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3034B1 - 한 개의 출입문 제어버튼이 적용된 엘리베이터 조작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한 개의 출입문 제어버튼이 적용된 엘리베이터 조작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3034B1
KR101293034B1 KR1020120057156A KR20120057156A KR101293034B1 KR 101293034 B1 KR101293034 B1 KR 101293034B1 KR 1020120057156 A KR1020120057156 A KR 1020120057156A KR 20120057156 A KR20120057156 A KR 20120057156A KR 101293034 B1 KR101293034 B1 KR 101293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utton
control button
elevator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7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경천
김대영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7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30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3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3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1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rof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8Adaptations of mechanically-operated limit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개의 출입문 제어버튼이 적용된 엘리베이터 조작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엘리베이터 카 내의 엘리베이터 조작반에 구비되는 출입문 제어버튼을 한 개의 버튼으로 구성하여 출입문의 개폐 및 열림유지 시간 등을 모두 제어할 수 있도록 한 한 개의 출입문 제어버튼이 적용된 엘리베이터 조작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한 개의 출입문 제어버튼이 적용된 엘리베이터 조작반은, 엘리베이터 출입문의 열림 및 닫힘, 열림상태 연장이 모두 조작 가능한 한 개의 버튼으로 출입문 제어버튼이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입문 제어버튼의 누름시간과 누름 횟수 및 간격에 기초하여 출입문을 열림 및 닫힘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한 개의 출입문 제어버튼이 적용된 엘리베이터 조작반 및 그 제어방법{ELEVATOR CONTROL PANEL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한 개의 출입문 제어버튼이 적용된 엘리베이터 조작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카 내의 엘리베이터 조작반에 구비되는 출입문 제어버튼을 한 개의 버튼으로만 구성한 후 출입문의 개폐 및 열림 대기시간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한 개의 출입문 제어버튼이 적용된 엘리베이터 조작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용 및 업무용, 상업용 등으로 건축되는 다양한 종류의 고층 건물에는 엘리베이터 장치가 설치되어 해당 건물을 찾는 승객의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을 돕게 된다.
이를 위해, 해당 건물의 각 층에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이 구비됨과 아울러 건물 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승강로가 형성되어,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로를 따라 상ㆍ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각 승강장으로부터 탑승하는 승객을 승객의 버튼입력에 따른 목적층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엘리베이터 카 내에는 승객이 소정 목적층을 등록하기 위한 목적층 입력버튼(16) 및 출입문 개폐조작을 위한 출입문 제어버튼(12), 비상호출 버튼(18), 디스플레이부(14) 등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조작반(10)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때, 종래의 엘리베이터 조작반에 구비되는 출입문 제어버튼은 열림버튼 및 닫힘버튼 한 쌍으로 구분되어 구성되는데, 이에 엘리베이터 탑승객이 출입문을 개방시키고자 할 때 닫힘버튼을 누르거나, 또는 출입문을 폐쇄시키고자 할 때 열림버튼을 누름에 따라 발생되는 오작동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한편, 시각장애인이 한 쌍의 버튼 중 조작하고자 하는 해당 버튼을 찾는데 오랜 시간이 지체되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종래의 엘리베이터 조작반에는 출입문 폐쇄까지의 남은 시간을 승객이 인지할 수가 없음에 따라, 승객이나 짐의 승.하차 시에 인체나 물체 등이 출입문과 충돌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 상기 엘리베이터 조작반에 도어열림 대기시간을 승객이 일정 시간 연장시키기 위한 도어열림대기시간 연장버튼이 추가로 구성되기도 하는데, 이는 별도의 구성이 추가됨에 따라 제조비용의 상승을 초래함과 아울러, 사용이 번거로운 문제점도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엘리베이터 카 내의 엘리베이터 조작반에 구비되는 출입문 제어버튼을 한 개의 버튼으로 구성하여 출입문의 개폐 및 열림유지 시간 등을 모두 제어할 수 있도록 한 한 개의 출입문 제어버튼이 적용된 엘리베이터 조작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출입문 제어버튼을 통해 출입문의 열림 대기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그에 따른 출입문의 열림 대기시간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한 한 개의 출입문 제어버튼이 적용된 엘리베이터 조작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한 개의 출입문 제어버튼이 적용된 엘리베이터 조작반은, 엘리베이터 카 내에 구비되되, 목적층 입력버튼과, 출입문 제어버튼과, 비상호출 버튼과, 디스플레이부 및, 각 버튼 및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엘리베이터 조작반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조작반은, 엘리베이터 출입문의 열림 및 닫힘, 열림상태 연장이 모두 조작 가능한 한 개의 버튼으로 출입문 제어버튼이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입문 제어버튼의 누름시간과 누름 횟수 및 간격에 기초하여 출입문을 열림 및 닫힘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출입문 제어버튼의 조작에 기초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출입문의 열림 대기시간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출입문 제어버튼은 0.5[초] 이상 누름 시 출입문의 닫힘으로, 0.3[초] 이하 누름 시 출입문의 열림 대기시간 연장으로 인식되어 제어가 이루어지며, 상기 출입문 제어버튼의 0.3[초] 이하 누름이 0.5[초] 내지 1[초] 이내의 간격으로 N회 반복되면, 출입문의 열림 대기시간이 N배수만큼 연장되도록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출입문 제어버튼은, 승객의 출입문 제어버튼 누름 시간 입력에 따라, 출입문 닫힘 또는 출입문 열림 대기시간 연장으로 인식되면, 그 인식상태에 따라 상이한 색상으로 점등되는 상태표시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한 개의 출입문 제어버튼이 적용된 엘리베이터 조작반의 제어방법은, 엘리베이터 조작반에 한 개의 버튼으로 구성된 출입문 제어버튼의 조작 시, 출입문이 완전히 열린상태인가를 판단한 후, 출입문이 닫힌 경우, 출입문이 완전히 열리도록 제어되는 단계와; 상기 출입문 제어버튼의 조작 시, 출입문이 열린상태인 경우, 상기 출입문 제어버튼이 설정한 일정시간 이상 눌림이 발생하였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출입문 제어버튼이 설정시간 이상으로 눌림이 발생한 경우, 출입문이 완전히 닫히도록 제어가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출입문 제어버튼이 설정시간 미만으로 눌림이 발생한 경우, 1[초] 이내에 반복적인 누름이 발생하였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출입문 제어버튼이 설정시간 미만으로 1[초] 이내에 한 번만 누름이 발생한 경우, 해당 출입문의 열림 대기시간을 설정된 일정 시간만큼 연장시키는 한편, 상기 출입문 제어버튼이 설정시간 미만으로 1[초] 이내에 두 번이상 누름이 발생한 경우, 해당 출입문의 열림 대기시간을 설정된 일정 시간의 N배수만큼 연장시키는 단계와; 상기 출입문 열림 대기시간 연장에 따라, 엘리베이터 조작반의 디스플레이부에 출입문의 열림 대기시간이 변경되어 표시되는 단계 및; 추가적인 출입문 제어버튼의 누름이 없이 연장된 출입문 열림 대기시간이 종료되면, 출입문이 완전히 닫히도록 제어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카 내 조작반의 출입문 제어버튼을 한 개의 버튼으로 구성하여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므로서, 다수 개의 버튼이 구비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버튼의 오동작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됨과 아울러, 시각장애인이 출입문 제어버튼을 보다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된다.
또한, 출입문 제어버튼을 통해 출입문 열림 대기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열림 대기시간이 표시되도록 하므로서, 승객이 출입문의 열림시간을 용이하게 파악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조작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한 개의 출입문 제어버튼이 적용된 엘리베이터 조작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한 개의 출입문 제어버튼이 적용된 엘리베이터 조작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한 개의 출입문 제어버튼이 적용된 엘리베이터 조작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한 개의 출입문 제어버튼이 적용된 엘리베이터 조작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한 개의 출입문 제어버튼이 적용된 엘리베이터 조작반은, 엘리베이터 조작반(10)에 구비되는 출입문 제어버튼(12)을 한 개의 버튼으로 구성하여 출입문의 열림 및 닫힘, 열림 대기시간 등이 모두 제어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부(14)를 통해서는 엘리베이터 카 출입문의 열림 대기시간이 표시되도록 제어됨에 따라 구현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한 개의 출입문 제어버튼이 적용된 엘리베이터 조작반은, 목적층 입력버튼(16)과, 출입문 제어버튼(12)과, 비상호출 버튼(18)과, 디스플레이부(14) 및, 제어부(도시안됨)를 포함하여 구성된 엘리베이터 조작반(10)에서, 상기 출입문 제어버튼(12)이 한 개의 버튼으로만 구성되어, 승객의 상기 출입문 제어버튼(12)의 조작 시 그 누름시간과 누름 횟수 및 간격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부가 엘리베이터 출입문의 열림 및 닫힘, 열림 대기시간 연장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승객의 엘리베이터 조작반(10)의 출입문 제어버튼(12) 조작 시, 0.5[초] 이상의 누름은 출입문의 닫힘으로 인식하여 처리하고, 0.3[초] 이하의 누름은 출입문의 열림 대기시간 연장으로 인식하여 처리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출입문 제어버튼(12)의 조작 시 0.3[초] 이하 누름이 0.5[초] 내지 1[초] 이내에 N회 반복되면, 해당 출입문의 열림 대기시간이 N배수만큼 연장되도록 제어가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출입문 제어버튼(12)의 조작시간에 따른 명령인식 및 그에 따라 연장되는 출입문의 열림 대기시간은 해당 엘리베이터의 사용환경에 따라 그 시간을 적절하게 조정하여 설정할 수가 있음은 물론이다.
또, 상기 출입문 제어버튼(12)에는 상태표시램프(12a)가 구비되어, 해당 버튼입력이 출입문 닫힘명령인지 또는 출입문 열림 대기시간 연장명령인지에 따라, 상이한 색상으로 램프가 점등되도록 제어된다.
그리고, 상기 엘리베이터 조작반(1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14)는 현재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를 층표시부(14a)를 통해 나타냄과 더불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출입문의 열림 대기시간을 열림 대기시간 표시부(14b)를 통해 나타내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출입문의 열림 대기시간은 남은 시간을 [초] 단위의 숫자로 표시하거나, 또는 막대그래프 방식, 모래시계 방식 등으로 다양하게 구현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한 개의 출입문 제어버튼이 적용된 엘리베이터 조작반이 제어되는 과정에 대해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라, 엘리베이터 조작반(10)에 한 개의 버튼으로만 이루어진 출입문 제어버튼(12)이 형성되어 구성된 상태에서, 해당 엘리베이터 카의 탑승객으로부터 상기 출입문 제어버튼(12)의 조작이 이루어지게 되면(단계 100), 단계 200에서는 현재 엘리베이터 카의 출입문이 완전히 열려있는 상태인가를 판단하게 된다.
그 판단결과, 현재 엘리베이터 카의 출입문이 닫혀있는 경우, 단계 210으로 진행하여 제어부는 출입문의 열림명령을 출력시키게 되며, 그에 따라 해당 출입문이 완전히 개방되면 상기 제어부는 출입문의 열림명령이 차단되도록 제어를 행하게 된다(단계 220 및 단계 230).
한편, 상기 단계 200에서의 판단결과, 해당 출입문이 열린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300에서는 상기 엘리베이터 조작반(10)의 출입문 제어버튼(12)이 설정한 일정시간(0.3[초]) 이상으로 눌림이 발생하였는가를 판단하게 된다.
또, 그 판단결과 상기 출입문 제어버튼(12)이 0.3[초] 이상 눌린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400에서 상기 제어부는 출입문의 닫힘명령을 출력시키게 되며, 그에 따라 해당 출입문이 완전히 폐쇄되면 상기 제어부는 출입문의 닫힘명령이 차단되도록 제어를 행하게 된다(단계 410 및 단계 420).
그러나, 상기 단계 300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출입문 제어버튼(12)이 설정시간 미만으로 눌린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500에서는 1[초] 이내에 상기 출입문 제어버튼(12)에 반복적인 누름이 발생하였는가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출입문 제어버튼(12)이 설정시간 1[초] 이내에 한 번만 누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출입문의 열림 대기시간을 설정된 일정 시간만큼 소폭(대략 5 내지 15[초] 정도) 연장시킨 후(단계 510), 단계 700으로 진행하여 상기 출입문 열림 대기시간의 연장에 따른 열림 대기시간이 엘리베이터 조작반(1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14)의 열림 대기시간 표시부(14b)에 갱신되어 출력되도록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출입문 제어버튼(12)의 짧은 누름이 일정 간격으로 N회 실행되면, 상기 출입문의 열림 대기시간은 N배수 만큼 증가되어, 해당 시간동안 출입문을 열고 대기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 단계 500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출입문 제어버튼(12)이 1[초] 이내에 더블클릭 형태의 누름이 한 번이상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단계 600), 단계 610에서 상기 제어부는 해당 출입문의 열림 대기시간이 설정된 일정 시간만큼 대폭(대략 30[초] 정도) 증가되도록 제어를 행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더블클릭 형태의 누름이 일정 간격으로 N회 실행되면, 상기 출입문의 열림 대기시간은 N배수 만큼 증가되어, 해당 시간동안 출입문을 열고 대기하도록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 단계 700에서는 상기 출입문 열림 대기시간 연장에 따른 열림 대기시간이 상기 엘리베이터 조작반(1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14)의 열림 대기시간 표시부(14b)에 갱신되어 출력되도록 제어가 이루어지게 되며, 그 후 단계 710에서 상기 출입문 열림 대기시간의 종료 여부에 따라 상기 단계 300 또는 단계 400으로 복귀하여 엘리베이터 출입문의 제어가 연속적으로 수행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통해서는 엘리베이터 카 내의 엘리베이터 조작반(10)에 구비되는 한 개의 출입문 제어버튼(12)만으로, 출입문의 열림 및 닫힘은 물론, 열림 대기시간 연장 등을 모두 제어할 수가 있게 됨과 아울러, 디스플레이부(14)에 표시되는 출입문 열림 대기시간의 안내를 통해 승객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기재된 내용과 다른 변형된 실시예들이 돌출 된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은 물론이다.
10: 엘리베이터 조작반, 12: 출입문 제어버튼,
12a: 상태표시램프, 14: 디스플레이부,
14a: 층표시부, 14b: 열림 대기시간 표시부,
16: 목적층 입력버튼, 18: 비상호출 버튼.

Claims (5)

  1. 엘리베이터 카 내에 구비되되, 목적층 입력버튼과, 출입문 제어버튼과, 비상호출 버튼과, 디스플레이부 및, 각 버튼 및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엘리베이터 조작반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조작반은,
    엘리베이터 출입문의 열림 및 닫힘, 열림상태 연장이 모두 조작 가능한 한 개의 버튼으로 출입문 제어버튼이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입문 제어버튼의 누름시간과 누름 횟수 및 간격에 기초하여 출입문을 열림 및 닫힘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개의 출입문 제어버튼이 적용된 엘리베이터 조작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출입문 제어버튼의 조작에 기초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출입문의 열림 대기시간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개의 출입문 제어버튼이 적용된 엘리베이터 조작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 제어버튼은 0.5[초] 이상 누름 시 출입문의 닫힘으로, 0.3[초] 이하 누름 시 출입문의 열림 대기시간 연장으로 인식되어 제어가 이루어지며,
    상기 출입문 제어버튼의 0.3[초] 이하 누름이 0.5[초] 내지 1[초]이내의 간격으로 N회 반복되면, 출입문의 열림 대기시간이 N배수만큼 연장되도록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개의 출입문 제어버튼이 적용된 엘리베이터 조작반.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 제어버튼은, 승객의 출입문 제어버튼 누름 시간 입력에 따라, 출입문 닫힘 또는 출입문 열림 대기시간 연장으로 인식되면, 그 인식상태에 따라 상이한 색상으로 점등되는 상태표시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개의 출입문 제어버튼이 적용된 엘리베이터 조작반.
  5. 엘리베이터 조작반에 한 개의 버튼으로 구성된 출입문 제어버튼의 조작 시, 출입문이 완전히 열린상태인가를 판단한 후, 출입문이 닫힌 경우, 출입문이 완전히 열리도록 제어되는 단계와;
    상기 출입문 제어버튼의 조작 시, 출입문이 열린상태인 경우, 상기 출입문 제어버튼이 설정한 일정시간 이상 눌림이 발생하였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출입문 제어버튼이 설정시간 이상으로 눌림이 발생한 경우, 출입문이 완전히 닫히도록 제어가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출입문 제어버튼이 설정시간 미만으로 눌림이 발생한 경우, 1[초] 이내에 반복적인 누름이 발생하였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출입문 제어버튼이 설정시간 미만으로 1[초] 이내에 한 번만 누름이 발생한 경우, 해당 출입문의 열림 대기시간을 설정된 일정 시간만큼 연장시키는 한편, 상기 출입문 제어버튼이 설정시간 미만으로 1[초] 이내에 두 번이상 누름이 발생한 경우, 해당 출입문의 열림 대기시간을 설정된 일정 시간의 N배수만큼 연장시키는 단계와;
    상기 출입문 열림 대기시간 연장에 따라, 엘리베이터 조작반의 디스플레이부에 출입문의 열림 대기시간이 변경되어 표시되는 단계 및;
    추가적인 출입문 제어버튼의 누름이 없이 연장된 출입문 열림 대기시간이 종료되면, 출입문이 완전히 닫히도록 제어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개의 출입문 제어버튼이 적용된 엘리베이터 조작반의 제어방법.
KR1020120057156A 2012-05-30 2012-05-30 한 개의 출입문 제어버튼이 적용된 엘리베이터 조작반 및 그 제어방법 KR101293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156A KR101293034B1 (ko) 2012-05-30 2012-05-30 한 개의 출입문 제어버튼이 적용된 엘리베이터 조작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156A KR101293034B1 (ko) 2012-05-30 2012-05-30 한 개의 출입문 제어버튼이 적용된 엘리베이터 조작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3034B1 true KR101293034B1 (ko) 2013-08-06

Family

ID=49219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7156A KR101293034B1 (ko) 2012-05-30 2012-05-30 한 개의 출입문 제어버튼이 적용된 엘리베이터 조작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30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99449A (zh) * 2013-12-20 2016-08-24 因温特奥股份公司 电梯设备的操纵单元的配置
KR101747415B1 (ko) * 2017-03-16 2017-06-15 주식회사성지엘리베이터 도어 열림 유지 장치가 구비된 승강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3582A (ja) * 1996-01-08 1997-07-15 Hitachi Ltd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0150653B1 (ko) * 1993-10-06 1998-10-15 김회수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제어회로
KR100295878B1 (ko) 1998-08-21 2002-05-09 장병우 홈엘리베이터의도어닫힘연장방법
KR20050065100A (ko) * 2003-12-24 2005-06-2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엘리베이터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0653B1 (ko) * 1993-10-06 1998-10-15 김회수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제어회로
JPH09183582A (ja) * 1996-01-08 1997-07-15 Hitachi Ltd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100295878B1 (ko) 1998-08-21 2002-05-09 장병우 홈엘리베이터의도어닫힘연장방법
KR20050065100A (ko) * 2003-12-24 2005-06-2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엘리베이터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99449A (zh) * 2013-12-20 2016-08-24 因温特奥股份公司 电梯设备的操纵单元的配置
US9884746B2 (en) 2013-12-20 2018-02-06 Inventio Ag Configuration of operating panels of an elevator system
KR101747415B1 (ko) * 2017-03-16 2017-06-15 주식회사성지엘리베이터 도어 열림 유지 장치가 구비된 승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92979B (zh) 电梯门厅的操作装置
US20180354746A1 (en) Hand detection for elevator operation
JP2010143683A (ja) エレベータのかご内呼び登録装置
JP2009501687A (ja) 群エレベータシステムにおけるエレベータ再割当て情報の連絡
JP2007191263A (ja) エレベータ表示装置
JP6222867B1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101293034B1 (ko) 한 개의 출입문 제어버튼이 적용된 엘리베이터 조작반 및 그 제어방법
CN105775941A (zh) 带层站信息反馈的电梯轿厢操纵箱的控制方法
JP7044190B1 (ja) エレベータ
JP5735384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US20190016564A1 (en) Elevator ambiance variator
JP2009091099A (ja) エレベータ
JP2016088647A (ja) エレベータ装置
JP6079478B2 (ja) 乗場の呼び登録装置
JP6729619B2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7106716B1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
EP3401257A1 (en) Car operating panel for an elevator car having at least two car doors
CN109835784B (zh) 电梯系统
JP6064000B2 (ja)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70135106A (ko) 승객의 카 내 탑승위치를 지정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JP2011063367A (ja) 乗降案内装置
WO2014196014A1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08239297A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2359659B1 (ko) 도어 닫힘 시간이 출력되는 엘리베이터
JP2007084236A (ja) エレベ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