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1284A - 전자 맵에서 선택된 목적지 지점의 장소의 위치의 변경된 그림 표현을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맵에서 선택된 목적지 지점의 장소의 위치의 변경된 그림 표현을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1284A
KR20180071284A KR1020187013072A KR20187013072A KR20180071284A KR 20180071284 A KR20180071284 A KR 20180071284A KR 1020187013072 A KR1020187013072 A KR 1020187013072A KR 20187013072 A KR20187013072 A KR 20187013072A KR 20180071284 A KR20180071284 A KR 20180071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tination
location
display
place
m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3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잰 우사델
Original Assignee
우사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사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우사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80071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12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01C21/3614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through interaction with a road map, e.g. selecting a POI icon on a road ma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스크린 상에 출발 지점(1) 및 다수의 목적지 장소(3)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장소-기반 표시 상에 출발 지점(1)을 선택하고, 따라서 상기 스크린 상에 상기 출발 지점을 표시하는 단계;
- 다수의 목적지 장소(3)를 선택하고, 이를 상기 장소-기반 표시에서 스크린 상에 목적지 기호로서 표시하는 단계;
- 상기 출발 지점(1)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목적지 장소(3)에 도달하기 위해 선택 기준을 설정하는 단계;
- 상기 출발 지점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시간-기반 표시에서 상기 목적지 장소(3)의 위치를 계산하고, 상기 선택 기준을 고려하는 단계;
- 상기 시간-기반 표시에서 상기 목적지 장소(3)를 목적지 기호로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로서, 상기 장소-기반 표시는 여전히 스크린 상에 가시적으로 남아 있고, 상기 시간-기반 표시는 출발 기호의 주변에서 중심에 있고, 상기 출발 기호로부터 상기 시간-기반 표시에서의 목적지 기호의 거리는 상기 선택 기준의 함수인, 단계; 및
- 상기 장소-기반 표시에서의 상기 개별적인 목적지 기호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와 상기 시간-기반 표시에서의 관련된 목적지 기호 사이의 관계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맵에서 선택된 목적지 지점의 장소의 위치의 변경된 그림 표현을 위한 방법
본 발명은 지리적 맵(geographical map)에서 선택된 목적지 지점의 장소 위치를 전자적으로 수정된 그림으로 표현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맵, 특히 로드 맵(road map)에서 장소의 거리의 스케일(scaling)에 대한 표현이 다른 지형 조건과 함께 알려져 있다. 로드 맵은 일반적으로 정보 그래픽으로 사용되며, 그리고 이해할 수 있다. 로드 맵은 장소의 위치에 대한 시각적 정보를 제공한다. 콘텐츠는 균등하게 맵 스케일에 기초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로드 맵의 사용자는 목적지 지점까지의 거리 및 경로를 추정하고 계획하기 위해, 상기 로드 맵 상에 다양한 기호 및 그 배치에 의해 사용자를 지향시킬 수 있다.
균일하게 적용 가능한 스케일로 인해, 장소 정보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된 기호는 공간에서 실제 거리와 동일한 비율로 표시된다. 전통적으로, 이러한 로드맵은 인쇄된 형태로 배포되고, 또한 차량 내비게이션 시스템, PC 또는 모바일 장치 상의 경로 플래너(planner) 또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시각적 디스플레이로서 사용되고 있다. IT 기반 사용은 사용자에게 추가 정보의 시각적 표시, 즉 교통 장애물, 급유 시설, 및 선택되거나 제안된 이동 경로에 대한 추정 이동 시간과 같은, 주로 자신의 장소 또는 출발 지점의 디스플레이 및 이동 경로 및 다른 교통-관련, 장소-관련 정보의 강조를 제공한다.
이러한 타입의 정보 그래픽에서 장소-관련 정보의 표시는, 맵 스케일에 따라 존재한다. 따라서 장소의 거리의 표시는 맵 스케일과 결속되어 존재하며, 또한 사용자는 상기 표시에 기초하여 장소의 위치 및 거기에 도달하기 위한 이동 시간을 추정하거나, 또는 사용자는 음성 또는 시각적 추가 정보로부터 이동 시간을 학습한다. 상기 이동 시간은 맵 스케일에 따라 장소-관련 정보의 시각적 표시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공간에서 동일한 거리로 다른 위치로의 이동 시간은, 교통 경로, 교통 상황, 이송 수단의 선택, 또는 다른 조건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진정-스케일(true-to-scale) 장소 거리의 디스플레이는, 거리를 커버하는 데 필요한 시간 지출에 대해 잘못 인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간에서 더 짧은 경로를 위한 이동 주기(duration)는, 이들이 진정-스케일 디스플레이에서 더 가깝거나 또는 더 멀게 디스플레이되더라도, 공간에서 더 긴 경로에 대한 시간 보다 더 길어질 수 있으며, 또한 더 짧은 거리가 더 먼 장소 보다 더욱 용이하게 커버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동 경비 등과 같은 이동 시간 및 다른 정보는, 일반적으로 단지 회수 가능한 추가 정보로서 제시된다. 일반적으로 알파벳 문자가 이 목적으로 사용된다. 추가 정보에 의존하는, 시각적 인지에 기초한 맵 표시의 유익한 변경은 발생하지 않는다.
통상적인 진정-스케일 맵의 사용은, 사용자에게 맵에 표시된 장소에 도달하는 데 요구되는 시간 또는 이동 경비 지출에 대해 순수하게 시각적이지 않은 정보를 제공하며, 이에 대해 장소 거리는 동일한 이동 경비 지출로 대안적인 이송 수단으로 도달될 수 있다. 가장 짧은 이동 시간 또는 이동 거리, 어떤 도로 타입과 같은 어떤 기준에 따라 강조되는 방식으로 선택된 목적지 지점으로의 경로를 나타내는, 내비게이션 시스템, 경로 플래너, 및 전자 맵이 상업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동 경비와 같은 추가 정보는, 선택된 이송 수단 및 이동 목적지에 따라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러나 텍스트-기반 추가 정보로서만 제공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로드 맵에 의한 정보의 시각적 표현은, 사용자가 출발 지점으로부터 어떤 목적지 지점에 도달하기 위한 지출을 즉시 추정할 수 없다는 점에서 불리하다. 시각적인 맵 표시에 있어서, 두 장소 간의 최단 거리는 가장 쉽게 커버할 수 있는 이동 거리로 인식된다. 사용자가 맵 표시에서 근접성 이외의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자신을 지향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추가 정보를 참조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정보의 표시를 느리게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어떤 장소까지의 이동 거리를 선택할 때 선택된 위치로의 3개의 대안적인 경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을 가장 흔하게 갖는다. 그 후, 대안적인 교통 경로가 컬러로 강조되어 디스플레이되고, 이동 시간은 범례로 디스플레이된다. 부분적으로, 내비게이션 시스템 또는 경로 플래너가 이들 데이터를 제공한다면, 여행 경비 또는 이동 경비도 이 목적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지리적 스케일에 기초한 상업적으로 알려진 맵은, 이동 시간과 같은 관련 정보를 유리하게 그리고 신속히 흡수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통상적인 지리적 맵 묘사에서 팩터(factor) 시간을 포함하기 위해 상업적으로 알려진 해결책과 함께, 다른 해결책이 알려져 있다.
등시성 맵(isochronous map) 표시가 알려져 있다. 여기서, 목적지에 도달하는 데 요구되는 시간 지출은, 디스플레이된 맵 내에서 상이한 컬러로 도시된다. 예를 들어, 동일한 시간 지출로 도달할 수 있는 맵 영역에는 균일한 채색(coloring)이 제공된다.
등시성 맵에서 팩터 이동 시간의 표시가 상기 지리적 맵을, 동일한 컬러로 마킹된 출발 지점 주변에서 동일한 시간-기반 거리의 표면 및 지점에 의한 시간-기반 표시와 조합할 수 있더라도, 이런 타입의 표시는 인간 인지에 의해 직접 흡수될 수는 없는데, 그 이유는 검색 과정에서 상기 컬러-마킹된 표면이 먼저 식별되고, 비교되고, 그 후 상기 지리적 표시에 할당되어야만 하기 때문이다.
선택된 출발 지점 주변에서 이동 시간의 표시는 DE 100 46 000 A1호에도 알려져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는 선택된 출발 지점 주변에서 순수한 시간-의존형의 목적지 표시를 선호하여, 통상적인 지리적 표시로 배포하고 있다.
따라서 DE 100 46 000 A1호와 같이 순수한 시간-기반 맵의 표시는, 출발 지점 주변의 팩터 이동 시간의 정보를 개선된 방식으로 통합하기에는 불충분하게 작용한다. 이런 순수한 시간-기반 맵에서 얻어진 정보의 할당은, 지리적인 배향의 프레임이 결여되어 있다.
사용자에게는 백색 스크린 상에 많은 목적지 지점이 제공된다. 따라서 얻어진 유리함이 다시 실행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목적지 지점의 흡수가 이제는 관찰자로부터의 정신적 노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며, 즉 통상적인 지리적 맵과 같은 추가 정보를 사용하여 목적지 지점을 먼저 할당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EP 1 56 60 A1호로부터, 전자 맵 표시에서 팩터 이동 시간의 표시도 알려져 있으므로, 디스플레이된 경로를 따라 출발 장소 및 목적 장소에 이어, 장소 및 도로의 표시와 같은 맵의 독특한 요소는 팩터 시간에 따라 왜곡된 방식으로 표시된다. 또한, 상기 EP 1 56 60 A1호는, 도시된 콘텐츠의 비교 흡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경로의 지리적 표시 및 경로의 시간-의존형 표시가 상기 스크린 상의 2개의 윈도우에 병렬로 동시에 도시되는 것을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EP 1 56 60 A1호에 따르면, 경로의 지리적 표시 및 경로의 시간-의존형 표시는, 도시된 콘텐츠의 비교 흡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스크린 상의 2개의 윈도우에 병렬로 동시에 도시된다는 것이 단점이다. 그러나 2개의 윈도우에서의 표시는 직접적인 흡수 및 균등한 흡수에 대해서는 방해물이다. 또한, 이러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는, 통상적인 지리적 표시에 비해, 상기 시간-기반 표시의 왜곡이 단지 매우 미세한 경우에만 작동한다는 큰 결점을 갖고 있다. 승용차의 경우에 20-200 km/h 의 가능한 이동 속도가 고려되었다면, 주요 도시의 경우에서처럼, 예를 들어 고속도로 접선지점(tangent), 접근로, 및 교통-감소 지역을 포함하는 지역의 시간-기반 표시는, 시간-기반 맵이 더 이상 임의의 유리한 정보 유용성을 제공하지 못하는 팩터(10)로 큰 왜곡을 받을 것이다.
요약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모든 해결책은 지리적 맵에서 팩터 시간 및 다른 추가 정보의 현저한 인지 개선에 대해 불리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알려진 방법을 개선하고, 또한 사용자가 출발 지점, 특히 사용자가 필요로 할 이동 시간에 기초하여 자신에 의해 선택된 목적지 장소에 도달할 것을 필요로 하는 노력을 사용자가 직접 식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이 방법에 따르면, 장소-기반 표시 및 제2 표시, 예를 들어 시간-기반 표시는 스크린 상에 공동으로 그리고 하나 위에 다른 하나가 디스플레이된다. 목적지 기호에 의해 표시되는 목적지 장소는, 장소-기반 표시와 및 제2 표시에서 동일하다. 그 목적은 제2 표시에서, 장소-기반 표시에서 대응의 목적지 기호 보다 출발 기호에 더 가까운 목적지 기호 및 장소-기반 표시에서 관련의 목적지 기호보다 출발 지점 기호로부터 훨씬 더 먼 더 큰 지출을 요구하는 이들 목적지 장소에 의해, 선택 기준, 예를 들어 이동 시간으로 인해 보다 쉽게 도달되는 이들 목적지 장소를 나타내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거리의 산물(product), 즉 출발 지점과 목적지 장소 사이의 이동 거리, 시간 지출(예를 들어, 이동 시간, 비용, 등)이 최적화되는 것이다. 대안적으로, 오직 지출만 최소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소-기반 표시에 있어서,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 지리적 맵의 스케일은 일정하며, 또한 출발 지점으로부터의 거리에 변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소-기반 표시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 기호의 위치와 제2 표시에서의 연관된 목적지 기호 사이의 관계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는 어느 목적지 장소가 더 유리한지, 예를 들어 어떤 시간 내의 도달 내에, 그리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 즉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른바 상기 제2 표시에는 극좌표(polar coordinate)가 유리하다. 제2 표시의 목적지 기호는 (동일한 목적지의) 장소-기반 표시에서 공통의 출발 기호 및 관련의 목적지 기호를 연결하는 직선 상에 위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 경우에, 상기 장소-기반 표시의 출발 지점이 상기 제2 표시의 출발 지점과 매칭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을 재배향시킬 필요가 없다. 상기 제2 표시는 장소-기반 표시에 통합되며, 사용자는 다른 표시를 보고 그에 적응할 필요가 없다.
장소-기반 표시는 현재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GPS 장치 및 맵 상에서 발견될 수 있는 표시인 것으로 이해된다. 상기 장소-기반 표시는 지리적 맵으로부터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장소-기반 표시는 선형 스케일(linear scale)로 표시된다.
사용자는 장소-기반 표시 상에 중첩된, 목적지 장소에 도달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지출이 요구되는지에 대한 정보를 직접 얻는다.
데이터 처리 장치는 GPS 장치, 랩탑, 다른 컴퓨터 등의 전자부품인 것으로 이해된다. 상기 스크린은 데이터 처리 장치에 연결되며, 그리고 이에 의해 제어된다. 예를 들어, 상기 스크린은 랩탑 또는 GPS 장치의 스크린이다. 입력 유닛은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에 연결된다. 이는, 예를 들어 키보드, 음성 입력 장치, 또는 스크린의 터치-감지 부분으로서 구성된다. 출발 지점의 선택, 여러 목적지 장소의 선택, 선택 기준의 설정 등은 상기 입력 유닛에 의해 실행된다.
개선된 버전에서는 다른 표시와 관련하여 하나의 표시의 휘도 및/또는 정보 콘텐츠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전체 표시를 전체적으로 흡수하기가 더욱 용이하다. 따라서 예를 들어 장소-기반 표시의 정보 콘텐츠가 감소될 수 있다. 특히 이는 목적지 장소가 선택되었을 때 발생할 수 있으며; 그 후, 관련없는 지리적 데이터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는 특히 시간-기반 표시이다. 바람직하게는, 상이한 시간 간격, 예를 들어 10, 20, 30 분을 갖는 원(circle)이 목적지 기호 주변의 스크린 상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제2 표시에서 이들 원 내에 위치된 목적지 기호가 특정 시간 내에 도달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다른 표시, 예를 들어 이동 경비, 입장료, 교통 상황 또한 제2 표시로서 가능하다.
기호의 적어도 하나의 개별 쌍의 2개의 기호 사이의 연결, 즉 장소-기반 표시에서의 목적지 기호 및 제2 표시에서의 관련의 목적지 기호, 바람직하게는 모든 기호 쌍의 기호의 연결이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하나의 표시의 목적지 기호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표시에서의 목적지 기호에 속하는지를 쉽게 인식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연결은 기호의 쌍 기호 사이에서의 연결 라인, 특히 직선을 도시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의 다른 예, 예를 들어 다른 쌍에 대한 다른 채색, 상이한 기호 등이 가능하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목적지 장소를 검색하고 선택할 때, 특히 목적지 선택을 위해 더 짧은 시간의 양에서의 결정과 관련한 더 많은 정보로 IT 기술에서 모니터 상에 디스플레이되기 위해 이들이 사용될 때, 로드 맵의 사용자를 표시하기 위해, 로드 맵의 상기 장소-기반 정보의 표시에서 지연을 피하는 것에 기초하고 있다.
이는 맵의 디스플레이된 콘텐츠의 인간 인지가 제한된다는 통찰력에 기초하고 있다. 인간의 인지의 가능성은 그 육체적 조건에 의해 제한되고, 또한 즉각적인 흡수로부터 보장되기 위해 일련의 인식 과정에 의해 선행되어야만 하는 흡수까지의 스케일로, 정보가 흡수될 수 있는 속도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아날로그 시계를 읽는 것을 한 번 배웠다면, 아날로그 시계를 보는 것은 그 인지가 인간에 대해 직접적으로 그리고 즉각적으로 동작하는 시간 표시 타입이다. 아날로그 시간의 즉각적인 인지는 시계의 닫힌 광학 시스템에 의해 도움을 받으며, 거기서 시계바늘(watch hands)의 위치는 시간의 직접적으로 인지 가능한 이미지로도 나타난다. 대응의 직접적인 인지는 본 발명에서 맵 검색의 영역으로 의도된다.
아날로그 시계를 볼 때와 마찬가지로, 인지를 위해 추가적인 인식 과정이 더 필요없다면, 또는 이들이 최소한으로 제한되었다면, 흡수는 신속히, 직관적으로, 그리고 즉시 발생한다. 다른 모든 경우에 있어서, 인지를 위해서는 먼저 인식 과정이 요구되며, 이는 이해 및 인지를 어렵게 하고 그리고 이들을 지연시킨다. 이에 대한 예로는 2개의 타입의 맵을 상이한 스케일로 비교 시 또는 판독 시, 그림 맵 표시에 추가되는 수치적인 추가 정보의 평가 및 조합 시, 인식 노력을 포함한다.
인간 인지의 능력, 시각적 표시를 흡수하는 속도 및 효율은, 일련의 요소에 의해 결정된다.
맵의 그림 콘텐츠를 인지하는 경우에 있어서, 2개 또는 그 이상의 그림 콘텐츠에 통찰력이 먼저 안내되어야만 한다면, 맵을 한번 보고 인지하는 것이 가능한지의 여부, 또는 상기 그림의 메시지를 흡수하기 위해 이들이 인식 과정에서 처리되어야만 하는지의 여부가 결정적인 팩터이다.
맵의 그림 콘텐츠의 인지의 경우에 있어서, 다른 결정적인 팩터는 도시된 콘텐츠가 인간 인지의 일반적으로 알려진 기준 패턴의 템플레이트에 적응되는 것이 얼마나 유리한지이다.
따라서 대륙(continent)의 디스플레이로 알려진 지리적 세계 맵은, 인간에 대해 보편적인 기준 프레임을 제안하는, 일반적으로 학습되고 내재화된 기본 견해이다. 인간은 그 자신의 국가와 지역의 맵에 익숙해지도록 학습되었다. 이는 바다, 강, 및 숲과 같은 기존의 자연적인 지리적 요소와 국경, 도시, 및 도로와 같은 인위적인 요소를 모두 묘사하는 일반적인 맵 요소도 포함한다. 이런 학습된 기준 프레임은, 맵의 콘텐츠를 물리적으로 흡수하기 위한 기초를 형성하며, 또한 맵의 개별 요소가 흡수될 수 있는 속도를 결정한다.
이 지리적 기준 프레임이 이제 예를 들어 순수한 시간-의존형 스케일을 선호하여 상기 일반적인 지리적 기하학적 스케일을 포기함으로써 폐기되었다면, 상기 시간-기반 맵의 인지는 인간 마음의 임의의 비교 가능한 학습된 요소에 기준할 수가 없다. 일반적으로 유효한 지리적 맵 중 하나와 같은, 맵 표시에서 일반적으로 학습 가능한 시간-기반형 기준 프레임을 생성하는 것이 전혀 가능하지 않은데, 그 이유는 시간 스케일이 항상 관련 표시이고, 이는 현재의 교통 상황처럼 유연하게 선택된 출발 지점 및 다른 팩터에 따라 변하기 때문이다.
인지의 심리학으로부터의 이들 통찰력은,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을 위해 이용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이점은 사용자로 하여금 맵 표시를 사용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서로 조합될 수 있는 어떤 기준에 기초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맵에서 바람직한 결정 장소의 그림 표시를 얻을 수 있게 하는 것으로 구성되며, 출발 지점으로부터 선택된 목적지 지점의 거리의 진정-스케일 표시 대신에, 또는 이와 함께, 출발 지점에 의존하는 거리의 기준 외의 기준에 따라 목적지 지점을 표시하는 표시가 사용된다. 그러나 여기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지리적 스케일에 따른 맵 표시가 여전히 유리하며, 완전히 폐기되지는 않는다. 오히려, 인간의 흡수 및 인지를 위해, 이는 시간 스케일과 같은 또 다른 스케일에 기초하여 발생하는 선택된 목적지의 위치 변경을 위한 배향 및 기준의 프레임으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단일의 디스플레이 내에 2개 또는 그 이상의 표시가 고려되기 때문에, 관련 정보는 이미지 또는 맵의 단일 섹션에서 개별적으로 선택된 출발 지점의 주변에서 시각적으로 응축되며, 따라서 정보가 한 눈에 인식 및 흡수될 수 있다. 2개 또는 그 이상의 별도의 맵 표시에서의 2개 또는 그 이상의 표시의 디스플레이는 생략된다. 선택된 목적지의 위치 변경의 순간에 유리한 인지를 지원하는 기준 프레임으로서의 기능에 있어서, 알려진 지리적 맵은 예를 들어 소수의 특유한 요소로의 선택 및 감소에 의해 이미지-방식으로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목적지 지점은 바람직한 기준에 따라 정렬될 수 있고, 또한 사용자는 자신과 관련된 목적지 지점의 기준을 더욱 쉽게 비교할 수 있다. 지정된 목적지 지점에 도달하기 위한 시간 또는 비용 지출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사용자는 텍스트-기반 표시를 참조할 필요는 없지만, 그러나 디스플레이에서 목적지의 위치가 변경된 표시에 기초하여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한 지출 또는 그 기호를 시각적으로 비교할 수 있다.
기하학적 표시와는 상이한 표시가 상기 선택된 목적지를 위해 추가로 사용되며, 또한 상기 목적지는 나머지 맵의 기하학적 스케일이 변경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제2 표시에 따라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시간의 선택 기준의 경우에 있어서, 목적지의 표시는 목적지에 도달하는 데 요구되는 시간이며, 이동 비용의 선택 기준의 경우에, 이는 목적지에 도달하는 데 요구되는 이동 비용이다.
시간 및 비용은 목적지로의 이송 수단으로 임의의 이동에 본질적으로 내재된 2개의 팩터 또는 선택 기준이며, 따라서 목적지를 평가하고 선택하기 위한 중심적인 중요성을 갖는다. 이송 수단의 선택은 팩터 시간 및 비용의 형태에 결정적인 영향을 갖는다. 목적지로 이동할 때 통상적인 이송 수단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오히려 비용을 들이지 않고 도보로 이동하더라도, 후자는 재료 마모로 인해 또는 입력된 기회비용을 유발시킴으로써 비용의 합계가 할당될 수 있다.
그러나 이송 수단과 함께, 목적지로의 경로 및 그에 따른 목적지와 같은, 목적지를 탐색하고 상기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해, 다른 구성 요소가 중요하다.
따라서 이들이 수치 스케일로 변형될 수만 있다면, 개인적, 심지어 주관적, 속성 또는 선택 기준을 향해 배향되는 다른 표시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체 목적지 및 경로는 다른 수준의 매력을 갖는 것으로 인지될 수 있다. 이 매력은 수치로 평가될 수 있으며, 따라서 목적지에 도달하는 표시의 스케일로도 기능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사용자가 시각적 표시에 기초하여, 이동 비용 또는 이동 시간 또는 상이한 이송 수단 또는 그 조합에 대한 다른 선택 기준에 따라, 상이한 목적지 장소의 선택을 얻는 것을 허용하며, 그 후 상기 장소 목적지는 이동 비용 및/또는 이동 시간에 따라 표시된다. 가능한 확장된 변형예에 있어서, 목적지 및/또는 경로의 매력도 수치 형태로 통합되고 그리고 균일한 스케일로 조합된다. 감소된 지리적 맵 표시와 함께, 사용자는 시간-기반 및/또는 비용-기반 표시 및/또는 경로 매력 및/또는 목적지 매력(및/또는 다른 특성)과 같은, 다양한 다른 표시의 균일한 스케일의 조합에 따라, 단일의 목적지 지점 표시로, 이 표시 상에 중첩되어 제공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개별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고려되어야 할 팩터의 선택을 설정하고 개별적으로 가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실시예는, 그 유리함에 따라 목적지의 특성을 그림으로 그리고 시각적으로 강조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목적지가 호텔이라면, 그 유리함은 예를 들어 가격, 시설, 등급, 및 호텔 투숙객의 리뷰에 의해 표현된다. 이들 특성은 원(circle)과 같은 단일의 기호로,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된 방식으로 또는 조합되어 가중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원은 원의 목적지와 직경 및 원의 유리함을 표현하며, 증가하는 원의 직경은 목적지의 증가하는 유리함을 표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호텔 및 명소 및 레스토랑과 같은 상이한 타입의 목적지를 검색할 때, 각각의 타입의 목적지는 목적지의 타입을 한 눈에 서로 식별할 수 있도록 그 자신의 시각적 기호가 할당된다. 이런 타입의 기호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고 또한 크기가 변화하는 그 디자인이 직관적으로 흡수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런 응축된 시각적 표시는 목적지의 유리함의 가장 신속한 인지를 위해 동작한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실시예는 이 경로의 기호, 그림, 시각적 마킹에 의해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해 결정된 경로의 유리함을 마킹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경로의 매력은 수치 형태로 통합되며, 또한 상기 경로의 인지된 매력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컬러 또는 라인의 세기로 이들을 마킹함으로써, 상기 경로가 그에 따라 마킹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많은 목적지 및 상기 목적지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수가 제공되더라도, 사용자가 목적지를 신속히 그리고 효과적으로 발견하고, 흡수하고, 그리고 평가할 수 있게 한다. 이 경우에, 출발 지점에 대한 시각적 목적지 표시를 디스플레이 매체 또는 스크린의 이미지의 중심으로 시프트(shift)시키는 것도 유리하다. 예를 들어, 선택된 출발 지점 주변의 호텔의 경우에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해 실제 시간 주기를 흡수하기 위한 지출은, 매우 많은 사용 가능한 호텔이 제공되었다면, 이미 매우 높다. 동시에 개별 호텔에 도달하기 위한 이동 비용이 고려되었다면, 지출이 계속 상당히 증가할 것이다. 그러나 호텔 가격, 호텔의 매력의 평가, 호텔 시설과 같은, 호텔에서의 체류에 포함된 다른 선택 기준이 추가되었다면, 추가 지출은 선형적으로 증가하지는 않지만, 그러나 기하급수적으로 불균형적이지는 아니며, 또한 다른 기준이 추가되었다면 어떤 시점으로부터는 더 이상 취급될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모니터 상의 단일의 맵 섹션에 데이터를 응축하고 시각화함으로써, 사용자는 선택된 목적지, 예시적인 경우에, 호텔의 우수성을 한 눈에 인식하고 흡수할 수 있다.
제한적으로서 인식되지 않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며 또한 보다 상세히 기재될 것이다.
도 1은 스크린 상의 지리적 맵의 표시를 도시하고 있으며, 뮌헨(Munchen)은 뮤닉(Munic)의 도시를 의미하고, 포르스텐리더 파크(Forstenrieder Park)는 공원이며, 스페이체르세(Speichersee)는 저수지를 의미하고 있다.
도 2는 목적지 장소에 대한 출발 지점 및 여러 목적지 기호가 추가로 통합되어 있는, 도 1에 따른 표시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도 2로부터 출발 지점 및 목적지 기호의 표시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도 3과 같은 표시이며, 추가적으로 시간-기반 표시에서, 상기 시간-기반 표시에서의 목적지 장소에 대한 목적지 기호의 위치, 즉 출발 지점으로부터의 시간에서의 그 거리에 따른, 이 경우에 상이한 표시에서 각각의 목적지의 2개의 목적지 기호가 직선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도 5는 도 4와 같은 표시를 도시하고 있지만, 그러나 출발 기호로부터의 시간에서 거리에 대응하는 원은 이제 출발 기호 주변에 추가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변경된 목적지 기호를 구비한, 도 5와 유사한 표시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도 4에 따른 표시 상에 중첩되는, 도 1과 유사한 표시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도 1에 따른 표시 전에 도 5에 따른 표시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는 흐릿한(pale) 배경을 형성하고, 또한 추가적으로 정보의 콘텐츠에 관해 감소되어 있다.
도 9는 도 1에 따른 표시 전에 도 4에 따른 표시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는 흐릿한 배경을 형성하고 또한 추가적으로 그 정보의 콘텐츠에 관해 감소되어 있다.
도 10은 도 1에 따른 표시 전에 도면에 따른 표시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는 흐릿한 배경을 형성하고 또한 추가적으로 그 정보 콘텐츠에 관해 감소되어 있으며, 또한 선택된 출발 지점이 모니터의 중심에 위치되거나 또는 중심에 있다.
위치적으로 변경된 표시에 대해, 사용자는 먼저 출발 지점(1)을 설정한다. 전자 맵(2)에서는 상기 표시가 가변적인데, 그 이유는 상기 출발 지점(1)이 언제라도 변경될 수 있거나 또는 시프트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현재 위치에 대응할 수 있으며, 또는 임의의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가 예비-인쇄된 맵(2) 상에 실시된 경우, 전시회장, 공항, 철도 역, 공공장소, 여행자 정보 센터 등과 같은 전형적으로 요구되는 장소는, 상기 출발 지점(1)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선택되고, 여기서 목적지 장소(3)의 변경된 표시를 구비한 맵(2)은 전형적으로 종이 형태로 배포되어 사용된다.
모든 스케일-기반 타입의 맵은 맵(2)으로서의, 즉 로드 맵, 시티 맵(city map), 하이킹 맵(hiking map), 등으로서의 자격을 갖는다. 맵(2) 상에서 출발 지점(1) 및 그 표시 또는 기호(4)의 결정에 이어, 디스플레이될 목적지 장소(3) 및 지출 기준(5)이 결정된다.
디스플레이될 목적지 장소(3)는 대도시(city) 및 소도시(town), 호텔, 레스토랑, 바아, 상점, 주유소, 박물관, 볼거리, 놀이터, 유틸리티 등과 같은 장소-기반 시설일 수 있다.
이동 시간 및 이동 비용은 지출 기준 또는 선택 기준(5)의 사양으로서 특히 적합하다. 그러나 교통 밀도, 이동 경로의 매력, 목적지의 매력 등과 같은 다른 기준(5)이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자격을 얻을 수도 있다.
그 후, 상기 목적지 장소(3)는 강조 또는 목적지 기호(제 1 표현에서의)(7)에 의해 맵(2) 상에서 진정-스케일 표시 변형예(6)에 디스플레이된다. 변경된 제2 표시(8)를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지출 기준(5)과 관련하여 디스플레이된 그리고 강조된 목적지 장소(3)의 위치는 제2 강조 또는 식별 기호(제2 표시에서의)(9)에 의해 디스플레이된다. 이를 위해, 지출 기준(5)과 관련하여 목적지 장소(3)는 직선(10) 상에서 동일한 위치(11)에서 더 가깝거나(11) 또는 출발 지점(1)으로부터 더욱 먼 출발 지점(11)에 도시되어 있다. 장소-기반 표시에서 그 진정-스케일 위치(6)에 대응하는 지출 보다 더 낮은 지출로 도달될 수 있는 목적지 장소(3)는, 출발 지점(1)에 더 가깝게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된다. 더 큰 지출로 도달될 수 있는 목적지 장소(3)는 그에 따라 더 멀리 표시된다. 목적지 장소(3)의 변경된 표시(8)에 대한 거리는, 선택된 지출 기준(5)과 관련하여 또는 여러 지출 기준(5)의 조합에 의해 결정된다. 더 좋은 배향을 위해, 이렇게 결정된 거리는 간격 단계(interval step)로 할당되므로, 이들은 중심의 원형 라인(13)에 의해 맵(2) 상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상기 출발 지점(1)은 원의 중심 위치를 동시에 나타낸다.
개별 목적지 장소(3)에 대한 특정 지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장소(8)의 변경된 위치는 할당된 원형 간격(14) 내에서 디스플레이된다. 이 경우, 상기 장소(6)의 진정-스케일 위치와 상기 장소(8)의 지출-기반 위치 사이의 연결 라인(15)에 의해 위치의 변경을 표시하는 것이 유리하며, 출발 지점(1)으로의 접근 및 상기 출발 지점으로부터의 이격은 직관적으로 인식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 라인(15)은 연속적이거나 파선이거나 또는 색으로 컬러-코딩될 수 있고, 변경의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기호를 가지며, 또는 다른 중요한 형태의 표시를 가질 수 있다. 장소(6)의 본래의 진정-스케일 위치는 투명한 형태로 또는 상이한 컬러로 표시될 수도 있다. 지출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방법은 교통 상황, 특히 현재의 교통 상황, 기상 조건, 및 선택된 지출 기준(5)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다른 조건에 관해 모든 이용 가능한 정보를 바람직하게 고려한다. 목적지 장소(3)가 지출에 기초하여 자체적으로 배치되는 반면에, 지리적인 진정-스케일 맵 표시(16)는, 예를 들어 몇 개의 별개의 지리적 배향 요소(17)에 대한 제한에 의해, 또는 추가적인 그림 및 시각적 축소에 의해, 배경 내로 시각적으로 후퇴한다.
유리한 실시예에 따라, 지출 기준(5)의 선택에 후속하는 목적지 장소(3)의 위치의 변경은 동적으로 발생하므로, 목적지 장소(3)의 위치 변경은 그 변경된 위치에 대한 지리적 스케일(6)에 따라,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움직임으로서 발생하며, 따라서 관찰자로 하여금 예를 들어 이전에 고려되지 않았던 목적지 장소(3)의 유리함을 더욱 신속하게 그리고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한다. 관찰자는 짧은 비디오 또는 다른 그래픽, 전자적, 시각적 애니메이션을, 예를 들어 최대 3분이 필요하다면 최대 1분의 주기로 시청한다. 그 후, 관찰자는 도 7에서처럼 디스플레이를 볼 것이다.
유리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이용 가능한 이동 및 이송 수단의 선택은 출발 지점(1)의 결정에 이어 발생할 수 있다. 그 후, 이송 수단의 개별 선택은 이동 비용의 지출 기준(5)에 대한 이동 비용의 계산의 기초를 형성한다. 선택은 승용차와 같은 단일의 이송 수단 또는 비행기, 철도, 대중교통, 택시, 자전거, 보행 등과 같은 상이한 이송 수단의 조합으로 제한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비용의 최적화에 따라, 이송 수단의 조합이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 결과가 가장 저렴한 총 경비가 되도록, 이송 수단의 조합이 계산되어 디스플레이된다.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 따라, 위치적으로 변경된 목적지 장소는 기호 1로 표시되며, 상기 개별 기호(1)의 크기는 목적지 장소(3)의 유리함을 고려한다. 상이한 타입의 목적지 장소(3)는 각각 균일한 기호(1)로 라벨화될 수 있다.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 따라, 개별적인 기회비용은 상이한 이송 수단의 이동 비용을 고려함과 함께 지출 기준(5)으로서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목적지까지의 이동 시간은 달리 사용될 수 없는 시간을 정의하며, 따라서 이동 목적지와 관련된 총 이동 비용의 계산에 통합된 개별 비용의 합계에 의해 고려된다.
다른 유리한 실시예는 추가 지출 기준(5) 및 목적지에 영향을 끼치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사용자에 의해 확장된 지출 기준(5)에 따라, 목적지 장소(3)의 위치적으로 변경된 표시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이동 비용에 기초하는 목적지의 표시와 함께, 목적지의 시간-의존형 표시의 구성 요소가 고려될 수 있다. 일 변형예에 있어서, 선택된 목적지 장소(3)는 이동 비용에 따라 위치적으로 변경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되며, 또한 다른 선택 가능한 변형예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 장소(3)는 시간 지출의 기준(5)에 따라 위치적으로 변경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된다.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사용자는 그 조합을 위해 개별 지출 기준(5)을 균등하게 또는 상이하게 가중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단일의 표시로 조합된 지출 기준(5)에 따라 위치적으로 변경된 목적지 장소(3)의 변형예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목적지 장소의 위치적으로 변경된 디스플레이는 상이한 타입의 목적지 장소(3) 및 그 개별적인 조합의 선택, 및 개별적인 목적지 장소(3)의 배제도 포함한다.
개선된 직관적 인지를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가 출발 지점(1) 및 상기 맵(2)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된 목적지 장소(3)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되는 것을 제공한다. 개별적인 선호도에 따라, 상기 출발 지점(1)은 스크린 상의 중심에 또는 다른 장소에 디스플레이된다.
도 1에 도시된 진정-스케일 맵(2)은 다양한 도시 간 거리, 강 및 호수의 위치, 도시의 크기, 및 도로의 코스 및 지리적 위치를 지리적 배향 요소(17)로서 스케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의 맵(2)은 누구라도 읽고 이해될 수 있는 통상적인 진정-스케일 맵(2)에 대응한다. 장소의 위치는 스케일로 도시되어 있다. 스케일로 변환된 알려진 킬로미터 값이 적용된다. 맵(2)의 전형적인 요소는 맵의 타입에 따라 추가적인 범례에서 설명되는 기호에 의해 표시되지만, 그러나 그 묘사는 여기에서는 생략되었다. 누구라도 맵을 읽고, 그리고 이들이 어떤 장소에 도달하는 그 도로를 통해 이로부터 공간에서 장소의 거리가 서로 상이하다는 것을 유도할 수 있다.
도 2는 맵(2)에서 목적지 장소(3)의 진정-스케일 강조(7)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도 1과 동일한 맵(2)을 도시하고 있다. 표시는 가능한 목적지 장소(3)의 디스플레이 및(2) 출발 지점(1)의 디스플레이로 보완된다. 상기 목적지 장소(3)는 장소, 명소, 호텔, 레스토랑, 등과 같은 어떤 기준에 따라 개별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이들은 강조(7)에 의해 전자적으로 디스플레이되며, 또한 도 2에 드롭형(drop-shaped) 기호에 의해 표시된다. 상기 맵에서의 표시는 출발 지점(1)의 위치와 마찬가지로 공간(12)에서의 그 실제 위치에 대응한다.
도 3은 맵(2) 없이 목적지 장소(3)의 진정-스케일 강조(7)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목적지 장소의 변경되지 않은 위치 및 그 강조(3, 7) 및 맵(2)의 표시로부터 분리된 출발 지점을 도시하고 있다. 목적지 장소(3)의 배치는 이 표시로부터 관찰자에게 자명하지 않다. 전형적으로 맵(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리적 배향 요소(17)에 기초한 배향만 임의의 지원을 제공할 것이다. 관측자는, 출발 지점(1)과 목적지 장소(3)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다른 목적지 장소(3)와는 상이한 것으로 나타나는 거리에 대해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상기 표시의 특별한 해석을 요구할 것이다.
도 4는 맵(2) 없이 변경된 목적지 장소(8)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있어서, 도 3과 같이 목적지 장소(3, 6) 및 출발 지점(1)의 표시는 지출 기준(5)으로부터 계산된 목적지 장소(3)의 위치의 변경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선택된 지출 기준(5)에 따라, 출발 지점(1)에 대해 더욱 유리한 위치를 갖는 목적지 장소(3)는 출발 지점에 더 가깝게(11) 도시되어 있다. 선택된 지출 기준(5)에 따라 그 위치가 덜 유리하게 평가되어야만 하는 목적지 장소(3)는, 보다 멀리(13) 도시되어 있다(13). 본래 위치(6)에 대한 변경된 위치의 거리는, 시프트 라인(shift line)(15)에 의해 마킹된다.
도 5는 맵(2) 없이 원형 라인(14)을 구비한 변경된 목적지 장소(8)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도 4에 대해 기재된 모든 것을 도시하고 있다. 그 표시는 원형 라인(14)에 의해 보완되며, 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목적지 장소(3)를 상기 원형 라인(14) 사이의 어떤 간격 단계로의 할당을 촉진시킨다.
도 6은 기호(1)를 구비한 변경된 목적지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목적지 장소의 위치적으로 변경된 표시를 도시하고 있다. 위치적으로 변경된 목적지 장소(3, 9)를 강조하기 위해, 목적지 장소(3)의 품질 및 타입을 식별하는 다양한 기호(1)가 사용된다.
도 7은 맵(2)을 구비한 변경된 목적지 장소(8)를 도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도 7은 도 4에 대해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시프트 라인(15)을 구비한 목적지 장소(3, 9)의 위치적으로 변경된 표시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사용된 목적지 장소(3)의 표시는 도 1에 따라 배경으로서 맵(2) 상에 중첩되므로, 상기 목적지 장소(3)의 진정-스케일 위치(6)가 맵 상에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다. 더욱 유리한 목적지 장소는 출발 지점(1)의 방향으로 시프트되고, 또한 맵의 로직으로부터 더 가깝거나 더 유리한 것으로 식별될 수 있는 반면에, 더욱 먼 목적지 장소(3, 13)는 멀리 떨어져 있고 덜 유리한 것으로 이해된다.
도 8은 축소된 이미지 정보를 갖는 배경으로서 맵(2)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은 사용되는 바와 같이 배경으로서 그 시각적 인지를 위해 축소된, 도 1에 따른 맵(2)의 디스플레이이다. 지리적 배향 요소(17)의 수는 감소되고, 또한 이미지는 표시를 위해 밝아진다. 도 5에서처럼 연결 라인(15)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목적지 장소(3) 및 그 지리적 위치(3, 6)의 변경된 위치가 그 위에 중첩된다.
도 9는 목적지 장소(3, 8) 및 원형 라인(14)을 구비한 도 8에 대응한다. 도면과 유사하게, 도 9는 배경으로서 시각적 인식을 위해 축소된, 사용된 도 1에 따른 맵(2)의 디스플레이이다. 지리적 배향 요소(17)의 수는 감소되고, 또한 이미지는 표시를 위해 밝아진다. 목적지 장소(3)의 변경된 위치 및 원형 라인(14)의 표시는 그 위에 중첩된다.
도 10은 중심의 출발 지점(1)의 주변에 목적지 장소(3, 8)를 구비한 맵(2)을 도시하고 있다. 도 10은 출발 지점(1)의 중심적인 표시의 방법 단계에 의해 보완되는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토포그래픽 맵(2)에서 어떤 목적지 장소(3)의 가변적 디스플레이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출발 지점(1)이 선택되거나 특정되며, 후자는 강조된 방식으로 맵(2)에 표시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는 맵(2) 상에서 중심에 위치되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된다. 디스플레이될 목적지 장소(3)에 대한 사양에 따라, 목적지 사양(6)과 매칭되는 장소의 위치도 사용된 맵 섹션에서 강조된다(7). 공간 맵 섹션과는 상이한 맵 스케일로 목적지 장소(3)의 디스플레이를 선택하기 위해, 지출 기준(5)이 선택되고, 그리고 위치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변경된 스케일의 기초로서 사용된다. 그 후, 이로부터 결정된 디스플레이된 목적지 장소(3)의 변경된 위치는, 맵(2)의 기하학적 스케일이 임의의 다른 방식으로 변경되지 않고, 선택된 출발 지점(1)에 따라 그림으로 표시된다. 맵(2)에서 변경된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맵(2)은 바람직하게 밝아지고, 블러리(blurrier)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되며, 감소되고, 및/또는 달리 정보 콘텐츠가 감소된다. 그래픽 및 콘텐츠에 관한 제 1 초기 맵의 감소로 인해, 특히 이것이 시간-기반 표시 상에 중첩되었다면, 사용자에게는 덜 부담된다. 2개의 맵을 조합하고 그리고 상기 2개의 맵의 후속의 애니메이션, 선택, 축소, 및 마지막으로 중심잡기(centering)에 의해, 쉽게 흡수되는 콘텐츠가 얻어진다.
1: 출발 지점
2: 맵
3: 목적지 장소
4: 출발 지점의 디스플레이, 출발 지점에 대한 기호
5: 지출 기준/기준
6: 목적지 장소의 진정-스케일 위치
7: 목적지 장소 또는 목적지 기호의 진정-스케일 강조(제1 표시에서의)
8: 목적지 장소의 변경된 위치
9: 기준에 기초하여 목적지 장소 또는 목적지 기호의 강조(제2 표시에서의)
10: 직선부터 출발 지점까지
11: 장소-기반 표시보다 출발 지점에 더 가까운 목적지 장소
12: 목적지 장소의 변경되지 않은 위치
13: 장소-기반 표시보다 출발 지점에서 더욱 먼 목적지 장소
14: 원형 라인
15: 시프트 라인
16: 진정-스케일 맵 표시
17: 지리적 배향 요소
18: 기호

Claims (11)

  1. 입력 유닛에 연결되어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에 연결된 스크린 상에 출발 지점(1) 및 다수의 목적지 장소(3)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 지리적 맵으로부터의 섹션인 장소-기반 표시 상에 출발 지점(1)을 선택하고, 상기 스크린 상의 상기 장소-기반 표시에서 출발 기호로서 마킹되는 방식으로 상기 출발 지점을 표시하는 단계;
    - 다수의 목적지 장소(3)를 선택하고, 상기 개별 목적지 장소를 상기 스크린 상의 상기 장소-기반 표시에 목적지 기호로서 마킹되는 방식으로 표시하는 단계;
    - 상기 출발 지점(1)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목적지 장소(3)에 도달하기 위한 선택 기준, 특히 이동 시간, 이동 비용을 설정하는 단계;
    - 상기 장소-기반 표시와는 상이하며 또한 선택 기준, 특히 시간-기반 표시에 적합한 제2 표시를 선택하는 단계;
    - 상기 출발 지점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상기 제2 표시에서 상기 목적지 장소(3)의 위치를 계산하고, 상기 선택 기준을 고려하는 단계;
    - 상기 제2 표시에서 상기 목적지 장소(3)를 상기 목적지 기호로서 상기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로서, 상기 장소-기반 표시는 여전히 스크린 상에 가시적으로 존재하며, 상기 제2 표시는 상기 출발 기호의 주변에서 중심에 있고, 상기 출발 기호로부터 상기 제2 표시에서의 목적지 기호의 거리는 상기 선택 기준의 함수인, 단계;
    - 상기 장소-기반 표시에서 상기 개별적인 목적지 기호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와 상기 제2 표시에서의 관련된 목적지 기호 사이의 관계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목적지 장소(3)의 변경된 위치(8)는, 목적지 장소(3)의 진정-스케일 디스플레이와 상기 선택 기준에 따른 장소에서 변경된 위치(8)의 디스플레이 사이의 연결 라인(15)에 의해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출 기준(5)의 선택에 이어, 상기 이동 시간 또는 이동 비용 또는 다른 기준이 2개 또는 그 이상의 간격으로 분할되고 또한 출발 지점(1) 주변의 원형 라인(14)에 의해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원형 라인(14) 및 변경된 목적지 장소(8)의 표시는 동일한 스케일에 기초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관찰자에게 상기 목적지 장소(8)의 위치의 변경의 표시는 동적으로 발생하며, 또한 상기 관찰자는 위치의 변경을 시각적으로 추적할 수 있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양한 이송 수단 또는 이동 형태는 상기 선택 기준(5)에 유용하며, 이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목적지 장소(8)의 변경된 위치의 결정 시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고려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 비용 및 차량과 무관한 비용은 상기 선택 기준(5)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추가로 결정될 수 있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선택 기준(5)이 선택될 수 있고, 또한 상기 목적지 장소(8)의 변경된 위치는 각각의 개별적인 선택 기준(5)에 따라 또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선택 기준(5)의 조합으로 그림으로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표시될 목적지 장소(3)를 위한 2개 이상의 사양이 결정될 수 있고, 또한 특정 목적지 장소(3)가 강조되는 것으로부터 배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 장소(8)는 정보 콘텐츠와 관련될 수 있는 동일한 또는 상이한 크기의 동일하거나 이질적인 기호(1)에 의해 강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목적지 장소(8)가 선택될 수 있고, 또한 그 선택에 이어 그래픽 강조 또는 다른 기능에 의해서도 상기 경로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출발 지점(1), 디스플레이된 상기 목적지 장소(3)의 결정된 변경 위치(8), 및 맵(2)의 표시는, 디스플레이 매체의 스크린 상에 변경되지 않고 시프트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출발 지점(1)은 중심에 위치되는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87013072A 2015-10-19 2016-10-19 전자 맵에서 선택된 목적지 지점의 장소의 위치의 변경된 그림 표현을 위한 방법 KR201800712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117792 2015-10-19
DE102015117792.7 2015-10-19
PCT/EP2016/075105 WO2017067990A1 (de) 2015-10-19 2016-10-19 Verfahren zur veränderten bildlichen darstellung der ortslagen ausgewählter zielpunkte in kart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1284A true KR20180071284A (ko) 2018-06-27

Family

ID=57241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3072A KR20180071284A (ko) 2015-10-19 2016-10-19 전자 맵에서 선택된 목적지 지점의 장소의 위치의 변경된 그림 표현을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634513B2 (ko)
EP (1) EP3365632B1 (ko)
JP (1) JP2019500617A (ko)
KR (1) KR20180071284A (ko)
CN (1) CN108474663A (ko)
AU (1) AU2016341159A1 (ko)
CA (1) CA3001771A1 (ko)
ES (1) ES2809126T3 (ko)
PL (1) PL3365632T3 (ko)
WO (1) WO20170679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3365632T3 (pl) * 2015-10-19 2020-11-02 Usadel Gmbh Sposób zmienionego obrazowania lokalizacji wybranych punktów docelowych na mapach
CN107895392B (zh) * 2017-11-21 2021-09-07 许沛茹 一种时间地图的绘制方法
CN110334287A (zh) * 2018-03-16 2019-10-15 博世汽车部件(苏州)有限公司 用于提供导航信息的方法和装置
US10830599B2 (en) * 2018-04-03 2020-11-10 Palantir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lternative projections of geographical information
CN111798258A (zh) * 2019-04-09 2020-10-20 北京嘀嘀无限科技发展有限公司 服务请求价格的计算方法、装置及系统
KR20210152689A (ko) * 2020-06-09 2021-12-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내비게이션 목적지 설정 장치 및 그의 내비게이션 목적지 설정 방법
WO2024105728A1 (ja) * 2022-11-14 2024-05-2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8876A (en) 1979-02-16 1982-01-05 Airco,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expanding tobacco
JP3972541B2 (ja) 1999-11-08 2007-09-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地図表示方法及び地図表示装置
JP2003208465A (ja) * 2002-01-11 2003-07-25 Hitachi Ltd 所要時間情報提供方法及びその実施システム並びにその処理プログラム
JP2005221486A (ja) * 2004-02-09 2005-08-18 Kenwood Corp ナビゲーション装置、情報呈示方法、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用プログラム
JP2005326210A (ja) * 2004-05-13 2005-11-24 Pioneer Electronic Corp 地図情報表示制御装置、地図情報表示装置、それらのシステム、それらの方法、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CN101882395A (zh) * 2005-09-12 2010-11-10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地图显示装置
WO2007066483A1 (ja) * 2005-12-07 2007-06-1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経路情報表示装置および経路情報表示方法
CN101231174A (zh) * 2007-01-25 2008-07-30 乐金电子(昆山)电脑有限公司 导航系统中移动物体的剩余距离/预计行驶时间的引导方法
SE533876C2 (sv) * 2009-05-05 2011-02-15 Styr- och kontrollsystem för ett rörligt handikapphjälpmedel
US20110258047A1 (en) * 2010-04-19 2011-10-20 Microsoft Corporation Incorporating time and spatial relationships between user/advertiser locations into advertisement relevance
KR101132496B1 (ko) * 2010-06-30 2012-03-30 엔에이치엔(주) 대기 시간을 고려하여 이동 소요 시간을 계산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6425913B2 (ja) * 2014-05-13 2018-11-21 古野電気株式会社 情報表示装置
JP2015215278A (ja) * 2014-05-13 2015-12-03 古野電気株式会社 情報表示装置
JP5925354B2 (ja) * 2015-04-03 2016-05-25 株式会社ナビタイムジャパン 経路探索システム、経路探索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L3365632T3 (pl) * 2015-10-19 2020-11-02 Usadel Gmbh Sposób zmienionego obrazowania lokalizacji wybranych punktów docelowych na mapa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809126T3 (es) 2021-03-03
PL3365632T3 (pl) 2020-11-02
CN108474663A (zh) 2018-08-31
CA3001771A1 (en) 2017-04-27
JP2019500617A (ja) 2019-01-10
US10634513B2 (en) 2020-04-28
US20190154460A1 (en) 2019-05-23
EP3365632A1 (de) 2018-08-29
AU2016341159A1 (en) 2018-06-07
EP3365632B1 (de) 2020-04-01
WO2017067990A1 (de) 2017-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71284A (ko) 전자 맵에서 선택된 목적지 지점의 장소의 위치의 변경된 그림 표현을 위한 방법
US10914607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route guidance to multiple points of interest
US9453740B2 (en) Method of displaying objects on navigation map
US8924157B2 (en) Navigation device
US11441918B2 (en) Machine learning model for predicting speed based on vehicle type
US11920945B2 (en) Landmark-assisted navigation
JPWO2007097037A1 (ja) 地図表示システム、poi検索条件の入力方法およびpoi案内表示方法ならびに端末装置
JPS61502989A (ja) 交通用電子案内装置
EP2636996B1 (en) Navigation Device
JP2018097730A (ja) 利用者誘導システム
US10578449B2 (en) Waypoint navigator
JP2017032654A (ja) 情報案内システム、情報案内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20004209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9596204B2 (en) Determination of a navigational text candidate
JP6053638B2 (ja)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JP2012202892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20166525A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プログラム、及び情報提供方法
KR101337446B1 (ko) 약도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경로구축 방법
JP2010243186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WO2020149257A1 (ja) 案内文生成装置、案内システム、案内文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Guide Paris
JP2011106862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方法
JP2019124601A (ja) 車両用表示装置
JP2002116041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音声案内文章作成方法
JP2014153481A (ja) 地図表示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