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9799A - 휴대용 단말기에서 맵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에서 맵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9799A
KR20100099799A KR1020090018313A KR20090018313A KR20100099799A KR 20100099799 A KR20100099799 A KR 20100099799A KR 1020090018313 A KR1020090018313 A KR 1020090018313A KR 20090018313 A KR20090018313 A KR 20090018313A KR 20100099799 A KR20100099799 A KR 20100099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p data
portable terminal
area
server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8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1809B1 (ko
Inventor
유승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8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1809B1/ko
Priority to US12/716,464 priority patent/US20100228478A1/en
Priority to CN201010128595A priority patent/CN101827305A/zh
Publication of KR20100099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9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1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1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85Transmission of map data to client devices; Reception of map data by client devices
    • G01C21/3889Transmission of selected map data, e.g. depending on rou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85Transmission of map data to client devices; Reception of map data by client devices
    • G01C21/3896Transmission of map data from central databas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10Map spot or coordinate position indicators; Map reading aids
    • G09B29/106Map spot or coordinate position indicators; Map reading aids using electron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위성 신호 정보를 이용하여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시 맵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와 실시간 연결이 불가능한 지역에 대한 맵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가 데이터 통신이 불가능한 음영 지역으로 진입하는지 확인하는 음영 지역 판단부와, 상기 음영 지역으로 진입함을 판단할 경우, 맵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로 일정 구간에 대한 맵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에 해당하는 맵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네비게이션, 맵 정보, 맵 데이터, 음영 지역, 경로 탐색, 지도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에서 맵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MAP DATA IN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위성 신호 정보를 이용하여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시 맵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와 실시간 연결이 불가능한 지역에 대한 맵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의 편리성 때문에 사용이 급격히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단말기 제조자)들은 많은 사용자를 확보하기 위해 더욱 편리한 기능을 갖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폰북(phone book), 게임(game), 스케쥴러(Scheduler),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ultimedia message service), 방송메시지서비스(Cell broadcasting service), 인터넷 서비스(internet Service), 이메일(e-mail), 모닝콜(morning call), MP 3(MPEG Layer 3),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등의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이동통신 망을 통해 교통 정보 센터와 접속하여 교통 정보를 제공하거나 사용자에게 특정 노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네비게이션(nevigation) 기능을 제공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기능은 맵 데이터를 저장한 상태에서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이동체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는 전형적인 네비게이션 시스템과 달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변경될 때마다 맵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와 실시간으로 호 연결을 수행하여 해당 맵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이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한정된 메모리에 많은 용량의 맵 데이터를 저장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맵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와 통신이 가능해야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서버와 통신할 수 없는 음영 지역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서버와의 통신이 불가능함에 따라 상기 맵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맵 데이터를 실시간 수신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서비스 연결이 불가능한 음영 지역의 맵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시간 맵 데이터를 수신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맵 데이터 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시간 맵 데이터를 수신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맵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와 통신할 수 없는 지역의 맵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시간 맵 데이터를 수신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맵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와 통신이 불가능한 지역에 진입하기 전에 해당 지역의 맵 데이터를 미리 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시간 맵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에서 휴대용 단말기가 음영 지역으로 이동함을 확인할 경우, 음영 지역의 맵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맵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가 데이터 통신이 불가능한 음영 지역으로 진입하는지 확인하는 음영 지역 판단부와, 상기 음영 지역으로 진입함을 판단할 경우, 맵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로 일정 구간에 대한 맵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에 해당하는 맵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맵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은 휴대용 단말기가 데이터 통신이 불가능한 음영 지역으로 진입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음영 지역으로 진입함을 판단할 경우, 맵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로 일정 구간에 대한 맵 정보를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에 해당하는 맵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시간 맵 데이터를 수신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맵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와 통신할 수 없는 지역의 맵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서버와 통신할 수 없는 지역으로 이동하기 전에 해당 지역의 맵 데이터를 미리 수신하여 지속적인 맵 데이터 사용을 가능하게 하여 지속적인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 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실시간 맵 데이터를 수신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맵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와 통신할 수 없는 지역의 맵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라 서비스 불능 지역에서 맵 데이터를 수신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부(100), 음영 지역 판단부(102), 저장부(104), 입력부(106), 표시부(108), 통신부(110) 및 위성 신호 수신부(112)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부(1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시 맵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맵 데이터를 제공받아 상기 서비스를 수행하며,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맵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와 통신할 수 없는 음영 지역으로 진입함을 확인할 경우, 상기 지역으로 진입하기 전에 상기 서버와 통신하여 일정 범위에 해당하는 맵 데이터를 요청하도록 처리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00)는 음영 지역으로 진입하기 전에 음영 지역에 해당하는 맵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음영 지역으로 진입하더라도 수신한 맵 데이터를 이용하여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도록 처리한 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음영 지역 판단부(102)로 하여금 수신 신호의 세기와 음영 지역의 진입을 판단하는 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음영 지역으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음영 지역 판단부(102)는 상기 제어부(100)의 지시를 받아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맵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와 통신할 수 없는 지역으로 이동하는지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음영 지역 판단부(102)는 수신하는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상기 측정한 수신 신호의 세기가 작은 곳은 상기 서버와 통신이 불가능한 음영 지역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저장부(104)는 롬(ROM ; Read Only Memory), 램(RAM ; 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롬(flash ROM)으로 구성된다. 상기 롬은 상기 제어부(100) 및, 상기 음영 지역 판단부(102)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마이크로코드와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램은 상기 제어부(100)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로, 각종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플래쉬롬은 전화번호부(phone book), 발신메시지, 수신메시지 및 사용자의 터치 입력 지점의 정보와 같은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하며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받는 맵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입력부(106)는 0 ~ 9의 숫자키 버튼들과, 메뉴버튼(menu), 취소버튼(지움), 확인버튼, 통화버튼(TALK), 종료버튼(END), 인터넷접속 버튼, 네비게이션 키(또는 방향키) 버튼들 및 문자 입력 키 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 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상기 표시부(108)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상태 정보, 제한된 숫자의 문자들, 다량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표시부(108)는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부(108)는 터치 입력 장치를 구비하여 터치 입력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할 경우 입력 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10)는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의 무선신호를 송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송신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 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한 후, RF처리하여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인 경우, 수신된 RF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기저대역신호를 역 확산(De-spreading) 및 채널 복호(Channel decoding)하여 데이터를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서버로 맵 데이터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에 해당하는 맵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위성 신호 수신부(112)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위성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음영 지역 판단부(102)의 역할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부(100)에 의해 수행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이를 별도로 구성하여 도시한 것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인 구성이지 결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자는 것이 아니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구성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이들 모두를 상기 제어부(100)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 다.
이상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와 통신할 수 없는 음영 지역의 맵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맵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에서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 구간을 확인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음영 지역으로 이동시 상기 음영 지역에 해당하는 맵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맵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의 장치에 대한 설명은 하기 도 4에서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이상은 본 발명에 따라 실시간 맵 데이터를 수신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맵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와 통신할 수 없는 지역의 맵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에 관하여 설명하였고, 이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장치를 이용하여 실시간 맵 데이터를 수신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맵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와 통신할 수 없는 지역으로 이동하기 전에 해당 지역의 맵 데이터를 미리 수신하여 지속적인 맵 데이터 수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맵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01단계로 진행하여 호 수신이 가능한 지역에 위치하였는지 판단한다.
만일,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201단계에서 호 수신이 불가능함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201단계에서 호 수신이 가능함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음영 지역으로 진입하는지 판단한다. 여기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맵 정보를 수신할 수 없는 음영 지역으로의 진입을 확인하는 것이다.
만일, 상기 203단계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음영 지역으로 진입하지 않음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201단계의 과정을 재수행한다.
한편, 상기 203단계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음영 지역으로 진입하고 있음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05단계로 진행하여 맵 정보 제공 서버로 일정 구간에 대한 맵 정보를 요청한 후, 2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맵 정보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한 구간에 대한 맵 정보를 수신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207단계에서 상기 요청한 구간에 대한 맵 정보를 수신하지 않을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207단계의 과정을 재수행한다.
한편, 상기 207단계에서 상기 요청한 구간에 대한 맵 정보를 수신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한 맵 정보를 저장한 후, 상기 수신한 맵 정보를 이용하여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호 수신이 불가능한 지역에서도 실시간으로 맵 데이터를 수신하는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맵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먼저 301단계로 진행하여 수신 신호 세기를 측정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301단계에서 측정한 수신 신호의 세기와 미리 정한 임계값을 비교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상기 미리 정한 임계값은 음영 지역의 진입을 판단하는 값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수신 신호의 세기가 상기 임계값 이하일때 음영 지역으로 진입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임계값은 상기 맵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 신호의 세기와 핸드오버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수신 신호의 세기보다 크도록 설정할 수 있다.
만일, 상기 305단계에서 상기 수신 신호의 세기가 임계값 이상임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음영 지역으로 진입하지 않음을 판단하고 상기 301단계의 과정을 재수행한다.
한편, 상기 305단계에서 상기 수신 신호의 세기가 임계값 이하임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맵 데이터 수신이 불가능한 음영 지역으로 진입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맵 데이터 수신이 불가능한 지역으로 진입하고 있음 판단하기 위하여 수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것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임계값 이하의 수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할 경우, 음영 지역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07단계에서 음영 지역으로 이동하고 있는 상황임을 판단한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네비게이션 서비스 이용시 설정한 목적지와 같이 기등록된 이동 구간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309단계에서 기 등록된 이동 구간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17단계로 진행하여 맵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로 일정 구간에 대한 맵 데이터를 요청한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317단계에서 상기 맵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중심으로 반경 10Km에 해당하는 맵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위치하고 있는 도로를 중심으로 하여 현재 상기 휴대용 단말기 위치로부터 10Km 구간의 상기 도로에 해당하는 맵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음영 지역이 터널인 경우, 상기 터널을 통과한 이후로부터 반경 10Km 구간 또는 10Km 구간의 도로에 해당하는 맵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불필요했던 기존의 상기 터널 내의 맵 데이터를 받지 않고 사용자는 상기 터널을 통과한 후 맵에 대하여 미리 인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309단계에서 기 등록된 이동 구간이 존재함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11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구간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기 등록된 목적지까지에 해당하는 맵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요청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서버로 맵 데이터를 요청한 휴대용 단말기는 3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서버로 요청한 맵 데이터를 수신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313단계에서 상기 서버로부터 맵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을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3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맵 데이터를 수신할 때까지 상기 과정을 재수행한다.
한편, 상기 313단계에서 상기 서버로부터 맵 데이터를 수신함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맵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서버로부터 맵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는 상황 즉, 상기 서버와 연결할 수 없는 음영 지역에 진입하더라도 미리 수신하여 저장한 맵 데이터를 이용하여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맵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서버는 먼저 401단계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이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서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위치한 셀에 해당하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서버는 403단계로 진행하여 기지국마다 서비스 가능한 영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확인한 후, 4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 경로를 확인한다.
이후, 상기 서버는 4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음영 지역으로 진입하는지 확인한다.
여기에서, 상기 서버는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기지국마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영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상태임으로 서비스 제공이 불가능한 위치인 음영 지역이 어디인지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서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이동 경로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맵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는 음영 지역으로 이동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상기 407단계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음영 지역으로 이동하고 있지 않음을 확인할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401단계의 과정을 재수행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음영 지역으로 이동하는지 확인한다.
한편, 상기 407단계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음영 지역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확인할 경우, 상기 서버는 4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음영 지역으로 이동하는 휴대용 단말기로 음영 지역에 해당하는 맵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처리한다.
즉, 상기 서버는 음영 지역에 대한 정보를 미리 인지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음영 지역으로 이동하기 전에 상기 음영 지역에 대한 맵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하여금 음영 지역에서도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맵 데이터 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이가 음영 지역으로 이동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차량과 함께 도로로 이동(500)중에 있으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음영 지역으로 진입함에 따라 해당 지역에 대한 맵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이때,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중심으로 일정 구간에 대한 맵 데이터를 요청(510)할 수 있으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구간의 맵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음영 지역이 터널과 같은 곳일 경우, 터널의 맵 데이터가 불필요하다고 판단함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터널 구간의 길이를 벗어난 구간에 대한 맵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다.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500)는 상기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영 지역 예를 들어 터널 시작 구간에 진입(520)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중심으로 일정 구간(530)에 대한 맵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터널 길이에 해당하는 5Km 길이가 떨어진 구간을 중심(540)으로 일정 구간(550)에 대한 맵 데이터를 수신한다.
도 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수신하는 맵 데이터의 구간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도 5(a)와 같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차량과 함께 도로로 이동중에 있으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501)가 음영 지역으로 진입함에 따라 해당 지역(560)에 대한 맵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이때, 상기 휴대용 단 말기는 상기 도 5(a)와 다르게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이동중인 도로를 따라 도로를 중심으로 일정 구간의 맵 데이터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상기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음영 지역에 진입(562)할 경우, 5Km 길이가 떨어진 구간을 중심(570)으로 일정 구간(572)의 맵 데이터를 수신하는 상기 도 5(a)와 달리 굽은 도로를 따라 5Km가 떨어진 지점을 중심(580)으로 일정 구간(582)의 맵 데이터를 수신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라 서비스 불능 지역에서 맵 데이터를 수신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맵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맵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며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맵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이가 음영 지역으로 이동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수신하는 맵 데이터의 구간을 도시한 도면.

Claims (18)

  1. 휴대용 단말기에서 맵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가 데이터 통신이 불가능한 음영 지역으로 진입하는지 확인하는 음영 지역 판단부와,
    상기 음영 지역으로 진입함을 판단할 경우, 맵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로 일정 구간에 대한 맵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에 해당하는 맵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한 맵 데이터를 저장하여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음영 지역에서 지속적으로 제공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영 지역 판단부는,
    미리 정한 임계값 이하의 수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할 경우, 음영 지역으로 진입한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한 임계값은,
    상기 음영 지역으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값으로 상기 맵 데이터 수신이 가능한 최소한의 수신 신호의 크기 또는 핸드오버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수신 신호의 세기보다 크게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등록된 경로가 설정됨을 확인할 경우, 상기 경로에 대한 맵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기 등록된 경로가 설정되지 않음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기준으로 일정 반경의 맵 데이터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등록된 경로가 설정되지 않음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위치한 도로를 기준으로 일정 구간의 맵 데이터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등록된 경로가 설정되지 않음을 확인할 경우, 음영 지역 이후의 일정 반경 또는 음영 지역 이후의 도로를 기준으로 일정 구간의 맵 데이터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맵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맵 데이터 요청을 수신할 경우, 상기 요청에 해당하는 맵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맵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는,
    기지국마다 서비스 가능한 영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음영 지역을 판단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음영 지역 으로 진입하는지 확인할 경우, 데이터 통신이 불가능하기 전에 상기 음영 지역에 해당하는 맵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휴대용 단말기에서 맵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가 데이터 통신이 불가능한 음영 지역으로 진입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음영 지역으로 진입함을 판단할 경우, 맵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로 일정 구간에 대한 맵 정보를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에 해당하는 맵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맵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수신한 맵 데이터를 저장하여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음영 지역에서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데이터 통신이 불가능한 음영 지역으로 진입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은,
    수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측정한 수신 신호의 세기를 미리 정한 임계값과 비교하는 과정과,
    임계값 이하의 수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할 경우, 음영 지역으로 진입한다고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한 임계값은,
    상기 음영 지역으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값으로 상기 맵 데이터 수신이 가능한 최소한의 수신 신호의 크기 또는 핸드오버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수신 신호의 세기보다 크게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맵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로 일정 구간에 대한 맵 정보를 요청하는 과정은,
    기 등록된 경로가 설정되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기 등록된 경로가 설정됨을 확인할 경우, 상기 경로에 대한 맵 데이터 를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기 등록된 경로가 설정되지 않음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기준으로 일정 반경의 맵 데이터를 요청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맵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로 일정 구간에 대한 맵 정보를 요청하는 과정은,
    기 등록된 경로가 설정되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기 등록된 경로가 설정되지 않음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위치한 도로를 기준으로 일정 구간의 맵 데이터를 요청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맵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로 일정 구간에 대한 맵 정보를 요청하는 과정은,
    기 등록된 경로가 설정되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기 등록된 경로가 설정되지 않음을 확인할 경우 음영지역 이후의 일정 반경 또는 음영 지역 이후의 도로를 기준으로 일정 구간의 맵 데이터를 요청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맵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맵 데이터 요청을 수신할 경우, 상기 요청에 해당하는 맵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맵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는,
    기지국마다 서비스 가능한 영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음영 지역을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음영 지역으로 진입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음영 지역으로 진입함을 확인할 경우, 데이터 통신이 불가능하기 전에 상기 음영 지역에 해당하는 맵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90018313A 2009-03-04 2009-03-04 휴대용 단말기에서 맵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541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8313A KR101541809B1 (ko) 2009-03-04 2009-03-04 휴대용 단말기에서 맵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2/716,464 US20100228478A1 (en) 2009-03-04 2010-03-03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map data in portable terminal
CN201010128595A CN101827305A (zh) 2009-03-04 2010-03-04 在便携式终端中接收地图数据的设备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8313A KR101541809B1 (ko) 2009-03-04 2009-03-04 휴대용 단말기에서 맵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9799A true KR20100099799A (ko) 2010-09-15
KR101541809B1 KR101541809B1 (ko) 2015-08-05

Family

ID=42678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8313A KR101541809B1 (ko) 2009-03-04 2009-03-04 휴대용 단말기에서 맵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00228478A1 (ko)
KR (1) KR101541809B1 (ko)
CN (1) CN10182730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78755A3 (en) * 2010-12-07 2012-09-27 Google Inc. Method and apparatus of route guidance
KR20180068365A (ko) * 2016-12-13 2018-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통신 서비스 제어방법
KR20200076080A (ko) * 2018-12-19 2020-06-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티드 센터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16980B2 (en) * 2005-12-30 2019-09-17 Telenav, Inc. Intelligent location based services and navigation hybrid system
CN102292617A (zh) * 2009-01-26 2011-12-21 株式会社纳维泰 地图信息提供中介系统、地图信息提供中介服务器以及地图信息提供方法
JP4454043B1 (ja) * 2009-04-23 2010-04-21 株式会社ナビタイムジャパン 経路案内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経路案内仲介サーバおよび経路案内方法
CN103731865A (zh) * 2012-10-11 2014-04-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统计无线网络覆盖盲区的方法、移动终端及系统
KR20140140764A (ko) * 2013-05-30 2014-12-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US10033847B2 (en) * 2013-09-30 2018-07-24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Dropped call warning and prevention methods
CN104391313B (zh) * 2014-08-29 2017-05-03 北京中电华远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室外定位装置和移动终端
CN104764448A (zh) * 2015-03-20 2015-07-08 四川九洲电器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寻路导航方法
JP6987335B2 (ja) * 2016-12-27 2021-12-22 インクリメント・ピー株式会社 運転支援装置、地図データ取得方法、プログラム、及び、送信装置
JP6416948B2 (ja) * 2017-01-31 2018-10-31 株式会社ゼンリン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CN113923595B (zh) * 2017-05-31 2023-11-07 北京嘀嘀无限科技发展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及装置
WO2019047240A1 (zh) * 2017-09-11 2019-03-14 深圳传音通讯有限公司 基于定位信息的提示方法、服务器、第一终端及系统
US10890452B2 (en) * 2017-10-25 2021-01-1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navigation based on route reus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09712B2 (ja) * 1996-06-07 2002-07-2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載通信制御装置
JP3509511B2 (ja) * 1997-11-20 2004-03-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情報取得装置
JP2000161969A (ja) * 1998-11-27 2000-06-16 Fujitsu Ten Ltd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US6597906B1 (en) * 1999-01-29 2003-07-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bile client-based station communication based on relative geographical position information
KR20000000045A (ko) * 1999-07-23 2000-01-15 방효일 이동통신중계기지를활용한시민생활정보제공방법
JP4147712B2 (ja) * 1999-11-18 2008-09-10 株式会社エクォス・リサーチ 通信型経路案内システム
JP4024450B2 (ja) * 2000-03-03 2007-12-1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CN1306251C (zh) * 2001-03-21 2007-03-21 三洋电机株式会社 导航仪
US20050272444A1 (en) * 2004-06-08 2005-12-08 Heffield Timothy W Method and system for directing users to coverage
JP2006010441A (ja) * 2004-06-24 2006-01-12 Kyocera Corp 移動通信端末、及び地図表示システム
US20060022846A1 (en) * 2004-08-02 2006-02-02 General Motors Corporation Method for providing weather information to a mobile vehicle
KR100839342B1 (ko) * 2005-05-03 2008-06-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4715827B2 (ja) * 2007-10-11 2011-07-06 株式会社デンソー 地図データ更新システム
KR100865855B1 (ko) * 2007-11-13 2008-10-29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음영지역 분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8620339B2 (en) * 2008-03-31 2013-12-31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quality of service mapping
US8103441B2 (en) * 2008-06-26 2012-01-24 Microsoft Corporation Caching navigation content for intermittently connected device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78755A3 (en) * 2010-12-07 2012-09-27 Google Inc. Method and apparatus of route guidance
US9267803B2 (en) 2010-12-07 2016-02-23 Google Inc. Method and apparatus of route guidance
US9404759B2 (en) 2010-12-07 2016-08-02 Google Inc. Method and apparatus of route guidance
KR20180068365A (ko) * 2016-12-13 2018-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통신 서비스 제어방법
KR20200076080A (ko) * 2018-12-19 2020-06-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티드 센터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1809B1 (ko) 2015-08-05
CN101827305A (zh) 2010-09-08
US20100228478A1 (en) 2010-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1809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맵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701853B1 (ko)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KR101708207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909488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communication
KR100754690B1 (ko) 네비게이션 단말의 목적지 설정 방법 및 장치
CN105157720A (zh) 一种基于位置共享的导航方法及装置
KR20100114265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가입자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50042883A (ko) 대리운전 및 운송 서비스 중개를 위한 자동 배차 장치 및 방법
KR101626465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억세스 포인트와 연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622579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위치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06067507A (ja) タイムアウト間隔可変型無線通信システム
CN110602738B (zh) 网络连接方法、装置及电子装置
KR20110037605A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택시 콜 서비스 방법
KR20130049541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649988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네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10023255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친구 만남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13518402A (zh) 无线终端的通信方法、无线终端、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US2011000440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oad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639218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기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80042438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재난 경보 장치 및 방법
KR20080050723A (ko) 휴대용 단말기의 실시간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785614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위성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00009976A (ko) 목적지 거리 안내 장치 및 방법
KR101914632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80056838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자원 관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