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6155A - 열쇠 부착 워터 서버 - Google Patents

열쇠 부착 워터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6155A
KR20180066155A KR1020187012869A KR20187012869A KR20180066155A KR 20180066155 A KR20180066155 A KR 20180066155A KR 1020187012869 A KR1020187012869 A KR 1020187012869A KR 20187012869 A KR20187012869 A KR 20187012869A KR 20180066155 A KR20180066155 A KR 20180066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hot water
water supply
opening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2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7663B1 (ko
Inventor
신고 아라카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모 라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모 라이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모 라이프
Publication of KR20180066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6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7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7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4Reducing valves or control taps
    • B67D1/1405Control taps
    • B67D1/145Control taps comprising a valve shutter mov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valve seat
    • B67D1/1455Control taps comprising a valve shutter mov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valve seat the valve shutter being open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liqui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2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2Liquid-dispensing valves having operating members arranged to be pressed upwards, e.g. by the rims of receptacles held below the delivery orif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 B67D3/043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with a closing element having a linear movemen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0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cool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Preventing Unauthorised Actuation Of Valve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유아의 화상 사고를 매우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워터 서버를 제공한다.
하우징(1)과, 하우징(1)의 내부에 배치되는 온수 탱크(6)와, 온수 탱크(6) 내의 고온의 음료수를 하우징(1)의 외부로 주출하는 온수 주출로(7)와, 온수 주출로(7)를 개폐하는 온수 주출 밸브(8)와, 온수 주출 밸브(8)를 개방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온수 주출 조작부(9)와, 하우징(1)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열쇠 부재(32)와, 열쇠 부재(32)가 있을 때만 온수 주출 조작부(9)의 조작으로 온수 주출 밸브(8)가 개방되도록 하고, 열쇠 부재(32)가 없는 상태에서는 온수 주출 조작부(9)를 조작하더라도 온수 주출 밸브(8)가 개방되지 않도록 하는 차일드 프루프 수단(41)을 갖는 것인, 열쇠 부착 워터 서버이다.

Description

열쇠 부착 워터 서버
본 발명은, 유아의 화상 사고를 매우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열쇠 부착 워터 서버에 관한 것이다.
종래, 주로 사무실이나 병원 등에서 워터 서버가 이용되어 왔지만, 최근, 물의 안전이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으로써, 일반 가정에도 워터 서버가 보급되고 있다. 워터 서버는, 통상, 하우징과, 그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냉수 탱크와, 그 냉수 탱크 내의 저온의 음료수를 하우징의 외부로 주출(注出)하는 냉수 주출로와, 그 냉수 주출로를 개폐하는 냉수 주출 밸브와, 그 냉수 주출 밸브를 개방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냉수 주출 조작부를 갖고, 이 냉수 주출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냉수를 이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워터 서버는,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온수 탱크와, 그 온수 탱크 내의 고온의 음료수를 하우징의 외부로 주출하는 온수 주출로와, 그 온수 주출로를 개폐하는 온수 주출 밸브와, 그 온수 주출 밸브를 개방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온수 주출 조작부를 더 구비하고, 이 온수 주출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온수를 이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많다.
그런데, 온수를 이용할 수 있는 타입의 워터 서버에 있어서는, 유아가 부주의하게 워터 서버를 조작하여 온수를 주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일드 로크 기능이 형성된다. 차일드 로크 기능은, 워터 서버로부터 온수를 주출하기 위한 조작을, 2가지 이상의 조작의 조합으로 함으로써, 유아가 조작하더라도 간단히는 온수가 주출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예컨대 하기 특허문헌 1).
그러나, 차일드 로크 기능을 형성한 경우라도, 유아가 여러가지로 조작하는 중에, 온수를 주출하는 조작이 이따금 우연히 성립하여 버리거나, 어른이 온수를 주출할 때에 행하는 조작을 유아가 보고 따라하거나 할 가능성이 있었기 때문에, 유아가 온수를 주출하여 화상을 입을 위험성을 완전히는 없앨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온수를 주출하기 위한 조작을 복잡화하면 할수록, 차일드 로크 기능을 강화할 수 있고, 유아의 화상 사고를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지지만, 그 반면, 사용자인 어른이 온수를 주출할 때의 조작이 번잡한 것이 되고, 워터 서버의 편리성이 희생되어 버린다. 그 때문에, 차일드 로크 기능을 강화하는 데에도 한계가 있고, 차일드 로크 기능만으로는, 유아가 온수를 주출할 위험성을 완전히 없애기 어려웠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4-166862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유아의 화상 사고를 매우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워터 서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이하의 구성의 워터 서버를 제공한다.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온수 탱크와,
상기 온수 탱크 내의 고온의 음료수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주출하는 온수 주출로와,
상기 온수 주출로를 개폐하는 온수 주출 밸브와,
상기 온수 주출 밸브를 개방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온수 주출 조작부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열쇠 부재와,
상기 열쇠 부재가 있을 때만 상기 온수 주출 조작부의 조작으로 상기 온수 주출 밸브가 개방되도록 하고, 상기 열쇠 부재가 없는 상태에서는 상기 온수 주출 조작부를 조작하더라도 상기 온수 주출 밸브가 개방되지 않도록 하는 차일드 프루프 수단을 갖는 것인, 열쇠 부착 워터 서버.
이와 같이 하면, 열쇠 부재가 하우징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열쇠 부재를 유아의 손이 닿지 않는 장소에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열쇠 부재가 없으면, 온수 주출 조작부를 조작하더라도 온수 주출 밸브가 개방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즉, 유아가 워터 서버를 여러가지로 조작했다고 해도, 열쇠 부재가 없는 한, 온수는 주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열쇠 부재를 유아의 손이 닿지 않는 장소에 보관함으로써, 유아의 화상 사고를 매우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온수 주출 밸브로서,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밸브 폐쇄 위치로부터 밸브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밸브체를 갖는 수동 개폐 밸브를 채용하는 경우, 이하의 구성을 부가할 수 있다.
상기 온수 주출 조작부는,
상기 온수 주출 밸브의 밸브체가 밸브 폐쇄 위치로부터 밸브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밸브 개방 저지 위치와 상기 온수 주출 밸브의 밸브체가 밸브 폐쇄 위치로부터 밸브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밸브 개방 허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밸브 개방 저지 부재를, 상기 밸브 개방 저지 위치로부터 상기 밸브 개방 허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와,
상기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를 조작한 상태에서, 상기 온수 주출 밸브의 밸브체를 밸브 폐쇄 위치로부터 밸브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온수 주출 조작 레버를 갖고,
상기 차일드 프루프 수단은,
상기 열쇠 부재를 삽입하고 빼내는 삽입구와,
상기 밸브 개방 저지 부재를 상기 밸브 개방 저지 위치로부터 상기 밸브 개방 허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상기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를 조작하는 조작력을, 상기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로부터 상기 밸브 개방 저지 부재에 전달하는 조작력 전달 경로를 갖고,
상기 조작력 전달 경로는, 상기 열쇠 부재가 상기 삽입구로부터 빼내어진 상태에서는, 상기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로부터 상기 밸브 개방 저지 부재로의 조작력의 전달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하면, 열쇠 부재가 없을 때는,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로부터 밸브 개방 저지 부재로의 조작력의 전달이 차단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를 조작하더라도, 밸브 개방 저지 부재가 밸브 개방 저지 위치로부터 상기 밸브 개방 허용 위치로 이동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열쇠 부재를 유아의 손이 닿지 않는 장소에 보관함으로써, 유아의 조작에 의한 차일드 로크 해제가 방지되고, 유아에 의한 온수의 주출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열쇠 부재가 있을 때도, 차일드 로크 기능에 의해, 유아에 의한 온수의 주출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온수 주출 밸브로서,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밸브 폐쇄 위치로부터 밸브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밸브체를 갖는 수동 개폐 밸브를 채용하는 경우, 이하의 구성을 부가할 수도 있다.
상기 온수 주출 조작부는,
상기 온수 주출 밸브의 밸브체를 밸브 폐쇄 위치로부터 밸브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온수 주출 조작 레버를 갖고,
상기 차일드 프루프 수단은,
상기 열쇠 부재를 삽입하고 빼내는 삽입구와,
상기 온수 주출 밸브의 밸브체를 밸브 폐쇄 위치로부터 밸브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상기 온수 주출 조작 레버를 조작하는 조작력을, 상기 온수 주출 조작 레버로부터 상기 온수 주출 밸브의 밸브체에 전달하는 조작력 전달 경로를 갖고,
상기 조작력 전달 경로는, 상기 열쇠 부재가 상기 삽입구로부터 빼내어진 상태에서는, 상기 온수 주출 조작 레버로부터 상기 온수 주출 밸브의 밸브체로의 조작력의 전달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하면, 열쇠 부재가 없을 때는, 온수 주출 조작 레버로부터 온수 주출 밸브의 밸브체로의 조작력의 전달이 차단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온수 주출 조작 레버를 조작하더라도, 온수 주출 밸브의 밸브체가 밸브 폐쇄 위치로부터 밸브 개방 위치로 이동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열쇠 부재를 유아의 손이 닿지 않는 장소에 보관함으로써, 유아에 의한 온수의 주출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온수 주출 밸브로서, 통전에 의해 개방되는 전자 개폐 밸브를 채용하는 경우, 이하의 구성을 부가할 수 있다.
상기 온수 주출 조작부는,
상기 온수 주출 밸브를 개방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온수 주출 조작 스위치를 갖고,
상기 차일드 프루프 수단은,
상기 열쇠 부재의 유무를 검지하는 열쇠 센서와,
상기 열쇠 센서 및 상기 온수 주출 조작 스위치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온수 주출 밸브를 제어하는 전자 제어 장치를 갖고,
상기 전자 제어 장치는, 상기 열쇠 센서가 상기 열쇠 부재를 검지하지 않을 때는, 상기 온수 주출 조작 스위치가 조작되더라도 상기 온수 주출 밸브를 비통전으로 하고, 상기 열쇠 센서가 상기 열쇠 부재를 검지했을 때는, 상기 온수 주출 조작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온수 주출 밸브에 대한 통전을 행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하면, 열쇠 부재가 없을 때는, 온수 주출 조작 스위치를 조작하더라도, 온수 주출 밸브에 대한 통전이 행해지지 않는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열쇠 부재를 유아의 손이 닿지 않는 장소에 보관함으로써, 유아에 의한 온수의 주출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열쇠 부착 워터 서버는, 열쇠 부재가 하우징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열쇠 부재를 유아의 손이 닿지 않는 장소에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열쇠 부재가 없으면, 온수 주출 조작부를 조작하더라도 온수 주출 밸브가 개방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즉, 유아가 워터 서버를 여러가지로 조작했다고 해도, 열쇠 부재가 없는 한, 온수는 주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열쇠 부재를 유아의 손이 닿지 않는 장소에 보관함으로써, 유아의 화상 사고를 매우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열쇠 부착 워터 서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워터 서버의 냉수 주출 조작부 및 온수 주출 조작부를 워터 서버의 전면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열쇠 부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워터 서버의 온수 주출 조작부의 근방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온수 주출 조작부에 열쇠 부재가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온수 주출 조작부를 조작하여 온수 주출 밸브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열쇠 부재가 없을 때에, 도 4에 나타내는 온수 주출 조작부를 조작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열쇠 부착 워터 서버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워터 서버의 온수 주출 조작부의 근방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내는 온수 주출 조작부에 열쇠 부재가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온수 주출 조작부를 조작하여 온수 주출 밸브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는, 열쇠 부재가 없을 때에, 도 9에 나타내는 온수 주출 조작부를 조작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열쇠 부착 워터 서버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열쇠 부착 워터 서버를 나타낸다. 이 워터 서버는, 바닥면(F)에 놓이는 하우징(1)과, 하우징(1)의 내부에 수용되는 냉수 탱크(2)와, 냉수 탱크(2) 내의 저온의 음료수를 하우징(1)의 외부로 주출하는 냉수 주출로(3)와, 냉수 주출로(3)를 개폐하는 냉수 주출 밸브(4)와, 냉수 주출 밸브(4)를 개방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냉수 주출 조작부(5)(도 2 참조)와, 하우징(1)의 내부에 수용되는 온수 탱크(6)와, 온수 탱크(6) 내의 고온의 음료수를 하우징(1)의 외부로 주출하는 온수 주출로(7)와, 온수 주출로(7)를 개폐하는 온수 주출 밸브(8)와, 온수 주출 밸브(8)를 개방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온수 주출 조작부(9)를 갖는다.
하우징(1)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부(10)와, 통부(10)의 상단을 막도록 설치된 천정판(11)과, 통부(10)의 하단을 막도록 설치된 바닥판(12)을 갖는다. 통부(10)는, 좌우 한 쌍의 측면판(13)과, 측면판(13)의 앞 가장자리끼리를 연결하는 전면판(14)과, 측면판(13)의 뒤 가장자리끼리를 연결하는 후면판(15)으로 구성된다.
하우징(1)의 천정판(11)에는, 교환식의 원수 용기(16)가 착탈 가능하게 세트된다. 원수 용기(16)는, 물 출구(17)를 하향으로 한 자세로 천정판(11)에 놓인다. 원수 용기(16)의 용량은, 만수 상태에서 10∼20 리터 정도이다. 이 원수 용기(16)는, 내부의 잔수량의 감소에 따라 수축하도록 유연성을 갖게 하여 형성된다. 천정판(11)에는, 원수 용기(16)로부터 냉수 탱크(2)로 음료수를 도입하는 원수 도입관(18)이 설치된다.
원수 도입관(18)의 일단은 원수 용기(16)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고, 원수 도입관(18)의 타단은 냉수 탱크(2)에 고정하여 접속된다. 원수 도입관(18)의 냉수 탱크(2) 측의 단부에는, 냉수 탱크(2) 내의 수위에 따라 개폐하는 플로트 밸브(19)가 설치된다. 원수 용기(16)로서, 내부의 잔수량이 감소하더라도 변형되지 않도록 강성을 갖게 하여 형성한 타입의 것을 채용하는 경우, 플로트 밸브(19)는 불필요하다. 이 경우는, 냉수 탱크(2) 내의 수위가 원수 도입관(18)의 냉수 탱크(2) 측의 단부와 동일한 높이가 된다. 하우징(1)의 상부에는, 원수 용기(16)를 덮는 화장 커버(20)가 부착된다.
냉수 탱크(2)는, 공기와 음료수를 상하 2층으로 수용한다. 냉수 탱크(2)에는, 냉수 탱크(2) 내에 수용되는 음료수를 냉각하는 냉각 장치(21)가 부착된다. 또한, 냉수 탱크(2) 내에는, 냉수 탱크(2)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배플판(22)이 설치된다. 냉각 장치(21)는, 냉수 탱크(2) 내의 배플판(22)보다 하방의 음료수를 저온(5℃ 정도)으로 유지한다. 냉수 탱크(2)의 음료수의 용량은, 원수 용기(16)의 용량보다 작고, 2∼4 리터 정도이다.
냉수 주출로(3)는, 냉수 탱크(2)와, 하우징(1)의 전면측으로 개구되는 냉수 출구(23)(도 2 참조)와의 사이를 연통한다. 냉수 주출로(3)의 냉수 출구(23) 측의 단부에는, 냉수 주출 밸브(4)가 설치된다. 냉수 주출 밸브(4)를 개방하면, 냉수 탱크(2) 내의 저온의 음료수가 냉수 주출로(3)를 지나, 냉수 출구(23)로부터 주출된다.
온수 탱크(6)는, 냉수 탱크(2)의 하방에 배치된다. 온수 탱크(6)에는, 온수 탱크(6) 내에 수용되는 음료수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24)가 부착된다. 가열 장치(24)는, 온수 탱크(6) 내의 음료수를 고온(90℃ 정도)으로 유지한다. 온수 탱크(6)의 용량은 1∼2 리터 정도이다.
온수 주출로(7)는, 온수 탱크(6)와, 하우징(1)의 전면측으로 개구되는 온수 출구(25)와의 사이를 연통한다. 온수 주출로(7)의 온수 출구(25) 측의 단부에는, 온수 주출 밸브(8)가 설치된다. 온수 주출 밸브(8)를 개방하면, 온수 탱크(6) 내의 고온의 음료수가 온수 주출로(7)를 지나, 온수 출구(25)로부터 주출된다.
냉수 탱크(2)와 온수 탱크(6)는 탱크 접속관(26)을 통해 연통한다. 온수 탱크(6)로부터 음료수를 주출하면, 그 음료수와 동량의 음료수가, 탱크 접속관(26)을 지나 냉수 탱크(2)로부터 온수 탱크(6)에 유입되어, 온수 탱크(6)가 항상 만수 상태로 유지되도록 이루어진다.
이 워터 서버는, 유아가 부주의하게 워터 서버를 조작하여 온수를 주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일드 로크 기능이 형성된다. 차일드 로크 기능은, 온수 주출 밸브(8)를 개방하기 위한 조작을, 2가지 이상의 조작의 조합(이 실시형태에서는, 후술하는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30)의 조작과, 온수 주출 조작 레버(31)의 조작의 조합)으로 함으로써, 유아가 조작하더라도 간단히는 온수 주출 밸브(8)가 개방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또한, 이 워터 서버는, 혹시 유아가 워터 서버를 여러가지로 조작했다고 해도, 온수의 주출이 확실하게 방지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차일드 로크 기능에 더하여, 운반 가능한 열쇠 부재를 이용한 차일드 프루프 기능이 형성된다. 이 차일드 프루프 기능은, 도 3에 나타내는 열쇠 부재(32)가 있을 때만, 온수 주출 조작부(9)(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30)와 온수 주출 조작 레버(31))의 조작에 따라 온수 주출 밸브(8)가 개방되도록 하고, 열쇠 부재(32)가 없는 상태에서는, 온수 주출 조작부(9)를 조작하더라도 온수 주출 밸브(8)가 개방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이다. 이하 구체예를 설명한다.
도 4∼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온수 주출 밸브(8)는, 온수 주출로(7)를 폐쇄하는 밸브 폐쇄 위치(도 4 참조)와, 온수 주출로(7)를 개방하는 밸브 개방 위치(도 6 참조)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밸브체(33)와, 밸브체(33)를 밸브 개방 위치로부터 밸브 폐쇄 위치로 압박하는 밸브 스프링(34)과, 밸브체(33)와 일체로 이동하도록 밸브체(33)에 고정되는 밸브 봉(35)과, 온수를 주출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온수 주출 조작 레버(31)를 갖는다. 온수 주출 조작 레버(31)는, 연결 핀(36)을 통해 밸브 봉(35)에 연결되고, 이 온수 주출 조작 레버(31)를 조작함으로써 밸브체(33)를 밸브 폐쇄 위치로부터 밸브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온수 주출 밸브(8)는,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밸브 폐쇄 위치로부터 밸브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밸브체(33)를 갖는 수동 개폐 밸브로 이루어진다.
또한, 온수 주출 밸브(8)는, 밸브체(33)가 밸브 폐쇄 위치로부터 밸브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밸브 개방 저지 위치(도 4 참조)와 온수 주출 밸브(8)의 밸브체(33)가 밸브 폐쇄 위치로부터 밸브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밸브 개방 허용 위치(도 6 참조)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밸브 개방 저지 부재(37)와, 밸브 개방 저지 부재(37)를 밸브 개방 허용 위치로부터 밸브 개방 저지 위치로 압박하는 로크 스프링(38)과, 밸브 개방 저지 부재(37)를 밸브 개방 저지 위치로부터 밸브 개방 허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30)를 갖는다.
밸브 봉(35)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밸브체(33)가 밸브 폐쇄 위치로부터 밸브 개방 위치로 이동할 때, 밸브 봉(35)은 상방으로 이동하고, 밸브체(33)가 밸브 개방 위치로부터 밸브 폐쇄 위치로 이동할 때, 밸브 봉(35)은 하방으로 이동한다. 밸브 봉(35)의 외주에는, 하측이 대직경이 되는 단차부(39)가 형성된다. 밸브 개방 저지 부재(37)에는, 밸브 봉(35)을 삽입 관통시키는 상하 방향의 관통공(40)이 형성된다. 밸브 개방 저지 부재(37)가 밸브 개방 저지 위치(도 4 참조)에 있을 때, 밸브 개방 저지 부재(37)의 관통공(40)의 가장자리가, 밸브 봉(35)의 외주의 단차부(39)에 맞물려 밸브 봉(35)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저지하고, 밸브 개방 저지 부재(37)가 밸브 개방 허용 위치(도 6 참조)에 있을 때, 밸브 개방 저지 부재(37)의 관통공(40)은, 밸브 봉(35)의 외주의 단차부(39)를 통과시켜 밸브 봉(35)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이 워터 서버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1)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열쇠 부재(32)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쇠 부재(32)가 있을 때만 온수 주출 조작부(9)의 조작으로 온수 주출 밸브(8)가 개방되도록 하고,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쇠 부재(32)가 없는 상태에서는 온수 주출 조작부(9)를 조작하더라도 온수 주출 밸브(8)가 개방되지 않도록 하는 차일드 프루프 수단(41)을 갖는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일드 프루프 수단(41)은, 열쇠 부재(32)를 삽입하고 빼내는 삽입구(42)와, 사용자가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30)를 조작하는 조작력을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30)로부터 밸브 개방 저지 부재(37)에 전달하는 조작력 전달 경로(43)를 갖는다. 삽입구(42)는, 하우징(1)의 전면판(14)에 형성된다. 하우징(1)의 외측으로부터 삽입구(42)에 열쇠 부재(32)를 삽입하면, 열쇠 부재(32)의 선단이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부에 의해 안내되어,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30)와 밸브 개방 저지 부재(37) 사이에 도입되도록 이루어진다.
조작력 전달 경로(43)는,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30)와, 삽입구(42)에 삽입된 열쇠 부재(32)와, 밸브 개방 저지 부재(37)로 구성된다.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30)는, 압입 위치(도 7 참조)와 복귀 위치(도 4 참조) 사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는 누름 버튼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30)의 내부에는,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30)를 압입 위치로부터 복귀 위치로 압박하는 리턴 스프링(44)이 도입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쇠 부재(32)가 없는 상태에서는,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30)와 밸브 개방 저지 부재(37) 사이에 스페이스(45)를 갖는다. 스페이스(45)는,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30)의 이동 가능 스트로크로부터, 밸브 개방 저지 부재(37)가 밸브 개방 저지 위치로부터 밸브 개방 허용 위치로 이동할 때의 이동 스트로크를 뺀 크기보다 크게 설정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쇠 부재(32)는,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30)와 밸브 개방 저지 부재(37) 사이의 스페이스(45)에 대응하는 두께를 갖는 판상의 부재이다. 열쇠 부재(32)는, 도면에서는 스틱형의 판상 부재를 나타냈지만, 카드형의 판상 부재여도 좋다.
도 5,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쇠 부재(32)를 삽입구(42)에 삽입한 상태에서는,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30)를 눌러 움직이는 조작력이,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30)로부터 열쇠 부재(32)를 통해 밸브 개방 저지 부재(37)에 전달되고, 한편,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쇠 부재(32)를 삽입구(42)로부터 빼낸 상태에서는,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30)를 눌러 움직이더라도,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30)와 밸브 개방 저지 부재(37) 사이의 스페이스(45)에서, 조작력의 전달이 차단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쇠 부재(32)를 삽입구(42)에 삽입하여,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30)와 밸브 개방 저지 부재(37) 사이의 스페이스(45)에 열쇠 부재(32)를 삽입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30)를 눌러 움직이면, 그 조작력이,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30)와 열쇠 부재(32)와 밸브 개방 저지 부재(37)에 순서대로 전달되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 개방 저지 부재(37)가 밸브 개방 저지 위치로부터 밸브 개방 허용 위치로 이동한다. 즉, 열쇠 부재(32)를 삽입구(42)에 삽입한 상태에서는,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30)를 조작함으로써, 밸브 개방 저지 부재(37)를 밸브 개방 저지 위치로부터 밸브 개방 허용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고, 추가로 온수 주출 조작 레버(31)를 조작함으로써, 온수 주출 밸브(8)가 개방된다.
한편,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쇠 부재(32)를 삽입구(42)로부터 빼내면,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30)와 밸브 개방 저지 부재(37) 사이에 스페이스(45)가 형성되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30)를 눌러 움직이더라도, 그 조작력은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30)로부터 밸브 개방 저지 부재(37)에 전달되지 않고,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 개방 저지 부재(37)는 밸브 개방 저지 위치로부터 이동하지 않는다. 즉, 열쇠 부재(32)를 삽입구(42)로부터 빼낸 상태에서는,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30)를 조작하더라도 밸브 개방 저지 부재(37)가 이동하지 않고, 이 상태에서 온수 주출 조작 레버(31)를 조작하더라도, 온수 주출 밸브(8)는 개방되지 않는다.
이 제1 실시형태의 열쇠 부착 워터 서버는, 열쇠 부재(32)가 없을 때는,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30)로부터 밸브 개방 저지 부재(37)로의 조작력의 전달이 차단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30)를 조작하더라도, 밸브 개방 저지 부재(37)가 밸브 개방 저지 위치로부터 이동하지 않는다. 즉, 유아가 워터 서버를 여러가지로 조작했다고 해도, 열쇠 부재(32)가 없는 한 차일드 로크가 해제되지 않고, 온수는 주출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열쇠 부재(32)를 유아의 손이 닿지 않는 장소에 보관함으로써, 유아에 의한 온수의 주출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유아의 화상 사고를 매우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열쇠 부재(32)가 있을 때도, 차일드 로크 기능에 의해, 유아에 의한 온수의 주출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에,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열쇠 부착 워터 서버를 나타낸다. 제1 실시형태의 열쇠 부착 워터 서버는, 차일드 프루프 수단(41)이 미리 도입된 것인 데 대하여, 제2 실시형태의 열쇠 부착 워터 서버는, 기존에 설치된 워터 서버에 차일드 프루프 수단(41)을 후부착한 것인 점에서 상이하다. 이하, 제1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하우징(1)에는, 기존에 설치된 워터 서버에 차일드 프루프 수단(41)을 추가하기 위해, 차일드 로크 버튼(50)이 설치되는 전면판(14)의 외측에 대향하는 커버 패널(51)이 부착된다. 커버 패널(51)은, 유아에게는 떼어낼 수 없는 양태로 하우징(1)에 고정된다.
도 9∼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패널(51)에는, 열쇠 부재(32)를 삽입하고 빼내는 삽입구(42)와, 차일드 로크 버튼(50)을 통해 밸브 개방 저지 부재(37)를 조작하기 위한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30)가 설치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일드 프루프 수단(41)은, 삽입구(42)와, 사용자가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30)를 조작하는 조작력을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30)로부터 밸브 개방 저지 부재(37)에 전달하는 조작력 전달 경로(43)를 갖는다. 삽입구(42)는, 커버 패널(51)에 형성된다. 커버 패널(51)의 외측으로부터 삽입구(42)에 열쇠 부재(32)를 삽입하면, 열쇠 부재(32)의 선단이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부에 의해 안내되어,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30)와 차일드 로크 버튼(50) 사이에 도입되도록 이루어진다.
조작력 전달 경로(43)는,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30)와, 삽입구(42)에 삽입되는 열쇠 부재(32)와, 차일드 로크 버튼(50)과, 밸브 개방 저지 부재(37)로 구성된다.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30)는, 압입 위치(도 12 참조)와 복귀 위치(도 9 참조) 사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는 누름 버튼이다.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30)의 내부에는,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30)를 압입 위치로부터 복귀 위치로 압박하는 리턴 스프링(44)(도 9 참조)이 도입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쇠 부재(32)가 없는 상태에서는,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30)와 차일드 로크 버튼(50) 사이에 스페이스(45)를 갖는다. 스페이스(45)는,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30)의 이동 가능 스트로크로부터, 밸브 개방 저지 부재(37)가 밸브 개방 저지 위치로부터 밸브 개방 허용 위치로 이동할 때의 이동 스트로크를 뺀 크기보다 크게 설정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쇠 부재(32)는,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30)와 차일드 로크 버튼(50) 사이의 스페이스(45)에 대응하는 두께를 갖는 판상의 부재이다.
도 10,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쇠 부재(32)를 삽입구(42)에 삽입한 상태에서는,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30)를 눌러 움직이는 조작력이,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30)로부터 열쇠 부재(32)와 차일드 로크 버튼(50)을 통해 밸브 개방 저지 부재(37)에 전달되고, 한편,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쇠 부재(32)를 삽입구(42)로부터 빼낸 상태에서는,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30)를 눌러 움직이더라도,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30)와 차일드 로크 버튼(50) 사이의 스페이스(45)에서, 조작력의 전달이 차단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쇠 부재(32)를 삽입구(42)에 삽입하여,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30)와 차일드 로크 버튼(50) 사이의 스페이스(45)에 열쇠 부재(32)를 삽입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30)를 눌러 움직이면, 그 조작력이,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30)와 열쇠 부재(32)와 차일드 로크 버튼(50)과 밸브 개방 저지 부재(37)에 순서대로 전달되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 개방 저지 부재(37)가 밸브 개방 저지 위치로부터 밸브 개방 허용 위치로 이동한다. 즉, 열쇠 부재(32)를 삽입구(42)에 삽입한 상태에서는,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30)를 조작함으로써, 밸브 개방 저지 부재(37)를 밸브 개방 저지 위치로부터 밸브 개방 허용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고, 추가로 온수 주출 조작 레버(31)를 조작함으로써, 온수 주출 밸브(8)가 개방된다.
한편,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쇠 부재(32)를 삽입구(42)로부터 빼내면,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30)와 차일드 로크 버튼(50) 사이에 스페이스(45)가 형성되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30)를 눌러 움직이더라도, 그 조작력은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30)로부터 밸브 개방 저지 부재(37)에 전달되지 않고,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 개방 저지 부재(37)는 밸브 개방 저지 위치로부터 이동하지 않는다. 즉, 열쇠 부재(32)를 삽입구(42)로부터 빼낸 상태에서는,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30)를 조작하더라도 밸브 개방 저지 부재(37)가 이동하지 않고, 이 상태에서 온수 주출 조작 레버(31)를 조작하더라도, 온수 주출 밸브(8)는 개방되지 않는다.
이 제2 실시형태의 열쇠 부착 워터 서버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열쇠 부재(32)가 없을 때는,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30)로부터 밸브 개방 저지 부재(37)로의 조작력의 전달이 차단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30)를 조작하더라도, 밸브 개방 저지 부재(37)가 밸브 개방 저지 위치로부터 이동하지 않는다. 즉, 유아가 워터 서버를 여러가지로 조작했다고 해도, 열쇠 부재(32)가 없는 한 차일드 로크가 해제되지 않고, 온수는 주출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열쇠 부재(32)를 유아의 손이 닿지 않는 장소에 보관함으로써, 유아에 의한 온수의 주출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유아의 화상 사고를 매우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열쇠 부재(32)가 있을 때도, 차일드 로크 기능에 의해, 유아에 의한 온수의 주출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에서는, 열쇠 부재(32)를 삽입구(42)에 삽입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30)를 조작하는 조작력이,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30)로부터 밸브 개방 저지 부재(37)에 전달되고, 한편, 열쇠 부재(32)를 삽입구(42)로부터 빼낸 상태에서는,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30)로부터 밸브 개방 저지 부재(37)로의 조작력의 전달이 차단되도록 구성한 차일드 프루프 수단(41)을 채용한 예를 설명했지만,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30)를 온수 주출 조작 레버(31)로 치환한 차일드 프루프 수단(41)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열쇠 부재(32)를 삽입구(42)에 삽입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온수 주출 조작 레버(31)를 조작하는 조작력이, 온수 주출 조작 레버(31)로부터 밸브체(33)에 전달되고, 한편, 열쇠 부재(32)를 삽입구(42)로부터 빼낸 상태에서는, 온수 주출 조작 레버(31)로부터 밸브체(33)로의 조작력의 전달이 차단되도록 차일드 프루프 수단(41)을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열쇠 부재(32)가 없을 때는, 온수 주출 조작 레버(31)로부터 밸브체(33)로의 조작력의 전달이 차단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온수 주출 조작 레버(31)를 조작하더라도, 온수 주출 밸브(8)의 밸브체(33)가 밸브 폐쇄 위치로부터 밸브 개방 위치로 이동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열쇠 부재(32)를 유아의 손이 닿지 않는 장소에 보관함으로써, 유아에 의한 온수의 주출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3에,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열쇠 부착 워터 서버를 나타낸다.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밸브 폐쇄 위치로부터 밸브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밸브체(33)를 갖는 수동 개폐 밸브를 온수 주출 밸브(8)에 채용하는 데 대하여, 제3 실시형태에서는, 통전에 의해 개방되는 전자 개폐 밸브를 온수 주출 밸브(8)로 채용한다. 이하, 제1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온수 주출 밸브(8)는, 전자 코일(60)에 통전하면 개방되고, 전자 코일(60)에 대한 통전을 차단하면 폐쇄되는 전자 개폐 밸브이다. 이 온수 주출 밸브(8)를 개방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온수 주출 조작부(9)로서, 하우징(1)에는, 온수 주출 조작 스위치(61)가 설치된다.
또한, 이 워터 서버는, 하우징(1)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열쇠 부재(32)와, 열쇠 부재(32)가 있을 때만 온수 주출 조작 스위치(61)의 조작으로 온수 주출 밸브(8)가 개방되도록 하고, 열쇠 부재(32)가 없는 상태에서는 온수 주출 조작 스위치(61)를 조작하더라도 온수 주출 밸브(8)가 개방되지 않도록 하는 차일드 프루프 수단(41)을 갖는다.
차일드 프루프 수단(41)은, 열쇠 부재(32)의 유무를 검지하는 열쇠 센서(62)와, 열쇠 센서(62) 및 온수 주출 조작 스위치(61)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온수 주출 밸브(8)를 제어하는 전자 제어 장치(63)를 갖는다. 전자 제어 장치(63)는, 열쇠 센서(62), 온수 주출 조작 스위치(61), 온수 주출 밸브(8)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열쇠 부재(32)는, 예컨대, 비접촉 IC 칩을 매립한 카드 키이고, 이 경우, 열쇠 센서(62)는, IC 카드 리더이다.
전자 제어 장치(63)는, 열쇠 센서(62)가 열쇠 부재(32)를 검지하지 않을 때는, 온수 주출 조작 스위치(61)가 조작되더라도 온수 주출 밸브(8)를 비통전으로 하고, 한편, 열쇠 센서(62)가 열쇠 부재(32)를 검지했을 때는, 온수 주출 조작 스위치(61)의 조작에 따라 온수 주출 밸브(8)에 대한 통전을 행하도록 구성된다.
이 제3 실시형태의 열쇠 부착 워터 서버는, 열쇠 부재(32)가 없을 때는, 온수 주출 조작 스위치(61)를 조작하더라도, 온수 주출 밸브(8)에 대한 통전이 행해지지 않는 상태가 된다. 즉, 유아가 워터 서버를 여러가지로 조작했다고 해도, 열쇠 부재(32)가 없는 한, 온수는 주출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열쇠 부재(32)를 유아의 손이 닿지 않는 장소에 보관함으로써, 유아에 의한 온수의 주출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유아의 화상 사고를 매우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3 실시형태와 같이, 통전에 의해 개방되는 전자 개폐 밸브를 온수 주출 밸브(8)에 채용하는 경우에도, 제1 및 제2 실시형태와 같이, 열쇠 부재(32)를 삽입하고 빼내는 삽입구(42)를 형성하고, 그 삽입구(42)에 열쇠 부재(32)를 삽입한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조작력이 온수 주출 조작 스위치(61)에 전달되고, 한편, 열쇠 부재(32)를 삽입구(42)로부터 빼낸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조작력이 온수 주출 조작 스위치(61)에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차일드 프루프 수단(41)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각 실시형태의 차일드 프루프 수단(41)은 온수 측뿐만 아니라 냉수 측에도 설치해도 좋다. 즉, 열쇠 부재(32)가 있을 때만 냉수 주출 조작부(5)의 조작으로 냉수 주출 밸브(4)가 개방되도록 하고, 열쇠 부재(32)가 없는 상태에서는 냉수 주출 조작부(5)를 조작하더라도 냉수 주출 밸브(4)가 개방되지 않도록, 온수 측과 동일한 구조의 차일드 프루프 수단(41)을 냉수 측에 추가하여 설치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유아에 의한 냉수의 주출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유아의 장난에 의한 바닥 밑으로의 침수 사고를 매우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번에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내지고,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1: 하우징, 6: 온수 탱크, 7: 온수 주출로, 8: 온수 주출 밸브, 9: 온수 주출 조작부, 30: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 31: 온수 주출 조작 레버, 32: 열쇠 부재, 33: 밸브체, 37: 밸브 개방 저지 부재, 41: 차일드 프루프 수단, 42: 삽입구, 43: 조작력 전달 경로, 61: 온수 주출 조작 스위치, 62: 열쇠 센서, 63: 전자 제어 장치

Claims (4)

  1.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 배치되는 온수 탱크(6)와,
    상기 온수 탱크(6) 내의 고온의 음료수를 상기 하우징(1)의 외부로 주출(注出)하는 온수 주출로(7)와,
    상기 온수 주출로(7)를 개폐하는 온수 주출 밸브(8)와,
    상기 온수 주출 밸브(8)를 개방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온수 주출 조작부(9)와,
    상기 하우징(1)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열쇠 부재(32)와,
    상기 열쇠 부재(32)가 있을 때만 상기 온수 주출 조작부(9)의 조작으로 상기 온수 주출 밸브(8)가 개방되도록 하고, 상기 열쇠 부재(32)가 없는 상태에서는 상기 온수 주출 조작부(9)를 조작하더라도 상기 온수 주출 밸브(8)가 개방되지 않도록 하는 차일드 프루프 수단(41)을 갖는 것인, 열쇠 부착 워터 서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주출 밸브(8)는,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밸브 폐쇄 위치로부터 밸브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밸브체(33)를 갖는 수동 개폐 밸브이고,
    상기 온수 주출 조작부(9)는,
    상기 온수 주출 밸브(8)의 밸브체(33)가 밸브 폐쇄 위치로부터 밸브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밸브 개방 저지 위치와 상기 온수 주출 밸브(8)의 밸브체(33)가 밸브 폐쇄 위치로부터 밸브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밸브 개방 허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밸브 개방 저지 부재(37)를, 상기 밸브 개방 저지 위치로부터 상기 밸브 개방 허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30)와,
    상기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30)를 조작한 상태에서, 상기 온수 주출 밸브(8)의 밸브체(33)를 밸브 폐쇄 위치로부터 밸브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온수 주출 조작 레버(31)를 갖고,
    상기 차일드 프루프 수단(41)은,
    상기 열쇠 부재(32)를 삽입하고 빼내는 삽입구(42)와,
    상기 밸브 개방 저지 부재(37)를 상기 밸브 개방 저지 위치로부터 상기 밸브 개방 허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상기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30)를 조작하는 조작력을, 상기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30)로부터 상기 밸브 개방 저지 부재(37)에 전달하는 조작력 전달 경로(43)를 갖고,
    상기 조작력 전달 경로(43)는, 상기 열쇠 부재(32)가 상기 삽입구(42)로부터 빼내어진 상태에서는, 상기 차일드 로크 조작 부재(30)로부터 상기 밸브 개방 저지 부재(37)로의 조작력의 전달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열쇠 부착 워터 서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주출 밸브(8)는,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밸브 폐쇄 위치로부터 밸브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밸브체(33)를 갖는 수동 개폐 밸브이고,
    상기 온수 주출 조작부(9)는,
    상기 온수 주출 밸브(8)의 밸브체(33)를 밸브 폐쇄 위치로부터 밸브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온수 주출 조작 레버(31)를 갖고,
    상기 차일드 프루프 수단(41)은,
    상기 열쇠 부재(32)를 삽입하고 빼내는 삽입구(42)와,
    상기 온수 주출 밸브(8)의 밸브체(33)를 밸브 폐쇄 위치로부터 밸브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상기 온수 주출 조작 레버(31)를 조작하는 조작력을, 상기 온수 주출 조작 레버(31)로부터 상기 온수 주출 밸브(8)의 밸브체(33)에 전달하는 조작력 전달 경로를 갖고,
    상기 조작력 전달 경로는, 상기 열쇠 부재(32)가 상기 삽입구(42)로부터 빼내어진 상태에서는, 상기 온수 주출 조작 레버(31)로부터 상기 온수 주출 밸브(8)의 밸브체(33)로의 조작력의 전달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열쇠 부착 워터 서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주출 밸브(8)는, 통전에 의해 개방되는 전자 개폐 밸브이고,
    상기 온수 주출 조작부(9)는,
    상기 온수 주출 밸브(8)를 개방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온수 주출 조작 스위치(61)를 갖고,
    상기 차일드 프루프 수단(41)은,
    상기 열쇠 부재(32)의 유무를 검지하는 열쇠 센서(62)와,
    상기 열쇠 센서(62) 및 상기 온수 주출 조작 스위치(61)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온수 주출 밸브(8)를 제어하는 전자 제어 장치(63)를 갖고,
    상기 전자 제어 장치(63)는, 상기 열쇠 센서(62)가 상기 열쇠 부재(32)를 검지하지 않을 때는, 상기 온수 주출 조작 스위치(61)가 조작되더라도 상기 온수 주출 밸브(8)를 비통전으로 하고, 상기 열쇠 센서(62)가 상기 열쇠 부재(32)를 검지했을 때는, 상기 온수 주출 조작 스위치(61)의 조작에 따라 상기 온수 주출 밸브(8)에 대한 통전을 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열쇠 부착 워터 서버.
KR1020187012869A 2015-10-14 2015-10-28 열쇠 부착 워터 서버 KR1024476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02890A JP6005240B1 (ja) 2015-10-14 2015-10-14 鍵付き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JP-P-2015-202890 2015-10-14
PCT/JP2015/080418 WO2017064821A1 (ja) 2015-10-14 2015-10-28 鍵付きウォーターサーバ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6155A true KR20180066155A (ko) 2018-06-18
KR102447663B1 KR102447663B1 (ko) 2022-09-26

Family

ID=57123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2869A KR102447663B1 (ko) 2015-10-14 2015-10-28 열쇠 부착 워터 서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005240B1 (ko)
KR (1) KR102447663B1 (ko)
CN (1) CN108137308B (ko)
TW (1) TWI696796B (ko)
WO (1) WO20170648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15193B2 (ja) * 2016-12-27 2021-01-20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鍵付きウォーターサーバー
CN108478018B (zh) * 2018-06-12 2024-01-02 宁波福特恩净水设备有限公司 一种饮水机防烫结构及饮水机
CN112336186B (zh) * 2020-10-19 2022-06-07 刘辉 一种防小孩烫伤的饮水机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2663A (ja) * 1995-12-30 1997-07-29 Samsung Electron Co Ltd 浄水器の選択的連続取水装置
JP2001225896A (ja) * 2000-02-14 2001-08-21 Sapporo Breweries Ltd 飲料サーバ
JP2013043665A (ja) * 2011-08-23 2013-03-04 Zainasu Holdings Kk ボトル内の液体を自動的に抽出する装置
JP2014129101A (ja) * 2012-12-28 2014-07-10 Kowa Company Ltd 飲料水供給装置
JP2014166862A (ja) 2013-02-28 2014-09-11 Cosmo Life:Kk 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2015083488A (ja) * 2013-10-25 2015-04-30 サントリー食品インターナショナル株式会社 飲料用ディスペンサ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49068B2 (ja) * 2004-01-19 2010-09-22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飲料水のディスペンサ
CN1736294A (zh) * 2005-02-25 2006-02-22 龙年电子(深圳)有限公司 小型冷热饮料贩卖机
CN201458714U (zh) * 2009-06-18 2010-05-12 倪建伟 半导体制冷自动出酒式红酒柜
JP5647640B2 (ja) * 2012-03-23 2015-01-07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ウォーターサーバ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2663A (ja) * 1995-12-30 1997-07-29 Samsung Electron Co Ltd 浄水器の選択的連続取水装置
JP2001225896A (ja) * 2000-02-14 2001-08-21 Sapporo Breweries Ltd 飲料サーバ
JP2013043665A (ja) * 2011-08-23 2013-03-04 Zainasu Holdings Kk ボトル内の液体を自動的に抽出する装置
JP2014129101A (ja) * 2012-12-28 2014-07-10 Kowa Company Ltd 飲料水供給装置
JP2014166862A (ja) 2013-02-28 2014-09-11 Cosmo Life:Kk 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2015083488A (ja) * 2013-10-25 2015-04-30 サントリー食品インターナショナル株式会社 飲料用ディスペ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005240B1 (ja) 2016-10-12
WO2017064821A1 (ja) 2017-04-20
JP2017074962A (ja) 2017-04-20
CN108137308B (zh) 2019-09-06
CN108137308A (zh) 2018-06-08
TWI696796B (zh) 2020-06-21
KR102447663B1 (ko) 2022-09-26
TW201719090A (zh) 2017-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59617B1 (en) Water heater and coffee maker for aircraft
KR102179359B1 (ko) 워터 서버
KR20180066155A (ko) 열쇠 부착 워터 서버
CA2522194C (en) Beverage dispenser and alarm device for beverage dispenser
JP2017074989A (ja) 鍵付き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4399853B2 (ja) 飲料容器を加熱する装置
US20120210998A1 (en) Liquid hydrocarbon or bioethanol heating appliance
KR20180076333A (ko) 열쇠를 갖는 워터 서버
US6640052B1 (en) Dual temperature water dispensing device
JP2013111189A (ja) 飲料抽出機
KR101674093B1 (ko) 냉온수기
CN202408522U (zh) 一种具有自动感应功能的饮水机
WO2009054573A1 (en) The safety device for a system to supply the drinking water
KR200379093Y1 (ko) 자동식 정수기용 콕
JP2003210323A (ja) 湯沸しポット
KR20090131319A (ko) 자동 정량 공급 장치
US3066597A (en) Coffee maker
TWM487413U (zh) 具紅外線感測功能之自動飲水機
JP2002017571A (ja) 電気貯湯容器
JP5289789B2 (ja) 飲料供給装置
JP2013230826A (ja) ウォータディスペンサ
KR20150004257U (ko) 매립형 냉온수기용 콕 조립체
JP2008194191A (ja) 電気式の液体供給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