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9848B1 -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9848B1
KR102319848B1 KR1020190059430A KR20190059430A KR102319848B1 KR 102319848 B1 KR102319848 B1 KR 102319848B1 KR 1020190059430 A KR1020190059430 A KR 1020190059430A KR 20190059430 A KR20190059430 A KR 20190059430A KR 102319848 B1 KR102319848 B1 KR 102319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ercat
sub
server
switching hub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9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4007A (ko
Inventor
임선
이승용
함운형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059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9848B1/ko
Publication of KR20200134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5/00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 A63J5/02Arrangements for making stage effects; Auxiliary stage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21/00Conjuring appliances; Auxiliary apparatus for conjur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55Coordinated control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Landscapes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의 무대 장치, 상기 복수개의 무대 장치들과 각각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보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보드에 연결되는 제어 모듈, 상기 제어 모듈에 연결되는 메인 서버 및 서브 서버, 상기 메인 서버 조작을 위한 메인 콘솔, 상기 서브 서버 조작을 위한 서브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control system for stage dve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무대 장치 제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무대장치 시스템에서 콘솔 서버 또는 EtherCAT 마스터 모듈의 고장 시 즉시 복구가 가능한 이중 EtherCAT 마스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무대에 사용되는 기기에는 음향기기, 조명기기, 이벤트 발생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무대장치 기기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무대장치들은 무대의 상황에 따라 각각 출력을 다르게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어야 한다. 그런데, 연극이나 오페라, 음악회 등, 공연이 실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사람이 직접 각각의 무대장치를 상황에 따라 직접 조절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중앙 관제소에서 각각의 무대장치를 제어하는 무대장치 제어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종래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은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RS-422 또는 RS-485의 직렬통신을 이용하며, 중앙의 서버에서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통신을 통해 각각의 무대장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종래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은, 단선이나 트래픽 혼잡 등과 같은 통신장애가 발생하게 되면 해당 통신 장애의 복구가 이루어지기 전까지 각각의 무대장치는 중앙 관제소에서 자동으로 제어되지 못하고 사람에 의한 수동조절로 전환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34819호 (공개일자: 2011. 12. 15)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대장치 제어시스템에서 EtherCAT 마스터의 고장이나 통신 장애가 발생할 경우 실시간으로 시스템을 즉시 복구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시스템의 안정성을 확보 할 수 있으며, 다양한 공연장 환경에 적용시킬 수 있는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공연장 무대장치의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콘솔 서버와 무대 장치의 실시간 제어를 담당하는 EtherCAT 마스터와의 시스템 이중화를 기반으로, 음향, 조명 및 영상 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무대 장치에 대하여 콘솔, 서버 또는 EtherCAT 마스터의 장치 고장이나 통신 장애 등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즉각 복구를 지원할 수 있는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대 장치 제어 시스템은 복수개의 무대 장치, 상기 복수개의 무대 장치들과 각각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보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보드에 연결되는 제어 모듈, 상기 제어 모듈에 연결되는 메인 서버 및 서브 서버, 상기 메인 서버 조작을 위한 메인 콘솔, 상기 서브 서버 조작을 위한 서브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메인 서브 및 상기 서브 서버에 연결되는 이더넷 스위칭 허브, 상기 이더넷 스위칭 서브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이더캣 마스터 및 제2 이더캣 마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대 장치 제어 시스템은 상기 제1 이더캣 마스터에 연결되는 제1 이더캣 스위칭 허브, 상기 제2 이더캣 마스터에 연결되는 제2 이더캣 스위칭 허브, 상기 제1 이더캣 스위칭 허브 및 상기 제2 이더캣 스위칭 허브와 상기 슬레이브 보드 사이에 배치되는 제3 이더캣 스위칭 허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콘솔은 상기 제1 이더캣 스위칭 허브의 턴-온 또는 턴-오프 제어를 위한 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콘솔은 상기 제2 이더캣 스위칭 허브의 턴-온 또는 턴-오프 제어를 위한 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대 장치 제어 시스템의 운용 방법은 복수개의 무대 장치 및 상기 복수개의 무대 장치들과 각각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보드에 선택적으로 연결된 메인 서버 및 서브 서버를 포함하는 무대 장치 제어 시스템의 운용 방법에 있어서, 메인 콘솔을 기반으로 상기 메인 서버에 접속하여 이더넷 통신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이더넷 통신이 정상인 경우, 상기 메인 서버에 연결되는 이더캣 통신 인터페이스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이더캣 통신 인터페이스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 서브 콘솔을 기반으로 상기 서브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복수의 무대 장치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용 방법은 상기 이더캣 통신 인터페이스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 상기 메인 서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보드 사이에 연결된 이더캣 스위칭 허브의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에 따르면, 본 발명은 2개의 EtherCAT 마스터를 구성함으로써 공연장 무대장치 시스템의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은 기존의 EtherCAT 슬레이브를 그대로 사용 할 수 있어 하드웨어 연구 개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EtherCAT 이외의 다른 필드버스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케이블의 이중화 또는 하드웨어의 이중화 등이 필요 없으며 시스템 구조를 간결하게 구성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의 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대 장치 제어 시스템 구성 중 제어 모듈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대 장치 제어 시스템의 운용 방법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은 기존의 단일 EtherCAT 마스터 시스템에서 2개의 EtherCAT 마스터가 EtherCAT 스위칭 허브를 이용하여 토폴로지 수정 없이 이중 제어 기술을 지원하여 설치 및 유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기존에 해결하지 못하는 EtherCAT 마스터의 고장이나 통신 장애가 발생하여도 실시간 EtherCAT 스위칭 허브를 이용하여 시스템의 즉시 복구가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은 2개의 EtherCAT 마스터는 서로간의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하여 시스템의 문제 발생 시 즉각적으로 복구가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의 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무대 장치 제어 시스템(50)은 무대 장치(10), 슬레이브 보드(20), 제어 모듈(100), 메인 서버(102), 서브 서버(202), 메인 콘솔(101) 및 서브 콘솔(20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대장치(10)는 무대에 설치되는 음향기기, 조명기기, 영상기기 등으로서, 전기적인 제어가 가능한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도면에서, 무대 장치(10)를 하나의 블록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무대 장치(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음향 기기, 복수개의 조명 기기, 복수개의 영상 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 하나의 무대 장치 구성에 하나의 슬레이브 보드(예: 슬레이브 보드 1 … 슬레이브 보드 N)가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슬레이브 보드는 하나의 보드로 구성될 수 있고, 멀티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복수개의 무대 장치(10)들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슬레이브 보드(20)는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통신을 이용하여 무대장치(10)가 메인 서버(20)와 통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보드(board) 장치로서, 각각의 무대장치(10)에 대응하여 장착된다. 이때, 슬레이브 보드(20)는 실시간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은 각각 무대장치(10)와 연결된다. 슬레이브 보드(20)는 무대장치(10)와 연결된 복수의 실시간 통신모듈을 통해 해당 무대장치(10)와 메인 서버(20) 또는 서브 서버(202) 사이의 통신을 지원한다.
여기서, 실시간 통신모듈은 EtherCAT(Ethernet for Control Automation Technology) 통신모듈, EtherNet/IP 통신모듈, CC-Link IE(Industrial Ethernet) 필드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EtherCAT 통신모듈, EtherNet/IP 통신모듈, CC-Link IE 필드 통신모듈은 각각 EtherCAT 네트워크 프로토콜, EtherNet/IP 네트워크 프로토콜, CC-Link IE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통신모듈을 말한다. 또한, EtherCAT 네트워크 프로토콜, EtherNet/IP 네트워크 프로토콜, CC-Link IE 네트워크 프로토콜은 각각 네트워크 통신의 실시간성을 보장하는 프로토콜로서, 이에 대한 기술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슬레이브 보드(20)는 각 무대 장치(10)와 연결된 비실시간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메인 서버(102)는 상기 슬레이브 보드(20)를 통하여 무대 장치(10) 제어와 관련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서버(102)는 접속된 메인 콘솔(101)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른 정보를 슬레이브 보드(2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무대 장치(1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서버(102)는 각 무대 장치(10)의 특성 또는 종류에 따라 구분되는 다양한 제어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메인 콘솔(101) 제어에 따라 해당 제어 정보를 무대 장치(1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콘솔(101)은 상기 메인 서버(102)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콘솔(101)은 사용자 조작과 관련한 입력부를 포함하고, 사용자 조작에 따른 입력 정보를 메인 서버(102)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콘솔(101)은 상기 제어 모듈(100)과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메인 콘솔(101)은 사용자 조작에 따라 제어 모듈(100)의 제1 특정 모듈의 제어를 위한 입력 정보를 생성하고, 해당 특정 모듈에 입력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콘솔(101)은 제어 모듈(100)의 제1 특정 모듈의 턴-온 또는 턴-오프 제어를 직접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수동 조작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서버(202)는 상기 메인 서버(102)를 백업할 수 있는 서버일 수 있다. 이러한 서브 서버(202)는 상기 무대 장치(10) 운용과 관련한 다양한 제어 정보를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서브 서버(202)는 서브 콘솔(201)과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서브 콘솔(201) 조작에 따른 입력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특정 무대 장치(1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브 콘솔(201)은 상기 서브 서버(202) 조작과 관련한 적어도 하나의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콘솔(201)은 사용자 조작에 따른 입력 정보를 서브 서버(202)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브 콘솔(201)은 상기 제어 모듈(100)의 제2 특정 모듈과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서브 콘솔(201)은 사용자 조작에 따른 특정 입력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특정 입력 정보를 제어 모듈(100)의 특정 모듈에 직접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서브 콘솔(201)은 제어 모듈(100)의 제2 특정 모듈의 턴-온 또는 턴-오프 제어를 직접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수동 조작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100)은 상기 메인 서버(102) 및 서브 서버(202) 중 적어도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제어에 따라, 상기 메인 서버(102) 또는 상기 서브 서버(202)로부터의 제어 정보를 슬레이브 보드(20)를 통해 무대 장치(1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모듈(100)은 메인 서버(102) 및 서브 서버(202)를 선택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각 서버들과 슬레이브 보드(20)를 이중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모듈(100)은 상기 메인 서버(102) 또는 서브 서버(202)와의 통신 연결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특정 서버를 슬레이브 보드(20)에 연결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제어 모듈(100)은 특정 서버(예: 메인 서버(102) 또는 서브 서버(202))와의 통신 연결이 불가능한 경우라 하더라도, 무대 장치(10) 제어를 즉각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대 장치 제어 시스템 구성 중 제어 모듈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모듈(100)은 이더넷 스위칭 허브(151), 제1 이더캣 마스터(103), 제2 이더캣 마스터(203), 제1 이더캣 스위칭 허브(104), 제2 이더캣 스위칭 허브(204), 제3 이더캣 스위칭 허브(1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더넷 스위칭 허브(151)는 메인 서버(102) 및 서브 서버(202)를 스위칭할 수 있다. 상기 이더넷 스위칭 허브(151)는 제1 이더캣 마스터(103) 및 제2 이더캣 마스터(203)와 연결된다. 상기 이더넷 스위칭 허브(151)는 메인 서버(102) 운용 시 메인 서버(102)를 제1 이더캣 마스터(103)와 연결하고, 서브 서버(202) 운용 시 서브 서버(202)를 제2 이더캣 마스터(203)와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더캣 마스터(103)의 일측은 이더넷 스위칭 허브(151)를 통해 메인 서버(102)에 연결되며, 제1 이더캣 마스터(103)의 타측은 제1 이더캣 스위칭 허브(104)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더캣 마스터(103)는 메인 서버(102)의 제어 정보를 슬레이브 보드(20)에 연결되는 무대 장치(10)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더캣 마스터(103)는 상기 이더넷 스위칭 허브(151)를 통해 제2 이더캣 마스터(203)와 통신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 모듈(100)은 제1 이더캣 마스터(103)와 상기 제2 이더캣 마스터(203)를 연결하는 별도의 통신 신호 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더캣 마스터(103)는 제2 이더캣 마스터(203)와 통신을 수행하여 제2 이더캣 마스터(203)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더캣 마스터(103)는 무대 장치(10) 제어와 관련한 시스템 이상 여부를 확인하고, 이상 발생 시, 제2 이더캣 마스터(203)에 이를 안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1 이더캣 마스터(103)는 무대 장치(10) 제어와 관련한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시스템 이상 발생에 대응하는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어 모듈(100)은 시스템 이상 발생을 안내하기 위한 램프, 스피커, 디스플레이, 진동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이더캣 마스터(203)의 일측은 이더넷 스위칭 허브(151)를 통해 서브 서버(202)에 연결되며, 제2 이더캣 마스터(203)의 타측은 제2 이더캣 스위칭 허브(204)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이더캣 마스터(203)는 서브 서버(202)의 제어 정보를 슬레이브 보드(20)에 연결되는 무대 장치(10)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 이더캣 마스터(203)는 상기 이더넷 스위칭 허브(151) 또는 별도의 통신 신호 라인을 통하여 제1 이더캣 마스터(103)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채널을 기반으로 제2 이더캣 마스터(203)는 제1 이더캣 마스터(103)에 대한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2 이더캣 마스터(203)는 무대 장치(10) 제어와 관련한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시스템 이상 여부를 확인하고, 이상 발생 시, 제1 이더캣 마스터(103)에 이를 안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2 이더캣 마스터(203)는 시스템 이상 발생에 대응하는 알람을 제1 이더캣 마스터(103)와 유사하게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어 모듈(100)은 시스템 이상 발생을 안내하기 위한 램프, 스피커, 디스플레이, 진동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더캣 스위칭 허브(104)는 제1 이더캣 마스터(103)와 제3 이더캣 스위칭 허브(152)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더캣 스위칭 허브(104)는 메인 콘솔(101)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이더캣 스위칭 허브(104)는 메인 콘솔(101)의 수동 조작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제1 이더캣 스위칭 허브(104)는 제1 이더캣 마스터(103) 제어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이더캣 스위칭 허브(104)는 제1 이더캣 마스터(103)와 메인 서버(102)를 제2 이더캣 마스터(203)와 서브 서버(202)에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스위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이더캣 스위칭 허브(104)의 전원 차단 여부에 따라, 서브 서버(202)를 독립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인터록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제2 이더캣 스위칭 허브(204)는 제2 이더캣 마스터(203)와 제3 이더캣 스위칭 허브(152)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이더캣 스위칭 허브(204)는 서브 콘솔(201)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이더캣 스위칭 허브(204)는 서브 콘솔(201)의 수동 조작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제2 이더캣 스위칭 허브(204)는 제2 이더캣 마스터(203) 제어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이더캣 스위칭 허브(204)는 제2 이더캣 마스터(203)와 서브 서버(202)를 제1 이더캣 마스터(103)와 메인 서버(102)에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스위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이더캣 스위칭 허브(204)의 전원 차단 여부에 따라, 메인 서버(102)를 독립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인터록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제3 이더캣 스위칭 허브(152)는 제1 이더캣 스위칭 허브(104)와 슬레이브 보드(20) 사이 또는 제2 이더캣 스위칭 허브(204)와 슬레이브 보드(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이더캣 스위칭 허브(152)는 제1 이더캣 스위칭 허브(104)와 제2 이더캣 스위칭 허브(204) 중 어느 하나로 상기 슬레이브 보드(20)를 연결하여, 무대 장치(10) 제어를 위한 제어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본원 발명의 제어 모듈(100)은 기존 일대일 대응 토폴로지 구성에서 이중화가 구현된 콘솔과 콘솔서버 시스템에 2개의 EtherCAT 마스터가 연결됨으로써 문제 발생 시 용이한 시스템 복구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기 개발된 EtherCAT 슬레이브의 하드웨어 수정 없이 그대로 사용 할 수 있으며, EtherCAT 으로 구성된 공연장 무대장치 시스템에 적용 할 수 있어, 다양한 응용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 콘솔(101)에서 사용자가 무대 장치(10) 제어 명령을 조작하며, 문제 발생 시 서브 콘솔(201)로 즉각 대응함으로써 시스템의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2개의 이더캣 마스터들이 서로간의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시스템의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하여 시스템의 문제 발생 시 즉각적인 복구를 가능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대 장치 제어 시스템의 운용 방법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대 장치 제어 시스템의 운용 방법과 관련하여, 210 단계에서, 메인 콘솔(101)과 메인 서버(102) 간에 통신 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메인 서버(102) 접속을 위한 메인 콘솔(101) 조작 또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고, 그에 따라, 메인 콘솔(101)의 메인 서버(102) 접속이 수행되어, 통신 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
220 단계에서, 메인 콘솔(101)이 메인 서버(102)에 접속되면, 제어 모듈(100)은 메인 서버(102)의 이더넷 통신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더넷 통신에 이상이 있는 경우, 230 단계에서, 이더넷 허브 복구를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모듈(100)은 이더넷 통신 이상에 따른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이더넷 통신에 이상이 없는 경우, 제어 모듈(100)은 240 단계에서 서버와 이더캣 통신을 위한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모듈(100)은 메인 서버(102)와 제1 이더캣 마스터(103) 간의 통신 채널 형성을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250 단계에서, 제어 모듈(100)은 이더캣 통신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250 단계에서 이더캣 통신에 이상이 없는 경우, 제어 모듈(100)은 260 단계에서 이더캣 통신을 수행하여, 무대 장치(10)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제어 모듈(100)은 앞서 언급한 230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동작을 재수행하거나, 240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동작을 재수행할 수 있다.
250 단계에서, 이더캣 통신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제어 모듈(100)은 270 단계에서 서브 콘솔(201) 기반의 서브 서버(202) 접속과 관련한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통신 채널 형성에 따라, 280 단계에서, 제어 모듈(100)은 서브 서버(202)에 접속하고, 290 단계에서 서버(예: 서브 서버(202))와 이더캣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 모듈(100)은 250 단계 및 260 단계를 수행하면서, 무대 장치(10) 제어를 수행하고, 이벤트 발생에 따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100)은 서브 서버(202)를 기반으로 이더캣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메인 서버(102)의 이더캣 통신 복구와 관련한 제어 또는 복구 요청을 위한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메인 서버(102)와의 이더캣 통신 복구가 완료되더라도, 제어 모듈(100)은 서브 서버(202)를 통한 무대 장치(10) 제어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100)은 서브 서버(202)를 통한 이더캣 통신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270 단계에서, 메인 콘솔(101) 기반의 메인 서버(102) 접속과 관련한 통신 채널 형성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제어 모듈(100)은 상기 메인 서버(102) 복구 시, 서브 서버(202)와의 이더캣 통신 이상 유무와 관계 없이 메인 서버(102)를 이용한 이더캣 통신을 위한 통신 채널을 구축할 수도 있다.
상술한 동작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어 모듈(100)은 메인 콘솔(101)에서 문제가 발생하여 서브 콘솔(201) 조작이 필요한 경우, 각 콘솔의 수동 조작키를 이용하여 이더캣 스위칭 허브(EtherCAT Switching HUB)(예: 제1 이더캣 스위칭 허브(104))의 전원을 차단함과 동시에 제2 이더캣 스위칭 허브(204)에 전원을 투입하여 인터록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어 모듈(100)은 제1 이더캣 스위칭 허브(104) 및 제2 이더캣 스위칭 허브(204)의 동시 전원 투입을 방지함으로써, 이더캣 토폴로지를 유지하고 슬레이브 보드(20)의 오작동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 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 무대 장치 20: 슬레이브 보드
50: 무대 장치 제어 시스템 100: 제어 모듈
101: 메인 콘솔 102: 메인 서버
103: 제1 이더캣 마스터 104: 제1 이더캣 스위칭 허브
151: 이더넷 스위칭 허브 152: 제3 이더캣 스위칭 허브
201: 서브 콘솔 202: 서브 서버
203: 제2 이더캣 마스터 204: 제2 이더캣 스위칭 허브

Claims (7)

  1. 복수개의 무대 장치;
    상기 복수개의 무대 장치들과 각각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보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보드에 연결되는 제어 모듈;
    상기 제어 모듈에 연결되는 메인 서버 및 서브 서버;
    상기 메인 서버 조작을 위한 메인 콘솔;
    상기 서브 서버 조작을 위한 서브 콘솔; 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콘솔을 기반으로 상기 메인 서버에 접속하여 이더넷 통신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이더넷 통신이 정상인 경우, 상기 메인 서버에 연결되는 이더캣 통신 인터페이스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이더캣 통신 인터페이스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 상기 서브 콘솔을 기반으로 상기 서브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복수개의 무대 장치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메인 서브 및 상기 서브 서버에 연결되는 이더넷 스위칭 허브;
    상기 이더넷 스위칭 서브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이더캣 마스터 및 제2 이더캣 마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제1 이더캣 마스터에 연결되는 제1 이더캣 스위칭 허브;
    상기 제2 이더캣 마스터에 연결되는 제2 이더캣 스위칭 허브;
    상기 제1 이더캣 스위칭 허브 및 상기 제2 이더캣 스위칭 허브와 상기 슬레이브 보드 사이에 배치되는 제3 이더캣 스위칭 허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콘솔은
    상기 제1 이더캣 스위칭 허브의 턴-온 또는 턴-오프 제어를 위한 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콘솔은
    상기 제2 이더캣 스위칭 허브의 턴-온 또는 턴-오프 제어를 위한 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
  6. 복수개의 무대 장치 및 상기 복수개의 무대 장치들과 각각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보드에 선택적으로 연결된 메인 서버 및 서브 서버를 포함하는 무대 장치 제어 시스템의 운용 방법에 있어서,
    메인 콘솔을 기반으로 상기 메인 서버에 접속하여 이더넷 통신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이더넷 통신이 정상인 경우, 상기 메인 서버에 연결되는 이더캣 통신 인터페이스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이더캣 통신 인터페이스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 서브 콘솔을 기반으로 상기 서브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복수의 무대 장치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대 장치 제어 시스템의 운용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더캣 통신 인터페이스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 상기 메인 서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보드 사이에 연결된 이더캣 스위칭 허브의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대 장치 제어 시스템의 운용 방법.
KR1020190059430A 2019-05-21 2019-05-21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KR102319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430A KR102319848B1 (ko) 2019-05-21 2019-05-21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430A KR102319848B1 (ko) 2019-05-21 2019-05-21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007A KR20200134007A (ko) 2020-12-01
KR102319848B1 true KR102319848B1 (ko) 2021-11-01

Family

ID=73790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9430A KR102319848B1 (ko) 2019-05-21 2019-05-21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984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210B1 (ko) 2008-09-23 2009-04-02 제이엠스테이지(주) 무대 기기 제어 시스템
KR101372528B1 (ko) 2013-07-24 2014-03-11 세원에스디에스주식회사 무대전용 축제어시스템
KR101704480B1 (ko) * 2016-07-22 2017-02-10 제이엠스테이지(주) 무대 기기 제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147B1 (ko) 2010-06-09 2011-04-05 주식회사 진성 공연장용 승강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269000B1 (ko) * 2016-12-19 2021-06-25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복수의 무대장치의 네트워크 시스템 및 무대장치의 네트워크 통신지원 보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210B1 (ko) 2008-09-23 2009-04-02 제이엠스테이지(주) 무대 기기 제어 시스템
KR101372528B1 (ko) 2013-07-24 2014-03-11 세원에스디에스주식회사 무대전용 축제어시스템
KR101704480B1 (ko) * 2016-07-22 2017-02-10 제이엠스테이지(주) 무대 기기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007A (ko) 202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9323B1 (ko) 필드버스 네트워크 다중화 시스템
KR102269000B1 (ko) 복수의 무대장치의 네트워크 시스템 및 무대장치의 네트워크 통신지원 보드장치
KR100449010B1 (ko) 게이트웨이의 바이패스 장치
US200702340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hassis management
US10044580B2 (en) Redundantly operable industrial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redundantly operating an industrial communication system
KR20120031303A (ko) 자동화 관리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장치
RU2510932C2 (ru) Система автоматизации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истемой автоматизации
JP2013167922A (ja) 冗長化通信システムおよび冗長化通信方法
JP2018023094A (ja) 多様な構成ユニットを支援可能なソフトウェア定義型ネットワークコントローラ
KR102319848B1 (ko)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KR20160142440A (ko) 인버터 제어 방법
JP2013232764A (ja) システム間同期装置および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マルチシステム
KR101358995B1 (ko) 고가용성 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6580934B2 (ja) 切替装置および切替方法
JP2004234202A (ja) 分散型連動処理システムのプログラムバージョン管理方法
CN109104319B (zh) 一种数据存储装置及方法
JP3913608B2 (ja) 全ての知的タイプなモジュールが同一の使用者入出力インターフェースを共用できる知的タイプな装置
KR102251407B1 (ko)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에서 컨트롤러의 이중화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A2866073A1 (en) Video router
EP1705829B1 (en) System for realizing softswitch allopatric disaster recovery based on packet network
CN109510725B (zh) 通信设备故障检测系统及方法
Yoon et al. RAPIEnet based redundancy control system
JP3884609B2 (ja) 多重化システム
JP2009296161A (ja) 中継装置及び中継プログラム
KR101133716B1 (ko) 백넷을 사용하는 빌딩 자동제어 시스템의 라우터 안정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