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1348B1 - 토출 성능이 개선된 소화전 - Google Patents

토출 성능이 개선된 소화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1348B1
KR102561348B1 KR1020210072705A KR20210072705A KR102561348B1 KR 102561348 B1 KR102561348 B1 KR 102561348B1 KR 1020210072705 A KR1020210072705 A KR 1020210072705A KR 20210072705 A KR20210072705 A KR 20210072705A KR 102561348 B1 KR102561348 B1 KR 102561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ing
outer support
fire hydrant
concave frame
midd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2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4219A (ko
Inventor
조기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성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성코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성코어
Priority to KR1020210072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1348B1/ko
Publication of KR20220164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4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4Column hydra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2009/022Hydrants with a tubular valve se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출 성능이 개선된 소화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소방용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0a)와, 소방용수가 토출되는 토출구(110b)가 형성되어 있는 관체(110)와, 관체(110)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제자리에서 돌려지는 조절너트(120)와, 조절너트(120)에 나사결합되어서 제자리에서 돌아가는 조절너트(120)의 회전동작에 따라서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도록 관체(110)에 구비된 밸브축(130)과, 밸브축(130)의 하단에 구비되어서 관체(110)를 개폐하는 밸브디스크(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상식 소화전에 있어서, 유입구(110a)로부터 유입되는 관체(110)의 내부를 통과하는 소방용수가 균일한 유속으로 토출구(110b)로 토출되도록 하기 위해서 관체(110)를 통과하는 소방용수가 나선형의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관체(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플레이트 형상의 수류 가이더(150)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에 의하면 소방용수의 토출 성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토출 성능이 개선된 소화전{Fire Hydrant with Improved Spill Performance}
본 발명은 지상식 소화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방용수의 토출(유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토출 성능이 개선된 소화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상식 소화전은 도로변 또는 대형 건축물의 주변에 화재 진압에 소요되는 소방용수를 공급하는 방재 시설물로서, 설치된 후에 장시간에 걸쳐서 유지, 보수 및 사용될 수 있게 내구성을 가질 수 있도록 설계, 제작 및 시공되어야 하며, 사용 빈도는 낮으나 화재 발생시 반드시 작동되어야 하는 높은 신뢰성이 요구되는 방재 시설물이다.
이러한 지상식 소화전의 경우 하부의 유입구를 통해서 소방용수가 유입되어서 상측의 토출구로 토출된다. 이와 같이 소방용수가 지상식 소화잔의 관체의 내부를 통해서 상방으로 올라가는 경우, 횡단면에서의 각 위치(지점)마다 서로 다른 유속이 생성될 수 있다.
이렇게 서로 다른 유속으로 소방용수의 흐름이 형성되는 경우 토출구에서 와류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토출구에서의 와류에 의해서 토출 저항이 생기고, 토출 저항에 의해서 토출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문헌1: 등록특허공보 제10-1167608호(공고일: 2012.07.27) 문헌2: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16486호(공고일: 2013.02.1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토출 성능이 개선된 소화전의 목적은,
첫째, 지상식 소화전의 관체를 따라서 위로 올라가는 소방용수의 유로가 전체적으로 하나의 나선형 유로가 되도록 혼합함으로써 토출구로 유출되는 소방용수 전체가 균일한 유속이 형성되도록 하고,
둘째, 이렇게 관체 내부를 흘러서 유출되는 소방용수가 전체적으로 균일한 유속이 되도록 함으로써, 소방용수가 관체의 상체를 통해서 토출구로 빠져 나갈 때 횡단면의 위치에 따라서 다른 유출 유속에 의해서 일어 나는 와류 현상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며, 그리하여 토출구에서의 소방용수의 토출(유출) 성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며,
셋째, 간단한 형상으로 소방용수의 나선형 흐름(유로)이 잘 형성될 수 있도록 하고 그리하여 전체적으로 하나의 균일한 소방용수의 흐름이 원활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토출 성능이 개선된 소화전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토출 성능이 개선된 소화전은, 소방용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소방용수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관체와, 상기 관체를 개폐하는 밸브디스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상식 소화전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어 상기 관체의 내부를 통과하는 소방용수가 균일한 유속으로 이동하여 토출구에서 저항을 받지 않으면서 토출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관체를 통과하는 소방용수에 대해서 나선형의 유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관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수류 가이더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토출 성능이 개선된 소화전은, 상기 수류 가이더가, 상기 관체의 내부에 원주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되, 관체의 방향인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으로 경사각으로 기울어져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토출 성능이 개선된 소화전은, 상기 수류 가이더가, 상기 관체의 내부에 원주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되, 상기 관체의 방향인 수직방향에 나란하도록 관체에 구비되고, 상기 수류 가이더의 하측변에는 상방으로 경사 형성된 경사안내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토출 성능이 개선된 소화전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지상식 소화전의 관체를 따라서 위로 올라가는 소방용수의 유로가 전체적으로 하나의 나선형 유로가 되도록 혼합함으로써 토출구로 유출되는 소방용수 전체가 균일한 유속이 형성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이렇게 관체 내부를 흘러서 유출되는 소방용수가 전체적으로 균일한 유속이 되도록 함으로써, 소방용수가 관체의 상체를 통해서 토출구로 빠져 나갈 때 횡단면의 위치에 따라서 다른 유출 유속에 의해서 일어 나는 와류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토출구에서의 소방용수의 유출(토출) 성능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간단한 형상으로 소방용수의 나선형 흐름(유로)이 잘 형성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토출 성능이 개선된 소화전(100)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토출 성능이 개선된 소화전(100)에 있어서, 수류 가이더(150)가 관체(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구성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토출 성능이 개선된 소화전(100)에 있어서, 수류 가이더(150)가 내측 지지링(161)에 구비된 실시예의 사시도로서, 도 3의 (a)는 상면 사시도이고, 도 3의 (b)는 하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토출 성능이 개선된 소화전(100)에 있어서, 수류 가이더(150)가 외측 지지링(162)에 구비된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토출 성능이 개선된 소화전(100)에 있어서, 수류 가이더(150)가 외측 지지링(162) 및 내측 지지링(161)에 동시에 구비된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다음은 본 발명인 토출 성능이 개선된 소화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토출 성능이 개선된 소화전(100)은, 소방용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0a)와, 소방용수가 토출되는 토출구(110b)가 형성되어 있는 관체(110)와, 상기 관체(110)를 개폐하는 밸브디스크(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상식 소화전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110a)로부터 유입되어 관체(110)의 내부를 통과하는 소방용수가 균일한 유속으로 이동하여 토출구(110b)에서 저항을 받지 않으면서 토출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관체(110)를 통과하는 소방용수에 대해서 나선형의 유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관체(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플레이트 형상의 수류 가이더(150)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관체(110) 내부를 따라서 위로 올라가는 소방용수를 나선형 유로를 형성하고[즉, 회전시키고] 이렇게 회전에 의해서 소방용수의 유가 전체적으로 하나의 나선형 유로가 되도록 혼합함으로써 전체적으로 균일한 유속이 되도록 한다.
이렇게 관체(110) 내부를 흐르는 소방용수가 전체적으로 균일한 유속을 형성하게 되면, 소방용수가 관체(110)의 상체(113)를 통해서 토출구(110b)로 빠져 나갈 때 횡단면의 위치에 따라서 각기 다른 유속에 의해서 일어 나는 와류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서 토출 저항이 발생하지 않고 따라서 토출구(110b)에서의 소방용수의 유출(토출) 성능이 향상되게 된다.
즉, 아래에서 올라와서 수류 가이더(150)를 통과하기 전의 소방용수의 수류는 불균일한 유속과 불균일한 흐름을 갖는데, 이러한 불규일 유속과 흐름을 갖는 소방용수는 수류 가이더(150)를 통과하면서 균일한 속도 및 균일한 흐름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토출 성능이 개선된 소화전(100)에 있어서, 상기 수류 가이더(150)는, 상기 관체(110)의 내부에 원주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되, 관체(110)의 방향인 수직방향(z축)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으로 경사각(θ)으로 기울어져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소방용수의 흐름(유로)이 상방으로 올라가면서 나선상의 흐름을 형성하게 된다. 즉 소방용수가 상방으로 올라가면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토출 성능이 개선된 소화전(100)에 있어서, 상기 수류 가이더(150)는, 원주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되, 하측변에는 상방으로 경사 형성된 경사안내면(15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상방으로 올라가는 소방용수가 나선형 형상의 흐름이 더 잘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류 가이더(150)는 사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토출 성능이 개선된 소화전(100)에 있어서, 상기 수류 가이더(150)는, 상기 관체(110)의 내부에 원주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되, 상기 관체(110)의 방향과 나란하게 즉, 소방용수의 유로방향과 나란하게 수평방향에 직립되어서 관체(110)에 구비되고, 상기 수류 가이더(150)의 하측변에는 상방으로 경사 형성된 경사안내면(15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수류 가이더(150)를 수직방향(z축)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으로 경사각(θ)으로 기울어져서 구비하지 않고, 직립 구비하더라도 경사안내면(151)의 형성에 의해서 경사지게 구비한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토출 성능이 개선된 소화전(100)에 있어서, 상기 수류 가이더(150)는 적어도 1 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토출 성능이 개선된 소화전(100)에 있어서, 상기 수류 가이더(150)는 등간격으로 복수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4 개의 수류 가이더(150)가 90 도 간격으로 구비되어 있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토출 성능이 개선된 소화전(100)에 있어서, 수류 가이더(150)를 마운팅하는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예를 들어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토출 성능이 개선된 소화전(100)에 있어서, 상기 밸브축(130)에 삽설되는 링 형상의 내측 지지링(161)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수류 가이더(150)는 상기 내측 지지링(161)에 체결되어서 관체(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측 지지링(161)과 복수의 수류 가이더(150)는 일체로 형성되어서 하나의 부품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토출 성능이 개선된 소화전(100)에 있어서, 상기 관체(110)의 내주면에 마운팅되는 링 형상의 외측 지지링(162)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수류 가이더(150)는 상기 외측 지지링(162)에 체결되어서 관체(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측 지지링(162)과 복수의 수류 가이더(150)는 일체로 형성되어서 하나의 부품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토출 성능이 개선된 소화전(100)에 있어서, 상기 관체(110)의 내주면에 마운팅되는 링 형상의 외측 지지링(162)과, 상기 밸브축(130)에 삽설되는 링 형상의 내측 지지링(161)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수류 가이더(150)는 일측이 상기 외측 지지링(162)에 체결되고 타측이 상기 내측 지지링(161)에 체결되어서 관체(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측 지지링(161)과 외측 지지링(162) 및 복수의 수류 가이더(150)는 모두가 일체로 형성되어서 하나의 부품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토출 성능이 개선된 소화전(100)에 있어서, 상기 관체(110)는, 상기 유입구(110a)가 형성되어 있고 밸브디스크(140)가 위치하는 하체(111)와, 상기 하체(111)와 연통하고 하체의 상단에 체결되는 중체(112)와, 상기 중체(112)와 연통하고 중체(112)의 상단에 체결되고 상기 토출구(110b)가 형성되어 있고 조절너트(120)가 구비되어 있는 상체(113)로 구성되고, 상기 중체(112)의 상단에는 반경방향의 외향으로 요입된 중체 상단 요입테(112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체 상단 요입테(112a)와 대응되도록 상기 상체(113)의 하단에는 반경방향의 외향으로 요입된 상체 요입테(113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체 상단 요입테(112a)와 상체 요입테(113a)가 형합하여서 상부 삽입홈(112a,113a)을 형성하며, 상기 외측 지지링(162)은 상기 중체(112)와 상체(113) 사이에 형성되는 상부 삽입홈(112a,113a)에 안착되어서 삽입 구비되되, 상기 중체 상단 요입테(112a)에 상기 외측 지지링(162)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상체(113)가 외측 지지링(162)을 하방으로 눌러서 외측 지지링(162)이 상체(113)와 중체(112) 사이에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에 의하여 외측 지지링(162)을 안착 고정할 수 있고, 또한 상체(113)만을 분리하여서 외측 지지링(162)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서 제품의 유지 보수 관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관체(110)는 상기 유입구(110a)가 형성되어 있고 밸브디스크(140)가 위치하는 하체(111)와, 상기 하체(111)와 연통하고 하체의 상단에 체결되는 중체(112)와, 상기 중체(112)와 연통하고 중체(112)의 상단에 체결되고 상기 토출구(110b)가 형성되어 있고 조절너트(120)가 구비되어 있는 상체(113)로 구성되고, 상기 하체(111)의 상단에는 반경방향의 외향으로 요입된 하체 요입테(111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체 요입테(111b)와 대응되도록 상기 중체(112)의 하단에는 반경방향의 외향으로 요입된 중체 하단 요입테(112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체 하단 요입테(112b)와 하체 요입테(111b)가 형합하여서 하부 삽입홈(111b,112b)을 형성하며, 상기 외측 지지링(162)은 하체(111)와 중체(112) 사이에 형성되는 하부 삽입홈(111b,112b)에 안착되어서 삽입 구비되되, 상기 하체 요입테(111b)에 상기 외측 지지링(162)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중체(112)가 외측 지지링(162)을 하방으로 눌러서 외측 지지링(162)이 하체(111)와 중체(112) 사이에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에 의하여 외측 지지링(162)을 안착 고정할 수 있고, 또한 중체(112)만을 분리하여서 외측 지지링(162)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서 제품의 유지 보수 관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수류 가이더(150)는 하체(111) 이후의 구성 즉, 중체(112) 또는 상체(113)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토출 성능이 개선된 소화전(100)에 있어서, 수류 가이더(150)를 마운팅하는 구성은 위에서 기술한 방식 외에 다른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수류 가이더(150)를 곧바로 관체(110)의 내주면에 용접에 의해서 고정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수류 가이더(150)를 곧바로 밸브축(130)의 외주면에 용접에 의해서 고정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별도의 볼트(미도시)를 이용하여 수류 가이더(150)를 밸브축(130)이나 관체(110)에 체결하여 관체(110)의 내부에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수류 가이더(150)는 관체(110)의 내주면에 일체로 구비되도록 관체(110)와 일체로 한번의 주물 성형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수류 가이더(150)를 관체(110)의 내부에 구비하는 방식은 위에 기술한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수류 가이더(150)를 관체(110)의 내부에 구비하는 구성이라면 모두 본원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토출 성능이 개선된 소화전(100)은, 상기 관체(110)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서 별도의 기구[예컨대 핸들(미도시)]에 의해서 제자리에서 돌려지는 조절너트(120)와, 상기 조절너트(120)에 나사결합되어서 제자리에서 돌아가는 조절너트(120)의 회전동작에 따라서 수직방향(상하방향)으로 승강하도록 상기 관체(110)에 구비된 밸브축(130)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밸브디스크(140)는 상기 밸브축(130)의 하단에 구비되어서 관체(110)를 개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토출 성능이 개선된 소화전
110 : 관체
110a : 유입구 110b : 유출구
111 : 하체 111b : 하체 요입테
112 : 중체
112a : 중체 상단 요입테 112b : 중체 하단 요입테
113 : 상체 113a : 상체 요입테
120 : 조절너트 130 : 밸브축
140 : 밸브디스크
150 : 수류 가이더 151 : 경사안내면
θ : 경사각
161 : 내측 지지링 162 : 외측 지지링

Claims (4)

  1. 소방용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0a)와 소방용수가 토출되는 토출구(110b)가 형성되어 있는 관체(110)와, 상기 관체(110)를 개폐하는 밸브디스크(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소화전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110a)로부터 유입되어 관체(110)의 내부를 통과하는 소방용수가 균일한 유속으로 이동하여 토출구(110b)에서 저항을 받지 않으면서 토출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관체(110)를 통과하는 소방용수에 대해서 나선형의 유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관체(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플레이트 형상의 수류 가이더(150)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수류 가이더(150)는 사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류 가이더(150)는, 상기 관체(110)의 내부에 원주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되, 관체(110)의 방향인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으로 경사각(θ)으로 기울어져서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수류 가이더(150)의 하측변에는 상방으로 경사 형성된 경사안내면(15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체(110)의 내주면에 마운팅되는 링 형상의 외측 지지링(162)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수류 가이더(150)는 상기 외측 지지링(162)에 체결되어서 관체(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성능이 개선된 소화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체(110)는,
    상기 유입구(110a)가 형성되어 있고 밸브디스크(140)가 위치하는 하체(111)와,
    상기 하체(111)와 연통하고 하체의 상단에 체결되는 중체(112)와,
    상기 중체(112)와 연통하고 중체(112)의 상단에 체결되고 상기 토출구(110b)가 형성되어 있고 조절너트(120)가 구비되어 있는 상체(113)로 구성되고,
    상기 중체(112)의 상단에는 반경방향의 외향으로 요입된 중체 상단 요입테(112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체 상단 요입테(112a)와 대응되도록 상기 상체(113)의 하단에는 반경방향의 외향으로 요입된 상체 요입테(113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체 상단 요입테(112a)와 상체 요입테(113a)가 형합하여서 상부 삽입홈(112a,113a)을 형성하며,
    상기 외측 지지링(162)은 상기 중체(112)와 상체(113) 사이에 형성되는 상부 삽입홈(112a,113a)에 안착되어서 삽입 구비되되, 상기 중체 상단 요입테(112a)에 상기 외측 지지링(162)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상체(113)가 외측 지지링(162)을 하방으로 눌러서 외측 지지링(162)이 상체(113)와 중체(112) 사이에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성능이 개선된 소화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체(110)는,
    상기 유입구(110a)가 형성되어 있고 밸브디스크(140)가 위치하는 하체(111)와,
    상기 하체(111)와 연통하고 하체의 상단에 체결되는 중체(112)와,
    상기 중체(112)와 연통하고 중체(112)의 상단에 체결되고 상기 토출구(110b)가 형성되어 있고 조절너트(120)가 구비되어 있는 상체(113)로 구성되고,
    상기 하체(111)의 상단에는 반경방향의 외향으로 요입된 하체 요입테(111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체 요입테(111b)와 대응되도록 상기 중체(112)의 하단에는 반경방향의 외향으로 요입된 중체 하단 요입테(112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체 하단 요입테(112b)와 하체 요입테(111b)가 형합하여서 하부 삽입홈(111b,112b)을 형성하며,
    상기 외측 지지링(162)은 하체(111)와 중체(112) 사이에 형성되는 하부 삽입홈(111b,112b)에 안착되어서 삽입 구비되되, 상기 하체 요입테(111b)에 상기 외측 지지링(162)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중체(112)가 외측 지지링(162)을 하방으로 눌러서 외측 지지링(162)이 하체(111)와 중체(112) 사이에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성능이 개선된 소화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류 가이더(150)는, 4 개의 수류 가이더(150)가 90 도 간격으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성능이 개선된 소화전.
KR1020210072705A 2021-06-04 2021-06-04 토출 성능이 개선된 소화전 KR102561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705A KR102561348B1 (ko) 2021-06-04 2021-06-04 토출 성능이 개선된 소화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705A KR102561348B1 (ko) 2021-06-04 2021-06-04 토출 성능이 개선된 소화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4219A KR20220164219A (ko) 2022-12-13
KR102561348B1 true KR102561348B1 (ko) 2023-07-31

Family

ID=84439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2705A KR102561348B1 (ko) 2021-06-04 2021-06-04 토출 성능이 개선된 소화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134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2800A (ja) * 2009-01-28 2010-08-12 Nakamura Bussan Kk 微細気泡発生装置、および微細気泡発生方法
KR101855896B1 (ko) * 2017-10-12 2018-05-10 동양종합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자동 밸브개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7608B1 (ko) 2010-05-03 2012-07-27 신진정공 주식회사 지상 소화전
KR20130016486A (ko) 2011-08-08 2013-02-18 (주)화이어대상 옥외소화전설비의 밸브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2800A (ja) * 2009-01-28 2010-08-12 Nakamura Bussan Kk 微細気泡発生装置、および微細気泡発生方法
KR101855896B1 (ko) * 2017-10-12 2018-05-10 동양종합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자동 밸브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4219A (ko) 2022-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48149A1 (en) FLOW CONTROLLER FOR A DRAINING SYSTEM, SO E.g. FOR A DRAINAGE SYSTEM.
US4679595A (en) Device for controlling the flow in a pipe system
JPS5953955B2 (ja) パルプふるい分け装置
KR102561348B1 (ko) 토출 성능이 개선된 소화전
US5287878A (en) Free float steam trap
US1205199A (en) Backwater-valve.
US6931946B1 (en) Large volume fire service water meter
CN104791521A (zh) 卫生混合阀
KR102570433B1 (ko) 방수성능이 향상된 지상식 소화전
US4537360A (en) Stream-controlling device for faucets
KR102585163B1 (ko) 수류 성능이 향상된 지상식 소화전
KR102561349B1 (ko) 토출 성능이 향상된 소화전
JP4318336B2 (ja) 水道メータ
GB2354458A (en) Controlling level using adjustable height weir; Separating oil and water
KR102533629B1 (ko) 유로 저항이 감소된 지상식 소화전
JP2005257043A (ja) 気液分離器を備えた弁
WO2019119644A1 (zh) 节水降噪装置及出水装置
HU186652B (en) Plate for columns serving for distillation and/or absorption operations
US556024A (en) Valve
JP3748144B2 (ja) 粉粒体用の弁装置
JPH03165855A (ja) 泡沫吐水口
JPS6319770Y2 (ko)
JP2002340289A (ja) 排液弁を備えた気液分離器
JPS594599B2 (ja) フリ−フロ−トシキスチ−ムトラツプ
JP3295632B2 (ja) 水位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