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6408B1 - 용기 교체 및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 - Google Patents

용기 교체 및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6408B1
KR101936408B1 KR1020170113915A KR20170113915A KR101936408B1 KR 101936408 B1 KR101936408 B1 KR 101936408B1 KR 1020170113915 A KR1020170113915 A KR 1020170113915A KR 20170113915 A KR20170113915 A KR 20170113915A KR 101936408 B1 KR101936408 B1 KR 101936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container
lever
trumpet
fire extingu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형로
Original Assignee
삼우산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우산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우산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3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64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0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in annular, tubular or hollow conical for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교체 및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교체형 용기 본체(120)의 상단과 체결 및 분리되는 구조를 갖으며, 하단의 단면은 원이며, 상단의 단면은 사각 형상의 통 형상으로 중앙에 체결 중앙홀(111)을 구비하여, 상부로 분사 몸체(180)의 제 2 체결통(181)이 통과하여 하부의 상부 몸체(110)의 용기 체결 몸체(170)의 제 1 체결통(171)로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상부 몸체(110); 하단이 상단보다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원통 형상으로 축압식 소화분말을 담고 있으며, 상부면은 용기 체결 몸체(170)의 하단면과 포개지게 결합할 수 있는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외력으로부터의 보호를 위한 용기 받침(120a)을 구비하는 교체형 용기 본체(120); 및 상하의 끝단이 절단된 원추 형상으로 방사상으로 축압식 소화분말이 분사되도 하기 위해 상부 레버(150)와 하부 레버(160)에 대한 외력 제공에 의해 수직압력이 발생시, 분사 몸체(180)의 하부 끝단에 연결된 구조의 도입관을 통해 축압식 소화분말이 용기 체결 몸체(170)의 제 1 체결통(171), 분사 몸체(180)의 제 2 체결통(181)을 통과한 뒤, 제 2 체결통(181)과 수직면상에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분사 몸체(180)에 형성된 분사홀(186)을 통해 제공받아 외부로 분사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나팔형 분출부(1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각 구성요소의 분리 및 조립이 용이하며, 특히 용기 본체의 상단의 분리를 통해 소화물질을 담고 있는 용기 본체를 주기적으로 교체할 수 있어서 내부의 소화물질의 유통기한 경과로 소화기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경제적 낭비를 줄일 수 있어서 경제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나팔형태의 배출 구조를 이용해 방사상으로 소화액이 넓은 공간으로의 일시적인 분사를 통해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하여 초기 진화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안전바를 이용해 화재 진압시 신속한 분리를 통해 화재 진압의 효율을 높이고, 보관시 안전핀에 비해 이탈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봉인 스티커를 제공함으로써, 임의로 떼어내거나 소화기의 사용시 훼손으로 인해 사용 여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용기 교체 및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FIRE EXTINGUISHER WITH HORN-SHAPED SPOUT AND CONTAINER REPLACEMENT STRUCTURE}
본 발명은 용기 교체 및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용기의 교체가 용이하며 종래의 호스 구조가 아닌 나팔형 분출 구조를 통해 초기 진화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도록 하기 위한 용기 교체 및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화재의 발생시에 초기진화 또는 소방차가 출동할 때까지 화재의 확산을 지연시킬 목적으로 소화기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종래의 소화기 일례로 내부에 소화약제가 충전되는 원통형 상의 약제통이 구비되고, 이 약제통의 내부에는 소화약제를 가압 배출시킬 수 있도록 가압가스가 충전된 밀폐용기 형태의 인플레이터가 내장되어 있으며, 또한 약제통의 내부에는 인플레이터를 개방하도록 개방핀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개방핀에 의해 상기 인플레이터가 개방되어 가압가스가 분출되도록 유도하는 가스관과 가스관을 통해 분출된 가압가스에 의해 소화약제가 약제통 외부로 분사되도록 유도하는 약제관이 내장되어 있다.
또한, 다른 종래의 소화기의 구조로 소화액이 내장된 소화기본체의 입구부분에 밀폐하우징에 탄산가스가 압축된 탄산가스통을 소화기본체 내부에 설치하고 탄산가스통의 분출마개 상측에 작동핀공간부를 형성하여 오링이 결합된 작동핀 상측의 밀폐하우징에 전원선과 연결된 화약발사기를 결합시킨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종래의 소화기는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주로 가압가스를 활용함으로써 소화가스에 대한 관리 및 교체가 번잡스럽고 사고의 위험도 발생하고 있다. 또한, 분사구를 주로 호스를 활용함으로써, 분사되는 면적이 작아서 초기 진화시에 효율이 떨어지는 한계점이 있어 왔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3-0081332호 "스프레이식 휴대용 소화기(SPRAY TYPE PORTABLE FIRE EXTINGUISHER)"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1183578호 "안전핀 봉인 구조를 갖는 소화기용 그립유닛(GRIP UNIT FOR FIRE EXTINGUISHER)"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1610183호 "소화기 안전핀 자동제거장치(FIRE EXTINGUISHER SAFETY PIN AUTOMATIC REMOVAL DEVICE)"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1513426호 "손잡이를 움켜잡아도 안전핀이 제거되는 패닉 방지용 소화기(THE FIRE-EXTINGUISHER FOR PREVENTING PANIC)"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출원번호 제20-2005-0006533호 "소화기 안전핀 구조(THE FIRE EXTINGUISHER SAFETY PIN STRUCTURE)"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의 분리 및 조립이 용이하며, 특히 용기 본체의 상단의 분리를 통해 소화물질을 담고 있는 용기 본체를 주기적으로 교체할 수 있어서 내부의 소화물질의 유통기한 경과로 소화기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경제적 낭비를 줄일 수 있어서 경제적인 효과를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용기 교체 및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나팔형태의 배출 구조를 이용해 방사상으로 소화액이 넓은 공간으로의 일시적인 분사를 통해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하여 초기 진화의 효율을 극대화하도록 하기 위한 용기 교체 및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든 화재에 있어 초기 진화가 가장 중요한데 화재시 당황하여 손잡이 옆에 있는 안전핀을 쉽게 뽑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며, 특히 소재로 금속이 사용되어 시간이 지나면 녹슬어서 잘 뽑히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여 문제시되고 있어, 안전바를 이용해 화재 진압시 신속한 분리를 통해 화재 진압의 효율을 높이고, 보관시 안전핀에 비해 이탈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용기 교체 및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봉인 스티커를 제공함으로써, 임의로 떼어내거나 소화기의 사용시 훼손으로 인해 사용 여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용기 교체 및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교체 및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는, 교체형 용기 본체(120)의 상단과 체결 및 분리되는 구조를 갖으며, 하단의 단면은 원이며, 상단의 단면은 사각 형상의 통 형상으로 중앙에 체결 중앙홀(111)을 구비하여, 상부로 분사 몸체(180)의 제 2 체결통(181)이 통과하여 하부의 상부 몸체(110)의 용기 체결 몸체(170)의 제 1 체결통(171)로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상부 몸체(110); 하단이 상단보다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원통 형상으로 축압식 소화분말을 담고 있으며, 상부면은 용기 체결 몸체(170)의 하단면과 포개지게 결합할 수 있는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외력으로부터의 보호를 위한 용기 받침(120a)을 구비하는 교체형 용기 본체(120); 및 상하의 끝단이 절단된 원추 형상으로 방사상으로 축압식 소화분말이 분사되도 하기 위해 상부 레버(150)와 하부 레버(160)에 대한 외력 제공에 의해 수직압력이 발생시, 분사 몸체(180)의 하부 끝단에 연결된 구조의 도입관을 통해 축압식 소화분말이 용기 체결 몸체(170)의 제 1 체결통(171), 분사 몸체(180)의 제 2 체결통(181)을 통과한 뒤, 제 2 체결통(181)과 수직면상에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분사 몸체(180)에 형성된 분사홀(186)을 통해 제공받아 외부로 분사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나팔형 분출부(1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교체 및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는, 상부 레버(150), 하부 레버(160), 그리고 상부 레버(150), 하부 레버(160)가 체결된 용기 체결 몸체(170)에 대해서 전면 및 양 측면의 외측을 감싸서 외력으로부터 보호하며 하부로는 상부 몸체(110)와 착탈형으로 체결되어 형성되며, 상부 커버(140) 전단에는 용기 체결 몸체(170) 전단과 합쳐져서 하나로 분사 몸체(180)의 분사홀(186)이 통과하기 위한 분사홀 통과단이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 상부 커버(14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교체 및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사홀 통과단은, 외측에서 분사홀을 향해 나팔형 분출부(130)와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교체 및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는, 전단의 하부로는 용기 체결 몸체(170)와 체결되며, 하부 레버(160)와는 용기 체결 몸체(170)의 체결 영역의 후단으로 접점이 형성되며, 접점에는 회전 힌지(184)와 내측 회전 터미널(151) 간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어 작동하기 위해 하부 레버(160)의 체결 홈으로 삽입되어 수직운동을 할 수 있도록 수평축에 의해 체결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상부 레버(15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교체 및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에 있어서, 용기 체결 몸체(170)의 제 2 체결단(182)에 형성된 5개의 체결 홀 중 후단에 형성된 3개의 체결 홀 중 양측에 형성된 체결 홀에 고정되며, 상부 레버(1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면 하부로 연장된 형태의 내측 회전 터미널(151)을 통해 고정되는 하부 레버(16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교체 및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에 있어서, 용기 체결 몸체(170)는, 원통 형상의 제 1 체결통(171), 그리고 제 1 체결통(171)의 상단 외주면으로 미리 설정된 간격의 테두리 형상의 플레이트 면을 형성하는 제 1 체결단(17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교체 및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에 있어서, 용기 체결 몸체(170)의 제 1 체결통(171)은 상부 몸체(110)의 체결 중앙홀(111)에 삽입되어서, 상부 몸체(110)의 체결 중앙홀(111) 하단에 위치한 분사 몸체(180)의 제 2 체결통(181)의 외주면과 맞닿아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교체 및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에 있어서, 분사 몸체(180)의 제 2 체결통(181)의 상부 끝단에 해당하는 제 2 체결단(182)의 내측으로는 고무링이 추가로 형성되어, 용기 체결 몸체(170)의 제 1 체결통(171)과의 체결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교체 및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에 있어서, 분사 몸체(180)는, 제 1 체결통(171) 보다 직경이 큰 원통 형상의 제 2 체결통(181), 제 2 체결통(181)의 상단 외주면으로 미리 설정된 간격의 테두리 형상의 플레이트 면을 형성하는 제 2 체결단(18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교체 및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에 있어서, 분사 몸체(180)는, 제 2 체결단(182) 상부에 제 1 체결통(171)의 항단와 연통되어 형성되며 분사홀(186)이 형성되고 상단이 막힌 구조의 상부 분사체(183), 상부 레버(150)와의 체결 및 회동을 위한 회전 힌지(184), 상부 분사체(183)의 일측으로 형성된 수평의 플레이트인 손잡이(185), 상부 분사체(183) 중 손잡이(185)가 형성된 측면과 수평면상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분사홀(18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교체 및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는, 각 구성요소의 분리 및 조립이 용이하며, 특히 용기 본체의 상단의 분리를 통해 소화물질을 담고 있는 용기 본체를 주기적으로 교체할 수 있어서 내부의 소화물질의 유통기한 경과로 소화기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경제적 낭비를 줄일 수 있어서 경제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교체 및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는, 나팔형태의 배출 구조를 이용해 방사상으로 소화액이 넓은 공간으로의 일시적인 분사를 통해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하여 초기 진화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교체 및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는, 안전바를 이용해 화재 진압시 신속한 분리를 통해 화재 진압의 효율을 높이고, 보관시 안전핀에 비해 이탈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교체 및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는, 봉인 스티커를 제공함으로써, 임의로 떼어내거나 소화기의 사용시 훼손으로 인해 사용 여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교체 및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교체 및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100)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교체 및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100)를 나타내는 우측면도 및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교체 및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100)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교체 및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100)의 상부 커버(140) 및 상부 몸체(110)의 내부의 주요구성요소의 체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교체 및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100)에서의 안전바(210)의 탈착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교체 및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100)에서 상부 커버(140)와 상부 레버(150)가 형성된 전단에 부착될 수 있는 봉인 스티커(300)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용기 교체 및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교체 및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교체 및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100)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교체 및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100)를 나타내는 우측면도 및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교체 및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100)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교체 및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100)의 상부 커버(140) 및 상부 몸체(110)의 내부의 주요구성요소의 체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교체 및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100)는 상부 몸체(110), 교체형 용기 본체(120), 나팔형 분출부(130), 상부 커버(140), 상부 레버(150), 하부 레버(160), 용기 체결 몸체(170), 분사 몸체(180), 그리고 압력 게이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몸체(110)는 교체형 용기 본체(120)의 상단과 체결 및 분리되는 구조를 갖으며, 하단의 단면은 원이며, 상단의 단면은 사각 형상의 통 형상으로 중앙에 체결 중앙홀(111)을 구비함으로써, 상부로 분사 몸체(180)의 제 2 체결통(181)이 통과하여 하부의 상부 몸체(110)의 용기 체결 몸체(170)의 제 1 체결통(171)로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교체형 용기 본체(120)는 하단이 상단보다 직경이 큰 원통 형상으로 축압식 소화분말을 담고 있으며, 상부면은 용기 체결 몸체(170)의 하단면과 포개지게 결합할 수 있는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외력으로부터의 보호를 위한 용기 받침(120a)을 구비할 수 있다.
나팔형 분출부(130)는 종래의 소화 호스 대신에 상하의 끝단이 절단된 원추 형상으로 방사상으로 축압식 소화분말이 분사되도록 한다. 나팔형 분출부(130)는 상부 레버(150)와 하부 레버(160)에 대한 외력 제공에 의해 수직압력이 발생시, 분사 몸체(180)의 하부 끝단에 연결된 구조의 도입관을 통해 축압식 소화분말이 용기 체결 몸체(170)의 제 1 체결통(171), 분사 몸체(180)의 제 2 체결통(181)을 통과한 뒤, 제 2 체결통(181)과 수직면상에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분사 몸체(180)에 형성된 분사홀(186)을 통해 제공받아 외부로 분사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상부 커버(140)는 상부 레버(150), 하부 레버(160), 그리고 상부 레버(150), 하부 레버(160)가 체결된 용기 체결 몸체(170)에 대해서 전면 및 양 측면의 외측을 감싸서 외력으로부터 보호하며 하부로는 상부 몸체(110)와 착탈형으로 체결되어 형성되며, 상부 커버(140) 전단에는 용기 체결 몸체(170) 전단과 합쳐져서 하나로 분사 몸체(180)의 분사홀(186)이 통과하기 위한 분사홀 통과단이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분사홀 통과단은 외측에서 분사홀을 향해 나팔형 분출부(130)와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상부 레버(150)는 전단의 하부로는 용기 체결 몸체(170)와 체결되며, 하부 레버(160)와는 용기 체결 몸체(170)의 체결 영역의 후단으로 접점이 형성되며, 접점에는 회전 힌지(184)와 내측 회전 터미널(151) 간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어 작동하기 위해 하부 레버(160)의 체결 홈으로 삽입되어 수직운동을 할 수 있도록 수평축에 의해 체결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레버(160)는 용기 체결 몸체(170)의 제 2 체결단(182)에 형성된 5개의 체결 홀 중 후단에 형성된 3개의 체결 홀 중 양측에 형성된 체결 홀에 고정되며, 상부 레버(1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면 하부로 연장된 형태의 내측 회전 터미널(151)을 통해 고정된다.
용기 체결 몸체(170)는 원통 형상의 제 1 체결통(171), 그리고 제 1 체결통(171)의 상단 외주면으로 미리 설정된 간격의 테두리 형상의 플레이트 면을 형성하는 제 1 체결단(17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용기 체결 몸체(170)의 제 1 체결통(171)은 상부 몸체(110)의 체결 중앙홀(111)에 삽입됨으로써, 상부 몸체(110)의 체결 중앙홀(111) 하단에 위치한 분사 몸체(180)의 제 2 체결통(181)의 외주면과 맞닿아서 체결되며, 분사 몸체(180)의 제 2 체결통(181)의 상부 끝단에 해당하는 제 2 체결단(182)의 내측으로는 고무링이 추가됨으로써, 용기 체결 몸체(170)의 제 1 체결통(171)과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분사 몸체(180)는 제 1 체결통(171) 보다 직경이 큰 원통 형상의 제 2 체결통(181), 제 2 체결통(181)의 상단 외주면으로 미리 설정된 간격의 테두리 형상의 플레이트 면을 형성하는 제 2 체결단(182), 제 2 체결단(182) 상부에 제 1 체결통(171)의 항단와 연통되어 형성되며 분사홀(186)이 형성되고 상단이 막힌 구조의 상부 분사체(183), 상부 레버(150)와의 체결 및 회동을 위한 회전 힌지(184), 상부 분사체(183)의 일측으로 형성된 수평의 플레이트인 손잡이(185), 상부 분사체(183) 중 손잡이(185)가 형성된 측면과 수평면상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분사홀(18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분사 몸체(180)는 체결 중앙홀(111)에 삽입됨과 함께, 하단부 제 2 체결단(182) 내주면으로 도입관(미도시)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제 1 체결통(171)과 제 2 체결통(181) 사이에는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체가 추가되어 고정된 구조를 갖음으로써, 상부 레버(150) 및 하부 레버(160)의 펌핑 작동시 탄성체에 의해 유동할 수 있어 외력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회전 힌지(184)는 외측 회전 터미널로 상부 레버(150)의 내측 회전 터미널(151)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수평 회전축을 통해 고정되어 하부 레버(160)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부 레버(150)의 펌핑 작업에 의해 교체형 용기 본체(120) 내부로 가압을 통해 분사 몸체(180)의 분사홀(186)로 소화액이 분사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압력 게이지(190)는 분사 몸체(180)의 분사홀(186)과 수평면상에서 직교하는 방향에 형성된 게이지 측정홀에 삽입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압력 게이지(190)는 압력 게이지 체결홈을 거쳐 게이지 측정홀에 삽입되는데, 압력 게이지 체결홈은 게이지 측정홀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상부 몸체(110)와 상부 커버(140)의 체결에 의해 일체 구조를 갖는다. 압력 게이지(190)는 제 2 체결통(181)의 도입관(미도시), 용기 체결 몸체(170)의 제 1 체결통(171)을 통해 이동한 뒤, 분사홀(186)와 연결된 나팔형 분출부(130)를 통해 분사되는 분사 몸체(180) 내부의 소화액의 압력을 측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압력 게이지(190)는 아날로그 압력 게이지 또는 디지털 압력 게이지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용기 교체 및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100)는 안전바(210)가 탈부착이 가능하며, 분사 몸체(180)와 체결된 상부 레버(150) 및 하부 레버(160), 분사 몸체(180)와 용기 체결 몸체(170), 상부 몸체(110), 상부 커버(140)가 개별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특히 용기 체결 몸체(170)의 상부로 연결된 상부 몸체(110), 분사 몸체(180)를 교체형 용기 본체(120)로부터 분리함으로써, 교체형 용기 본체(120)를 리필(refill) 형태로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교체형 용기 본체(120)의 상부면에는 용기 체결 몸체(170)의 제 1 체결통(171)의 외주면이 삽입될 수 있도록 용기 커버(121)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용기 커버(121)는 2단 구조로 최상단에는 원판 형태의 캡이 씌워져 있어서 교체형 용기 본체(120)의 교체시 다 쓴 교체형 용기 본체(120)를 분리한 뒤, 새로운 교체형 용기 본체(120) 상부의 용기 커버(121)의 캡으로 용기 체결 몸체(170)의 제 1 체결통(171)을 끼워서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교체 및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100)에서의 안전바(210)의 탈착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1을 참조하면, 상부 레버(150)와 하부 레버(160)가 상하로 체결된 상태에서 상부 레버(150)의 전단과 측단으로 이루어진 체결 영역으로 두 개의 곡면형 평판이 마주 보는 형태의 탄성 프레임(214)이 좌우로 벌어지면서 체결됨으로써, 안전바(210)를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두 개의 곡면형 평판이 마주 보는 형태의 탄성 프레임(214)의 중앙 영역에 형성된 체결 돌기(215)가 상부 레버(150)에서 후단에 형성된 안전바 삽입홈(152)으로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안전바(210)가 흔들리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0b를 참조하면 안전바(210)는 와이어 연결단(211), 상단 장착홀(212), 하단 장착홀(213), 탄성 프레임(214), 체결 돌기(215) 그리고 직선형 수직 프레임(216)을 구비하여 금속제가 아닌 난연성 소재로 형성된다.
여기서 와이어 연결단(211)은 기둥 형상으로 내부 중앙 영역에 직경이 차별화된 상단 장착홀(212) 및 하단 장착홀(213)이 상하의 수직 방향으로 내부에 형성되며, 상부 레버(150)에 대해서 탈착되는 탄성 프레임(214)과는 1자 형태의 직선형 수직 프레임(216)을 통해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직선형 수직 프레임(216)은 안전바(210)의 상부 레버(150)로 체결 상태에서의 구조가 용기 본체(120)의 하부 끝단에 형성된 용기 받침(120a)의 상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평면이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직선형 수직 프레임(216)은 손가락 삽입홀이 구비되며, 그 밖의 통기구를 구비할 수 있다.
탄성 프레임(214)은 직선형 수직 프레임(216)의 끝단에 집게 형태와 같은 두 개의 곡면형 평판이 마주 보도록 형성됨으로써, 평판 형태의 상부 레버(150)에서 하부 레버(160)와 수직 방향으로 맞닿는 지지단의 체결 영역을 양쪽에서 감싸는 형태로 안전바(210)가 체결되는 경우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도 10a를 참조하면, 분실방지단(220)은 와이어(221) 및 고정체(222)의 일체로 이루어진다.
와이어(221)는 상부 끝단이 상부 레버(150)의 끝단에 형성된 상부 고정홈(153)으로 삽입되어, 안전바(210)의 와이어 연결단(211) 내부의 상단 장착홀(212) 및 하단 장착홀(213)을 차례로 통과한 뒤, 하부 레버(160)의 끝단에 형성된 하부 고정홀(161)을 통과시켜 형성된다. 즉, 와이어(221)는 안전바(210)가 중간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부 레버(150)와 하부 레버(160)를 연결하는데 사용되며, 하부 끝단에서는 고정체(222)와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고정체(222)는 고리, 원판 등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안전바(210)가 상부 레버(150) 및 하부 레버(160) 사이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부 레버(150)의 상부 고정홈(153)에 고정된 상태에서의 와이어(221)와 연결된 고정체(222)는 하부 레버(160)의 하부면 상의 하부 고정홀(161)이 위치한 지점까지 상향으로 위치 이동 후 와이어(221)가 하부 고정홀(161)을 통과하여 빠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전바(210)의 용기 교체 및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100)로부터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교체 및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100)에서 상부 커버(140)와 상부 레버(150)가 형성된 전단에 부착될 수 있는 봉인 스티커(300)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부 커버(140)와 상부 레버(150) 사이에 봉인 스티커(300)를 부착함으로써, 상부 레버(150)와 하부 레버(160)가 사용자의 완력에 의해 펌핑 동작을 수행하면, 봉인 스티커(300)가 자동으로 훼손되어 사용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봉인 스티커(300)는 임의로 떼어낼 경우 부서져서 라벨 훼손 없이는 뗄 수 없는 스티커로 파괴라벨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봉인 스티커(300)는 이중박리 파괴 스티커로 떼어나면 얇은 필름막이 분리되면서 재부착이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3b와 같이 봉인 스티커(300)에서의 긴 변의 길이인 "L1"와, 봉인 스티커(300) 상에서 측면의 길이 "d1"와의 관계인 L1 : d1은 6.8 내지 7. 2 : 1로 형성될 경우, 양 손잡이인 상부 레버(150) 및 하부 레버(160)를 이용해 사용자의 완력에 의해 펌핑 동작을 수행하면, 봉인 스티커(300)의 인장강도가 가장 약한 상태에서 용기 교체 및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100)가 분리되는 것이 하기의 [표 1]와 같이 실험적으로 확인된다.
시험예 L1 : d1 인장력(kN)
1 6.6 : 1 0.012
2 6.7 : 1 0.013
3 6.8 : 1 0.009
4 6.9 : 1 0.008
5 7.0 : 1 0.009
6 7.1 : 1 0.007
7 7.2 : 1 0.007
8 7.3 : 1 0.011
9 7.4 : 1 0.012
그리고 본 발명의 봉인 스티커(300)은 베이스필름, 표시층, 유색층, 잉크층, 접착제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필름층은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필름으로 이루어지며, 부드러운 연질재질(예를 들면,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실리콘, 스펀지, PVC 연질, ABS연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을 가질 수 있다.
표시부층은 베이스필름층의 배면측에 형성되어 도 13b와 같은 문형이나 그림 등의 모양을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이형잉크가 인쇄되어 형성된다.
표시부층을 이루는 이형잉크는 유색층과의 결합력이 약한 성질을 가지므로, 상부 레버(150)와 하부 레버(160)가 사용자의 완력에 의해 펌핑 동작을 수행하면, 유색층과 용이하게 떨어지도록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용기 교체 및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
110 : 상부 몸체
120 : 교체형 용기 본체
130 : 나팔형 분출부
140 : 상부 커버
150 : 상부 레버
160 : 하부 레버
170 : 용기 체결 몸체
180 : 분사 몸체
190 : 압력 게이지
210 : 안전바
211 : 와이어 연결단
212 : 상단 장착홀
213 : 하단 장착홀
214 : 탄성 프레임
215 : 체결 돌기
216 : 직선형 프레임
220 : 분실방지단
221 : 와이어
222 : 고정체
300 : 봉인 스티커

Claims (10)

  1. 교체형 용기 본체(120)의 상단과 체결 및 분리되는 구조를 갖으며, 하단의 단면은 원이며, 상단의 단면은 사각 형상의 통 형상으로 중앙에 체결 중앙홀(111)을 구비하여, 상부로 분사 몸체(180)의 제 2 체결통(181)이 통과하여 하부의 상부 몸체(110)의 용기 체결 몸체(170)의 제 1 체결통(171)로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상부 몸체(110);
    하단이 상단보다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원통 형상으로 축압식 소화분말을 담고 있으며, 상부면은 용기 체결 몸체(170)의 하단면과 포개지게 결합할 수 있는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외력으로부터의 보호를 위한 용기 받침(120a)을 구비하는 교체형 용기 본체(120);
    상하의 끝단이 절단된 원추 형상으로 방사상으로 축압식 소화분말이 분사되도 하기 위해 상부 레버(150)와 하부 레버(160)에 대한 외력 제공에 의해 수직압력이 발생시, 분사 몸체(180)의 하부 끝단에 연결된 구조의 도입관을 통해 축압식 소화분말이 용기 체결 몸체(170)의 제 1 체결통(171), 분사 몸체(180)의 제 2 체결통(181)을 통과한 뒤, 제 2 체결통(181)과 수직면상에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분사 몸체(180)에 형성된 분사홀(186)을 통해 제공받아 외부로 분사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나팔형 분출부(130); 및
    결합 시에 상부 레버 또는 하부 레버의 작동을 방지하는 난연성 재질의 안전바; 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바는 결합 시 상부 레버 및 하부 레버의 이격된 영역 사이를 전체적으로 채우도록 설치되고, 상부 몸체의 바닥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평면이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 수직 프레임, 및
    상기 수직 프레임의 끝단에서 연장되어 두 개의 곡면형 평판이 마주 보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레버 및 하부 레버의 이격된 영역을 감싸도록 채우는 탄성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교체 및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부 레버(150), 하부 레버(160), 그리고 상부 레버(150), 하부 레버(160)가 체결된 용기 체결 몸체(170)에 대해서 전면 및 양 측면의 외측을 감싸서 외력으로부터 보호하며 하부로는 상부 몸체(110)와 착탈형으로 체결되어 형성되며, 상부 커버(140) 전단에는 용기 체결 몸체(170) 전단과 합쳐져서 하나로 분사 몸체(180)의 분사홀(186)이 통과하기 위한 분사홀 통과단이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 상부 커버(14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교체 및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분사홀 통과단은,
    외측에서 분사홀을 향해 나팔형 분출부(130)와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교체 및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전단의 하부로는 용기 체결 몸체(170)와 체결되며, 하부 레버(160)와는 용기 체결 몸체(170)의 체결 영역의 후단으로 접점이 형성되며, 접점에는 회전 힌지(184)와 내측 회전 터미널(151) 간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어 작동하기 위해 하부 레버(160)의 체결 홈으로 삽입되어 수직운동을 할 수 있도록 수평축에 의해 체결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상부 레버(15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교체 및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용기 체결 몸체(170)는,
    원통 형상의 제 1 체결통(171), 그리고 제 1 체결통(171)의 상단 외주면으로 미리 설정된 간격의 테두리 형상의 플레이트 면을 형성하는 제 1 체결단(17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교체 및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용기 체결 몸체(170)의 제 1 체결통(171)은 상부 몸체(110)의 체결 중앙홀(111)에 삽입되어서, 상부 몸체(110)의 체결 중앙홀(111) 하단에 위치한 분사 몸체(180)의 제 2 체결통(181)의 외주면과 맞닿아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교체 및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분사 몸체(180)의 제 2 체결통(181)의 상부 끝단에 해당하는 제 2 체결단(182)의 내측으로는 고무링이 추가로 형성되어, 용기 체결 몸체(170)의 제 1 체결통(171)과의 체결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교체 및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분사 몸체(180)는,
    제 1 체결통(171) 보다 직경이 큰 원통 형상의 제 2 체결통(181), 제 2 체결통(181)의 상단 외주면으로 미리 설정된 간격의 테두리 형상의 플레이트 면을 형성하는 제 2 체결단(18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교체 및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분사 몸체(180)는,
    제 2 체결단(182) 상부에 제 1 체결통(171)의 하단과 연통되어 형성되며 분사홀(186)이 형성되고 상단이 막힌 구조의 상부 분사체(183), 상부 레버(150)와의 체결 및 회동을 위한 회전 힌지(184), 상부 분사체(183)의 일측으로 형성된 수평의 플레이트인 손잡이(185), 상부 분사체(183) 중 손잡이(185)가 형성된 측면과 수평면상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분사홀(18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교체 및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
KR1020170113915A 2017-09-06 2017-09-06 용기 교체 및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 KR101936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915A KR101936408B1 (ko) 2017-09-06 2017-09-06 용기 교체 및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915A KR101936408B1 (ko) 2017-09-06 2017-09-06 용기 교체 및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6408B1 true KR101936408B1 (ko) 2019-04-03

Family

ID=66165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915A KR101936408B1 (ko) 2017-09-06 2017-09-06 용기 교체 및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640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303Y1 (ko) * 2003-12-19 2004-03-12 주식회사 육송 소화기용 분사노즐
KR200378362Y1 (ko) * 2004-12-24 2005-03-16 홍영준 소화기 받침대
CN201046308Y (zh) * 2007-06-12 2008-04-16 维美生活资材有限公司 便携式灭火器
KR20110009603U (ko) * 2010-04-02 2011-10-10 삼우산기 주식회사 약제 분출 성능 개선형 소화기
KR101444688B1 (ko) * 2014-05-12 2014-09-29 한국소방산업기술원 안전 손잡이를 갖는 소화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303Y1 (ko) * 2003-12-19 2004-03-12 주식회사 육송 소화기용 분사노즐
KR200378362Y1 (ko) * 2004-12-24 2005-03-16 홍영준 소화기 받침대
CN201046308Y (zh) * 2007-06-12 2008-04-16 维美生活资材有限公司 便携式灭火器
KR20110009603U (ko) * 2010-04-02 2011-10-10 삼우산기 주식회사 약제 분출 성능 개선형 소화기
KR101444688B1 (ko) * 2014-05-12 2014-09-29 한국소방산업기술원 안전 손잡이를 갖는 소화기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출원번호 제20-2005-0006533호 "소화기 안전핀 구조(THE FIRE EXTINGUISHER SAFETY PIN STRUCTURE)"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1183578호 "안전핀 봉인 구조를 갖는 소화기용 그립유닛(GRIP UNIT FOR FIRE EXTINGUISHER)"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1513426호 "손잡이를 움켜잡아도 안전핀이 제거되는 패닉 방지용 소화기(THE FIRE-EXTINGUISHER FOR PREVENTING PANIC)"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1610183호 "소화기 안전핀 자동제거장치(FIRE EXTINGUISHER SAFETY PIN AUTOMATIC REMOVAL DEVIC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3-0081332호 "스프레이식 휴대용 소화기(SPRAY TYPE PORTABLE FIRE EXTINGUISH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58659A (en) Fire extinguisher apparatus
US20150083442A1 (en) Protective Cap of Sprinkler Head and Sprinkler Head
KR20180133492A (ko) 보이스미터에 의해 유지되는 안면마스크 노우즈컵
KR101049759B1 (ko) 투명 에어로졸 스프레이
US10350442B2 (en) Nozzle cap for fire extinguisher
US11731829B2 (en) Paint dispens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936408B1 (ko) 용기 교체 및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
US20200299054A1 (en) Aerosol dispensing cap for automated installation
US20120325503A1 (en) Aerosol Fire Extinguisher with Trigger Sprayer
EP3448531B1 (en) Housing device for hoses of fire extinguishers and/or fire hydrants
WO2003024532A1 (en) Fire extinguisher
KR102194180B1 (ko) 가스 어댑터가 구비되는 소화기
GB2487999A (en) Case for emergency escape breathing apparatus
KR101106973B1 (ko) 가압식 소화기
KR101939807B1 (ko) 봉인 스티커 기반의 소화 장치
KR100704893B1 (ko) 오발 방지용 안전 소화기
KR102111511B1 (ko) 소화기가 구비된 대중교통 안전 손잡이 조립체
CN212016510U (zh) 一种气体灭火装置
KR20180069757A (ko) 안전바 기반의 소화 장치
KR20180044775A (ko) 안전바 기반의 소화 장치
KR101857494B1 (ko) 상부 커버 기반의 소화 장치
WO2008001780A1 (fr) Capuchon pour bombe aérosol et dispositif de projection d'aérosol
EP3530325A1 (en) Fire extinguisher
JP2001088879A (ja) エアゾール容器のガス抜きキャップ
KR101631317B1 (ko) 토너 유출 방지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