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4840A - 경량 센서피스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경량 센서피스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4840A
KR20180064840A KR1020160165215A KR20160165215A KR20180064840A KR 20180064840 A KR20180064840 A KR 20180064840A KR 1020160165215 A KR1020160165215 A KR 1020160165215A KR 20160165215 A KR20160165215 A KR 20160165215A KR 20180064840 A KR20180064840 A KR 20180064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piece
sensing
sensing protrusions
protrusions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5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6075B1 (ko
Inventor
남덕현
김가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5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6075B1/ko
Priority to US15/789,084 priority patent/US10788336B2/en
Priority to CN201711114604.9A priority patent/CN108150241B/zh
Publication of KR20180064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4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6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6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1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1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 G01D5/14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using Hall-effect devices
    • G01D5/145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using Hall-effect devices influenced by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Hall device and magnetic fie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4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00Straightening or restoring form of metal rods, metal tubes, metal profiles,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sheet metal parts
    • B21D3/02Straightening or restoring form of metal rods, metal tubes, metal profiles,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sheet metal parts by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1/00Other methods for working sheet metal, metal tubes, metal profiles
    • B21D31/02Stabbing or piercing, e.g. for making sie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28Associations of cutting devices therewi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2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on press brakes without making use of 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02Valve drive
    • F01L1/04Valve drive by means of cams, camshafts, cam discs, eccentrics or the like
    • F01L1/047Cam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02Valve drive
    • F01L1/04Valve drive by means of cams, camshafts, cam discs, eccentrics or the like
    • F01L1/047Camshafts
    • F01L2001/0471Assembled cam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2301/00Using particular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2820/00Details on specific features characterising valve gear arrangements
    • F01L2820/04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2820/00Details on specific features characterising valve gear arrangements
    • F01L2820/04Sensors
    • F01L2820/041Camshafts position or phase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20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means for transferring 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 G01D2205/70Position sensors comprising a moving target with particular shapes, e.g. of soft magnetic targets
    • G01D2205/77Specific profiles
    • G01D2205/774Profiles with a discontinuity, e.g. edge or stepped prof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량 센서피스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경량 센서피스는 중앙에 캠샤프트와 체결되도록 관통하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을 기준으로 외측 둘레면에 일정 각도 형상으로 다수의 센싱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경량 센서피스 및 이의 제조 방법{Light weight sensor pie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센서피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차량용 엔진 캠샤프트에 사용되는 경량 센서피스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캠 샤프트(CAM SHAFT)는 소정의 길이와 두께로 된 샤프트 외주에 소정간격을 두고 위상이 서로 다른 다수의 캠로브와 센서피스가 구비되며, 상기 캠 샤프트가 회전됨에 따라 엔진이 구동된다.
상기 캠 샤프트는 샤프트 축에 캠을 나열하여 축의 회전에 따라 흡. 배기 밸브를 순차적으로 개폐하게 된다. 이러한 캠샤프트는 샤프트와 캠은, 합금 주철을 주조하여 샤프트와 캠을 일체로 형성한 일체형과, 인발 강 파이프로 이루어진 중공 샤프트에 캠(캠로브)을 결합한 중공형 조립식 타입이 있다.
또한, 상기한 캠 샤프트의 종단에는 캠 샤프트 구동을 위한 기어 및 스프로켓이 결합되거나 또는 캠 샤프트의 회전에 의한 엔진 실린더의 정확한 연료 분사 시기를 결정할 수 있도록, 센서피스가 결합된다.
그런데, 일반적인 센서피스는 철계 분말의 소결을 통해 제작되며, 그 둘레면에 센싱 돌기 및 센싱홈을 각도에 맞게 정밀한 가공을 통해 형성한다.
따라서, 탑재 성능을 높이기 위해 센싱 돌기 부분을 줄일 경우 성능 유지를 위해 센서피스의 정중앙으로부터 센싱홈까지의 외경도 작아져야 한다. 이는 실두께의 감소를 유발하며, 부품의 생산 및 조립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성능 향상을 위해 센서의 정확한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면과 측정면의 높이 차이를 증가시킬 경우 신호 검출의 성능 저하를 유발하며, 부품의 생산 및 조립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철계 분말의 경우 소결후 소재 특성상 두께가 작아질 경우 조립 과정에서 크랙 발생이 크게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1. 한국공개실용신안번호 제20-2010-0010946호(고안의 명칭: 조립식 캠 샤프트용 센서피스 조립구조) 2. 한국공개특허번호 제10-2010-0118703호(발명의 명칭: 조립식 캠 샤프트용 센서피스 조립장치)
본 발명은 위에서 제시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센싱 정밀도를 유지하면서 생산 및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경량 센서피스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두께가 감소하더라도 캠샤프트와 조립시 크랙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센서피스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형화 및/또는 경량화가 가능한 경량 센서피스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제시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센싱 정밀도를 유지하면서 생산 및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경량 센서피스를 제공한다.
상기 경량 센서피스는, 중앙에 캠샤프트와 체결되도록 관통하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을 기준으로 외측 둘레면에 일정 각도 형상으로 다수의 센싱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캠샤프트용 경량 센서피스는 자성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정 각도 형상은 9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센싱 돌출부는 센서에 의한 위치 감지를 위해 폭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센싱 돌출부 사이마다 폭이 다른 센싱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홈의 중심으로부터 외측 둘레면의 끝단까지 거리와 상기 체결홈의 반지름을 뺀 내경부에 단차를 두고 강성 강화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탑재성 향상을 위해 상기 체결홈의 중심으로부터 외측 둘레면의 끝단까지 거리는 변경되지 않으며, 상기 체결홈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다수의 센싱 돌출부의 외측 둘레면까지 거리는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량 센서피스는 금속 판재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 판재의 두께는 0.8 내지 2.0mm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 판재의 인장 강도는 압입 체결력 확보를 위해 340MPa 내지 600MPa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정 각도 형상은 벤딩 수단에 의해 형성된 이후, 롤러 수단에 의해 교정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센싱 돌출부는 제 1 간격으로 이격되며 동일한 제 1 둘레 길이를 갖는 2개의 제 1 센싱 돌출부와, 제 2 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제 1 둘레 길이보다 작은 동일한 제 2 둘레 길이를 갖는 2개의 제 2 센싱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는, 중앙에 캠샤프트와 체결되도록 관통되는 체결홈 및 외측 둘레면에 돌출되게 다수의 외경부가 형성되는 캠샤프트용 경량 센서피스를 생성하는 센서피스 생성 단계; 하부 금형에 상기 다수의 외경부를 고정하고 상부 금형을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외경부를 벤딩하여 다수의 센싱 돌출부를 생성하는 벤딩 단계; 및 상기 다수의 센싱 돌출부가 상기 체결홈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 형상이 되도록 상기 상부 금형에 배치되는 롤러를 이용하여 교정하는 교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경량 센서피스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피스 생성 단계는, 전단기(shearing machine)를 이용하여 금속 판재를 성형 절단하는 절단 단계; 포밍기(formig machine)를 이용하여 성형 절단된 금속 판재를 포밍하는 포밍 단계; 및 피어싱기(piercing machine)를 이용하여 상기 체결홈을 생성하는 피어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피스 생성 단계는, 상기 피어싱 단계 이후, 버링기(burring machine)를 이용하여 상기 경량 센서피스의 표면을 버링하는 버링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피스 생성 단계는, 상기 버링 단계이후, 추가적으로 상기 피어싱기(piercing machine)를 이용하여 상기 체결홈을 피어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정 단계는, 상기 하부 금형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상부 금형에 설치된 롤러가 상기 다수의 센싱 돌출부의 벤딩된 부분에 대면하도록 상기 상부 금형을 추가 하강하는 단계; 상기 상부 금형을 회전하여 상기 다수의 센싱 돌출부가 일정 각도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판재를 성형하여 제작하기 때문에 센싱 정밀도를 유지하면서도 생산 및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원가 절감 및 경량화 달성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서는 제작 공정 중에 치수 정밀도를 맞추기 때문에 제작 후 별도의 가공 공정이 필요 없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서는 부품 크기를 줄이기 위하여 내경부 살두께를 줄이고, 압입되는 내경부의 두께를 증대시켜 압입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어 공간 제약을 덜 받는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서는 내경부 살두께를 증대시켜도, 판재로 제작되기 때문에 중량 증가 폭이 크지 않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서는 센서피스 자체의 홈-돌기의 높이 차이가 충분하기 때문에 주변 부품(예를 들면, 캠로브 등을 들 수 있음)의 영향을 받지 않아 위치의 자유도가 높아, 차량 엔진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량 센서피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경량 센서피스의 설계 인자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경량 센서피스의 제조 공정에 사용되는 상부 금형의 평면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상부 금형을 B-B'축을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1에 도시된 경량 센서피스를 제조하는 공정으로 판재를 벤딩하기 위한 상부 금형, 하부 금형 및 판재의 위치 관계를 보여주는 배치 공정의 개념도이다.
도 5b는 도 6에 도시된 벤딩전 경량 센서피스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a에 도시된 배치 공정이후 벤딩 성형 공정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벤딩 성형 공정이후 하부 금형 제거 공정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하부 금형 제거 공정이후 상부 금형 추가 하강 공정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상부 금형 추가 하강 공정이후 상부 금형 회전 공정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경량 센서피스가 캠샤프트에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일반적인 센서피스와 센서를 이용하여 신호를 검출하는 원리를 보여주는 파형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량 센서피스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량 센서피스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경량 센서피스(100)는, 중앙에 캠샤프트(미도시)와 체결되도록 관통하는 체결홈(13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홈(130)을 기준으로 외측 둘레면에 일정 각도 형상으로 센싱 돌출부(110-1,110-2,120-1,120-2)가 형성된다.
센싱 돌출부(110-1,110-2,120-1,120-2)는 제 1 간격(141)으로 이격되며 동일한 제 1 둘레 길이(111)를 갖는 제 1-1 및 제 1-2 센싱 돌출부(110-1,110-2)와, 제 3 간격(151)으로 이격되며 상기 제 1 둘레 길이(111)보다 작은 동일한 제 2 둘레 길이(121)를 갖는 제 2-1 및 제 2-2 센싱 돌출부(120-1,120-2)로 이루어진다.
물론, 제 2-2 센싱 돌출부(120-2)와 제 1-2 센싱 돌출부(110-2)는 제 2 간격(142)으로 이격되며, 제 1-1 센싱 돌출부(110-1)와 제 2-1 센싱 돌출부(120-2)는 제 4 간격(152)으로 이격된다.
이러한 간격(141,142,151,152)을 위해 제 1 내지 제 4 센싱 돌출부(110-1,110-2,120-1,120-2)사이에 폭(즉 간격)이 다른 제 1 내지 제 4 센싱 홈부(141-1,141-2,150-1,150-2)가 형성된다. 이 폭이 각각 제 1 내지 제 4 간격(141,142,151,152)에 해당한다.
이는 센서(미도시)에 의한 위치 감지를 위해 폭이 다르게 한 것이다. 부연하면, 경량 센서피스(100)가 캠샤프트와 결합되며, 엔진이 구동됨에 따라 회전된다. 이때, 센서가 분사 시기를 결정하기 위해 제 1 내지 제 4 센싱 돌출부(110-1,110-2,120-1,120-2)의 위치를 검출한다. 즉, 위치 감지를 위해 제 1 내지 제 4 센싱 돌출부(110-1,110-2,120-1,120-2)사이의 폭이 다르게 형성된다.
또한, 제 1 내지 제 4 센싱 돌출부(110-1,110-2,120-1,120-2)는 상기 체결홈(130)을 기준으로 외측 둘레면에 약 90도 각도로 안쪽으로 구부려진 형상이다. 즉, 꺽쇠 형상이 된다. 이러한 일정 각도 형상은 벤딩 수단에 의해 형성된 이후, 롤러 수단에 의해 교정되어 최종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경량 센서피스(100)는 자성 소재로서, 강철, 자성 합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경량 센서피스(100)는 금속 판재를 블랭킹, 포밍, 피어싱, 벤딩 공정 등을 통해 형성한다. 이는 소결 방식에 의해 제조되는 것과는 다른 방식으로 크랙 등의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금속 판재는 약 0.8 내지 2.0mm의 두께가 될 수 있다. 이는 압입 안정성을 위해서는 약 0.8mm 이상의 두께가 되어야 한다. 약 2.0mm 이상일 경우 성형이 난이하고, 중량 절감 효과가 줄어들기 때문에 2.0mm 미만으로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압입 체결력 확보를 위하여 금속 판재의 인장강도는 약 340MPa(megapascal) 내지 약 600MPa의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즉, 600MPa이상이면 벤딩 성형시 이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최대 인장강도를 600MPa으로 한정한다.
또한, 경량 센서피스(100)의 내경부(180)의 표면에서는 단차를 두고 강성 강화홈(170)이 형성된다. 이러한 강성 강화홈(170)에 의해 찌그러짐, 변형 등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내경부(180)는 체결홈(130)의 중심으로부터 외측 둘레면의 끝단까지 거리와 상기 체결홈(130)의 반지름을 뺀 영역이 된다. 물론, 도 1에서는 제 1 내지 제 4 센싱 돌출부(110-1,110-2,120-1,120-2)의 상단면에 까리 강성 강화홈(170)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내경부에만 강성 강화홈(17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경량 센서피스의 설계 인자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센서피스의 형상은 일반적으로 크게 아래의 여섯 가지 인자를 고려하여 설계된다.
①. 센서피스를 캠샤프트에 장착하기 위한 내경(L1)
②. 센서피스 측정을 위한 기준면 외경(L2)
③. 센서피스 측정을 위한 측정면 외경(L3)
④. 센서(210)의 정확한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면과 측정면의 높이 차이 (Δh=L3-L2)
⑤. 센서피스의 안정적인 체결력 확보를 위한 살두께 (t=L2-L1)
⑥. 센서(210)의 정확한 인식을 위한 센서피스의 전체 두께
따라서, 센서(210)의 정확한 인식을 위해서는 Δh와 전체 두께가 클수록 유리하다. 또한, 엔진(미도시)의 탑재성을 고려할 때, L3와 전체 두께가 작고, L1의 자유도가 높을수록 유리하다. 생산 및 조립성을 고려할 때, t가 클수록 유리하다.
그러나, 도 2에 따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210)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Δh는 L3-L2가 아닌, L3-(L1+tm) 이 되어, 위에서 제시한 일반적인 설계와 대비하여 향상된다.
또한, Δh가 충분하기 때문에 주변 부품(캠로브 등)의 영향을 받지 않아 위치의 자유도가 높아, 엔진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b는 센서피스의 전체 두께가 아닌, 판재 성형을 통해 형성되므로 자유로운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엔진 탑재성 향상을 위해 L3를 줄일 경우 L2는 변경이 없어도 되므로 형상 자유도가 높다. 부연하면, 상기 체결홈(130)의 중심으로부터 외측 둘레면의 끝단까지 거리는 변경되지 않으며, 상기 체결홈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다수의 센싱 돌출부의 외측 둘레면까지 거리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생산 및/또는 조립성 영향 인자가 t가 아닌, 원소재 두께(tm) 및 체결홈(130)의 폭(c)이 되므로, 안정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중요 부위인 b와 c를 제외하고는 판재 두께로 유지되므로, 경량화가 최대 80% 이상 가능하다. 특히, 경량화에 의해 소재 투입비용이 감소되며, 공정이 단순하기 때문에 부품 원가 또한 약 60% 절감 가능하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경량 센서피스의 제조 공정에 사용되는 상부 금형의 평면 개념도이다. 특히, 도 3은 전단기(shearing machine)(미도시)를 이용하여 금속 판재를 성형 절단하는 단계, 포밍기(formig machine)(미도시)를 이용하여 성형 절단된 금속 판재를 포밍하는 단계, 및 피어싱기(piercing machine)(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체결홈을 생성하는 단계 등이 수행된 이후 벤딩 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물론, 상기 피어싱 단계 이후, 버링기(burring machine)(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경량 센서피스의 표면을 버링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상기 버링 단계이후, 추가적으로 상기 피어싱기(piercing machine)를 이용하여 상기 체결홈을 피어싱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공정은 예시를 위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성형 절단(즉 블랭킹) 후 벤딩 공정에서 약 90도에 이르는 직각도를 얻기는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직각도를 얻기 위해 벤딩 공정(도 5a,도 5b 및 도 6 참조) 이후 교정 공정(도 7 내지 도 9 참조)을 더 구성한다. 즉, 부품의 성능 확보를 위해서는 b면과 바닥면이 최대한 직각을 유지해야 한다. 부연하면, 테이퍼(taper)는 최대 약 3도까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벤딩 공정의 금형 설계가 중요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상부 금형(310)의 상면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상부 금형(310)의 상단 내측에는 다수의 롤러(320)가 원형으로 배치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상부 금형을 B-B'축을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부 금형(310)의 상단에 롤러(320)가 배치된다.
도 5a는 도 1에 도시된 경량 센서피스를 제조하는 공정으로 판재를 벤딩하기 위한 상부 금형, 하부 금형 및 판재의 위치 관계를 보여주는 배치 공정의 개념도이고, 도 5b는 도 6에 도시된 벤딩전 경량 센서피스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하부 금형에 벤딩전 경량 센서피스(510)의 외경부(530)가 하부 금형(510)의 상단면에 고정되고, 외경부(530)의 말단 부위가 상부 금형(310)의 하단면에 고정된다.
도 6은 도 5a에 도시된 배치 공정이후 벤딩 성형 공정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하부 금형(520)의 상단면에 다수의 외경부(530)를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부 금형(310)이 성형 하중에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다수의 외경부(530)가 벤딩되어 다수의 센싱 돌출부(도 1의 110-1,110-2,120-1,120-2)가 생성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벤딩 성형 공정이후 하부 금형 제거 공정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벤딩 성형 공정이 완료되면, 하부 금형(520)을 제거한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하부 금형 제거 공정이후 상부 금형 추가 하강 공정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 금형(310)에 설치된 롤러(320)가 상기 다수의 센싱 돌출부(도 1의 110-1,110-2,120-1,120-2)의 벤딩된 부분에 대면하도록 상기 상부 금형(310)을 추가 하강시킨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상부 금형 추가 하강 공정이후 상부 금형 회전 공정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다수의 센싱 돌출부(도 1의 110-1,110-2,120-1,120-2)가 직각도 형상이 되도록 측방향으로 하중을 가한 상태로 상부 금형(310)을 회전시킨다. 이때, 상부 금형(310)에 배치되는 롤러(320)를 통해 상기 다수의 센싱 돌출부(도 1의 110-1,110-2,120-1,120-2)가 안측으로 추가 벤딩되어 정확히 90도 형상에 이르게 된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경량 센서피스가 캠샤프트에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경량 센서피스(100)가 캠(1010)이 조립된 캠샤프트(1020)에 체결된 상태이다.
도 11은 일반적인 센서피스와 센서를 이용하여 신호를 검출하는 원리를 보여주는 파형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센서피스(100)가 캠샤프트(102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면서 센싱 돌출부(110-1)에 따른 파형의 변화를 보여준다. 즉, 센서피스(100)가 회전하면서 센서(210) 내부에서 Magnet map signal을 동일 형상의 전압으로 변경하여 디지털 신호로 출력된다.
100: 경량 센서피스
110-1,110-2: 제 1-1,1-2 센싱 돌출부
120-1,120-2: 제 2-1,2-2 센싱 돌출부
130: 체결홈
210: 센서
310: 상부 금형 320: 롤러
510: 하부 금형
530: 외경부

Claims (20)

  1. 경량 센서피스에 있어서,
    중앙에 캠샤프트와 체결되도록 관통하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을 기준으로 외측 둘레면에 일정 각도 형상으로 다수의 센싱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센서피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량 센서피스는 자성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센서피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각도 형상은 9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센서피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센싱 돌출부는 센서에 의한 위치 감지를 위해 폭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센서피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센싱 돌출부 사이마다 폭이 다른 센싱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센서피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의 중심으로부터 외측 둘레면의 끝단까지 거리와 상기 체결홈의 반지름을 뺀 내경부에 단차를 두고 강성 강화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센서피스.
  7. 제 6 항에 있어서,
    탑재성 향상을 위해 상기 체결홈의 중심으로부터 외측 둘레면의 끝단까지 거리는 변경되지 않으며, 상기 체결홈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다수의 센싱 돌출부의 외측 둘레면까지 거리는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센서피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량 센서피스는 금속 판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센서피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판재의 두께는 0.8 내지 2.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센서피스.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판재의 인장 강도는 압입 체결력 확보를 위해 340MPa 내지 600MP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센서피스.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각도 형상은 벤딩 수단에 의해 형성된 이후, 롤러 수단에 의해 교정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센서피스.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센싱 돌출부는 제 1 간격으로 이격되며 동일한 제 1 둘레 길이를 갖는 2개의 제 1 센싱 돌출부와, 제 2 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제 1 둘레 길이보다 작은 동일한 제 2 둘레 길이를 갖는 2개의 제 2 센싱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센서피스.
  13. 중앙에 캠샤프트와 체결되도록 관통되는 체결홈 및 외측 둘레면에 돌출되게 다수의 외경부가 형성되는 캠샤프트용 경량 센서피스를 생성하는 센서피스 생성 단계;
    하부 금형에 상기 다수의 외경부를 고정하고 상부 금형을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외경부를 벤딩하여 다수의 센싱 돌출부를 생성하는 벤딩 단계; 및
    상기 다수의 센싱 돌출부가 상기 체결홈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 형상이 되도록 상기 상부 금형에 배치되는 롤러를 이용하여 교정하는 교정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경량 센서피스 제조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피스 생성 단계는,
    전단기(shearing machine)를 이용하여 금속 판재를 성형 절단하는 절단 단계;
    포밍기(formig machine)를 이용하여 성형 절단된 금속 판재를 포밍하는 포밍 단계; 및
    피어싱기(piercing machine)를 이용하여 상기 체결홈을 생성하는 피어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센서피스 제조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피어싱 단계 이후, 버링기(burring machine)를 이용하여 상기 경량 센서피스의 표면을 버링하는 버링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센서피스 제조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버링 단계이후, 추가적으로 상기 피어싱기(piercing machine)를 이용하여 상기 체결홈을 피어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센서피스 제조 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 단계는,
    상기 하부 금형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상부 금형에 설치된 롤러가 상기 다수의 센싱 돌출부의 벤딩된 부분에 대면하도록 상기 상부 금형을 추가 하강하는 단계;
    상기 상부 금형을 회전하여 상기 다수의 센싱 돌출부가 일정 각도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센서피스 제조 방법.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경량 센서피스는 자성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센서피스 제조 방법.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각도 형상은 9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센서피스 제조 방법.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의 중심으로부터 외측 둘레면의 끝단까지 거리와 상기 체결홈의 반지름을 뺀 내경부에 단차를 두고 강성 강화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센서피스 제조 방법.
KR1020160165215A 2016-12-06 2016-12-06 경량 센서피스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06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215A KR102406075B1 (ko) 2016-12-06 2016-12-06 경량 센서피스 및 이의 제조 방법
US15/789,084 US10788336B2 (en) 2016-12-06 2017-10-20 Lightweight sensor pie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201711114604.9A CN108150241B (zh) 2016-12-06 2017-11-13 轻型传感器件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215A KR102406075B1 (ko) 2016-12-06 2016-12-06 경량 센서피스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840A true KR20180064840A (ko) 2018-06-15
KR102406075B1 KR102406075B1 (ko) 2022-06-08

Family

ID=62240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5215A KR102406075B1 (ko) 2016-12-06 2016-12-06 경량 센서피스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788336B2 (ko)
KR (1) KR102406075B1 (ko)
CN (1) CN10815024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0902B1 (ko) * 2023-12-12 2024-04-25 주식회사 송원하이텍 자동차 차동장치 엑추에이터 하우징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071Y1 (ko) * 2009-11-09 2010-06-17 나우텍주식회사 프로그레시브 금형장치
KR20100118703A (ko) 2009-04-29 2010-11-08 주식회사 서진캠 조립식 캠 샤프트용 센서피스 조립장치
KR20100010946U (ko) 2009-04-29 2010-11-08 주식회사 서진캠 조립식 캠 샤프트용 센서 피스 조립구조
WO2016050485A1 (en) * 2014-09-29 2016-04-07 Mechadyne International Ltd Timing wheel assembly for a concentric camshaft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0413A (ja) * 1999-02-03 2000-08-08 Toyota Motor Corp カムシャフト
ATE455948T1 (de) * 2004-05-27 2010-02-15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system zur bereitstellung eines verbesserten phasensignals eines phasensensors an einer nockenwelle einer brennkraftmaschine
CN202090973U (zh) * 2011-05-30 2011-12-28 哈尔滨东安汽车发动机制造有限公司 紧凑型凸轮位置传感器齿型板
GB2516685A (en) * 2013-07-30 2015-02-04 Gm Global Tech Operations Inc Cam carrier assembly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15098819A (ja) * 2013-11-19 2015-05-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カムシャフト、カム角検出装置、及び内燃機関
CN203717132U (zh) * 2014-01-06 2014-07-16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电控柴油机凸轮轴信号盘
DE102014009559A1 (de) * 2014-06-25 2015-12-31 Daimler Ag Nockenwellengeberra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8703A (ko) 2009-04-29 2010-11-08 주식회사 서진캠 조립식 캠 샤프트용 센서피스 조립장치
KR20100010946U (ko) 2009-04-29 2010-11-08 주식회사 서진캠 조립식 캠 샤프트용 센서 피스 조립구조
KR200449071Y1 (ko) * 2009-11-09 2010-06-17 나우텍주식회사 프로그레시브 금형장치
WO2016050485A1 (en) * 2014-09-29 2016-04-07 Mechadyne International Ltd Timing wheel assembly for a concentric camshaf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0902B1 (ko) * 2023-12-12 2024-04-25 주식회사 송원하이텍 자동차 차동장치 엑추에이터 하우징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788336B2 (en) 2020-09-29
KR102406075B1 (ko) 2022-06-08
US20180156636A1 (en) 2018-06-07
CN108150241A (zh) 2018-06-12
CN108150241B (zh) 202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86800B2 (ja) 磁気エンコーダ
EP1750100A1 (en) Encoder
US20120220401A1 (en) Cam sprock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7006107B2 (ja) モータ制御装置
US11119113B2 (en) Rotational speed sensor arrangement
KR20180064840A (ko) 경량 센서피스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3093985A (ja) ステータ固定構造
JP2003172168A (ja) クランクシャフトの回転角度検出用のプレートの取付構造
KR102391295B1 (ko) 캠샤프트 조립각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캠샤프트 조립각도 측정방법
US20160273411A1 (en) Camshaft, cam angle detection device,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13194544A (ja) センサープレート及び該センサープレートを備えたカムシャフト
JP4491221B2 (ja) エンジンの回転状態を監視するために用いる被検出装置
JP4793438B2 (ja) カムシャフトの鋳造方法、およびカムシャフト用鋳型
JP6056193B2 (ja) 永久磁石式回転電機
CN101298990A (zh) 优选用于轴的传感轮以及用于制造这种传感轮的方法
JP4543728B2 (ja) 磁気エンコーダ
JP5198317B2 (ja) エンジン回転数検出装置
JP7264803B2 (ja) エンジン用クランク角検出装置
KR101866090B1 (ko) 센서피스 일체형 캠샤프트
CN211145286U (zh) 一种汽车发动机用粉末冶金传感齿圈
JP7055852B1 (ja) ロータヨーク及び回転電機
JP5034079B2 (ja) エンジンのカムパルスロータ取り付け構造
CN206402079U (zh) 一种具有专用磁轭的线性振动马达
CN211576557U (zh) 发动机曲轴位置的测量系统
JP2001132469A (ja) 自動車用内燃機関のカムプー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