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9807B1 - 봉인 스티커 기반의 소화 장치 - Google Patents

봉인 스티커 기반의 소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9807B1
KR101939807B1 KR1020160138724A KR20160138724A KR101939807B1 KR 101939807 B1 KR101939807 B1 KR 101939807B1 KR 1020160138724 A KR1020160138724 A KR 1020160138724A KR 20160138724 A KR20160138724 A KR 20160138724A KR 101939807 B1 KR101939807 B1 KR 101939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safety bar
sticker
lower lever
upper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8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4780A (ko
Inventor
형 로 정
Original Assignee
삼우산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우산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우산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8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9807B1/ko
Priority to EP17864056.1A priority patent/EP3530325A4/en
Priority to PCT/KR2017/003684 priority patent/WO2018079954A1/ko
Publication of KR20180044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4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02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pressure gas produced by chemicals
    • A62C13/04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pressure gas produced by chemicals with separate acid container
    • A62C13/14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pressure gas produced by chemicals with separate acid container with acid container the shell of which is ruptured by pin, screw-pin, or similar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66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extinguishing material and pressure gas being stored in separate containers
    • A62C13/68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extinguishing material and pressure gas being stored in separat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or releasing the extinguishing materi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3Forms or constructions of security seals
    • G09F3/0305Forms or constructions of security se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al used
    • G09F3/0341Forms or constructions of security se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al used having label seal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인 스티커 기반의 소화 장치는 본체용기, 본체 용기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레버 및 하부 레버, 상기 상부레버와 하부레버의 이격 공간에 대응하도록 바(bar)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레버 지지단에 탄성 끼움 결합되는 안전바, 및 상기 안전바의 탄성 끼움 결합 부위에 부착되는 봉인 스티커를 포함한다.
이에, 종래의 안전핀을 안전바로 대체하여 사용시 신속하게 분리하도록 하였고, 봉인 스티커가 안전바의 분리에 따라 파괴되어 소화기의 재사용 여부를 신속하게 알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봉인 스티커 기반의 소화 장치{FIRE EXTINGUISHER BASED ON SEALING STAMP STICKER}
본 발명은 봉인 스티커 기반의 소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화기의 봉인을 해제하는 안전바 구조와 안전바의 사용을 확인할 수 있는 봉인 스티커를 구비한 소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화기란 건물 내외부나 차량 내의 적당한 곳에 미리 비치하여 놓고 화재가 발생한 즉시 그 불을 끄는데 사용되는 기구를 말한다. 보통 금속으로 만든 원통으로 압착공기를 이용하는 분수소화기, 화학적으로 발생시킨 탄산가스를 분출시키는 탄산가스소화기, 중탄산소다 가루를 분출시키는 분말소화기, 탄산가스의 기포를 분출하는 포말소화기 등이 있다.
종래 이들 소화기는 통로의 적당 장소나 입구에 미리 설치하고, 많은 사람이 그 설치장소를 알 수 있도록 하여 화재발생이라고 하는 긴급상황 하에서 신속하게 소화기를 이용하여 진화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대부분의 소화기는, 소화기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소화기의 일부품인 안전핀을 뽑고 레버를 잡아당김으로써, 내부의 뇌관장치가 파열되어 충전된 소화액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기존의 안전핀은 부식 시 이탈이 불가하여 급박한 상황에서 소화기를 가동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했으며, 고리 모양의 안전핀은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 다른 물건과 접촉시 이탈의 가능성이 있었다.
더욱 나아가, 기존의 봉인줄은 사용 후 임의로 떼어 내거나 다른 봉인줄로 교체가 용이하여 재사용되는 경우에도 이를 알 수 없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1610183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화기의 안전핀을 용이하게 분리가능하고 이러한 분리에 의한 소화기의 사용여부 까지 확인할 수 있는 소화 장치를 제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인 스티커 기반의 소화 장치는 본체용기, 본체 용기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레버 및 하부 레버, 상기 상부레버와 하부레버의 이격 공간에 대응하도록 바(bar)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레버 지지단에 탄성 끼움 결합되는 안전바, 및 상기 안전바의 탄성 끼움 결합 부위에 부착되는 봉인 스티커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봉인 스티커는 상기 안전바를 분리하는 경우에 파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봉인 스티커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필름으로 이루어지며,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실리콘, 스펀지, PVC 연질, ABS연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베이스필름층, 및 베이스필름층의 배면측에 형성되어 모양을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이형잉크가 인쇄되어 형성되는 표시부층;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층을 이루는 이형잉크는 상기 안전바를 분리하는 경우에 유색층과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인 스티커 기반의 소화 장치는 종래의 안전핀을 안전바로 대체하여 사용시 신속하게 분리하도록 하였고, 봉인 스티커가 안전바의 분리에 따라 파괴되어 소화기의 재사용 여부를 신속하게 알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인 스티커 기반의 소화 장치(100)의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인 스티커 기반의 소화 장치(100)의 안전바(11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인 스티커 기반의 소화 장치(100)에서 상부 레버(170)와 하부 레버(180) 사이에 봉인 스티커(200)를 부착하여 마감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인 스티커 기반의 소화 장치(100)에서의 봉인 스티커(200)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봉인 스티커 기반의 소화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인 스티커 기반의 소화 장치(100)의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인 스티커 기반의 소화 장치(100)의 안전바(11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인 스티커 기반의 소화 장치(100)에서 상부 레버(170)와 하부 레버(180) 사이에 봉인 스티커(200)를 부착하여 마감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인 스티커 기반의 소화 장치(100)에서의 봉인 스티커(200)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봉인 스티커 기반의 소화 장치(100)는 주요 구성요소로 안전바(110), 분실방지단(120), 상부 커버(130), 본체용기(140), 용기 받침(140a), 나팔형 분출부(150), 분출부 연결단(160), 상부 레버(170), 하부 레버(180)를 구비한다.
안전바(110)는 와이어 연결단(111), 상단 장착홀(112), 하단 장착홀(113), 탄성 프레임(114), 체결 돌기(115) 그리고 직선형 프레임을 구비하여 금속제가 아닌 난연성 소재로 형성된다. 여기서 와이어 연결단(111)은 기둥 형상으로 내부 중앙 영역에 직경이 차별화된 상단 장착홀(112) 및 하단 장착홀(113)이 상하의 수직 방향으로 내부에 형성되며, 상부 레버(170)에 대해서 탈착되는 탄성 프레임(114)과는 1자 형태의 직선형 수직 프레임(116)을 통해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직선형 수직 프레임(116)은 안전바(110)의 상부 레버(170)로 체결 상태에서의 구조가 본체용기(140)의 하부 끝단에 형성된 용기 받침(140a)의 상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평면이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직선형 프레임은 손가락 삽입홀이 구비되며, 그 밖의 통기구를 구비할 수 있다.
탄성 프레임(114)은 직선형 수직 프레임(116)의 끝단에 집게 형태와 같은 두 개의 곡면형 평판이 마주 보도록 형성됨으로써, 평판 형태의 상부 레버(170)에서 하부 레버(180)와 수직 방향으로 맞닿는 지지단의 체결 영역을 양쪽에서 감싸는 형태로 안전바(110)가 체결되는 경우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안전바(110)가 탈착되는 경우에 두 개의 곡면형 평판이 벌어져 후술할 봉인 스티커가 파괴된다.
여기서 체결 영역은 수평 방향에서 지지단의 전체 직경 보다 직경이 작은 영역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분실방지단(120)은 와이어(121) 및 고정체(122)의 일체로 이루어진다.
상부 커버(130)는 본체용기(140)로부터 분리되는 구조를 갖으며, 반원구 형태로 중앙에 도입관 고정체(미도시)가 통과하여 고정될 수 있는 영역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본체용기(140) 내부의 도입관을 통해 상부 레버(170)와 하부 레버(180)에 대한 외력 제공에 의해 발생된 수직압력에 의해 소화액이 상부로 이동한 뒤, 분출구와 연결된 나팔형 분출부(150)를 통해 분사될 수 있는 루트를 제공하는 도입관 고정체 및 본체용기(140)의 상부를 외력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본체용기(140)는 원통 형상으로 축압식 소화분말, 소화액, 소화가스 등과 같은 소화물질 담고 있으며, 상부면은 상부 커버(130)의 하부면과 포개지게 결합할 수 있는 반구형으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외력으로부터의 보호를 위한 용기 받침(140a)을 구비할 수 있다.
나팔형 분출부(150)는 종래의 소화 호스 대신에 상하의 끝단이 절단된 원추 형상으로 방사상으로 소화물질이 분사되도록 한다.
분출부 연결단(16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분리형 상부 커버(130)의 전면 외측을 감싸서 형성되며, 분출구가 통과하기 위한 홀을 구비함으로써, 외측에서 분출구를 향해 나팔형 분출부(150)와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도입관을 통해 상부 레버(170)와 하부 레버(180)에 대한 외력 제공에 의해 발생된 수직압력에 의해 소화물질이 상부로 이동한 뒤, 분출구와 연결된 나팔형 분출부(150)를 통해 분사될 수 있다.
한편, 압력 게이지(130a)가 분출부 연결단(160)과 분리형 상부 커버(130) 수평 방향에서 맞닿은 영역에 형성되며, 내부의 도입관 고정체(195)를 통과한 소화물질의 압력을 측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압력 게이지(130a)는 아날로그 압력 게이지 또는 디지털 압력 게이지로 형성될 수 있다.
봉인 스티커(200)는 상부 레버(170)와 하부 레버(180) 사이를 연결하는 상부 레버 지지단에 부착된다. 이때, 상부 레버(170)와 하부 레버(180)가 사용자의 완력에 의해 펌핑 동작 또는 안전바(110)를 이탈하는 동작을 수행하면, 봉인 스티커(200)가 자동으로 훼손되어 사용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봉인 스티커(200)는 임의로 떼어낼 경우 부서져서 라벨 훼손 없이는 뗄 수 없는 스티커로 파괴라벨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봉인 스티커(200)는 이중박리 파괴 스티커로 떼어나면 얇은 필름막이 분리되면서 재부착이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인 스티커(200)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봉인 스티커(200)에서의 긴 변의 길이인 "L1"와, 봉인 스티커(200) 상에서 측면의 길이 "d1"와의 관계인 L1 : d1은 6.8 내지 7. 2 : 1로 형성될 경우, 양 손잡이인 상부 레버(170) 및 하부 레버(180)를 이용해 사용자의 완력에 의해 펌핑 동작 또는 안전바의 분리 동작을 수행하면, 봉인 스티커(200)의 인장강도가 가장 약한 상태에서 분리형 상부 커버 및 봉인 스티커 기반의 소화 장치(100)가 분리되는 것이 하기의 [표 1]와 같이 실험적으로 확인된다.
시험예 L1 : d1 인장력(kN)
1 6.6 : 1 0.012
2 6.7 : 1 0.013
3 6.8 : 1 0.009
4 6.9 : 1 0.008
5 7.0 : 1 0.009
6 7.1 : 1 0.007
7 7.2 : 1 0.007
8 7.3 : 1 0.011
9 7.4 : 1 0.012
그리고, 본 발명의 봉인 스티커(200)은 베이스필름, 표시층, 유색층, 잉크층, 접착제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필름층은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필름으로 이루어지며, 부드러운 연질재질(예를 들면,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실리콘, 스펀지, PVC 연질, ABS연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을 가질 수 있다.
표시부층은 베이스필름층의 배면측에 형성되어 도 4b와 같은 문형이나 그림 등의 모양을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이형잉크가 인쇄되어 형성된다.
표시부층을 이루는 이형잉크는 유색층과의 결합력이 약한 성질을 가지므로, 상부 레버(170)와 하부 레버(180)가 사용자의 완력에 의해 펌핑 동작을 수행하면, 유색층과 용이하게 떨어지도록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분리형 상부 커버 및 봉인 스티커 기반의 소화 장치
110 : 안전바
111 : 와이어 연결단
112 : 상단 장착홀
113 : 하단 장착홀
114 : 탄성 프레임
115 : 체결 돌기
120 : 분실방지단
121 : 와이어
122 : 고정체
130 : 분리형 상부 커버
130a : 압력 게이지
140 : 본체용기
140a : 용기 받침
150 : 나팔형 분출부
160 : 분출부 연결단
170 : 상부 레버
180 : 하부 레버
200: 봉인 스티커

Claims (4)

  1. 본체용기;
    본체용기로부터 분리되는 구조를 갖으며, 반원구 형태로 중앙에 도입관 고정체가 통과할 수 있는 영역이 개구 형성되는 상부 커버;
    본체 용기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레버 및 하부 레버;
    결합 시에 상부 레버 또는 하부 레버의 작동을 방지하는 합성 수지 재질의 안전바; 및
    안전바의 탄성 끼움 결합 부위에 부착되는 봉인 스티커;
    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바는 결합 시 상기 상부레버 및 하부레버의 이격된 영역 사이를 전체적으로 채우도록 설치되고, 본체용기가 놓인 바닥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평면이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의 끝단에서 연장되어 두 개의 곡면형 평판이 마주 보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레버 및 하부 레버의 이격된 영역을 감싸도록 채우는 탄성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바의 탄성 끼움 결합 부위는 상기 탄성프레임에서 두개의 곡면형 평판이 상부 레버와 하부 레버의 이격된 영역을 감싸도록 끼워지는 영역이며,
    상기 봉인 스티커는 상부 레버와 하부 레버가 이격된 영역과 상기 두개의 곡면형 평판에 함께 부착되어, 상기 안전바를 분리하는 경우에 두개의 곡면형 평판이 벌어져 파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인 스티커 기반의 소화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인 스티커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필름으로 이루어지며,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실리콘, 스펀지, PVC 연질, ABS연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베이스필름층; 및
    베이스필름층의 배면측에 형성되어 모양을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이형잉크가 인쇄되어 형성되는 표시부층; 을 포함하여 특징으로 하는 봉인 스티커 기반의 소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층을 이루는 이형잉크는 상기 안전바를 분리하는 경우에 유색층과 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특징으로 하는 봉인 스티커 기반의 소화 장치.
KR1020160138724A 2016-10-24 2016-10-24 봉인 스티커 기반의 소화 장치 KR101939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724A KR101939807B1 (ko) 2016-10-24 2016-10-24 봉인 스티커 기반의 소화 장치
EP17864056.1A EP3530325A4 (en) 2016-10-24 2017-04-04 FIRE EXTINGUISHER
PCT/KR2017/003684 WO2018079954A1 (ko) 2016-10-24 2017-04-04 소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724A KR101939807B1 (ko) 2016-10-24 2016-10-24 봉인 스티커 기반의 소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4780A KR20180044780A (ko) 2018-05-03
KR101939807B1 true KR101939807B1 (ko) 2019-01-17

Family

ID=62244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8724A KR101939807B1 (ko) 2016-10-24 2016-10-24 봉인 스티커 기반의 소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98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81233A (zh) * 2019-04-08 2019-08-02 广东联塑安防科技有限公司 一种灭火器阀门防伪保险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0638A (ja) * 2005-03-01 2006-09-14 Mitani Valve Co Ltd ストッパ部材、噴射装置、および噴出器
JP6032131B2 (ja) * 2013-05-31 2016-11-24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温度センサ回路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2131Y2 (ja) * 1981-10-29 1985-09-25 金井 宏之 カ−ドロ−ラのバ−シ−ズ除去装置
US4557505A (en) * 1984-01-05 1985-12-1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tress-opacifying tamper indicating tap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0638A (ja) * 2005-03-01 2006-09-14 Mitani Valve Co Ltd ストッパ部材、噴射装置、および噴出器
JP6032131B2 (ja) * 2013-05-31 2016-11-24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温度センサ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4780A (ko) 2018-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43806B2 (en) Face piece seal check device
KR101939807B1 (ko) 봉인 스티커 기반의 소화 장치
KR20070009641A (ko) 변형 가능한 볼부를 갖는 비탄성체 호흡기 마스크
KR20180133492A (ko) 보이스미터에 의해 유지되는 안면마스크 노우즈컵
JP2017007163A (ja) 保護フィルム貼付用治具
JP2014212084A5 (ko)
TW201604109A (zh) 板狀構件運送裝置
KR200480574Y1 (ko) 호기밸브가 구비된 마스크
CN108657441B (zh) 在飞机上为乘客紧急供氧的系统
WO2016114540A1 (ko) 메쉬망을 구비한 콤팩트용 캡슐용기
JP7325247B2 (ja) 発信機の点検方法及び点検治具
EP3074097B1 (en) Tank attachment arrangement for a self-contained breathing apparatus
KR101936408B1 (ko) 용기 교체 및 나팔형 분출 구조를 갖는 소화 장치
PL352467A1 (en) Fire-extinguishing equipment
US11499906B2 (en) Coupling device for mask test means
KR102093547B1 (ko) 맞춤형 디자인 소화기의 제조 방법
KR20060117070A (ko) 오발 방지용 안전 소화기
KR101857494B1 (ko) 상부 커버 기반의 소화 장치
KR101731709B1 (ko) 소화기용 거치대
KR102111511B1 (ko) 소화기가 구비된 대중교통 안전 손잡이 조립체
KR101967165B1 (ko) 방독면의 정화통 공기 흡기 장치
EP3530325A1 (en) Fire extinguisher
JP2020031031A (ja) 非常通報装置
US9612176B2 (en) Test head assembly for use in testing protective masks
US12009641B2 (en) Pressure relief device and housing compri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