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3245A - 패킷-교환 음성 접속에 대한 작동 모드들을 선택 및변경하기 위한 방법, 통신 네트워크 장치, 통신 네트워크서버, 단말기, 및 소프트웨어 수단 - Google Patents

패킷-교환 음성 접속에 대한 작동 모드들을 선택 및변경하기 위한 방법, 통신 네트워크 장치, 통신 네트워크서버, 단말기, 및 소프트웨어 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3245A
KR20050103245A KR1020057017196A KR20057017196A KR20050103245A KR 20050103245 A KR20050103245 A KR 20050103245A KR 1020057017196 A KR1020057017196 A KR 1020057017196A KR 20057017196 A KR20057017196 A KR 20057017196A KR 20050103245 A KR20050103245 A KR 20050103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terminal
network
connectio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7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4248B1 (ko
Inventor
미카 포르쎌
아르토 카르프파넨
카리 아알토넨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50103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3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4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42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모드가 실시간 또는 비-실시간 전달에 기초할 수 있으며, 서비스 용량이 국부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변하는 패킷-교환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접속시 단말기에 의해 사용되는 통신 모드들을 선택 또는 변경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통신 네트워크 장치, 통신 네트워크 단말기, 및 단말기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 수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패킷-교환 음성 접속에 대한 작동 모드들을 선택 및 변경하기 위한 방법, 통신 네트워크 장치, 통신 네트워크 서버, 단말기, 및 소프트웨어 수단{Method, communications network arrangement, communications network server, terminal, and software means for selecting and changing operating modes for packet-switched voice connection}
본 발명은 통신 모드가 실시간 또는 비실시간 통신중 어느 하나에 기초할 수 있고, 서비스 용량이 국부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변하는 패킷-교환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접속시 단말기에 의해 사용되는 통신 모드들을 선택 및 변경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통신 네트워크 장치, 통신 네트워크 서버, 셀룰러 단말기 및 단말기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수단에 관한 것이다.
전화 네트워크를 통한 회선-교환 양방향의 소위 듀플렉스 음성 접속은 100년 동안 보편화되어 왔다. 통신 링크는 양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활성화되어 있기 때문에, 음성 접속을 통해 통신하는 사람들은 상호간에 동시에 말하거나 들을 수 있다. 회선-교환 접속은 상기 호(call) 동안 끊어지지 않기 때문에, 일방의 사람이 말하기를 멈출 때, 타방의 사람은 어떠한 원하는 시점에서도 계속할 수 있다. 상기 접속은 당사자들이 그렇게 결정할 때에만 종료된다. 데이터 접속에 관한 한, 회선-교환 접속은 상대적으로 비효율적인데, 그 이유는 전달될 아무런 데이터가 없는 그런 시점에서도 상기 회선-교환 접속은 통신 링크를 유지하기 때문이다.
음성 접속과 같은, 데이터 접속은 점차적으로 회선-교환 접속에서 패킷-교환 접속으로 바뀌고 있다. 패킷-교환 네트워크들의 하나의 장점은 통신 자원들의 효율적인 사용이다. 사용자들 사이에서 가장 잘 알려진 패킷-교환 네트워크는 인터넷이다. 또 다른 잘 알려진 패킷-교환 서비스/네트워크는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로, 이것은 원래 데이터 통신 요구들에 부응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GPRS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달할 필요가 있을 때에만 2개의 단말기들간의 통신 접속이 설정된다. 따라서, 그러한 접속은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진 소위 심플렉스 접속과 공통점이 있다. 개개의 통신 접속은 한번에 한 방향, 즉 단말기로 다운링크 또는 백본 네트워크를 향한 업링크 중 하나의 방향으로만 동작한다. 그러나 GPRS에서는, 단말기는 동시적인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접속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통신 요구가 완전히 없어지거나 또는 일시적으로 전달할 더 이상의 데이터 패킷이 존재하지 않을 때, 사용된 전용 채널은 제거된다. 만약 필요하다면, 이러한 링크의 해제(release)는 전형적으로 수백 밀리 초 단위로 지연될 수 있다.
패킷-교환 GPRS 네트워크를 통한 음성 접속은 다수의 다른 통신 프로토콜들의 활용을 필요로 한다. 그러한 필요한 통신 프로토콜들은 예를 들면, RTP(Real Time Protocol), UDP(User Datagram Protocol), 및 IP(Internet Protocol)이다. 물론, 상기 RTP는 음성 패킷들이 수신 단말기에 올바른 순서 및 가능한 한 짧은 지연을 가지고 전달되는 점에 유의하는 것이다.
2 사람들간의 대화는 대부분 '버스트(bursts)'로 진행된다. 따라서, 음성 분출(spurts)의 중단(breaks) 또는 일방 화자(speaker)로부터 다른 화자로의 전환(changeover)은 데이터 전달의 중단(break)을 야기한다. 부가적으로 화자들간의 전환은 그가 스스로 말하기를 개시하기 전에 듣고 있었던 사람측으로부터의 반응 시간을 항상 포함하는데, 이것은 이전의 음성 버스트의 수백 밀리 초 이후에는 이전의 음성 버스트에 대해 예약된 전용 채널이 이미 해제되는 상황을 야기할 수 있다. 종래의 GPRS 네트워크에서의 무선 링크의 종료는 소위 TBF(Temporary Bit Flow) 절차를 사용해서 제어된다. TBF에서, 전용 채널은 전달되는 데이터의 중단 이후에 잠시 동안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전송 단말기의 메모리에서 데이터가 소진될 때, TBF 절차는 전형적으로 수백 밀리 초만에 전용 채널을 해제한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에서 전달될 새로운 데이터를 위한 새로운 전용 채널이 필요하다면, 새로운 전용 채널은 우선 GPRS 네트워크의 공통 제어 채널(common control channel)을 우선 활용함으로써 더욱 느린 처리(slower process)를 통해 설정되어야 한다. 이것은 수백 밀리 초가 걸린다. 최악의 경우에, 이러한 사건들의 연쇄, 끊김과 재접속은 접속에 대해 0.5초에서 1.5로의 일시 중지(pause)를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일시 중지는 사용자들의 통신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GPRS 서비스의 TBF 절차에서, 양방향 즉, 업링크 및 다운링크 모두의 방향에서 TBF 해제 지연(TBF release delay)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음성 접속을 위한 GPRS 네트워크의 기능을 증가시키기 위한 시도에서 행해질 수 있다. 다운링크 방향에서 소위 TBF 절차가 사용되며, 업링크 방향에서는 소위 확장된 TBF 절차가 사용된다. 전형적인 TBF 해제 지연은 1000에서 2000ms의 상태를 가진다. 이러한 절차들을 가지고, 단말기와 기지국간의 링크는 전달중인 데이터를 가짐이 없이 잠시동안 유지될 수 있다. 더 긴 TBF 해제는 단말기의 배터리가 빨리 소모되는 결과를 야기할 것이다.
GPRS 네트워크들의 기본적인 서비스 용량들은 매우 많이 변한다. 훌륭한 성능을 가진 어떠한 GPRS 네트워크에서는, 사용자들은 거의 실시간 스트리밍 모드의 음성 접속을 보장받을 수 있다. 그러한 접속들에서, 음성은 다시 사용자들에게 재생되기 전에 수신기에서 최대 0.5초의 블록들로 버퍼링된다. 이러한 종류의 GPRS 네트워크들에서는, 접속의 서비스 레벨은 매우 잘 정의되며 제어되어야 한다. 그러한 네트워크들에서, 단말기들 및 네트워크는 접속의 실질적인 설정 이전에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 레벨에 대해 일치해야 한다. 일치되어야 하는 통신 파라미터들은 예를 들면, 단말기들간 최대로 허용 가능한 지연 시간, 링크에 대해 요구되는 통신 용량, 또는 허용된 오류의 양을 포함할 수 있다. GPRS 네트워크들에서의 스트리밍 모드에 대해 요구되는 QoS의 제공에 있어서, 문제점들은 특히 급격하게 서빙 셀 핸드오버들(serving cell handovers)을 강제하거나 또는 통신 링크를 끊을 수 있는 일시적인 네트워크 과부하 또는 무선 경로 소실에 의해 야기된다.
그러나, 현재는 몇 가지 이유 때문에 많은 GPRS 네트워크들이 위에서 기술된 QoS 서비스에 의해 요구되는 기능을 감당할 수 없다. 그 이유는 일반적으로 네트워크의 통신 용량이 충분치 못하거나 또는 몇 가지 필요한 기능이 없기 때문일 수 있다. 그러한 GPRS 네트워크들에서는, 어느 정도 양의 예컨대 5초의 음성이 우선 수신측의 단말기에 있는 버퍼 메모리에 저장되고, 다음에 이곳으로부터 수신기로 재생된다. 이것은 비실시간 저장-및-재생 모드이다. 그러한 음성 접속은 듀플렉스 음성 접속일 수 없지만, 대신에 각 사용자는 기꺼이 응답을 듣거나 또는 그들 자신의 음성을 개시하기 전에 상대적으로 더 긴 지연들에 적응해야만 한다. 사용자의 관점에서, 이것은 가능한 한 피해야 하는 바람직하지 않은 특징이다. 저장-및-재생 접속 또는 서비스는 스트리밍 모드와 관련된 문제점들에 민감하지 않다. 따라서, 이것은 어떠한 종류의 통신 조건들에서 어떠한 종류의 GPRS 네트워크에서도 항상 사용될 수 있다.
패킷-교환 GPRS 네트워크에서 한가지 가능한 접속 설정 기술은 소위 PoC(Push to talk over Cellular) 세션이다. 다수의 사람은 PoC 세션에 동시에 참여할 수 있으며, 그들은 음성 또는 SMS 메시지들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참여자들은 말할 때 순서를 바꾸고, 전송 방향은 변한다. PoC 세션은 위에서 기술된 접속 기술들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근본적으로, 사용자의 관점에서, 스트리밍 모드 접속/서비스가 가장 바람직한 것이다. 음성 접속의 주된 동작 모드는 스트리밍 모드 서비스를 사용한다는 점을 반영하기 위해, 본 특허 출원서에서 PoC 서비스는 이후에는 VSS(Voice Streaming Service)로 불릴 것이다.
VSS와 같은 실시간 음성 접속을 설정하는 것이 요구될 때, 서빙 GPRS 네트워크가 그의 완전성에 있어 요구되는 QoS를 지원할 수 있는지에 대한 확신은 없다. 상기 문제는 서빙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것에 적응해야 하는 B 가입자, 즉 수신 단말기에서 특히 강조된다. 심지어 송신 단말기, A 가입자가 스트리밍 모드를 사용해서 전송할 수 있었다고 하더라도, 나머지 네트워크에서의 조악한 서비스 품질은 수신측, 즉 B 가입자가 저장-및-재생 모드에 따라 수신하도록 강제할 수 있다. 접속은 GPRS 네트워크가 그 전체로서 실시간 VSS를 지원한다는 가정에 기초하여 시도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가 아니라면, 단말기의 사용자는 대안적이며 이상적이지 않은 상황에 갑작스럽게 적응해야만 한다. 반면에, 만약 문제의 네트워크가 VSS에서 스트리밍 모드를 지원하고, 사용자는 그러한 사실을 모른다면, 사용자는 디폴트로 저장-및-재생 방법에 따른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들은 음성 접속을 가진 스트리밍 모드를 사용하고자 한다는 점이 가정될 수 있다. 불행하게도, 종래 기술에 따른 GPRS 네트워크들은 음성 접속에 대한 기능에 관해 상대적으로 조악한 수행자들이다.
도 1a는 예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는 통신 네트워크 도시한다.
도 1b는 예시로서, 스트리밍 모드를 사용해서 송신되는 데이터를 도시한다.
도 1c는 예시로서, 스트리밍 모드를 사용해서 재생되는 데이터를 도시한다.
도 1d는 예시로서, 저장-및-재생 모드를 사용해서 재생되는 데이터를 도시한다.
도 2는 예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사용하는 셀룰러 단말기를 도시한다.
도 3은 예시로서, 패킷-교환 통신 접속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주요 단계들을 포함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패킷 교환 네트워크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무선 네트워크들에서 사용자들에게 VSS에서의 스트리밍 모드를 사용하는 주요한 옵션이 제공될 수 있는 네트워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 네트워크와 함께 단말기가, 적절한 접속 설정에 앞서, 다양한 VSS 서비스들을 지원하기 위한 완전한 링크 능력을 검사하는 네트워크 장치 및 방법에 의해 얻어진다. 만약 스트리밍 모드(streaming mode)가 가능하다면, 그것은 주된, 즉 바람직한 동작 모드이다. 두번째로,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저장-및-재생 기술(store-and-play technique)에 따른 음성 접속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장점은 만약 통신 네트워크가 스트리밍 모드 서비스를 제공할 있다면, 패킷-교환 네트워크들에서 스트리밍 모드 서비스는 항상 바람직한 서비스로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사용자가 그렇게 원한다면, 사용자는 또한 저장-및-재생 기술에 따른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설정된 통신 세션 동안 조건들에 의해 변경이 필요하다면 상기 서비스 모드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패킷-교환 네트워크에서 동작 모드들을 선택 또는 변경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단말기에서 적용되는 동작 모드는 요청된 통신 접속을 기술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접속 요청 이후에 결정된다.
통신 네트워크는 통신 세션에 접속되는 각 단말기에 대하여 접속 요청 이후에 적용될 동작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의 특징이 있다.
상기 단말기는 네트워크에서 주어진 서비스를 제어하는 서버 및 서빙 네트워크로부터 통신 접속을 기술하는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특징이 있다.
패킷-교환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본 발명에 따른 서버는 상기 통신 접속의 동작 모드를 선택 또는 변경하기 위해서 통신 접속의 품질을 기술하는, 상기 서버에 저장된 정보를 통신 접속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웨어 수단은
- 서빙 네트워크의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전체의 요청된 통신 링크를 기술하는 정보를 네트워크에 접속된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네트워크의 서비스 용량이 상기 요청된 서비스에 대해 충분한지를 검증하는 단계, 및
- 상기 서비스에 접속하는 단계를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항들에서 상술되었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아이디어는 다음과 같다:
VSS를 제공하는 GPRS 네트워크와 같이, 스트리밍 모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패킷-교환 데이터 네트워크는 VSS를 지원하는 서버, 즉 VSS 서버를 포함한다. 이러한 VSS 서버는 네트워크의 다양한 부분들에서의 통신 상황들 및 패킷-교환 네트워크의 기능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된 단말기 A가 제2 단말기 B와 음성 접속을 설정하고자 한다면, 단말기 A는, 접속 셋-업 동안에, 기지국과 단말기 A간의 링크에 관한 정보를 그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 이러한 정보는 또한 유리하게도 VSS 서버로 전송된다. 역으로, 상기 VSS 서버는 유리하게도 A에 대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측 제2 단말기 B로의 링크의 나머지를 기술하는 네트워크 정보를 또한 상기 요청 단말기 A로 전송한다. 단말기는 그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고 제어하기 위해 수신된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 A는 요청된 링크에서 스트리밍 모드가 사용될 수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VSS 서버는 상기 정보를 제2의 수신 단말기 B로 전송하고, 수신 단말기 B는 자체적으로 현재 이용 가능한 최상의 수신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단말기 A 및 단말기 B의 사용자들은 접속 셋-업 동안에 어떠한 종류의 통신 접속이 그들간에 설정될 수 있는지를 알 수 있다.
본 발명이 이제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상기 기술은 다음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한다.
이제 예시의 방식으로, GPRS 네트워크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활용이 기술될 것이다. 본 발명을 기술하는 설명적인 실시예들은 단말기에서 스트리밍 모드 및 저장-및-재생 모드간의 변경이 어떻게 가능한지를 보여준다. 근본적으로, 발명적 아이디어는 또한 통신 접속을 개선시거나 보안을 위해 단말기에 의해 사용되는 다른 절차들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더욱이, 여기서 기술된 방법은 실시간 통신 접속이 사용될 수 있는 다른 패킷-교환 네트워크들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은 당해 분야의 숙련자에게는 명백하다.
예시로서,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장치를 도시한다. 그러나, 도 1a는 본 발명의 사용에 관한 한 필수적인 그러한 부분들만을 도시한다. 참조 부호 13은 스트리밍 모드 및 저장-및-재생 서비스 양자 모두를 제공할 수 있는 GPRS 백본 네트워크를 나타낸다. 명확화를 위해, 2개의 기지국들 참조 부호 12인 BTS 1, 및 참조 부호 15인 BTS 2는 상기 네트워크와는 별개로 도시되었다. 기지국 BTS 1은 고정 통신 접속(18a)을 통해 GPRS 네트워크의 나머지와 접속된다. 유사하게, 다른 기지국 BTS 2는 제2 고정 통신 접속(18b)를 통해 GPRS 네트워크의 나머지와 접속된다. 참조 부호(11)은 제1 음성 접속 단말기 MS A를 나타내며, 참조 부호(16)은 제2 기지국 BTS 2와 무선 접속을 하는 제2 음성 접속 단말기 MS B를 나타낸다. GPRS 네트워크(13)는 고정 통신 접속(19)을 통해 GPRS 백본 네트워크(13)와 접속되는, 참조 부호(14)인 VSS 서버를 더 포함한다.
화살표 17a는 제1 단말기 MS A로부터 송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나타낸다. 상기 음성 데이터는 우선 무선 링크를 통해 기지국 BTS 1으로 전달되며, 이로부터 다시 접속(18a)를 통해 GPRS 백본 네트워크(13)로 전달된다. 또한, 유리하게도 상기 VSS 서버(14)는 음성 데이터 제어에 참여한다. GPRS 백본 네트워크(13)로부터 음성 데이터는 통신 접속(18b)을 통해 제2 기지국 BTS 2로 전달된다. 기지국 BTS 2로부터 음성 데이터는 무선 링크를 통해 제2 수신 단말기 MS 2로 송신된다.
도 1a의 예시에서, 단말기 MS A는 주도적으로 통신 접속을 설정하며 VSS 서비스를 사용한다. 상기 접속이 실제로 설정되기 전에, 단말기 MS A 및 GPRS 네트워크는 기지국 BTS 1을 통해 메시지를 교환하며, 상기 메시지들은 단말기 MS A에 의해 사용되는 셀룰러 네트워크의 성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로컬 GPRS 네트워크의 QoS 레벨에 대한 정보, 지연된 TBF 및/또는 확장된 TBF가 셀내에서 사용되는지에 대한 정보, 상기 셀의 무선 링크의 품질 레벨 및 송신되는 패킷들의 에러 레이트(error rate)에 대한 정보를 얻어진다. 이러한 정보에 기초하여, 서빙 GPRS 네트워크가 데이터 통신에 관한 한 더욱 중요한 실시간 스트리밍 모드를 지원할 수 있는지를 예비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단지 송신 측(transmitting party)으로만 동작할 때에는, 유리하게도 상기 단말기 A는 가장 효율적이고/최상의 송신 모드를 사용한다.
위에서 언급된 접속 설정 과정 동안, 유리하게도 단말기 MS A는 VSS 서버(14)에 등록되며, 이에 의해 동시에 원하는 대화 그룹에 참여하게 된다. 등록과 함께, 단말기 A 및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 접속의 갱신된 접속 파라미터들이 VSS 서버에 저장된다. 이러한 시점에서, 유리하게도 단말기 MS A는 접속 모드의 선택을 위해 네트워크의 나머지에 대한 부가 정보를 VSS 서버(14)를 통해 수신한다. 그러한 정보는 예를 들면, 다른 참여자들(participants)에게 현재 이용 가능한 접속 모드들의 표시 또는 비실시간 저장-및-재생 기술에서 얼마나 긴 버퍼 시간(buffer time)이 권장되는지의 표시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참여자들에 의해 사용되는 GPRS 네트워크는 그의 용량에 있어 제한될 수 있다. VSS 서버(14)는 이것을 알고 있으며, 단말기 MS A로 그에 대한 정보를 송신한다. 유리하게도, VSS 서버(14)는 또한. 가능한 제한들(potential limitations) 외에도 모든 다른 참여하는 서비스 운영자들의 서비스 레벨들을 알고 있다. 역으로, VSS 서버(14)는 유리하게도 MS A에 관한 접속 정보를 상기 단말기 MS A와 통신하고 있는 다른 단말기들로 전달한다.
유리하게도, 상기 네트워크는 단말기에 대한 다운링크가 설정되고 있는 경우에는 항상 예를 들어, 비트 에러 레이트 또는 가용 용량과 같은, 수신 단말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셀에 대한 정보를 수신 단말기로 송신한다.
VSS 서버(14)는 단말기들, A 및 B 가입자들 모두는 GPRS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조건들에 대한 최신의 정보를 항상 얻는다는 점을 고려한다. 서비스 운영자들은 VSS 서버에 권장되는 동작 모드들 및 개인적인 네트워크 구성들을 저장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운영자들은 그들의 네트워크의 용량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네트워크 운영자에 의해 권장되는 동작 모드 또는 동작 모드가 결정되는 기초에 대한 정보는 유리하게도 PoC 서비스에의 등록과 관련하여 및/또는 PoC 호/세션(call/session)이 실제로 개시될 때 VSS 서버(14)에 의해 각 단말기로 송신된다. 만약 VSS 서버(14)가 유리하게도 단말기에 서빙 운영자에 의해 권장되는 동작 모드에 대해 언급한다면, 상기 단말기 자체는 더 이상 네트워크의 용량을 검사할 필요가 없지만 단말기는 VSS 서버(14)에 의해 송신된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권장된 동작 모드를 기술하는 이러한 정보를 신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가 이용 가능한 정보는 네트워크의 성능이 개선되었을 때 갱신될 필요가 없지만, 동작 모드는 선택된 최적으로 자동적으로 선택될 것이다. 따라서, 동작 모드는 주로 운영자들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유리하게도, 수신, 즉 B로, 가입자 VSS 서버(14)는 A 가입자에 의해 사용되는 네트워크의 통신 용량을 기술하는 정보, 예를 들면 지연 시간(latency time)이 얼마나 되는지 그리고 어떤 종류의 송신율이 기대되는지와 같은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확장된 UL TBF가 A 가입자의 측에서 사용된다면, 패킷들간의 지연(inter-packet delays)은 최소가 된다. 만약 상기 방법이 사용되지 않는다면, 최악의 경우 2개의 패킷들간에 1.5초의 정지(pause)가 있을 수 있다. 이것은 A 가입자의 UL TBF 절차가 사용된 업링크를 해제하고, 다음 패킷들을 송신하기 전에 재설정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만약 그들에게 이용 가능한 정보에 따라 가능하다면, 수신 단말기, B 가입자들은 항상 스트리밍 모드를 사용하려고 시도한다. 만약 통신 조건들이 스트리밍 모드를 허가하지 않는다면, 단말기들에 의해 수신된 정보는 예를 들면 저장-및-재생 방법에서 버퍼링하는 필요한 음성 샘플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부가하여, VSS 서버(14)는 GPRS 네트워크가 전체로서 얼마나 접속을 통해 선택된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계속해서 수집한다. 따라서, 만약 GPRS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가 예를 들어 사용자들에 의해 선택된 스트리밍 모드를 지원할 수 없는 상황이 어느 시점에서 발생한다면, VSS 서버(14)는 즉시 모든 적절한 단말기들에게 이러한 상황을 알린다. 그러면, 단말기들 또는 사용자들은 그들 자신의 통신에서 이러한 상황을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아이디어는 현재의 통신 조건들에서 가장 적절한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해 VSS 서버가 GPRS 네트워크에서 단말기들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기는 VSS 서버에 의해 주어진 지시들을 따른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단말기 MS A는 GPRS 네트워크의 동작을 기술하는 그의 접속 정보를 직접 또는 VSS 서버(14)를 통해 제2 수신 단말기 MS B로 송신한다. 이러한 경우에, 수신 단말기 MS B는 기지국 BS 2로부터 수신된 셀-특유 정보 및 단말기 MS A에 관련된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될 접속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B 가입자는 실시간으로 수신 모드에 대해 완벽하게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통신 모드는 다음 방식들중 어느 하나에 의해 스트리밍 모드로부터 저장-및-재생 모드로 또는 그 역으로 변경될 수 있다. 만약 통신 조건들이 변경된다면, 단말기 11 또는 16은 자동적으로 변경되고, 그것은 단지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변경에 대해 알린다. 대안적으로, 변경에 대한 필요성은 최초 제시된 동작 모드를 수용하거나 또는 거부해야 하는 사용자에게 표시된다. 제3의 방법에서, 단말기의 사용자는 원하는 동작 모드를 선택한다. 단말기(11 또는 16)는 GPRS 네트워크가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지를 알아낸다. 만약 어떤 이유로 또는 다른 이유로 상기 네트워크가 요구되는 서비스의 품질을 제공할 수 없다면, 단말기는 사용될 수 있는 동작 모드를 선택한다. 장치의 사용자는 이러한 선택에 대해 알 수 있다.
도 1b, 1c, 및 1d는 VSS 서비스가 필요할 때, 위에서 기술된 통신 과정의 단계들을 설명한다. 송신 단말기 MS A는 그의 송신에 있어서 스트리밍 모드를 사용하며, 이것은 상기 가입자에 대해서 도 1b에서 기술된 순간에 가능한 최상의 송신 방법이다. 도 1b는 단말기 MS A에 의해 송신되는 음성 샘플 데이터를 도시한다. 상기 음성 샘플 데이터는 음성 샘플의 마지막을 나타내는 데이터 패킷 및 60 옥텟들의 1-9의 모두 9개의 음성 샘플들을 포함하며, 이것들은 대략 60ms의 간격을 두고 송신된다.
도 1c는 제2 수신 단말기 MS B가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수신하는 상황(B 가입자)을 도시하고 있다. 다운링크가 단말기 B로 설정될 때, 단말기 B는 VSS 서버 및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가장 최상의 동작 모드를 결정한다. 도 1c의 예시에서, 그것은 스트리밍 모드를 의미하며, 왜냐하면 이러한 예시에 있어서는 QoS가 지원되는 GPRS 네트워크에서 허가된, VSS 서비스에 따른 음성 데이터가 전달되기 때문이다. 그러한 GPRS 네트워크에서는, 허가된 VSS 데이터(privileged VDD data)가 제2 단말기 MS B로 전달된 후에야 또는 다른 가능한 데이터의 전달이 VSS 데이터의 전달과 충돌하지 않을 때에야 다른 가능한 데이터가 전달된다. 비록 패킷들 4 및 5, 그리고 7 및 8과 같이 수신되는 패킷들의 수신 시간에서 약간의 편차(variation)가 있지만, 수신된 음성 데이터 패킷들은 10개의 데이터 패킷들의 순서의 작은 수신 버퍼에 의해 올바른 타이밍 및 올바른 순서로 재생될 수 있다. 사용자의 관점에서, 상기 접속은 스트리밍 모드에서 실시간으로 동작한다.
도 1d는 GPRS 네트워크의 일부가 원하는 QoS를 지원할 수 없는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상황은 도 1c에서 기술된 것과 다소 다른 것이다. 송신 단말기 A는 여전히 예를 들면 스트리밍 모드 그 자체에 대해서 가장 최상의 모드로 송신한다. 이제, GPRS 네트워크의 일부에서, VSS 데이터는 더 이상 특별한 지위(privileged position)을 가지지 않는다. 따라서, 도 1d의 예시에서는, 어떤 다른 데이터가 패킷들 6 및 7 사이에서 송신되고 있다. 유사하게, 패킷들 8 및 9 사이에는 혼잡(congestion) 또는 약한 무선 링크 때문에 예기치 못한 중단(break)이 발생하였다. 그러한 혼잡에 대해서, 스트리밍 모드는 수신시 사용될 수 없지만, 수신기는 저장-및-재생에 의존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가지고, 이러한 상황은 다운링크의 설정 동안에 미리 예측될 수 있으며, 따라서 수신 단말기는 항상 최상의 가능한 수신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수신 단말기 MS B에 있는 충분히 큰 수신 버퍼를 사용해서, 불연속적이고 불규칙한 간격으로 수신된 음성 패킷들은 어떤 길이의 시퀀스들로 연속적으로 재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만약 스트리밍 모드가 최초 음성에 대해 사용된다면, 2개의 수신된 패킷들간에 1.5초 이상의 일시 정지(pause)가 있을 수 있는데, 그 이유는 A 가입자의 업링크가 해제되었고, 상기 업링크가 재설정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백 초의 음성 버퍼링은 B 가입자에 대해 충분하지 않지만, 버퍼링 시간은 계속되어야 한다.
유리하게도, 수신 단말기는 따라서 그의 버퍼링 길이를 현재의 통신 조건에 적합시킨다. 수신 단말기는 필요에 따라서는, 예를 들면 800ms 또는 1500ms 버퍼링을 사용할 수 있다. 일종의 극단적인 상황은 전 음성 버스트(whole voice burst)를 버퍼에 저장하는 것이며, 저장이 완료된 후에 버퍼로부터 상기 음성 버스트는 완전체로(in one whole) 다시 재생된다.
대안적으로, VSS 서버(14)는 B 가입자(B subsciber)를 제어함으로써, 그 순간에 가장 적절한 버퍼링 길이(buffering length)를 사용한다.
GPRS 네트워크 성능에서의 변화는 또한 진행중인 음성 전달중에 재생 모드(playback mode)에서의 변화를 야기한다. 만약 재생 모드가 스트리밍 모드로부터 저장-및-재생 모드로 변화된다면, 이것은 대부분 음성에서 한 번의 일시 중단(one pause)을 야기하지만 단말기에서의 충분한 버퍼링은 이후의 중단들(breaks)을 막을 수 있다.
도 2는, 예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는 셀룰러 단말기(20)의 주요 부분을 도시한다. 상기 단말기(20)는 패킷들을 수신하고 송신함에 있어 안테나(21)를 사용한다. 참조 부호(22)는 무선 단말기(20)가 GPRS 네트워크(13)로부터 패킷들을 수신하는 수신기 RX를 구성하는 수단을 나타낸다. 상기 수신기 RX는 모든 수신된 패킷들에 대해 종래 기술에 따른 수단을 포함한다.
참조 부호(23)은 무선 단말기에서 송신기 TX를 구성하는 수단을 나타낸다. 상기 송신 수단(23)은 송신될 신호에 대하여 GPRS 네트워크(13)와 통신할 때 필요한 모든 신호 처리 조치들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관점에서, 단말기에 있는 중요한 기능 유닛은 단말기(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24)이다. 제어 유닛(24)은 단말기(20)에 속한 모든 주된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그것은 수신 및 송신 기능들 모두를 제어한다. 그것은 GPRS 네트워크(13)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어느 방법이 통신 접속에 대해 사용될 것인지를 결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제어 유닛(24)은 스트리밍 모드의 음성 샘플들이 송신 및 수신될 것인지 그리고 언제 저장-및-재생 음성 샘플 패킷들이 송신 및 수신될 것인지를 결정한다. 또한, 제어 유닛(24)은 사용자 인터페이스(25)에 속하는 스피커 수단(미도시)에 대하여 저장-및-재생 모드 및 스트리밍 모드 모두로 수신된 음성 샘플들의 재생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 유닛(24)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UI(25)를 그 전체로서 제어하는데 사용되며, 단말기의 메모리(26)를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시에 제어 유닛(24)에 의해 요구되는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은 유리하게도 메모리(26)에 상주한다.
단말기의 기능들을 제어할 때, 사용자 인터페이스(25)가 단말기(20)의 사용자에 의해 사용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는 유리하게도 원하는 모드의 접속을 정의할 수 있다. 상응하여, 사용자에 의해 요구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단말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GPRS 네트워크의 능력에 대해 알린다.
도 3은 단말기가 결정을 내림에 있어서 능동적 역할을 수행하는 일 실시예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주된 단계들의 예시적인 흐름도의 형태를 기술한다. 단계 31에서, 단말기(11 또는 16)는 GPRS 네트워크(13)에 VSS 서비스 접속 요청을 한다. 그 요청에서, 상기 단말기는 음성 접속 및 통신하고자 하는 단말기를 표시한다. 단계 32에서, 접속 셋-업 동안에 교환되는 메시지들과 함께, 상기 요청 단말기(requesting terminal)는 자신의 셀 자체에 관한 정보를 전송한다. 이 시점에서, 단말기(11 또는 16)는 예를 들면, 그 자신의 셀이 QoS 서비스를 제공하는지, 사용되는 트래픽 클래스(traffic class), 그리고 어떠한 종류의 TBF가 셀에서 사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11 또는 16)는 서빙 GPRS 네트워크의 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접속 설정의 일부인 단계 33에서, GPRS 네트워크(13)와 접속된 VSS 서버(14)는 필요한 통신 접속에 속하는 다른 네트워크 구성 요소들의 용량에 대한 정보를 전달한다. 단계 34에서, 송신 단말기는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다른 방향의 전달에서 사용될 통신 모드를 결정한다. 그 송신 기능에서, 통신 형편에 의해 허가된다면, A 가입자의 단말기는 스크리밍 모드를 디폴트로 한다.
단계 32 및 33에서, 본 단말기를 향한 다운링크가 설정되고 있을 때, 수신 단말기, B 가입자는 GPRS 네트워크의 동작 및 그 자신의 셀을 기술하는 정보를 수신한다. 그것은 유리하게도 VSS 서버(14)로부터 또는 송신 단말기로부터 직접 GPRS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요구되는 정보는 또한, 자기 자신의 셀의 브로드케스트 메시지내에서 상기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모든 경우들에서, 수신 단말기는 단계 34에서 수신 모드에 대하여 독립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다.
전체 GPRS 네트워크의 용량이 스트리밍 모드에 대해 충분하고, 단말기의 사용자가 스트리밍 모드를 사용하고자 한다는 것을 표시하였다면, 수신 또는 송신 단말기는 단계 35b의 스트리밍 모드로 간다. 만약,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GPRS 네트워크가 스트리밍 모드를 위한 충분한 용량을 제공하지 않고 있다면, 단말기는 단계 35a의 설정된 음성 접속에 대하여 저장-및-재생 모드로 가야 한다. 양자의 경우들에서, 선택된 모드는 사용자에게 표시될 것이다.
스트리밍 모드를 사용한다면, 단계 36b에서, 단말기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통신 접속이 활성화되었는지를 검사한다. 특히 이것은 TBF에 따른 해제(release)가 예측될 정도로 마지막으로 전달된 음성 데이터 패킷으로부터 오랜 시간이 지났을 때 행해진다. 만약 통신 접속이 활성화된 상태가 아니라면, 상기 과정은 단계 38로 이동하며, 여기서 통신 접속은 종료된다. 다음의 단계 39에서, 당해 단말기는 아이들 상태가 된다.
만약 단계 36b에서, 통신 접속이 여전히 활성화된 상태라고 판단되면, 유리하게도 접속의 전송 파라미터들 및 품질 정보(quality information)가 갱신된다. 다음, 상기 과정은 단계 34로 가고, 여기서 통신 접속의 용량이 재 평가된다. 만약 이러한 평가 결과 통신 접속의 QoS가 스트리밍 모드가 너무 변해서 스트리밍 모드가 더 이상 사용될 수 없다면, 단계 35a에서 저장-및-재생 모드에 따른 음성 접속을 적용하도록 결정된다. 그러나, 평가 결과(34) QoS가 스트리밍 모드에 대해 충분하다면, 상기 과정은 다시 단계 35b로 이동한다.
새로운 셀은 단말기에 의해 요구되는 기능적 특징들을 지원하지 않는 어떠한 다른 제조자의 장치를 사용해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또한 통상적인 핸드오버와 관련해서 접속 파라미터들을 갱신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사용된 통신 모드에서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
그러나, 단계 35a에서 저장-및-재생 모드가 채택된다면, 또한 통신 접속의 활성화(activity)가 단계 36a에서 한번 검사된다. 만약 상기 접속이 비활성 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과정은 단계38로 이동하고, 결국은 아이들 상태 39로 된다. 반면에, 만약 접속이 여전히 활성화 상태라면, 접속 품질 정보(connection quality information) 및 전달 파라미터들은 유리하게도 단계 37a에서 갱신된다. 그 후, 과정은 단계 34로 돌아오고, 여기서 접속의 서비스 품질이 재평가된다. 만약 필요하다면, 단말기 또는 그 사용자는 스트리밍 모드로의 접속의 서비스 품질을 변화시킬 가능성에 대해 알 수 있다.
도 3과 관련하여 기술된 방법 단계들은 유리하게도 단말기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3에서 기술된 예시적 방법 단계들은 의사-결정에 관한 한 VSS 서버(14)에서 근본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통신 세션에 참여하는 단말기들은 VSS 서버(14)로부터 수신된 음성 접속 모드 지시들에 따른다.
위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 및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에 적용 가능한 단말기의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가 기술되었다. 본 발명은 GPRS 네트워크로부터의 예시들을 가지고 여기서 기술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기술된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지만, 다른 통신 모드들을 사용할 수 있는 어떠한 패킷-교환 네트워크에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또한 단말기에 의해 사용되는 통신 프로토콜들 또는 다른 모드들의 최적의 선택 또는 변경에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본 창조적 아이디어는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범위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Claims (35)

  1. 통신 모드가 실시간 또는 비실시간 통신중 어느 하나에 기초할 수 있고, 서비스 용량이 국부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변하는 패킷-교환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접속시 단말기에 의해 사용되는 통신 모드들을 선택 및 변경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상기 모드는
    요청된 통신 접속을 기술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접속 요청 이후에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모드들의 선택 및 변경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서 선택되는 상기 모드는
    음성 접속시 사용되는 통신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모드들의 선택 및 변경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사용되는 상기 통신 모드는
    상기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상기 요청된 통신 접속을 기술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접속된 각 단말기에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모드들의 선택 및 변경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사용되는 상기 통신 네트워크는
    GPRS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모드들의 선택 및 변경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GPRS 네트워크는
    음성 접속을 위한 통신 모드들로서 실시간 스트리밍 모드 또는 비 실시간 저장-및-재생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모드들의 선택 및 변경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드를 결정하기 이전에 상기 단말기는 서빙 GPRS 네트워크의 서비스 용량을 기술하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는
    설정될 상기 통신 접속의 트래픽 클래스, 상기 통신 접속의 QoS 레벨, 상기 서빙 GPRS 네트워크의 부하 상황, 상기 서빙 GPRS 네트워크의 TBF 절차, 사용되는 상기 무선 링크의 품질 레벨, 또는 전달되는 패킷들의 비트 오류 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모드들의 선택 및 변경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드를 결정하기 이전에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GPRS 네트워크 및 상기 통신 접속이 설정되는 제2 단말기 사이의 통신 접속의 서비스 용량을 기술하는 정보를 상기 GPRS 네트워크에 있는 서버로부터 더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모드들의 선택 및 변경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드는
    실제의 통신 접속을 설정하기 이전에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모드들의 선택 및 변경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은
    단말기가 결정하거나, 사용자가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이루어진 결정을 상기 사용자가 확인하는 방식 중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모드들의 선택 및 변경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드는
    상기 통신 접속시 이루어진 서비스 용량 정보 갱신 이후에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모드들의 선택 및 변경 방법.
  11. 백본 네트워크, 상기 백본 네트워크에 접속된 서버들, 및 단말기들을 포함하며, 통신 모드는 실시간 또는 비실시간 통신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할 수 있으며, 서비스 용량이 국부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변하는 패킷-교환 통신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는
    접속 요청 이후에 통신 접속된 각 단말기에 대해 사용되기 위한 동작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교환 통신 네트워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서 선택되는 상기 동작 모드는
    음성 접속시 상기 단말기에 의해 사용되는 통신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교환 통신 네트워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상기 단말기들은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서 어떠한 서비스를 제어하는 서버 및 상기 서빙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통신 접속에 관한 지시들 또는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교환 통신 네트워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단말기는
    접속 요청 이후에, 상기 단말기에 의해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될 통신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교환 통신 네트워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교환 통신 네트워크는
    GPRS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교환 통신 네트워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GPRS 네트워크는
    음성 접속에 대한 통신 모드들로서 스트리밍 모드 또는 저장-및-재생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교환 통신 네트워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드를 결정하기 이전에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GPRS 네트워크의 서비스 용량을 기술하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는
    설정될 상기 통신 접속의 트래픽 클래스, 상기 접속의 QoS 레벨, 상기 서빙 GPRS 네트워크의 부하 상황, 상기 서빙 GPRS 네트워크의 TBF 절차, 사용되는 상기 무선 링크의 품질 레벨, 또는 전달되는 패킷들의 비트 에러 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교환 통신 네트워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드를 결정하기 이전에, 상기 단말기는
    접속-요청 단말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GPRS 네트워크 및 상기 단말기가 접속을 요청하는 제2 단말기간의 상기 통신 접속의 서비스 용량을 기술하는 정보를 상기 GPRS 네트워크에 있는 서버로부터 더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교환 통신 네트워크.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드는
    실제의 통신 접속을 설정하기 이전에 결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교환 통신 네트워크.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드는
    상기 통신 접속에 대해 이루어진 서비스 용량 정보 갱신 이후에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교환 통신 네트워크.
  21. 수신 수단, 송신 수단, 제어 유닛, 메모리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실시간 또는 비실시간 통신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하기에 적합한, 패킷-교환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서 어떠한 서비스를 제어하는 서버 및 상기 서빙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통신 접속을 기술하는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수신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될 동작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서 선택되는 동작 모드는
    음성 접속시 상기 단말기에 의해 사용되는 통신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GPRS 네트워크에서의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음성 접속을 위한 통신 모드로서 실시간 스트리밍 모드 또는 비 실시간 저장-및-재생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드를 결정하기 이전에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GPRS 네트워크의 서비스 용량을 기술하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는
    설정될 상기 통신 접속의 트래픽 클래스, 상기 접속의 QoS 레벨, 상기 서빙 GPRS 네트워크의 부하 상황, 상기 서빙 GPRS 네트워크의 TBF 절차, 사용되는 상기 무선 링크의 품질 레벨, 또는 전달되는 패킷들의 비트 에러 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드를 결정하기 이전에, 상기 단말기는
    접속-요청 단말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GPRS 네트워크 및 상기 단말기가 접속을 요청하는 제2 단말기간의 상기 통신 접속의 서비스 용량을 기술하는 정보를 상기 GPRS 네트워크에 있는 서버로부터 더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드는
    실제의 통신 접속의 설정 이전에 결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드는
    상기 통신 접속시 이루어진 서비스 용량 정보 갱신 이후에 결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9. 통신 네트워크와 접속된 운영자들의 서비스 용량을 기술하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 및
    단말기의 통신 접속의 품질을 기술하는 단말기-특유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패킷-교환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서버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통신 접속의 동작 모드를 선택 또는 변경하기 위해 통신 접속시 상기 통신 접속의 품질을 기술하는 서버에 저장된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접속 요청 이후에 상기 통신 접속의 품질을 기술하는 정보를 전송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통신 접속 갱신 이후에 상기 통신 접속의 품질을 기술하는 정보를 전송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32. 패킷-교환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한 음성 접속시 통신 모드를 선택 또는 변경하기 위한,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수단으로, 상기 소프트웨어 수단은
    - 서빙 네트워크의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전체의 요청된 통신 링크를 기술하는 정보를 네트워크에 접속된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네트워크의 서비스 용량이 상기 요청된 서비스에 대해 충분한지를 테스트하는 단계, 및
    - 상기 서비스에 접속하는 단계를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수단.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수단은
    - 접속된 상기 서비스가 활성화 상태인지를 검사하는 단계,
    - 접속된 상기 서비스의 접속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 갱신된 서비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의 상기 서비스 용량이 상기 접속된 상기 서비스에 대해 충분한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 결정된 상기 서비스 용량에 따라 서비스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수단.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수단은
    GPRS 네트워크의 단말기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수단.
  35. 제32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수단은
    적절한 단말기에 로딩시키기 위해 데이터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수단.
KR1020057017196A 2003-03-18 2004-03-03 패킷-교환 음성 접속에 대한 작동 모드들을 선택 및변경하기 위한 방법, 통신 네트워크 장치, 통신 네트워크서버, 단말기, 및 소프트웨어 수단 KR1007342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391,409 US7936760B2 (en) 2003-03-18 2003-03-18 Method, communications network arrangement, communications network server, terminal, and software means for selecting and changing operating modes for packet-switched voice connection
US10/391,409 2003-03-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3245A true KR20050103245A (ko) 2005-10-27
KR100734248B1 KR100734248B1 (ko) 2007-07-02

Family

ID=32987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7196A KR100734248B1 (ko) 2003-03-18 2004-03-03 패킷-교환 음성 접속에 대한 작동 모드들을 선택 및변경하기 위한 방법, 통신 네트워크 장치, 통신 네트워크서버, 단말기, 및 소프트웨어 수단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936760B2 (ko)
EP (1) EP1604540B1 (ko)
JP (1) JP2006521046A (ko)
KR (1) KR100734248B1 (ko)
CN (1) CN1802869B (ko)
AT (1) ATE543296T1 (ko)
NO (1) NO20053905L (ko)
RU (1) RU2350046C2 (ko)
TW (1) TWI287404B (ko)
WO (1) WO200408457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327B1 (ko) * 2012-08-08 2014-05-1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적응적 비실시간 트래픽 제어 방법과 그를 위한 단말기
KR20180070867A (ko) * 2016-12-19 2018-06-27 전자부품연구원 복수의 무대장치의 네트워크 시스템 및 무대장치의 네트워크 통신지원 보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73885A1 (en) * 2003-04-30 2004-11-03 Motorola, Inc.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method for power saving with a power aware link adaption function
KR100608834B1 (ko) * 2004-11-29 2006-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gprs 접속 방식 자동 설정 방법
PL1867184T3 (pl) 2005-04-06 2011-07-29 Ericsson Telefon Ab L M Sposób, urządzenie i system do ustanowienia połączenia wstępującego w bezprzewodowej komunikacji komórkowej, mającej opóźnienie zależne od typu połączenia
US20070136473A1 (en) * 2005-12-13 2007-06-14 Birchler Mark A Method for selecting a communications network mode having an optimum efficiency
JP4757710B2 (ja) * 2006-05-31 2011-08-24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移動通信端末、移動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779827B2 (ja) 2006-06-29 2011-09-28 日本電気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制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制御方法
KR100800431B1 (ko) * 2006-09-26 2008-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JP4829135B2 (ja) * 2007-01-19 2011-12-07 富士通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サーバ装置、および端末装置
US8380525B2 (en) * 2007-06-25 2013-02-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ntinued telecommunication with weak links
US8553712B2 (en) * 2008-02-01 2013-10-08 Qualcomm Incorporated Carrier mana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ssigned a set of two or more carriers by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10033820B2 (en) * 2008-07-09 2018-07-24 Alcatel-Lucent Usa Inc. Method and system for opportunistic delivery of less-than-best-effort application data over communication networks
US8274902B2 (en) * 2009-08-12 2012-09-25 Alcatel Lucent Estimation method for loss rates in a packetized network
CN102053581B (zh) * 2009-11-10 2016-05-11 江苏云联科技有限公司 信息采集与控制方法及信息采集与控制系统
WO2011064613A1 (en) * 2009-11-25 2011-06-03 Serela Card sharing countermeasures
EP2752048A4 (en) 2011-08-29 2015-07-15 Empire Technology Dev Llc METHOD FOR ISSUE OF ESTIMATED QOES ON A UTILITY BASE ON APPLICATION BASIS
US8880689B2 (en) 2011-12-22 2014-11-04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Apparatus, mobile terminal, and method to estimate quality of experience of application
GB2505203B (en) 2012-08-22 2017-09-13 Ge Aviat Systems Ltd Method for allocation of network resources in an operations network for a selected environment
US9838544B2 (en) 2014-06-27 2017-12-05 Agora Lab,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quality of a call over network with load leveling and last mile signal indication
US9479412B2 (en) 2014-06-27 2016-10-25 Agora Lab,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quality of a visualized call over network through pathway testing
WO2016148591A1 (en) * 2015-03-18 2016-09-22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transmitting short data during an active call by a dual watch subscriber unit
US10303776B2 (en) * 2015-06-12 2019-05-28 Language Line Services, Inc. Multi-channel cross-modality system for providing language interpretation/translation services
US9805030B2 (en) * 2016-01-21 2017-10-31 Language Line Services, Inc. Configuration for dynamically displaying language interpretation/translation modalitie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4543593A (en) * 1992-07-08 1994-01-31 Bell Atlantic Network Services, Inc. Media server for supplying video and multi-media data over the public telephone switched network
US6009325A (en) * 1995-02-01 1999-12-28 Motorola, Inc. Method of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cellular phone in one of two modes
FI102234B1 (fi) * 1996-01-16 1998-10-30 Nokia Telecommunications Oy Digitaalinen matkaviestinjärjestelmä ja menetelmiä päättyvän puhelun käsittelemiseksi
US6608832B2 (en) * 1997-09-25 2003-08-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Common access between a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and an external network with selectable packet-switched and circuit-switched and circuit-switched services
US6134235A (en) * 1997-10-08 2000-10-17 At&T Corp. Pots/packet bridge
EP0949832A1 (en) * 1998-04-10 1999-10-13 Nortel Matra Cellular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on of a transmission frequency within a given spectrum
US6823005B1 (en) * 1998-08-10 2004-11-23 At&T Corp Link adaptation in wireless networks for throughput maximization under retransmissions
US6459776B1 (en) * 1998-09-29 2002-10-01 Siemen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ized multimedia messaging
FI109400B (fi) * 1999-10-28 2002-07-15 Nokia Corp Menetelmä tiedonsiirtoyhteyden ylläpitämiseksi
US6473467B1 (en) * 2000-03-22 2002-10-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repor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a high efficiency, high performance communications system
FI20002810A (fi) * 2000-12-20 2002-06-21 Nokia Corp Viestintäjärjestelmä
US7433929B2 (en) * 2000-12-29 2008-10-07 At&T Mobility Ii Llc Intelligent network selection based on quality of service and applications over different wireless networks
JP2002359833A (ja) * 2001-03-27 2002-12-13 Hitachi Ltd データ通信システムおよび送信装置、通信端末
US7580424B2 (en) * 2001-09-25 2009-08-25 Hughes Network System,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al-time and non-real-time services over a communications system
US6781962B1 (en) * 2002-02-26 2004-08-24 Jetque Apparatus and method for voice message control
US8666747B2 (en) * 2002-10-31 2014-03-04 Verizon Business Global Llc Providing information regarding interactive voice response session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327B1 (ko) * 2012-08-08 2014-05-1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적응적 비실시간 트래픽 제어 방법과 그를 위한 단말기
KR20180070867A (ko) * 2016-12-19 2018-06-27 전자부품연구원 복수의 무대장치의 네트워크 시스템 및 무대장치의 네트워크 통신지원 보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521046A (ja) 2006-09-14
US20040184461A1 (en) 2004-09-23
TW200423768A (en) 2004-11-01
RU2350046C2 (ru) 2009-03-20
WO2004084573A1 (en) 2004-09-30
RU2005132161A (ru) 2006-02-10
US7936760B2 (en) 2011-05-03
KR100734248B1 (ko) 2007-07-02
EP1604540B1 (en) 2012-01-25
CN1802869B (zh) 2012-06-13
NO20053905D0 (no) 2005-08-22
TWI287404B (en) 2007-09-21
NO20053905L (no) 2005-12-16
EP1604540A1 (en) 2005-12-14
CN1802869A (zh) 2006-07-12
ATE543296T1 (de) 2012-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4248B1 (ko) 패킷-교환 음성 접속에 대한 작동 모드들을 선택 및변경하기 위한 방법, 통신 네트워크 장치, 통신 네트워크서버, 단말기, 및 소프트웨어 수단
EP1271973B1 (en) Dispatch call origination and set up in a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089915B1 (ko) 셀 재선택 동안 통신 연결을 유지하기 위한 통신 제어기 및방법
US20080069065A1 (en) Method of seamlessly roaming between multiple wireless networks using a single wireless network adaptor
TWI387386B (zh) 用以轉發呼叫之方法及裝置
US10588172B2 (en) Method of operation in a dual carrier communication system
US8238900B2 (en) Management of anticipated data outages in a Push-to-X communication system
CN113395785B (zh) 一种辅助链路补偿通话的系统、装置及芯片
US20100034144A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847149B1 (en) Cell reselection in cellular-network-based packet communication
US6907019B2 (en) Communication controller and method for managing the traffic flow of a communication connection during a cell reselection
US7899028B2 (en) Method and system for synchronizing data transmissions in IP-based networks
US200502652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nding IP packets to a mobile station transitioning from dormant state to active state
US7421280B2 (en) Wireless network and wireless access terminals using enhanced SYNC—ID parameter
US779700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access delay in push to talk over cellular (PoC) communications
RU2496260C2 (ru) Способ, контроллер базовой станции и подсистема базовой станции для контроля качества обслуживания
KR100810463B1 (ko) 디지털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링크를 확립하는 방법
KR20040093802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그룹 호 서비스를 위한 무선 링크관리 방법
KR20030059540A (ko) 올 아이피 망에서의 핸드오프 방법
JP2000175258A (ja) 通話チャネル切り替え方式および方法
KR20040001690A (ko)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데이터 세션 호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