결합되고, 상기 스핀들은 유니버설 조인트를 통해 상기 제1, 제2헤드에 제자리 회전 가능케 설치된 스핀들 기어의 축에 연결되고, 상기 스핀들 기어는 아이들 기어를 통해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기어에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래킷은 일단에 상기 스핀들의 축부가 삽입되는 축공이 형성되고, 상기 축공에 이격하여 형성되고 볼트를 삽입하여 필요한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헤드본체의 저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공이 형성된 것이 좋다.
상기 구동기어의 상면에는 구동축이 결합될 수 있는 축결합홈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헤드본체에 회동 가능케 지지가 되는 돌출축이 형성되고, 하측부 측면에 기어이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 테이블이 정지 상태로 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회전테이블 정지감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덱스 기어모터의 동작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회전테이블 정지 감지수단으로부터 회전테이블 정지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제1모터와 상기 제2모터를 일정 시간 동안 구동하다가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테이블 정지감지수단은 광센서나 스위치를 이용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태핑기에 설치된 제1탭들의 배치위치와 상기 제2태핑기에 설치된 제2탭들의 배치위치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때에 따라, 상기 제1태핑기에 설치된 제1탭들의 배치위치와 상기 제2태핑기에 설치된 제2탭들의 배치위치가 서로 같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태핑기와 제2태핑기에서 서로 다른 구멍에 대한 태핑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제1태핑기와 제2태핑기에서 태핑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에 작업자가 다른 지그 상의 공작물을 교체할 수 있어서 종래의 것보다 태핑작업 능률이 월등하게 뛰어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브래킷의 독특한 구조로 인해 스핀들을 지지하기 위한 브래킷을 다양한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기어가 독특한 구성을 하고 있어서 안정적인 작동이 보장되고 여러 개의 부품을 1개로 단순화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태핑 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도 1 멀티 태핑 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도 1 멀티 태핑 장치의 평면 배치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태핑 장치의 회전테이블 상의 지그에 공작물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태핑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6은 도 1 제1태핑기의 제1탭을 회전시키기 위한 탭회전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에 나타낸 브래킷의 평면도와 측면도,
도 8은 도 6에 나타낸 구동기어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태핑 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도 1 멀티 태핑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 멀티 태핑 장치의 평면 배치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태핑 장치의 회전테이블 상의 지그에 공작물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태핑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태핑 장치(100)는 회전테이블(110)을 갖춘다. 회전테이블(110)은 중심의 회전축(111)을 중심으로 제자리 회전 가능케 설치되어 있다.
회전 테이블(110) 상에는 태핑작업을 할 공작물(WP)을 장착하기 위한 지그(1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지그(120)는 여러 개의 구멍이 뚫린 공작물(WP)을 정확한 위치에 안정적으로 잡아주기 위한 것으로, 바람직하게 4개가 90도 간격으로 설치된다. 때에 따라 지그(120)는 3개가 120도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때에 따라 지그(120)는 5개 이상이 일정 각도 간격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태핑기 역시 3대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태핑 장치(100)는 제1태핑기(130)를 갖춘다. 제1태핑기(130)는 제1모터(M1)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제1탭(131)을 구비한다. 제1탭(131)은 제1모터(M1)의 동력으로 승강 가능한 제1헤드(132)의 헤드본체(HD)에 탭회전수단(T)을 통해 설치되며 볼트 등을 통해 헤드본체(HD)에 고정되는 브래킷(BR)을 통해 지지되어 있다. 제1모터(M1)에 의한 제1헤드(132)의 승강은 랙과 피니언 등의 기어를 이용하는 헤드승강수단(E)이 이용될 수 있다. 때에 따라, 헤드승강수단(E)으로는 유압실린더를 이용하는 방식 등 여타의 다양한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헤드(132)의 승강은 기존의 멀티 태핑 장치에 널리 적용되는 잘 알려진 기술이며 본 발명의 요지와는 관련이 없으므로, 여기에서 그 구조를 자세히 설명하지는 않는다.
또한, 제1태핑기(130)에는 냉각제 탱크(180)와 여기에 연결된 냉각제 공급관, 밸브 등으로 이루어진 냉각제 공급수단(C)을 갖춘다.
위와 같은 제1헤드(132)는 지지프레임(160)에 수직이게 설치된 승강안내축(133)의 안내를 받으며 승강하도록 구성되어, 정밀한 승강운동을 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승강안내축(133)은 한 쌍이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1태핑기(130)는 제1헤드(132) 하부의 제1위치에 도달한 지그(120) 상의 공작물(WP)에 암나사들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공작물(WP)에는 복수 개의 구멍이 미리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태핑 장치(100)는 제2태핑기(140)를 갖춘다. 제2태핑기(140)는 제1태핑기(130)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 실시 예에서 제2태핑기(140)는 제1태핑기(130)와 180도 간격으로 배치된다. 이 제2태핑기(140)는 제2모터(M2)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제2탭(141)을 구비한다. 복수 개의 제2탭(141)은 제2모터(M2)의 동력으로 승강 가능한 제2헤드(142)에 브래킷(BR)을 통해 설치되어 있다. 이 제2헤드(142) 역시 평행하게 설치된 한 쌍의 승강안내축(143)의 안내를 받으며 승강한다. 이러한 제2태핑기(140)는 제2헤드(142) 하부의 제2위치에 도달한 지그(120) 상의 공작물(WP)에 암나사들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위와 같은 제2태핑기(140)는 제2탭(141)과 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들의 배치 위치에서만 제1태핑기(130)의 대응 구성요소와 차이가 있고, 기본 구조는 제1태핑기(130)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때에 따라, 제1태핑기(130)에 설치된 제1탭(131)들의 배치위치와 제2태핑기(140)에 설치된 제2탭(141)들의 배치위치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2명의 작업자가 제1, 제2태핑기(130, 140) 사이에 마주보고 위치하여 각자 자기 앞으로 오는 지그(120) 상의 태핑 가공된 공작물(WP)을 제거한 다음 태핑 가공할 공작물(WP)을 지그(120)에 장착하여 태핑가공을 하도록 하면, 2개 공작물에 대한 동일한 태핑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태핑 장치(100)는 바람직하게 인덱스 회전장치(150)를 갖춘다. 이 인덱스 회전장치(150)는 회전테이블(110)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간헐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인덱스 기어모터(151)와 인덱스 기어모터(151)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축(111)을 간헐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간헐회전수단(153)을 갖춘다. 인덱스 기어모터(151)는 모터의 구동속도를 감속하여 출력하는 것으로, 내부에 회전속도 감속을 위한 감속기어들이 설치되어 있다. 인덱스 기어모터(151)와 간헐회전수단(153) 사이에 클러치를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동력전달을 차단할 수 있게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간헐회전수단(153)은 기어 등을 통해 감속된 회전동력을 전달받아서 베벨기어 등을 통해 동력전달 방향을 수평에서 수직으로 90도 전환함과 아울러, 공지의 제네바기구 등을 통해 회전축(111)을 일정 각도, 이 실시 예에서는 90도 회전 후 일정 시간 정지하였다가 다시 90도 회전시키는 과정을 반복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하는 인덱스 회전장치(150)는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부속품들을 조립하여 당업자가 쉽게 조립할 수 있다. 일체로 조립되어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것을 이용하여도 된다.
위와 같은 인덱스 회전장치(150)는 지지프레임(160)에 설치되어 지지프레임(160)의 지지를 받는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태핑 장치(100)는 제어수단(170)을 갖춘다. 제어수단(170)은 멀티 태핑 장치(100)를 구성하는 제1, 제2태핑기(130, 140)와 인덱스 회전장치(150)를 작동시키기 위한 버튼 등의 입력수단을 제공함은 물론이고, 제어회로를 통해 회전 테이블(110)이 일정 각도 회전 후 정지할 때, 회전테이블(110)의 정지를 감지하는 정지감지수단(172)으로부터 회전테이블(110)의 정지 신호를 인가받아 제1, 제2태핑기(130, 140)의 제1, 제2모터(M1, M2)를 작동시켜 제1태핑기(130)와 제2태핑기(140)를 구동하여 제1위치에 있는 지그(120) 상의 공작물(WP)과 제2위치에 있는 지그(120) 상의 공작물(WP)에 대해 제1, 제2헤드(132, 142)를 하강시키면서 동시에 각각 태핑가공을 하도록 한다. 회전테이블의 정지 및 회전에 대한 정보는 광센서나 특정 위치에 설치된 스위치 등의 정지감지수단(172)으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제어수단(140)은 해당 공작물(WP)에 대한 태핑가공을 하고 제1헤드(132)와 제2헤드(142)가 상승하여 원위치로 복귀한 후 제1탭(131)과 제2탭(141)의 회전을 멈추도록 하고, 제1탭(131)과 제2탭(141)이 공작물(WP)을 벗어난 이후에 회전 테이블(110)을 일정 각도 회전시킨 다음 정해진 시간 동안 정지하도록 제어한다.
제1, 제2태핑기(130, 140) 상부의 지지프레임(160)의 상단에는 냉각제 탱크(18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냉각제 탱크(180)에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각제 공급관(182)을 연결하여 태핑가공이 이루어지는 위치로 냉각제를 공급한다. 도 1 내지 3에서는 도면이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냉각제 공급관(182)와 냉각제 공급관(182)에 설치되는 밸브(184)는 생략하고 나타내었다.
도 6은 도 1 제1태핑기의 제1탭을 회전시키기 위한 탭회전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에 나타낸 브래킷의 평면도와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6에 나타낸 구동기어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5를 함께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6에는 헤드본체(HD)가 도시되어 있다. 헤드본체(HD)의 상단에는 태핑기 본체에 장착되는 중공의 장착부(132a)가 형성되어 있다. 장착부(132a) 아래에 각종 기어가 설치되는 기어설치부(132b)가 형성되고, 그 아래쪽으로 스핀들(134)의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스핀들 장착부(132c)가 구비된다.
이러한 헤드본체(HD)에 제1탭(131)을 회전시키기 위한 탭회전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제1탭(131)은 헤드본체(HD)의 저면에 설치된 브래킷(BR)을 통해 회전 가능케 지지가 된 스핀들(SP)에 장착된 콜릿(135)에 결합된다. 스핀들(SP)은 유니버설 조인트(136), 큐조인트(QJ), 조인트 홀더(JH), 핀(P)을 통해 헤드본체(HD)에 제자리 회전 가능케 설치된 스핀들 기어(137)의 축에 연결되고, 스핀들 기어(137)는 아이들 기어(138)를 통해 제1모터(M1)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기어(139)에 연결되어 있다. 구동기어(139)는 그 상단에 연결된 동력전달부(PT)를 통해 제1모터(M1)의 동력을 전달받는다.
여기에서, 스핀들(SP), 콜릿(135), 유니버설 조인트(136), 큐조인트(QJ), 조인트 홀더(JH), 핀(P), 스핀들 기어(137), 아이들 기어(138), 구동 기어(139) 및 동력전달부(PT)가 제1모터(M1)의 동력으로 제1탭(131)을 회전시키기 위한 탭회전수단의 역할을 한다.
한편, 제1모터(M1)의 동력이 벨트, 체인, 기어 등을 통해 동력전달부(PT)로 전달되는 것은 멀티 태핑 장치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여기에서 자세히 기술하지 않는다.
도 6과 7을 함께 참고하면, 브래킷(BR)은 일단에 스핀들(SP)의 축부가 삽입되는 축공(SH)이 형성되고, 축공(SH)에 이격하여 장공(LH)이 형성되어 있다. 장공(LH)은 볼트를 삽입하여 필요한 위치로 이동시켜 헤드본체(HD)의 저면 필요한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렇게 하면 브래킷(BR)의 위치나 자세를 조정하여 고정하기가 수월하다.
제2태핑기(140)의 구성은 제2탭(143)과 이를 회전구동하기 위한 탭회전수단의 위치에서만 차이가 있고, 나머지는 제1태핑기(130)에서와 같다.
도 8을 참고하면, 구동기어(139)의 상면에는 동력전달부(PT)의 축부가 결합될 수 있는 축결합홈(139a)이 형성되어 있고, 구동기어(139)의 저면에는 헤드본체(HD)에 형성된 홈에 회동 가능케 지지가 되는 돌출축(139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구동기어(139)의 하측부 측면에 아이들 기어(138)와 맞물려 아이들 기어(138)를 통해 스핀들 기어(137)로 회전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어이(139c)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어부(170)에 의해 인덱스 기어모터(151)가 구동되면 회전테이블(110)은 간헐적으로 90도씩 회전한다. 이에 따라 회전테이블(110)은 90도 회전 후 일정 시간 동안 정지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회전테이블(110)이 멈추어 있는 시기에 제1태핑기(130)와 제2태핑기(140)의 제1, 제2모터(M1, M2)로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제1, 제2모터(M1, M2)를 동시에 구동한다. 이에 따라, 제1태핑기(130)와 제2태핑기(140) 각각의 헤드본체(HD)가 동시에 승, 하강하는 한편, 제1, 제2모터(M1, M2)의 동력은 벨트 등을 통해 동력전달부(PT)로 전달되어 구동기어(139)를 회전시키면, 구동기어(139)는 아이들 기어(138), 스핀들 기어(137)를 거쳐 큐조인트(QJ), 조인트 홀더(JH), 핀(P), 유니버설 조인트(136)를 통해 스핀들(SP)을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스핀들(SP)에 결합된 콜릿(135)에 장착된 제1탭(131)과 제2탭(141)이 동시에 회전되면서 태핑작업을 완료 후 상승하여 원위치로 복귀한다. 제어부(170)는 일정 시간 동안 제1, 제2모터(M1, M2)의 구동을 멈추었다가 다시 제1, 제2모터(M1, M2)를 구동하여 태핑과정을 반복한다.
작업자는 제1, 제2태핑기(130, 140) 사이에서 회전테이블(110)이 멈추어 있는 동안 지그(120) 상에서 태핑작업이 완료된 공작물(WP)을 제거하고 태핑 가공이 필요한 새로운 공작물(WP)을 지그(120)에 장착한다.
본 발명은 2대의 태핑기에서 동시에 태핑작업을 할 수 있고, 2대의 태핑기에서 동시에 태핑작업을 하는 동안 작업자가 공작물을 교체할 수 있어서 태핑작업 효율이 뛰어난 멀티 태핑 장치를 만드는 데 이용될 가능성이 있다.
100: 멀티 태핑 장치 110: 회전테이블
120: 지그 130: 제1태핑기
140: 제2태핑기 150: 인덱스 회전장치
151: 인덱스 기어모터 153: 간헐회전수단
160: 지지프레임 170: 제어부
180: 냉각제 탱크

Claims (8)

  1. 중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자리 회전 가능케 설치된 회전테이블;
    상기 회전 테이블 상에 일정 각도 간격으로 배치되고 태핑하기 위한 공작물을 장착하기 위한 3개 이상의 지그;
    제1모터, 상기 제1모터에 의해 회전구동 되는 복수 개의 제1탭과 승강 가능한 제1헤드를 구비하여 제1위치에 도달한 상기 지그 상의 공작물에 암나사들을 형성하기 위한 제1태핑기;
    상기 제1태핑기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제2모터, 상기 제2모터에 의해 회전구동 되는 복수 개의 제2탭과 승강 가능한 제2헤드를 구비하여 제2위치에 도달한 상기 지그 상의 공작물에 암나사들을 형성하기 위한 제2태핑기;
    인덱스 기어모터와 상기 인덱스 기어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축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간헐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간헐회전수단을 구비하는 인덱스 회전장치;
    상기 인덱스 회전장치의 설치장소를 제공하며 상기 인덱스 회전장치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회전 테이블이 정지하고 있는 동안 제1위치에 있는 상기 지그 상의 상기 공작물과 제2위치에 있는 상기 지그 상의 상기 공작물에 대해 동시에 각각 태핑가공을 하고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모터와 상기 제2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태핑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제1탭과 상기 제2탭은 헤드본체의 저면에 설치된 브래킷에 회전 가능케 지지가 된 스핀들에 장착된 콜릿에 결합되고, 상기 스핀들은 유니버설 조인트를 통해 상기 제1, 제2헤드에 제자리 회전 가능케 설치된 스핀들 기어의 축에 연결되고, 상기 스핀들 기어는 아이들 기어를 통해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기어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태핑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브래킷은 일단에 상기 스핀들의 축부가 삽입되는 축공이 형성되고, 상기 축공에 이격하여 형성되고 볼트를 삽입하여 필요한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헤드본체의 저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태핑 장치.
  4. 제2항에서, 상기 구동기어의 상면에는 구동축이 결합될 수 있는 축결합홈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헤드본체에 회동 가능케 지지가 되는 돌출축이 형성되고, 하측부 측면에 기어이가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태핑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회전 테이블이 정지 상태로 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회전테이블 정지감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덱스 기어모터의 동작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회전테이블 정지 감지수단으로부터 회전테이블 정지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제1모터와 상기 제2모터를 일정 시간 동안 구동하다가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태핑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회전테이블 정지감지수단은 광센서나 스위치를 이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태핑 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제1태핑기에 설치된 제1탭들의 배치위치와 상기 제2태핑기에 설치된 제2탭들의 배치위치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태핑 장치.
  8. 제1항에서, 상기 제1태핑기에 설치된 제1탭들의 배치위치와 상기 제2태핑기에 설치된 제2탭들의 배치위치가 서로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태핑 장치.
KR1020160175683A 2016-12-21 2016-12-21 멀티 태핑 장치 KR101890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5683A KR101890041B1 (ko) 2016-12-21 2016-12-21 멀티 태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5683A KR101890041B1 (ko) 2016-12-21 2016-12-21 멀티 태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2278A true KR20180072278A (ko) 2018-06-29
KR101890041B1 KR101890041B1 (ko) 2018-08-20

Family

ID=62781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5683A KR101890041B1 (ko) 2016-12-21 2016-12-21 멀티 태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004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18076A (zh) * 2018-07-13 2018-11-16 湖南文理学院 一种自定位式汽车零部件加工设备
CN109277650A (zh) * 2018-11-09 2019-01-29 广东星徽精密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固定座自动攻牙机
CN109773238A (zh) * 2019-02-26 2019-05-21 杭州江潮电机有限公司 一种智能型电机机座孔加工专机及其使用方法
CN111421194A (zh) * 2020-05-13 2020-07-17 刘志文 一种金属管件活接头制造加工自动化攻丝机械
CN112025320A (zh) * 2020-11-05 2020-12-04 山东道智盛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加工气门嘴的多工位金属加工组合机床
CN114850591A (zh) * 2022-07-06 2022-08-05 河北鑫宇金属制品股份有限公司 一种加工生产压铆螺母柱用的转盘式攻丝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0647B1 (ko) * 2019-11-22 2021-12-21 주식회사 화인텍코리아 전기기기용 박판형 부품류의 나사홀 가공 장치
KR102256005B1 (ko) * 2021-04-02 2021-05-25 (주)골드팡 피어싱 볼의 탭 로터리 자동가공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9100B1 (ko) * 1998-04-15 2000-06-15 고생곤 필터 베이스플레이트의 탭핑장치
KR100665206B1 (ko) * 2006-04-13 2007-01-09 (주)성헌 공작기계용 헤드
KR101554033B1 (ko) * 2014-02-03 2015-09-25 (주)삼풍하이텍 차량용 휠 캐리어 브라켓의 탭 가공을 위한 다축 자동 탭핑 장치
KR101634159B1 (ko) * 2015-02-16 2016-06-29 주식회사 우진엠엔디 용접지그 운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반자동 용접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9100B1 (ko) * 1998-04-15 2000-06-15 고생곤 필터 베이스플레이트의 탭핑장치
KR100665206B1 (ko) * 2006-04-13 2007-01-09 (주)성헌 공작기계용 헤드
KR101554033B1 (ko) * 2014-02-03 2015-09-25 (주)삼풍하이텍 차량용 휠 캐리어 브라켓의 탭 가공을 위한 다축 자동 탭핑 장치
KR101634159B1 (ko) * 2015-02-16 2016-06-29 주식회사 우진엠엔디 용접지그 운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반자동 용접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18076A (zh) * 2018-07-13 2018-11-16 湖南文理学院 一种自定位式汽车零部件加工设备
CN108818076B (zh) * 2018-07-13 2019-11-01 湖南文理学院 一种自定位式汽车零部件加工设备
CN109277650A (zh) * 2018-11-09 2019-01-29 广东星徽精密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固定座自动攻牙机
CN109277650B (zh) * 2018-11-09 2024-04-12 广东星徽创新技术有限公司 一种固定座自动攻牙机
CN109773238A (zh) * 2019-02-26 2019-05-21 杭州江潮电机有限公司 一种智能型电机机座孔加工专机及其使用方法
CN109773238B (zh) * 2019-02-26 2024-02-20 江潮电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型电机机座孔加工专机及其使用方法
CN111421194A (zh) * 2020-05-13 2020-07-17 刘志文 一种金属管件活接头制造加工自动化攻丝机械
CN112025320A (zh) * 2020-11-05 2020-12-04 山东道智盛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加工气门嘴的多工位金属加工组合机床
CN114850591A (zh) * 2022-07-06 2022-08-05 河北鑫宇金属制品股份有限公司 一种加工生产压铆螺母柱用的转盘式攻丝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0041B1 (ko) 2018-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0041B1 (ko) 멀티 태핑 장치
KR20100133250A (ko) 드릴링 및 탭핑 겸용 수직가공장치
KR102053667B1 (ko) 공작기계용 스핀들 헤드 가공용 지그장치
CN100463780C (zh) 自动化打点机
KR20120112017A (ko) 공작 기계
TWI540018B (zh) 換刀系統及採用該換刀系統之機床
JP2007222977A (ja) 部品組付け装置
JP2018094655A (ja) 多軸ねじ締め装置
EP0500309A2 (en) Work holding device
KR101424156B1 (ko) 다이캐스팅 핸들용 다축가공장치
CN116393726A (zh) 一种机械生产的自动化加工设备
CN210878522U (zh) 一种自动调整加工位置的双头立式攻钻机
CN111390220B (zh) 一种扭振状态检测装置的加工设备
KR20180085557A (ko) 다축 태핑장치 및 이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다축 동력 전달기구
CN105479146A (zh) 一种实现轴孔装配的设备及方法
KR20170128862A (ko) 태핑홀 형성장치
CN104999105B (zh) 一种用于汽车管件钻孔装置
CN211939117U (zh) 一种基于单片机的新型摇臂钻床
CN112248705A (zh) 一种玉石超声波雕刻机
KR200422052Y1 (ko) 자동 다축 면취 유니트
KR102620703B1 (ko) 공작기계 및 이의 작동방법
KR100685464B1 (ko) 드릴링 머시인
CN213827340U (zh) 一种多轴仰式攻牙机
CN217292925U (zh) 一种具有夹具切换功能的玉石钻孔设备
CN213734371U (zh) 一种玉石超声波雕刻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