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0867A - 복수의 무대장치의 네트워크 시스템 및 무대장치의 네트워크 통신지원 보드장치 - Google Patents

복수의 무대장치의 네트워크 시스템 및 무대장치의 네트워크 통신지원 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0867A
KR20180070867A KR1020160173369A KR20160173369A KR20180070867A KR 20180070867 A KR20180070867 A KR 20180070867A KR 1020160173369 A KR1020160173369 A KR 1020160173369A KR 20160173369 A KR20160173369 A KR 20160173369A KR 20180070867 A KR20180070867 A KR 20180070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l
communication module
communication
time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3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9000B1 (ko
Inventor
임선
정학상
임승환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73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9000B1/ko
Publication of KR20180070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0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복수의 무대장치의 네트워크 시스템 및 무대장치의 네트워크 통신지원 보드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무대장치의 네트워크 시스템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통신을 이용하여 메인 서버와 통신하는 복수의 무대장치의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의 무대장치에 대응하여 장착되며, 실시간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간 통신모듈과 비 실시간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비실시간 통신모듈을 구비하고, 현재 메인 서버와 통신 중인 실시간 통신모듈에 통신장애가 발생하면 비실시간 통신모듈로 통신을 전환하여 메인 서버와 지속적으로 통신하는 복수의 슬레이브 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수의 무대장치의 네트워크 시스템 및 무대장치의 네트워크 통신지원 보드장치{NETWORK SYSTEM FOR STAGE DEVICES AND NETWORK COMMUNICATION SUPPORTING BOARD FOR STAGE DEVICE}
본 발명은 복수의 무대장치의 네트워크 시스템 및 무대장치의 네트워크 통신지원 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향기기, 조명기기, 영상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무대장치에 대하여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하며, 실시간으로 각각의 무대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통신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도 중앙 관제소에서 지속적으로 무대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복수의 무대장치의 네트워크 시스템 및 무대장치의 네트워크 통신지원 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대에는 음향기기, 조명기기, 이벤트 발생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무대장치들이 설치되며, 이와 같은 무대장치들은 무대의 상황에 따라 각각 출력을 다르게 조절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연극이나 오페라, 음악회 등의 공연이 실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사람이 직접 각각의 무대장치를 상황에 따라 일일이 조절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중앙 관제소에서 각각의 무대장치를 제어하는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일반적인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은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RS-422 또는 RS-485의 직렬통신을 이용하며, 중앙의 서버에서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통신을 통해 각각의 무대장치를 제어한다.
하지만, 각각의 무대장치에 대한 제어는 무대 위의 상황에 따라 실시간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는데, 일반적인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은 각각의 무대장치에 대한 실시간 제어가 보장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은, 단선이나 트래픽 혼잡 등과 같은 통신장애가 발생하게 되면 해당 통신장애의 복구가 이루어지기 전까지 각각의 무대장치는 중앙 관제소에서 자동으로 제어되지 못하고 사람에 의한 수동조절로 전환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34819호 (공개일자: 2011. 12. 15)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음향기기, 조명기기, 영상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무대장치에 대하여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하며, 실시간으로 각각의 무대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통신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도 중앙 관제소에서 지속적으로 무대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복수의 무대장치의 네트워크 시스템 및 무대장치의 네트워크 통신지원 보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복수의 무대장치의 네트워크 시스템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통신을 이용하여 메인 서버와 통신하는 복수의 무대장치의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의 무대장치에 대응하여 장착되며, 실시간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간 통신모듈과 비 실시간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비실시간 통신모듈을 구비하고, 현재 메인 서버와 통신 중인 실시간 통신모듈에 통신장애가 발생하면 비실시간 통신모듈로 통신을 전환하여 메인 서버와 지속적으로 통신하는 복수의 슬레이브 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각각의 슬레이브 보드는 적어도 둘 이상의 비실시간 통신모듈에 순위를 설정하며, 선 순위의 비실시간 통신모듈에 통신장애가 발생한 경우에 순차적으로 후 순위의 비실시간 통신모듈로 전환하여 메인 서버와 지속적으로 통신한다.
또한, 실시간 통신모듈은 EtherCAT(Ethernet for Control Automation Technology) 통신모듈, EtherNet/IP 통신모듈, CC-Link IE(Industrial Ethernet) 필드 통신모듈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비실시간 통신모듈은 이더넷(Ethernet) 통신모듈, USB(Universal Serial Bus) 통신모듈,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모듈, CC-Link 통신모듈,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RS-422 또는 RS-485의 직렬 통신모듈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무대장치의 네트워크 통신지원 보드장치는, 무대장치에 장착되며, 무대장치가 메인 서버와 TCP/IP 통신을 이용하여 통신하도록 지원하는 무대장치의 네트워크 통신지원 보드장치에 있어서, 실시간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간 통신모듈; 비 실시간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비실시간 통신모듈; 현재 메인 서버와 통신 중인 실시간 통신모듈의 실시간성을 감시하는 데이터 감시부; 및 현재 메인 서버와 통신 중인 실시간 통신모듈에 통신장애가 발생하면, 비실시간 통신모듈로 통신을 전환하여 메인 서버와 지속적으로 통신하는 통신 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무대장치의 네트워크 통신지원 보드장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비실시간 통신모듈에 대해 순위를 설정하는 순위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전환부는 선 순위의 비실시간 통신모듈에 통신장애가 발생한 경우에 순차적으로 후 순위의 비실시간 통신모듈로 전환하여 메인 서버와 지속적으로 통신한다.
전술한 무대장치의 네트워크 통신지원 보드장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복수의 실시간 통신모듈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실시간모듈 선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실시간 통신모듈은 EtherCAT 통신모듈, EtherNet/IP 통신모듈, CC-Link IE 필드 통신모듈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비실시간 통신모듈은 이더넷 통신모듈, USB 통신모듈, CAN 통신모듈, CC-Link 통신모듈, RS-232, RS-422 또는 RS-485의 직렬 통신모듈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향기기, 조명기기, 영상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무대장치에 대하여 안정적인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하며, 중앙 관제소에서 실시간으로 각각의 무대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무대의 상황에 따라 최적의 무대를 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도 중앙 관제소에서 안정적이며 지속적으로 무대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무대장치에 새로운 무대장치를 추가하여 확장하더라도 중앙 관제소에서 각각의 무대장치에 대한 실시간 제어가 가능하므로, 무대장치의 확장성 및 실시간 제어를 보장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무대장치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무대장치와 슬레이브 보드의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슬레이브 보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실시간 통신에 장애 발생 시에 지속적인 통신을 지원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대장치의 네트워크 통신지원 보드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무대장치의 네트워크 시스템 및 무대장치의 네트워크 통신지원 보드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무대장치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무대장치(10)는 무대에 설치되는 음향기기, 조명기기, 영상기기 등으로서, 전기적인 제어가 가능한 다양한 장치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슬레이브 보드(100)는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통신을 이용하여 무대장치(10)가 메인 서버(20)와 통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보드(board) 장치로서, 각각의 무대장치(10)에 대응하여 장착된다.
이때, 슬레이브 보드(100)는 실시간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간 통신모듈과 비 실시간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비실시간 통신모듈을 구비한다. 즉, 슬레이브 보드(100)는 복수의 실시간 통신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도 2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이 무대장치(10)와 연결된다. 또한, 슬레이브 보드(100)는 복수의 비 실시간 통신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이 무대장치(10)와 연결된다. 이 경우, 슬레이브 보드(100)는 무대장치(10)와 연결된 복수의 실시간 통신모듈 및 복수의 비 실시간 통신모듈 중 어느 하나의 실시간 통신모듈 또는 비 실시간 통신모듈을 통해 해당 무대장치(10)와 메인서버(20) 사이의 통신을 지원한다.
여기서, 실시간 통신모듈은 EtherCAT(Ethernet for Control Automation Technology) 통신모듈, EtherNet/IP 통신모듈, CC-Link IE(Industrial Ethernet) 필드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EtherCAT 통신모듈, EtherNet/IP 통신모듈, CC-Link IE 필드 통신모듈은 각각 EtherCAT 네트워크 프로토콜, EtherNet/IP 네트워크 프로토콜, CC-Link IE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통신모듈을 말한다. 또한, EtherCAT 네트워크 프로토콜, EtherNet/IP 네트워크 프로토콜, CC-Link IE 네트워크 프로토콜은 각각 네트워크 통신의 실시간성을 보장하는 프로토콜로서, 이에 대한 기술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비실시간 통신모듈은 이더넷(Ethernet) 통신모듈, USB(Universal Serial Bus) 통신모듈,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모듈, CC-Link 통신모듈,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RS-422 또는 RS-485의 직렬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슬레이브 보드(1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EtherCAT 통신모듈, EtherNet/IP 통신모듈, CC-Link IE 필드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실시간 통신영역부(102)와, 이더넷 통신모듈, USB 통신모듈, CAN 통신모듈, CC-Link 통신모듈, RS 직렬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비실시간 통신영역부(104)와, 실시간 통신영역부(102) 또는 비실시간 통신영역부(104)에서 어느 하나의 통신모듈을 선택하여 무대장치(10)와 메인서버(20)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는 멀티 프로토콜 인터페이스 엔진부(106)를 포함한다.
이때, 멀티 프로토콜 인터페이스 엔진부(106)는 비실시간 통신영역부(104)에 우선하여 실시간 통신영역부(102)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통신모듈을 통해 무대장치(10)와 메인서버(20) 사이의 실시간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한다. 이 경우, 처음 선택되는 실시간 통신영역부(102)의 실시간 통신모듈은 관리자에 의해 지정된다.
멀티 프로토콜 인터페이스 엔진부(106)는 선택된 실시간 통신모듈에 대한 실시간성을 감시한다. 이때, 멀티 프로토콜 인터페이스 엔진부(106)는 주기적으로 또는 설정된 시간간격 이상 해당 실시간 통신모듈에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 해당 실시간 통신모듈에 감시신호를 전송하며, 그에 따라 해당 실시간 통신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응답신호에 따라 해당 실시간 통신모듈의 실시간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멀티 프로토콜 인터페이스 엔진부(106)는 실시간 통신모듈로 전송된 감시신호에 대응하는 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않거나 설정된 시간간격을 초과하여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실시간 통신모듈에 통신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멀티 프로토콜 인터페이스 엔진부(106)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 메인 서버(20)와 통신 중인 실시간 통신모듈에 통신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비실시간 통신모듈로 통신을 전환하여 무대장치(10)가 메인 서버(20)와 지속적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때, 멀티 프로토콜 인터페이스 엔진부(106)는 복수의 비 실시간 통신모듈 중 관리자에 의해 기 설정된 비 실시간 통신모듈로 통신을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멀티 프로토콜 인터페이스 엔진부(106)는 복수의 비 실시간 통신모듈에 대하여 순위를 설정하며, 선 순위의 비실시간 통신모듈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 순차적으로 후 순위의 비실시간 통신모듈로 전환하여 메인 서버와 지속적으로 통신을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전환된 비실시간 통신모듈을 통해서 무대장치(10)와 메인 서버(20) 사이에 지속적으로 자동적인 통신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통신장애로 판단된 실시간 통신모듈의 복구를 수행하거나 다른 실시간 통신모듈의 설정이 가능하며, 이후에 복수의 무대장치의 네트워크 시스템의 재설정을 통하여 각각의 무대장치에 대한 실시간 통신을 지속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대장치의 네트워크 통신지원 보드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대장치의 네트워크 통신지원 보드장치(100)는 도 1에 나타낸 복수의 무대장치의 네트워크 시스템의 슬레이브 보드(100)로 이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대장치의 네트워크 통신지원 보드장치(100)는 복수의 실시간 통신모듈(110), 복수의 비 실시간 통신모듈(120), 데이터 감시부(130), 통신전환부(140), 순위 설정부(150) 및 실시간모듈 선택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실시간 통신모듈(110)은 도 3에 나타낸 실시간 통신 영역부(102)에 해당하며, 복수의 비 실시간 통신모듈(120)은 비 실시간 통신 영역부(104)에 해당하고, 데이터 감시부(130), 통신 전환부(140), 순위 설정부(150) 및 실시간모듈 선택부(160)는 멀티 프로토콜 인터페이스 엔진부(106)에 해당한다.
여기서, 실시간 통신모듈(110)은 실시간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모듈로서, EtherCAT 통신모듈, EtherNet/IP 통신모듈, CC-Link IE 필드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실시간 통신모듈(120)은 통신의 실시간성이 보장되지 않는 통신모듈로서, 이더넷 통신모듈, USB 통신모듈, CAN 통신모듈, CC-Link 통신모듈, RS-232, RS-422 또는 RS-485의 직렬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감시부(130)는 복수의 실시간 통신모듈(110) 중 현재 메인 서버(20)와 통신 중인 실시간 통신모듈에 대한 실시간성을 감시한다. 이때, 데이터 감시부(130)는 주기적으로 또는 설정된 시간간격 이상 해당 실시간 통신모듈에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없는 경우, 해당 실시간 통신모듈에 감시신호를 전송하며, 전송된 감시신호에 대응하여 해당 실시간 통신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응답신호에 따라 현재 메인 서버(20)와 통신 중인 실시간 통신모듈에 대한 실시간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감시부(130)는 실시간 통신모듈로 전송된 감시신호에 대응하는 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않거나 설정된 시간간격을 초과하여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실시간 통신모듈에 통신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데이터 감시부(130)는 실시간 통신모듈에 통신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음향신호, 음성신호, 문자표시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실시간 통신모듈에 통신장애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신 전환부(140)는 데이터 감시부(130)에 의해 현재 메인 서버(20)와 통신 중인 실시간 통신모듈(110)에 통신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비실시간 통신모듈로 통신을 전환하여 무대장치(10)가 메인 서버(20)와 지속적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순위 설정부(150)는 복수의 비실시간 통신모듈(120)에 대하여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순위 설정부(150)는 통신 전환부(140)에 의해 통신이 전환되는 경우, 비 실시간 통신영역(104)의 이더넷 통신모듈, USB 통신모듈, CAN 통신모듈, CC-Link 통신모듈, RS-232/422/485 통신모듈 중 1차적으로 이더넷 통신모듈로 통신이 전환되도록 하고, 2차적으로 USB 통신모듈로 통신이 전환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 전환부(140)는 선 순위의 비실시간 통신모듈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 순차적으로 후 순위의 비실시간 통신모듈로 전환하여 메인 서버와 지속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즉, 통신 전환부(140)는 1차적으로 이더넷 통신모듈로 통신이 전환되어 메인 서버(20)와 통신하는 상태에서 해당 이더넷 통신모듈에 통신장애가 발생한 경우에 2차적으로 USB 통신모듈로 통신을 전환하여 무대장치(10)가 메인 서버(20)와 통신을 지속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실시간모듈 선택부(160)는 관리자의 선택에 따라 복수의 실시간 통신모듈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실시간모듈 선택부(160)는 실시간 통신 영역(102)에 구비된 EtherCAT 통신모듈, EtherNet/IP 통신모듈, CC-Link IE 필드 통신모듈 중 관리자의 선택에 따라 EtherCAT 통신모듈의 선택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자에 의해 선택된 EtherCAT 통신모듈을 통해 무대장치(10)와 메인 서버(20) 사이의 실시간 통신이 시작되며, 데이터 감시부(130)는 해당 EtherCAT 통신모듈에 대한 실시간성을 감시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앙 관제소에서 실시간으로 각각의 무대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무대의 상황에 따라 실시간으로 최적의 무대를 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실시간 통신모듈을 통해 무대장치가 메인 서버와 통신하는 도중에 실시간 통신모듈에 통신장애가 발생하면, 해당 무대장치가 즉각적으로 비 실시간 통신모듈을 통해 통신을 지속하도록 지원함으로써 무대장치의 네트워크 이중화를 이루어 안정적인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실시간 통신모듈에 통신장애가 발생한 경우에 해당 통신장애를 복구하는 도중에도 무대장치는 지속적으로 메인 서버와 통신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하며, 통신장애의 복구 후에는 무대장치가 실시간 통신모듈을 통해 다시 실시간으로 메인 서버와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무대장치 20: 메인 서버
100: 슬레이브 보드(무대장치의 네트워크 통신지원 보드장치)
102: 실시간 통신 영역부 104: 비 실시간 통신 영역부
106: 멀티 프로토콜 인터페이스 엔진부
110: 실시간 통신모듈 120: 비 실시간 통신모듈
130: 데이터 감시부 140: 통신 전환부
150: 순위 설정부 160: 실시간 모듈 선택부

Claims (8)

  1.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통신을 이용하여 메인 서버와 통신하는 복수의 무대장치의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무대장치에 대응하여 장착되며, 실시간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간 통신모듈과 비 실시간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비실시간 통신모듈을 구비하고, 현재 상기 메인 서버와 통신 중인 상기 실시간 통신모듈에 통신장애가 발생하면 상기 비실시간 통신모듈로 통신을 전환하여 상기 메인 서버와 지속적으로 통신하는 복수의 슬레이브 보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무대장치의 네트워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슬레이브 보드는,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비실시간 통신모듈에 순위를 설정하며, 선 순위의 비실시간 통신모듈에 통신장애가 발생한 경우에 순차적으로 후 순위의 비실시간 통신모듈로 전환하여 상기 메인 서버와 지속적으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무대장치의 네트워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통신모듈은 EtherCAT(Ethernet for Control Automation Technology) 통신모듈, EtherNet/IP 통신모듈, CC-Link IE(Industrial Ethernet) 필드 통신모듈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무대장치의 네트워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실시간 통신모듈은 이더넷(Ethernet) 통신모듈, USB(Universal Serial Bus) 통신모듈,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모듈, CC-Link 통신모듈,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RS-422 또는 RS-485의 직렬 통신모듈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무대장치의 네트워크 시스템.
  5. 무대장치에 장착되며, 상기 무대장치가 메인 서버와 TCP/IP 통신을 이용하여 통신하도록 지원하는 무대장치의 네트워크 통신지원 보드장치에 있어서,
    실시간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간 통신모듈;
    비 실시간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비실시간 통신모듈;
    현재 상기 메인 서버와 통신 중인 상기 실시간 통신모듈의 실시간성을 감시하는 데이터 감시부; 및
    현재 상기 메인 서버와 통신 중인 실시간 통신모듈에 통신장애가 발생하면, 상기 비실시간 통신모듈로 통신을 전환하여 상기 메인 서버와 지속적으로 통신하는 통신 전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장치의 네트워크 통신지원 보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비실시간 통신모듈에 대해 순위를 설정하는 순위 설정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 전환부는 선 순위의 상기 비실시간 통신모듈에 통신장애가 발생한 경우에 순차적으로 후 순위의 상기 비실시간 통신모듈로 전환하여 상기 메인 서버와 지속적으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장치의 네트워크 통신지원 보드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복수의 상기 실시간 통신모듈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실시간모듈 선택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장치의 네트워크 통신지원 보드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통신모듈은 EtherCAT 통신모듈, EtherNet/IP 통신모듈, CC-Link IE 필드 통신모듈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비실시간 통신모듈은 이더넷 통신모듈, USB 통신모듈, CAN 통신모듈, CC-Link 통신모듈, RS-232, RS-422 또는 RS-485의 직렬 통신모듈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장치의 네트워크 통신지원 보드장치.

KR1020160173369A 2016-12-19 2016-12-19 복수의 무대장치의 네트워크 시스템 및 무대장치의 네트워크 통신지원 보드장치 KR102269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369A KR102269000B1 (ko) 2016-12-19 2016-12-19 복수의 무대장치의 네트워크 시스템 및 무대장치의 네트워크 통신지원 보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369A KR102269000B1 (ko) 2016-12-19 2016-12-19 복수의 무대장치의 네트워크 시스템 및 무대장치의 네트워크 통신지원 보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0867A true KR20180070867A (ko) 2018-06-27
KR102269000B1 KR102269000B1 (ko) 2021-06-25

Family

ID=62790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3369A KR102269000B1 (ko) 2016-12-19 2016-12-19 복수의 무대장치의 네트워크 시스템 및 무대장치의 네트워크 통신지원 보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900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7903B1 (ko) * 2018-07-16 2020-01-17 (주)삼미미디어 페이지 폰 자가 진단 듀얼 통신 시스템
CN111404959A (zh) * 2020-03-26 2020-07-10 中车青岛四方车辆研究所有限公司 一种实现传输非实时离线文件的方法及系统
KR102182494B1 (ko) * 2020-06-22 2020-11-24 주식회사 플로소프트 노이즈 판별 기능을 가진 이더캣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더캣 네트워크 시스템의 노이즈 판별 방법
KR20200134007A (ko) * 2019-05-21 2020-12-01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CN115484216A (zh) * 2022-09-30 2022-12-16 阿波罗智能技术(北京)有限公司 报文传输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自动驾驶车辆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9773A (ko) * 2002-05-18 2003-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우선순위 통신장치 및 방법
KR20050103245A (ko) * 2003-03-18 2005-10-27 노키아 코포레이션 패킷-교환 음성 접속에 대한 작동 모드들을 선택 및변경하기 위한 방법, 통신 네트워크 장치, 통신 네트워크서버, 단말기, 및 소프트웨어 수단
KR100891210B1 (ko) * 2008-09-23 2009-04-02 제이엠스테이지(주) 무대 기기 제어 시스템
KR20110042493A (ko) * 2009-10-19 2011-04-27 케이티텔레캅 주식회사 무선망을 이용하는 가입자 단말장치의 장애체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134819A (ko) 2010-06-09 2011-12-15 주식회사 진성 무대장치 제어용 입출력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9773A (ko) * 2002-05-18 2003-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우선순위 통신장치 및 방법
KR20050103245A (ko) * 2003-03-18 2005-10-27 노키아 코포레이션 패킷-교환 음성 접속에 대한 작동 모드들을 선택 및변경하기 위한 방법, 통신 네트워크 장치, 통신 네트워크서버, 단말기, 및 소프트웨어 수단
KR100891210B1 (ko) * 2008-09-23 2009-04-02 제이엠스테이지(주) 무대 기기 제어 시스템
KR20110042493A (ko) * 2009-10-19 2011-04-27 케이티텔레캅 주식회사 무선망을 이용하는 가입자 단말장치의 장애체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134819A (ko) 2010-06-09 2011-12-15 주식회사 진성 무대장치 제어용 입출력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7903B1 (ko) * 2018-07-16 2020-01-17 (주)삼미미디어 페이지 폰 자가 진단 듀얼 통신 시스템
KR20200134007A (ko) * 2019-05-21 2020-12-01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CN111404959A (zh) * 2020-03-26 2020-07-10 中车青岛四方车辆研究所有限公司 一种实现传输非实时离线文件的方法及系统
KR102182494B1 (ko) * 2020-06-22 2020-11-24 주식회사 플로소프트 노이즈 판별 기능을 가진 이더캣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더캣 네트워크 시스템의 노이즈 판별 방법
CN115484216A (zh) * 2022-09-30 2022-12-16 阿波罗智能技术(北京)有限公司 报文传输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自动驾驶车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9000B1 (ko) 2021-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9000B1 (ko) 복수의 무대장치의 네트워크 시스템 및 무대장치의 네트워크 통신지원 보드장치
EP3340525B1 (en) Method for setting link speed of dual port switch
CN104869057B (zh) 开放流交换机优雅重启处理方法、装置及开放流控制器
EP3016316A1 (en) Network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CN102780635B (zh) 基于trill网络实现保护倒换的方法、tor交换机及系统
WO2016165463A1 (zh) 一种基于软件定义网络的链路故障上报方法和转发设备
CN105323080B (zh) 一种链路备份、电源备份方法、装置及系统
JP2009303090A (ja) 負荷分散サーバ、ネットワーク負荷分散方法および輻輳回避方法
JP2006211033A (ja) ネットワーク接続装置
US9871616B2 (en) Error detection and recovery in a DMX512 network
JP4816039B2 (ja) 照明制御システム
JP2008104108A (ja) 中継装置および障害監視方法
JP5002714B1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電力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3232764A (ja) システム間同期装置および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マルチシステム
US11218338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server switching method
JP2007318263A (ja) 冗長化構成ルータシステム、ルータ装置及びマスタ/バックアップ切替え方法
JPWO2002045352A1 (ja) ネットワーク監視制御システム
KR102319848B1 (ko)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CN106161243A (zh) 一种状态上报控制方法和装置
WO2019023228A1 (en) POWER SEQUENCER
CN112753206B (zh) 工业通信网络内数据传输的方法和通信设备
KR101605259B1 (ko) 일반 통화 모드 및 인터넷 통화 모드를 스위칭하는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EP2319208B1 (en) Absolute control of virtual switches
CN110832810B (zh) 运行工业自动化系统的包括多个通信设备的通信网络的方法和控制单元
US20070099563A1 (en) Network configuring device and network configur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