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7594A - 세탁건조기 - Google Patents

세탁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7594A
KR20180067594A KR1020187013054A KR20187013054A KR20180067594A KR 20180067594 A KR20180067594 A KR 20180067594A KR 1020187013054 A KR1020187013054 A KR 1020187013054A KR 20187013054 A KR20187013054 A KR 20187013054A KR 20180067594 A KR20180067594 A KR 20180067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ashing
laundry
heater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3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히로 츠지
류지 카네다
Original Assignee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아쿠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아쿠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67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75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6Flow or veloc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6Air properties
    • D06F2105/24Flow or veloc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72Control of the energy or water consump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건조효율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세탁건조기를 제공한다. 전자동 세탁건조기(1)는 하우징(10) 내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외조(20); 외조(20)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세탁 탈수조(24); 가열기 및 팬을 포함하며, 팬의 동작을 통해 가열기의 동작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외조(20)의 상부로부터 세탁 탈수조(24) 내로 공급하는 온풍 공급 유닛(50); 및 외조(20)의 하부에 배치되며, 세탁 탈수조(24) 내의 세탁물에 접촉된 공기가 배출되게 하는 배출구(20c)를 구비한다. 배출구(20c)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배기 덕트(80)가 연결되고, 배기 덕트(80)에는 외조(20) 내에서 물이 넘쳐나는 일수 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배기구(83)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세탁건조기
본 발명은 세탁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세탁 탈수조의 바닥부에 배치된 펄세이터로 세탁 탈수조 내에 수류를 발생시켜 의류의 세탁을 진행하는 이른바 소용돌이식 세탁기(전자동 세탁기)에 의류의 건조 기능이 탑재된 세탁건조기가 알려졌다. 이러한 세탁건조기의 일례가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세탁건조기에는 세탁물 투입구를 구비하는 상부 패널에 세탁 탈수조 내에 고온의 공기를 공급하는 온풍 공급 유닛이 배치된다. 세탁 탈수조가 배치된 외조는 상면의 개구는 내부 덮개를 구비하는 외조 커버에 의해 덮여진다. 온풍 공급 유닛에서 생성된 온풍은 외조 커버에 연결된 온풍 덕트를 통해 외조의 상방으로부터 세탁 탈수조 내로 흘러나온다. 내부 덮개에는 배기홀이 형성되고 세탁조에 공급된 온풍은 배기홀에서 외조의 외측으로 나가서 외부 박스 배면의 통기홀 등으로부터 세탁기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구조는 외조 상면의 내부 덮개에 배기홀이 형성되므로, 외조의 상방으로부터 공급된 온풍은 세탁 탈수조의 하부까지 건너가지 못하고 배기홀로 빠지기 쉽다. 따라서, 세탁 탈수조 내에서 세탁물의 상면만 온풍과 접촉하기 쉽고, 온풍이 세탁물에 침투되기 어렵다. 따라서, 상기 구조에서는 건조효율의 저하가 우려된다.
특허문헌1: 일본 특개2007-44228호 공보
본 발명은 해당 과제에 기반하여 완성된 발명이며, 건조효율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세탁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방안의 세탁건조기는, 하우징 내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외조; 상기 외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세탁 탈수조; 가열기 및 팬을 포함하며, 상기 팬의 동작을 통해 상기 가열기의 동작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외조의 상부로부터 상기 세탁 탈수조 내로 공급하는 온풍 공급부; 및 상기 외조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세탁 탈수조 내의 세탁물에 접촉된 공기가 배출되게 하는 배출구를 구비한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외조 내로부터의 공기의 배출구는 외조의 하부에 형성되므로, 상방으로부터 외조 내로 흘러든 온풍은 세탁 탈수조의 하부로 건너가기 쉽다. 이로써, 온풍이 세탁 탈수조 내의 세탁물에 쉽게 침투되므로, 건조효율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방안의 세탁건조기는, 세탁 시에는 상기 외조 내에 저장된 물이 새지 않고, 건조시에는 상기 배출구로부터 흘러나온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부를 더 구비하는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기부는,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면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배기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럴 경우, 상기 배기 덕트에는 상기 외조 내에서 물이 넘쳐나는 일수 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배기구가 형성된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세탁 시 물이 새는 것을 걱정할 필요없이 외조의 하부에 공기의 배출구를 배치할 수 있다.
본 방안의 세탁건조기는, 상기 하우징은 세탁물의 투입구를 구비하는 상부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온풍 공급부는 상기 상부 패널에 마련된 수용실에 배치되며, 상기 온풍 공급부의 흡기구는 상기 수용실의 내벽면에 이격된 상태로 대면되고, 상기 팬의 동작에 의해 상기 수용실을 유통하는 공기가 상기 흡기구에 흡입되는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가열기를 통해 온풍 공급부로부터 발생한 열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가열하므로, 가열기의 가열량을 억제할 수 있고, 건조과정에서의 세탁건조기의 소비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구조를 이용하는 경우, 추가로, 상기 수용부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외조 사이의 공간에 연통되는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팬의 동작에 의해 상기 공간 내의 공기가 흡입되어 상기 수용실에서 유통하는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이용하면, 외조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수용실 내로 흡입할 수 있으므로, 한층 더 가열된 공기를 온풍 공급부의 흡기구로 흡입할 수 있고, 가열기의 가열량을 한층 더 억제할 수 있다.
본 방안의 세탁건조기는, 상기 하우징은 세탁물의 투입구를 구비하는 상부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온풍 공급부는 상기 상부 패널에 마련된 수용실에 배치되며, 상기 수용실은 상기 하우징과 상기 외조 사이의 공간에 연통되는 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온풍 공급부의 흡기구는 상기 개구와 대면되고, 상기 팬의 동작에 의해 상기 공간 내의 공기가 상기 흡기구로 흡입되는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외조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온풍 공급부로 흡입할 수 있으므로, 건조과정에서의 세탁건조기의 소비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세탁건조기가 온풍 공급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외조와 온풍 공급부로부터의 열로 가열하는 구조를 이용하는 경우, 추가로, 세탁건조기는, 상기 가열기와 상기 팬을 동작시키고 상기 가열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온풍 공급부로부터 상기 외조에 공급하는 제1건조작업과, 해당 제1건조작업에 이어 상기 가열기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팬을 동작시키며, 상기 가열기에 의해 가열되지 않은 공기를 상기 온풍 공급부로부터 상기 외조 내로 공급하는 제1건조작업을 진행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이용하면, 온풍 공급부와 외조의 여열을 이용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킬 수 있으므로, 건조과정에서의 세탁건조기의 소비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조효율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세탁건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 및 의미는 하기와 같은 실시형태에 대한 설명에 의해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그러나 하기 실시형태는 단지 본 발명을 실시할 때의 하나의 예시이며, 본 발명은 하기 실시형태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동 세탁건조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뒷 커버가 제거되고 상부 덮개가 개방된 상태의 전자동 세탁건조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도 2의 상태에서 추가로 온풍 공급 유닛, 급수 유닛 및 수위 센서를 제거한 전자동 세탁건조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배기 덕트가 장착된 외조를 후방에서 관찰한 도면이다.
도 5는 실시형태에 따른 외조 및 배기 덕트를 배기 덕트의 좌우방향의 중앙부에서 절단한 주요부분의 종단면도이다.
도 6(a)는 실시형태에 따른 도 5의 A-A'선에 따라 절단한 배기 덕트의 단면도이며, 도 6(b)는 실시형태에 따른 도 5의 B-B'선에 따라 절단한 배기 덕트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동 세탁건조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에 따른 건조과정의 작업제어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변경예 1에 따른 전자동 세탁건조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주요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변경예 2에 따른 전자동 세탁건조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주요부분 단면도이다.
도 11은 변경예 3에 따른 전자동 세탁건조기의 측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세탁건조기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전자동 세탁건조기(1)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은 전자동 세탁건조기(1)의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뒷 커버(102)가 제거되고 상부 덮개(15)가 개방된 상태의 전자동 세탁건조기(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상태에서 추가로 온풍 공급 유닛(50), 급수 유닛(60) 및 수위 센서(70)를 제거한 전자동 세탁건조기(1)의 평면도이다.
전자동 세탁건조기(1)는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10)을 구비한다. 하우징(10)은 상면, 하면이 개방된 사각형 통형상의 몸체부(11), 몸체부(11)의 상면을 덮는 상부 패널(12), 및 몸체부(11)를 지지하는 받침대(13)를 포함한다. 상부 패널(12)에는 세탁물의 투입구(14)가 형성된다. 투입구(14)는 자유로이 개폐할 수 있는 상부 덮개(15)에 의해 덮혀진다.
하우징(10) 내에서, 외조(20)는 진동방지 장치를 구비하는 네 개의 현수봉(21)에 의해 탄성적으로 걸림 지지된다. 외조(20)의 상면은 외조 커버(22)에 의해 덮여진다. 외조 커버(22)에서 투입구(14)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투입구(14)와 거의 동일한 크기의 개구부(22a)가 형성된다. 개구부(22a)는 내부 덮개(23)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덮혀진다.
외조(20) 내에는 세탁 탈수조(24)가 배치된다. 세탁 탈수조(24)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세탁 탈수조(24)의 내주면에는 전체 둘레에 걸쳐 다수의 탈수홀(24a)이 형성된다. 세탁 탈수조(24)의 상부에는 균형링(25)이 배치된다. 세탁 탈수조(24)의 바닥부에는 펄세이터(26)가 배치된다. 펄세이터(26)의 표면에는 방사형으로 복수 개의 날개(26a)가 배치된다.
외조(20)의 바닥부에는 세탁 탈수조(24)와 펄세이터(26)를 구동하는 토크를 발생시키는 구동 유닛(30)이 배치된다. 구동 유닛(30)은 구동 모터(31)와 전달 기구부(32)를 포함한다. 전달 기구부(32)는 클러치 기구(32a)를 구비하고, 해당 클러치 기구(32a)의 전환조작을 통해 세탁과정 및 헹굼과정에서는 구동 모터(31)의 토크를 펄세이터(26)로만 전달시켜 펄세이터(26)만 회전시키며, 탈수과정에서는 구동 모터(31)의 토크를 펄세이터(26) 및 세탁 탈수조(24)로 전달시켜 펄세이터(26) 및 세탁 탈수조(24)를 일체로 회전시킨다.
외조(20)의 외부 바닥부에는 배수구부(20a)가 형성된다. 배수구부(20a)에는 배수 밸브(40)가 설치된다. 배수 밸브(40)는 배수 호스(41)에 연결된다. 배수 밸브(40)를 열면 세탁 탈수조(24)와 외조(20)에 저장된 물이 배수 호스(41)를 통해 세탁건조기 외부로 배출된다.
상부 패널(12)의 앞 부분에는 조작부(16)가 배치된다. 조작부(16)에는 전원버튼(16a), 시작버튼(16b) 및 코스 선택버튼(16c) 등 여러 종류의 조작버튼이 배치된다. 전원버튼(16a)은 전자동 세탁건조기(1)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버튼이다. 시작버튼(16b)은 작업을 시작하기 위한 버튼이다. 코스 선택버튼(16c)은 세탁작업, 세탁건조작업 및 건조작업에 따른 복수 개의 코스 중에서 임의의 작업 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이다.
상부 패널(12)의 뒷 부분에는 외부에서 닫히도록 수용실(100)이 배치된다. 수용실(100)은 바닥면(101a), 전측면(101b), 후측면(101c), 좌측면(101d) 및 우측면(101e)을 구비하며 상면이 개방된 수용 요부(101)와, 수용 요부(101)의 상면을 덮는 뒷 커버(102)로 구성된다. 수용실(100) 내에는 온풍 공급 유닛(50), 급수 유닛(60), 수위 센서(70) 등이 배치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온풍 공급 유닛(50)은 수용실(100) 내에서 중앙에서 좌측으로 편향된 곳에 배치된다. 온풍 공급 유닛(50)은 케이스(51), 팬(52), 가열기(53) 및 온풍 덕트(54)를 구비한다. 온풍 공급 유닛(50)은 본 발명의 온풍 공급부에 해당된다.
케이스(51)는 우측으로 연장된 후 전방으로 절곡되는 대략 L자인 직육면체 형상을 이룬다. 케이스(51)에는 좌단 측의 후면에 흡기구(51a)가 형성되고, 우단 측의 바닥면에 배기구(51b)가 형성된다. 흡기구(51a)는 수용 요부(101)의 후측면(101c)과 이격된 상태로 대면되며, 흡기구(51a)와 대면되는 해당 후측면(101c)의 구역에는 외부 공기의 흡입구와 같은 외부와 연통되는 개구가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케이스(51)에는 적합한 위치에 온풍 공급 유닛(50)을 고정하기 위한 복수 개의 제1장착부(51c)가 배치된다.
팬(52)은 원심팬이며, 송풍기(52a)와 송풍기(52a)를 회전시키는 모터(52b)를 포함한다. 송풍기(52a)는 흡기구(51a)와 대면되도록 케이스(51) 내에 배치된다. 가열기(53)는 케이스(51) 내에서 송풍기(52a)의 하류에 배치된다. 가열기(53)는 자체로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PCT가열기(반도체 가열기)이며, 가열되는 공기의 온도가 낮을수록 그 발열량은 크다. 설명해야 할 것은, 온풍 공급 유닛(50)에는 원심팬 이외의 팬 및 PCT가열기 이외의 가열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온풍 덕트(54)는 탄성 부재 등으로 형성되므로 가요성을 구비하며, 일단은 케이스(51)의 배기구(51b)에 연결되고, 타단은 외조 커버(22)에 형성된 취출구(吹出口)(20b)에 연결된다. 취출구(20b)는 세탁 탈수조(24) 내부와 마주한다.
급수 유닛(60)은 수용실(100) 내에서 중앙에서 우측으로 편향된 곳에 배치된다. 급수 유닛(60)은 주수구부(61), 급수 밸브(62), 목욕수 펌프(63) 및 급수 덕트(64)를 포함한다. 주수구부(61)는 전후로 긴 직육면체 형상을 구비한다. 주수구부(61)에는 상면에 수돗물을 도입하기 위한 제1유입구(61a)와 제2유입구(61b) 및 목욕수를 도입하기 위한 제3유입구(61c)가 형성되며, 바닥면에는 주수구(61d)가 형성된다. 또한, 주수구부(61)에는 유연제가 투입되는 유연제 케이스(미도시)가 전방으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수용된다. 또한, 주수구부(61)의 적합한 위치에는 급수 유닛(60)을 고정하는 복수 개의 제2장착부(61e)가 배치된다.
급수 밸브(62)는 듀얼 밸브이며, 이의 제1유출구(62a)는 제1유입구(61a)에 연결되고, 제2유출구(62b)는 제2유입구(61b)에 연결된다. 급수 밸브(62)의 상면에는 제1연결구(62c)가 형성된다. 제1연결구(62c)는 수용 요부(101)가 뒷 커버(102)에 의해 덮여진 상태에서 외부에 마주하고, 수도꼭지에서 연장된 급수 호스(미도시)는 제1연결구(62c)에 연결된다.
목욕수 펌프(63)의 목욕수 급수 호스(63a)는 제3유입구(61c)에 연결된다. 목욕수 펌프(63)의 상면에는 제2연결구(63b)가 형성된다. 제2연결구(63b)는 수용 요부(101)가 뒷 커버(102)에 의해 덮여진 상태에서 외부에 마주하고, 목욕수 호스(미도시)는 제2연결구(63b)에 연결된다. 목욕수 호스는 욕조 내로부터 목욕수를 공급할 때, 그 끝단의 흡수구부가 욕조 안에 잠긴다.
급수 덕트(64)는 탄성 부재 등으로 형성되므로 가요성을 구비하며, 일단은 주수구부(61)의 주수구(61d)에 연결되고, 타단은 외조 커버(22)에 형성된 급수구(미도시)에 연결된다.
급수 밸브(62)의 제1유출구(62a) 측의 밸브가 열리면, 수돗물이 제1유입구(61a)를 통해 주수구부(61)에 도입된다. 도입된 수돗물은 유연제 케이스를 거치지 않고 주수구(61d)로부터 배출된다. 마찬가지로, 목욕수 펌프(63)의 작동에 의해 제3유입구(61c)를 통해 주수구부(61)에 도입된 목욕수도 유연제 케이스를 거치지 않고 주수구(61d)로부터 배출된다. 한편, 급수 밸브(62)의 제2유출구(62b) 측의 밸브가 열리면, 수돗물이 제2유입구(61b)를 통해 주수구부(61)에 도입된다. 도입된 수돗물은 유연제 케이스를 통과하며, 유연제가 혼입된 상태로 주수구(61d)로부터 배출된다. 주수구(61d)로부터 배출된 수돗물과 목욕수는 급수 덕트(64)를 통과하여 외조(20) 내에 공급된다.
수위 센서(70)는 수용실(100) 내에서 급수 밸브(62)의 우측에 배치된다. 외조(20)의 바닥부에는 도시되지 않은 에어 트랩(air trap)이 형성되고, 수위 센서(70)와 에어 트랩은 에어 호스(71)에 의해 연결된다. 수위 센서(70)는 세탁 탈수조(24) 내, 즉 외조(20) 내의 수위를 감지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 요부(101)의 바닥면(101a)에서, 온풍 공급 유닛(50)이 배치되는 위치에는 제1장착부(51c)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제1장착돌기(103)가 형성되고, 급수 유닛(60)이 배치되는 위치에는 제2장착부(61e)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제2장착돌기(104)가 형성된다. 또한, 바닥면(101a)에는 수위 센서(70)가 배치되는 위치에 센서 장착부(105)가 형성된다. 또한, 바닥면(101a)에는 온풍 덕트(54)와 급수 덕트(64)를 통과시키기 위한 제1개구부(106), 온풍 공급 유닛(50)으로부터 나온 전기 배선을 통과시키기 위한 제2개구부(107), 급수 유닛(60) 및 수위 센서(70)로부터 나온 전기 배선을 통과시키기 위한 제3개구부(108), 및 수위 센서(70)에서 연장되는 에어 호스(71)를 통과시키기 위한 제4개구부(109)가 형성된다. 제1개구부(106), 제2개구부(107), 제3개구부(108), 및 제4개구부(109)는 본 발명의 개구에 해당된다.
제1장착부(51c)는 나사 등에 의해 제1장착돌기(103)에 고정되므로, 온풍 공급 유닛(50)은 수용 요부(101)의 바닥면(101a)에 접촉되지 않는 상태로 수용실(100) 내에 고정된다. 또한, 제2장착부(61e)는 나사 등에 의해 제2장착돌기(104)에 고정되므로, 급수 유닛(60)은 수용 요부(101)의 바닥면(101a)에 접촉되지 않는 상태로 수용실(100) 내에 고정된다. 또한, 수위 센서(70)는 수용 요부(101)의 바닥면(101a)에 접촉되지 않는 상태로 센서 장착부(105)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온풍 공급 유닛(50), 급수 유닛(60) 및 수위 센서(70)는 모두 바닥면(101a)에 접촉되지 않으므로, 제1개구부(106), 제2개구부(107), 제3개구부(108) 및 제4개구부(109)는 온풍 공급 유닛(50), 급수 유닛(60) 및 수위 센서(70)에 의해 막히기 어렵다.
수용실(100)에는 전후, 좌우 및 상하 어느 벽면에도 수용실(100) 내에 공기를 흡입시키기 위한 흡기구가 주동적으로 형성되기 어렵다. 그러나 수용 요부(101)의 바닥면(101a)에 형성된 제1개구부(106), 제2개구부(107), 제3개구부(108) 및 제4개구부(109)에 있어서, 이들 개구부(106~109)와 이들 개구부(106~109)를 통과하는 온풍 덕트(54)와 급수 덕트(64), 각종 전기 배선, 에어 호스(71) 등 사이에 간격이 생긴다. 따라서, 건조과정에서 이들 개구부(106~109)는 수용실(100) 내에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로서의 기능을 발휘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조(20) 후측의 측면에는 하부에 배출구(20c)가 형성된다. 배출구(20c)에는 배기 덕트(80)가 연결된다. 배기 덕트(80)는 상방으로 연장되며, 그 상단부 부근에는 배기구(83)가 형성된다. 배기 덕트(80)는 본 발명의 배기부에 해당된다.
하우징(10)의 몸체부(11)의 후면에서 배기구(83)에 대면되는 위치에는 다수의 홀로 이루어진 세탁건조기 외부 배기구(11a)가 형성된다. 세탁 탈수조(24) 내에 투입된 세탁물의 중량에 따라 외조(20)의 상하 위치가 변화하고, 이에 따라 배기 덕트(80)의 배기구(83)의 상하 위치가 변화하여도, 배기구(83)의 적어도 일부가 세탁건조기 외부 배기구(11a)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며, 바람직하게는 배기구(83) 전체가 세탁건조기 외부 배기구(11a)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배기 덕트(80)가 장착된 외조(20)를 후방에서 관찰한 도면이다. 도 5는 외조(20) 및 배기 덕트(80)를 배기 덕트(80)의 좌우방향의 중앙부에서 절단한 주요부분의 종단면도이다. 도 6(a)는 도 5의 A-A'선으로 절단한 배기 덕트(80)의 단면도이며, 도 6(b)는 도 5의 B-B'선으로 절단한 배기 덕트(80)의 단면도이다. 설명해야 할 것은, 도 6(a)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배기구(83)가 일점쇄선으로 그려져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배기 덕트(80)의 상세한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배기 덕트(80)는 하우징(10)과 대면되는 제1케이스(81)와 외조(20)와 대면되는 제2케이스(82)를 전후로 중첩시키고, 서로의 플랜지부(81a, 82a)를 진동 용접 등 접합 방법으로 방수가능하도록 접합하여 형성된다. 배기 덕트(80)는 상하방향으로 길고, 좌우방향으로 편평한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구비한다. 배기 덕트(80)의 상단부의 하우징(10) 측에 위치한 면에는 대략 장방형인 직사각형 형상의 배기구(83)가 형성된다. 배기 덕트(80)의 하단부의 외조(20) 측에 위치한 면에는 흡기구(84)가 형성된다. 흡기구(84)는 원통 형상을 구비하며, 배기 덕트(80)의 내부로 돌출된다. 배기 덕트(80)의 하단부의 좌우 폭은 흡기구(84)를 향해 점차 좁아진다.
외조(20)의 측면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20c)는 원통 형상을 구비하며, 외측으로 돌출된다. 배출구(20c)의 외경은 배기 덕트(80)의 흡기구(84)의 내경과 동일하다. 배기 덕트(80)는 흡기구(84)가 외조(20)의 배출구(20c)에 감입되고, 외조(20) 측의 면이 외조(20)에 거의 밀착되도록 외조(20)에 고정된다. 이때, 배출구(20c)와 흡기구(84)는 밀봉 부재 등을 이용하여 방수 상태로 연결된다.
외조(20)의 상부에는 일수실(溢水室)(90)이 형성된다. 일수실(90)은 전면벽(91)의 상측이 외조(20)를 향해 개구되고, 외조(20) 내의 수위가 전면벽(91)의 높이를 초과하면, 외조(20) 내에서 넘쳐나는 물은 일수실(90) 내로 유입된다. 일수실(90)의 바닥부에는 일수구(92)가 형성되고, 일수구(92)에서 연장되는 일수관(93)의 선단부(93a)는 배수 호스(41)로 연장되는 일수 호스(미도시)에 연결된다. 일수실(90)에서 넘치는 물은 일수구(92)로부터 배출되며, 일수관(93)과 일수 호스를 통과하여 배수 호스(41)로 안내된다. 배기 덕트(80)의 배기구(83)는 전면벽(91)의 높이 위치인 일수 수위(Lofw)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일수 수위(Lofw)는 세탁물의 양에 따라 결정되는 수위 중에서 가장 높은 최고 수위(Lmax)보다 높은 위치이므로, 배기구(83)의 위치는 최고 수위(Lmax)보다 높은 위치이다.
배기 덕트(80) 내에는 세탁 시 외조(20) 내에 저장된 물의 수위와 동일한 수위만큼 물이 저장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기 덕트(80)의 배기구(83)가 일수 수위(Lofw)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므로, 세탁 시 배기구(83)로부터 물이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기 덕트(80)의 내부에는 좌우의 내벽면으로부터 돌출된 상측 두 개의 제1방벽부(85)와 하측 두 개의 제2방벽부(86)가 배치된다. 제1방벽부(85)의 돌출 길이는 제2방벽부(86)의 돌출 길이보다 작다. 또한, 우측의 제1방벽부(85)와 제2방벽부(86), 및 좌측의 제1방벽부(85)와 제2방벽부(86)는 배기 덕트(80)의 서로 다른 높이 위치에 형성된다.
세탁 시 펄세이터(26)가 회전하면, 외조(20)와 배기 덕트(80) 내에서 수면이 물결치므로, 배기 덕트(80) 내에서 보다 높은 위치까지 물이 올라올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방벽부(85) 및 제2방벽부(86)를 통해 물결로 인한 수위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세탁 시 배기구(83)로부터 물이 새어나오기 더욱 어렵다.
설명해야 할 것은, 적어도 배기 덕트(80) 내의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제1방벽부(85)는 일수 수위(Lofw)보다 높은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방벽부(85)의 돌출 길이와 제2방벽부(86)의 돌출 길이는 같을 수도 있다. 또한, 우측의 제1방벽부(85)와 제2방벽부(86), 및 좌측의 제1방벽부(85)와 제2방벽부(86)는 배기 덕트(80)의 같은 높이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은 전자동 세탁건조기(1)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전자동 세탁건조기(1)는 상기 구조 이외에, 제어 유닛(200)을 더 구비한다. 제어 유닛(200)은 제어부(201), 메모리부(202), 모터 구동부(203), 클러치 구동부(204), 급수 구동부(205), 펌프 구동부(206), 배수 구동부(207), 팬 구동부(208) 및 가열기 구동부(209)를 포함한다.
조작부(16)는 전원버튼(16a), 시작버튼(16b), 코스 선택버튼(16c) 등 각종 버튼 중에서 사용자가 조작한 버튼에 대응되는 입력신호를 제어부(201)로 출력한다. 수위 센서(70)는 외조(20) 내의 수위를 감지하고, 감지된 수위에 대응되는 수위 감지신호를 제어부(201)로 출력한다.
모터 구동부(203)는 제어부(201)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 모터(31)를 구동한다. 클러치 구동부(204)는 제어부(201)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클러치 기구(32a)를 구동한다.
급수 구동부(205)는 제어부(201)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급수 밸브(62)를 구동한다. 펌프 구동부(206)는 제어부(201)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목욕수 펌프(63)를 구동한다. 배수 구동부(207)는 제어부(201)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배수 밸브(40)를 구동한다.
팬 구동부(208)는 제어부(201)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팬(52)을 구동한다. 가열기 구동부(209)는 제어부(201)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가열기(53)를 구동한다.
메모리부(202)는 EEPROM, RAM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부(202)는 각종 작업코스인 세탁작업, 세탁건조작업 및 건조작업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부(202)는 이러한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각종 파라미터, 각종 제어표기를 저장한다.
제어부(201)는 조작부(16), 수위 센서(704), 온도 센서(70) 등으로부터의 각 신호에 기반하여 메모리부(202)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모터 구동부(203), 클러치 구동부(204), 급수 구동부(205), 펌프 구동부(206), 배수 구동부(207), 팬 구동부(208), 가열기 구동부(209) 등을 제어한다.
전자동 세탁건조기(1)는 각종 작업코스인 세탁작업, 세탁건조작업 또는 건조작업을 실행한다. 세탁작업은 세탁만을 진행하는 작업이며, 세탁과정, 중간탈수과정, 헹굼과정 및 최종탈수과정을 실행한다. 세탁건조작업은 세탁부터 건조까지 연속으로 진행하는 작업이며, 최종탈수과정에 이어 건조과정이 실행된다. 건조작업은 건조만 진행하는 작업이며, 건조과정만 실행된다.
세탁과정과 헹굼과정에서, 세탁 탈수조(24) 내에 물이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펄세이터(26)는 왼쪽 방향과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된다. 펄세이터(26)의 회전을 통해 세탁 탈수조(24) 내에 수류가 발생한다. 세탁과정에서는 발생한 수류와 물에 함유된 세제를 통해 세탁물을 세탁한다. 헹굼과정에서는 발생한 수류를 통해 세탁물을 헹군다.
중간탈수과정 및 최종탈수과정에서 세탁 탈수조(24) 및 펄세이터(26)는 일체로 고속 회전한다. 세탁물은 세탁 탈수조(24)에서 발생하는 원심력의 작용에 의해 탈수된다.
건조작업에서는 팬(52) 및 가열기(53)의 동작에 의해 온풍 공급 유닛(50)으로부터 외조(20) 내로 온풍이 공급된다. 세탁 탈수조(24) 내에서 펄세이터(26)는 왼쪽 방향과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을 반복한다. 세탁 탈수조(24) 내의 세탁물은 펄세이터(26)에 의해 교반되면서 세탁 탈수조(24) 내로 도입된 온풍과 접촉하여 건조된다.
도 8은 건조과정의 작업제어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건조작업에서 가열 건조작업과 해당 가열건조작업에 이어 여열 건조작업이 진행된다. 아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건조과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을 진행한다.
건조작업이 시작되면, 제어부(201)는 먼저 가열 건조작업을 실행한다. 즉, 제어부(201)는 팬 구동부(208)를 제어하여 팬(52)을 제1회전속도로 동작시키면서(S1) 가열기 구동부(209)를 제어하여 가열기(53)를 동작시킨다(S2). 제1회전속도는 예를 들어 3500rpm이다. 또한, 제어부(201)는 모터 구동부(203)를 제어하여 구동 모터(31)를 동작시키고, 펄세이터(26)를 좌우로 반전 동작시킨다(S3). 예를 들어, 반전 동작의 ON/OFF 시간은 3초 ON-1.5초 OFF이다. 건조과정에서 ON 시간은 통상의 세탁과정 또는 헹굼과정의 ON 시간에 비해 길며, 이와 같은 긴 ON 시간의 펄세이터(26)의 반전 동작에 의해 세탁물은 세탁 탈수조(24) 내에서 원활하게 이동한다.
팬(52)이 회전하면, 수용실(100)의 바닥면(101a)의 제1개구부(106), 제2개구부(107), 제3개구부(108) 및 제4개구부(109)를 통과하여 하우징(10)과 외조(20)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수용실(100) 내로 공기가 흡입된다. 흡입된 공기는 수용실(100) 내를 유동하여 온풍 공급 유닛(50)의 케이스(51)에 배치된 흡기구(51a)를 향해 흐르고, 흡기구(51a)로부터 케이스(51) 내로 흡입된다. 흡입된 공기는 가열기(53)에서 가열되어 온풍으로 되고, 온풍 덕트(54)를 통과하여 상방으로부터 외조(20) 내로 흘러들어온다. 외조(20) 내에서는 펄세이터(26)가 좌우로 반전 동작을 반복하므로, 세탁 탈수조(24) 내의 세탁물이 교반된다. 외조(20) 내로 흘러들어온 온풍은 상방으로부터 세탁 탈수조(24) 내로 흘러들고, 세탁 탈수조(24) 내에서 교반되는 세탁물과 접촉하며 세탁물의 수분을 제거한다. 이로써, 세탁물이 건조된다. 세탁물에서 수분을 제거한 공기는 세탁 탈수조(24) 내의 탈수홀(24a) 등을 통과하여 세탁 탈수조(24)와 외조(20) 사이에서 유동하여 외조(20)의 측면 하부에 배치된 배출구(20c)로부터 배출된다. 배출된 공기는 배기 덕트(80) 내를 유동하며, 배기 덕트(80)의 배기구(83) 및 하우징(10)의 세탁건조기 외부 배기구(11a)를 통과하여 세탁기 외부로 배출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도 1에서는 가열 건조작업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화살표로 나타낸다.
가열 건조작업을 진행하면, 온풍의 열에 의해 온풍 공급 유닛(50)의 케이스(51) 자체 및 외조(20) 자체가 가열된다. 이렇게 되면, 외조(2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수용실(100) 내로 흡입되고, 수용실(100) 내를 유동하는 공기는 케이스(51)에서 발열된 열에 의해 더 가열된다. 이렇게 되면 온풍 공급 유닛(50)의 흡기구(51a)에는 전자동 세탁건조기(1)의 외부의 공기에 비해 온도가 높은 공기가 흡입되게 된다. 이로써, 온풍 공급 유닛(50)에 직접적으로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경우에 비해 가열기(53)의 가열량을 억제하고, 소비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제어부(201)는 미리 설정된 가열 건조시간의 경과 여부를 판단한다(S4). 또한, 가열 건조시간을 경과하였을 경우(S4: 예), 제어부(201)는 가열기(53)를 정지시킨다(S5). 이로써, 가열 건조작업이 종료된다.
다음, 제어부(201)는 여열 건조작업을 실행한다. 제어부(201)는 팬(52)의 회전속도를 상승시켜 팬(52)을 제1회전속도보다 높은 제2회전속도로 동작시킨다(S6). 제2회전속도는 예를 들어 5000rpm이다.
외조(20) 및 케이스(51)의 여열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공급 유닛(50)의 흡기구(51a)에 흡입되며, 이 공기는 온풍가열기(53)로 가열되지 않고 여열풍으로서 외조(20) 내에 공급된다. 세탁 탈수조(24) 내의 세탁물은 여열풍에 접촉되어 건조된다. 여기서, 팬(52)의 회전속도가 높아지므로 여열풍의 풍량은 가열 건조작업 시의 온풍의 풍량보다 크다. 이로써, 풍량의 증가를 통해, 세탁물에 접촉하는 바람의 온도가 낮아짐으로 인한 건조효율의 저하를 보완할 수 있다.
제어부(201)는 미리 설정된 여열 건조시간의 경과 여부를 판단한다(S7). 또한, 여열 건조시간을 경과하였을 경우(S7: 예), 제어부(201)는 팬(52)을 정지시키면서(S8) 구동 모터(31)를 정지시켜 펄세이터(26)를 정지시킨다(S9). 이로써, 여열 건조작업이 종료되고, 건조작업이 종료된다.
<본 실시형태의 효과>
이상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외조(20) 내로부터의 공기의 배출구(20c)가 외조(20)의 하부에 형성되므로, 상방으로부터 외조(20) 내로 흘러든 온풍은 세탁 탈수조(24)의 하부로 건너가기 쉽다. 이로써, 온풍이 세탁 탈수조(24) 내의 세탁물에 침투되기 쉬워지므로, 건조효율의 상승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배출구(20c)에 연결되고 상방으로 연장되는 배기 덕트(80)가 배치되며, 배기 덕트(80)에는 외조(20) 내로부터 물이 넘쳐나는 일수 수위(Lofw)보다 높은 위치에 배기구(83)가 형성되므로 세탁 시에는 외조(20) 내에 저장된 물을 새지 않게 하고, 건조시에는 배출구(20c)로부터 흘러 온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이로써, 세탁 시에 물이 새는 것을 걱정할 필요없이 외조(20)의 하부에 공기 배출구(20c)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온풍 공급 유닛(50)의 흡기구(51a)는 수용실(100)의 후측면(101c)과 이격된 상태로 대면되고, 팬(52)의 동작에 의해 수용실(100) 내를 유동하는 공기는 흡기구(51a)에 흡입된다. 이로써, 온풍 공급 유닛(50)으로부터의 열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가열기(53)로 가열할 수 있으므로, 가열기(53)의 가열량을 억제할 수 있고, 가열기(53), 즉 전자동 세탁건조기(1)의 소비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외조로부터의 열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수용실(100)의 바닥면(101a)에 형성된 제1개구부(106), 제2개구부(107), 제3개구부(108) 및 제4개구부(109)를 통과하여 하우징(10)과 외조(20)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수용실(100) 내로 흡입된다. 이로써, 한층 더 가열된 공기를 온풍 공급 유닛(50)의 흡기구(51a)에 흡입시킬 수 있으므로, 가열기(53)의 가열량을 한층 더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건조과정에서는 가열기(53)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온풍으로서 외조(20) 내에 공급하는 가열 건조작업에 이어, 온풍 공급 유닛(50)과 외조(20)의 여열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여열풍으로서 외조(20) 내에 공급하는 여열 건조작업이 진행된다. 이로써, 온풍 공급 유닛(50)과 외조(20)의 여열을 이용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킬 수 있으므로, 건조과정에서 전자동 세탁건조기(1)의 소비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형태도 상술한 이외의 다양한 변경을 할 수 있다.
<변경예 1>
도 9는 변경예 1에 따른 전자동 세탁건조기(1) 구조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외조(20)의 배출구(20c)의 하류에 배기 덕트(80)가 배치된다. 이에 대해, 본 변형예에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 덕트(80)를 대신하여 배출구(20c)를 개폐하는 개폐 밸브(110)가 배출구(20c)에 배치된다. 개폐 밸브(110)는 제어부(201)의 제어에 기반하여 세탁과정, 헹굼과정, 중간탈수과정 및 최종탈수과정에서는 닫히고, 건조과정에서는 오픈된다. 본 변형예에서는 개폐 밸브(110)가 본 발명의 배기부에 해당된다.
본 변형예의 구조에 따르면,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세탁 시에는 외조(20) 내에 저장된 물이 새지 않고, 건조시에는 배출구(20c)로부터 흘러나온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변경예 2>
도 10은 변경예 2에 따른 전자동 세탁건조기(1) 구조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구(83)에 배기 팬(120)이 배치된다. 배기 팬(120)으로서 예를 들어 축류 팬을 사용할 수 있다. 배기 팬(120)은 제어부(201)의 제어에 기반하여 건조과정에서 동작한다.
본 발명의 구조를 이용하면 외조(20) 내의 공기를 배출구(20c)를 통해 배기 덕트(80) 내에 강하게 흡입할 수 있으므로, 외조(20) 내의 공기가 배출구(20c)로 유동하기 쉬워진다. 이로써, 상방으로부터 외조(20) 내에 흘러든 온풍은 세탁 탈수조(24)의 하부로 건너가기 더욱 쉬워지므로, 건조효율의 향상을 한층 더 기대할 수 있다.
<변경예 3>
도 11은 변형예3에 따른 전자동 세탁건조기(1)의 측단면도이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공기가 하우징(10)과 외조(20)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수용실(100) 내로 흡입되고, 수용실(100) 내에서 유동하는 공기는 온풍 공급 유닛(50)의 흡기구(51a)에 흡입된다. 이에 대해, 본 변형예에서는 케이스(51A)의 하면에 흡기구(51a)를 구비하는 온풍 공급 유닛(50A)이 수용실(100) 내에 배치된다. 수용실(100) 내의 바닥면(101a)에는 흡기구(51a)와 대면되도록 하우징(10)과 외조(20) 사이의 공간에 연결되는 공기 흡입구(130)가 형성된다. 해당 구조에서 공기는 하우징(10)과 외조(20)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공기 흡입구(130)를 통과하여 직접적으로 온풍 공급 유닛(50A)의 흡기구(51a)에 흡입된다. 공기 흡입구(130)는 본 발명의 개구에 해당된다.
본 변형예의 구조에 따르면, 외조(20)로부터의 열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온풍 공급 유닛(50A)에 흡입할 수 있으므로,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건조과정의 전자동 세탁건조기(1)의 소비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기타 변경예>
상기 실시형태에서 공기는 하우징(10)과 외조(20)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제1개구부(106) 등을 통과하여 수용실(100) 내에 흡입된다. 그러나 온풍 공급 유닛(50)으로부터 떨어진 위치, 즉 수용실(100)의 우측면(101e)과 후측면(101c)의 우측면(101e) 부근의 위치에 전자동 세탁기(1)의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구가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럴 경우, 흡기구를 통과하여 수용실(100)에 흡입되는 외부의 공기는 온풍 공급 유닛(50)의 케이스(51)가 발생하는 열에 의해 가열된 후, 온풍 공급 유닛(50)의 흡기구(51a)에 흡입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조도 건조작업에서 전자동 세탁건조기(1)의 소비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10)의 후면에 대면하는 외조(20)의 측면 하부의 위치에 배출구(20c) 및 배기 덕트(80)가 배치된다. 그러나 하우징의 우측면과 좌측면에 대면하는 외조(20)의 측면 하부의 위치에 배출구(20c) 및 배기 덕트(80)가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배출구(20c)가 배치된 위치는 외조(20)의 하부이면 되고, 배출구(20c)는 외조(20)의 측면이 아닌 바닥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세탁 탈수조(24)를 구비하는 전자동 세탁건조기(10)가 예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수직방향에서 경사진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세탁 탈수조를 구비하는 전자동 세탁건조기를 적용할 수도 있다.
이외,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청구범위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을 적절하게 진행할 수 있다.
1: 전자동 세탁건조기(세탁건조기); 10: 하우징; 12: 상부 패널; 14: 투입구; 20: 외조; 20c: 배출구; 24: 세탁 탈수조; 50: 온풍 공급 유닛(온풍 공급부); 50A: 온풍 공급 유닛(온풍 공급부); 51a: 흡기구; 52: 팬; 53: 가열기; 80: 배기 덕트(배기부); 83: 배기구; 100: 수용실; 106: 제1개구부(개구); 107: 제2개구부(개구); 108: 제3개구부(개구); 109: 제4개구부(개구); 110: 개폐 밸브(배기부); 130: 공기 흡입구(개구); 201: 제어부.

Claims (7)

  1. 하우징 내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외조;
    상기 외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세탁 탈수조;
    가열기 및 팬을 포함하며, 상기 팬의 동작을 통해 상기 가열기의 동작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외조의 상부로부터 상기 세탁 탈수조 내로 공급하는 온풍 공급부; 및
    상기 외조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세탁 탈수조 내의 세탁물에 접촉된 공기가 배출되게 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세탁 시에는 상기 외조 내에 저장된 물이 새지 않고, 건조 시에는 상기 배출구로부터 흘러나온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건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는,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면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배기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 덕트에는 상기 외조 내에서 물이 넘쳐나는 일수 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배기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세탁물의 투입구를 구비하는 상부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온풍 공급부는 상기 상부 패널에 마련된 수용실에 배치되며,
    상기 온풍 공급부의 흡기구는 상기 수용실의 내벽면에 이격된 상태로 대면되고, 상기 팬의 동작에 의해 상기 수용실을 유통하는 공기가 상기 흡기구에 흡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건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외조 사이의 공간에 연통되는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팬의 동작에 의해 상기 공간 내의 공기가 흡입되어 상기 수용실을 유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건조기.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세탁물의 투입구를 구비하는 상부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온풍 공급부는 상기 상부 패널에 마련된 수용실에 배치되고,
    상기 수용실은 상기 하우징과 상기 외조 사이의 공간에 연통되는 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온풍 공급부의 흡기구는 상기 개구와 대면되고, 상기 팬의 동작에 의해 상기 공간 내의 공기가 상기 흡기구에 흡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건조기.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와 상기 팬을 동작시키고 상기 가열기로 가열된 공기를 상기 온풍 공급부로부터 상기 외조 내로 공급하는 제1건조작업과, 해당 제1건조작업에 이어 상기 가열기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팬을 동작시키고 상기 가열기에 의해 가열되지 않은 공기를 상기 온풍 공급부로부터 상기 외조 내로 공급하는 제2건조작업을 진행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건조기.
KR1020187013054A 2015-10-09 2016-10-09 세탁건조기 KR201800675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01460 2015-10-09
JP2015201460A JP2017070648A (ja) 2015-10-09 2015-10-09 洗濯乾燥機
PCT/CN2016/101566 WO2017059814A1 (zh) 2015-10-09 2016-10-09 洗衣干衣机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7594A true KR20180067594A (ko) 2018-06-20

Family

ID=58487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3054A KR20180067594A (ko) 2015-10-09 2016-10-09 세탁건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80291544A1 (ko)
EP (1) EP3360997A4 (ko)
JP (1) JP2017070648A (ko)
KR (1) KR20180067594A (ko)
CN (1) CN108138420B (ko)
WO (1) WO20170598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52059B (zh) * 2016-12-28 2021-08-31 青岛胶南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干衣机排气管组件及干衣机
JP7360899B2 (ja) * 2019-10-30 2023-10-13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4228A (ja) 2005-08-10 2007-02-22 Sanyo Electric Co Ltd 洗濯乾燥機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58618A (en) * 1955-03-11 1958-11-04 Lovell Mfg Co Automatic control device for laundry drier
DE69922864T2 (de) * 1998-03-12 2005-06-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Elektrischer Waschtrockner
KR100437790B1 (ko) * 2001-12-05 2004-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세탁기
JP4020820B2 (ja) * 2003-04-15 2007-12-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洗濯乾燥機
JP2005328947A (ja) * 2004-05-19 2005-12-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熱調理器
JP4383960B2 (ja) * 2004-05-19 2009-12-16 株式会社東芝 乾燥機能付き洗濯機
CN101158099B (zh) * 2006-10-08 2011-04-27 海尔集团公司 一种采用热泵作为热源的洗衣机干燥机
US9139947B2 (en) * 2009-08-05 2015-09-22 Sharp Kabushiki Kaisha Washing and drying machine for deodorizing an outside space
KR20120088034A (ko) * 2010-10-19 2012-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겸용 세탁장치 및 건조완료 판단방법
JP6047759B2 (ja) * 2013-06-04 2016-12-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洗濯機
JP2015058237A (ja) * 2013-09-20 2015-03-30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縦型洗濯乾燥機
CN104593992A (zh) * 2013-10-30 2015-05-06 海尔集团公司 一种波轮式热泵洗干一体机及烘干方法
CN104593991A (zh) * 2013-10-30 2015-05-06 海尔集团公司 一种波轮式热泵洗干一体机
US10214842B2 (en) * 2014-07-31 2019-02-26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4228A (ja) 2005-08-10 2007-02-22 Sanyo Electric Co Ltd 洗濯乾燥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59814A1 (zh) 2017-04-13
CN108138420A (zh) 2018-06-08
EP3360997A4 (en) 2019-04-03
CN108138420B (zh) 2020-06-02
EP3360997A1 (en) 2018-08-15
JP2017070648A (ja) 2017-04-13
US20180291544A1 (en) 2018-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28123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6075065B2 (ja) 洗濯機
JP2010253099A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11072497A (ja) 洗濯乾燥機および乾燥機
JP4868998B2 (ja) 洗濯機
JP2008055016A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180067594A (ko) 세탁건조기
KR100443817B1 (ko) 드럼식 세탁기
JP6135979B2 (ja) 洗濯機
JP2010207312A (ja) ドラム式洗濯機
WO2014103135A1 (ja) 洗濯機
JP6518636B2 (ja) 洗濯機
EP3613885B1 (en) Method of controlling a laundry treating device
JP4497063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6135977B2 (ja) 洗濯機
JP2019130196A (ja) 洗濯乾燥機
JP6135978B2 (ja) 洗濯機
JP6004336B2 (ja) 洗濯機
KR20080032332A (ko) 드럼 세탁기
JP2021142178A (ja) 洗濯乾燥機
JP2022146529A (ja) 洗濯機、及び洗濯乾燥機
JP2015043798A (ja) 洗濯機
JP2019181093A (ja) 洗濯機
JP6168442B2 (ja) 洗濯機
JP2014018284A (ja) 洗濯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