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4688B1 - 안전 손잡이를 갖는 소화기 - Google Patents

안전 손잡이를 갖는 소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4688B1
KR101444688B1 KR1020140056612A KR20140056612A KR101444688B1 KR 101444688 B1 KR101444688 B1 KR 101444688B1 KR 1020140056612 A KR1020140056612 A KR 1020140056612A KR 20140056612 A KR20140056612 A KR 20140056612A KR 101444688 B1 KR101444688 B1 KR 101444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fire extinguisher
safety
pin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6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수환
남준석
Original Assignee
한국소방산업기술원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소방산업기술원,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filed Critical 한국소방산업기술원
Priority to KR1020140056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46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4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4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62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a single permanently pressurised container

Abstract

안전 손잡이를 갖는 소화기에 대해서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손잡이를 갖는 소화기는, 소화 약제가 충전되는 소화기 본체; 상기 소화기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소화기 본체 내의 상기 소화 약제의 분출을 밀봉하기 위한 통목; 상기 소화기 본체의 상기 통목의 상부에 위치하고, 일측에 형성되는 힌지 축을 공통으로 갖는 상부 레버와 하부 레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힌지 축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상부 레버가 상기 하부 레버 방향으로 회동하는 안전 손잡이; 상기 통목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 레버의 회동에 의해서 눌려지는 누름 핀; 및 상기 누름 핀이 눌림에 따라서, 상기 소화기 본체 내의 상기 소화 약제가 상기 소화기 본체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호스;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 손잡이는, 상기 상부 레버에 형성되는 제 1 관통 홀과 상기 하부 레버에 형성되는 제 2 관통 홀; 상기 제 1 관통 홀에 대응하는 제 1 관통 구멍과 상기 제 2 관통 홀에 대응하는 제 2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관통 홀로부터 상기 제 2 관통 홀까지 연장되어 위치하는 서포트 핀; 상기 제 2 관통 홀과 상기 제 2 관통 구멍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안전 핀;을 포함하며, 상기 서포트 핀은 상기 제 1 관통 홀에는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제 2 관통 홀에는 상기 안전 핀에 의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손잡이를 갖는 소화기는, 소화 약제가 충전되는 소화기 본체; 상기 소화기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소화기 본체 내의 상기 소화 약제의 분출을 밀봉하기 위한 통목; 상기 소화기 본체의 상기 통목의 상부에 위치하고, 일측에 형성되는 힌지 축을 공통으로 갖는 상부 레버와 하부 레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힌지 축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상부 레버가 상기 하부 레버 방향으로 회동하는 안전 손잡이; 상기 통목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 레버의 회동에 의해서 눌려지는 누름 핀; 및 상기 누름 핀이 눌림에 따라서, 상기 소화기 본체 내의 상기 소화 약제가 상기 소화기 본체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호스;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 손잡이는, 상기 상부 레버에 형성되는 제 1 관통 홀과 상기 하부 레버에 형성되는 제 2 관통 홀; 상기 제 1 관통 홀에 대응하는 제 1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관통 홀로부터 상기 제 2 관통 홀까지 연장되어 위치하는 서포트 핀; 상기 하부 레버에 형성된 상기 제 2 관통 홀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안전 핀;을 포함하며, 상기 서포트 핀은 상기 제 1 관통 홀에는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제 2 관통 홀에 삽입 고정된 상기 안전 핀에는 외접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전 손잡이를 갖는 소화기{FIRE EXTINGUISHER WITH SAFETY HANDLE}
본 발명은 안전 손잡이를 갖는 소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통상적으로 소화기의 상부에 위치하는 손잡이에 형성한 안전 핀을 평소에는 안전하게 유지하고 있다가 화재 등의 긴박한 순간에는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효과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안전 손잡이를 갖는 소화기에 관한 것이다.
화재 진압에는 소화기가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특히, 소화기는 화재 발생 초기의 경우, 본격적인 화재로 번지기 전에 사용한다면, 화재의 조기 진압이 가능할 정도로 유용한 도구이다.
소화기는 평소에는 그 내부에 충전된 소화 약제가, 예를 들면, 외부의 충격 또는 장난 또는 일순간의 방심 등과 같은 불의의 사고로 인해서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안전 핀을 구비하고 있다.
소화기의 일반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도 1에 나타낸 종래의 소화기를 참고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소화기에 있어서, 통상적인 안전 핀을 구비한 소화기를 대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소화기(100)는 몸통, 즉 소화기 본체(10) 내에 소화액이 충전되어 있다.
통상적으로는, 소화기 본체(10) 내에는 소화액의 형태로 소화 약제가 충전되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이외에도 ABC에 대응하기 위한 분말상의 소화 분말 가루, 이산화탄소 기체나 액상 이산화탄소 등과 같은 소화 기체가 충전되어 있을 수도 있음은 잘 알 것이다. 이하, 이들을 통칭하여 소화 약제라고 하기로 한다.
이 소화기 본체(10) 내에 충전된 소화 약제는 소화기 본체(10) 내의 소화 약제 방출 파이프(12)를 지나서 호스(19)를 통해서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이때, 소화기 본체(10)와 호스(19) 사이에는 소화 약제의 분출을 막기 위한, 즉 밀봉하기 위한 통목(15)이 설치되며, 통목(15)과 연결된 호스 연결부(18)에 호스(19)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통목(15)은 소화기 본체(1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통목(15)으로부터의 소화 약제의 누출을 추가로 방지하기 위한 통목 패킹(14)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화기(100)에는 소화기 본체(10) 내의 소화 약제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계(16)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압력계(16)의 압력 수치가 낮아진다면 소화기 본체(10) 내의 소화 약제를 추가로 충전할 수도 있음은 잘 알 것이다.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통상 고정된 하부 레버(28)를 기준으로 하여 상부 레버(26)의 힌지 축(23)을 기준으로 상부 레버(26)를 방향(29)으로 누르면 누름 핀(22)이 눌리게 되고, 누름 핀(22)이 눌리면, 소화기 본체(10) 내의 소화 약제가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누름 핀(22)이 눌리고, 이에 의해서 소화기 본체(10) 내의 소화 약제가 외부로 방출되는 구체적인 메커니즘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또는 특징에 속하지 않으므로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여기에서, 힌지 축(23)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레버(26)와 하부 레버(28)의 일측에 공통적으로 형성되는 관통 홀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힌지 축(23)을 기준으로 하여 상부 레버(26)가 하부 레버(28)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때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형성된다는 것은, 힌지 축(23) 자체는 힌지 축(23)이 삽입되는 관통 홀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형성되지만, 이 힌지 축(23)에 결합되는 상부 레버(26)는 하부 레버(28) 방향(29)으로 비교적 자유롭게 회동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함을 알아야 한다.
이때, 상부 레버(26)와 하부 레버(28)를 통틀어서 손잡이라고 부를 수도 있으며, 이 손잡이는 소화기 본체(10)의 통목(15)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레버(26)가 불의에 의해서 동작하게 되면, 불필요하게 소화 약제가 외부로 방출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안전 핀(20)을 설치하여 두고 있다.
이 안전 핀(20)은 상부 레버(26)가 방향(29)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상부 레버(26)의 이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참고로, 이 안전 핀(20)은, 법령에 따르면, 일정한 힘에 의해서 분리되도록 규정되어 있으나, 평상시 안전 핀(20)이 법령에 규정된 힘보다도 약한 힘에 의해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 압착되어 고정되는 고정 링(24)을 더 설치하여 둘 수 있다.
이 경우, 고정 링(24)은 적절한 힘, 즉 법령에 규정된 힘 이하로 분리될 수 있을 정도의 힘으로 압착되어 평소에는 안전 핀(20)이 불필요하게 분리되지 않도록 정위치에 유지하고 있다가, 화재 등의 경우에 안전 핀(20)을 당기면 안전 핀(20)의 일단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소화기(100)는 원칙적으로 상대적으로 견고하게 고정되어 설치되는 하부 레버(28)를 일차로 파지한 다음, 화재 현장으로 이동시킨 다음 상부 레버(26)를 아래쪽 방향(29)으로 움켜 쥐면, 소화기 본체(10) 내의 소화 약제가 외부로 분출되는 구조로 설계되어 있는 것이지만, 화재 현장에서의 급박함 때문에 무의식적으로 상부 레버(26)와 하부 레버(28)를 동시에 힘을 줘서 누르게 되는 경향이 있고, 이때, 힌지 축(23)을 기준으로 하는 상부 레버(26)의 하향 방향(29)으로의 힌지 운동시에 안전 핀(20)이 상부 레버(26)와 하부 레버(28) 사이에서 상당히 큰 전단력을 받게 되어, 안전 핀(20)을 신속하게 분리시킬 수 없을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의 종래 기술로는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소화기 안전 핀 이탈 방지 구조를 들 수 있다.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소화기 안전 핀 이탈 방지 구조는, 종래의 소화기에서 사용된 고정 링(24)의 구성에 대해서, 이를 코일 스프링 형상의 고정 링으로 변경한 점이 특징일 뿐이며,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소화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단력에 의한 안전 핀의 고착화 현상 때문에 안전 핀을 용이하게 분리하지 못할 수 있다는 우려를 완전히 해소하지는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8994호(2002년 09월 13일 공고, 발명의 명칭: "소화기 안전 핀 이탈 방지 구조")
따라서, 본 발명은, 소화기의 상부 레버와 하부 레버를 부지 불식간에 강하게 파지하더라도 안전 핀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안전 손잡이를 갖는 소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하의 기재로부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에 대해서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손잡이를 갖는 소화기는, 소화 약제가 충전되는 소화기 본체; 상기 소화기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소화기 본체 내의 상기 소화 약제의 분출을 밀봉하기 위한 통목; 상기 소화기 본체의 상기 통목의 상부에 위치하고, 일측에 형성되는 힌지 축을 공통으로 갖는 상부 레버와 하부 레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힌지 축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상부 레버가 상기 하부 레버 방향으로 회동하는 안전 손잡이; 상기 통목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 레버의 회동에 의해서 눌려지는 누름 핀; 및 상기 누름 핀이 눌림에 따라서, 상기 소화기 본체 내의 상기 소화 약제가 상기 소화기 본체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호스;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 손잡이는, 상기 상부 레버에 형성되는 제 1 관통 홀과 상기 하부 레버에 형성되는 제 2 관통 홀; 상기 제 1 관통 홀에 대응하는 제 1 관통 구멍과 상기 제 2 관통 홀에 대응하는 제 2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관통 홀로부터 상기 제 2 관통 홀까지 연장되어 위치하는 서포트 핀; 상기 제 2 관통 홀과 상기 제 2 관통 구멍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안전 핀;을 포함하며, 상기 서포트 핀은 상기 제 1 관통 홀에는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제 2 관통 홀에는 상기 안전 핀에 의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손잡이를 갖는 소화기는, 소화 약제가 충전되는 소화기 본체; 상기 소화기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소화기 본체 내의 상기 소화 약제의 분출을 밀봉하기 위한 통목; 상기 소화기 본체의 상기 통목의 상부에 위치하고, 일측에 형성되는 힌지 축을 공통으로 갖는 상부 레버와 하부 레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힌지 축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상부 레버가 상기 하부 레버 방향으로 회동하는 안전 손잡이; 상기 통목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 레버의 회동에 의해서 눌려지는 누름 핀; 및 상기 누름 핀이 눌림에 따라서, 상기 소화기 본체 내의 상기 소화 약제가 상기 소화기 본체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호스;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 손잡이는, 상기 상부 레버에 형성되는 제 1 관통 홀과 상기 하부 레버에 형성되는 제 2 관통 홀; 상기 제 1 관통 홀에 대응하는 제 1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관통 홀로부터 상기 제 2 관통 홀까지 연장되어 위치하는 서포트 핀; 상기 하부 레버에 형성된 상기 제 2 관통 홀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안전 핀;을 포함하며, 상기 서포트 핀은 상기 제 1 관통 홀에는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제 2 관통 홀에 삽입 고정된 상기 안전 핀에는 외접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 1 관통 홀과 상기 제 2 관통 홀은, 상기 서포트 핀이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도록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관통 홀의 직경이 상기 제 2 관통 구멍의 직경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포트 핀의 상기 안전 핀에 외접하는 부분에는 함몰부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을 것이며, 단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크기, 위치, 결합 관계 등은 설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기술되어 있을 수 있음을 잘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화기의 손잡이가 항상적으로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재와 같은 긴박한 상황에서도 항상 소화기의 안전 핀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소화기에 있어서, 통상적인 안전 핀을 구비한 소화기를 대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손잡이가 상부에 형성된 소화기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손잡이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나타낸 일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손잡이가 작동한 상황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손잡이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나타낸 일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손잡이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나타낸 일부 확대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손잡이가 상부에 형성된 소화기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로부터, 안전 손잡이가 상부에 형성된, 즉 안전 손잡이를 갖는 소화기(200)는, 소화 약제가 충전되는 소화기 본체(210)와, 소화기 본체(210)의 상부에 위치하고, 소화기 본체(210) 내의 소화 약제의 분출을 밀봉하기 위한 통목(215), 소화기 본체(210)의 통목(215)의 상부에 위치하고, 일측에 형성되는 힌지 축(223)을 공통으로 갖는 상부 레버(226)와 하부 레버(228)로 이루어지며, 힌지 축(223)을 기준으로 하여 상부 레버(226)가 하부 레버(228) 방향(229)으로 회동하는 안전 손잡이와, 통목(215)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부 레버(226)의 회동에 의해서 눌려지는 누름 핀(222)과, 누름 핀(222)이 눌림에 따라서, 소화기 본체(210) 내의 소화 약제가 소화기 본체(210)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호스(219)를 기본 구성 요소로서 포함하고 있다.
이때, 안전 손잡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레버(226)와 하부 레버(228)를 통칭하여 부르는 이름일 수 있음을 알아야 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손잡이는, 상부 레버(226)에 형성되는 제 1 관통 홀(242)과 하부 레버(228)에 형성되는 제 2 관통 홀(244)과, 제 1 관통 홀(242)에 대응하는 제 1 관통 구멍(242)과 제 2 관통 홀(244)에 대응하는 제 2 관통 구멍(244)이 형성되고, 제 1 관통 홀(242)로부터 제 2 관통 홀(244)까지 연장되어 위치하는 서포트 핀(240-1)과, 제 2 관통 홀(244)과 제 2 관통 구멍(244)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안전 핀(220)을 더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서, 도시의 편의를 위해서, 제 1 관통 홀(242)과 이 제 1 관통 홀(242)에 대응하는 제 1 관통 구멍(242)은 동일한 구성으로 나타내었으며, 제 2 관통 홀(244)과 이 제 2 관통 홀(244)에 대응하는 제 2 관통 구멍(244) 역시 동일한 구성으로 나타내었으나, 실제로는 제 1 관통 홀(242)은 상부 레버(226)에 형성되어 있고, 이 제 1 관통 홀(242)에 대응하는 제 1 관통 구멍(242)은 서포트 핀(240-1)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음을 알아야 하며, 마찬가지로, 제 2 관통 홀(244)은 하부 레버(228)에 형성되어 있고, 이 제 2 관통 홀(244)에 대응하는 제 2 관통 구멍(244)은 서포트 핀(240-1)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한, 서포트 핀(240-1)은 제 1 관통 홀(226)에는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제 2 관통 홀(244)에는 안전 핀(220)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여기에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다는 표현의 의미에 대해서는 이미 상술한 바가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 레버(226)를 누르면 이 상부 레버(226)가 회동 방향(229)을 따라서 하부 레버(228)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며, 이때, 제 2 관통 홀(244)에 관통되어 삽입된 안전 핀(220)에는,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전단력에 비해서 현저하게 낮은 가압력이 걸리게 되며, 이에 의해서 화재와 같은 비상시에 상부 레버(226)를 먼저 누르고 있더라도, 안전 핀(220)을 비교적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다르게는, 하부 레버(228)에 형성된 제 2 관통 홀(244)의 직경은 서포트 핀(240-1)에 형성된 제 2 관통 구멍(244)의 직경보다 더 클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화재 등의 비상시에, 상부 레버(226)를 갑작스럽게 누르더라도, 종래의 소화기(100)에서와 같이, 안전 핀(20)에 전단력 등이 과도하게 작용하지 않게 되며, 화재 등의 비상시라고 하더라도, 안전 핀(220)을 비교적 용이하게 분리 또는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손잡이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나타낸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특히, 서포트 핀(240-1)과, 제 1 관통 홀(242) 및 제 2 관통 홀(244)의 관계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다.
도 3, 및 이하, 도면에서, 도 2에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굳이 별도로 설명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으로부터, 상부 레버(226)에 형성된 제 1 관통 홀(242)로부터 수직으로 하향 연장된 가상의 수직선을 나타내는 ⓐ와 하부 레버(228)에 형성된 제 2 관통 홀(244)로부터 수직으로 하향 연장된 가상의 수직선을 나타내는 ⓑ 사이가 일정 정도의 거리(d1)를 두고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서포트 핀(240-1)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관통 홀(242)과 제 2 관통 홀(244) 사이에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안전 핀(220)이 하부 레버(228)에 형성된 제 2 관통 홀(244)에 관통하여 삽입되기 때문에 이를 감안하고, 또한 상부 레버(226)를 눌렀을 때 그 누르는 힘이 서포트 핀(240-1)에 바로 전달되어 서포트 핀(240-1)이, 도면에서 우측으로 충분히 미끄러지도록 구성하기 위해서, 상술한 일정한 거리(d1)가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하부 레버(228)에 형성된 제 2 관통 홀(244)이, 도면에서 보아 좌측에 형성되는 것도 고려해 볼 수는 있으나, 상부 레버(226)가 눌렸을 때 서포트 핀(240-1)이 도면에서 좌측으로 미끄러지는 경우, 이 서포트 핀(240-1)의 최소 높이 때문에 소화기(200)로부터의 소화 약제의 분출이 충분해지지 않을 우려가 있음을 알아야 한다.
여기에서, 거리(d1)는 ⓐ 및 ⓑ 지점에서 서포트 핀(240-1)이 90°를 이루는 거리를 갖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80 도 이하의 각도를 이룰 수 있는 거리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와 같은 각도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잘 알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손잡이가 작동한 상황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서 안전 핀(220)을 제거한 이후의 회동 방향(229)으로 상부 레버(226)가 회동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로부터, 서포트 핀(240-1)은 상부 레버(226)와 하부 레버(229) 사이에 사실상 누워진 채로 위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재 등의 비상시에 부지 불식간에 상부 레버(226)를 강하게 누르더라도, 서포트 핀(240-1)이 일정한 경사를 두고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서포트 핀(240-1)에 가해지는 힘이 종래의 소화기(100)의 안전 핀(20)에 가해지는 전단력을 포함하는 힘에 비해서 현저하게 낮게 되며, 따라서, 화재와 같은 비상시에 상부 레버(226)를 강하게 눌렀을 때에도 크게 무리하지 않고 안전 핀(220)을 제거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손잡이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나타낸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와는 달리, 서포트 핀(240-2)에 제 2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도 5에 따르면, 서포트 핀(240-2)은 하부 레버(228)에 형성된 제 3 관통 홀(246)의 앞쪽에서 이 제 3 관통 홀(246)과 접촉, 즉 외접하여 정지하고 있다.
이때, 안전 핀(220)은 하부 레버(228)에 형성된 제 3 관통 홀(246)을 관통하여 삽입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때, 서포트 핀(240-2)은 제 1 관통 홀(242)에는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제 3 관통 홀(246)에 삽입 고정된 안전 핀(220)에는 외접하여 고정되어 있음을 알아야 한다.
여기에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는 표현의 의미에 대해서는 이미 상술한 바 있다.
도 5에 따르면, 서포트 핀(240-2)의 하단, 즉 하부 레버(228)에 근접하는 서포트 핀(240-2)의 말단부가 안전 핀(220)의 외측과 접촉하여 있기 때문에, 화재 등의 비상시에, 상부 레버(226)에 힘을 가하여 누르더라도, 서포트 핀(240-2)에는, 종래 기술의 소화기(100)에서와 같은 전단력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과도한 힘을 가하지 않고도 안전 핀(220)을 제거 또는 분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5에서도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포트 핀(240-2)의, 도면에서 우측 방향으로 충분히 미끄러질 수 있도록 구성하기 위해서,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는 일정한 거리(d2)가 설정되어 서포트 핀(240-2)이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서도 도 3에서와 마찬가지로, 거리(d2)는 ⓒ 및 ⓓ 지점에서 서포트 핀(240-2)이 90°를 이루는 거리를 갖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80 도 이하의 각도를 이룰 수 있는 거리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와 같은 각도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잘 알 것이다.
마지막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손잡이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나타낸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에 따르면, 도 6은 도 5와 상당 부분 유사한 구성을 가지고 있지만, 서포트 핀(240-3)의 하단, 즉 하부 레버(228)와 면하는 말단부에 함몰부(243)가 형성된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함몰부(243)는 서포트 핀(240-3)이 안전 핀(220)과 당접, 즉 외접하는 위치에서, 안전 핀(220)의 직경과 유사한 반지름을 갖는 함몰부(243)이면 충분하다.
도 6에서도, 도 3 및 도 5에서와 마찬가지로, 상부 레버(226)에 형성한 제 1 관통 홀(242)과 하부 레버(228)에 형성한 제 4 관통 홀(248)의 각각의 수직 방향 위치를 나타내는 ⓔ 및 ⓕ 사이에 일정한 수평 방향의 거리(d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이 거리(d3)를 두는 이유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한 바가 있으므로, 재차 설명하지는 않음을 알아야 한다.
이상과 같이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상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이상의 기재에 포함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며,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은 모두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소화기 본체
12 : 소화 약제 방출 파이프
14 : 통목 패킹
15 : 통목
16 : 압력계
18 : 호스 연결부
19 : 호스
20 : 안전 핀
22 : 누름 핀
23 : 힌지 축
24 : 고정 링
26 : 상부 레버
28 : 하부 레버
29 : 회동 방향
100 : 소화기
210 : 소화기 본체
212 : 소화 약제 방출 파이프
214 : 통목 패킹
215 : 통목
218 : 호스 연결부
219 : 호스
220 : 안전 핀
222 : 누름 핀
223 : 힌지 축
224 : 고정 링
226 : 상부 레버
228 : 하부 레버
229 : 회동 방향
240-1, 240-2, 240-3 : 서포트 핀
242 : 제 1 관통 홀(제 1 관통 구멍)
243 : 함몰부
244 : 제 2 관통 홀(제 2 관통 구멍)
246 : 제 3 관통 홀
248 : 제 4 관통 홀

Claims (5)

  1. 소화 약제가 충전되는 소화기 본체;
    상기 소화기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소화기 본체 내의 상기 소화 약제의 분출을 밀봉하기 위한 통목;
    상기 소화기 본체의 상기 통목의 상부에 위치하고, 일측에 형성되는 힌지 축을 공통으로 갖는 상부 레버와 하부 레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힌지 축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상부 레버가 상기 하부 레버 방향으로 회동하는 안전 손잡이;
    상기 통목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 레버의 회동에 의해서 눌려지는 누름 핀; 및
    상기 누름 핀이 눌림에 따라서, 상기 소화기 본체 내의 상기 소화 약제가 상기 소화기 본체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호스;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 손잡이는,
    상기 상부 레버에 형성되는 제 1 관통 홀과 상기 하부 레버에 형성되는 제 2 관통 홀;
    상기 제 1 관통 홀에 대응하는 제 1 관통 구멍과 상기 제 2 관통 홀에 대응하는 제 2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관통 홀로부터 상기 제 2 관통 홀까지 연장되어 위치하는 서포트 핀;
    상기 제 2 관통 홀과 상기 제 2 관통 구멍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안전 핀;을 포함하며,
    상기 서포트 핀은 상기 제 1 관통 홀에는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제 2 관통 홀에는 상기 안전 핀에 의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손잡이를 갖는 소화기.
  2. 소화 약제가 충전되는 소화기 본체;
    상기 소화기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소화기 본체 내의 상기 소화 약제의 분출을 밀봉하기 위한 통목;
    상기 소화기 본체의 상기 통목의 상부에 위치하고, 일측에 형성되는 힌지 축을 공통으로 갖는 상부 레버와 하부 레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힌지 축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상부 레버가 상기 하부 레버 방향으로 회동하는 안전 손잡이;
    상기 통목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 레버의 회동에 의해서 눌려지는 누름 핀; 및
    상기 누름 핀이 눌림에 따라서, 상기 소화기 본체 내의 상기 소화 약제가 상기 소화기 본체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호스;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 손잡이는,
    상기 상부 레버에 형성되는 제 1 관통 홀과 상기 하부 레버에 형성되는 제 2 관통 홀;
    상기 제 1 관통 홀에 대응하는 제 1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관통 홀로부터 상기 제 2 관통 홀까지 연장되어 위치하는 서포트 핀;
    상기 하부 레버에 형성된 상기 제 2 관통 홀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안전 핀;을 포함하며,
    상기 서포트 핀은 상기 제 1 관통 홀에는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제 2 관통 홀에 삽입 고정된 상기 안전 핀에는 외접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손잡이를 갖는 소화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통 홀과 상기 제 2 관통 홀은, 상기 서포트 핀이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도록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손잡이를 갖는 소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관통 홀의 직경이 상기 제 2 관통 구멍의 직경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손잡이를 갖는 소화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핀의 상기 안전 핀에 외접하는 부분에는 함몰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손잡이를 갖는 소화기.
KR1020140056612A 2014-05-12 2014-05-12 안전 손잡이를 갖는 소화기 KR101444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6612A KR101444688B1 (ko) 2014-05-12 2014-05-12 안전 손잡이를 갖는 소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6612A KR101444688B1 (ko) 2014-05-12 2014-05-12 안전 손잡이를 갖는 소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4688B1 true KR101444688B1 (ko) 2014-09-29

Family

ID=51761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6612A KR101444688B1 (ko) 2014-05-12 2014-05-12 안전 손잡이를 갖는 소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4688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426B1 (ko) * 2015-01-08 2015-04-22 박난병 손잡이를 움켜잡아도 안전핀이 제거되는 패닉 방지용 소화기
KR101519801B1 (ko) * 2014-10-24 2015-05-12 문종인 분리가 용이한 안전핀을 구비한 소화기
KR101523224B1 (ko) * 2014-10-30 2015-05-28 박난병 안전장치가 쉽게 제거되는 소화기
KR101524645B1 (ko) * 2015-03-09 2015-06-03 주식회사 동남기술단 안전장치가 쉽게 제거되는 소화기
KR101533302B1 (ko) * 2015-03-09 2015-07-02 박난병 손잡이를 움켜잡아도 안전핀이 제거되는 패닉 방지용 소화기
KR101593004B1 (ko) 2015-06-04 2016-02-11 (주)탑이엔씨건축사사무소 손잡이 압력에 영향받지 않는 안전핀을 구비한 패닉 방지용 소화기
KR20160103790A (ko) 2015-02-25 2016-09-0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받침부재를 갖는 소화기용 안전 손잡이
WO2017039357A1 (ko) * 2015-09-02 2017-03-09 김진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하는 자동소화기
CN106969153A (zh) * 2017-05-18 2017-07-21 江苏日明消防设备股份有限公司 便于拔出保险销的灭火器阀门结构
WO2017131294A1 (ko) * 2016-01-31 2017-08-03 주식회사 탑이엔씨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 및 이 안전 손잡이를 구비한 소화기
KR101808080B1 (ko) * 2016-06-16 2017-12-13 (주)탑이엔씨건축사사무소 손잡이를 움켜잡아도 안전핀이 빠지는 소화기
JP2018526110A (ja) * 2015-09-02 2018-09-13 キム,ジン−テ 使用者の便宜性を提供する自動消火器
KR101915713B1 (ko) * 2016-11-28 2018-11-06 (주)탑이엔씨건축사사무소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
KR101936408B1 (ko) * 2017-09-06 2019-04-03 삼우산기 주식회사 용기 교체 및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
KR20220046126A (ko) 2020-10-07 2022-04-14 주식회사 소방 119 소화기 헤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7070A (ko) * 2005-05-12 2006-11-16 정형로 오발 방지용 안전 소화기
KR20100059289A (ko) * 2008-11-26 2010-06-04 박청동 밸브의 자동개방장치가 구비된 소화기
KR20120004437U (ko) * 2010-12-13 2012-06-21 이승연 안전 손잡이를 구비한 소화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7070A (ko) * 2005-05-12 2006-11-16 정형로 오발 방지용 안전 소화기
KR20100059289A (ko) * 2008-11-26 2010-06-04 박청동 밸브의 자동개방장치가 구비된 소화기
KR20120004437U (ko) * 2010-12-13 2012-06-21 이승연 안전 손잡이를 구비한 소화기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801B1 (ko) * 2014-10-24 2015-05-12 문종인 분리가 용이한 안전핀을 구비한 소화기
KR101523224B1 (ko) * 2014-10-30 2015-05-28 박난병 안전장치가 쉽게 제거되는 소화기
KR101513426B1 (ko) * 2015-01-08 2015-04-22 박난병 손잡이를 움켜잡아도 안전핀이 제거되는 패닉 방지용 소화기
KR20160103790A (ko) 2015-02-25 2016-09-0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받침부재를 갖는 소화기용 안전 손잡이
KR101524645B1 (ko) * 2015-03-09 2015-06-03 주식회사 동남기술단 안전장치가 쉽게 제거되는 소화기
KR101533302B1 (ko) * 2015-03-09 2015-07-02 박난병 손잡이를 움켜잡아도 안전핀이 제거되는 패닉 방지용 소화기
KR101593004B1 (ko) 2015-06-04 2016-02-11 (주)탑이엔씨건축사사무소 손잡이 압력에 영향받지 않는 안전핀을 구비한 패닉 방지용 소화기
WO2017039357A1 (ko) * 2015-09-02 2017-03-09 김진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하는 자동소화기
JP2018526110A (ja) * 2015-09-02 2018-09-13 キム,ジン−テ 使用者の便宜性を提供する自動消火器
US10828519B2 (en) 2015-09-02 2020-11-10 Jin Tai KIM Automatic fire extinguisher providing user convenience
US10926118B2 (en) 2016-01-31 2021-02-23 Top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Co., Ltd. Safety handle of fire extinguisher and fire extinguisher having the safety handle
WO2017131294A1 (ko) * 2016-01-31 2017-08-03 주식회사 탑이엔씨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 및 이 안전 손잡이를 구비한 소화기
KR101808080B1 (ko) * 2016-06-16 2017-12-13 (주)탑이엔씨건축사사무소 손잡이를 움켜잡아도 안전핀이 빠지는 소화기
KR101915713B1 (ko) * 2016-11-28 2018-11-06 (주)탑이엔씨건축사사무소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
CN106969153A (zh) * 2017-05-18 2017-07-21 江苏日明消防设备股份有限公司 便于拔出保险销的灭火器阀门结构
CN106969153B (zh) * 2017-05-18 2022-11-29 江苏日明消防设备股份有限公司 便于拔出保险销的灭火器阀门结构
KR101936408B1 (ko) * 2017-09-06 2019-04-03 삼우산기 주식회사 용기 교체 및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
KR20220046126A (ko) 2020-10-07 2022-04-14 주식회사 소방 119 소화기 헤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4688B1 (ko) 안전 손잡이를 갖는 소화기
KR102115151B1 (ko) 콕밸브가 구비된 소화기
KR101355661B1 (ko) 소화기의 손잡이 구조
KR102115414B1 (ko) 안전핀이 필요없는 소화기
JP6681469B2 (ja) 消火器の安全ハンドル及びその安全ハンドルを備えた消火器
KR102194180B1 (ko) 가스 어댑터가 구비되는 소화기
KR102573322B1 (ko) 관리 및 사용이 편리한 소화기
CN104841078A (zh) 一种气体灭火剂钢瓶用容器阀
KR101519801B1 (ko) 분리가 용이한 안전핀을 구비한 소화기
JP2018157960A (ja) ホース継手装置
KR20200099289A (ko) 안전핀 파지(把持) 없는 소화기 m
JP5299966B2 (ja) 吐出装置
JP4304011B2 (ja) 消火器の安全装置
TWI535472B (zh) Fire extinguisher intake structure
CN215136270U (zh) 一种直立式保险装置以及配置上述保险装置的灭火器
JP5020166B2 (ja) 消火ガス噴射器
KR200386002Y1 (ko) 소화기 안전장치
KR101045857B1 (ko) 수동 겸용 자동분사 소화기
JP4603827B2 (ja) 消火器の安全装置
CN105169594B (zh) 用于灭火器的保险机构及灭火器
KR20160103790A (ko) 받침부재를 갖는 소화기용 안전 손잡이
JP5875433B2 (ja) 消火器
JP2006271696A (ja) 消火栓装置
CN210044739U (zh) 一种具有击穿功能的灭火器
JP3905983B2 (ja) 加圧式消火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