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6173A - 온도 센서 및 위치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온도 센서 및 위치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6173A
KR20180066173A KR1020187013020A KR20187013020A KR20180066173A KR 20180066173 A KR20180066173 A KR 20180066173A KR 1020187013020 A KR1020187013020 A KR 1020187013020A KR 20187013020 A KR20187013020 A KR 20187013020A KR 20180066173 A KR20180066173 A KR 20180066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sensor
sensor element
heat insulating
holding
insulat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3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2140B1 (ko
Inventor
다이지 스가와라
교조 사이토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66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6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8Protective devices, e.g. casings
    • G01K1/12Protective devices, e.g. casings for preventing damage due to heat overloa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8Protective devices, e.g. cas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01K7/16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resistive elements
    • G01K7/22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resistive elements the element being a non-linear resistance, e.g. thermis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01K7/16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resistive elements
    • G01K7/22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resistive elements the element being a non-linear resistance, e.g. thermistor
    • G01K7/24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resistive elements the element being a non-linear resistance, e.g. thermistor in a specially-adapted circuit, e.g. bridge circ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04Engine intake system parameters
    • F02D2200/0406Intake manifol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04Engine intake system parameters
    • F02D2200/0414Air tempera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Abstract

(과제)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온도 검지 성능이 양호한 온도 센서, 및 이것을 구비한 위치 검출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본체부 (21) 및 본체부 (21) 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고 선단 (22a) 측이 폐쇄된 관상으로 형성된 관상부 (22) 를 갖는 케이스 (20) 와, 관상부 (22) 의 내부의 선단 (22a) 에 배치되는 온도 센서 소자 (11) 와, 온도 센서 소자 (11) 에 접속된 선재 (14) 를 구비한 온도 센서 (10) 에 있어서, 관상부 (22) 의 내부의 온도 센서 소자 (11) 보다 본체부 (21) 측에는 선재 (14) 를 지지하는 유지재 (25) 가 충전된 유지부 (22c) 를 갖고, 온도 센서 소자 (11) 와 유지부 (22c) 사이에는 유지재 (25) 보다 열이 전달되기 어려운 단열재 (31) 를 포함하는 단열부 (30) 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온도 센서 및 위치 검출 장치
본 발명은, 엔진에 흡입되는 공기 등의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 및 이것을 구비한 위치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의 각종 제어에 온도 센서가 사용되고 있다. 온도 센서는, 유리 등으로 코팅된 온도 센서 소자를 사용하여 구성되고, 보호용의 선단이 닫힌 튜브 내의 선단 부분에 온도 센서 소자를 배치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온도 센서 소자의 선단을 튜브에 직접 접촉시킴으로써, 온도 센서 소자로의 열의 전달성을 높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온도 센서 소자는 열이 빠져나가면 검지 정밀도가 나빠지므로, 선단 부분 이외의 튜브 내에 공기층을 형성하거나 하여, 온도 센서 소자에 전달된 열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기층을 구비한 구조로는,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도 8 은 특허문헌 1 의 온도 센서 (900) 의 단면도이다. 온도 센서 소자 (921) 는,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튜브 (911) 내의 선단 (912) 에 배치되어 있다. 이 구조에서는, 시일 부재 (971) 에 발생하는 변형을 이용하여, 애자관 (941) 의 후단 (945) 을 선단측으로 누르고 있고, 이로써, 선단측에 배치된 온도 센서 소자 (921) 를 튜브 (911) 내의 선단 (912) 에 가압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42451호
그러나, 시일 부재 (971) 에 의해 애자관 (941) 을 선단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구조가 필요해지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해진다는 과제가 있었다. 이 때문에,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온도 센서에 전달된 열을 빠져나가게 하지 않는 구조가 요망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온도 검지 성능이 양호한 온도 센서, 및 이것을 구비한 위치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온도 센서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고 선단측이 폐쇄된 관상으로 형성된 관상부를 갖는 케이스와, 상기 관상부의 내부의 선단에 배치되는 온도 센서 소자와, 상기 온도 센서 소자에 접속된 선재를 구비한 온도 센서에 있어서, 상기 관상부의 내부의 상기 온도 센서 소자보다 상기 본체부측에는 상기 선재를 지지하는 유지재가 충전된 유지부를 갖고, 상기 온도 센서 소자와 상기 유지부 사이에는 상기 유지재보다 열이 전달되기 어려운 단열재를 포함하는 단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온도 센서 소자와 유지부 사이에 단열부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온도 센서 소자로부터 열이 빠져나가기 어려운 구조로 할 수 있으므로,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온도 검지 성능이 양호한 온도 센서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온도 센서에 있어서, 상기 단열부는 상기 온도 센서 소자에 근접하여 상기 단열재가 상기 선재에 고정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단열재가 선재에 고정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유지재가 충전되었을 때에 단열재를 통하여 온도 센서 소자가 관상부의 선단측으로 밀리기 때문에, 탄성 지지 기구를 형성하지 않고 온도 센서 소자를 관상부의 선단에 가압할 수 있다. 이로써, 온도 검지 성능이 양호해진다.
또, 본 발명의 온도 센서는, 상기 단열재가 발포 폴리스티렌 또는 페놀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간단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온도 센서에 있어서, 상기 단열부는 상기 단열재와 상기 온도 센서 소자 사이에 유지된 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열이 전달되기 어려운 기체를 단열부의 일부로서 이용함으로써, 단열성이 더욱 양호해진다.
또, 본 발명의 위치 검출 장치는, 피검지물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과, 상기 피검지물의 주위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 검지 수단을 갖는 위치 검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온도 검지 수단이 상기 온도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위치 검출 수단의 피검지물의 주위 온도를 검지함으로써, 피검지물의 위치에 대응한 제어를 보다 적절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온도 센서 소자와 유지부 사이에 단열부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온도 센서 소자로부터 열이 빠져나가기 어려운 구조로 할 수 있으므로,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온도 검지 성능이 양호한 온도 센서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온도 검지 성능이 양호한 온도 센서를 구비한 위치 검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온도 센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는 단열재의 외관도로서, 도 2(a) 는 평면도이고, 도 2(b) 는 정면도이다.
도 3 은 온도 센서 소자에 접속된 선재에 홀더와 단열재와 기판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는 덮개부를 장착하기 전의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5 는 온도 센서 소자가 케이스의 관상부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은 유지재가 충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위치 검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 은 종래의 온도 센서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해하기 쉽도록 도면은 치수를 적절히 변경하였다.
[제 1 실시형태]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온도 센서 (10) 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는 단열재 (31) 의 외관도로서, 도 2(a) 는 평면도이고, 도 2(b) 는 정면도이다. 도 3 은 온도 센서 소자 (11) 에 접속된 선재 (14) 에 홀더 (16) 와 단열재 (31) 와 기판 (17) 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는 덮개부 (23) 를 장착하기 전의 케이스 (20) 의 단면도이다. 도 5 는 온도 센서 소자 (11) 가 케이스 (20) 의 관상부 (22) 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은 유지재 (25) 가 충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온도 센서 (10) 는, 케이스 (20) 에 온도 센서 소자 (11) 가 수용된 것으로, 도 1 에 나타내는 단면도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 (20) 는, 합성 수지재로 성형되고, 개구면을 구비한 상자형의 본체부 (21) 와, 본체부 (21) 로부터 바깥쪽 (도 1 의 Z2 방향) 으로 돌출되고, 선단 (22a) 측이 폐쇄된 관상으로 형성된 관상부 (22) 와, 본체부 (21) 의 개구면을 막는 덮개부 (23) 를 갖고 있다.
온도 센서 소자 (11) 는, 그 온도에 따라 전기적인 출력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그 출력값에 의해 주위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온도 센서 소자 (11) 는, 온도 변화에 대해 전기 저항의 변화가 큰 저항체인 서미스터 (Thermistor) 가 사용되고 있다. 온도 센서 소자 (11) 에 접속된 선재 (14) 는, 홀더 (16) 에 고정됨과 함께, 기판 (17) 의 도시되지 않은 배선부에 전기 접속되어 있다. 또한, 선재 (14) 에는 단열재 (31) 가 장착되어 있다.
선재 (14) 와 관상부 (22) 의 간극, 그리고, 홀더 (16) 및 기판 (17) 과 본체부 (21) 의 간극에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재 (25) 가 충전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유지재 (25) 는, 1 액성의 에폭시 수지로, 20 ℃ 에 있어서의 열전도율은 0.3 [W/(m·K)] 이다. 유지재 (25) 는, 소정의 양이 액화된 상태에서 충전되고 나서, 열 처리에 의해 경화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온도 센서 (10) 는, 단열재 (31) 와 온도 센서 소자 (11) 사이에 유지재 (25) 가 충전되지 않고, 기체 (32) 가 잔존하고 있는 공극부 (22b) 를 갖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기체 (32) 는 공기이며, 공기의 20 ℃ 에 있어서의 열전도율은 0.024 [W/(m·K)]이다.
단열재 (31) 는, 유지재 (25) 보다 열이 전달되기 어려운 물성의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실시형태의 단열재 (31) 는, 유지재 (25) 보다 열이 전달되기 어렵고, 또한 유동성이 없는 발포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20 ℃ 에 있어서의 유지 부재 (25) 의 열전도율은 0.3 [W/(m·K)] 인 반면, 단열재 (31) 의 열전도율은 0.03 [W/(m·K)] 이다. 단열재 (31)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둥상의 외형을 갖고, 측면에서 중앙으로 절입이 형성되어, 중심 부분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단열재 (31) 가, 탄성 변형 가능하고, 선재 (14) 에 고정되도록 장착할 수 있다.
온도 센서 소자 (11) 는, 케이스 (20) 의 관상부 (22) 의 선단 (22a) 에 가압되어 있다. 이로써, 선단 (22a) 과 온도 센서 소자 (11) 의 열 전달이 양호해져, 보다 정확하게 관상부 (22) 의 선단 (22a) 의 주위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단열부 (30) 로서, 유지재 (25) 보다 열이 전달되기 어려운 단열재 (31) 와, 단열재 (31) 와 온도 센서 소자 (11) 사이의 공극부 (22b) 에 유지된 기체 (32) 가, 본체부 (21) 측으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므로, 관상부 (22) 의 선단 (22a) 의 주위 온도가 변화하였을 때에, 온도 센서 소자 (11) 가 빠르게 응답하는, 열응답성이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온도 센서 (10) 는, 예를 들어, 도 3 ∼ 도 6 에 나타내는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온도 센서 소자 (11) 에 접속된 선재 (14) 가 홀더 (16) 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온도 센서 소자 (11) 에 근접하여 단열재 (31) 가 선재 (14) 에 고정된다. 또한, 기판 (17) 에 선재 (14) 가 전기 접속된다. 또한, 단열재 (31) 와 선재 (14) 의 간극이 작아지도록, 본 실시형태의 단열재 (31) 의 절입이 고안되었지만, 접착재 등을 사용하여 고정시켜도 되며, 이 경우에는 간극이 어느 정도 커도 접착재 등으로 막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접착재 등으로 간극을 막는 경우에는, 탄성 변형되기 쉬운 재료에 한정되지 않고, 열이 전달되기 어려운 물성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놀 수지의 단단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부 (23) 를 장착하기 전의 케이스 (20) 가 준비되고,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온도 센서 소자 (11) 가 관상부 (22) 의 내부의 선단 (22a) 에 배치되도록 삽입된다. 이 때, 단열재 (31) 의 외형은 관상부 (22) 의 내벽과 약간 간극을 갖도록 설정되어, 온도 센서 소자 (11) 가 선단 (22a) 까지 밀어 넣어지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 홀더 (16) 는 본체부 (21) 에 맞닿지만, 선재 (14) 는 약간 길게 준비되어, 온도 센서 소자 (11) 가 선단 (22a) 까지 밀어 넣어지면 선재 (14) 가 휨으로써 확실하게 밀어 넣어진 상태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Z2 방향을 하방향으로 유지하고, 선재 (14) 와 관상부 (22) 의 간극, 그리고, 홀더 (16) 및 기판 (17) 과 본체부 (21) 의 간극에, 유지재 (25) 가 액화된 상태에서 충전된다. 이 때, 미리 단열재 (31) 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표면 장력에 의해 단열재 (31) 와 온도 센서 소자 (11) 사이에는 유지재 (25) 가 충전되지 않는 공극부 (22b) 가 형성되고, 잔존하는 대기가 기체 (32) 로서 유지된다. 또, 단열재 (31) 가 선재 (14) 에 고정되도록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유지재 (25) 가 충전되었을 때에 단열재 (31) 를 통하여 온도 센서 소자 (11) 가 관상부 (22) 의 선단 (22a) 측으로 밀리게 된다. 이 때문에, 탄성 지지 기구를 향하게 하지 않고, 온도 센서 소자 (11) 를 관상부 (22) 의 선단 (22a) 에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선단 (22a) 에 온도 센서 소자 (11) 를 확실하게 고정시키도록, 미리 유지재 (25) 를 온도 센서 소자 (11) 의 단부에 도포해 두어도 된다.
그 후, 열 처리에 의해 유지재 (25) 가 경화되고, 선재 (14) 를 유지재 (25) 가 지지하는 상태가 된다. 마지막으로, 케이스 (20) 에 덮개부 (23) 가 장착된다.
온도 센서 소자 (11) 와 유지부 (22c) 사이에 단열부 (30) 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온도 센서 소자 (11) 로부터 열이 빠져나가기 어려운 구조로 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형태로 한 것에 의한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온도 센서 (10) 는, 케이스 (20) 와, 온도 센서 소자 (11) 와, 온도 센서 소자 (11) 에 접속된 선재 (14) 를 구비한다. 케이스 (20) 는, 본체부 (21), 및 본체부 (21) 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고, 선단 (22a) 측이 폐쇄된 관상으로 형성된 관상부 (22) 를 갖는다. 온도 센서 소자 (11) 는, 관상부 (22) 의 내부의 선단 (22a) 에 배치된다. 그리고, 관상부 (22) 의 내부의 온도 센서 소자 (11) 보다 본체부 (21) 측에는 선재 (14) 를 지지하는 유지재 (25) 가 충전된 유지부 (22c) 를 갖고 있다. 또한, 온도 센서 소자 (11) 와 유지부 (22c) 사이에는 유지재 (25) 보다 열이 전달되기 어려운 단열재 (31) 를 포함하는 단열부 (30)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온도 센서 소자 (11) 와 유지부 (22c) 사이에 단열부 (30) 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온도 센서 소자 (11) 로부터 열이 빠져나가기 어려운 구조로 할 수 있으므로,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온도 검지 성능이 양호한 온도 센서 (10) 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온도 센서 (10) 에 있어서, 단열부 (30) 는 온도 센서 소자 (11) 에 근접하여 단열재 (31) 가 선재 (14) 에 고정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단열재 (31) 가 선재 (14) 에 고정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유지재 (25) 가 충전되었을 때에 단열재 (31) 를 통하여 온도 센서 소자 (11) 가 관상부 (22) 의 선단 (22a) 측으로 밀리게 된다. 이 때문에, 탄성 지지 기구를 향하게 하지 않고 온도 센서 소자 (11) 를 관상부 (22) 의 선단 (22a) 에 가압할 수 있다. 이로써, 온도 검지 성능이 양호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의 온도 센서 (10) 는, 단열재 (31) 가 발포 폴리스티렌 또는 페놀 수지로 이루어진다. 또한, 20 ℃ 에 있어서의 유지 부재 (25) 의 열전도율은 0.3 [W/(m·K)] 인 반면, 단열재 (31) 의 열전도율은 발포 폴리스티렌의 경우에는 0.03 [W/(m·K)] 이고, 페놀 수지의 경우에는 0.13 ∼ 0.25 [W/(m·K)] 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유지재 (25) 보다 열이 전달되기 어렵고, 또한 유동성이 없는 단열재이므로, 간단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온도 센서 (10) 에 있어서, 단열부 (30) 는 단열재 (31) 와 온도 센서 소자 (11) 사이에 유지된 기체 (32) 를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열이 전달되기 어려운 기체를 단열부 (30) 의 일부로서 이용함으로써, 단열 성이 더욱 양호해진다.
[제 2 실시형태]
도 7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위치 검출 장치 (100) 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위치 검출 장치 (100) 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의 출력을 제어하는 스로틀 밸브 (220) 에 장착된 사례이다. 또한, 위치 검출 장치 (100) 는, 이 실시양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 가능하다.
도 7 에 나타내는 위치 검출 장치 (100) 는, 피검지물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 (2) 과, 피검지물의 주위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 검지 수단 (1) 과, 흡입되는 기체 (대기) 의 압력을 검지하는 압력 검지 수단 (3) 을 갖고 있다. 그리고, 온도 검지 수단 (1) 이, 제 1 실시형태의 온도 센서 (10) 를 구비하고 있다.
위치 검출 수단 (2) 은, 스로틀 밸브 (220) 의 개도를 조정하는 회전축에 연동하여 이동하는 피검지물의 위치를 검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검지물의 위치에 따라 이동하는 가동 접점이 저항체를 슬라이딩하여 저항값이 변화하는 가변 저항기나, 피검지물의 위치에 따라 이동하는 자석의 자력을 검지하는 자기 센서가 사용된다. 스로틀 밸브 (220) 의 회전축에 연동하여 회전 각도를 검지하는 방식이나 기계적으로 직선 이동으로 변환하여 위치 검출하는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압력 검지 수단 (3) 은, 압력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출력값이 엔진 제어부 (200) 에 전달되고, 인젝터 (210) 의 연료 분출량을 최적화한다.
위치 검출 장치 (100) 는, 제 1 실시형태의 케이스 (20) 를, 위치 검출 수단 (2) 및 압력 검지 수단 (3) 의 공용의 케이스로서, 온도 검지 수단 (1), 위치 검출 수단 (2) 및 압력 검지 수단 (3) 이 일체로 삽입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로써, 소형의 장치로, 또한 위치 검출 수단 (2) 의 피검지물의 주위 온도를 근접하여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써, 피검지물의 위치에 대응한 인젝터 (210) 의 연료 분출량의 제어를 보다 적절하게 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엔진으로부터의 배기 가스를 보다 깨끗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형태로 한 것에 의한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위치 검출 장치 (100) 는, 피검지물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 (2) 과, 피검지물의 주위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 검지 수단 (1) 을 갖고, 온도 검지 수단 (1) 이 상기 온도 센서 (10)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위치 검출 수단 (2) 의 피검지물의 주위 온도를 검지함으로써, 피검지물의 위치에 대응한 제어를 보다 적절하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온도 센서 (10) 및 제 2 실시형태의 위치 검출 장치 (100) 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것들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1)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온도 센서 소자 (11) 는 서미스터가 사용되고 있다고 하였지만, 열전쌍을 사용해도 된다.
(2)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케이스 (20) 의 관상부 (22) 는, 합성 수지재로 일체 형성된 것으로 하였지만, 선단 (22a) 부분을 보다 열전도성이 양호한 재료로 하는 복합 재료로 형성해도 된다. 이렇게 하면, 보다 열응답성이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3)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단열부 (30) 는 단열재 (31) 와 온도 센서 소자 (11) 사이에 유지된 기체 (32) 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단열재 (31) 의 성능이 충분하면, 단열재 (31) 와 온도 센서 소자 (11) 가 접하도록 배치해도 된다.
1 : 온도 검지 수단
2 : 위치 검출 수단
3 : 압력 검지 수단
10 : 온도 센서
11 : 온도 센서 소자
14 : 선재
16 : 홀더
17 : 기판
20 : 케이스
21 : 본체부
22 : 관상부
22a : 선단
22b : 공극부
22c : 유지부
23 : 덮개부
25 : 유지재
30 : 단열부
31 : 단열재
32 : 기체
100 : 위치 검출 장치
200 : 엔진 제어부
210 : 인젝터
220 : 스로틀 밸브

Claims (5)

  1.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고 선단측이 폐쇄된 관상으로 형성된 관상부를 갖는 케이스와, 상기 관상부의 내부의 선단에 배치되는 온도 센서 소자와, 상기 온도 센서 소자에 접속된 선재를 구비한 온도 센서에 있어서,
    상기 관상부의 내부의 상기 온도 센서 소자보다 상기 본체부측에는 상기 선재를 지지하는 유지재가 충전된 유지부를 갖고,
    상기 온도 센서 소자와 상기 유지부 사이에는 상기 유지재보다 열이 전달되기 어려운 단열재를 포함하는 단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센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부는 상기 온도 센서 소자에 근접하여 상기 단열재가 상기 선재에 고정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센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발포 폴리스티렌 또는 페놀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센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부는 상기 단열재와 상기 온도 센서 소자 사이에 유지된 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센서.
  5. 피검지물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과, 상기 피검지물의 주위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 검지 수단을 갖는 위치 검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온도 검지 수단이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온도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 장치.
KR1020187013020A 2015-11-12 2016-10-04 온도 센서 및 위치 검출 장치 KR1021221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22110 2015-11-12
JP2015222110 2015-11-12
PCT/JP2016/079550 WO2017081958A1 (ja) 2015-11-12 2016-10-04 温度センサおよび位置検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6173A true KR20180066173A (ko) 2018-06-18
KR102122140B1 KR102122140B1 (ko) 2020-06-11

Family

ID=58695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3020A KR102122140B1 (ko) 2015-11-12 2016-10-04 온도 센서 및 위치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80224336A1 (ko)
EP (1) EP3376190B1 (ko)
JP (1) JP6702624B2 (ko)
KR (1) KR102122140B1 (ko)
CN (1) CN108351259B (ko)
WO (1) WO2017081958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105178U (ko) * 1972-12-07 1974-09-09
JPS63168833U (ko) * 1987-04-23 1988-11-02
US20050265426A1 (en) * 2003-03-28 2005-12-01 Go Hanzawa Temperature sensor
JP2010151805A (ja) * 2008-11-20 2010-07-08 Tdk Corp 温度センサ
JP2012042451A (ja) 2010-07-20 2012-03-01 Ngk Spark Plug Co Ltd 温度センサ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8673A (ja) * 1998-09-17 2000-03-31 Denso Corp 温度センサ
US6390670B1 (en) * 1999-08-06 2002-05-21 Pgi International Ltd. Temperature sensing device for metering fluids
JP2002267547A (ja) * 2001-03-14 2002-09-18 Denso Corp 温度センサ
JP4422988B2 (ja) * 2003-08-08 2010-03-03 キヤノン株式会社 位置検出装置、光学装置、撮像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EP1714122B1 (de) * 2004-02-09 2013-11-13 Temperaturmesstechnik Geraberg GmbH Hochtemperatursensor
JP4620400B2 (ja) * 2004-07-16 2011-01-26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温度センサ、温度センサの製造方法
JP4832044B2 (ja) * 2005-09-28 2011-12-07 株式会社山武 温度検出体
JP2008020395A (ja) * 2006-07-14 2008-01-31 Toyo Denso Co Ltd エンジン用多機能検出装置
CN101398332B (zh) * 2007-09-24 2010-09-01 北京亚都新风节能技术有限公司 用于监控外界温度的温度传感器
CN204214555U (zh) * 2014-09-30 2015-03-18 天津鑫德信科技有限公司 一种温度传感器
JP2016130633A (ja) * 2015-01-13 2016-07-21 アズビル株式会社 温度センサ
CN204931646U (zh) * 2015-05-19 2016-01-06 深圳市睿臻信息技术服务有限公司 适用于穿戴设备的包裹式温度传感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105178U (ko) * 1972-12-07 1974-09-09
JPS63168833U (ko) * 1987-04-23 1988-11-02
US20050265426A1 (en) * 2003-03-28 2005-12-01 Go Hanzawa Temperature sensor
JP2010151805A (ja) * 2008-11-20 2010-07-08 Tdk Corp 温度センサ
JP2012042451A (ja) 2010-07-20 2012-03-01 Ngk Spark Plug Co Ltd 温度セ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76190A1 (en) 2018-09-19
EP3376190A4 (en) 2019-08-14
CN108351259A (zh) 2018-07-31
WO2017081958A1 (ja) 2017-05-18
US20180224336A1 (en) 2018-08-09
JP6702624B2 (ja) 2020-06-03
CN108351259B (zh) 2021-06-01
JPWO2017081958A1 (ja) 2018-07-19
KR102122140B1 (ko) 2020-06-11
EP3376190B1 (en) 2021-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68326B (zh) 温度计
US10309839B2 (en) Temperature sensor
US7458718B2 (en) Temperature sensor that achieves a fast response in an exhaust gas environment
US11415466B2 (en)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temperature
JP5834167B1 (ja) 温度センサ
JP2007127638A5 (ko)
JP7271448B2 (ja) インジェクタ
JP5959111B2 (ja) 熱流センサ
US8684598B2 (en) Thermoelement
KR200439208Y1 (ko) 스프링로드 타입 진공용 시즈 열전대 기기
KR20180066173A (ko) 온도 센서 및 위치 검출 장치
KR101828549B1 (ko) 빙결개선을 위한 접촉연소식 수소센서
JP2013190197A5 (ko)
KR102376169B1 (ko) 신속 응답 센서 하우징
JP2007234950A (ja) 温度センサ付きヒートシンク
JP2015064223A (ja) 環境試験装置
JP6350400B2 (ja) 温度センサ
JP2014009974A (ja) 流量測定装置
JP2004198360A (ja) ガスセンサ
CN115479693A (zh) 具有绝缘壳体的温度传感器装置
CN102331305A (zh) 温度传感器
KR102565161B1 (ko) 습도 산출용 측정 센서
CN107870051B (zh) 一种热感式压力传感器
US20140016672A1 (en) High-temperature sensor with a sensor element and a device for holding and positioning the sensor element, especially for automotive uses
US11156493B2 (en) Filling level indic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