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7918A - 엘리베이터 모니터의 오작동 방지 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모니터의 오작동 방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7918A
KR20180067918A KR1020160169354A KR20160169354A KR20180067918A KR 20180067918 A KR20180067918 A KR 20180067918A KR 1020160169354 A KR1020160169354 A KR 1020160169354A KR 20160169354 A KR20160169354 A KR 20160169354A KR 20180067918 A KR20180067918 A KR 20180067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ler
monitor
button
elevator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9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8066B1 (ko
Inventor
윤일식
Original Assignee
윤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일식 filed Critical 윤일식
Priority to KR1020160169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8066B1/ko
Publication of KR20180067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7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8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8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1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rof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1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rofile
    • B66B1/463Touch sensitive inpu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7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52Floor selec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핀카메라를 이용해 엘리베이터의 모니터에 표시된 버튼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2개의 핀카메라(Pa,Pb)에 의해 모니터(M) 정면에 형성된 가상화면(z)을 작동자가 터치하는지 여부를 컨트롤러(C)가 판단하는 단계(S10); 작동자가 가상화면(z)을 터치했다고 결정되면, 컨트롤러(C)에 의해 터치 지점에 해당하는 버튼이 선택되는 단계(S20); 컨트롤러(C)가 제1의 소정 시간내에 작동자가 상기 터치 지점으로부터 일정 반경(d) 구역을 통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 S30 단계에서 소정 시간내 통과했으면 시작 단계로 돌아가고, 통과하지 않았으면 컨트롤러(C)에 의해 선택된 버튼이 등록되고, 등록된 버튼에 해당하는 동작이 실행되는 단계(S4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모니터의 오작동 방지 방법{Method for Preventing Malfunction of an Elevator Moni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모니터의 오작동 방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핀카메라를 이용해 엘리베이터의 모니터에 표시된 버튼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의 층 선택과 승강 선택을 위해, 엘리베이터 도어 옆의 건물 벽면에 일반 홀버튼을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런 홀버튼을 설치하려면, 건물 벽면에 구멍을 뚫고 이곳에 홀버튼을 설치하며 각종 배선을 연결해야만 한다. 이런 홀버튼을 건물의 각층마다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홀버튼 설치작업은 시간과 비용이 상당히 많이 소요되는 작업이다.
또한, 일반 고층빌딩의 경우 많은 층수로 인해 홀버튼에 층수만큼 많은 수의 층선택 버튼이 작은 크기로 배치되어 있어, 특히 시력이 좋지 않은 승객들은 층선택 버튼을 선택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일이 많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엘리베이터 도어 표면,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벽 또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벽면에 설치된 모니터의 화면에 홀버튼 기능을 하는 버튼들을 디스플레이하고 이런 홀버튼을 무접촉 방식으로 선택하도록 하여, 홀버튼을 설치하는데 소요되는 비용과 인력을 절감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렇게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버튼은 어린이들의 호기심에 의한 장난의 대상이 되기 쉽고, 무접촉으로 버튼이 작동되기 때문에 성인이라도 다수의 버튼을 한번에 선택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고, 이 경우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런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엘리베이터 도어 표면이나 벽면 등에 설치된 모니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버튼들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런 목적은, 엘리베이터 도어,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벽 또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벽면에 설치되는 모니터(M); 모니터(M)와 간격을 두고 모니터(M)의 측면 윗쪽에 설치되는 제1 핀카메라(Pa); 상기 모니터(M)에 대해 제1 핀카메라(Pa) 반대쪽에 설치되는 제2 핀카메라(Pb); 상기 제1, 제2 핀카메라(Pa,Pb)와 모니터(M)에 연결되고, 핀카메라의 신호에 따라 모니터(M)의 화면을 제어하는 컨트롤러(C); 및 상기 컨트롤러(C)에 연결되어, 엘리베이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EC);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핀카메라(Pa)와 제2 핀카메라(Pb) 각각이 모니터(M)에 나란한 가상화면을 형성하여 모니터(M)와 간격을 두고 전체를 커버하는 2차원 중첩 가상화면(z)을 형성하며; 상기 컨트롤러(C)가 모니터(M)에 층선택 및 승강선택을 위한 버튼들을 디스플레이하며, 작동자가 상기 z 화면을 터치하면 컨트롤러(C)가 이를 감지하여 하나의 버튼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버튼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장치(EC)가 엘리베이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모니터의 오작동 방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핀카메라(Pa,Pb)에 의해 모니터(M) 정면에 형성된 가상화면(z)을 작동자가 터치하는지 여부를 컨트롤러(C)가 판단하는 단계(S10);
작동자가 가상화면(z)을 터치했다고 결정되면, 컨트롤러(C)에 의해 터치 지점에 해당하는 버튼이 선택되는 단계(S20);
컨트롤러(C)가 제1의 소정 시간내에 작동자가 상기 터치 지점으로부터 일정 반경(d) 구역을 통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
S30 단계에서 소정 시간내 통과했으면 시작 단계로 돌아가고, 통과하지 않았으면 선택된 버튼이 컨트롤러(C)에 의해 등록되고, 등록된 버튼에 해당하는 동작이 실행되는 단계(S40);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모니터의 오작동 방지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엘리베이터 도어,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벽 또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벽면에 설치되는 모니터(M); 모니터(M)와 간격을 두고 모니터(M)의 측면 윗쪽에 설치되는 제1 핀카메라(Pa); 상기 모니터(M)에 대해 제1 핀카메라(Pa) 반대쪽에 설치되는 제2 핀카메라(Pb); 상기 제1, 제2 핀카메라(Pa,Pb)와 모니터(M)에 연결되고, 핀카메라의 신호에 따라 모니터(M)의 화면을 제어하는 컨트롤러(C); 및 상기 컨트롤러(C)에 연결되어, 엘리베이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EC);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핀카메라(Pa)와 제2 핀카메라(Pb) 각각이 모니터(M)에 나란한 화면을 형성하여 모니터(M)와 간격을 두고 전체를 커버하는 2차원 중첩 가상화면(z)을 형성하며; 상기 컨트롤러(C)가 모니터(M)에 층선택 및 승강선택을 위한 버튼들을 디스플레이하며, 작동자가 상기 z 화면을 터치하면 컨트롤러(C)가 이를 감지하여 하나의 버튼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버튼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장치(EC)가 엘리베이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모니터의 오작동 방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핀카메라(Pa,Pb)에 의해 모니터(M) 정면에 형성된 가상화면(z)을 작동자가 터치하는지 여부를 컨트롤러(C)가 판단하는 단계(S10);
작동자가 가상화면(z)을 터치했다고 결정되면, 컨트롤러(C)에 의해 터치 지점에 해당하는 버튼이 선택되는 단계(S20);
컨트롤러(C)가 제1의 소정 시간내에 작동자가 상기 터치 지점으로부터 일정 반경(d) 구역을 통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
S30 단계에서 제1의 소정 시간내 통과했으면 시작 단계로 돌아가고, 통과하지 않았으면 컨트롤러(C)가 제2의 소정 시간내에 작동자가 도어 개폐버튼이나 비상호출버튼에 정지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35); 및
S35 단계에서 제2의 소정 시간내에 작동자의 손가락이 도어 개폐버튼이나 비상호출버튼에 정지하였으면, 컨트롤러(C)에 의해 도어 개폐버튼이나 비상호출버튼이 등록되고, 등록된 버튼에 해당하는 동작이 실행되는 단계(S40)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모니터의 오작동 방지 방법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장난이나 실수에 의해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된 버튼이 오작동되거나 잘못 선택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엘리베이터 내부에 설치된 본 발명의 방법을 적용하는 일례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1A는 핀카메라의 화면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II선 단면도;
도 3은 모니터(M)에 디스플레이되는 버튼들에 본 발명에 따라 어떻게 작동되는지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방법의 일례의 순서도;
도 5은 본 발명의 다른 방법의 순서도;
도 6은 선택된 버튼의 다른 예들을 보여주는 도면들.
도 1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요소들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벽면에, 구체적으로는 도어 옆의 벽면 모니터(M)가 설치된다. 물론, 필요하다면 모니터와 관련 핀카메라들을 도어 표면이나 복도의 벽면에 부착할 수도 있다.
모니터(M)의 상부 좌우측에 모니터(M)와 간격을 두고 모니터(M)의 측면 윗쪽에 제1 핀카메라(Pa)가 설치되고, 모니터(M)에 대해 제1 핀카메라(Pa) 반대쪽에 제1 핀카메라(Pa)와 동일 평면에 제2 핀카메라(Pb)가 설치된다.
이들 제1, 제2 핀카메라(Pa,Pb)와 모니터(M)에 컨트롤러(C)가 연결되고, 이 컨트롤러(C)는 핀카메라의 신호에 따라 모니터(M)의 화면, 구체적으로는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각종 버튼을 제어한다. 이런 버튼에는 건물의 층을 표시하는 층선택 버튼과, 비상호출 버튼과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를 위한 개폐버튼이 포함된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지하3층과 지상12층의 건물을 예로 들고있다.
또, 컨트롤러(C)에 엘리베이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EC)가 연결되고, 엘리베이터 제어장치(EC)는 컨트롤러(C)의 명령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동작, 구체적으로는 선택된 층으로의 승강이동,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 등을 제어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핀카메라(Pa)와 제2 핀카메라(Pb) 각각은 모니터(M)에 일정 간격을 두고 전체를 커버하는 2차원 중첩 가상화면(z)을 형성한다. 도면에는 이런 가상화면(z)을 짙은 색으로 표시한다. 컨트롤러(C)가 모니터(M)에 층선택 및 승강선택을 위한 버튼들을 디스플레이하고, 중첩 가상화면(z)이 이들 버튼을 모두 커버한다.
도 2와 같이, 작동자가 가상화면(z)을 터치하면 컨트롤러(C)가 이를 감지하여 작동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하나의 버튼을 활성화한다. 활성화된 버튼에 해당하는 명령어를 컨트롤러(C)가 생성하여 엘리베이터 제어장치(EC)에 보내면, 엘리베이터 제어장치(EC)가 이 명령어에 맞게 엘리베이터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컨대, 작동자가 8층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화면(z)을 건드리면 8층 위치로 엘리베이터가 이동한다(도 3 참조).
도 3은 작동자가 8층을 선택한 예를 보여주는 모니터(M)의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3에 짙은 색으로 표시된 중첩 가상화면(z)을 작동자가 터치하면, 터치 지점에 대응하는 버튼, 여기서는 8층 버튼이 선택된다. 터치 지점이 정해지면, 컨트롤러(C)는 터치 지점을 중심으로 가상화면(z)에 일정한 반경(d)의 원 구역을 설정하는데, 이 구역은 선택된 버튼에 인접한 버튼들을 커버해야만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방법의 일례의 순서도이다.
동작이 시작된 뒤, S10 단계에서 2개의 핀카메라(Pa,Pb)에 의해 모니터(M) 정면에 형성된 가상화면(z)을 작동자가 터치하는지 여부를 컨트롤러(C)가 판단한다. 터치하지 않았으면 시작 단계로 돌아가고, 가상화면을 터치하였으면 다음 단계로 진행하여, S20 단계에서 컨트롤러(C)에 의해 가상화면의 터치 지점에 해당하는 셀제 버튼이 선택된다. 예컨대, 도 3과 같이 컨트롤러(C)에 의해 8층 버튼이 선택될 수 있다.
이어서, S30 단계에서 컨트롤러(C)가 제1의 소정 시간내에 작동자가 터치 지점에서부터 일정 반경(d) 구역을 통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0.2초내에 작동자가 이 구역을 통과하지 않았으면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 즉, 0.2초 이후에도 여전히 작동자가 이 구역에 있다고 판단되면, 정상 작동이라고 판단하여 선택된 버튼이 등록되고 다음 동작이 진행되는 것이다. 이 단계는 아주 중요한 단계로서, 예컨대 어린이가 손가락으로 여러 버튼을 계속 선택할 경우, 손가락이 선택된 버튼(예; 8층 버튼)을 중심으로 한 반경(d) 구역을 일정 시간(예; 0.2초)이내에 넘어가게 되고 다른 여러 버튼을 조작할 것이므로, 이를 컨트롤러는 오작동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그러나, 0.2초 이내에 반경 d 구역을 통과하지 않고 머문채 손가락이 가상화면(z)을 터치하고 있으면, 이는 정상적인 조작이라고 보고 선택된 버튼을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즉, 표적 버튼을 일정시간 이상 선택하고 있어야 정상적인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어서, S40 단계에서 컨트롤러(C)에 의해 선택된 버튼(본 실시예에서는 8층 버튼)이 등록되고, 등록된 버튼에 해당하는 동작이 실행되며, 과정이 종료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방법의 다른 일례의 순서도이다.
*이 방법은 도 4의 방법과 동일하지만, 층선택 버튼 이외의 버튼인 비상호출버튼이나 도어개폐버튼을 선택하는 경우로서, S30과 그 이후의 단계들이 다르다.
S20 까지의 단계는 동일하고, S30 단계에서 컨트롤러(C)는 제1의 소정 시간내에 작동자가 상기 터치 지점으로부터 일정 반경(d) 구역을 통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30 단계에서 제1의 소정 시간내 통과했으면, 시작 단계로 돌아가고, 통과하지 않았면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
S35 단계에서 컨트롤러(C)는 제2의 소정 시간내에 작동자가 처음 터치 지점으로부터 움직여 도어 개폐버튼이나 비상호출버튼에 정지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제2의 소정 시간은 제1의 소정 시간과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예컨대, 제1 소정 시간은 전술한 바와 같이 0.2초이고, 제2의 소정 시간은 0.5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0.5초내에 비상호출버튼에 작동자가 멈추면 컨트롤러는 비상호출버튼을 등록하고, 0.5초가 지나도 작동자가 비상호출버튼이나 개폐버튼에 멈추지 않으면 초기 단계로 되돌아간다.
S40 단계에서, 컨트롤러(C)에 의해 도어 개폐버튼이나 비상호출버튼이 등록되고, 등록된 버튼에 해당하는 동작이 실행되고 과정이 종료한다.
전술한 반경 d 구역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원이 아닌 사각형 등의 다른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도 6은 버튼(8층 버튼)이 색깔과 소리로 선택상태와 작동상태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버튼에 LED를 포함한 발광수단과 소리를 내는 스피커를 연결하여, 어떤 버튼, 여기서는 8층 버튼이 선택되면 버튼이 다른 색깔로 바뀌면서 "띵" 소리가나고, 선택된 8층 버튼이 등록되면 또다른 색깔로 바뀌면서 "동" 소리가 나며, 선택된 8층 버튼이 등록취소될 경우 색깔이 원래로 돌아가면서 "틱" 소리가 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버튼의 색깔과 소리가 선택/등록 상태에 따라 바뀌도록 설정하면, 사용이 더 편리해지고 시력과 청각이 불편한 승객도 쉽게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버튼이 색깔과 소리를 변하도록 하는 구조는 당업자에게는 잘 알려진 기술이므로 더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 엘리베이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장치와 방법은 엘리베이터가 아닌 다른 곳, 예컨대 무접촉 선택형 다수의 버튼을 이용하는 모든 도어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엘리베이터 도어,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벽 또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벽면에 설치되는 모니터(M); 모니터(M)와 간격을 두고 모니터(M)의 측면 윗쪽에 설치되는 제1 핀카메라(Pa); 상기 모니터(M)에 대해 제1 핀카메라(Pa) 반대쪽에 설치되는 제2 핀카메라(Pb); 상기 제1, 제2 핀카메라(Pa,Pb)와 모니터(M)에 연결되고, 핀카메라의 신호에 따라 모니터(M)의 화면을 제어하는 컨트롤러(C); 및 상기 컨트롤러(C)에 연결되어, 엘리베이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EC);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핀카메라(Pa)와 제2 핀카메라(Pb) 각각이 모니터(M)에 나란한 가상화면을 형성하여 모니터(M)와 간격을 두고 전체를 커버하는 2차원 중첩 가상화면(z)을 형성하며; 상기 컨트롤러(C)가 모니터(M)에 층선택 및 승강선택을 위한 버튼들을 디스플레이하며, 작동자가 상기 z 화면을 터치하면 컨트롤러(C)가 이를 감지하여 하나의 버튼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버튼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장치(EC)가 엘리베이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모니터의 오작동 방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핀카메라(Pa,Pb)에 의해 모니터(M) 정면에 형성된 가상화면(z)을 작동자가 터치하는지 여부를 컨트롤러(C)가 판단하는 단계(S10);
    작동자가 가상화면(z)을 터치했다고 결정되면, 컨트롤러(C)에 의해 터치 지점에 해당하는 버튼이 선택되는 단계(S20);
    컨트롤러(C)가 제1의 소정 시간내에 작동자가 상기 터치 지점으로부터 일정 반경(d) 구역을 통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
    S30 단계에서 소정 시간내 통과했으면 시작 단계로 돌아가고, 통과하지 않았으면 선택된 버튼이 컨트롤러(C)에 의해 등록되고, 등록된 버튼에 해당하는 동작이 실행되는 단계(S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모니터의 오작동 방지 방법.
  2. 엘리베이터 도어,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벽 또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벽면에 설치되는 모니터(M); 모니터(M)와 간격을 두고 모니터(M)의 측면 윗쪽에 설치되는 제1 핀카메라(Pa); 상기 모니터(M)에 대해 제1 핀카메라(Pa) 반대쪽에 설치되는 제2 핀카메라(Pb); 상기 제1, 제2 핀카메라(Pa,Pb)와 모니터(M)에 연결되고, 핀카메라의 신호에 따라 모니터(M)의 화면을 제어하는 컨트롤러(C); 및 상기 컨트롤러(C)에 연결되어, 엘리베이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EC);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핀카메라(Pa)와 제2 핀카메라(Pb) 각각이 모니터(M)에 나란한 화면을 형성하여 모니터(M)와 간격을 두고 전체를 커버하는 2차원 중첩 가상화면(z)을 형성하며; 상기 컨트롤러(C)가 모니터(M)에 층선택 및 승강선택을 위한 버튼들을 디스플레이하며, 작동자가 상기 z 화면을 터치하면 컨트롤러(C)가 이를 감지하여 하나의 버튼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버튼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장치(EC)가 엘리베이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모니터의 오작동 방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핀카메라(Pa,Pb)에 의해 모니터(M) 정면에 형성된 가상화면(z)을 작동자가 터치하는지 여부를 컨트롤러(C)가 판단하는 단계(S10);
    작동자가 가상화면(z)을 터치했다고 결정되면, 컨트롤러(C)에 의해 터치 지점에 해당하는 버튼이 선택되는 단계(S20);
    컨트롤러(C)가 제1의 소정 시간내에 작동자가 상기 터치 지점으로부터 일정 반경(d) 구역을 통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
    S30 단계에서 제1의 소정 시간내 통과했으면 시작 단계로 돌아가고, 통과하지 않았으면 컨트롤러(C)가 제2의 소정 시간내에 작동자가 도어 개폐버튼이나 비상호출버튼에 정지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35); 및
    S35 단계에서 제2의 소정 시간내에 작동자의 손가락이 도어 개폐버튼이나 비상호출버튼에 정지하였으면, 컨트롤러(C)에 의해 도어 개폐버튼이나 비상호출버튼이 등록되고, 등록된 버튼에 해당하는 동작이 실행되는 단계(S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모니터의 오작동 방지 방법.
KR1020160169354A 2016-12-13 2016-12-13 엘리베이터 모니터의 오작동 방지 방법 KR101958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354A KR101958066B1 (ko) 2016-12-13 2016-12-13 엘리베이터 모니터의 오작동 방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354A KR101958066B1 (ko) 2016-12-13 2016-12-13 엘리베이터 모니터의 오작동 방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7918A true KR20180067918A (ko) 2018-06-21
KR101958066B1 KR101958066B1 (ko) 2019-03-13

Family

ID=62806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9354A KR101958066B1 (ko) 2016-12-13 2016-12-13 엘리베이터 모니터의 오작동 방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80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84684A (zh) * 2022-04-24 2022-07-01 深圳市呤云科技有限公司 虚拟电梯按键的触发检测方法、检测设备和电梯控制面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274B1 (ko) * 2012-05-29 2013-11-08 주식회사 브이터치 두대의 카메라와 광원을 이용한 포인터를 사용하지 않는 가상 터치 장치
KR101667510B1 (ko) * 2016-02-11 2016-10-18 윤일식 모니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동작제어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274B1 (ko) * 2012-05-29 2013-11-08 주식회사 브이터치 두대의 카메라와 광원을 이용한 포인터를 사용하지 않는 가상 터치 장치
KR101667510B1 (ko) * 2016-02-11 2016-10-18 윤일식 모니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동작제어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84684A (zh) * 2022-04-24 2022-07-01 深圳市呤云科技有限公司 虚拟电梯按键的触发检测方法、检测设备和电梯控制面板
CN114684684B (zh) * 2022-04-24 2023-12-29 深圳市呤云科技有限公司 虚拟电梯按键的触发检测方法、检测设备和电梯控制面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8066B1 (ko) 2019-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0055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elevator using monitor
US10618773B2 (en)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and method using monitor
CN106458505A (zh) 用于电梯服务的无触摸手势识别
JP2013124166A (ja) エレベータ
JP5844423B2 (ja) エレベータの乗りかご表示制御方法およびエレベータの乗りかご表示制御装置
WO2014054313A1 (ja) コントローラ
KR101958066B1 (ko) 엘리베이터 모니터의 오작동 방지 방법
JP5956024B1 (ja) エレベータの操作盤及びエレベータ
JP2011051719A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260756B1 (ko) 시각 장애인용 엘리베이터의 안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각 장애인용 엘리베이터
JP2018002428A (ja) かご操作盤
KR101293034B1 (ko) 한 개의 출입문 제어버튼이 적용된 엘리베이터 조작반 및 그 제어방법
JP2001089043A (ja) エレベータかご操作パネルおよびその形成方法
JP5622877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KR200413703Y1 (ko) 엘리베이터의 조작반
JP5871748B2 (ja) エレベーターの操作盤
KR102183191B1 (ko) 터치리스 파워 버튼 시스템
JP6064000B2 (ja)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444187B1 (ko) 엘리베이터의 입력장치
JP2013043747A (ja) エレベータ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100869908B1 (ko) 엘리베이터의 홀 스테이션의 시험방법
IT201600126190A1 (it) Dispositivo e metodo di interfaccia per il controllo e il comando di unità operative periferiche in un impianto di automazione di edifici
JP2019055865A (ja) エレベータおよびエレベータの制御方法
JP2018184223A (ja) タッチパネル操作盤付き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12148837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