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5464B1 - 드릴링 머시인 - Google Patents

드릴링 머시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5464B1
KR100685464B1 KR1020060031446A KR20060031446A KR100685464B1 KR 100685464 B1 KR100685464 B1 KR 100685464B1 KR 1020060031446 A KR1020060031446 A KR 1020060031446A KR 20060031446 A KR20060031446 A KR 20060031446A KR 100685464 B1 KR100685464 B1 KR 100685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panel
motor
lift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1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형수
Original Assignee
(주)대영하이텍
양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영하이텍, 양형수 filed Critical (주)대영하이텍
Priority to KR1020060031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54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5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5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9/00General-purpos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ets of boring and/or drilling machines
    • B23B39/04Co-ordinat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Machines for making holes without previous ma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9/00General-purpos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ets of boring and/or drilling machines
    • B23B39/10General-purpos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ets of boring and/or drill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g. by fluid-pressure drive pneumatic power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23B47/26Liftable or lowerable drill heads or headstocks; Balancing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02Driving main working members
    • B23Q5/04Driving main working members rotary shafts, e.g. working-spindles
    • B23Q5/20Adjusting or stopping working-spindles in a predetermin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70/00Details of turning, boring or drilling machines, processes or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2270/54Methods of turning, boring or drill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5/00Driving working spindles or 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2705/02Driving working spi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릴링 머시인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밀링에서 가공하지 못하는 폭 넓은 패널의 측면에 대해 드릴작업, 탭작업, 앤드밀작업 등을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게 하므로서 범용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데에 있고, 다른 목적으로는 공구(8)의 작업 위치를 수동으로 조정하여 가공작업을 할 수 있게 하므로서 제작비용의 저렴화를 실현할 수 있게 하는 데에 있으며, 또 다른 목적으로는 공구(8)의 이송거리를 X,Y축리니어스케일(78,84)과 승강리니어스케일(90)로 체크 하면서 가공작업을 할 수 있게 하여 정밀도와 작업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데에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2)와, 상기 모터(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척(10)과, 상기 모터(2)와 척(10)을 상부에 장착한 X축패널(12)과, 상기 X축패널(12) 아래에 이격 설치되는 Y축패널(14)과, 상기 Y축패널(14) 상부에 설치되어 X축패널(12)을 X축 방향으로 전,후진시키는 X축이송장치(16)와, 상기 Y축패널(14) 아래에 설치되어 Y축패널(14)을 Y축 방향으로 전,후진시키는 Y축이송장치(36)와, 상기 Y축이송장치(36)와 가공물(97)을 고정 시킬 수 있게 한 지그패널(98)을 상부에 각각 설치하는 베드프레임(96)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밀링에서 가공하지 못하는 폭 넓은 패널을 지그패널(98)상에 올려 놓고 공구(8)를 통하여 측면에 대해 드릴작업, 탭작업, 앤드밀작업 등을 다양하게 할 수 있으므로 범용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드릴, 탭, 앤드밀, 척, 모터, 리니어스케일, 지그

Description

드릴링 머시인{Drilling machine}
도 1 은 종래 기술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장치의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장치의 측면도.
도 4 는 도 3의 A -A 선 단면도.
도 5 는 도 3의 B - B 선 단면도.
도 6 은 도 3의 C - C 선 단면도.
도 7 은 도 3의 D - D 선 단면도.
도 8 은 도 3의 "E" 부분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물의 가공 상태도.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 및 제어부의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가공장치 2:모터
4:원동풀리 6:종동풀리
7:벨트 8:공구
10:척 12:X축패널
14:Y축패널 16:X축이송장치
18:스토퍼 20:X축레일
22:가이드블록 24:고정블록
26:X축나사봉 28,48,72:핸들
30,50:러그 32,52,76:고정나사
34:승강패널 35:안내홈
36:Y축이송장치 38,58,62:스토퍼
40:Y축레일 42:이동블록
44:고정블록 46:Y축나사봉
54:베이스패널 56:승강장치
60:안내봉 64:래크
66:피니언 68:축
70:기어박스 74:지지대
78:X축리니어스케일 80:X축헤드
82:X축스케일바아 84:Y축리니어스케일
86:Y축헤드 88:Y축스케일바아
90:승강리니어스케일 92:승강헤드
94:승강스케일바아 96:베드프레임
97:가공물 98:지그패널
100:제어부 102:표시부
본 발명은 드릴링 머시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밀링에서 가공하지 못하는 폭 넓은 패널의 측면에 대해 드릴작업, 탭작업, 앤드밀작업 등을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여 범용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게 하고, 또한 공구의 작업 위치를 수동으로 조정하여 가공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하므로서 제작비용의 저렴화를 실현할 수 있게 하며, 또한 공구가 진행하는 방향을 X,Y축리니어스케일과 승강리니어스케일 등을 통하여 체크 하면서 가공작업을 할 수 있게 하여 정밀도와 작업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게 한 드릴링 머시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릴링 머시인은 공구를 이용하여 가공물에 대해 드릴작업, 탭작업, 앤드밀작업 등을 실시하는 장비로서 보통 척에 다양한 공구를 물려 가공물을 가공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드릴링 머시인은 공구의 이송상태를 작업자가 체크하면서 가공작업을 할 수 있게 하여 가공의 정밀성과 편리성 등을 확보하는 것이 하나의 관건으로 작용하고 있는데, 따라서 최근에는 리니어스케일로 공구의 이송거리를 간단히 체크할 수 있게 하면서 드릴링 머시인의 제작비용을 저렴화할 수 있게 구조를 개선하는 단계에 있다.
한편 종래의 기술은 실용신안등록번호 제55607호 "드릴링 머시인"을 도 1에서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드릴축(2)을 결합한 드릴본체(3)가 모터(13)에 벨트로 연결되면서 이동 체(4)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이동체(4)의 저부 양측에는 가이드봉(7)이 미끄럼 결합 되며, 상기 이동체(4)의 상부 양측은 가이드부재(5,6)상에 미끄럼 결합 된다.
또한 상기 이동체(4)의 선단부 저면에는 랙크기어(8)가 형성되고, 상기 랙크기어(8)에는 치차 결합하는 기어부(12)가 핸들(9)을 결합하면서 랙크기어(8) 아래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체(4)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가공물설치대(18)가 대판(21)상에 미끄럼 결합 되는데, 이때 상기 대판(21)은 조작핸들(11)을 갖는 나선축(19)에 의해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대판(21) 아래에는 승강체(22)가 결합 되고, 상기 승강체(22)에는 이송나사봉(23)이 수직으로 나사 결합 되면서 하단부에 구동기어(24)를 형성하며, 상기 구동기어(24)에는 승강조작핸들(10)에 의해 회전하는 기어가 치차 결합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기술을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가공물설치대(18)에 가공물을 올려놓고 조작핸들(11)을 회전시키면 가공물이 전진 또는 후진하여 가공 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이후로 상기 승강조작핸들(10)을 회전시켜 구동기어(24)를 통해 이송나사봉(23)에 동력을 전달하면, 상기 이송나사봉(23)은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나사 결합된 승강체(22)를 가공물과 함께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따라서 상기 가공물의 가공 위치점은 드릴축(2)의 선단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드릴축(2)의 가공 위치점 조정이 완료된 이후로 전원스위치를 온 시켜 모터(13)를 작동시키면, 상기 모터(13)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은 벨트를 통 해 드릴본체(3)에 전달되어 드릴축(2)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핸들(9)을 좌측으로 회전시켜 기어부(12)를 회전시키면, 상기 기어부(12)에 치차 결합된 랙크기어(8)가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이동체(4)를 가이드부재(5,6)상에서 좌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드릴축(2)은 회전하면서 좌측으로 이동하여 가공물측으로 전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드릴축(2)은 가공물을 가공하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가공물설치대(18)가 이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폭 넓은 패널을 가공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범용성 면에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문제점으로는 드릴축(2)의 이송거리를 핸들에 있는 눈금으로 체크하면서 가공하게 되므로 정밀도와 작업성이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밀링에서 가공하지 못하는 폭 넓은 패널의 측면에 대해 드릴작업, 탭작업, 앤드밀작업 등을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게 하므로서 범용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데에 있다.
다른 목적으로는 공구의 작업 위치를 수동으로 조정하여 가공작업을 할 수 있게 하므로서 제작비용의 저렴화를 실현할 수 있게 하는 데에 있다.
또 다른 목적으로는 공구의 이송거리를 X,Y축리니어스케일과 승강리니어스케일로 체크 하면서 가공작업을 할 수 있게 하여 정밀도와 작업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2)와, 상기 모터(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척(10)과, 상기 모터(2)와 척(10)을 상부에 장착한 X축패널(12)과, 상기 X축패널(12) 아래에 이격 설치되는 Y축패널(14)과, 상기 Y축패널(14) 상부에 설치되어 X축패널(12)을 X축 방향으로 전,후진시키는 X축이송장치(16)와, 상기 Y축패널(14) 아래에 설치되어 Y축패널(14)을 Y축 방향으로 전,후진시키는 Y축이송장치(36)와, 상기 Y축이송장치(36)와 가공물(97)을 고정 시킬 수 있게 한 지그패널(98)을 상부에 각각 설치하는 베드프레임(9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을 도 2 내지 도 9 에서 살펴 보면, 먼저 가공장치(1)에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2)(도4참조)가 원동풀리(4)를 결합하면서 구성되고, 상기 원동풀리(4)에는 종동풀리(6)가 벨트(7)로 연결되면서 모터(2)로부터 이격 되어 설치되며, 상기 종동풀리(6)에는 각종 공구(8)가 물려지는 척(10)이 결합 된다.
상기 모터(2)와 척(10)은 사각형으로 만들어진 X축패널(12)상에 장착되고, 상기 X축패널(12) 아래에는 사각형으로 만들어진 Y축패널(14)(도5참조)이 우측 중앙에 안내홈(15)을 소정의 깊이만큼 형성하면서 이격 설치되며, 상기 Y축패널(14)(도3참조) 상부에는 X축패널(12)이 X축 방향으로 전,후진할 수 있게 작용력을 제공하는 X축이송장치(16)가 설치된다.
상기 X축이송장치(16)는, X축패널(12) 저면 양측에 X축방향으로 각각 배치되 어 나사로 고정되면서 양단부에 스토퍼(18)를 각각 결합한 X축레일(20)과, 상기 각각의 X축레일(20)(도5참조)에 미끄럼 결합 되어 안내역할을 하면서 Y축패널(14)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블록(22)과, 상기 가이드블록(22) 사이에 위치하면서 Y축패널(14)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블록(24)과, 상기 고정블록(24)에 나사 결합 되어 X축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작용력을 전달하는 X축나사봉(26)과, 상기 X축나사봉(26) 후단부에 결합 되어 작용력을 제공하는 핸들(28)과, 상기 X축나사봉(26) 후미에 미끄럼 결합 되면서 상기 X축패널(12)(도3참조)의 일측 중앙 저면에 고정 설치되는 러그(3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X축나사봉(26) 후미에는 핸들(28)이 아닌 다른 동력 제공수단으로서 미 도시한 모터를 장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X축패널(12)의 일측 중앙 상부에는 이동한 위치에 멈추어 있을 수 있게 한 고정나사(32)가 수직으로 체결되는데, 이때 상기 고정나사(32)(도8참조)는 끝단부가 X축나사봉(26)의 외주에 닿을 수 있게 설치된다.
계속하여 상기 Y축패널(14)(도3참조) 아래에는 사각형으로 만들어진 승강패널(34)이 선단부 중앙에 안내홈(35)을 소정의 깊이만큼 형성하면서 이격 설치되고,
상기 승강패널(34) 상부에는 Y축패널(14)이 Y축 방향으로 전,후진할 수 있도록 작용력을 제공하는 Y축이송장치(36)가 설치된다.
상기 Y축이송장치(36)(도6참조)는, 승강패널(34) 상단부 양측에 Y축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어 나사로 고정되면서 선,후단부에 스토퍼(38)를 결합한 Y축레일(40)과, 상기 각각의 Y축레일(40)에 미끄럼 결합 되면서 Y축패널(14)(도3참조)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는 이동블록(42)과, 상기 Y축레일(40) 사이에 위치하면서 승강패널(34)(도6참조)상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블록(44)과, 상기 고정블록(44)에 나사 결합 되면서 Y축 방향으로 배치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Y축나사봉(46)과, 상기 Y축나사봉(46) 후단부에 결합 되어 작용력을 제공하는 핸들(48)과, 상기 Y축나사봉(46) 후미에 결합 되면서 상기 Y축패널(14)(도3참조) 저면에 고정 설치되는 러그(5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Y축나사봉(46)(도6참조) 후미에는 핸들(48)이 아닌 다른 수단으로서 미 도시된 모터를 장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Y축패널(14)(도5참조)의 앞쪽 중앙 상부에는 이동한 위치에 멈추어 있을 수 있게 한 고정나사(52)가 수직으로 체결되는데, 이때 상기 고정나사(52)는 끝단부가 Y축나사봉(46)(도6참조)의 외주에 닿을 수 있게 설치된다.
계속하여 상기 승강패널(34)(도3참조) 아래에는 사각형으로 만들어진 베이스패널(54)이 이격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패널(54) 상부에는 승강패널(34)이 상,하로 승강할 수 있도록 작용력을 제공하는 승강장치(56)가 설치된다.
상기 승강장치(56)는, 상기 베이스패널(54)의 모서리 각 부분에 배치되면서 수직으로 관통하여 미끄럼 결합 되는 동시에 상단부는 승강패널(34)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고 하단부는 칼라로 된 스토퍼(58)를 형성하며 구성되는 안내봉(60)과, 상기 베이스패널(54)의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하여 결합 되면서 상단부는 승강패널(34)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고 하단부는 칼라로 된 스토퍼(62)를 형성하며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래크(64)와, 상기 래크(64)(도7참조)와 치차 결합하는 피니언(66) 을 구비하면서 베이스패널(54)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회전하는 축(68)과, 상기 래크(64)와 피니언(66)을 내부에 장착하면서 베이스패널(54)상에 설치되는 기어박스(70)와, 상기 축(68) 후단부에 결합 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핸들(72)과, 상기 축(68) 후미에 결합 되면서 베이스패널(54)상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대(7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축(68) 후미에는 핸들(72)이 아닌 다른 수단으로서 미 도시된 모터를 장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장치(56)의 지지대(74)에는 승강패널(34)(도3참조)이 상승 또는 하강한 위치에 멈추어 있을 수 있게 한 고정나사(76)가 체결되는데, 이때 상기 고정나사(76)는 끝단부가 축(68) 외주에 닿을 수 있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Y축패널(14)(도5참조)의 후미 일측에는 X축패널(12)(도3참조)의 이동 거리를 읽는 X축리니어스케일(78)(도5참조)의 X축헤드(80)가 설치되고, 상기 X축헤드(80)와 대응하는 X축스케일바아(82)(도4참조)가 X축패널(12)의 후미에 횡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기 승강패널(34)(도6참조)의 타측 선단부에는 Y축패널(14)(도3참조)의 이동 거리를 읽는 Y축리니어스케일(84)의 Y축헤드(86)가 설치되고, 상기 Y축헤드(86)와 대응하는 Y축스케일바아(88)(도5참조)가 Y축패널(14)의 타측에 횡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기 승강패널(34)(도6참조)의 타측 후미에는 상승 또는 하강하는 승강패널(34)의 이동 거리를 읽는 승강리니어스케일(90)의 승강헤드(92)가 설치되고, 상기 승강헤드(92)와 대응하는 승강스케일바아(94)(도3참조)가 베드프레임(96)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베이스패널(54)(도2참조)은 여러개의 프레임이 연결되어 만들어진 베드프레임(96) 일측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베드프레임(96)의 타측에는 가공물(97)(도9참조)을 고정시키는 지그패널(98)이 고정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베드프레임(96)은 가공물(97)을 올려 놓기에 적당한 폭과 길이 그리고 높이를 갖는다.
상기 지그패널(98)에 올려지는 가공물(97)은 밀링에서 가공하기 어려운 폭 넓은 패널 형태를 한 것으로서, 상기 가공물(97)은 척(10)에 물려지는 공구(8)에 의해 측면이 주로 가공된다.
한편 상기 X축헤드(80)(도2참조)와, Y축헤드(86)와, 승강헤드(92)와, 모터(2)에는 작동명령을 전달하는 제어부(100)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100)에는 표시부(102)가 연결되는데, 이때 상기 제어부(100)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오프스위치와 모터(2)(도2참조)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한 모터회전속도조절부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표시부(102)에는 드릴작업, 탭작업, 앤드밀작업 등의 선택 모드가 나타나며, 또한 상기 표시부(102)에는 전원의 온,오프 상태 그리고 X축패널(12), Y축패널(14), 승강패널(Z축방향)(34)이 이동하므로서 이송된 공구(8)의 이송거리와, 모터(2)의 회전속도 등이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도10참조)에는 드릴작업, 탭작업, 앤드밀작업 등에 알맞은 모터(2)의 표준속도가 설정되어 저장되고, 상기 표준속도와는 별도로 작업 자가 임의로 모터(2)의 회전속도를 조정하고자 할 때에는 모터(2)의 회전속도조절부를 통해 조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밀링에서 가공하지 못하는 폭이 넓은 가공물(97)(도9참조)을 지그패널(98) 상부에 올려 놓고 고정시킨 다음 척(10)에 공구(8)를 물리게 되는데, 이때 가공물(97)의 가공상태에 따라 상기 척(10)에는 드릴(drill), 앤드밀(end mill), 탭(Tap) 등의 공구(8)가 선택적으로 물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공물(97)의 가공상태에 따라 척(10)에 물려지는 공구(8)의 종류는 달라지게 되고, 또한 모터(2)의 회전속도도 달라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공물(97)을 고정한 이후로 공구(8)를 가공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해 X축이송장치(16)(도5참조)의 핸들(28)을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X축나사봉(26)은 정,역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나사 결합된 고정블록(24)에서 X축방향인 좌,우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X축나사봉(26) 후미에 결합된 러그(30)가 안내홈(15)을 출입하면서 상부에 결합된 X축패널(12)(도3참조)을 X축방향으로 밀거나 당기게 된다.
따라서, 상기 X축패널(12)은 저면에 결합된 X축레일(20)과 함께 가이드블록(22)(도5참조)상에서 X축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여, 상기 척(10)(도9참조)에 물려져 있는 공구(8)를 가공 위치점으로 이송시킨다.
이때 상기 X축패널(12)(도2참조)에 설치된 X축스케일바아(82)의 이동거리를 X축헤드(80)가 읽어 제어부(100)로 정보를 전달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100)는 X축 패널(12)의 이동거리를 표시부(102)에 나타내게 되는데, 이때 상기 X축패널(12)의 이동거리가 공구(8)의 이송거리가 된다.
상기와 같이 X축패널(12)을 이동시킬 때 X축레일(20)의 양단부에 결합된 스토퍼(18)(도5참조)가 가이드블록(22)에 도달하면 더 이상 X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정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공구(8)(도9참조)를 X축 방향으로 이송시킨 후, 상기 공구(8)가 가공 위치점에 도달할 수 있도록 높이를 조절해야 되는데, 이때 상기 승강장치(56)(도7참조)의 핸들(72)을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축(68)은 정,역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피니언(66)에 치차 결합된 래크(64)를 승강패널(34)(도3참조)과 함께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따라서 상기 승강패널(34)은 베이스패널(54)상에서 수직으로 결합된 안내봉(60)과 함께 상승 또는 하강하여 상기 척(10)(도9참조)에 물려져 있는 공구(8)를 가공 위치점으로 이송시킨다.
이때 상기 승강패널(34)(도2참조)에 설치된 승강헤드(92)가 승강스케일바아(94)를 통하여 승강패널(34)의 이동거리를 읽어 제어부(100)에 정보를 전달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100)는 승강패널(34)의 이동거리를 표시부(102)에 나타내게 되는데, 이때 상기 승강패널의 이동거리가 공구(8)의 이송거리가 된다.
상기와 같이 승강패널(34)을 이동시킬 때 안내봉(60)과 래크(64) 하단부에 형성된 각각의 스토퍼(58,62)가 베이스패널(54) 저면에 도달하면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고, 상기 승강패널(34)이 기어박스(70)에 도달하면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하고 정지하게 된다.
상기 이후로 공구(8)(도9참조)의 선단부가 가공 위치점에 밀착할 수 있도록 Y축이송장치(36)(도6참조)의 핸들(48)을 우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Y축나사봉(46)은 회전하면서 나사 결합된 고정블록(44)상에서 전진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Y축나사봉(46) 후미에 결합된 러그(50)가 상부에 결합된 Y축패널(14)(도3참조)을 이동 방향으로 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Y축패널(14)은 저면에 결합된 이동블록(42)과 함께 Y축레일(40)상에서 Y축 방향으로 전진하여 척(10)(도9참조)에 물려져 있는 공구(8) 선단부가 가공위치점에 도달되게 한다.
이때 상기 Y축패널(14)(도2참조)에 설치된 Y축스케일바아(88)의 이동거리를 Y축헤드(86)가 읽어 제어부(100)에 정보를 전달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100)는 Y축패널(14)의 이동거리를 표시부(102)에 나타내게 되는데, 이때 상기 Y축패널(14)의 이동거리가 공구(8)의 이송거리가 된다.
상기와 같이 Y축패널(14)을 이동시킬 때 Y축레일(40)의 양단부에 결합된 스토퍼(38)에 이동블록(42)이 도달하면 더 이상 Y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정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공구(8)(도9참조)의 가공 위치점을 조정한 후에, 상기 X축패널(12)(도4참조)에 결합된 고정나사(32)와, 베이스패널(54)(도7참조)에 설치된 지지대(74)에 체결되는 고정나사(76)를 각각 조임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X축나사봉(26)(도5참조)과, 축(68)(도7참조)이 각각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되어 있게 한 다.
따라서 상기 X축패널(12)(도2참조)과, 승강패널(34)은 조정된 위치에 고정되어 있게 된다.
상기 이후로 제어부(100)(도2참조)에 설치된 스위치를 온 시키고 드릴작업, 탭작업, 앤드밀 작업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에 이미 입력된 가공물(97)(도9참조)의 가공특성에 따른 모터(2)의 표준속도가 설정되어 있어서, 상기 모터(2)를 표준속도로 작동시켜 벨트(7)를 통해 척(10)에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공구(8)가 드릴 및 탭일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Y축이송장치(36)(도3참조)의 핸들(48)을 회전시켜 Y축패널(14)을 전진시키면, 상기 Y축패널(14)은 척(10)과 함께 전진하면서 공구(드릴 또는 탭)(8)(도9참조)가 가공 위치점에서 소정의 깊이까지 가공하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표시부(102)(도2참조)에 나타난 공구(8)의 이송거리를 보면서 Y축이송장치(36)의 핸들(48)을 회전시켜 가공을 완료한다.
상기와는 달리 앤드밀작업을 실시하게 될 경우에, Y축패널(14)(도5참조)에 결합된 고정나사(52)는 조이고 X축패널(12)(도4참조)에 결합된 고정나사(32)는 풀어 고정력을 해지한다.
이후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X축이송장치(16)(도2참조)의 핸들(28)을 회전시켜 X축패널(12)을 좌,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X축패널(12)은 척(10)과 함께 이동하면서 공구(앤드밀)(8)를 이동시켜 앤드밀 작업을 실시하게 되는데, 이때 작 업자는 표시부(102)에 나타난 공구(8)의 좌,우측 이송거리를 확인하면서 X축이송장치(16)의 핸들(28)을 회전시켜 가공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가공작업을 완료한 후에는 가공물(97)(도9참조)을 지그패널(98)로부터 분리하고, 새로운 가공물(97)을 지그패널(98)에 설치한 다음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작업을 진행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밀링에서 가공하지 못하는 폭 넓은 패널을 지그패널(98)상에 올려 놓고 공구(8)를 통하여 측면에 대해 드릴작업, 탭작업, 앤드밀작업 등을 다양하게 할 수 있으므로 범용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다른 효과로는 공구(8)의 작업 위치를 수동으로 조정하여 가공작업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제작비용을 저렴화할 수 있다.
또 다른 효과로는 공구(8)의 이송거리를 X,Y축리니어스케일(78,84)과 승강리니어스케일(90)로 체크 하면서 가공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정밀도와 작업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된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2)와,
    상기 모터(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척(10)과,
    상기 모터(2)와 척(10)을 상부에 장착한 X축패널(12)과,
    상기 X축패널(12) 아래에 이격 설치되는 Y축패널(14)과,
    상기 Y축패널(14) 상부에 설치되어 X축패널(12)을 X축 방향으로 전,후진시키는 X축이송장치(16)와,
    상기 Y축패널(14) 아래에 설치되어 Y축패널(14)을 Y축 방향으로 전,후진시키는 Y축이송장치(36)와,
    상기 Y축이송장치(36)와 가공물(97)을 고정 시킬 수 있게 한 지그패널(98)을 상부에 각각 설치하는 베드프레임(96)으로 구성되고, 상기 Y축패널(14) 아래에는 Y축이송장치(36)를 상부에 장착한 승강패널(34)이 이격 설치되고, 상기 승강패널(34) 아래에는 승강패널(34)을 상,하로 작동시키는 승강장치(56)가 설치되며, 상기 승강장치(56)는 베이스패널(54)상에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패널(54)은 베드프레임(96)상에 설치되는 드릴링 머시인에 있어서,
    상기 X축이송장치(16)는,
    X축패널(12) 저면에 고정 설치되면서 X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X축레일(20)과,
    상기 X축레일(20)을 미끄럼 결합하면서 Y축패널(14)상에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블록(22)과, 상기 가이드블록(22) 사이에 위치하면서 Y축패널(14)상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블록(24)과, 상기 고정블록(24)에 나사 결합 되면서 X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X축나사봉(26)과, 상기 X축나사봉(26) 후단부에 결합 되는 핸들(28)과, 상기 X축나사봉(26) 후미에 결합 되면서 X축패널(12) 저면에 고정 설치되는 러그(30)로 구성되고,
    상기 Y축이송장치(36)는,
    승강패널(34)상에 고정 설치되면서 Y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Y축레일(40)과,
    상기 Y축레일(40)상에 미끄럼 결합 되면서 Y축패널(14) 저면에 고정 설치되는 이동블록(42)과, 상기 이동블록(42) 사이에 배치되면서 승강패널(34)상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블록(44)과, 상기 고정블록(44)에 나사 결합 되면서 Y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Y축나사봉(46)과, 상기 Y축나사봉(46) 후단부에 결합 되는 핸들(48)과, 상기 Y축나사봉(46) 후미에 결합 되면서 Y축패널(14) 저면에 고정 설치되는 러그(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링 머시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56)는
    베이스패널(54)에 수직으로 관통하여 미끄럼 결합 되면서 상단부를 승강패널(34)에 고정 설치하는 안내봉(60)과,
    상기 베이스패널(54)에 수직으로 관통하여 결합 되면서 상단부를 승강패널(34)에 고정 설치하는 래크(64)와,
    상기 래크(64)와 치차 결합하는 피니언(66)을 구비하면서 베이스패널(54)상에 회전 가능하게 수평으로 설치되는 축(68)과,
    상기 축(68) 후단부에 결합 되는 핸들(72)과,
    상기 축(68) 후미에 결합 되면서 베이스패널(54)상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대(7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링 머시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X축패널(12)에는 저면에 위치한 X축나사봉(26)의 회전을 단속하는 고정나사(32)가 설치되고,
    상기 Y축패널(14)에는 저면에 위치한 Y축나사봉(46)의 회전을 단속하는 고정나사(52)가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패널(54)에 설치된 지지대(74)에는 축(68)의 회전을 단속하는 고정나사(76)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링 머시인.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Y축패널(14)에 X축패널(12)의 이동거리를 체크 하는 X축리니어스케일(78)이 설치되고, 상기 승강패널(34)에는 Y축패널(14)의 이동거리를 체크 하는 Y축리니어스케일(84)과 승강패널(34)의 승강거리를 체크하는 승강리니어스케일(90)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X축리니어스케일(78)과 Y축리니어스케일(84)과 승강리니어스케일(90)과 모터(2)에는 제어부(100)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100)에 표시부(102)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드릴링 머시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0)에 모터회전속도조절부를 연결하여 가공물(97)의 작업조건에 따라서 모터(2)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링 머시인.
KR1020060031446A 2006-04-06 2006-04-06 드릴링 머시인 KR100685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1446A KR100685464B1 (ko) 2006-04-06 2006-04-06 드릴링 머시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1446A KR100685464B1 (ko) 2006-04-06 2006-04-06 드릴링 머시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5464B1 true KR100685464B1 (ko) 2007-02-26

Family

ID=38104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1446A KR100685464B1 (ko) 2006-04-06 2006-04-06 드릴링 머시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54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89205A (zh) * 2017-12-30 2018-06-22 佛山市南海鑫隆机工机械有限公司 一种打孔机
KR102185906B1 (ko) * 2020-08-11 2020-12-02 김영수 구멍가공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6408A (ja) * 1991-08-07 1994-04-19 Kawaju Tekko Koji Kk ボックス柱の組立ライン用孔あけ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6408A (ja) * 1991-08-07 1994-04-19 Kawaju Tekko Koji Kk ボックス柱の組立ライン用孔あけ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89205A (zh) * 2017-12-30 2018-06-22 佛山市南海鑫隆机工机械有限公司 一种打孔机
CN108189205B (zh) * 2017-12-30 2024-04-09 佛山市南海鑫隆机工机械有限公司 一种打孔机
KR102185906B1 (ko) * 2020-08-11 2020-12-02 김영수 구멍가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2762B1 (ko) 수평식 자동 가공기
CN103084931B (zh) 一种双主轴卧式复合加工中心
CN112276574B (zh) 缝纫机零件加工用钻攻铣加工装置及加工方法
CN202162413U (zh) 一种数控高速打孔机
KR100685464B1 (ko) 드릴링 머시인
CN212551910U (zh) 一种数控铣床的定位装置
KR100910590B1 (ko) 양방향 이동이 가능한 다목적 조각기
CN117206912A (zh) 一种深孔钻设备
CN210451047U (zh) 罐式集装箱端框自动钻孔工作站
CN110434937A (zh) 一种封边机用上下表面及侧面开槽装置
CN212761565U (zh) 一种基于视觉定位的板材自动攻丝机
CN215239199U (zh) 一种车铣复合加工生产线
CN208467327U (zh) 一种双头钻攻机床
CN116900350B (zh) 一种用于机械制造的自动化钻孔设备及其使用方法
CN203804570U (zh) 一种cnc加工中心的升降台装置
CN216608222U (zh) 一种可调节钻攻中心
CN211414325U (zh) 一种便于调节工件角度的铣床工作台
CN210524429U (zh) 大直径轧辊端盖加工设备
CN221715714U (zh) 一种便于连续加工的数控铣床
CN214720875U (zh) 一种法兰箱支架平面度精铣装置
CN221435637U (zh) 一种便于移动的摇臂钻床
CN221246970U (zh) 一种高产率新型数控车床
CN219521481U (zh) 一种便于控制进给深度的钻孔攻牙机
CN221603760U (zh) 一种深孔钻设备
CN220533096U (zh) 一种台式数控切割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