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5896B1 -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자동 밸브개폐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자동 밸브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5896B1
KR101855896B1 KR1020170132615A KR20170132615A KR101855896B1 KR 101855896 B1 KR101855896 B1 KR 101855896B1 KR 1020170132615 A KR1020170132615 A KR 1020170132615A KR 20170132615 A KR20170132615 A KR 20170132615A KR 101855896 B1 KR101855896 B1 KR 101855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operation cap
driving
cap
valv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2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성
Original Assignee
동양종합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종합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종합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2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58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5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5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4Column hydra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2009/022Hydrants with a tubular valve se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자동 밸브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옥외소화전을 자동으로 개폐하여 화재발생 등 긴급상황에서 소방 용수의 사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자동 밸브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자동 밸브개폐장치{AUTO VALVE OPEN AND CLOSE APPARATUS FOR FIRE FIGHTING USING ELECTRICITY APPARATUS OF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전기소방 기술 분야 중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자동 밸브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옥외소화전을 자동으로 개폐하여 화재발생 등 긴급상황에서 소방 용수의 사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자동 밸브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화재시 소방용수를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한 시설인 소화전설비는 옥외에 설치되는 것과 옥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구분된다.
즉, 옥외에 설치되는 옥외소화전 설비는 건축물의 외부에 설치되어 화재시 소화의 제어 및 인접 건축물의 연소방지 등을 목적으로 사용되고, 옥내소화전 설비는 화재의 초기 진압을 위한 목적으로 주로 사용된다.
이 중에서 옥외소화전 설비는 옥외 지상식과 지하식으로 구분되나 설비의 대부분이 상수도 배수관에 연결되어 화재시 상수를 소방용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652925호(2016.08.31.)에는 '옥외소화전의 밸브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옥외소화전의 밸브장치는 옥외소화전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없기 때문에 화재 등 긴급상황 발생시 신속하게 대처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652925호(2016.08.31.) '옥외소화전의 밸브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의 옥외소화전을 자동으로 개폐하여 화재발생 등 긴급상황에서 소방 용수의 사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자동 밸브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하에 매설된 상수도 배관과 연결되는 밸브하우징(101)과, 상기 밸브하우징(101)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며 상측 일부가 지상으로 노출되는 수직배수관(103)을 포함하는 건축물의 옥외소화전(100)에 구비되어 개폐에 따라 상기 밸브하우징(101)과 상기 수직배수관(103)이 연통되도록 하거나, 차단하며, 상기 수직배수관(103)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작동캡(105); 상기 밸브하우징(101)에 수용되는 밸브시트(112); 하단부가 상기 밸브시트(112)와 결합되고, 상단부가 상기 작동캡(105)에 연결되며, 상기 작동캡(105)의 회전에 의해 상하 직선운동하는 밸브대(120); 상기 밸브시트(112)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밸브하우징(101) 내에 설치되는 시트링(114); 상기 밸브대(120)에 결합되어 상기 밸브시트(112)와 상기 시트링(114) 사이를 기밀하는 시트패킹(116); 및 상기 밸브하우징(101)의 내측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밸브대(120)가 관통되며 맞물리는 관통홀(132)과 소방용수가 유동되는 개구부(133)가 형성된 밸브대 가이드판(130)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대(120)와 상기 관통홀(132)은 다각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밸브대(120)는, 상기 관통홀(132)에 대해 직선 이동경로가 유지되고, 상기 작동캡(105)의 회전에 따른 하방향으로의 직선이동에 의해 상기 밸브시트(112) 및 상기 시트링(114)이 함께 하강되면서 상기 밸브하우징(101)과 상기 수직배수관(103)이 연통되며 개방되도록 하거나, 상방향으로의 직선이동에 의해 상기 밸브시트(112) 및 상기 시트링(114)이 함께 승강되면서 상기 밸브하우징(101)과 상기 수직배수관(103)이 차단되며 닫히도록 하며, 상기 밸브하우징(101)에는 상기 밸브대 가이드판(130)이 안착되는 안착부(108)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108)에는 고정돌기(109)가 형성되며, 상기 밸브대 가이드판(130)에는 상기 고정돌기(109)가 맞물리는 고정홈(136)이 형성되는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자동밸브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동캡(105)으로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밸브대(120)의 회전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자동개폐부(2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자동개폐부(200)는, 상기 작동캡(105)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피동기어(210); 상기 피동기어(210)와 치형결합되는 구동기어(220); 상기 구동기어(220)로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피동기어(210)의 회전을 통해 상기 작동캡(105)이 회전되도록 하는 구동수단(230); 및 상기 옥외소화전(100)으로부터 상기 구동수단(23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240)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수단(230)은, 상기 구동기어(220)의 상부에 위치되는 구동모터(231); 및 상기 구동모터(231)와 상기 구동기어(220)를 연결하는 구동축(232)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수단(240)은, 상기 구동기어(22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옥외소화전(100)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구동축(232)의 하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대(241); 및 상기 지지대(241)와 상기 구동기어(220)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구동축(232)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스프링(2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자동 밸브개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축물의 옥외소화전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음으로써 화재발생 등 긴급상황에서 소방 용수의 사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물론, 신속한 대처를 통한 초기 화재진압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자동 밸브개폐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자동 밸브개폐장치에서 밸브하우징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밸브대 가이드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자동 밸브개폐장치에서 자동개폐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1652925호를 그대로 이용하므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의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1652925호에 기재된 사항들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 제1652925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옥외소화전의 밸브장치'는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자동 밸브개폐장치'로 대체하고, 옥외소화전을 자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구조 및 그 작용설명이 더 포함되며 이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1652925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자동 밸브개폐장치(이하 "밸브개폐장치"라 한다)(110)는 지하에 매설된 상수도 배관과 연결되는 밸브하우징(101)과, 상기 밸브하우징(101)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며 상측 일부가 지상으로 노출되는 수직배수관(103)을 포함하는 건축물의 옥외소화전(100)에 구비되어 상기 밸브하우징(101)과 상기 수지배수관(103) 간 즉, 상기 옥외소화전(100)을 개폐한다.
밸브하우징(101)의 내부에는 상기 밸브개폐장치(110)가 시트링(114)에 의해 설치되고, 수직배수관(103)의 내부에는 상기 밸브개폐장치(110)를 개폐작동시키도록 하는 밸브대(120)가 설치된다.
수직배수관(103)의 상부에는 소방호스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104)가 내부와 연통되게 구비되어 마개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수직배수관(103)은 상단 중심부에 밸브대(120)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캡(105)이 너트봉(106)과 연결되어 밸브대(120)의 상단부와 연결된 구조를 이룬다.
이때, 밸브대(120)의 상단은 너트봉(106)과 나사결합되어 작동캡(105)의 회전작동시 이와 연결된 너트봉(106)이 회전에 의해 밸브대(120)가 상하로 직선이동하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밸브개폐장치(110)는 밸브대(120)의 상하 운동을 통해 개폐동작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밸브개폐장치(110)는 밸브대(120)의 하단에 결합되는 밸브시트(112)와, 밸브하우징(101) 내에 설치되는 시트링(114)과, 상기 밸브시트(112)와 시트링(114) 사이의 기밀 유지를 위해 상기 밸브시트(112)에 결합되는 시트패킹(116)과, 상기 밸브하우징(101)의 내측 상단에 설치되어 밸브대(12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는 동시에 상기 밸브대(120)의 회전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 밸브대 가이드판(130)을 구비한다.
밸브시트(112)는 원판체로 형성되고, 밸브대(120)의 하단에 결합되어 밸브대(120)의 상하 이동시 이와 연동하여 상하로 이동되면서 밸브의 개폐작동을 수행한다.
시트링(114)은 밸브하우징(101)의 내측 통로상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시트링(114)은 단순한 링 형상구조를 가지므로 인해 제작시 가공이 용이하고 제작이 간편하다.
시트패킹(116)은 일정두께를 갖는 고무판 형태로 형성되며 밸브시트(112)의 상면에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시트패킹(116)의 중심부로는 밸브대(120)가 관통하여 밸브시트(112)와 결합된다.
한편, 밸브하우징(101)의 내측 상단에는 밸브대(120)의 회전방지 기능과 함께 밸브대(120)의 상하 이동시 가이드 기능을 하는 밸브대 가이드판(130)이 설치된다.
상기 밸브대 가이드판(130)은 원판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밸브대 가이드판(130)의 중심부에는 밸브대(120)가 관통되는 동시에 맞물리는 관통홀(132)이 형성된다.
상기 밸브대 가이드판(130)은 단순한 원판체 형태의 외형을 가지며 시트링(114)과 시트패킹(116)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진 밸브하우징(101)의 상부 측 통로 상에 설치된다.
한편 밸브대 가이드판(130)의 중심부 관통홀(132)에는 밸브대(120)가 관통하여 결합된다.
상기 밸브대(120)는 사각 봉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밸브대(120)가 관통되는 밸브대 가이드판(130)의 관통홀(132) 역시 상기 밸브대(120)의 외형에 대응되는 사각홀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밸브대(120)는 상기 관통홀(132) 내에서 상하로 직선운동이 가능하게 유지되는 한편 사각형 관통홀(132) 형상에 의해 회전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작동캡(105)을 회전시키는 경우 너트봉(106)과 나사결합된 밸브대(120)가 밸브대 가이드판(130)의 관통홀(132)과 맞물린 상태로 유지되어 회전이 방지되기 때문에 밸브대(120)는 상하 직선 이동만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상기 밸브대(120) 및 관통홀(132)의 형상은 사각형 형태 외에 삼각형, 육각형 등 다양한 다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밸브대 가이드판(130)의 내측에는 상기 밸브개폐장치(110)의 개방시 연결구(104)가 위치한 상부 측으로 소방용수가 원활히 공급될 수 있도록 소방용수가 유동하는 복수의 개구부(133)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133)는 관통홀(132) 주변으로 상호 등간격을 이루며 배열 형성된다.
밸브하우징(101)의 내측 상단에는 밸브대 가이드판(130)이 안착될 수 있도록 단차진 형태의 안착부(108)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안착부(108)의 내측 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대 가이드판(130)의 외주면에는 상기 암나사와 맞물리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밸브대 가이드판(130)은 상기 안착부(108)에 나사 결합으로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108) 부분에는 밸브대 가이드판(130)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부로 돌출된 형태의 고정돌기(109)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대 가이드판(130)의 둘레부(134)에는 상기 고정돌기(109)가 맞물리는 함몰된 형태의 고정홈(136)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109) 및 고정홈(136)은 각각 안착부(108) 및 밸브대 가이드판(130)의 둘레에 복수 개가 등간격을 이루며 배열 형성된다.
상기 밸브하우징(101)과 수직배수관(103) 사이, 그리고 상기 밸브하우징(101)과 수직배수관(103) 및 밸브대 가이드판(130) 사이의 기밀 유지를 위하여 상기 밸브대 가이드판(130)의 상부측에는 패킹부재(140)가 설치된다.
상기 패킹부재(140)가 밸브대 가이드판(130)의 상면 가장자리에 안착된 상태에서 밸브하우징(101)과 수직배수관(103)의 결합과정에서 이들에 의해 압착 고정됨으로써 견고한 기밀성이 확보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밸브개폐장치(11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상으로 노출되어 있는 옥외소화전의 최상단 작동캡(105)을 개방되는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와 연결된 너트봉(106)이 회전되고, 상기 너트봉(106)과 나사결합된 밸브대(120)는 관통홀(132)에 의해 회전이 억제되면서 상기 너트봉(106)의 회전에 의해 하방향으로 직선이동된다.
이때, 밸브대(120)는 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밸브대 가이드판(130)에 형성된 관통홀(132)에 의해 직선이동 경로를 유지하도록 가이드 된다.
이와 같이 밸브대(120)가 일정거리 하방향으로 이동되면, 그 하단에 결합된 밸브시트(112)가 하방향으로 이동되어 시트링(114)과 시트패킹(116) 사이가 벌어지게 됨으로써 밸브개폐장치(110)의 개방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렇게 개방된 공간을 통해 소방용수가 유입되어 밸브대 가이드판(130)에 형성된 개구부(133)를 통해 수직배수관(103) 상측의 연결구(104)에 공급됨으로써 소방용수가 화재현장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캡(105)으로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밸브대(120)의 회전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자동개폐부(200)의 구성이 추가로 구현된다.
상기 자동개폐부(200)는 상기 작동캡(105)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피동기어(210), 상기 피동기어(210)와 치형결합되는 구동기어(220), 상기 구동기어(220)로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피동기어(210)의 회전을 통해 상기 작동캡(105)이 회전되도록 하는 구동수단(230) 및 상기 옥외소화전(100)으로부터 상기 구동수단(23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240)을 포함한다.
상기 피동기어(21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일반적인 형태를 이루며, 상기 작동캡(105)의 외측으로 끼움결합된다.
상기 작동캡(105)은 상부에서 바라볼 때 사각 형태를 이루며, 상기 피동기어(210)는 내측 둘레가 상기 작동캡(105)이 이루는 둘레와 동일한 형태를 이루면서 회전에 따라 상기 작동캡(105)이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작동캡(105)은 상기 피동기어(21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자동개폐부(200)는 상기 작동캡(105)으로부터 상기 피동기어(21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수단(250)은 상기 작동캡(105)의 상부에 구비되는 이탈방지판(251), 상기 이탈방지판(251)과 상기 작동캡(105)을 연결하는 연결바(252) 및 상기 이탈방지판(251)과 상기 피동기어(210) 사이에 구비되는 스프링(253)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바(252)는 하부가 상기 작동캡(105)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부가 상기 이탈방지판(251)에 연결된다.
상기 이탈방지판(251)은 용접 등에 의해 상기 연결바(252)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연결바(252)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판(251)은 링 형태를 이루는 한편,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상기 작동캡(105)으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판(251)은 회전에 따라 상기 연결바(252)의 길이방향으로 승,하강되면서 상기 스프링(253)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253)은 상기 피동기어(210)를 가압하여 상기 피동기어(210)가 상기 작동캡(105)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피동기어(210)는 상기 작동캡(105)으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이탈방지수단(250)은 상기 피동기어(210)를 보조적으로 지지하면서 상기 피동기어(210)의 불완전결합 등으로 인한 이탈 등을 방지한다.
상기 구동기어(220)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피동기어(210)의 양측에 배치되면서 상기 피동기어(210)와 치형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수단(230)은 상기 구동기어(220)의 상부에 위치되는 구동모터(231) 및 상기 구동모터(231)와 상기 구동기어(220)를 연결하는 구동축(232)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모터(231)는 공동주택에 구비되는 배전반 등의 전기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며, 구동에 따라 상기 구동기어(220)로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피동기어(210)의 회전을 통한 상기 밸브대(120)의 회전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지지수단(240)은 상기 구동기어(22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옥외소화전(100)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구동축(232)의 하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대(241) 및 상기 지지대(241)와 상기 구동기어(220)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구동축(232)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스프링(242)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241)는 일단부가 상기 옥외소화전(100)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용접 등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242)은 상기 지지대(241)로부터 상기 구동기어(220)를 지지하여 상기 구동기어(220)가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구동기어(220)는 상기 구동축(232)으로 쉽게 하강되지 않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스프링(242)은 상기 구동기어(220)를 보조적으로 지지하면서 상기 구동기어(220)의 불완전결합 등으로 인한 하강 등을 방지한다.
상기 구동축(232)은 상기 구동기어(220)와 상기 지지대(241) 간에 위치되는 구간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수단(240)은 상기 지지대(241)와 상기 스프링(242)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구동축(232)의 외측으로 나사결합되면서 회전에 따라 승,하강되며 상기 스프링(242)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조절부재(2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절부재(243)는 상기 스프링(242)의 탄성력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자동개폐부(200)는 상기 구동수단(23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수단(230)은 상기 제어부(26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면서 상기 구동기어(220)를 회전시켜 상기 피동기어(210)의 회전을 통한 상기 작동캡(105)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밸브대(120)가 하강되면서 상기 옥외소화전(100)이 개방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밸브장치(110)는 상기 제어부(260)의 제어에 의한 상기 구동수단(23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옥외소화전(100)의 개방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100 : 옥외소화전 110 : 밸브개폐장치
120 : 밸브대 130 : 밸브대 가이드판
140 : 패킹부재 200 : 자동개폐부
210 : 피동기어 220 : 구동기어
230 : 구동수단 231 : 구동모터
232 : 구동축 240 : 지지수단
241 : 지지대 242 : 스프링
243 : 조절부재 250 : 이탈방지수단
251 : 이탈방지판 252 : 연결바
253 : 스프링 260 : 제어부

Claims (1)

  1. 지하에 매설된 상수도 배관과 연결되는 밸브하우징(101)과, 상기 밸브하우징(101)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며 상측 일부가 지상으로 노출되는 수직배수관(103)을 포함하는 건축물의 옥외소화전(100)에 구비되어 개폐에 따라 상기 밸브하우징(101)과 상기 수직배수관(103)이 연통되도록 하거나, 차단하며,
    상기 수직배수관(103)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작동캡(105);
    상기 밸브하우징(101)에 수용되는 밸브시트(112);
    하단부가 상기 밸브시트(112)와 결합되고, 상단부가 상기 작동캡(105)에 연결되며, 상기 작동캡(105)의 회전에 의해 상하 직선운동하는 밸브대(120);
    상기 밸브시트(112)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밸브하우징(101) 내에 설치되는 시트링(114);
    상기 밸브대(120)에 결합되어 상기 밸브시트(112)와 상기 시트링(114) 사이를 기밀하는 시트패킹(116); 및
    상기 밸브하우징(101)의 내측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밸브대(120)가 관통되며 맞물리는 관통홀(132)과 소방용수가 유동되는 개구부(133)가 형성된 밸브대 가이드판(130)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대(120)와 상기 관통홀(132)은 다각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밸브대(120)는,
    상기 관통홀(132)에 대해 직선 이동경로가 유지되고, 상기 작동캡(105)의 회전에 따른 하방향으로의 직선이동에 의해 상기 밸브시트(112) 및 상기 시트링(114)이 함께 하강되면서 상기 밸브하우징(101)과 상기 수직배수관(103)이 연통되며 개방되도록 하거나, 상방향으로의 직선이동에 의해 상기 밸브시트(112) 및 상기 시트링(114)이 함께 승강되면서 상기 밸브하우징(101)과 상기 수직배수관(103)이 차단되며 닫히도록 하며,
    상기 밸브하우징(101)에는 상기 밸브대 가이드판(130)이 안착되는 안착부(108)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108)에는 고정돌기(109)가 형성되며,
    상기 밸브대 가이드판(130)에는 상기 고정돌기(109)가 맞물리는 고정홈(136)이 형성되는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자동밸브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동캡(105)으로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밸브대(120)의 회전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자동개폐부(2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작동캡(105)은,
    사각 형태를 이루며,
    상기 자동개폐부(200)는,
    내측 둘레가 상기 작동캡(105)이 이루는 둘레와 동일한 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작동캡(105)의 외측으로 결합되며, 회전에 따라 상기 작동캡(105)이 함께 회전되도록 하는 피동기어(210);
    상기 피동기어(210)와 치형결합되는 구동기어(220);
    상기 구동기어(220)로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피동기어(210)의 회전을 통해 상기 작동캡(105)이 회전되도록 하는 구동수단(230);
    상기 옥외소화전(100)으로부터 상기 구동수단(23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240);
    상기 작동캡(105)으로부터 상기 피동기어(21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250); 및
    상기 구동수단(23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60)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수단(230)은,
    상기 구동기어(220)의 상부에 위치되는 구동모터(231); 및
    상기 구동모터(231)와 상기 구동기어(220)를 연결하는 구동축(232)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26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면서 상기 구동기어(220)를 회전시켜 상기 피동기어(210)의 회전을 통한 상기 작동캡(105)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밸브대(120)가 하강되면서 상기 옥외소화전(100)이 개방되도록 하며,
    상기 지지수단(240)은,
    상기 구동기어(22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옥외소화전(100)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구동축(232)의 하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대(241); 및
    상기 지지대(241)와 상기 구동기어(220)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구동축(232)의 외측으로 결합되며, 상기 지지대(241)로부터 상기 구동기어(220)를 지지하여 상기 구동기어(220)가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프링(242)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축(232)은,
    상기 구동기어(220)와 상기 지지대(241) 간에 위치되는 구간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수단(240)은,
    상기 지지대(241)와 상기 스프링(242)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구동축(232)의 외측으로 나사결합되면서 회전에 따라 승,하강되며 상기 스프링(242)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조절부재(243)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탈방지수단(250)은,
    상기 작동캡(105)의 상부에 구비되는 이탈방지판(251);
    상기 이탈방지판(251)과 상기 작동캡(105)을 연결하는 연결바(252); 및
    상기 이탈방지판(251)과 상기 피동기어(210) 사이에 구비되면서 상기 피동기어(210)를 가압하여 상기 피동기어(210)가 상기 작동캡(105)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프링(253)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바(252)는,
    하부가 상기 작동캡(105)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부가 상기 이탈방지판(251)에 연결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판(251)은,
    링 형태를 이루는 한편,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상기 작동캡(105)으로 나사결합되며, 회전에 따라 상기 연결바(252)의 길이방향으로 승,하강되면서 상기 스프링(253)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자동 밸브개폐장치.
KR1020170132615A 2017-10-12 2017-10-12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자동 밸브개폐장치 KR101855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2615A KR101855896B1 (ko) 2017-10-12 2017-10-12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자동 밸브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2615A KR101855896B1 (ko) 2017-10-12 2017-10-12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자동 밸브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5896B1 true KR101855896B1 (ko) 2018-05-10

Family

ID=62184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2615A KR101855896B1 (ko) 2017-10-12 2017-10-12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자동 밸브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58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4219A (ko) * 2021-06-04 2022-12-13 주식회사 대성코어 토출 성능이 개선된 소화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09203A (ja) * 2014-12-05 2016-06-20 中国電力株式会社 バルブ遠隔制御システム
KR101652925B1 (ko) * 2015-05-06 2016-08-31 신영공업 주식회사 옥외소화전의 밸브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09203A (ja) * 2014-12-05 2016-06-20 中国電力株式会社 バルブ遠隔制御システム
KR101652925B1 (ko) * 2015-05-06 2016-08-31 신영공업 주식회사 옥외소화전의 밸브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4219A (ko) * 2021-06-04 2022-12-13 주식회사 대성코어 토출 성능이 개선된 소화전
KR102561348B1 (ko) * 2021-06-04 2023-07-31 주식회사 대성코어 토출 성능이 개선된 소화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8935B1 (ko) 건축물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장치
KR102273403B1 (ko)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관리 시스템
KR101652925B1 (ko) 옥외소화전의 밸브장치
KR20130016486A (ko) 옥외소화전설비의 밸브구조
KR101453211B1 (ko) 방화문 자동 폐쇄 장치
KR101855896B1 (ko)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자동 밸브개폐장치
WO2018095267A1 (zh) 一种洗衣机水龙头及洗衣机
KR20100013783A (ko) 옥내소화전방수구
KR101796309B1 (ko)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설치구조
US10933269B2 (en) Temperature-sensing and automatic on and off fire extinguishing device
US10895068B1 (en) Water shutoff apparatus
CN102921135B (zh) 调压稳压型室内消火栓
KR102231652B1 (ko) 화재발생시 공동주택의 소방 방화벽 장치 작동시스템
CN102921134B (zh) 可视压室内消火栓调压稳压装置
KR100877927B1 (ko) 옥내 소화전 방수구
US20170043195A1 (en) Fire sprinkler water terminator
KR102225120B1 (ko) 옥내 소화전 밸브용 방수구
KR101797601B1 (ko) 건축물의 소방 자동 밸브장치
KR100945260B1 (ko) 배관을 이용한 통풍/소방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460706Y1 (ko) 소화설비 배관 이음쇠
KR20190010930A (ko) 소방용 체크밸브 개도를 조절하는 콘드롤 장치가 설치된 복합체크밸브
KR102265322B1 (ko) 옥외 비상 소방함
KR20170120945A (ko) 스프링클러 헤드 장치
KR102300165B1 (ko) 공동주택의 소방 설비 통합 관리 시스템
KR20070059889A (ko) 스프링클러의 높이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