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3211B1 - 방화문 자동 폐쇄 장치 - Google Patents

방화문 자동 폐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3211B1
KR101453211B1 KR1020130121459A KR20130121459A KR101453211B1 KR 101453211 B1 KR101453211 B1 KR 101453211B1 KR 1020130121459 A KR1020130121459 A KR 1020130121459A KR 20130121459 A KR20130121459 A KR 20130121459A KR 101453211 B1 KR101453211 B1 KR 101453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door
positioning unit
door
protrusion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1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맹수
Original Assignee
오맹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맹수 filed Critical 오맹수
Priority to KR1020130121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32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3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3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smoke or ga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클렌져와 연결되는 아암의 단부측에 연동 결합 되는 회동자, 상기 회동자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부와, 상기 위치결정부가 내합되며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하는 커버플레이트와, 케이스에 회동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위치결정부의 단턱면에 위치되고 타단은 연장되며 외면에 경사면을 갖는 레버와, 상기 위치결정부 하단의 돌기를 탄지하는 지지스프링과, 일측에는 회전축에 의해 지지되며 회동가능하도록 하되 회전축 하단부에 걸림홈을 형성하고 타측 상부에는 복귀스프링이 상기 커버플레이트와 연결되도록 하고, 내부에는 스프링과 핀이 탄지되어 상기 레버의 경사면을 지지하도록 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회전축 하단의 걸림홈에 결합되는 걸림구를 갖으며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회동링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아파트와 같은 대형 공동주택에서 화재 등 긴급한 상황이 발생되었을 때 화염이나 연기등이 공동주택 내부로 확산 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방화문 작동이 신속하면서도 원할히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방화문 자동 개폐장치가 작동불능등의 현상이 발생되었다 하더라도, 대피자에 의한 작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대피자의 안전이 확보될 수 있는 효과와, 방화문 자동개폐장치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오작동이나 불능 상태에서도 유사시 방화문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화문 자동 폐쇄 장치{A fire door automatic movement closing equipment}
본 발명은 원룸이나 오피스텔,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 등 건축물의 각 출입구나 방화문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과 같은 긴급 상황의 감지시 방화문을 물리적으로 자동 폐쇄하여 화재 영역으로부터 생성되는 연소가스, 연기, 화염 등이 공동통로인 복도나 대피 계단 등으로 유입되는 것을 예방하여, 복도를 통한 안정된 피난이 가능하도록 하되 잦은 고장이 발생 되지 않도록 구성하여 유사시 오작동 또는 작동불능 등으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화문 자동 폐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구조물에는 출입을 위한 통로가 구비되는데 특히 많은 사람들이 건물내에 상주하게 되는 빌딩이나, 아파트 등과 같은 대형 건축물의 경우에는 엘리베이터와 비상계단 및 복도 등 여러 통로가 서로 연통 되는 구조를 갖추게 된다.
따라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이들 통로들을 통해 화염과 연기 등이 급속히 건물 전체로 퍼져나가게 되어 대형 화재 참사로 이어질 우려가 대단히 높은데, 실질적으로 아파트 등에서 발생 된 많은 화재 사고에서 이들 통로를 통해 화염이 번지거나 연기가 퍼져 질식사 등의 대형 화재 참사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건물의 통로, 특히 빌딩이나 아파트와 같은 대형 집단 주거 건물에서는 각종 출입문과 각 통로의 경계부 등에 유사시 화재의 확산을 억제 내지는 지연시키기 위해 공간을 차단시키는 방화문을 의무적으로 설치하도록 규제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방화문은 이용자들의 편의를 위해 평상시에는 개방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고 화재 발생시 자동으로 닫혀지는 구조를 갖게 되는데, 이를 위해 방화문에는 도어를 자동으로 닫아주기 위한 장치가 구비되고, 화재감지수단의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도어릴리즈와 같은 고정해제수단이 벽면에 구비되고, 도어를 자동으로 닫아주기 위한 장치로는 도어클로저(Door Closer)와 오토힌지 등의 장치를 주로 사용하여 방화문을 개방상태로 위치 고정한 상태에서 화재발생시 고정을 해제시키는 도어릴리즈가 벽면에 설치되는 통상의 구조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부터 더욱 진보된 구성으로 오토힌지를 도어에 내장시키고 도어클로저의 경우 신규설치와 기설치된 문에 장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구성을 갖도록 하는 예도 있으며, 근래에는 방화문을 개방상태로 위치 고정시키고 화재 발생시 그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고정해제수단을 벽면에 설치하지 않고 도어클로저에 직접 장착하여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들이 다수 제공되는 추세에 있다.
예를 들어, 국내 특허등록번호 제10-0567769호와,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32692호 및 제20-0410354호 등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이들 기술들은 단순히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도어클로저의 상부나 도어클로저를 문틀에 연결하는 연결링크 또는 도어클로저와 별도로 문틀프레임에 설치하는 것으로, 여전히 설치가 번잡할 뿐 아니라 관이 취약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의 해소를 위한 것으로 "일단이 연결링크를 통해 문틀프레임에 연결되어 방화문의 개폐에 의해 정,역으로 회전되는 회전축을 구비하고 유압에 의해 방화문을 닫아주는 도어클로저와, 도어클로저의 회전축 타단에 전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방화문의 개폐에 따라 수평으로 왕복 이동하는 슬라이딩 걸고리유닛과, 슬라이딩 걸고리유닛의 이동방향 일측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방화문의 개방시 슬라이딩 걸고리유닛을 로킹하여 슬라이딩 걸고리유닛과 함께 이동하며 연기감지신호에 의해 슬라이딩 걸고리유닛의 로킹을 해제하는 슬라이딩 도어릴리즈와, 방화문의 개방에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딩 도어릴리즈를 방화문의 개방완료 위치에 고정시켜 주는 도어릴리즈 고정수단 및 연결링크를 제외한 상기 구성요소 전체를 내장하여 방화문에 부착되는 케이싱"을 갖는 특허공개 10-2010-0004361 호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 전술한 문제점 등은 해소 가능할 수 있으나, 래크와 피니언에 의해 연동 되는 링크가 방화문과 연결되고, 상기 링크의 작동을 위한 도어릴리즈와 걸고리유닛 등의 구성수단들이 결합하여 구성되는데, 걸고리유닛과 슬라이딩도어릴리즈의 구조가 다소 복잡하여 복잡한 구성으로부터의 오작동 및 잔고장 등이 발생 되었을 때, 관리소에서 제어를 하여 방화문을 자동개폐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도어 폐쇄 기능을 실행할 수 없어 인명피해를 늘이게 되는 문제점은 존재한다.
특히나 래크와 피니언과 같이 치차결합에 의해 방화문 조작을 하게 될 경우 장시간 사용을 잘 하지 않는 방화문의 특성을 고려하였을 때 래크와 피니언간 치차 사이에 불순물이나 먼지 등 이물질이 쌓여 고착화되는 경우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방화문 또는 출입문 자동폐쇄장치는 내부가 비교적 복잡하여 제작상의 어려움이 있었고, 다수의 부품 조립에 의해 상호 연결 결합되는 구조를 갖추고 있어, 설치 후 잔고장, 작동오류, 작동불능 등의 문제를 일으키는 사례가 빈번하였음은 물론이다.
국내 특허등록번호 제10-0567769호 국내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32692호 국내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10354호 국내 특허공개 10-2010-0004361 호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방화문의 자동폐쇄장치의 잔고장 등이 발생 되지 않도록 하여 방화문 폐쇄장치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하되, 유사시 방화문 작동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방화문 폐쇄장치가 작동 불능일 경우 대피자에 의해 방화문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여 대피 상황에서 신속한 대피 후 방화문 폐쇄가 인위적으로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어클렌져와 연결되는 아암의 단부측에 연동 결합 되되 외주면 일측에 위치홈이 형성되는 회동자,
상기 회동자의 위치홈에 삽입되는 돌부를 이루고 하단측 평면부에는 단턱면을 이루고 하단부측에 돌기가 형성되는 위치결정부와,
상기 위치결정부가 내합되는 상태에서 케이스에 고정되며 내부에서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하는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케이스에 회동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위치결정부의 단턱면에 위치되고 타단은 연장되며 외면에 경사면을 갖는 레버와,
상기 위치결정부 하단의 돌기를 탄지하는 지지스프링과,
일측에는 회전축에 의해 지지되며 회동가능하도록 하되 회전축 하단부에 걸림홈을 형성하고 타측 상부에는 복귀스프링이 상기 커버플레이트와 연결되도록 하고, 내부에는 스프링이 탄설되어 스프링 하단으로 핀이 탄지되어 상기 레버의 경사면을 지지하도록 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회전축 하단의 걸림홈에 결합되는 걸림구를 갖으며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회동링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아파트와 같은 대형 공동주택에서 화재 등 긴급한 상황이 발생되었을 때 화염이나 연기등이 공동주택 내부로 확산 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방화문 작동이 신속하면서도 원할히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방화문 자동 개폐장치가 작동불능등의 현상이 발생되었다 하더라도, 대피자에 의한 작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대피자의 안전이 확보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화문 자동개폐장치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오작동이나 불능 상태에서도 유사시 방화문 작동이 자유롭도록 하여 재난 발생시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화문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구성의 일예를 도시한 장치에서 덮개를 분리한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2에 의한 본 발명의 구성을 각각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방화문의 도어클렌져와 연결되는 아암 및 그로부터 연결되어 있는 본 발명에서의 회동자간 연결 상태와, 본 발명을 이루는 내부 구조의 각 구성의 상호 연결상태를 개괄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의 모터 구동에 의해 각 구성요소들의 작동 관계를 도시한 개괄적 평면도
도 5는 도 4에 의해 본 발명에서의 회동자측으로 전달되는 아암의 힘에 의해 상기 회동자가 회전 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것과 같이 방화문을 자동 개폐하기 위한 폐쇄장치를 제공하되, 유사시에 원격제어에 의해 방화문의 작동이 원할히 이루어지도록 구성을 간단히 함은 물론, 원격제어가 불가능하게 되거나 또는 오작동이나 작동불능 상태에 있을 때 대피자에 의해 방화문을 강제로 작동시켜 안전적 대피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방화문 자동폐쇄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첨부하는 도면 도 1에서 보는 것과 같이 일정한 형태를 갖으며 구성요소가 내부에 구비되기 위한 케이스(1)가 존재하고, 상기 케이스(1)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방화문에 장착되는 도어클렌져와 연결되는 아암(10)의 일단이 연결되도록 하는 회동자(100)와, 상기 회동자(100)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부(200)와, 상기 위치결정부(200)를 연동시켜 상하 승하강 가능하도록 하는 레버(300)와, 상기 레버(300)를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몸체(400)와, 상기 몸체(400)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회동링크(500) 및 상기 회동링크(500)를 구동시키는 모터(600)로 구성되어, 상기한 구성요소들이 상기 케이스(1)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회동자(100)는 도시한 도면 도 1에서 보는 것과 같이, 방화문과 연결되는 아암(10)의 일단측과 연동되도록 하는 구성을 갖게 된다.
도면에서 보듯이 회동자(100)의 외주면 일측에는 위치홈(110)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위치홈(110)으로는 후술하게 되는 돌부()를 갖는 위치결정부(200)의 상하 승강 여부에 따라 상기 위치홈(110)으로부터 상기 돌부(210)가 탈락되어 회동자(100)의 회동이 자유롭도록 하거나 또는 위치홈(110)으로 돌부(210)가 삽입되어 회동자(100)의 회동을 제어하여 방화문의 개방 또는 닫힘 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대피자에 의해 강제로 회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위치결정부(200)는 후술하게 되는 모터(600)의 구동에 의해 회동되는 회동링크(500)의 동작에 따라 연동하여 회동되는 몸체(400), 상기 몸체(400)의 회동에 따라 회동되는 레버(300) 및 그 레버(300)의 회동에 따라 일측과 접하여 연동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위치결정부(200)는 도 2 에서 보듯이 전술한 바와 같이 레버(300)의 회동에 의해 레버(300)가 상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 위치결정부(200)는 상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전술한 회동자(100)의 위치홈(110)으로 위치결정부(200) 상단측에 돌출되는 돌부(210)에 의해 결합되어 회동자(100)를 고정하게 되고, 레버(300)가 하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
이러한 위치결정부(200)는 도면에서 보듯이 상방측으로는 원호형태의 돌부(210)가 돌출되고, 하단측으로는 돌기(230)가 돌출되도록 하여 케이스(1) 내부에 탄지되는 지지스프링(240)에 의해 탄지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위치결정부(200)의 상면으로는 도 2 에서 보듯이 중간부위에서 단턱을 이루는 단턱면(220)을 형성하여, 후술하게 되는 레버(300)의 일측이 단턱면(220)을 따라 회동되어질 때 단턱면(220)의 단턱(221)에 맞닿아 위치결정부(200)를 상방향으로 올리는 역할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위치결정부(200)가 레버(300)의 동작에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되면, 위치결정부(200)의 상단측 돌부(210)는 회동자(100)의 위치홈(1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아암(10)의 회동이 제어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이 상태에서 모터(600)의 구동 즉, 원격제어에 의해 모터(600)를 구동시키게 되면 연동되는 구성수단들간의 조합에 의해 위치결정부(200)가 하방향으로 강제 하강하게 되어, 회동자(100)는 도어클렌져의 탄성력에 의해 아암(10)을 회동시켜 방화문이 개폐되거나 또는 대피자에 의해 방화문을 강제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위치결정부(200)의 하단부측으로 돌출되는 돌기(230)는 전술한 것과 같이 케이스(1)의 하단면에 탄설 되는 지지스프링(240)에 의해 항상 상향 탄지되고 있어, 위치결정부(200)를 상방향으로 미는 힘이 항상 작용 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위치결정부(200)의 돌부(210)가 회동자(100)의 위치홈(110)에 항상 결합되어 있는 상태는 방화문이 닫혀져 있는 상태로 설정하게 되고, 유사시 모터(400)의 구동에 이해 위치결정부(200)를 상방향으로 가하는 힘이 제거되고 단순하게 지지스프링(240)에 의해서만 탄지되는 경우 즉 화재 발생과 같은 유사시의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도어클렌져의 탄성력에 의해 방화문이 닫혀지도록 하여 화재에 의해 발생되는 화염이나 연기등이 공동주택 내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위치결정부(200)의 상하 승강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가이드 역할을 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면에서 보는 것과 같이 케이스(1)에 고정 장착되도록 하기 위한 커버플레이트(250)를 구비하게 되는데, 도 2 에서 보는 것처럼 커버플레이트(250) 내주면으로 상기 위치결정부(200)의 폭을 이루는 측면과 긴밀하게 접하도록 하는 가이드홈(251)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상기 레버(300)는 전술한 것과 같이 상기한 위치결정부(200)를 승강 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일측단부는 위치결정부(200)의 단턱면(220)을 이루는 단턱(221)과 접하도록 하였고, 타단은 연장되어 후술하게 되는 몸체(400)에서의 핀()과 접하는 형태를 갖도록 하되 회동축(310)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기 회동축(310)을 중심으로 레버(300)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여기사 상기 레버(300)의 타단측 즉, 전술한 위치결정부(200)와 접하는 부위를 레버(300)의 일단측으로 규정하였을 때 타단측은 몸체(400)의 핀()과 접하는 부위를 말하는 것으로 그 타단측의 외면은 경사면(320)을 갖도록 한다.
상기 경사면(320)은 모터(600)의 구동에 의해 후술하는 구성인 몸체(400)의 회동에 따라 몸체(400)의 핀()이 경사면(320)측을 이탈하게 되어 레버(300)의 회동이 자유롭게 되므로 전술한 것과 같이, 도어클렌져의 탄성력에 의해 아암(10)이 회동되며 방화문이 닫혀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몸체(400)는 레버(300)를 타단측을 하방향으로 지지하여 일단측이 위치결정부(200)를 상방향으로 승강시키거나 또는 레버(300)의 타단측 하방향을 지지하는 힘이 제거되어 아암(10)과 연동되는 회동자(100)의 회동이 유효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한 몸체(400)는 도 3 내지 도 5 에서 보듯이, 내부에 스프링(430)이 탄지되고 상기 스프링(430) 단부측으로는 핀(440)이 탄발 되는 형태를 이루고, 몸체(400) 일측으로는 회전축(410)에 의해 몸체(400)가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고, 회전축(410)의 하단부측으로는 걸림홈(420)을 형성하며, 몸체(400)의 타측 상부에는 복귀스프링(450)을 구비하여 전술한 커버플레이트(250)와 연결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몸체(400)는 도 3 에서 보는 것과 같이 방화문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아암(10)과 연동 회동되는 회동자(100)의 위치홈(110)으로 전술한 위치결정부(200)의 돌부(210)가 삽입 결합되어 있게 되고, 몸체(400)의 하단부측으로 돌출되어 내부 스프링(430)에 의해 탄지되는 핀(440)은 레버(300)의 타측인 경사면(320)을 누르고 있는 상태에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화재 발생과 같은 긴급한 상황이 발생 되어 방화문을 자동으로 폐쇄하고자 할 경우 모터(600)를 구동시켜 후술하게 되는 회동링크(500)를 동작시키게 되는데, 회동링크(500) 단부측으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걸림구(510)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걸림구(510)와 몸체(400) 일측 회동축(410) 하단으로 형성되는 걸림홈(420)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회동링크(500)의 걸림구(510)가 몸체(400)의 걸림홈(420)으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복귀스프링(450)의 압축력이 해제되면서 몸체(400)가 회전축(410)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하여 몸체(400)의 핀(440)이 레버(300)의 경사면(320)을 따라 위치 이동되어 레버(300)의 단부를 누르고 있는 힘이 제거되어지게 된다.
이 상태에 이르게 되면 아암(10)은 방화문에 장착되어 있는 도어클렌져의 탄발력에 의해 회동되면서 방화문이 자동 폐쇄되어진다.
상기한 복귀스프링(450)은 압축스프링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동링크(500)는 전술한 것과 같이 모터(600)의 구동에 따라 상하 회동되는 구성을 갖게 되는데 도 3 에서 보는 것처럼, 모터(600)의 축과 연결되는 캠(610)을 형성하고, 상기 캠(610) 일측에 연결되는 회동링크(500)를 구비하되 상기 회동링크(500)의 단부는 걸림구(510)를 형성하여 전술한 것과 같이 몸체(400)의 걸림홈(420)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걸림구(510)가 몸체(400)의 걸림홈(420)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도 5 에서 보는 것과 같이 몸체(400)의 핀(440) 단부가 레버(300)의 타측 단부 상면인 경사면(320)을 수직방향으로 밀게 되어 레버(300) 일단은 위치결정부(200)를 상방향으로 연동 승강시키는 힘을 발휘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방향으로 제공되는 힘에 의해 위치결졍부(200)의 돌부(210)는 회동자(100)의 위치홈(110)에 끼워져 있는 상태에서 방화문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될 것이다.
한편, 상기 회동링크(500)의 걸림구(510)의 반대방향인 직하방측으로 스프링(530)이 탄지되도록 하여, 모터(600)의 구동에 의해 캠(610)의 위치가 변위되었을 때 스프링(530)의 탄발력에 의해 걸림구(510)를 갖는 회동링크(500)의 단부측이 상방향으로 회동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모터(600)의 구동에 따라 캠(610)의 위치변위가 발생되어 상기 캠(610)의 위치가 상방향으로 변위되면 도 4에서와 같이 회동링크(500)가 회동되면서 타단측의 걸림구(510)가 몸체(400)의 걸림홈(420)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됨과 동시에 하단의 스프링(530)을 눌러주게 된다.
이 상태는 방화문의 회동을 억제하고 있는 상태가 해제되는 것으로 방화문이 자동으로 폐쇄되는 작동을 하게 된다.
1; 케이스 10; 아암
100; 회동자 110; 위치홈
200; 위치결정부 210; 돌부
220; 단턱면 221; 단턱
230; 돌기 240; 지지스프링
250; 커버플레이트 251; 가이드홈
300; 레버 310; 회동축
320; 경사면 400; 몸체
410; 회전축 420; 걸림홈
430; 스프링 440; 핀
450; 복귀스프링 500; 회동링크
510; 걸림구 520; 축
530; 스프링 600; 모터
610; 캠

Claims (3)

  1. 케이스(1),
    상기 케이스(1) 내부에 구성되는 것으로, 도어클렌져와 연결되는 아암(10)의 단부측에 연동 결합 되되 외주면 일측에 위치홈(110)이 형성되는 회동자(100),
    상기 회동자(100)의 위치홈(110)에 삽입되는 돌부(210)를 이루고 하단측 평면부에는 단턱(221)을 이룬 후 수평하게 단턱면(220)을 이루고 하단부측에 돌기(230)가 형성되는 위치결정부(200)와,
    상기 위치결정부(200)가 내합되는 상태에서 케이스(1)에 고정되며 내부에서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하는 커버플레이트(250)와,
    상기 케이스(1)에 회동축(310)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위치결정부(200)의 단턱면(220)에 위치되고 타단은 연장되며 외면에 경사면(320)을 갖는 레버(300)와,
    상기 위치결정부(200) 하단의 돌기(230)를 탄지하는 지지스프링(240)과,
    일측에는 회전축(410)에 의해 지지되며 회동가능하도록 하되 회전축(410) 하단부에 걸림홈(420)을 형성하고 타측 상부에는 복귀스프링(450)이 상기 커버플레이트(250)와 연결되도록 하고, 내부에는 스프링(430)이 탄설되어 스프링(430) 하단으로 핀(440)이 탄지되어 상기 레버(300)의 경사면(320)을 지지하도록 하는 몸체(400)와,
    상기 몸체(400)의 회전축(410) 하단의 걸림홈(420)에 결합되는 걸림구(510)를 갖으며 모터(60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회동링크(5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자동 폐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부(200) 하단측 돌기(230)는 케이스(1) 내부에 탄지되는 지지스프링(240)에 의해 탄지되는 것을 포함하는, 방화문 자동 폐쇄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링크(500) 걸림구(510)의 직하방측으로 스프링(530)이 탄지되는 것을 포함하는, 방화문 자동 폐쇄 장치.
KR1020130121459A 2013-10-11 2013-10-11 방화문 자동 폐쇄 장치 KR101453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459A KR101453211B1 (ko) 2013-10-11 2013-10-11 방화문 자동 폐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459A KR101453211B1 (ko) 2013-10-11 2013-10-11 방화문 자동 폐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3211B1 true KR101453211B1 (ko) 2014-10-22

Family

ID=51998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1459A KR101453211B1 (ko) 2013-10-11 2013-10-11 방화문 자동 폐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3211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821B1 (ko) * 2016-12-01 2018-07-20 최병노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
CN108798342A (zh) * 2018-05-18 2018-11-13 郑州金特莱电子有限公司 一种垂直式监控闭门器
CN108868430A (zh) * 2018-08-20 2018-11-23 广州六瑞消防科技有限公司 一种闭门器
KR102019597B1 (ko) * 2018-03-16 2019-09-09 김경태 방화문용 도어클로저의 제어장치
KR20200009945A (ko) * 2018-07-20 2020-01-30 김경태 방화문용 제어장치
KR102094195B1 (ko) * 2018-10-22 2020-03-27 김경태 방화문용 제어장치
KR102094193B1 (ko) * 2018-10-22 2020-03-27 김경태 방화문용 제어장치
CN115263157A (zh) * 2022-06-28 2022-11-01 张立智 一种安全性高的防火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7118A (ja) 2005-03-10 2006-09-21 Ryobi Ltd 防火戸閉鎖装置
KR20100004361A (ko) * 2008-07-03 2010-01-13 삼화금속 주식회사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
KR20100117930A (ko) * 2009-04-27 2010-11-04 유병규 구동부와 제어장치를 일체로 갖는 제연구역 출입문 자동폐쇄장치
KR20120130155A (ko) * 2012-11-12 2012-11-29 윤정식 방화문 자동폐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7118A (ja) 2005-03-10 2006-09-21 Ryobi Ltd 防火戸閉鎖装置
KR20100004361A (ko) * 2008-07-03 2010-01-13 삼화금속 주식회사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
KR20100117930A (ko) * 2009-04-27 2010-11-04 유병규 구동부와 제어장치를 일체로 갖는 제연구역 출입문 자동폐쇄장치
KR20120130155A (ko) * 2012-11-12 2012-11-29 윤정식 방화문 자동폐쇄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821B1 (ko) * 2016-12-01 2018-07-20 최병노 방화문용 자동폐쇄장치
KR102019597B1 (ko) * 2018-03-16 2019-09-09 김경태 방화문용 도어클로저의 제어장치
CN108798342A (zh) * 2018-05-18 2018-11-13 郑州金特莱电子有限公司 一种垂直式监控闭门器
CN108798342B (zh) * 2018-05-18 2024-04-02 郑州金特莱电子有限公司 一种垂直式监控闭门器
KR20200009945A (ko) * 2018-07-20 2020-01-30 김경태 방화문용 제어장치
KR102094605B1 (ko) 2018-07-20 2020-03-30 김경태 방화문용 제어장치
CN108868430A (zh) * 2018-08-20 2018-11-23 广州六瑞消防科技有限公司 一种闭门器
KR102094195B1 (ko) * 2018-10-22 2020-03-27 김경태 방화문용 제어장치
KR102094193B1 (ko) * 2018-10-22 2020-03-27 김경태 방화문용 제어장치
CN115263157A (zh) * 2022-06-28 2022-11-01 张立智 一种安全性高的防火门
CN115263157B (zh) * 2022-06-28 2023-08-29 宁夏普利特新能源开发有限公司 一种安全性高的防火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3211B1 (ko) 방화문 자동 폐쇄 장치
KR101326363B1 (ko) 여닫이창문 개폐장치
KR102078663B1 (ko) 계단실 화재확산 방지 장치 및 화재확산 방지 방법
CN208220562U (zh) 一种上悬带隐藏式闭窗器的防火窗
KR101256450B1 (ko) 방화문용 도어클로저의 폐쇄력 보충장치
KR101256451B1 (ko) 방화문용 도어클로저의 폐쇄력 보충장치
JP6096876B1 (ja) 非常用進入口の機能を備えた内開き窓
KR200216904Y1 (ko) 창문 개폐장치
KR20190117951A (ko) 계단실을 통한 화재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방화 구조 및 화재확산 방지 방법
KR20140091427A (ko) 배연창 개폐장치용 록킹구조
KR101010561B1 (ko) 방화문용 도어릴리즈의 래치 구조
KR101195324B1 (ko) 방화문용 도어릴리즈
KR101812506B1 (ko) 제연구역 내 도어클로저 폐쇄력 보조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KR101958912B1 (ko) 제연용 창호의 개폐장치
KR101571401B1 (ko) 도어 개폐 핸들 잠금 장치
KR200484451Y1 (ko) 방화문 자동폐쇄장치
KR100853747B1 (ko) 방화문용 자동개폐 보조장치
KR101855896B1 (ko)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자동 밸브개폐장치
KR100526151B1 (ko) 방화문용 연기 및 열 차단장치
KR101641701B1 (ko) 상자형 가스밸브의 가스연결관 개폐장치
JP6039319B2 (ja) 開き窓の開度規制装置
JP5904842B2 (ja) 障子用外れ止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サッシ
JPH0249347Y2 (ko)
CN219431702U (zh) 一种隔热型防火窗
KR101503846B1 (ko) 창문용 자동 폐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