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4831A - 프레스용 테이블 장치 - Google Patents

프레스용 테이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4831A
KR20180064831A KR1020160165184A KR20160165184A KR20180064831A KR 20180064831 A KR20180064831 A KR 20180064831A KR 1020160165184 A KR1020160165184 A KR 1020160165184A KR 20160165184 A KR20160165184 A KR 20160165184A KR 20180064831 A KR20180064831 A KR 20180064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plate
pressing
wire
press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5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9063B1 (ko
Inventor
임쌍철
김상화
김성일
김현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165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063B1/ko
Publication of KR20180064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4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2Dies; Inserts therefor; Mounting thereof; Moulds
    • B30B15/028Loading or unloading of dies, platens or press r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4Frames; Guides
    • B30B15/041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8Accessory tools, e.g. knives; Mounting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스용 테이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프레스 받침대에 의해 지지되는 테이블; 상기 테이블 위를 이동 가능하며 상기 테이블 상의 소정 위치에 안착되는 이동판; 및 상기 테이블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판의 위치를 고정하는 클램핑수단을 포함하여서, 수작업을 자동화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자에 대한 위험 요인을 제거함과 동시에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Description

프레스용 테이블 장치 {Table apparatus for press}
본 발명은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설비의 자동화를 가능하게 하는 프레스용 테이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철판이나 철구조물의 성형 및 교정을 위한 작업에는 지주식 프레스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스는 일반적으로 고정된 프레스 받침대, 이 프레스 받침대에서 승강 동작하는 금형, 및 프레스 받침대와 금형 사이에 설치되고서 소재를 위치시키는 테이블을 포함하고 있다.
가공을 위한 소재 또는 교체를 위한 금형을 프레스 내 가공 위치로 운반할 경우에, 우선 프레스 이외의 장소에서 소형 대차 상에 소재 또는 금형을 실은 다음에, 대차를 테이블 위로 이동시킴으로써 소재 또는 금형을 가공 위치로 이동시킨 후 수작업에 의해 대차로부터 내려놓고 소재의 위치를 맞추거나 교체용 금형을 베드에 조립할 수 있다.
하지만, 프레스 안쪽은 크레인과 같은 중장비를 사용할 수 없는 사각지대로서 크레인과 같은 중장비의 사용이 제한되게 된다. 이에 따라 소재의 운반 및 위치 조정 또는 금형의 운반 및 교체 등의 작업이 모두 인력에 의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안전 사고의 위험에 항상 노출되어 있으며,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대되어 효율 및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JP 3350029 B2
이에 본 발명은, 중장비를 사용할 수 없는 프레스의 사각지대에서 이루어지는 수작업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설비의 자동화를 가능하게 하는 프레스용 테이블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용 테이블 장치는, 프레스 받침대에 의해 지지되는 테이블; 상기 테이블 위를 이동 가능하며 상기 테이블 상의 소정 위치에 안착되는 이동판; 및 상기 테이블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판의 위치를 고정하는 클램핑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수작업을 자동화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자에 대한 위험 요인을 제거함과 동시에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장치가 프레스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장치의 테이블이 프레스 내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승강부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클램핑 수단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는 클램핑 수단의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장치가 프레스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장치의 테이블이 프레스 내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용 테이블 장치는, 프레스 받침대(3)에 의해 지지되는 테이블(10); 이 테이블 위를 이동 가능하며 테이블 상의 소정 위치에 안착되는 이동판(20); 및 테이블에 설치되어, 이동판의 위치를 고정하는 클램핑수단(30)을 포함하고 있다.
우선, 프레스(1)의 베이스는 프레스 가공시의 하중을 받기 때문에, 그리고 문형 프레임(2)을 설치하기 위해, 예컨대 금속으로 된 프레스 받침대(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문형 프레임(2)에는 금형(4)이 구비되고, 이 금형은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한 베드(5)에 장착되어 있다.
테이블(10)은 프레스 받침대(3) 상에 놓이며, 후술하는 이동판(20)의 이동 범위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고 있다. 이러한 테이블에는 이동판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11)이 설치될 수 있다.
레일(11)은, 복수의 바퀴(21)를 매개로 하여 이동판(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테이블(10)의 양측에 하나씩, 그리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레일에는, 이동판이 베드(5)의 직하에 위치할 때, 전술한 바퀴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함몰부(12)가 형성되고, 이 함몰부에는 승강부(40)가 구비되어 있다.
도 3은 승강부의 작동 상태도이다.
승강부(40)는, 함몰부(12)의 안에서 승강하는 지지판(41); 및 이 지지판을 승강시키도록 신축 가능한 작동로드(43)를 갖추고서 프레스 받침대(3) 상에 설치된, 예컨대 유체압 실린더 등과 같은 제1액츄에이터(42)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동판(20)이 베드(5)의 직하에 위치한 후 프레스(1)가 금형(4)의 하강 작동을 하게 되면, 프레스의 압력에 의해 이동판이 휘어지거나 파손이 일어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승강부(40)를 작동시켜 바퀴(21)가 레일(11) 내에 함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판이 아래의 테이블(10)에 밀착 및 안착되어 이동판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동판(20)은 대략 평판 형태의 부재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판에는 레일(11)을 따라 주행할 수 있는 복수의 바퀴(21)가 장착되어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장치는, 이동판(20)을 왕복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수단(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수단(50)은, 모터(51)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드럼(52); 이 드럼에 권취되며, 일단은 이동판(20)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이동판의 타측에 고정되는 와이어(53); 이 와이어의 진행경로 상에 위치되어, 와이어의 진행방향을 변경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롤(54)을 포함할 수 있다.
드럼(52)은 기어박스, 체인, 혹은 벨트 등과 같은 전동(傳動)수단을 통해 모터(51)와 연결되어, 모터의 작동시 회전할 수 있다. 모터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이동판(20)의 이동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와이어(53)는 그 전체 길이부 중 중간이 드럼(52)의 외면에 수회 권취되며, 일단은 별도의 고정구(미도시)에 의해 이동판(20)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이동판의 타측에 고정된다.
드럼(52)의 외면에 와이어(53)가 순차적으로 감겨져서 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홈이 형성됨으로써, 와이어는 드럼에 감기거나 풀릴 때 슬립 현상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안내롤(54)은 와이어(53)의 진행경로 상에 위치되어, 와이어가 안내롤을 감아 돌게 되면 그 진행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51)의 회전에 따라 드럼(52)이 회전하면, 와이어(53)가 감기거나 풀리는데, 이때 와이어의 일단 쪽이 감기면 타단 쪽이 풀리게 되고, 반대로 일단 쪽이 풀리면 타단 쪽이 감기게 된다. 따라서, 와이어의 양단이 연결된 이동판(20)은 와이어에 의한 당김력을 받는 쪽으로 레일(11)을 타고 테이블(10) 위를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장치는, 구동수단(50)을 구성하는 와이어(53)의 장력을 조정하는 장력조정수단(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장력조정수단(60)은, 드럼(52)의 주변에 설치된 프레임(61); 이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레버(62); 이 레버의 일단에 설치된 웨이트(63); 및 레버에 연결되고서 드럼으로부터 연장하는 와이어(53) 상에 놓여, 웨이트의 하중을 와이어로 전달하는 텐션롤(64)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장력조정수단(60)을 와이어(53)에 배치함으로써 와이어에 일정한 장력을 부여할 수 있음과 더불어, 와이어의 꼬임을 방지하고 프레스 가공시에도 와이어가 일정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동판(20)의 이동거리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테이블(10)의 소정 위치에는 이동판(20)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예컨대 리미트 스위치와 같은 접촉센서(13)가 배치되어, 이동판이 접촉센서와 접촉하면 모터의 작동을 중단시키도록 제어부(미도시)가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접촉센서에 의해 이동판의 프레스에 대한 정확한 위치설정을 도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승강부(40)를 구성하는 제1액츄에이터(42)의 작동도 접촉센서에 의해 감지를 근거로 하여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클램핑 수단을 도시한 도면들이고, 도 5는 클램핑 수단의 작동 상태도이다.
문형 프레임(2) 사이에 배치되는 이동판(20)은 서로 대향하여 위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클램핑수단(30)에 의해 폭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과 프레스 가공시에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클램핑수단(30)은, 지지브라켓(32)을 갖춘 본체(31); 신축 가능한 작동로드(34)를 갖추고서 본체에 장착된, 예컨대 유체압 실린더 등과 같은 제2액츄에이터(33); 및 지지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서 작동로드와 접촉하여 작동로드의 신축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블록(35)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브라켓(32)은 회전축(36)을 매개로 하여 회전블록(35)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31)에 직립하여 설치된 한 쌍의 판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들 판부재 사이에 회전블록이 위치되고, 지지브라켓에 수평하게 연결된 회전축에 의해 회전블록은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된다.
본체(31) 상에는 제2액츄에이터(33)가 직립하여 설치되고, 그 작동로드(34)가 신축되게 됨으로써 접촉하고 있는 회전블록(35)의 일측을 밀어 올리거나 내릴 수 있다.
또한, 회전블록(35)의 타측에는 경사면(37)을 갖추어, 회전블록이 이동판(20)과 접촉할 때 회전블록이 이동판과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체(31)의 저면에는, 테이블(10)에 형성된 역T자 모양의 단면을 가진 홈(14) 내에 삽입되어 미끄럼이동가능한 역T자 모양의 단면을 가진 돌출부(39)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클램핑수단(30)에서는, 문형 프레임(2) 사이에서 베드(5)의 아래에 이동판(20)이 위치되면, 제2액츄에이터(33)가 작동하여 그 작동로드(34)가 신장되고 회전블록(35)의 일측과 접촉하면서 밀어올리게 된다. 이로 인해, 회전블록은 회전축(36)을 기준으로 지지브라켓(32)에서 회전하고, 회전블록의 타측에 형성된 경사면(37)이 이동판의 상부면과 접하여 내리누르게 된다.
결국, 제2액츄에이터(33)가 회전블록(35)의 일측을 밀어올리는 힘이 회전블록의 경사면(37)이 이동판(20)의 상부면을 내리누르는 힘으로 되어, 클램핑수단(30)이 이동판(20)을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장치의 작동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예를 들어, 가공을 위한 소재를 프레스(1) 내 가공 위치로 운반할 경우에, 우선 프레스의 베드(5) 밖에서 도시되지 않은 크레인 등과 같은 중장비를 사용하여 소재를 이동판(20) 위에 올려놓는다. 이때, 중장비를 사용하여 이동판 상에서 소재의 가압 위치를 미리 조정할 수 있다.
구동수단(50)을 작동시켜, 즉 모터(51)를 작동시켜 그 회전에 따라 드럼(52)이 회전하게 되고 와이어(53)의 일단 쪽이 감기면서 타단 쪽은 풀리게 된다. 따라서, 와이어의 양단이 연결된 이동판(20)은 와이어에 의한 당김력을 받는 쪽으로 레일(12)을 타고 프레스(1)의 베드(5) 아래로 이동된다.
이동판(20)이 테이블(10)에 설치된, 리미트 스위치와 같은 접촉센서(13)와 접촉하면, 모터(51)의 작동을 중단시키도록 제어부가 제어하여 이동판이 멈추게 되는데, 이동판이 정지된 위치에서 프레스(1)의 베드(5)의 중심과 이동판의 중심이 일치되게 된다.
동시에, 이동판(20)의 각 바퀴(21)는 승강부(40)의 제1액츄에이터(42)에 연결된 지지판(41)의 위에 위치한 상태가 된다.
제어부가 모터(51)의 정지와 동시에 제1액츄에이터(42)를 작동시키도록 제어함으로써, 제1액츄에이터의 작동로드(43)가 수축하여 지지판(41)이 하강하게 된다. 이동판(20)의 바퀴(21)가 레일(11)에 형성된 함몰부(12)의 내부로 삽입되게 됨에 따라 이동판이 테이블(10)에 면접촉으로 밀착되어 안착되게 된다.
테이블(10)에 형성된 역T자 모양의 단면을 가진 홈(14)을 따라 클램핑수단(30)을 이동판(20)의 양측에서 인접하게 위치시킨 후, 제2액츄에이터(33)를 작동시키면 회전블록(35)의 경사면(37)이 이동판의 상부면을 내리눌러 이동판을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동판(20)을 고정시킨 다음에 프레스(1)의 가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 후에, 성형 및 교정이 완료된 가공물의 인출은 전술한 순서의 역순으로 진행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가공을 위한 소재 또는 교체를 위한 금형을 테이블 범위 내에서 그 무게나 크기에 제한을 받지 않고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작업을 자동화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자에 대한 위험 요인을 제거함과 동시에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테이블 11: 레일
12: 함몰부 13: 접촉센서
20: 이동판 21: 바퀴
30: 클램핑수단 32: 지지브라켓
33: 제2액츄에이터 35: 회전블록
40: 승강부 41: 지지판
42: 제1액츄에이터 50: 구동수단
51: 모터 52: 드럼
53: 와이어 54: 안내롤
60: 장력조정수단 62: 레버
63: 웨이트 64: 텐션롤

Claims (10)

  1. 프레스 받침대에 의해 지지되는 테이블;
    상기 테이블 위를 이동 가능하며 상기 테이블 상의 소정 위치에 안착되는 이동판; 및
    상기 테이블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판의 위치를 고정하는 클램핑수단
    을 포함하는 프레스용 테이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에는 한 쌍의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이동판에는 상기 레일을 따라 주행할 수 있는 복수의 바퀴가 장착되며,
    상기 레일에는 상기 바퀴를 수용할 수 있는 함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용 테이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에는 승강부가 구비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함몰부의 안에서 승강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을 승강시키도록 신축 가능한 작동로드를 갖추고서 상기 프레스 받침대에 설치된 제1액츄에이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용 테이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을 왕복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용 테이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모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드럼;
    상기 드럼에 권취되며, 일단은 상기 이동판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판의 타측에 고정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진행경로 상에 위치되어, 상기 와이어의 진행방향을 변경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롤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용 테이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조정하는 장력조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용 테이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정수단은,
    상기 드럼의 주변에 설치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레버;
    상기 레버의 일단에 설치된 웨이트; 및
    상기 레버에 연결되고서 상기 드럼으로부터 연장하는 상기 와이어 상에 놓여, 상기 웨이트의 하중을 상기 와이어로 전달하는 텐션롤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용 테이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에는 상기 이동판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접촉센서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용 테이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수단은,
    지지브라켓을 갖춘 본체;
    신축 가능한 작동로드를 갖추고서 상기 본체에 장착된 제2액츄에이터; 및
    상기 지지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서 상기 작동로드와 접촉하여 상기 작동로드의 신축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블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용 테이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블록의 타측에는 경사면을 갖추어, 상기 경사면이 상기 이동판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용 테이블 장치.
KR1020160165184A 2016-12-06 2016-12-06 프레스용 테이블 장치 KR101879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184A KR101879063B1 (ko) 2016-12-06 2016-12-06 프레스용 테이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184A KR101879063B1 (ko) 2016-12-06 2016-12-06 프레스용 테이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831A true KR20180064831A (ko) 2018-06-15
KR101879063B1 KR101879063B1 (ko) 2018-07-16

Family

ID=62628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5184A KR101879063B1 (ko) 2016-12-06 2016-12-06 프레스용 테이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90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33510A (zh) * 2022-03-30 2022-06-17 上海星舆科技有限公司 一种免石墨化处理的负极生产线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0346B1 (ko) * 2019-05-29 2021-01-11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레이저 가공용 테이블 고정장치
KR102133572B1 (ko) * 2019-05-29 2020-07-14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레이저 가공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4464Y1 (ko) * 2000-02-17 2000-09-01 강순향 멤브레인 프레스장치
KR200358716Y1 (ko) * 2004-05-17 2004-08-12 중앙후렌지공업(주) 펀치 프레스기
KR20140064200A (ko) * 2012-11-19 2014-05-28 현대위아 주식회사 프레스의 무빙볼스터용 리프팅 실린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882B1 (ko) * 2008-02-20 2010-03-24 김영식 프레스의 이송테이블 지지구조
KR20140010249A (ko) * 2012-07-16 2014-01-24 이용기 자가 이동이 가능한 단일 동력 리프트
KR101431117B1 (ko) * 2012-12-21 2014-09-24 주식회사 포스코 롤러 테이블의 소재 정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4464Y1 (ko) * 2000-02-17 2000-09-01 강순향 멤브레인 프레스장치
KR200358716Y1 (ko) * 2004-05-17 2004-08-12 중앙후렌지공업(주) 펀치 프레스기
KR20140064200A (ko) * 2012-11-19 2014-05-28 현대위아 주식회사 프레스의 무빙볼스터용 리프팅 실린더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33510A (zh) * 2022-03-30 2022-06-17 上海星舆科技有限公司 一种免石墨化处理的负极生产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9063B1 (ko) 2018-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9063B1 (ko) 프레스용 테이블 장치
JP2853284B2 (ja) 輸送用キャリッジ
JP6014677B2 (ja) シザー型リフトテーブル
KR101654728B1 (ko) 블라인드의 원단 절단용 커터 장치
JP2002544094A (ja) シザーズ型リフトテーブル
KR100963790B1 (ko) 스트립 이송 테이블 장치
KR100811764B1 (ko) 차량용 타이어 적재장치
JPH08239149A (ja) 巻付け具用の保持台およびシートを処理する処理装置
JP5688600B2 (ja) 巻線導体供給装置
KR101917433B1 (ko) 코일 지지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밴딩장치
US20240083155A1 (en) Assembly for producing a corrugated cardboard web laminated on one side
KR101617039B1 (ko) 케이블 드럼 포설장치
KR20170122884A (ko) 사다리차의 적재대 슬라이드장치
JP7206409B2 (ja) 印刷機における印刷ユニットのロール用ハンドリングキャリッジ
JPH0558521A (ja) 巻取りロールのための繰出し装置
KR20190076336A (ko) 전기 강판 슬리브 인입 장치
EP1914018B1 (en) Metallic wire unwinding apparatus
KR20220074554A (ko) 고중량 전동기 핸들링 장치
KR100419649B1 (ko) 텐션릴 슬리브 인입장치
JP6259008B2 (ja) コイルリフター
KR100475657B1 (ko) 권취장치
KR20000012941U (ko) 스트립퍼 카의 코일 클램핑장치
KR102437534B1 (ko) 롤 코일의 평탄도 포밍장치
KR102324193B1 (ko) 코일 텔레스코프 교정장치
KR101417511B1 (ko) 소재 위치 교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