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9757A - 안전바 기반의 소화 장치 - Google Patents

안전바 기반의 소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9757A
KR20180069757A KR1020180062153A KR20180062153A KR20180069757A KR 20180069757 A KR20180069757 A KR 20180069757A KR 1020180062153 A KR1020180062153 A KR 1020180062153A KR 20180062153 A KR20180062153 A KR 20180062153A KR 20180069757 A KR20180069757 A KR 20180069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bar
lever
fire extinguishing
trumpe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2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1012B1 (ko
Inventor
정형로
Original Assignee
삼우산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우산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우산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2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1012B1/ko
Publication of KR20180069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9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화 장치용 안전바, 그리고 안전바 기반의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내부 중앙 영역에 홀이 형성되는 와이어 연결단(111); 와이어 연결단(111)과 연결된 구조로 안전바(110)의 상부 레버(170)로 체결 상태에서 본체용기(140)가 놓인 바닥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평면이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 직선형 수직 프레임(116); 및 직선형 수직 프레임(116)과 연결된 구조로 직선형 수직 프레임(116)의 끝단에 집게 형태로 두 개의 곡면형 평판이 마주 보는 형태로 형성되는 탄성 프레임(114); 을 포함하는 소화 장치용 안전바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본체용기(140); 본체 용기(140)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레버(170) 및 하부 레버(180)의 이격 공간에 해당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안전바(110); 및 상부 레버(170), 안전바(110) 및 하부 레버(180)를 차례로 연결하는 와이어(121)와 하부 레버(180)와 연결된 와이어(121)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체(122)로 이루어진 분실방지단(120); 을 포함하는 안전바 기반의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안전바를 이용해 화재 진압시 신속한 분리를 통해 화재 진압의 효율을 높이고, 보관시 안전핀에 비해 이탈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나팔형태의 배출 구조를 이용해 방사상으로 소화액이 넓은 공간으로의 일시적인 분사를 통해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분리 및 조립이 용이하며, 특히 상부 커버의 분리를 통해 소화액을 담고 있는 본체용기를 주기적으로 교체할 수 있어서 내부의 소화액의 유통기한 경과로 소화기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경제적 낭비를 줄일 수 있어서 경제적인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봉인 스티커를 제공함으로써, 임의로 떼어내거나 소화기의 사용시 훼손으로 인해 사용 여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안전바 기반의 소화 장치{FIRE EXTINGUISHER BASED ON SAFETY BAR}
본 발명은 소화 장치용 안전바, 그리고 안전바 기반의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화기를 구성하는 두 개의 레버 공간 사이의 형상을 활용한 안전바와, 공간 활용도와 배출 효율 향상을 위한 나팔형태의 배출 구조를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장치용 안전바, 그리고 안전바 기반의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소화기는 소화기가 실수로 분사될 경우를 대비하여 위 손잡이인 상부 레버와 아래 손잡이인 하부 레버 사이에 양 레버의 측면에 안전핀이 있어서 안전핀을 뽑지 않은 상태에서는 누를 수 없는 구조로 형성된다. 소화기를 분사해야 할 경우에는 먼저 안전핀을 분리하고 수행하여야 하는데, 모든 화재에 있어 초기 진화가 가장 중요한데 화재시 당황하여 손잡이 옆에 있는 안전핀을 쉽게 뽑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며, 특히 소재로 금속이 사용되어 시간이 지나면 녹슬어서 잘 뽑히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여 문제시되고 있다.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1183578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의 제거의 신속성이 떨어지는 안전핀을 안전바로 대체함으로써, 화재 진압시 신속하게 제거가 가능하고 보관시 안전핀에 비해 이탈 여부의 확인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소화 장치용 안전바, 그리고 안전바 기반의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소화기 호스를 없애고 나팔형태의 배출 구조를 이용해 방사상으로 소화액이 분사되어 넓은 공간의 일시적인 분사를 통해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소화 장치용 안전바, 그리고 안전바 기반의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각 구성요소의 분리 및 조립이 용이하며 특히 상부 커버의 분리를 통해 소화액을 담고 있는 본체용기를 주기적으로 교체할 수 있어서 내부의 소화액의 유통기한 경과로 소화기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경제적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소화 장치용 안전바, 그리고 안전바 기반의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봉인 스티커를 제공함으로써, 임의로 떼어내거나 소화기의 사용시 훼손으로 인해 사용 여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소화 장치용 안전바, 그리고 안전바 기반의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화 장치용 안전바는, 내부 중앙 영역에 홀이 형성되는 와이어 연결단(111), 와이어 연결단(111)과 연결된 구조로 안전바(110)의 상부 레버(170)로 체결 상태에서 본체용기(140)가 놓인 바닥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평면이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 직선형 수직 프레임(116), 및 직선형 수직 프레임(116)과 연결된 구조로 직선형 수직 프레임(116)의 끝단에 집게 형태로 두 개의 곡면형 평판이 마주 보는 형태로 형성되는 탄성 프레임(11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 장치용 안전바에 있어서, 탄성 프레임(114)은, 상부 레버(170)에서 체결 홈(172)이 형성된 평판 형태의 상부 레버(170)에서 하부 레버(180)와 수직 방향으로 맞닿는 지지단의 체결 영역(170b)을 양쪽에서 감싸는 형태로 안전바(110)가 체결된 뒤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 장치용 안전바에 있어서, 체결 영역(170b)은, 수평 방향에서 상부 레버 지지단의 전체 직경 보다 직경이 작은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 장치용 안전바에 있어서, 와이어 연결단(111)은, 내부 중앙 영역에 직경이 차별화된 상단 장착홀(112) 및 하단 장착홀(113)이 상하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부 레버(170)로 탈착되는 탄성 프레임(114)과는 1자 형태의 직선형 수직 프레임(116)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바 기반의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는, 본체용기(140), 본체 용기(140)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레버(170) 및 하부 레버(180)의 이격 공간에 해당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안전바(110), 및 상부 레버(170), 안전바(110) 및 하부 레버(180)를 차례로 연결하는 와이어(121)와 하부 레버(180)와 연결된 와이어(121)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체(122)로 이루어진 분실방지단(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바 기반의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에 있어서, 와이어(121)는, 상부 끝단이 상부 레버(170)의 상부 고정홈(171)으로 삽입되어, 안전바(110)의 와이어 연결단(111) 내부의 상단 장착홀(112) 및 하단 장착홀(113)을 차례로 통과한 뒤, 하부 레버(180)의 하부 고정홀(181)을 통과하여, 안전바(110)가 중간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부 레버(170)와 하부 레버(180)를 연결하는 구조를 형성하며, 하부 끝단으로는 고정체(122)와 연결된 구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바 기반의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는, 본체용기(140)로부터 분리되는 구조를 갖으며, 반원구 형태로 중앙에 도입관 고정체(195)가 통과할 수 있는 영역이 형성되는 상부 커버(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바 기반의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에 있어서, 고정체(122)는, 고리(ring)와 원판 중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바 기반의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는, 하부 레버 지지단(180b)의 전면 외측을 감싸서 형성되며, 분출구가 통과하기 위한 홀을 구비하여, 외측에서 분출구를 향해 나팔형 분출부(150)와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분출부 연결단(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바 기반의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에 있어서, 나팔형 분출부(150)는, 상하의 끝단이 절단된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어 방사상으로 소화액이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바 기반의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는, 상부 레버(170)와 하부 레버(180)에 대한 외력 제공에 의해 발생된 수직압력에 의해 본체용기(140) 내부의 소화액이 상부로 이동시켜, 분출구와 연결된 나팔형 분출부(150)를 통해 분사되도록 하는 도입관(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바 기반의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는, 상부 레버(170)와 하부 레버(180) 사이에 형성된 봉인 스티커(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바 기반의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는, 상부 레버(170)와 하부 레버(180) 사이를 연결하는 상부 레버 지지단에 봉인 스티커(200)가 부착되어, 상부 레버(170)와 하부 레버(180)가 사용자의 완력에 의해 펌핑 동작을 수행하거나 안전바(110)를 제거하면, 봉인 스티커(200)가 자동으로 훼손되어 사용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바 기반의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에 있어서, 봉인 스티커(200)는, 떼어내는 경우 부서져서 라벨 훼손 없이는 뗄 수 없는 스티커인 파괴라벨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화 장치용 안전바, 그리고 안전바 기반의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는, 안전바를 이용해 화재 진압시 신속한 분리를 통해 화재 진압의 효율을 높이고, 보관시 안전핀에 비해 이탈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 장치용 안전바, 그리고 안전바 기반의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는, 나팔형태의 배출 구조를 이용해 방사상으로 소화액이 넓은 공간으로의 일시적인 분사를 통해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 장치용 안전바, 그리고 안전바 기반의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는, 각 구성요소의 분리 및 조립이 용이하며, 특히 상부 커버의 분리를 통해 소화액을 담고 있는 본체용기를 주기적으로 교체할 수 있어서 내부의 소화액의 유통기한 경과로 소화기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경제적 낭비를 줄일 수 있어서 경제적인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 장치용 안전바, 그리고 안전바 기반의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는, 봉인 스티커를 제공함으로써, 임의로 떼어내거나 소화기의 사용시 훼손으로 인해 사용 여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바 기반의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100)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바 기반의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100)에서의 안전바(110)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바 기반의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100)에서의 상부 레버(170), 하부 레버(180), 안전바(110), 그리고 분실방지단(120) 간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바 기반의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100)에서의 본체용기(140)와 상부 커버(130) 및 도입관(190) 간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바 기반의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100)에서의 나팔형 분출부(150), 분출부 연결단(160) 및 하부 레버(180) 간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바 기반의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100)에서의 하부 레버(180) 및 분출구 구비형 하부 레버 연결단(180a) 간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바 기반의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100)에서의 상부 레버 연결단(170a) 및 수평 회전축(170c)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바 기반의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100)에서의 안전바(110) 및 분실방지단(120)의 분리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바 기반의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100)에서의 안전바(110)의 탈착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바 기반의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100) 중 안전바(110)의 체결 돌기(115)와 상부 레버(170)의 체결 홈(172)의 체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바 기반의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100)에서 상부 레버(170)와 하부 레버(180) 사이에 봉인 스티커(200)를 부착하여 마감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바 기반의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100)에서의 봉인 스티커(200)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화 장치용 안전바, 그리고 안전바 기반의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바 기반의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바 기반의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100)에서의 안전바(110)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바 기반의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100)에서의 상부 레버(170), 하부 레버(180), 안전바(110), 그리고 분실방지단(120) 간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바 기반의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100)에서의 본체용기(140)와 상부 커버(130) 및 도입관(190) 간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바 기반의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100)에서의 나팔형 분출부(150), 분출부 연결단(160) 및 하부 레버(180) 간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바 기반의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100)에서의 하부 레버(180) 및 분출구 구비형 하부 레버 연결단(180a) 간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바 기반의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100)에서의 상부 레버 연결단(170a) 및 수평 회전축(170c)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안전바 기반의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100)는 주요 구성요소로 안전바(110), 분실방지단(120), 상부 커버(130), 본체용기(140), 나팔형 분출부(150), 분출부 연결단(160), 상부 레버(170), 하부 레버(180) 그리고 도입관(190)을 구비한다.
안전바(110)는 와이어 연결단(111), 상단 장착홀(112), 하단 장착홀(113), 탄성 프레임(114), 체결 돌기(115) 그리고 직선형 프레임(116)을 구비하여 금속제가 아닌 난연성 소재로 형성된다.
또한, 안전바(110)는 안전바는 결합 시 상부레버(170) 및 하부레버(180)의 이격된 영역 사이를 전체적으로 채우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부레버(170)의 면밀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안전바(110)는 상부레버의 길이 방향 전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한다. 종래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바(110)와 유사한 스토퍼 또는 안전플레이트 등을 채용하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러한 스토퍼 또는 안전플레이트는 상부 레버 또는 하부 레버의 이격된 영역 사이를 전체적으로 채우지 않아 안정성 문제가 유발되었다.
여기서 와이어 연결단(111)은 기둥 형상으로 내부 중앙 영역에 직경이 차별화된 상단 장착홀(112) 및 하단 장착홀(113)이 상하의 수직 방향으로 내부에 형성되며, 상부 레버(170)에 대해서 탈착되는 탄성 프레임(114)과는 1자 형태의 직선형 수직 프레임(116)을 통해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직선형 수직 프레임(116)은 안전바(110)의 상부 레버(170)로 체결 상태에서의 구조가 본체용기(140)의 하부 끝단에 형성된 용기 받침(140a)의 상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평면이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직선형 프레임(116)은 손가락 삽입홀이 구비되며, 그 밖의 통기구를 구비할 수 있다.
탄성 프레임(114)은 직선형 수직 프레임(116)의 끝단에 집게 형태와 같은 두 개의 곡면형 평판이 마주 보도록 형성됨으로써, 평판 형태의 상부 레버(170)에서 하부 레버(180)와 수직 방향으로 맞닿는 지지단의 체결 영역(170b)을 양쪽에서 감싸는 형태로 안전바(110)가 체결되는 경우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체결 영역(170b)은 수평 방향에서 지지단의 전체 직경 보다 직경이 작은 영역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바(11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부 레버(170)와 하부 레버(180)의 이격된 영역 사이를 전체적으로 채우면서 탄성프레임(116)의 집게 형태의 곡면형 평판이 안전바를 더욱 고정시키게 되어 견고한 고정 및 이와 반대로 안전바의 제거가 모두 원활하게 수행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바(110)는 상하부 레버의 작동을 안전바가 막고 있는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이 가능하므로 긴급한 상황에서 당황하지 않고 제거가 가능하다. 또한, 안전바가 상하부 레버 사이에 위치하므로 이탈 가능성이 적으며, 그 재질이 합성 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부식되어 이탈 되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한다.
분실방지단(120)은 와이어(121) 및 고정체(122)의 일체로 이루어진다.
와이어(121)는 상부 끝단이 상부 레버(170)의 끝단에 형성된 상부 고정홈(171)으로 삽입되어, 안전바(110)의 와이어 연결단(111) 내부의 상단 장착홀(112) 및 하단 장착홀(113)을 차례로 통과한 뒤, 하부 레버(180)의 끝단에 형성된 하부 고정홀(181)을 통과시켜 형성된다. 즉, 와이어(121)는 안전바(110)가 중간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부 레버(170)와 하부 레버(180)를 연결하는데 사용되며, 하부 끝단에서는 고정체(122)와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고정체(122)는 고리, 원판 등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안전바(110)가 상부 레버(170) 및 하부 레버(180) 사이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부 레버(170)의 상부 고정홈(171)에 고정된 상태에서의 와이어(121)와 연결된 고정체(122)는 하부 레버(180)의 하부면 상의 하부 고정홀(181)이 위치한 지점까지 상향으로 위치 이동 후 와이어(121)가 하부 고정홀(181)을 통과하여 빠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전바(110)의 안전바 기반의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100)로부터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상부 커버(130)는 본체용기(140)로부터 분리되는 구조를 갖으며, 반원구 형태로 중앙에 도입관 고정체(195)가 통과하여 고정될 수 있는 영역이 형성된다.
여기서 도입관 고정체(195)는 상부 커버(130)의 중앙 홀에 삽입됨과 함께, 하단을 통해 도입관(190)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삽입된 도입관(190)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체를 감고 있는 중심축(c)을 통해 상부 레버 연결단(170a)의 연결을 통해 고정된 구조를 갖는다(도 7 참조). 즉, 본 실시예에서의 상부 커버(130)는 중앙이 개구되어 도입관 고정체가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도입관 고정체(195)과 상부 레버 연결단(170a)을 연결하는 중심축(c)의 외부로는 분출구 구비형 하부 레버 연결단(180a)으로 감싸진 구조를 갖는다(도 6 참조).
한편, 상부 레버 연결단(170a)의 내측 회전 터미널과 분출구 구비형 하부 레버 연결단(180a)의 외측 회전 터미널을 관통하여 연결하기 위해 분출구와 인접한 영역에 수평 회전축(170c)을 통해 고정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수평 회전축(170c)은 하부 레버 지지단(180b)의 지지단 고정홀(180b-1)로 삽입되어 고정된 구조를 갖는다.
분출부 연결단(160)은 하부 레버 지지단(180b)의 전면 외측을 감싸서 형성되며, 분출구가 통과하기 위한 홀을 구비함으로써, 외측에서 분출구를 향해 나팔형 분출부(150)와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본체용기(140)는 원통 형상으로 축압식 소화분말을 담고 있으며, 상부면은 상부 커버(130)의 하부면과 포개지게 결합할 수 있는 반구형으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외력으로부터의 보호를 위한 용기 받침(140a)을 구비할 수 있다.
나팔형 분출부(150)는 종래의 소화 호스 대신에 상하의 끝단이 절단된 원추 형상으로 방사상으로 소화액이 분사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도입관(190)을 통해 상부 레버(170)와 하부 레버(180)에 대한 외력 제공에 의해 발생된 수직압력에 의해 소화액이 상부로 이동한 뒤, 분출구와 연결된 나팔형 분출부(150)를 통해 분사될 수 있다.
종래의 호스형 소화기는 화재의 화원에 맞추어 분출 방향을 여러 번 수정해야 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팔형 분출부는 넓은 공간의 경우에도 일시에 소화액의 분출이 가능하므로 분출방향을 수정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신속한 화재의 진압이 가능하다. 또한, 호스없이 나팔형 분출부가 소화기에 붙어 있으므로 이탈의 가능성을 현저히 저감하였다.
한편, 압력 게이지(130a)가 분출부 연결단(160)과 하부 레버 지지단(180b)의 맞닿은 영역에 형성되며, 내부의 도입관 고정체(195)를 통과한 소화액의 압력을 측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압력 게이지(130a)는 아날로그 압력 게이지 또는 디지털 압력 게이지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바 기반의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100)에서의 안전바(110) 및 분실방지단(120)의 분리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안전바 기반의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100)는 안전바(110)가 탈부착이 가능하며, 상부 레버(170), 하부 레버(180), 나팔형 분출부(150), 분출부 연결단(160), 그리고 상부 커버(130)가 각각 분리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특히 상부 커버(130)를 분리함으로써, 본체용기(140)를 리필(refill) 형태로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바 기반의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100)에서의 안전바(110)의 탈착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바 기반의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100) 중 안전바(110)의 체결 돌기(115)와 상부 레버(170)의 체결 홈(172)의 체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상부 레버(170)의 체결 영역으로 두 개의 곡면형 평판이 마주 보는 형태의 탄성 프레임(114)이 좌우로 벌어지면서 체결됨으로써, 안전바(110)를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도 10을 참조하면, 두 개의 곡면형 평판이 마주 보는 형태의 탄성 프레임(114)의 중앙 영역에 형성된 체결 돌기(115)가 상부 레버(170)에서 지지단의 체결 영역(170b)에 형성된 체결 홈(172)으로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안전바(110)가 흔들리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바 기반의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100)에서 상부 레버(170)와 하부 레버(180) 사이에 봉인 스티커(200)를 부착하여 마감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에 봉인 스티커(200)를 부착한 도 11b의 도면과 같이, 상부 레버(170)와 하부 레버(180) 사이를 연결하는 상부 레버 지지단에 봉인 스티커(200)를 부착함으로써, 상부 레버(170)와 하부 레버(180)가 사용자의 완력에 의해 펌핑 동작을 수행하거나, 사용자가 안전바(110)를 제거하면, 봉인 스티커(200)가 자동으로 훼손되어 사용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종래에는 별도의 봉인줄을 이용하였는데, 종래의 봉인줄은 외부로 돌출되어 다른 물건에 걸리는 경우가 빈번하여 화재 상황이 아닌 경우에 그 관리가 용이하지 않았던 점을 현저하게 개선하였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바 기반의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100)에서의 봉인 스티커(200)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a를 참조하면, 봉인 스티커(200)는 임의로 떼어낼 경우 부서져서 라벨 훼손 없이는 뗄 수 없는 스티커로 파괴라벨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봉인 스티커(200)는 이중박리 파괴 스티커로 떼어나면 얇은 필름막이 분리되면서 재부착이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인 스티커(200)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안전바 기반의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
110 : 안전바
111 : 와이어 연결단
112 : 상단 장착홀
113 : 하단 장착홀
114 : 탄성 프레임
115 : 체결 돌기
116 : 직선형 프레임
120 : 분실방지단
121 : 와이어
122 : 고정체
130 : 상부 커버
130a : 압력 게이지
140 : 본체용기
140a : 용기 받침
150 : 나팔형 분출부
160 : 분출부 연결단
170 : 상부 레버
170a : 상부 레버 연결단
170b : 체결 영역
170c : 수평 회전축
171 : 상부 고정홈
172 : 체결 홈
180 : 하부 레버
180a : 분출구 구비형 하부 레버 연결단
180b : 하부 레버 지지단
180b-1 : 지지단 고정홀
181 : 하부 고정홀
190 : 도입관
195 : 도입관 고정체

Claims (5)

  1. 본체 용기:
    본체 용기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레버 및 하부 레버;
    결합 시에 상부 레버 또는 하부 레버의 작동을 방지하는 합성 수지 재질의 안전바; 및
    본체 용기로부터 분리되는 구조를 가지며, 반원구 형태로 중앙에 도입관 고정체가 통과할 수 있는 영역이 형성되는 상부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바는 결합 시 상기 상부레버 및 하부레버의 이격된 영역 사이를 전체적으로 채우도록 설치되고 본체용기가 놓인 바닥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평면이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 수직 프레임, 및
    상기 수직 프레임의 끝단에서 연장되어 두 개의 곡면형 평판이 마주 보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레버 및 하부레버의 이격된 영역을 감싸도록 채우는 탄성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바 기반의 소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부 레버, 안전바 및 하부 레버를 차례로 연결하는 와이어; 와 하부 레버와 연결된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체로 이루어진 분실방지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바 기반의 소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안전바가 중간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부 레버와 하부 레버를 연결하는 구조를 형성하며, 하부 끝단으로는 고정체와 연결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바 기반의 소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하의 끝단이 절단된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어 방사상으로 소화액이 분사되도록 하는 나팔형 분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바 기반의 소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부 레버와 하부 레버에 대한 외력 제공에 의해 발생된 수직압력에 의해 본체용기 내부의 소화액이 상부로 이동시켜, 분출구와 연결된 나팔형 분출부를 통해 분사되도록 하는 도입관;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바 기반의 소화 장치.
KR1020180062153A 2018-05-30 2018-05-30 안전바 기반의 소화 장치 KR102091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153A KR102091012B1 (ko) 2018-05-30 2018-05-30 안전바 기반의 소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153A KR102091012B1 (ko) 2018-05-30 2018-05-30 안전바 기반의 소화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8717A Division KR20180044775A (ko) 2016-10-24 2016-10-24 안전바 기반의 소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9757A true KR20180069757A (ko) 2018-06-25
KR102091012B1 KR102091012B1 (ko) 2020-03-23

Family

ID=62806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2153A KR102091012B1 (ko) 2018-05-30 2018-05-30 안전바 기반의 소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1012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2131Y2 (ja) * 1981-10-29 1985-09-25 金井 宏之 カ−ドロ−ラのバ−シ−ズ除去装置
KR890009269Y1 (ko) * 1984-01-05 1989-12-20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패니 가압-불투명성 개봉 여부 확인 테이프
JPH11104022A (ja) * 1997-10-01 1999-04-20 Masanori Endo 噴射式食材調合用調理器具および食材の調合方法
KR200316486Y1 (ko) * 2003-03-05 2003-06-18 만도 이 물뿌리개의 분사구
KR200344303Y1 (ko) * 2003-12-19 2004-03-12 주식회사 육송 소화기용 분사노즐
KR20050047907A (ko) * 2003-11-18 2005-05-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캡 분실방지 끈 장착구조
JP2006240638A (ja) * 2005-03-01 2006-09-14 Mitani Valve Co Ltd ストッパ部材、噴射装置、および噴出器
KR101183578B1 (ko) 2012-05-24 2012-09-17 삼우산기 주식회사 안전핀 봉인 구조를 갖는 소화기용 그립유닛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32131B2 (ja) * 2013-05-31 2016-11-24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温度センサ回路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2131Y2 (ja) * 1981-10-29 1985-09-25 金井 宏之 カ−ドロ−ラのバ−シ−ズ除去装置
KR890009269Y1 (ko) * 1984-01-05 1989-12-20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패니 가압-불투명성 개봉 여부 확인 테이프
JPH11104022A (ja) * 1997-10-01 1999-04-20 Masanori Endo 噴射式食材調合用調理器具および食材の調合方法
KR200316486Y1 (ko) * 2003-03-05 2003-06-18 만도 이 물뿌리개의 분사구
KR20050047907A (ko) * 2003-11-18 2005-05-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캡 분실방지 끈 장착구조
KR200344303Y1 (ko) * 2003-12-19 2004-03-12 주식회사 육송 소화기용 분사노즐
JP2006240638A (ja) * 2005-03-01 2006-09-14 Mitani Valve Co Ltd ストッパ部材、噴射装置、および噴出器
KR101183578B1 (ko) 2012-05-24 2012-09-17 삼우산기 주식회사 안전핀 봉인 구조를 갖는 소화기용 그립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1012B1 (ko) 2020-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20929B2 (en) Protective cap of sprinkler head and sprinkler head
US9320927B2 (en) Sprinkler protection system
KR20150143807A (ko) 액체 포장 용기
KR101645821B1 (ko) 샤워기 헤드
EP2576396B1 (en) Swing bolt splash shield
JP2019516461A (ja) スプリンクラーノズルの保護キャップ、保護キャップの使用、及び、パイプラインへのスプリンクラーノズルの組立及び/又は分解方法
KR20180069757A (ko) 안전바 기반의 소화 장치
TW201840368A (zh) 液體材料儲存容器用蓋及液體材料儲存容器
KR20180044775A (ko) 안전바 기반의 소화 장치
EP3448531B1 (en) Housing device for hoses of fire extinguishers and/or fire hydrants
KR101936408B1 (ko) 용기 교체 및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
JP2005185807A (ja) 消火器
CN101902983A (zh) 用于压缩气体牙间隙清洁器的保护组件
KR101519801B1 (ko) 분리가 용이한 안전핀을 구비한 소화기
KR100704893B1 (ko) 오발 방지용 안전 소화기
KR102111511B1 (ko) 소화기가 구비된 대중교통 안전 손잡이 조립체
KR20180044780A (ko) 봉인 스티커 기반의 소화 장치
US11708971B2 (en) Signalling device for extinguishers and/or hydrants
JP2013000575A (ja) 消火器設置金具
KR200382738Y1 (ko) 지시 압력계가 일체로 장착된 소화기용 밸브
KR102357412B1 (ko) 스프링클러
JP3216291U (ja) 破裂による加圧式消火器の飛散防御装置
CN211634983U (zh) 一种灭火器阀体的连接结构
CN219700894U (zh) 一种配备容纳包的灭火器
JP2012216049A (ja) 発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