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1464A - T 형강 위치정렬 장치 - Google Patents

T 형강 위치정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1464A
KR20180071464A KR1020160173834A KR20160173834A KR20180071464A KR 20180071464 A KR20180071464 A KR 20180071464A KR 1020160173834 A KR1020160173834 A KR 1020160173834A KR 20160173834 A KR20160173834 A KR 20160173834A KR 20180071464 A KR20180071464 A KR 20180071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flange
arm
plate
shaped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3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9915B1 (ko
Inventor
공경열
장경진
박성진
공한영
Original Assignee
기득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득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득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3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9915B1/ko
Publication of KR20180071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1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08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for plana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52Orientable fix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7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moving work to adjust its position betwee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65G47/28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during transit by a single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 형강 위치정렬 장치(1)는 다양한 말단 형상을 가지는 T 형강의 웹(W)의 말단부와, 플랜지(F)의 말단부를 정렬하여 상기 웹(W)와 플랜지(F)의 정확한 용접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 상기 웹(W)의 말단 형상에 대한 제한 없이 정확한 정렬이 가능하며 T 형강의 용이한 위치정렬에 따른 용접을 수행하여 완성품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활용의 유연성을 도모함과 동시에 노동력 절감 및 단기간에 T 형강 대량 생산에 따른 경제성 상승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T 형강 위치정렬 장치(1)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T 형강 위치정렬 장치{T-BAR ARRANGING APPARATU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 형강 위치정렬 장치(1)는 다양한 말단 형상을 가지는 T 형강의 웹(W)의 말단부와, 플랜지(F)의 말단부를 정렬하여 상기 웹(W)와 플랜지(F)의 정확한 용접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 상기 웹(W)의 말단 형상에 대한 제한 없이 정확한 정렬이 가능하며 T 형강의 용이한 위치정렬에 따른 용접을 수행하여 완성품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활용의 유연성을 도모함과 동시에 노동력 절감 및 단기간에 T 형강 대량 생산에 따른 경제성 상승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T 형강 위치정렬 장치(1)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T 형강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다양의 말단 형상을 가지는 웹부를 구비하는 T 형강의 사시도이다.
T 형강이란 T 자형 단면을 가진 형강으로서 기둥 보 인장 접합용의 피스 등에 사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T 형강은 플랜지(F)와 웹(W)으로 이루어진다. T 형강을 제작하는 방법으로는, 플랜지(F)를 수평으로 정렬해 놓고, 정렬된 플랜지(F)의 길이방향 중심을 따라서 웹(W)을 수직으로 배치하고 용접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T 형강 웹(W)의 말단 측은 플랜지(F)와 연직(도 2(b) 참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그 수요에 따라 상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됨에 따라 넓어지는 형상 또는 좁아지는 형상 등으로, 다양한 각도를 가지는 형상으로 설계 및 형성될 수 있다(도 2(b) 및 2(c) 참조).
이 경우, 일반적인 용접 장치에 구비되는, 플랜지와 연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스토퍼부에 의한다면 다양한 말단 형상을 가지는 웹(W)의 용접을 위한 정확한 위치 정렬이 곤란한 경우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상기 웹(W)의 말단 측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됨에 따라 좁아지는 형상으로 설계된 경우, 상기 웹(W) 말단 측의 최하단이 연직 방향의 스토퍼와 접촉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웹(W)의 정확한 위치정렬이 비용이하고, 그에 따라 상기 웹(W)과 플랜지(F)의 용이한 위치정렬 역시 불가능하므로, 작업자가 인위적으로 위치정렬을 하는 수밖에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64541호는 선박용 티바의 용접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지면과 수평한 회전운동축을 가지는 이송 롤러와 지면과 수직인 회전운동축을 가지는 다수의 플레이트 센터링 롤러를 포함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상면에서 서로 대향된 한 쌍으로 마련되고 각각에는 지면과 수직인 회전운동축을 가지는 다수의 웹 센터링 롤러 및 그 하단부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고 지면과 수평인 회전운동축을 가지는 플레이트 푸쉬 롤러가 구비되는 센터링 프레임부와, 상기 센터링 프레임부의 측면에 마련되는 용접부로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다만, 상기 등록특허는, 전술한 일반적인 용접 장치와 같이, 스토퍼(400)가 유압 실린더(410)에 의하여 연직 방향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한 정렬핀(420)을 구비하여, 정렬핀(420)을 상승시키고, 인입되는 플레이트(10)의 말단부가 상기 정렬핀(420)에 닿을 때까지 관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다양한 말단 형상을 가지는 웹(W)에 대한 정확하고 용이한 위치정렬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다양한 경사를 가진 말단 형상으로 설계되는 T 형강의 용이한 위치정렬을 가능하게 하는 T 형강 위치정렬 장치에 대한 요구가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64541호 "선박용 티바의 용접장치"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T 형강 웹의 말단 형상에 대한 제약 없이, 다양한 말단 형상을 가지는 웹에 모두 적용 가능하여 상기 웹과 플랜지가 정 위치에 정렬되도록 하여 그 활용의 유연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T 형강 위치정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T 형강 웹의 말단 형상에 대한 제약 없이, 다양한 말단 형상을 가지는 웹에 모두 적용 가능하여 상기 웹과 플랜지가 정 위치에 정렬되도록 하는 웹 이송제한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웹과 플랜지의 정확한 위치에 용접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T 형강 위치정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웹 이송제한모듈을 통하여 다양한 웹의 형상을 가지는 T 형강의 용이하고 정확한 위치정렬을 도모하여 노동력 절감 및 단기간 대량 생산에 따른 경제성 상승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T 형강 위치정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정렬된 웹에 대한 플랜지의 용이한 위치정렬이 가능하도록 이송부에 의하여 함께 이송되는 웹과 플랜지의 접촉 및 접촉을 해제하는 플랜지 승하강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웹의 말단과 플랜지 말단의 위치를 정확하게 정렬하도록 하는 T 형강 위치정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되는 T 형강의 말단과 상호 대향하도록 위치하여 상기 웹의 말단 측과 접촉하고 상기 웹의 전진 이송으로 수평방향의 회전축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헤드부를 포함하여 상기 헤드부가 웹의 말단 형상에 대응되도록 회전하여 웹의 정확한 위치정렬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T 형강 위치정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촉 플레이트 상에 2 개 이상 구비되어 웹의 말단 측과 헤드부의 접촉을 인지하여 이송부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제어부에 신호를 송신하는 센서부를 통해 상기 웹의 이송을 중단하여 다양한 말단 형상을 가지는 웹의 위치정렬을 자동적으로 수행하여 정확하고 용이한 위치정렬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T 형강 위치정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센서가 위치하는 접촉 플레이트의 중심 종축을 상기 플랜지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포함하는 수직한 평면 상에 포함되도록 하여 좁을 폭을 가지는 플랜지의 용이한 위치정렬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T 형강 위치정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헤드부와 결합하는 회전 암이 수직방향의 회전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하여 상기 헤드부의 용이한 위치정렬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T 형강 위치정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 암의 타단과 결합하는 회전구동부를 통해 상기 회전 암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헤드부의 위치정렬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T 형강 위치정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랜지 승하강모듈이 플랜지의 배면을 가압하여 상기 플랜지를 밀어올리는 승하강 판과, 상기 승하강 판의 배면을 밀어내어 승하강을 가이드 하는 승하강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위치정렬된 웹의 말단과 플랜지 말단의 용이한 정렬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T 형강 위치정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호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된 푸시수단을 통해 플랜지의 양 측을 밀어주어 상기 플랜지를 견고하게 파지하여 용이한 용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T 형강 위치정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T 형강 위치정렬 장치는 다양한 말단 형상을 가지는 T 형강의 웹의 이송을 제한하여 상기 웹의 말단 형상에 제한됨이 없이 상기 웹을 정 위치에 정렬될 수 있도록 하는 웹 이송제한모듈과, 상기 웹의 말단과 플랜지 말단의 위치를 정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위치정렬이 종료된 상기 웹으로부터 플랜지의 접촉을 해제하는 플랜지 승하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T 형강 위치정렬 장치의 상기 웹 이송제한모듈은 상기 접촉 플레이트 상에 구비되어 상기 웹의 말단 측과 헤드부의 접촉을 인지하여 제어부에 신호를 송신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T 형강 위치정렬 장치의 상기 웹 이송제한모듈은 상기 T 형강의 말단과 상호 대향하도록 위치하여 전면이 이송되는 상기 웹의 말단 측과 접촉하는 접촉 플레이트와, 상기 접촉 플레이트의 배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결합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웹의 전진 이송으로 수평방향의 회전축을 통하여 상기 접촉 플레이트가 소정의 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헤드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T 형강 위치정렬 장치의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접촉 플레이트의 중심 종축을 따라 형성되는 제 1 센서 그리고 제 2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T 형강 위치정렬 장치의 상기 제 1 센서와 제 2 센서가 위치하는 접촉 플레이트의 중심 종축은 상기 플랜지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포함하는 수직 평면 상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T 형강 위치정렬 장치의 상기 웹 이송제한모듈은 수직방향의 회전축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결합 플레이트 내에 수용되며 상기 결합 플레이트와 결합하여 상기 헤드부를 상기 장치의 정 위치에 정렬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 암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T 형강 위치정렬 장치의 상기 회전 암은 제 1 결합 핀의 수평 방향 삽입에 의하여 상기 결합 플레이트와 힌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T 형강 위치정렬 장치의 상기 웹 이송제한모듈은 상기 위치정렬 장치의 일 측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회전 암이 회전 가능하도록 일단이 상기 회전 암과 결합하는 암 고정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T 형강 위치정렬 장치의 상기 암 고정부는 제 2 결합 핀의 수직 방향 삽입에 의하여 상기 회전 암과 힌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T 형강 위치정렬 장치의 상기 웹 이송제한모듈은 일단이 상기 회전 암의 타단과 결합하여 상기 회전 암에 대하여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회전 암이 수직방향의 회전축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헤드부를 상기 장치의 정 위치에 정렬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구동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T 형강 위치정렬 장치의 상기 플랜지 승하강모듈은 상기 플랜지의 배면을 가압하여 상기 플랜지를 밀어올리는 승하강 판과, 상기 승하강 판의 배면을 밀어내어 승하강을 가이드 하는 승하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T 형강 위치정렬 장치는 상기 플랜지를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플랜지 상에 배치된 웹이 상기 플랜지의 중심에 수직으로 정렬될 수 있도록, 상기 플랜지의 이송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된 웹 정렬모듈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T 형강 위치정렬 장치의 상기 웹 정렬모듈은 상기 웹이 그 사이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호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되며 수직방향의 회전축을 가지는 한 쌍의 푸시롤러와, 상기 한 쌍의 푸시롤러 사이에 배치된 웹이 상기 플랜지의 중심에 수직으로 정렬될 수 있도록 상기 푸시롤러를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시켜주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T 형강 위치정렬 장치는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된 한 쌍의 푸시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한 쌍의 푸시수단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어 상기 푸시수단에 의해 플랜지가 파지되도록 하는 플랜지 정렬모듈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T 형강 위치정렬 장치의 상기 회전 암은 암 상부판과, 상기 암 상부판과 하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암 하부판과, 상기 암 상하부판의 말단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면과, 상기 연결면의 일 측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절곡부를 포함하여 상기 이격 공간 내에 회전구동부의 일단을 수용하며 상호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T 형강 위치정렬 장치의 상기 암 고정부는 고정상부판과, 상기 고정상부판과 하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고정하부판을 포함하여 상기 이격 공간 내에 회전 암의 말단 측을 수용하여 상기 회전 암과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T 형강 위치정렬 장치의 상기 절곡부는 상기 한 쌍의 결합 플레이트 내에 수용되며 일측에 형성된 제 2 암-플레이트 결합공을 통하여 결합 플레이트의 제 1 암-플레이트 결합공 및 상기 제 2 암-플레이트 결합공에 제 1 결합핀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T 형강 위치정렬 장치의 상기 회전 암은 상기 헤드부와의 결합 측 반대편 말단 측에 형성된 제 1 암-고정 결합공을 통하여 상기 암 고정부의 제 2 암-고정 결합공 및 상기 제 2 암-고정 결합공에 제 2 결합핀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구성 및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실시예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T 형강 웹의 말단 형상에 대한 제약 없이, 다양한 말단 형상을 가지는 웹에 모두 적용 가능하여 상기 웹과 플랜지가 정 위치에 정렬되도록 하여 그 활용의 유연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T 형강 웹의 말단 형상에 대한 제약 없이, 다양한 말단 형상을 가지는 웹에 모두 적용 가능하여 상기 웹과 플랜지가 정 위치에 정렬되도록 하는 웹 이송제한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웹과 플랜지의 정확한 위치에 용접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웹 이송제한모듈을 통하여 다양한 웹의 형상을 가지는 T 형강의 용이하고 정확한 위치정렬을 도모하여 노동력 절감 및 단기간 대량 생산에 따른 경제성 상승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도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정렬된 웹에 대한 플랜지의 용이한 위치정렬이 가능하도록 이송부에 의하여 함께 이송되는 웹과 플랜지의 접촉 및 접촉을 해제하는 플랜지 승하강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웹의 말단과 플랜지 말단의 위치를 정확하게 정렬하도록 하는 효과가 발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되는 T 형강의 말단과 상호 대향하도록 위치하여 상기 웹의 말단 측과 접촉하고 상기 웹의 전진 이송으로 수평방향의 회전축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헤드부를 포함하여 상기 헤드부가 웹의 말단 형상에 대응되도록 회전하여 웹의 정확한 위치정렬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보인다.
또한, 본 발명은 접촉 플레이트 상에 2 개 이상 구비되어 웹의 말단 측과 헤드부의 접촉을 인지하여 이송부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제어부에 신호를 송신하는 센서부를 통해 상기 웹의 이송을 중단하여 다양한 말단 형상을 가지는 웹의 위치정렬을 자동적으로 수행하여 정확하고 용이한 위치정렬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도출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센서가 위치하는 접촉 플레이트의 중심 종축을 상기 플랜지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포함하는 수직한 평면 상에 포함되도록 하여 좁을 폭을 가지는 플랜지의 용이한 위치정렬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헤드부와 결합하는 회전 암이 수직방향의 회전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하여 상기 헤드부의 용이한 위치정렬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 암의 타단과 결합하는 회전구동부를 통해 상기 회전 암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헤드부의 위치정렬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도출된다.
또한, 본 발명은 플랜지 승하강모듈이 플랜지의 배면을 가압하여 상기 플랜지를 밀어올리는 승하강 판과, 상기 승하강 판의 배면을 밀어내어 승하강을 가이드 하는 승하강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위치정렬된 웹의 말단과 플랜지 말단의 용이한 정렬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호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된 푸시수단을 통해 플랜지의 양 측을 밀어주어 상기 플랜지를 견고하게 파지하여 용이한 용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보인다.
도 1은 T 형강의 단면도
도 2는 다양의 말단 형상을 가지는 웹부를 구비하는 T 형강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 형강 위치정렬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위치정렬 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형강 정렬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T형강 정렬장치에 포함된 플랜지 정렬모듈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a-a'부분의 단면도
도 8 및 9는 도 6의 플랜지 정렬모듈의 작동 실시예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T 형강 위치정렬 장치에서 도 6의 플랜지 정렬모듈이 배치되는 사용상태도
도 11은 도 10과 같이 플랜지 정렬모듈이 배치된 상태에서 T 형강의 플랜지 정렬이 이루어지는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12 및 13은 도 9의 T 형강 위치정렬 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14는 도 3에 따른 웹 이송제한모듈의 사시도
도 15는 도 14에 따른 웹 이송제한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16은 도 3에 따른 플랜지 승하강모듈을 포함하는 위치정렬 장치의 단면도
도 17 내지 도 21은 웹 이송제한모듈 및 플랜지 승하강모듈의 작동에 따른 T 형강 위치정렬 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22는 웹의 전진 이송에 따른 헤드부의 회전을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T 형강 위치정렬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 형강 위치정렬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위치정렬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 형강 위치정렬 장치(1)는 다양한 말단 형상을 가지는 T 형강의 웹(W)의 말단부와, 플랜지(F)의 말단부를 정렬하여 상기 웹(W)와 플랜지(F)의 정확한 용접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 상기 웹(W)의 말단 형상에 대한 제한 없이 정확한 정렬이 가능하며 T 형강의 용이한 위치정렬에 따른 용접을 수행하여 완성품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활용의 유연성을 도모함과 동시에 노동력 절감 및 단기간에 T 형강 대량 생산에 따른 경제성 상승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T 형강 위치정렬 장치(1)에 관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T 형강 위치정렬장치는, 플랜지 정렬모듈(1), 이송부(3), 웹 정렬모듈(5), 웹 이송제한모듈(7) 및 플랜지 승하강모듈(9)을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형강 정렬장치의 사시도인 바,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플랜지 정렬모듈, 이송부 및 웹 이송제한모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에는 상기 플랜지 정렬모듈(1)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를 참조하면, 상기 플랜지 정렬모듈(1)은 한 쌍의 푸시수단(11), 상기 한 쌍의 푸시수단(11) 사이에 배치된 거리조절수단(13) 및 상기 거리조절수단(13)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수단(15)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한 쌍의 푸시수단(11)은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된 상태에서 사이에 배치되는 플랜지(F)의 양측을 밀어 정렬이 이루어지도록 해주는 부분이다. 상기 푸시수단(11)은 수직방향의 회전축을 가지고 결합된 롤러(111), 내측 및 외측으로 경로를 가이드 해주는 슬라이딩 가이드(113)와,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113) 상에서 내측 및 외측으로 이동하되 상부에 상기 롤러(111)가 결합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115)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에서 내측이란 상기 한 쌍의 롤러(111)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을 의미하고, 외측이란 상기 한 쌍의 롤러(111)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하며, 이하에서도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상기 롤러(111)는 상기 플랜지(F)의 이송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축을 가지고 설치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롤러(111)는 상기 플랜지(F)의 양측을 밀어주는 역할 뿐만 아니라 상기 플랜지(F)의 이송을 가이드하여 주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는 도 6의 a-a'부분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를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113)는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115)가 상측으로 이탈되지 않고 내측 및 외측으로 활주하도록 해주는 가이드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115)는 상기 롤러(111)가 상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113)를 따라 내측 및 외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롤러(111)가 상기 플랜지(F)를 밀어주며 정렬할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거리조절수단(13)은 상기 한 쌍의 푸시수단(11)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상기 거리조절수단(13)은 상기 한 쌍의 푸시수단(11)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줌으로써 상기 한 쌍의 푸시수단(11)에 의해 소정의 폭을 가지는 플랜지가 파지되도록 해준다.
플랜지(F)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따라 수직으로 결합되는 웹(W)은 긴 길이를 가지는 강재로서 그 무게가 상당하므로 이를 수직으로 세운 상태로 움직이면서 정확히 정렬시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따라서, 효율적인 정렬을 위해서는 웹(W)을 많이 움직이지 않고도 정확한 정렬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가공라인에 플랜지(F)가 정확하게 정렬되는 것이 전제되어야 한다. 따라서 웹(W)이 결합되는 플랜지(F)의 길이방향 중심선이 항상 가공라인의 일정한 지점에 배치될 수 있게 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거리조절수단(13)은 상기 한 쌍의 푸시수단(11) 중 어느 하나가 내측 또는 외측으로 힘을 받을 경우 나머지 하나도 내측 또는 외측으로 힘을 받도록 상기 한 쌍의 푸시수단(11)을 상호 연결시켜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거리조절수단(13)은 상기 한 쌍의 푸시수단(11) 중 어느 하나에 작용하는 힘을 상기 한 쌍의 푸시수단(11)에 균등하게 분산시켜주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유압실린더를 구동력 제공수단으로 사용하는 통상적인 경우에 있어, 상기 한 쌍의 푸시수단(11)이 각각 독립적으로 내측이나 외측으로 작용하는 힘을 받을 경우 상기 한 쌍의 푸시수단(11) 사이에 놓여지는 플랜지(F)의 양측에 동시에 균일한 힘을 전달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상기 거리조절수단(13)이 상기 한 쌍의 푸시수단(11) 중 어느 하나가 받는 내측 또는 외측으로의 힘을 나머지 하나의 푸시수단(11)에 균등하게 전달하여 주게 되면, 상기 한 쌍의 푸시수단(11)은 상호 간의 거리가 조절될 때 각각 등거리를 이동하는 것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거리조절수단(13)이 상기 한 쌍의 푸시수단(11) 중 어느 하나에 내측 또는 외측으로 작용하는 힘을 나머지 하나의 푸시수단(11)에 균등하게 배분하도록 구성될 경우, 상기 플랜지 정렬모듈(1)을 상기 플랜지(F)의 이송방향을 따라 일렬로 정렬 배치하되 각 상기 한 쌍의 푸시수단(11) 사이의 중점이 일직선 상에 놓여지도록 배치함으로써 일렬로 정렬 배치된 플랜지 정렬모듈(1)에 포함된 각 상기 한 쌍의 푸시수단(11)들이 동시에 내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플랜지(F)의 길이방향으로의 중심선이 각 상기 한 쌍의 푸시수단(11) 사이의 중점을 연결한 일직선 상이 놓이도록 정렬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위의 실시예에서 상기 거리조절수단(13)은 접철식으로 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거리조절수단(13)은, 상기 한 쌍의 푸시수단(11) 사이에 양단부가 거동 가능하도록 고정축(131)에 결합된 축고정암(133)과, 상기 한 쌍의 푸시수단(11)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축고정암(133)에 직·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푸시수단(11)을 상호 연결하여 주는 연결암(135)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고정축(131)은 상기 한 쌍의 푸시수단(11) 사이의 중점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T 형강 위치정렬 장치에서 상기 플랜지 정렬모듈(1)을 상기 플랜지(F)의 이송방향으로 따라 일렬로 정렬 배치할 때 각 상기 고정축(131)을 연결한 직선이 센터라인이 되도록 할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은 정렬효율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축고정암(133)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한 쌍의 푸시수단(11) 사이의 중간 지점에 그 중앙부가 수직축으로 형성된 고정축(131) 상에 고정되어 X자형으로 펼쳐지고 접혀질 수 있도록 포개어져 결합되어 있다. 상기 축고정암(133)은 상기 고정축(131)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내측 또는 외측으로 힘이 작용할 때 축고정 되어 있는 상태에서 X자형으로 펼쳐지고 접히는 형태로 작동한다.
상기 연결암(135)은 상기 축고정암(133)의 양측으로 대칭을 이루며 연결되어 있는데, 그 일단이 상기 축고정암(133)의 단부에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암(135)은 상기 축고정암(133)의 양측에 한 쌍씩 존재하는데, 한 쌍의 연결암(135)의 일단들은 자신들의 외측에 배치된 푸시수단(11)에 형성된 고정축에 포개어져 결합되어 있으며, 개개의 연결암(135)은 일단이 상기 축고정암(133)의 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있다.
상기 구동수단(15)은 상기 거리조절수단(13)이 접철 가능하도록 해주는 동력을 제공하는 부분이다. 상기 구동수단(15)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도 3에서는 상기 한 쌍의 푸시수단(11) 중 어느 하나에 내측 및 외측 방향의 힘을 스트로크(151)에 의해 전달하도록 설치된 유압실린더(153)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구동수단(15)은 상기 한 쌍의 푸시수단(11) 중 어느 하나에 내측 또는 외측으로의 구동력을 전달하여 주게 되어 있으며, 구동력은 상기 거리조절수단(13)을 통해 나머지 하나의 푸시수단(11)에도 균일하게 배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푸시수단(11)이 각각 독립적으로 내측 또는 외측으로 작용하는 힘을 받을 경우 상기 한 쌍의 푸시수단(11) 사이에 놓여지는 플랜지(F)의 양측에 동시에 균일한 힘을 전달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상기 플랜지(F)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가공라인의 센터라인에 맞추는 것이 어려워지는데, 본 발명은 상기 구동수단(15)이 상기 한 쌍의 푸시수단(11) 중 어느 하나에만 구동력을 직접 전달하면, 나머지 하나의 푸시수단(11)이 상기 거리조절수단(13)을 통해 이를 균등하게 배분받도록 함으로써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였다.
도 8 및 9를 참조하면, 도 5의 플랜지 정렬모듈(1)의 작동 실시예를 확인할 수 있다.
우선, 도 8의 (a)에서와 같이 상기 한 쌍의 푸시수단(11) 중 어느 하나의 슬라이딩 플레이트(115)에 내측으로의 이동력이 가해지면, 도 8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축(131)에 고정된 축고정암(133)과 그 양측에 대칭을 이루며 연결된 연결암(135)을 포함하여 접철식으로 구성된 거리조절수단(13)이 나머지 하나의 푸시수단(11)에 포함된 슬라이딩 플레이트(115)에도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력을 제공한다. 그 결과 상기 한 쌍의 푸시수단(11)이 동시에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9의 (a)에서와 같이 상기 한 쌍의 푸시수단(11) 중 어느 하나의 슬라이딩 플레이트(115)에 외측으로의 이동력이 가해지면, 도 9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축(131)에 고정된 축고정암(133)과 그 양측에 대칭을 이루며 연결된 연결암(135)을 포함하여 접철식으로 구성된 거리조절수단(13)이 나머지 하나의 푸시수단(11)에 포함된 슬라이딩 플레이트(115)에도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력을 제공한다. 그 결과 상기 한 쌍의 푸시수단(11)은 동시에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T 형강 위치정렬 장치에서 도 5의 플랜지 정렬모듈이 배치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가 나타나 있고, 도 11에는 도 10과 같이 플랜지 정렬모듈이 배치된 상태에서 T 형강의 플랜지 정렬이 이루어지는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T 형강 위치정렬 장치에서 상기 플랜지 정렬모듈(1)이 플랜지(F)의 이송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될 때, 상기 한 쌍의 푸시수단(11) 사이의 중점에 위치하는 고정축(131)을 연결한 선이 일직선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축(131)을 연결한 일직선이 가공라인의 센터라인이 되게 하면 본 발명의 T 형강 위치정렬 장치에서 일렬로 배치된 플랜지 정렬모듈(1)은 이송되는 플랜지(F)의 길이방향 중심이 상기 고정축(131) 위에 놓여지도록 상기 플랜지(F)를 양측에서 밀어줌으로써 플랜지(F)를 가공라인의 센터에 효율적으로 정렬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1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T 형강 위치정렬 장치에서 상기 플랜지 정렬모듈(1)에 의해 이루어지는 플랜지(F) 정렬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확인할 수 있다. 도 8에서 개개의 플랜지 정렬모듈(1)에 포함된 한 쌍의 푸시수단(11)들은 모두 일측에 배치된 하나의 푸시수단(11)이 내측으로의 구동력을 전달받게 되어 있고, 각 상기 거리조절수단(13)들은 이를 타측에 배치된 나머지 푸시수단(11)에 균일하게 배분하게 되어 있다. 그 결과 한 쌍의 푸시수단(11) 중 하나가 내측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나머지 하나도 내측을 향하여 등거리를 이동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1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플랜지(F)가 배치된 상태에서 개개의 플랜지 정렬모듈(1)에 포함된 한 쌍의 푸시수단(11)들의 일측에 배치된 푸시수단(11)들이 내측으로 구동력을 받아 움직이게 되면, 상기 거리조절수단(13)에 의해 타측에 배치된 푸시수단(11)들도 내측으로 구동력을 전달받아 움직이게 되며, 그 결과 도 11의 (b)에서와 같이 플랜지(F)가 정렬되게 된다. 이때, 일측에 배치된 푸시수단(11)들이 이동한 거리(d1)와 타측에 배치된 푸시수단(11)들이 이동한 거리(d2)는 동일하게 되며, 그 결과 상기 플랜지(F)는 상기 플랜지 정렬모듈(1)에 의해 정확하게 센터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3)는 상기 플랜지(F)를 이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이송부(3)는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이송 롤러(31), 상기 이송 롤러(31)에 회전구동력을 전달하는 체인(33) 및 구동력을 생성하여 상기 체인(33)에 전달하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웹 정렬모듈(5)은 상기 한 쌍의 푸시수단(11)에 의해 센터정렬이 이루어진 플랜지(F) 상에 배치된 웹(W)이 상기 플랜지(F)의 길이방향 중심에 수직으로 정렬될 수 있도록, 상기 플랜지(F)의 이송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된 모듈이다.
상기 웹 정렬모듈(5)은 상기 웹(W)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도록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되되 수직방향의 회전축을 가지고 배치된 한 쌍의 푸시롤러(51)와, 상기 한 쌍의 푸시롤러(51) 사이에 배치된 웹(W)이 상기 플랜지(F)의 중심에 수직으로 정렬될 수 있도록 상기 푸시롤러(51)를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시켜주는 구동부(53)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웹 정렬모듈(5)에 포함된 한 쌍의 푸시롤러(51) 중 하나에는 상기 푸시롤러(51)가 외측으로 일정 각도 젖혀질 수 있도록 해주는 폴딩부(55)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폴딩부(55)를 통해 상기 한 쌍의 푸시롤러(51) 중 하나가 외측으로 젖혀지게 되면, 상기 웹(W)을 본 발명의 T 형강 위치정렬 장치의 가공라인 상에 배치하는 데에 있어 공간이 확보될 수 있게 되는데, 상기 웹(W)이 배치되면,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폴딩부(55)가 내측으로 접히면서 이에 결합된 푸시롤러(51)가 상기 웹(W)의 정렬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웹 정렬모듈(5)은 상기 푸시롤러(51)의 양측에서 내측 방향의 일정 면적을 커버하여 상기 푸시롤러(51)가 상기 구동부(53)에 의해 일정 구간 내측으로 이동하기 전에는 상기 웹(W)과 접촉하는 것을 막아주는 커버부(57)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도 13을 보면, 상기 커버부(57)에 의해 가려져 있던 푸시롤러(51)가 상기 커버부(57)를 벗어나 상기 웹(W)의 일측을 가압하는 모습이 나타나 있는데,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57)는 상기 웹(W)이 본 발명의 T 형강 위치정렬 장치의 가공라인 상에 배치될 때 기울어짐을 방지하여 주는 지지부로서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수직으로 정렬되기 전에 상기 웹(W)이 일측으로 기울어져 상기 푸시롤러(51)에 지나친 하중을 가함으로써 상기 푸시롤러(51)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도 14는 도 3에 따른 웹 이송제한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에 따른 웹 이송제한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웹 이송제한모듈(7)은 다양한 말단 형상을 가지는 T 형강 웹(W)의 이송을 제한하여 상기 웹(W)의 말단 형상에 제한됨이 없이 정 위치에 정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를 위하여 헤드부(71), 센서부(73), 회전 암(75), 암 고정부(77)와, 회전구동부(7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부(71)는 상기 웹(W)의 말단 측과 접촉하여 상기 웹(W)의 진행에 따라 소정의 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구성이다. 상기 헤드부(71)는 후술할 회전 암(75)과 제 1 결합 핀(P1)의 수평 방향 삽입에 의하여 힌지 결합하여 지면과 수평한 회전축을 가진다. 또한, 상기 헤드부(71)는 그 단면 형상이 'Π' 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헤드부(71)는 전면이 상기 이송되는 웹(W)의 말단 측과 접촉하는 접촉 플레이트(711)와, 상기 접촉 플레이트(711)의 배면 측에 상기 플레이트(711)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바람직하게 대략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며 일정 거리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결합부(713)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헤드부(71)에 의하여 상기 웹(W)의 말단 측 형상이 일자형이 아닌, 상측에서 하측으로 좁아지는 경우 및/또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좁아지는 경우 상기 헤드부(71)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헤드부(71)의 접촉 플레이트(711)의 전 측이, 상기 웹(W)의 말단 측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작동 방식에 대한 설명은 하기에서 센서부(73)와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헤드부(71)의 접촉 플레이트(711)는 평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웹(W)의 말단 측과 용이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결합 플레이트(713)의 이격 공간 내에 후술할 회전 암(75)의 일단 측을 수용하고, 상기 한 쌍의 결합 플레이트(713)에 형성된 제 1 암-플레이트 결합공(h1-a)과 회전 암(75)에 형성된 제 2 암-플레이트 결합공(h1-b) 측에 상기 제 1 결합 핀(P1)을 결합하여 상기 헤드부(71)가 수직방향의 회전축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센서부(73)는 상기 웹(W)의 말단 측과 접촉하는 헤드부(71)의 접촉 플레이트(711) 상에 구비되어 상기 웹(W)의 말단 측과 헤드부(71)의 접촉을 인지하는 구성으로, 상기 접촉 플레이트(711)의 상단 측의 제 1 센서(73a)와 하단 측의 제 2 센서(73b)로, 2 개의 센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상기 예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상기 센서부(73)의 센서가 한 개 형성되는 경우, 다양한 말단 형상을 가지는 웹(W)의 위치 정렬이 비용이할 수 있으므로, 센서는 적어도 2 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웹(W)은 플랜지(F)와 대략 수직을 유지한 채 이송부(3)에 의하여 이송되기 때문에, 상기 제 1 센서(73a)와 제 2 센서(73b)는 상기 웹(W)의 말단 측과 용이한 접촉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접촉 플레이트(711)의 종축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접촉 플레이트(711)의 중심 종축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센서(73a, 73b)가 위치하는 상기 접촉 플레이트(711)의 중심 종축은 상기 플랜지(F)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포함하는, 지면과 수직한 평면 상에 포함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좁은 폭을 가지는 웹(W)이 이송부(3)의 전진에 의하여 상기 센서부(73)와 정확하게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웹(W)의 이송으로 인하여 그 말단 측이 제 1 및 제 2 센서(73a, 73b)와 모두 접촉하게 되는 경우, 상기 센서부(73)가 제어부(미도시) 측에 전기적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는 상기 이송부(3)의 T 형강 이송을 정지한다. 상기 센서부(73)에 형성되는 센서(73a, 73b)는 압력 센서, 초음파 센서, 레이저 센서일 수도 있으며, 상기 센서의 종류는 특정한 종류의 센서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웹(W)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는데 적합한 임의의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상기 웹(W)의 말단 측 형상이 하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됨에 따라 횡축 방향 폭이 좁아지는 경우, 상기 웹(W)이 이송됨에 따라, 먼저 상기 웹(W) 말단 측의 하측부가 상기 헤드부(71)에 도달하여 상기 접촉 플레이트(711)의 하측부와 접촉한다. 그 후 기 접촉된 웹(W) 말단 측의 하측부가 계속 전진함에 따라 상기 헤드부(71)를 밀어낸다. 또한, 상기 헤드부(71)는 회전 암(75)과 힌지 결합되어 있으므로, 지면과 수평한 회전축을 따라 소정의 각도 회전한다. 그 이후, 상기 웹(W)의 계속된 전진으로 상기 웹(W)의 상측 말단과 제 2 센서(73b)가 선 접촉하며, 상기 웹(W)은 그 후 일정 거리 전진하며 상기 헤드부(71)의 계속된 회전으로 상기 웹(W)의 상측부가 제 1 센서(73a)와 접촉한다. 이 때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이송부(3)의 운전 중단으로 T 형강 이송은 종료되며, 상기 웹(W)은 정 위치에 정렬된다(도 22 참조).
상기 회전 암(75)은 일 측이 상기 헤드부(71)와 결합되어 상기 헤드부(71)를 상기 장치(1)의 정 위치에 정렬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71)와 제 1 결합 핀(P1)에 의하여 힌지 결합된다. 또한, 상기 헤드부(71)와의 결합 측 반대편 말단 측에 형성된 제 1 암-고정 결합공(h2-a)과 후술할 암 고정부(77)의 일 측에 형성된 제 2 암-고정 결합공(h2-b)에 제 2 결합 핀(P2)의 수직 방향 삽입되어 상기 회전 암(75)과 암 고정부(77)는 힌지 결합되어 상기 회전 암(75)의 회전축은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 암(75)은 암 상부판(751) 및 상기 암 상부판(751)과 하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며 양 말단이 상기 암 상부판(751)과 연결면(755)에 의하여 상호 결합되는 암 하부판(753)과, 상기 암 상하부판(751, 753)과 수직을 유지하며 상기 암 상하부판(751, 753)의 말단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면(755)과, 상기 연결면(755)의 일 측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절곡부(757)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 암 상하부판(751, 753) 사이에 형성된 이격 공간 내에 후술할 회전구동부(79)의 일단을 수용하고, 상기 회전구동부(79)와 공지의 또는 공지될 다양한 결합수단에 의하여 결합된다. 예를 들어 제 3 결합 핀(P3)에 의하여 핀 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절곡부(757)는 제 2 암-플레이트 결합공(h1-b)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결합 플레이트(713) 내에 수용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암-플레이트 결합공(h1-a 및 b) 내에 상기 제 1 결합 핀(P1)에 의하여 힌지 결합되어, 상기 헤드부(71)의 회전을 도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암 고정부(77)는 상기 장치(1)의 일 측에 고정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회전 암(75)과, 타단이 후술할 회전구동부(79)와 결합하는 구성이다. 상기 암 고정부(77)는 고정상부판(771)과 및 상기 고정상부판(771)과 하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고정하부판(773)을 포함하여 상기 고정상하부판(771, 773)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에 상기 회전 암(75)의 말단 측을 수용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암(75)과 힌지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고정상하부판(771, 773)의 일 측에는 제 2 암-고정 결합공(h2-b)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구동부(79)는 일단이 상기 회전 암(75)의 일 측과 결합하여 상기 회전 암(75)에 대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하여 유압실린더(791)와 피스톤 로드(793)를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회전구동부(79)는 상기 회전 암(75)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임의의 공지된 또는 공지될 구성일 수 있으며, 상기의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구동부(79)는 그 일단이 상기 회전 암 상하부판(751, 753) 사이의 이격 공간 내에 수용되어, 예를 들어 제 3 결합 핀(P3)에 의하여 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구동부(79)의 예시적인 구동방식은, 상기 유압실린더(791)에 의한 피스톤 로드(793)의 전진으로, 상기 암 고정부(77)의 일 측을 밀어내어 상기 암 고정부(77)가 지면과 수직한 회전축을 따라 소정의 각도 회전하여 상기 헤드부(71)를 정 위치로 정렬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6은 도 3에 따른 플랜지 승하강모듈을 포함하는 위치정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플랜지 승하강모듈(9)은 위치정렬이 종료된 상기 웹(W)으로부터 플랜지(F)의 접촉을 해제하여 웹(W)의 말단과 플랜지(F)의 말단의 위치를 정확하게 정렬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를 위하여 승하강 판(91)과 승하강수단(9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하강 판(91)은 상기 플랜지(F)의 배면 측을 가압하여 상기 플랜지(F)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상호 이격된 이송 롤러(31)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승하강 판(91)이 상승하는 경우 상기 플랜지(F)의 배면을 상측으로 밀어내어 상기 플랜지(F) 역시 상승하며, 상기 플랜지(F)의 상면에 안치되는 웹(W) 또한 상승한다. 그 후, 상기 승하강 판(91)을 하강하는 경우, 상기 웹(W)은 밀착된 푸시 롤러(51)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플랜지(F)만이 함께 하강하여 상기 플랜지(F)와 웹(W)의 접촉 상태가 해제된다. 그 후, 상기 이송부(3)를 통하여 상기 플랜지(F)를 전진 또는 후진 이송하여 상기 플랜지(F)와 웹(W)의 말단 간의 정확한 정렬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승하강수단(93)은 상기 승하강 판(91)의 배면을 밀어내어 상기 승하강 판(91)의 승하강을 가이드 하는 구성으로, 공지의 또는 공지될 승하강 수단 중 임의의 수단을 채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압 실린더를 이용하여 상기 승하강 판(91)의 승하강을 가이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7 내지 도 21은 웹 이송제한모듈 및 플랜지 승하강모듈의 작동에 따른 T 형강 위치정렬 장치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22는 웹의 전진 이송에 따른 헤드부의 회전을 보여주는 사용상태도인바, 이하에서는 도 17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상기 T 형강 위치정렬 장치에 따른 T 형강 정렬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플랜지(F) 및 상기 플랜지(F)의 상면에 웹(W)을 위치시킨다. 그 후, 이송부(3)에 의하여 상기 플랜지(F) 및 웹(W)이 전방 측으로 이송된다(도 17 및 도 22(a) 참조). 또한 상기 웹(W)은 상호 대향하는 푸시 롤러(51)의 소정 거리 밀착으로 상기 플랜지(F)와 대략 수직을 유지한 채 이송될 수 있다. 일정 거리 이송된 이후, 상기 웹(W)의 말단 측이 그 형상에 대한 제한 없이 웹 이송제한모듈(7)의 헤드부(71)와 접촉하고(도 22(b) 참조), 계속된 전진으로 상기 헤드부(71)를 밀어냄에 따라 상기 헤드부(71)는 수평회전축을 따라 소정의 각도 회전한다(도 18 및 도 22(c) 참조).
또한, 상기 웹(W)의 말단 측의 계속된 전진으로 인하여 상기 센서부(73)의 모든 센서와 접촉시, 상기 센서부(73)는 제어부 측에 전기 신호를 송신하고,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는 상기 이송부(3)의 운전을 중단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상호 대향하는 푸시 롤러(51)는 더욱 밀착하여 상기 플랜지(F)를 견고하게 파지한다. 따라서, 상기 웹(W)은 상기 플랜지(F)의 길이방향에 따른 중심축 상에 상기 플랜지(F)와 수직을 유지한 채 정확하게 위치정렬 될 수 있다.
그 후, 상기 위치 정렬이 종료된 웹(W)의 말단과, 상기 플랜지(F) 말단 측의 정렬을 위하여 플랜지 승하강모듈(9)에 의하여 상기 플랜지(F)를 밀어올려 일정 거리 상승시킨다. 이 때, 상기 웹(W) 역시 양 푸시 롤러(51) 사이에서 일정거리 상승한다(도 19 참조). 그 후, 상기 플랜지(F)를 하강시켜 상기 플랜지(F)와 웹(W)의 접촉을 해제한다(도 20 참조). 그리고 나서, 상기 이송부(3)를 다시 작동하여 상기 플랜지(F)만을 전진 또는 후진 이송하여 상기 플랜지(F)와 웹(W)의 말단 측의 정확한 정렬을 도모할 수 있다(도 21 참조).
위치 정렬이 종료된 이후 상기 푸시수단(11)의 롤러(111)가 내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플랜지(F)의 양 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플랜지(F)가 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웹(W)의 상측부를 가압하는 가압 롤러(미도시)를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상기 웹(W)의 전면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그 이후 상기 플랜지(F)와 웹(W)의 용접을 진행하여 다양한 말단 형상을 가지는 웹(W)을 구비하는 T 형강을 제작할 수 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플랜지 정렬모듈
11: 푸시수단
111: 롤러 113: 슬라이딩 가이드 115: 슬라이딩 플레이트
13: 거리조절수단
131: 고정축 133: 축고정암 135: 연결암
15: 구동수단
151: 스트로크 153: 유압실린더
3: 이송부
31: 이송 롤러 33: 체인
5: 웹 정렬모듈
51: 푸시롤러 53: 구동부 55: 폴딩부 57: 커버부
7 : 웹 이송제한모듈
71 : 헤드부
711 : 접촉 플레이트 713 : 결합 플레이트
73 : 센서부
73a : 제 1 센서 73b : 제 2 센서
75 : 회전 암
751 : 암 상부판 753 : 암 하부판 755 : 연결면
77 : 암 고정부
771 : 고정상부판 773 : 고정하부판
79 : 회전구동부
791 : 유압실린더 793 : 피스톤 로드
9 : 플랜지 승하강모듈
91 : 승하강 판 93 : 승하강수단
W : 웹 F : 플랜지

Claims (18)

  1. 다양한 말단 형상을 가지는 T 형강의 웹의 이송을 제한하여 상기 웹의 말단 형상에 제한됨이 없이 상기 웹을 정 위치에 정렬될 수 있도록 하는 웹 이송제한모듈과,
    상기 웹의 말단과 플랜지 말단의 위치를 정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위치정렬이 종료된 상기 웹으로부터 플랜지의 접촉을 해제하는 플랜지 승하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 형강 위치정렬 장치.
  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웹 이송제한모듈은 상기 접촉 플레이트 상에 구비되어 상기 웹의 말단 측과 헤드부의 접촉을 인지하여 제어부에 신호를 송신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 형강 위치정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웹 이송제한모듈은 상기 T 형강의 말단과 상호 대향하도록 위치하여 전면이 이송되는 상기 웹의 말단 측과 접촉하는 접촉 플레이트와, 상기 접촉 플레이트의 배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결합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웹의 전진 이송으로 수평방향의 회전축을 통하여 상기 접촉 플레이트가 소정의 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헤드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 형강 위치정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접촉 플레이트의 중심 종축을 따라 형성되는 제 1 센서 그리고 제 2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 형강 위치정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센서와 제 2 센서가 위치하는 접촉 플레이트의 중심 종축은 상기 플랜지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포함하는 수직 평면 상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 형강 위치정렬 장치.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웹 이송제한모듈은 수직방향의 회전축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결합 플레이트 내에 수용되며 상기 결합 플레이트와 결합하여 상기 헤드부를 상기 장치의 정 위치에 정렬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 암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 형강 위치정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암은 제 1 결합 핀의 수평 방향 삽입에 의하여 상기 결합 플레이트와 힌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 형강 위치정렬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웹 이송제한모듈은 상기 위치정렬 장치의 일 측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회전 암이 회전 가능하도록 일단이 상기 회전 암과 결합하는 암 고정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 형강 위치정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암 고정부는 제 2 결합 핀의 수직 방향 삽입에 의하여 상기 회전 암과 힌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 형강 위치정렬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웹 이송제한모듈은 일단이 상기 회전 암의 타단과 결합하여 상기 회전 암에 대하여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회전 암이 수직방향의 회전축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헤드부를 상기 장치의 정 위치에 정렬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구동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 형강 위치정렬 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승하강모듈은 상기 플랜지의 배면을 가압하여 상기 플랜지를 밀어올리는 승하강 판과, 상기 승하강 판의 배면을 밀어내어 승하강을 가이드 하는 승하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 형강 위치정렬 장치.
  12.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렬 장치는 상기 플랜지를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플랜지 상에 배치된 웹이 상기 플랜지의 중심에 수직으로 정렬될 수 있도록, 상기 플랜지의 이송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된 웹 정렬모듈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 형강 위치정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웹 정렬모듈은 상기 웹이 그 사이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호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되며 수직방향의 회전축을 가지는 한 쌍의 푸시롤러와, 상기 한 쌍의 푸시롤러 사이에 배치된 웹이 상기 플랜지의 중심에 수직으로 정렬될 수 있도록 상기 푸시롤러를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시켜주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 형강 위치정렬 장치.
  14.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렬 장치는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된 한 쌍의 푸시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한 쌍의 푸시수단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어 상기 푸시수단에 의해 플랜지가 파지되도록 하는 플랜지 정렬모듈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 형강 위치정렬 장치.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암은 암 상부판과, 상기 암 상부판과 하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암 하부판과, 상기 암 상하부판의 말단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면과, 상기 연결면의 일 측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절곡부를 포함하여 상기 이격 공간 내에 회전구동부의 일단을 수용하며 상호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 형강 위치정렬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암 고정부는 고정상부판과, 상기 고정상부판과 하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고정하부판을 포함하여 상기 이격 공간 내에 회전 암의 말단 측을 수용하여 상기 회전 암과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 형강 위치정렬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한 쌍의 결합 플레이트 내에 수용되며 일측에 형성된 제 2 암-플레이트 결합공을 통하여 결합 플레이트의 제 1 암-플레이트 결합공 및 상기 제 2 암-플레이트 결합공에 제 1 결합핀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 형강 위치정렬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암은 상기 헤드부와의 결합 측 반대편 말단 측에 형성된 제 1 암-고정 결합공을 통하여 상기 암 고정부의 제 2 암-고정 결합공 및 상기 제 2 암-고정 결합공에 제 2 결합핀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 형강 위치정렬 장치.
KR1020160173834A 2016-12-19 2016-12-19 T 형강 위치정렬 장치 KR101919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834A KR101919915B1 (ko) 2016-12-19 2016-12-19 T 형강 위치정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834A KR101919915B1 (ko) 2016-12-19 2016-12-19 T 형강 위치정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1464A true KR20180071464A (ko) 2018-06-28
KR101919915B1 KR101919915B1 (ko) 2018-11-21

Family

ID=62780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3834A KR101919915B1 (ko) 2016-12-19 2016-12-19 T 형강 위치정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991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02400A (zh) * 2020-05-29 2020-09-25 杭州永恒钢结构有限公司 一种组立机
CN114074842A (zh) * 2021-11-19 2022-02-22 成都秦川物联网科技股份有限公司 适用于工业物联网运用的燃气表t型轴进料系统及方法
CN114193053A (zh) * 2022-02-17 2022-03-18 河北燕山钢铁集团有限公司 一种热轧钢板垂直焊接设备
KR102629809B1 (ko) * 2022-12-10 2024-01-29 주식회사 에스케이경금속 슬라이드 제품이송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541B1 (ko) 2007-03-30 2007-10-09 서훈산업유한회사 선박용 티바의 용접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21279B2 (ja) 1999-03-30 2004-04-19 ユニバーサル造船株式会社 ビルトアップロンジ製作方法およびその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541B1 (ko) 2007-03-30 2007-10-09 서훈산업유한회사 선박용 티바의 용접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02400A (zh) * 2020-05-29 2020-09-25 杭州永恒钢结构有限公司 一种组立机
CN111702400B (zh) * 2020-05-29 2021-09-17 杭州永恒钢结构有限公司 一种组立机
CN114074842A (zh) * 2021-11-19 2022-02-22 成都秦川物联网科技股份有限公司 适用于工业物联网运用的燃气表t型轴进料系统及方法
CN114074842B (zh) * 2021-11-19 2023-06-02 成都秦川物联网科技股份有限公司 适用于工业物联网运用的燃气表t型轴进料系统及方法
CN114193053A (zh) * 2022-02-17 2022-03-18 河北燕山钢铁集团有限公司 一种热轧钢板垂直焊接设备
CN114193053B (zh) * 2022-02-17 2022-04-26 河北燕山钢铁集团有限公司 一种热轧钢板垂直焊接设备
KR102629809B1 (ko) * 2022-12-10 2024-01-29 주식회사 에스케이경금속 슬라이드 제품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9915B1 (ko) 201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9915B1 (ko) T 형강 위치정렬 장치
US4757890A (en) Tray positioning arrangement for delivery system
KR101774502B1 (ko) 배출가이드가 구비된 레이저 가공장치
JP5385922B2 (ja) ワーク保持移載装置
KR102524618B1 (ko) Srd 전단보강재 제조용 평철 절단장치
KR100764541B1 (ko) 선박용 티바의 용접장치
KR20180071462A (ko) 형강재 비틀림가공 장치
JPS63101213A (ja) フォーク形板キャリヤの整列・心合わせ装置
KR102389471B1 (ko) 트랙슈 챔퍼링장치
JP4882754B2 (ja) 板状体搬送設備
JP2009241208A (ja) 作業装置及び作業機
JP3828100B2 (ja) 重量物の連続移送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845677B1 (ko) 방화문 시밍 장치의 폭방향정렬기
JPH11139784A (ja) ジャッキ装置
KR200179923Y1 (ko) 강판 이송 장치
CN110759078A (zh) 一种机械手码垛输送线中的快速定位装置
CN216763421U (zh) 物流输送线和环形输送装置
CN210848812U (zh) 一种高效的激光打标机
JP2630997B2 (ja) ワーク搬送装置
KR20190074409A (ko) 방화문 시밍 장치
CN115746880B (zh) 一种干熄焦装置
JP2001129624A (ja) 矯正機への条鋼整列装置
KR102208574B1 (ko) 자재 가공 시스템
KR101144766B1 (ko) 스크린 프린팅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21203A (ko) 스키드상의 코일 센터링 교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