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2906A -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 - Google Patents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2906A
KR20180062906A KR1020160163115A KR20160163115A KR20180062906A KR 20180062906 A KR20180062906 A KR 20180062906A KR 1020160163115 A KR1020160163115 A KR 1020160163115A KR 20160163115 A KR20160163115 A KR 20160163115A KR 20180062906 A KR20180062906 A KR 20180062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door
swing lever
center
detachable member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3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0821B1 (ko
Inventor
최병노
재복 강
Original Assignee
최병노
재복 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노, 재복 강 filed Critical 최병노
Priority to KR1020160163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0821B1/ko
Publication of KR20180062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2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0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0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02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controlled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 E05F1/006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controlled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by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swinging ar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등의 비상상황 발생시 방화문을 자동으로 폐쇄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신호가 감지되면 방화문을 자동으로 폐쇄시켜 유독 가스와 연기 화염등이 확산되지 않도록 제연구역을 확보하여 인명피해를 줄이기 위해 발명된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내부에 솔레노이드가 장착되어 전기에너지를 사프트의 직선운동에너지로 변환시켜며 상기 샤프트의 직선운동으로 스윙 레버가 가동지점을 중심으로 요동운동하면서 지지체 상면 안내홈의 내외로 착탈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화재 발생시 방화문을 자동으로 폐쇄하여 유독 가스와 연기 화염등이 확산되지 않도록 제연구역을 확보할 수 있는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Automatic closing device for fire door}
본 발명은 화재 등의 비상상황 발생시 방화문을 자동으로 폐쇄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신호가 감지되면 방화문을 자동으로 폐쇄시켜 유독 가스와 연기 화염등이 확산되지 않도록 제연구역을 확보하여 인명피해를 줄이기 위해 발명된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축물은 고층화, 심층화, 대형화, 다양한 용도의 복합화에 따라 위험성이 증대되고, 화재 시 인명과 재산피해가 커지고 있다. 따라서 방화구획 설계 및 관리를 강화하여 화재의 확산을 줄이고, 피난 안전성의 확보가 필요하다. 그 중에서 방화문은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고 피난 또는 통행을 위하여 필수적인 요소이다.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르면, 도어클로저가 부착된 상태에서 방화문을 작동하는데 필요한 힘은 문을 열 때 133N 이하, 완전 개방한 때 67N 이하를 유지하여야 하며 아파트의 특별피난계단 계단실과 부속실 사이에 설치되는 방화문에는 소방용품에 대한 성능인증을 받은 자동폐쇄장치를 적용하여야 한다. 특히 아파트인 경우 제연구역과 계단실 사이의 출입문은 자동폐쇄장치에 의하여 자동으로 닫히는 구조로 하여야 한다.
현재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도어클로저의 폐쇄장치는 대부분 내부에 구동모터를 장착하여 전기에너지로 구동모터를 정방향 혹은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구조이다. 이는 구동모터의 회전위치를 결정하고 회전위치를 인지하기 위해서 두 개 이상 다수개의 감지부, 즉 스위치부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구동회로 또한 복잡해지는 등, 구성이 복잡하고 고장율이 높아서 높은 비용의 A/S가 발생하는 문제점과 여러 공정과정을 거쳐며 제조 및 시공단가가 상승하여 가격이 비싸게 형성되어 있어 노후된 건물에 교체시공이 어렵거나 영세 건축업자들이 시공을 꺼려해 화재 발생시 방화문 폐쇄가 이루어지지 않아 소중한 인명피해를 유발하는 큰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내부에 솔레노이드가 장착되어 전기에너지를 사프트의 직선운동에너지로 변환시켜며 상기 샤프트의 왕복작동으로 스윙 레버가 가동지점을 중심으로 요동(搖動)됨으로써 방화문을 자동으로 폐쇄하여 유독 가스와 연기 화염 등이 확산되지 않도록 제연구역을 확보할 수 있으며, 복잡한 구성부와 구동모터부 등이 배제되어 구성되어져 고장이 없고 아주 낮은 제조단가로 공급하여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에 의한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는 조절부가 축을 중심으로 암대와 힌지 체결되고 상기 조절부상에 형성된 걸림홈에 결합되는 걸림부재와 상기 걸림부재와 밀착되어 지지하는 스틱이 압축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압축스프링과 지지체가 결합형성된다.
상기 지지체의 경우, 상면에 아치형상의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면에 복귀스프링과 밀착되어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는 전원에서 인가되는 전기에너지를 사프트의 직선운동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솔레노이드가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샤프트의 직선운동 범위내에 스윙 레버의 일측이 구비되어 형성된다.
상기 스윙 레버는 가동지점을 축으로 하여 일정범위 내에서 요동(搖動)운동을 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스윙 레버의 일측이 상기 솔레노이드(210) 작동범위내인 구비되어 솔레노이드 작동으로 샤프트에 접촉되어 아래로 이동될 때 스윙 레버의 타측에 형성된 착탈부재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위로 이동하는 것이다. 상기한 스윙 레버의 타측에 형성된 착탈부재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상기 지지체 상면 안내홈의 내외로 착탈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샤프트에 의해 스윙 레버의 일측이 아래로 이동될 때 스윙 레버의 타측에 형성된 착탈부재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상기 지지체 상면에 위치한 안내홈 밖으로 빠져나와 위로 이동되는 구조이다.
상기 안내홈은 홈부와 챔퍼부로 형성되되, 상기 홈부는 상기 착탈부재와 같은 중심점을 갖는 동심원상에서 연속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착탈부재의 반지름과 같은 곡률반경을 가지며 열호(劣弧, minor arc)의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회동되는 착탈부재의 외주면과 맞닿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와 같이 홈부는 열호(劣弧, minor arc)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안내홈에서 착탈부재가 회동하면서 이탈되기 용이한 구조로 만약 반원이상의 원호인 우호(優弧, major arc)로 형성될 경우 상기 착탈부재의 이탈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탈하기 위해 아주 큰 힘이 필요한 것이다.
이 때, 상기 착탈부재의 이탈시 상기 지지체가 뒤로 밀려가지 않고 수월하게 이탈하기 위해서 상기 안내홈의 타측면에 챔퍼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챔퍼부는 상기 스윙레버의 가동지점(311)을 중심으로 상기 가동기점(311)중심과 N까지의 거리(CR2.)를 반지름으로 한 곡률에 대해 0mm ~ 3mm이하로 덜 깍이는 곡률면이 상기 안내홈(412) 타측면 상에서 테이퍼(taper)로 형성된다.
즉, 상기 스윙 레버의 가동기점 중심과 착탈부재의 회전축 중심을 일직선으로 연결한 연장선(이하 CE1. 이라 한다)과 착탈부재의 외주면과의 교점을 N으로 두었을때, 상기 챔퍼부는 상기 스윙레버 가동기점의 동심원상에 형성되되, 가동기점 중심과 N까지의 거리(이하 CR2. 라 한다)가 곡률반경이며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곡률면의 구조이다.
상기 챔퍼부(chamfer part)의 곡률면은 상기 착탈부재의 회전축 중심과 스윙레버의 가동기점 중심을 일직선으로 연결한 연장선(CE1.)과 90°이하의 각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되어 솔레노이드(210)에서 인가되는 힘의 크기가 아주 작아지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에 의하면, 일측에 솔레노이드가 장착되어 샤프트의 직선운동으로 스윙 레버의 요동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로 복잡한 구성품과 구동모터부를 배제하여 제작됨으로써 고장율을 줄이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고 아주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가능하여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지지체 상면에 형성된 안내홈의 타측면에 형성된 챔퍼부의 곡률면과 상기 착탈부재 회전축의 중심과 상기 스윙레버의 가동기점 중심을 일직선으로 연결한 연장선(CE1.)과 90°이하의 각으로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아주 약한 힘만으로 방화문의 폐쇄장치가 구동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의 내부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의 평상시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작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의 화재시 폐쇄상태를 나타내는 작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의 챔퍼부와 착탈부재 회전축과 스윙레버의 가동기점의 위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식도
도 5는 화재발생시 본 발명에 의한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의 챔퍼부와 착탈부재 회전축과 스윙레버의 작동순서도
도 6은 챔퍼부가 없는 자동폐쇄장치의 작동실시예
도 7a는 도 4의 A구간이 90°이하인 경우의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의 챔퍼부와 착탈부재 회전축과 스윙레버의 가동기점의 위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식도
도 7b는 도 4의 A구간이 90°초과된 경우의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의 챔퍼부와 착탈부재 회전축과 스윙레버의 가동기점의 위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식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10)는 화재 등 비상상황 발생시 방화문을 자동으로 폐쇄되게 하여 유독 가스와 연기 화염 등이 확산되지 않게 제연구역을 확보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10)는 조절부(750)가 축을 중심으로 암대(800)와 힌지 체결되고 상기 조절부(750)상에 형성된 걸림홈(740)에 결합되는 걸림부재(620)와 상기 걸림부재(620)와 밀착되어 지지하는 스틱(630)이 압축스프링(510)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압축스프링(510)은 지지체(410)의 타단에 배치되어 연동되는 구조이다.
상기 지지체(410)의 경우, 아래로 오목한 아치(arch)형상의 안내홈(413)이 상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면은 복귀스프링(520)과 밀착되어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조절부(750)가 축을 중심으로 암대(800)와 힌지체결되어 회전가능하고, 상기 암대(800)의 타측은 방화문과 연결되어(미도시) 본 발명에 의한 자동폐쇄장치 (10)는 방화문과 함께 상호 연동되도록 한다.
상기 조절부(750)와 축으로 힌지 체결되는 암대(800)의 일측은 서로 세레이션(serration)을 각각 형성하여, 서로 연동함에 있어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방화문을 밀어 열어서 개방각이 설정되었을 때는 조절부(750)의 걸림홈(740)으로 걸림부재(620)가 삽입된 상태로 형성되는 구조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10)는 전원에서 인가되는 전기에너지를 사프트(212)의 직선운동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솔레노이드(210)가 내부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솔레노이드(210) 작동범위내인, 상기 샤프트(212)의 직선운동 범위내에 스윙 레버(310)의 일측이 구비되어 형성된다.
상기 스윙 레버(310)는 가동지점(311)을 회전중심축으로 하여 일정범위 내에서 요동(搖動)운동을 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스윙 레버(310)의 일측이 샤프트(212)에 접촉되어져, 아래로 이동될 때 스윙 레버(310)의 타측에 장착된 착탈부재(320)가 회전축(322)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위로 이동하는 것이다. 상기한 스윙 레버(310)의 타측에 장착된 착탈부재(320)는 회전축(322)을 중심으로 회동함과 동시에 상기 스윙 레버(310)의 가동지점(311)을 중심축으로 위아래로 요동(搖動)운동을 하면서 상기 지지체(410) 상면에 위치한 안내홈(412) 내외로 착탈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샤프트(212)에 의해 스윙 레버(310)의 일측이 아래로 이동될 때 스윙 레버(310)의 타측에 장착된 착탈부재(320)는 회전축(322)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상기 지지체(410) 상면에 위치한 안내홈(412) 밖으로 빠져나와 위로 이동되는 구조이므로 상기 솔레노이드(210)의 작은 힘으로도 상기 안내홈(412) 밖으로 상기 착탈부재(320)가 이탈되며 방화문이 폐쇄작동되는 것이다.
상기 안내홈(412)은 홈부(414)와 챔퍼부(413)로 형성되되, 상기 홈부(414)는 상기 착탈부재(320)와 같은 중심점을 갖는 동심원상에서 연속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착탈부재(320)의 반지름과 같은 곡률반경을 가지며 열호(劣弧, minor arc)의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회동되는 착탈부재(320)의 외주면과 맞닿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와 같이 홈부(414)는 열호(劣弧, minor arc)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안내홈(412)에서 착탈부재(320)가 회동하면서 이탈되기 용이한 구조로, 만약 반원이상의 원호인 우호(優弧, major arc)로 형성될 경우 상기 착탈부재(320)의 이탈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탈하기 위해 아주 큰 힘이 필요한 것이다.
이 때, 상기 착탈부재(320)의 이탈시 상기 지지체(410)가 뒤로 밀려가지 않고 수월하게 이탈하기 위해서 상기 안내홈(412)의 타측면에 챔퍼부(413)가 형성된다.
상기 스윙 레버(310)의 가동지점(311) 중심과 착탈부재(320)의 회전축(322) 중심을 일직선으로 연결한 연장선(CE1.)과 착탈부재(320)의 외주면과의 교점을 N으로 두었을 때, 상기 챔퍼부(413)는 상기 스윙 레버(310) 가동기점(311)의 동심원상에 형성되되, 가동기점(311)중심과 N까지의 거리(CR2.)가 곡률반경이며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곡률면의 구조이다.
즉, 상기 가동지점(311)을 중심으로 가동기점(311)중심과 N까지의 거리(CR2.)를 반지름으로 한 곡률을 따라 상기 안내홈(412) 타측면 상에서 테이퍼(taper)가 형성된 구조로 상기 챔퍼부(413)가 구비된다.
이 때, 상기 가동지점(311)을 중심으로 가동기점(311)중심과 N까지의 거리(CR2.)를 반지름으로 한 곡률보다 테이퍼가 많이 덜 깍인 상태로 챔퍼부(413)가 형성될 경우, 상기 착탈부재(320)가 상기 지지체(410)를 뒤로 밀면서 이탈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동지점(311)을 중심으로 가동기점(311)중심과 N까지의 거리(CR2.)를 반지름으로 한 곡률보다 테이퍼가 더 많이 깍인 상태로 챔퍼부(413)가 형성될 경우, 챔퍼부(413)와, 착탈부재(320)의 회전축(322) 중심 및 스윙 레버(310)의 가동기점(311) 중심을 일직선으로 연결한 연장선(CE1.)이 90°를 초과하는 각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평상시 상황인 상기 스윙 레버(310)의 일측에 힘이 인가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상기 착탈부재(320)가 상기 안내홈(412)에서 이탈가능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10)의 챔퍼부(413)는 상기 안내홈(412) 타측면 상에서, 상기 가동지점(311)을 중심으로 가동기점(311)중심과 N까지의 거리(CR2.)를 반지름으로 한 곡률에 대해 0mm ~ 3mm이하로 덜 깍이는 곡률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10)는 상기 챔퍼부(413)의 곡률면이 상기 착탈부재(320)의 회전축(322) 중심과 스윙 레버(310)의 가동기점(311) 중심을 일직선으로 연결한 연장선(CE1.)과 90°이하의 각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되어 솔레노이드(210)에서 인가되는 힘의 크기가 아주 작아지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10)의 일실시예를 보면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체(410) 상면에 위치한 안내홈(412)의 타측면은 오목한 곡률면으로 이루어진 챔퍼부(chamfer part)(413)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서, 상기 착탈부재(320)가 상기 안내홈(412) 외부로 이탈회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지지체(410)가 뒤로 밀리는 현상없이 이동되어, 상기 솔레노이드(210)의 작은 힘만으로도 압축스프링(510)이 일측으로 이동하여 걸림부재(620)가 걸림홈(740) 밖으로 빠져나와 방화문이 자동으로 폐쇄되는 구조이다.
상기 스윙 레버(310)의 가동지점(311) 중심과 착탈부재(320)의 회전축(322) 중심을 일직선으로 연결한 연장선(이하 CE1. 이라 한다)과 착탈부재(320)의 외주면과의 교점을 N으로 두었을 때, 상기 챔퍼부(413)는 상기 스윙 레버(310) 가동기점(311)의 동심원상에 형성되되, 가동기점(311)중심과 N까지의 거리(이하 CR2. 라 한다)가 곡률반경이며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곡률면의 구조이다.
즉, 상기 가동지점(311)을 중심으로 가동기점(311)중심과 N까지의 거리(CR2.)를 반지름으로 한 곡률에 대해 0mm ~ 3mm이하로 덜 깍이는 곡률면이, 상기 안내홈(412) 타측면 상에서, 테이퍼(taper)로 형성되어져 상기 챔퍼부(413)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상기 챔퍼부(413)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스윙 레버(310)의 일측에 아주 작은 힘(F)만 인가되더라도 스윙 레버(310)가 기동기점(311)을 중심으로 요동운동을 하면서 상기 착탈부재(320)가 상기 안내홈(412) 외부로 쉽게 이탈되는 구조로서, 방화문이 자동으로 폐쇄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10)내에 사용되는 솔레노이드 (210)의 샤프트(212) 직선왕복운동만으로도 충분한 힘(F)이 되는 구조이다.
상기 지지체(410)상 안내홈(412)의 타측면에 챔퍼부(413)가 형성되지 않고, 상기 착탈부재(320)와 같은 중심점을 갖는 동심원상에서 연속 곡률을 갖으며 착탈부재(320)의 반지름과 같은 곡률반경으로 형성된 홈부(414)가 상기 타측면까지 형성된 경우,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재발생 등으로 방화문이 자동폐쇄될 때, 상기 착탈부재(320)가 상기 안내홈(412) 외부로 이탈회동하기 위해서는 상기 지지체(410)가 압축스프링(510)의 큰 힘에 저항하여 B구간만큼 뒤로 밀려나간 후에 이탈되는 것이다.
이 경우, 홈부(414)가 열호구조로 형성되어 있더라도 상기 압축스프링(510)의 힘을 이기고 상기 지지체(410)를 뒤로 밀기 위해서는 상기 스윙 레버(310)의 일측에 아주 큰 힘(F')을 인가하여야 하는 것으로 이는 본 발명에 의한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10) 내에 사용되는 솔레노이드(210)의 샤프트(212) 직선운동만으로는 바람직하지 않은 것이다.
또한, 상기 안내홈(412) 타측면에 형성된 챔퍼부(413)의 곡률면과, 상기 착탈부재(320)의 회전축(322) 중심과 스윙레버(310)의 가동지점(311) 중심을 일직선으로 연결한 연장선이 이루는 사잇각 구간(A구간)(이하, A구간이라 함.)은 90°이하의 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A구간이 90°이하의 각으로 설정되게 되면, 방화문의 개방각 설정이 자유로운 평상시 상황에서 상기 스윙 레버(310)의 일측에 힘이 인가되지 않는 한 상기 착탈부재(320)는 상기 안내홈(412)에서 이탈되지 않는 구조인 것이다. 즉, 상기 압축스프링(510)에서 상기 지지체(410)를 향해 일측방향으로 작용되는 탄성력과 상기 안내홈(412)에 가동지점(311)을 중심으로 끼워져 고정된 착탈부재(320)의 고정력이 평형을 이루는 구조이다.
하지만, 도 7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A구간이 90°가 초과되어 형성되게 되면, 평상시 상황인 상기 스윙 레버(310)의 일측에 힘이 인가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상기 착탈부재(320)가 상기 안내홈(412)에서 이탈가능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10 :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
210 : 솔레노이드
212 : 샤프트
310 : 스윙레버
311 : 가동지점
320 : 착탈부재
322 : 회전축
330 : 탄성부재
410 : 지지체
412 : 안내홈
413 : 챔퍼부(chamfer part)
414 : 홈부
510 : 압축스프링
520 : 복귀스프링
620 : 걸림부재
630 : 스틱
740 : 걸림홈
750 : 조절부
800 : 암대
N : CE1.과 착탈부재 외주면과의 교점
CR2. : 가동기점 중심과 N까지의 거리

Claims (3)

  1.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에 있어서,
    솔레노이드(210)가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솔레노이드(210)의 작동 범위내에 요동운동 가능한 스윙 레버(310)의 일측이 구비되며 스윙 레버(310)의 타측에 부착된 착탈부재(320)가 회동하며 지지체(410)의 안내홈(412) 밖으로 이탈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안내홈(412) 타측면에 형성된 챔퍼부(413)는 안내홈(412)상에서, 상기 스윙 레버(310)의 가동지점(311)을 중심으로 가동기점(311)중심과 N(가동지점 중심과 착탈부재 회전축 중심을 일직선으로 연결한 연장선과 착탈부재의 외주면과의 교점)까지의 거리를 반지름으로 한 곡률에 대해 0mm ~ 3mm이하로 덜 깍이는 곡률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솔레노이드(210)의 작은 힘으로 방화문이 자동폐쇄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챔퍼부(413)의 곡률면과 상기 착탈부재(320)의 회전축(322) 중심과 스윙 레버(310)의 가동기점(311) 중심을 일직선으로 연결한 연장선 이루는 사잇각구간(A구간)이 90°이하의 각으로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412)의 홈부(414)는 상기 착탈부재(320)의 동심원상에서 착탈부재(320)의 반지름과 같은 곡률반경을 가지며 열호 구조로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
KR1020160163115A 2016-12-01 2016-12-01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 KR101880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115A KR101880821B1 (ko) 2016-12-01 2016-12-01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115A KR101880821B1 (ko) 2016-12-01 2016-12-01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906A true KR20180062906A (ko) 2018-06-11
KR101880821B1 KR101880821B1 (ko) 2018-07-20

Family

ID=62603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3115A KR101880821B1 (ko) 2016-12-01 2016-12-01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082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6383Y2 (ko) * 1983-09-08 1992-08-27
JP2005016092A (ja) * 2003-06-25 2005-01-20 Nakanishi Eng:Kk 扉の閉鎖保持装置
KR101442922B1 (ko) * 2012-12-19 2014-09-23 재복 강 도어클로저 폐쇄장치
KR101678144B1 (ko) * 2016-07-07 2016-11-21 주식회사 화창기업 듀얼 슬라이딩부를 갖는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05923B1 (de) * 2007-12-21 2009-05-15 Knorr Bremse Gmbh Verriegelungsvorrichtung einer tür
KR101453211B1 (ko) * 2013-10-11 2014-10-22 오맹수 방화문 자동 폐쇄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6383Y2 (ko) * 1983-09-08 1992-08-27
JP2005016092A (ja) * 2003-06-25 2005-01-20 Nakanishi Eng:Kk 扉の閉鎖保持装置
KR101442922B1 (ko) * 2012-12-19 2014-09-23 재복 강 도어클로저 폐쇄장치
KR101678144B1 (ko) * 2016-07-07 2016-11-21 주식회사 화창기업 듀얼 슬라이딩부를 갖는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0821B1 (ko) 2018-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8079B1 (ko) 환기 및 소방 겸용 댐퍼를 갖는 제연설비
KR101638406B1 (ko) 빌딩의 화재 확산지연을 위한 제연 시스템
KR101524344B1 (ko) 여닫이창문 개폐장치
KR101880821B1 (ko)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
KR100846747B1 (ko) 안전 게이트 유닛
KR101629176B1 (ko) 창문 개폐장치용 클러치 조립체
KR101442922B1 (ko) 도어클로저 폐쇄장치
KR20110125727A (ko) 도어 힌지
KR20130118037A (ko) 여닫이창문 개폐장치
KR200376430Y1 (ko) 건축용 슬라이드 도어의 전동 개폐장치
KR20120043321A (ko) 방화문용 도어클로저의 폐쇄력 보충장치
KR101331033B1 (ko) 과압배출장치
KR101812506B1 (ko) 제연구역 내 도어클로저 폐쇄력 보조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CN208056892U (zh) 一种木质隔热防火门用合页
JPH08126714A (ja) 自動閉鎖装置つきドアクローザー
CN107750180B (zh) 阻尼器用开闭器
KR101225960B1 (ko) 화재시 문을 자동으로 닫히게 하는 캠기어를 이용한 구동장치
KR101177994B1 (ko) 제연구역 내 도어클로저 닫힘에 대한 부분 가력장치
KR101145843B1 (ko) 방화도어용 이중 잠금장치
KR20170142138A (ko) 제연구역 내 도어클로저 폐쇄력 보조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JP6039319B2 (ja) 開き窓の開度規制装置
CN208416251U (zh) 一种电子式泄爆窗
KR20170115677A (ko) 방화문용 폐쇄력 보조장치
CN205477018U (zh) 一种降噪合页
KR100866263B1 (ko) 방화문용 자동개폐 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