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8365A - 차량용 통신 서비스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통신 서비스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8365A
KR20180068365A KR1020160169555A KR20160169555A KR20180068365A KR 20180068365 A KR20180068365 A KR 20180068365A KR 1020160169555 A KR1020160169555 A KR 1020160169555A KR 20160169555 A KR20160169555 A KR 20160169555A KR 20180068365 A KR20180068365 A KR 20180068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ntenna
communication modem
location information
mod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9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3000B1 (ko
Inventor
김장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9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3000B1/ko
Publication of KR20180068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8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3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3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01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for measurement of specific parameters of the transmitter or components thereof
    • H04B17/102Power radiated at antenn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64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separate antennas for the more than one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4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차량용 통신 안테나의 이상 발생시 자가 진단을 통해 통신 모뎀의 작동을 중단하고, 차량이 개활지로 이동되면 강제로 통신 네트워크를 탐색하여 망 등록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정확한 차량의 안테나 송수신 상태를 전달할 수 있는 차량용 통신 서비스 제어방법이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통신 서비스 제어방법{CONTROLLING METHOD FOR TELEMATICS SERVICE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통신 서비스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용 통신 안테나의 이상 발생시 자가 진단을 통해 통신 모뎀의 작동을 중단하고, 차량이 개활지로 이동되면 강제로 통신 네트워크를 탐색하여 망 등록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정확한 차량의 안테나 송수신 상태를 전달할 수 있는 차량용 통신 서비스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차량에 텔레매틱스 기술의 적용으로 운전경로 안내, 차량사고나 도난감지, 교통정보 등을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텔레매틱스 기술의 적용을 위해 차량의 LTE 안테나는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메인안테나와 수신만 가능한 서브안테나로 구성된다.
종래에는 메인안테나의 데이터 송신 이상 발생시 서브안테나만으로 수신이 가능하므로 상태표시창에 안테나 바가 In Service 상태로 표시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텔레매틱스 서비스 사용 가능으로 인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비상상황 발생으로 인해 긴급구조 요청 등 송신이 필요한 상황에서 안테나 이상으로 송신이 불가능함에도 사용자는 서비스 사용 가능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안테나 이상 발생시 자가 진단을 통해 통신 서비스의 정확한 상태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솔루션이 필요하였던 것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6-0131722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차량용 통신 안테나의 이상 발생시 자가 진단을 통해 통신 모뎀의 작동을 중단하고, 차량이 개활지로 이동되면 강제로 통신 네트워크를 탐색하여 망 등록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정확한 차량의 안테나 송수신 상태를 전달할 수 있는 차량용 통신 서비스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통신 서비스 제어방법은, 차량용 안테나의 송신 파워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안테나의 송신 파워가 사전 설정된 송신 파워값보다 작은 경우 차량용 통신 모뎀의 작동을 중단하고, 차량의 위치정보 확인을 시도하는 단계; 및 차량의 위치정보 확인에 성공한 경우 차량용 통신 모뎀을 재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차량용 통신 모뎀의 작동을 중단하고, 차량의 위치정보 확인을 시도하는 단계에서는, 사전 설정된 시간동안 차량용 통신 모뎀의 작동을 중단하고 차량의 위치정보 확인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전 설정된 시간은 차량용 통신 모뎀의 작동을 중단하기 이전에 확인된 차량의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설정된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전 설정된 시간은 차량의 위치정보에 기반한 차량의 위치가 개활지인 경우 제1기준시간이고, 차량의 위치정보에 기반한 차량의 위치가 음영지인 경우 제2기준시간이며, 제1기준시간은 제2기준시간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량용 통신 모뎀을 재작동시키는 단계에서는, 차량에서 GPS 신호가 수신이 되고 GPS 데드레코닝이 활성화 되지 않는 경우 차량용 통신 모뎀을 재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량용 통신 모뎀을 재작동시키는 단계 이후에는, 차량이 네트워크에 등록 불가능한 경우 안테나가 고장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안테나가 고장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차량의 인터페이스에 안테나의 고장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에 따르면, 차량용 통신 안테나의 이상 발생시 자가 진단을 통해 통신 모뎀의 작동을 중단하고, 차량이 개활지로 이동되면 강제로 통신 네트워크를 탐색하여 망 등록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정확한 차량의 안테나 송수신 상태를 전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신 서비스 제어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신 서비스 제어방법의 순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통신 서비스 제어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신 서비스 제어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신 서비스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신 서비스 제어시스템은, Main 안테나(100), Sub 안테나(200), GPS 모듈(300), 통신모뎀(400), 헤드유닛(500), 제어부(600)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제어부(600)는 타이머(61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량용 통신 서비스 제어방법은 차량용 안테나의 송신 파워를 측정하는 단계(S200); 측정된 안테나의 송신 파워가 사전 설정된 송신 파워값보다 작은 경우 차량용 통신 모뎀의 작동을 중단하고, 차량의 위치정보 확인을 시도하는 단계(S300, S500, S600); 및 차량의 위치정보 확인에 성공한 경우 차량용 통신 모뎀을 재작동시키는 단계(S700);를 포함한다.
차량용 안테나의 송신 파워를 측정하는 단계(S200) 이전에는, 차량의 ACC ON이 되고, 정상적인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확인할 수 있다(S1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차량의 ACC ON시 헤드유닛(500)상에 통신 안테나 바가 Full로 표시되는 지 확인할 수 있다.
차량용 안테나의 송신 파워를 측정하는 단계(S200)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메인안테나(100)의 송신 파워를 측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나서, 측정된 안테나의 송신 파워가 사전 설정된 송신 파워값보다 작은지 판단하게 된다(S300).
여기서, 측정된 안테나의 송신 파워가 사전 설정된 송신 파워값보다 작은 경우 안테나의 이상상태로 판단하여 제어부(600)에서 안테나 진단코드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안테나 진단코드가 활성화되면 차량의 GPS를 측정하여 현재 위치를 파악하게 된다(S400).
여기서, 차량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이유는 차량의 현재 위치가 통신 송수신률이 높은 개활지인지, 송수신률이 낮은 음영지인지 판단하기 위함이다. 또한, 개활지인지 음영지인지 판단하여 하기 타이머의 작동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다음에는, 측정된 안테나의 송신 파워가 사전 설정된 송신 파워값보다 작은 경우 차량용 통신 모뎀의 작동을 중단할 수 있다(S500).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차량용 통신 모뎀의 작동을 중단하는 것은 차량용 통신 모뎀을 에어플레인 모드(Airplane Mode)로 설정하는 것 일 수 있다. 모뎀을 에어플레인 모드로 설정하는 이유는 에어플레인 모드에서 온라인 모드로 변경시 자동으로 네트워크를 탐색하여 망 등록 절차를 수행하기 위함이다. 즉, 안테나 송신 이상 상황에서 차량의 헤드유닛(500) 또는 AVN 상에 안테나 바는 Full로 표시가 되고, 사용자는 안테나 바의 표시로 인해 서비스 정상상태로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가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요청하게 되면, 메인 안테나의 이상으로 인해 헤드유닛 또는 AVN 상에는 No service로 표시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요청하지 않는다면 헤드유닛 상에는 안테나 바가 Full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서비스요청을 하여 송신이 가능하지 않음을 인지하기 전에, 차량에서 미리 안테나 이상 여부를 판단하여 통신 서비스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차량의 No sevice 상태를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에어플레인 모드로 진입함으로써 모뎀 작동을 중단하게 되어 전류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차량용 통신 모뎀의 작동을 중단하는 단계(S500)에서는, 사전 설정된 시간동안 차량용 통신 모뎀의 작동을 중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전 설정된 시간동안 차량용 통신 모뎀의 작동을 중단하는 것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모뎀을 에어플레이인 모드로 일정시간동안 유지한 후에 온라인 모드로 변경시키는 타이머(610)를 작동시키는 것일 수 있다.
사전 설정된 시간은 타이머(610)를 작동시키는 시간으로써, 차량용 통신 모뎀의 작동을 중단하기 이전에 확인된 차량의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설정된 시간이고, 차량의 위치정보에 기반한 차량의 위치가 개활지인 경우 제1기준시간이고, 차량의 위치정보에 기반한 차량의 위치가 음영지인 경우 제2기준시간이며, 제1기준시간은 제2기준시간보다 짧을 수 있다.
여기서, 차량용 통신 모뎀의 작동을 중단하기 이전에 확인된 차량의 위치정보는 차량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S400)에서 파악된 차량의 위치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제1기준시간은 1분일 수 있다. 그리고, 제2기준시간은 제1기준시간인 1분보다 더 긴 시간일 수 있다. 이 기준값들은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와같이, 개활지일 때의 타이머(610) 작동시간이 음영지일 때의 타이머(610) 작동시간보다 짧은 이유는 차량이 개활지에 있을 때 통신 네트워크 탐색 및 등록 확률이 음영지에 있을 때보다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차량이 개활지에 있을 때 타이머를 짧게 작동시켜 에어플레인 모드에서 온라인 모드로 변경하고, 네트워크 탐색 및 등록 절차를 수행하여 안테나가 최종적으로 이상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모뎀 작동 중단 및 타이머 작동 단계(S500) 이후에는 차량의 위치정보 확인을 시도하게 된다(S600).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차량의 위치정보는 차량의 GPS 신호일 수 있고,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 3D GPS 신호일 수 있다.
차량의 위치정보 확인을 시도하는 단계(S600)에서는, 차량이 멈춰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차량이 이동한 상황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위치정보 확인에 실패한 경우에는 타이머 작동을 유지하여 GPS 신호가 수신되는 지 판단할 수 있다(S620).
한편, 차량의 위치정보 확인에 성공한 경우 차량용 통신 모뎀을 재작동시키게 된다(S700).
여기서, 차량의 위치정보 확인에 성공한 경우는 차량에서 GPS 신호가 수신이 된 경우를 의미한다. 또한, GPS 신호가 수신이 된 경우는 차량의 위치가 개활지에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GPS 신호가 수신이 되지 않는 경우는 차량의 위치가 음영지에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음영지는 터널 또는 지하주차장과 같이 전파 수신이 안되는 지역을 의미할 수 있다.
차량의 위치정보 확인에 성공한 경우 차량용 통신 모뎀을 재작동시키는 단계(S700)에서는, 차량에서 GPS 신호가 수신이 되고 GPS 데드레코닝이 활성화 되지 않는 경우 차량용 통신 모뎀을 재작동시킨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차량에서 GPS 신호 수신 확인 뿐만 아니라 정확성 및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GPS 데드레코닝이 활성화되는지 여부도 판단할 수 있다. 즉, 차량에서 GPS 신호가 수신이 되고 GPS 데드레코닝이 활성화 되지 않는 경우 차량용 통신 모뎀을 재작동시킬 수 있다. 차량의 GPS 데드레코닝(Dead reckoning)은 차량이 터널과 같은 음영지역에 위치해 있을 때, 차량의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휠센서 등으로부터 차량의 상대위치를 측정해내는 기능이다. 즉, GPS 신호가 수신이 되는 경우 데드레코닝 기능은 활성화되지 않게 된다. 이로써, 차량의 위치정보 확인 성공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차량의 위치정보 확인에 성공한 경우 차량용 통신 모뎀을 재작동시키게 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차량용 통신 모뎀을 재작동시키는 것은 모뎀을 온라인 모드(Online Mode)로 동작시키는 것일 수 있다. 즉, 차량에서 GPS 신호가 수신이 되는 경우 에어플레인 모드 상태인 모뎀을 온라인 모드로 변경하게 된다. 이때, 모뎀 재작동 단계(S700)는 타이머 작동시간 종료 후 실행될 수 있고, 차량에서 GPS 신호가 수신이 되는 경우 타이머 작동시간 종료 전이라도 실행될 수 있다.
차량용 통신 모뎀을 재작동시키는 단계(S700)에서는, 통신 가능한 네트워크를 탐색할 수 있다(S800).
여기서, 네트워크 탐색은 모뎀 재작동 단계(S700)에서 모뎀을 온라인 모드로 변경시 자동으로 통신 가능한 네트워크를 탐색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Full Scan Searching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통신 가능한 네트워크는 통신사 네트워크일 수 있다.
차량용 통신 모뎀을 재작동시키는 단계(S700) 이후에는, 차량이 네트워크에 등록 가능한지를 판단하게 된다(S820).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차량이 네트워크에 등록 가능한지는 IMEI와 같은 차량의 단말정보를 식별하여 통신사 네트워크에 등록 가능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차량이 네트워크에 등록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단계(S820)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차량이 네트워크에 등록 가능한 경우 차량의 헤드유닛(500)에 서비스 정상 수신 가능함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차량이 네트워크에 등록 불가능한 경우 안테나가 고장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S840).
여기서, 차량이 네트워크에 등록 불가능한 경우 안테나가 고장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이유는 처음에 메인 안테나의 이상 발생시 진단코드가 활성화되는데 안테나의 이상이 차량이 음영지에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인지 성능적으로 이상이 있는 것인지 회로적으로만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안테나의 정확한 성능 판단은 본 발명의 제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차량의 위치가 음영지인 상태에서 안테나의 이상이 발생하고, 모뎀의 재작동(온라인 모드)이 수행되며, 차량의 위치가 개활지인 상태에서 네트워크 등록이 불가능 하다면 이것은 음영지로 인한 안테나의 이상이 아닌 통신 가능한 네트워크가 있음에도 송신이 안되는 안테나의 고장 상태인 것이다.
안테나가 고장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차량의 인터페이스에 안테나의 고장을 알릴 수 있다(S840).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차량의 인터페이스는 차량의 헤드유닛 또는 AVN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여러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통신 서비스 제어방법은 안테나의 송신 이상 발생시 사용자가 서비스 요청 실패를 통해 안테나 이상을 파악하기 전에, 미리 차량에서 자가진단을 통해 안테나 이상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정확한 차량의 안테나 송수신 상태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이 개활지로 이동되면 강제로 통신 네트워크를 탐색하여 망 등록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안테나 송수신 상태 판단에 대한 신뢰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S100: ACC ON단계 S200: 안테나 송신 파워 측정 단계
S300: 안테나 송신 파워와 설정 파워값과 비교단계
S400: 차량의 현재 GPS 측정단계
S500: 모뎀 작동 중단 및 타이머 작동단계
S600: GPS 신호 수신여부 판단단계 S700: 모뎀 재작동단계
S800: 네트워크 탐색단계 S820: 네트워크 등록단계
S840: 안테나 고장 Display단계

Claims (7)

  1. 차량용 안테나의 송신 파워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안테나의 송신 파워가 사전 설정된 송신 파워값보다 작은 경우 차량용 통신 모뎀의 작동을 중단하고, 차량의 위치정보 확인을 시도하는 단계; 및
    차량의 위치정보 확인에 성공한 경우 차량용 통신 모뎀을 재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통신 서비스 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차량용 통신 모뎀의 작동을 중단하고, 차량의 위치정보 확인을 시도하는 단계에서는, 사전 설정된 시간동안 차량용 통신 모뎀의 작동을 중단하고 차량의 위치정보 확인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신 서비스 제어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사전 설정된 시간은 차량용 통신 모뎀의 작동을 중단하기 이전에 확인된 차량의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설정된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신 서비스 제어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사전 설정된 시간은 차량의 위치정보에 기반한 차량의 위치가 개활지인 경우 제1기준시간이고, 차량의 위치정보에 기반한 차량의 위치가 음영지인 경우 제2기준시간이며, 제1기준시간은 제2기준시간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신 서비스 제어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차량용 통신 모뎀을 재작동시키는 단계에서는, 차량에서 GPS 신호가 수신이 되고 GPS 데드레코닝이 활성화 되지 않는 경우 차량용 통신 모뎀을 재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신 서비스 제어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차량용 통신 모뎀을 재작동시키는 단계 이후에는, 차량이 네트워크에 등록 불가능한 경우 안테나가 고장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신 서비스 제어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안테나가 고장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차량의 인터페이스에 안테나의 고장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신 서비스 제어방법.
KR1020160169555A 2016-12-13 2016-12-13 차량용 통신 서비스 제어방법 KR102603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555A KR102603000B1 (ko) 2016-12-13 2016-12-13 차량용 통신 서비스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555A KR102603000B1 (ko) 2016-12-13 2016-12-13 차량용 통신 서비스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365A true KR20180068365A (ko) 2018-06-22
KR102603000B1 KR102603000B1 (ko) 2023-11-22

Family

ID=62768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9555A KR102603000B1 (ko) 2016-12-13 2016-12-13 차량용 통신 서비스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30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60568A (zh) * 2022-08-31 2022-12-09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载终端网络管理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9799A (ko) * 2009-03-04 2010-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맵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601534B1 (ko) * 2014-11-11 2016-03-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긴급 콜 발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31722A (ko) 2015-05-08 2016-11-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텔레매틱스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9799A (ko) * 2009-03-04 2010-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맵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601534B1 (ko) * 2014-11-11 2016-03-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긴급 콜 발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31722A (ko) 2015-05-08 2016-11-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텔레매틱스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60568A (zh) * 2022-08-31 2022-12-09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载终端网络管理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5460568B (zh) * 2022-08-31 2024-03-12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载终端网络管理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3000B1 (ko) 2023-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3286B2 (en)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at least a first function of a safety device of a vehicle
US10145960B2 (en) System and method for cell phone restriction
US20180107473A1 (en) Determining whether to install a vehicle system update in a vehicle
US8744745B2 (en) Method of using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with a wireless mobile device
JP4338389B2 (ja) 車両をナビゲートするためのシステム、装置及び方法
US201600876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tennas in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CN105652763B (zh) 防止车辆放电的远程信息处理终端和远程信息处理中心及其控制方法
US9432828B1 (en) Vehicle emergency dialing system
US9949267B2 (en) Vehicle telematics services in coordination with a handheld wireless device
KR20180073039A (ko) 타이어 마모 확인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90056633A (ko) Gps 음영 지역에서의 차량 길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16125468A1 (ja) 車両用通信機
JP2011027425A (ja) カーファインダシステム
KR102176772B1 (ko) 차량의 주차위치 추적 장치 및 그 방법
JP7150969B2 (ja) 車両の位置を特定する方法
CN110858959B (zh) 一种管理车辆处的短程无线通信srwc的方法
JP6965669B2 (ja) 空調制御システム
KR20180068365A (ko) 차량용 통신 서비스 제어방법
JP2008015750A (ja) 車両管理システム
US10828957B2 (en) Vehicle system, vehicle,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11375361B2 (en) Dynamic tuning of mobile network device configuration based on location
US20230020101A1 (en) Modular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US10743139B2 (en) Wireless system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JP7334637B2 (ja) 車載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通信プログラム
US11876570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emergency of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