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2816A - 보험금 청구용 모바일 단말기, 제어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 Google Patents

보험금 청구용 모바일 단말기, 제어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2816A
KR20180062816A KR1020160162921A KR20160162921A KR20180062816A KR 20180062816 A KR20180062816 A KR 20180062816A KR 1020160162921 A KR1020160162921 A KR 1020160162921A KR 20160162921 A KR20160162921 A KR 20160162921A KR 20180062816 A KR20180062816 A KR 201800628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rance
mobile terminal
medical record
information
photograp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2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홍
Original Assignee
김대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홍 filed Critical 김대홍
Priority to KR1020160162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2816A/ko
Publication of KR20180062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28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17/21
    • G06F19/32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8Insur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chnology Law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의료 기록 서류를 촬영하는 촬영부,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로부터 보험금 청구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보험금 청구에 필요한 정보에 기초하여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보험 계약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양식에 대응되도록 보험금 청구서를 작성하는 제어부 및 작성된 보험금 청구서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모바일 단말기의 제어 방법 및 모바일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보험금 청구용 모바일 단말기, 제어방법 및 어플리케이션{MOBILE DEVICE FOR INSURANCE CLAIM, CONTOLLING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보험금을 청구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 제어방법 및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다.
위험은 어느 환경에서나 불가피하게 동반되어 사람들 주변에서 항상 존재하고 있으며 사전에 예측하기 어려운 돌발적인 사고와 같은 위험은 사람들이 안전한 생활을 영위하는데 큰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미래의 불확실성에 따른 사용자의 위험부담을 완화하는 대안으로 보험이 있는데, 보험은 보험 가입자에게 보험 약관에 명시된 재해에 의해 발생한 경제적 손실을 보상해주는 계약이다.
의료 보험은 의료 또는 의료비를 가입자(피보험자)나 그 가족(피부양자)에게 급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보험제도를 말한다.
보험사에 의료 보험을 든 상태에서, 필요에 의해 의료 보험을 청구하는 경우, 본인(청구인)이 의료기관을 방문한 후 의료기관에서 제공하는 의료 문서들을 발급받고, 이를 보험사에 직접 전달하거나 우편, 팩스 등을 통해 보험사에 전달하여, 보험금을 청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보험금 청구 시 보험가입자가 제출해야 될 서류는 가입한 보험상품, 보험회사에 따라 모두 제 각각이다. 특히, 입원 치료 후 입원 보험금을 청구하려면 보험금 청구서는 물론 신분증과 통장사본 등 기본적인 서류 이외 에도 입?퇴원 확인서, 진단서, 수술확인서, 진료비 영수증 등 각종 자료를 찾아 제출해야 한다. 치료 내역에 따라서 진료비 세부내역서, 초진차트, 수술기록지, 간호기록지, 검사결과서 및 방사선 판독지(MRI, CT, 단순방사선) 등이 요구될 수도 있다. 또한, 만약 교통사고에 대한 보험금 청구인 경우에는, 해당 사건을 접수 받은 경찰서를 방문해서 교통사고 사실 확인서를 발급받아 제출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이 때문에 일부 환자들은 보험금을 제대로 청구하지 못하는 사례가 종종 발생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필요 서류들에 대한 제출이 오프라인으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보험과 관련된 청구서류를 제출하는데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게다가, 보험금 청구시 서류를 누락할 수 있고, 누락된 서류를 제출하느라 보험금 청구에 대한 처리가 지연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보험금 청구인이 청구된 보험금 처리 과정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문제가 존재한다.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28025호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78745호
개시된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보험금을 청구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 제어방법 및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는 의료 기록 서류를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로부터 보험금 청구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보험금 청구에 필요한 정보에 기초하여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보험 계약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의 결과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양식에 대응되도록 보험금 청구서를 작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작성된 보험금 청구서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의료 기록 서류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로부터 보험금 청구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보험금 청구에 필요한 정보에 기초하여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보험 계약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의 결과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양식에 대응되도록 보험금 청구서를 작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작성된 보험금 청구서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가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기능들은 의료 기록 서류를 촬영하는 기능, 상기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로부터 보험금 청구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는 기능, 상기 획득된 보험금 청구에 필요한 정보에 기초하여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보험 계약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 상기 판단의 결과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양식에 대응되도록 보험금 청구서를 작성하는 기능 및 상기 작성된 보험금 청구서를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보험금 청구서를 작성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가 의료 기록 서류를 촬영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가 보험금 청구서를 작성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보험금 청구서를 작성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가 보험 증권을 촬영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가 보험금 청구서를 작성하기 위한 보험 증권 목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보험금 청구서를 작성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명확히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고, 실시예들을 개시한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part, portion)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가 하나의 요소(unit, element)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가 복수의 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모바일 단말기만으로 실시되거나, 복수의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서 실시되거나,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버와 연결되어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소정의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명령어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개시된 실시예들의 소정의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모바일 단말기에서 실행될 수 있눈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의료 기록 서류"는 환자가 의료 기관을 이용함에 따라 발생되는 서류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의료 기록 서류는 처방전, 진료비 영수증, 진단서, 의료비 납입 증명서, 수술확인서, 입·퇴원 확인서, 입원 진료비 세부 내역서, 진료비 세부내역서, 차트, 수술기록지, 간호 기록지, 검사결과서 및 방사선 판독지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 될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보험 증권"은 보험 계약의 성립을 증명하는 문서를 의미한다. 보험 증권은 보험 종목, 보험 금액, 보험 기간, 보험금을 지급 받을 자의 주소 및 성명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보험금 청구용 모바일 단말기>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촬영부(110), 제어부(130), 통신부(140), 디스플레이부(150), 사용자 입력부(170) 및 저장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110)는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를 통해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획득할 수 있다. 촬영부(110)의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는 제어부(130)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
촬영부(110)에 의해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저장부(190)에 저장되거나 통신부(14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촬영부(110)는 의료 기록 서류를 촬영할 수 있다. 촬영부(110)는 보험 증권을 촬영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모바일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모바일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요소들 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사용자 입력부(170)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모바일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를 이미지 프로세싱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30)는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를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30)는 의료 기록 서류의 촬영 각도에 따라 의료 기록 서류가 평면으로 촬영된 것으로 보여지도록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를 보정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의 방향, 밝기, 선명도를 보정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의 글자가 인식이 잘되도록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를 보정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로부터 의료 기록에 관한 정보가 획득될 수 있도록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를 보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의 진위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모바일 단말기의 제어방법의 단계 210에서 검토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로부터 보험금 청구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모바일 단말기의 제어방법의 단계 230에서 검토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획득된 보험금 청구에 필요한 정보에 기초하여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보험 계약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모바일 단말기의 제어방법의 단계 250에서 검토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양식에 대응되도록 보험금 청구서를 작성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획득된 보험금 청구에 필요한 정보에 기초하여 보험금 청구서를 자동으로 작성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모바일 단말기의 제어방법의 단계 270에서 검토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작성된 보험금 청구서를 통신부(140)를 통해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모바일 단말기의 제어방법의 단계 290에서 검토한다.
통신부(14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중계기, 외부 디바이스,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140)는 보험금 청구서를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모바일 단말기의 제어방법의 단계 290에서 검토한다.
디스플레이부(150)는 모바일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할 수 있.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150)는 모바일 단말기(1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동작을 나타내는 식별 표시를 출력할 수 있고, 식별 표시에는 아이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0)는 모바일 단말기(1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0)는 모바일 단말기(100)에서 작성된 보험금 청구서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0)는 보험금 청구서 작성에 필요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0)는 보험금 청구서의 접수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0)는 보험금 청구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70)는 디스플레이부(150)에 에 표시되는 화면에 기반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70)는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기(100)에 장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7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입력부(170)를 통해 입력될 수 있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는 터치 기반의 입력 정보, 움직임 기반(movement-based) 입력 정보, 비전 기반(vision-based) 입력 정보, 및 사용자 음성 기반 입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터치 기반 입력 정보는, 예를 들어, 탭(tap 또는 터치), 롱 탭(long tap 또는 롱 터치), 터치 앤 홀드(touch and hold), 터치 앤 드래그(touch and drag), 더블 탭(double tap), 드래그(drag), 패닝(panning), 플릭(flick),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및 스윕(sweep) 등의 터치 기반의 입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움직임 기반 입력 정보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움직임 기반의 사용자 제스처(예를 들어, 디바이스 흔들기, 디바이스 회전, 및 디바이스 들어 올리기 등)에 기초한 입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비전 기반의 입력 정보는 촬영부(110)에 의해 획득된 입력 이미지가 분석되고 인식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자 입력부(170)는 보험금 청구에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90)는 모바일 단말기(100)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및 입/출력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90)는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 보험 증권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90)는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에서 획득된 보험금 청구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90)는 촬영된 보험 증권에서 획득된 보험 계약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90)는 작성된 보험금 청구서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90)는 전송된 보험금 청구서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90)는 보험금 청구 내역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90)는 보험금 청구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보험금 청구용 모바일 단말기의 제어방법>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보험금 청구서를 작성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순서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가 의료 기록 서류를 촬영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가 보험금 청구서를 작성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개시된 보험금 청구용 인터페이스(310)를 통한 모바일 단말기(100)의 제어방법은 의료 기록 서류를 촬영(210)하는 단계,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로부터 보험금 청구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230)하는 단계, 획득된 보험금 청구에 필요한 정보에 기초하여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보험 계약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250)하는 단계,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양식에 대응되도록 보험금 청구서를 작성(270)하는 단계 및 작성된 보험금 청구서를 전송(290)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10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의료 기록 서류를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처방전, 진료비 영수증, 진단서, 의료비 납입 증명서, 수술확인서, 입·퇴원 확인서, 입원 진료비 세부 내역서, 진료비 세부내역서, 차트, 수술기록지, 간호 기록지, 검사결과서 및 방사선 판독지 중 적어도 하나를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100)는 진료비 영수증(410)을 촬영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는 사용자 입력부(420)를 이용하여 촬영부(110)를 구동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고, 진료비 영수증(410)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의료 기록 서류가 복수개인 경우, 모바일 단말기(100)는 복수개의 의료 기록 서류를 촬영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를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의료 기록 서류의 촬영 각도에 따라 의료 기록 서류가 평면으로 촬영된 것으로 보여지도록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를 보정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는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의 방향, 밝기, 선명도를 보정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는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의 글자가 인식이 잘되도록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를 보정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는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로부터 의료 기록에 관련된 정보가 획득될 수 있도록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를 보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의 진위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는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가 위·변조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는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의 발행기관(예를 들면, 처방전 및 영수증을 발행한 병원, 영수증을 발행한 약국, 영수증 발행에 관련된 신용카드사)으로부터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가 위·변조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는 서류의 위·변조 여부를 판단하는 서버와 통신을 통해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가 위·변조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는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로부터 획득된 서류 위·변조 방지 코드에 기초하여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가 위·변조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는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로부터 획득된 환자 이름, 병원 이름, 병명, 의료 기록 서류의 발행일자, 치료 방법 및 질병 코드에 기초하여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가 위·변조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단계 230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로부터 보험금 청구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로부터 보험금 청구에 필요한 환자 이름, 병원 이름, 병명, 의료 기록 서류의 발행일자, 치료 방법 및 질병 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로부터 광학 문자 판독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을 이용하여 보험금 청구에 필요한 환자 이름, 병원 이름, 병명, 의료 기록 서류의 발행일자, 치료 방법 및 질병 코드에 관한 텍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는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를 평면으로 촬영한 것으로 보여지도록 보정하고, 보정된 의료 기록 서류로부터 보험금 청구에 필요한 환자 이름, 병원 이름, 병명, 의료 기록 서류의 발행일자, 치료 방법 및 질병 코드에 관한 텍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로부터 의료 기록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서버로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는 획득된 서버로 접속하기 위한 정보에 기초하여 의료 기록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는 서버로부터 보험금 청구에 필요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서버로부터 보험금 청구에 필요한 이름, 병원 이름, 병명, 의료 기록 서류의 발행일자, 치료 방법 및 질병 코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단계 250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획득된 보험금 청구에 필요한 정보에 기초하여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보험 계약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모바일 단말기(100)에 저장된 보험 계약에 관한 정보와 획득된 보험금 청구에 필요한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보험 계약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서버에 저장된 보험 계약에 관한 정보와 획득된 보험금 청구에 필요한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보험 계약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서버에 저장된 보험 계약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보험 계약에 관한 정보와 획득된 보험금 청구에 필요한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보험 계약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보험 계약의 존재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를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보험 계약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보험 계약이 복수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저장된 보험 계약에 관한 정보가 복수개 인 경우, 복수개의 보험 계약 각각에 대해서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보험 계약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로부터 보험 계약에 관한 정보가 획득되지 않은 경우, 모바일 단말기(100)는 의료 기록 서류를 촬영하도록 알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알림 기능은 의료 기록 서류를 촬영하도록 시각(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나 알림용 LED에 표시), 청각(예를 들면, 알림음), 촉각(예를 들면, 진동)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로부터 획득된 보험 계약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보험 계약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없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100)는 의료 기록 서류를 촬영하도록 알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보험 계약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필요한 경우, 모바일 단말기(100)는 의료 기록 서류를 촬영하도록 알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단계 270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양식에 대응되도록 보험금 청구서를 작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보험 계약이 존재하는 경우, 보험 계약을 맺은 보험 회사의 기 설정된 양식에 대응하도록 보험금 청구서를 작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보험 계약을 맺은 보험 회사가 요구하는 기 설정된 양식에 대응하도록 보험금 청구서를 작성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보험 계약을 맺은 보험 회사가 요구하는 기 설정된 양식에 대응하도록 보험금 청구서의 각 내용(예를 들면, 보험 상품 명(510a), 병원명(510b), 진단명(510c), 사고일자(510d), 사고내용(510e), 서명(510f))을 기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사용자 입력부(170)를 통해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양식에 대응되도록 보험금 청구서를 작성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는 작성된 보험금 청구서와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로부터 획득된 보험금 청구에 필요한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보험금 청구서가 제대로 작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로부터 획득된 보험금 청구에 필요한 정보에 기초하여 보험금 청구서를 자동으로 작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로부터 획득된 환자 이름, 병원 이름, 병명, 의료 기록 서류의 발행일자, 치료 방법 및 질병 코드에 관한 텍스트를 기 설정된 양식에 자동으로 기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보험금 청구에 필요한 보험금 수령인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입력부(17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보험금 청구에 필요한 보험금 수령인 이름, 보험금 수령 계좌에 관한 정보, 보험금 수령인의 연락처를 사용자 입력부(17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수신된 보험금 수령인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저장된 보험금 수령인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보험금 청구서를 자동으로 작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보험금 수령인 이름, 보험금 수령 계좌에 관한 정보, 보험금 수령인의 연락처에 관한 텍스트를 기 설정된 양식에 자동으로 기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촬영된 보험 증권으로부터 획득된 보험 계약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보험금 청구서를 자동으로 작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촬영된 보험 증권으로부터 획득된 보험사, 보험명, 증권 번호, 계약자, 피보험자, 연락처 및 보험금 수령 계좌에 관한 정보에 관한 텍스트를 기 설정된 양식에 자동으로 기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보험 계약이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 복수개의 보험 계약에 각각 대응하는 보험금 청구서를 작성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는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로부터 획득된 보험금 청구에 필요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보험 계약에 각각 대응하는 보험금 청구서를 자동으로 작성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는 촬영된 보험 증권으로부터 획득된 보험 계약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보험 계약 각각에 대응하는 보험금 청구서를 자동으로 작성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는 복수개의 보험 계약 각각의 기 설정된 양식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개의 보험금 청구서를 자동으로 작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험금 청구서를 작성하는데 필요한 경우, 모바일 단말기(100)는 의료 기록 서류를 촬영하도록 알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 설정된 양식에 대응되도록 보험금 청구서를 작성할 수 없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100)는 의료 기록 서류를 촬영하도록 알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보험 계약을 맺은 보험 회사가 요구하는 의료 기록 서류를 보험금 청구서에 첨부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는 보험 계약을 맺은 보험 회사가 요구하는 의료 기록 서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의료 기록 서류를 촬영하도록 알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알림 기능은 의료 기록 서류를 촬영하도록 시각(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나 알림용 LED에 표시), 청각(예를 들면, 알림음), 촉각(예를 들면, 진동)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첨부되는 의료 기록 서류의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는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가 위·변조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는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의 발행기관(예를 들면, 처방전 및 영수증을 발행한 병원, 영수증을 발행한 약국, 영수증 발행에 관련된 신용카드사)으로부터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가 위·변조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는 서류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서버와 통신을 통해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가 위·변조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는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로부터 획득된 서류 위·변조 방지 코드에 기초하여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가 위·변조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는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로부터 획득된 환자 이름, 병원 이름, 병명, 의료 기록 서류의 발행일자, 치료 방법 및 질병 코드에 기초하여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가 위·변조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단계 290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보험금 청구서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작성된 보험금 청구서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작성된 보험금 청구서를 보험금 청구 어플리케이션을 운영하는 회사의 서버에 송신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는 작성된 보험금 청구서를 보험 회사가 운영하는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는 작성된 보험금 청구서를 인터넷 팩스를 발송하는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는 작성된 보험금 청구서를 인터넷 팩스로 보험 회사의 팩스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보험금 청구서를 작성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순서도이고,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가 보험 증권을 촬영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가 보험금 청구서를 작성하기 위한 보험 증권 목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험금 청구서를 작성하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제어 방법은 보험 증권을 촬영(610)하는 단계, 촬영된 보험 증권으로부터 보험 계약에 관한 정보를 획득(630)하는 단계, 촬영된 보험 증권으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보험 계약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650)하는 단계,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촬영된 보험 증권에 대응되는 보험 계약에 관한 정보를 저장(670)하는 단계 및 저장된 보험 계약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보험 계약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690)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610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보험 증권을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100)는 보험 증권(710)을 촬영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는 사용자 입력부(720)를 이용하여 촬영부(110)를 구동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고, 보험 증권(710)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험 증권이 복수의 페이지으로 구성된 경우, 모바일 단말기(100)는 복수의 페이지의 보험 증권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험 증권이 복수개인 경우, 모바일 단말기(100)는 복수개의 보험 증권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촬영된 보험 증권을 보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촬영된 보험 증권의 진위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는 촬영된 보험 증권을 발행한 보험 회사로부터 촬영된 보험 증권이 위·변조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는 보험 증권의 위·변조 여부를 판단하는 서버와 통신을 통해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가 위·변조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는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로부터 획득된 서류 위·변조 방지 코드에 기초하여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가 위·변조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는 촬영된 보험 증권으로부터 획득된 보험사, 보험명, 증권 번호, 계약자, 피보험자, 연락처 및 보험금 수령 계좌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촬영된 보험 증권이 위·변조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된 보험 계약에 관한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100)는 보험 증권을 촬영하도록 알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촬영된 보험 증권으로부터 획득된 보험 계약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보험 계약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없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100)는 보험 증권을 촬영하도록 알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보험 계약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필요한 경우, 모바일 단말기(100)는 보험 증권을 촬영하도록 알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촬영된 보험 증권으로부터 보험 계약에 관한 정보가 획득되지 않은 경우, 모바일 단말기(100)는 보험 증권을 촬영하도록 알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610의 모바일 단말기(100)는 단계 210의 모바일 단말기(100)와 유사하게 동작하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한편, 단계 320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촬영된 보험 증권으로부터 보험 계약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촬영된 보험 증권으로부터 보험사, 보험명, 증권 번호, 계약자, 피보험자, 연락처 및 보험금 수령 계좌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촬영된 보험 증권으로부터 광학 문자 판독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을 이용하여 보험사, 보험명, 증권 번호, 계약자, 피보험자, 연락처 및 보험금 수령 계좌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는 촬영된 보험 증권을 평면으로 촬영한 것으로 보여지도록 보정하고, 보정된 보험 증권으로부터 보험사, 보험명, 증권 번호, 계약자, 피보험자, 연락처 및 보험금 수령 계좌에 관한 정보에 관한 텍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촬영된 보험 증권으로부터 보험 계약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서버로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는 획득된 서버로 접속하기 위한 정보에 기초하여 보험 계약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는 서버로부터 보험 계약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서버로부터 보험사, 보험명, 증권 번호, 계약자, 피보험자, 연락처 및 보험금 수령 계좌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630의 모바일 단말기(100)는 단계 230의 모바일 단말기(100)와 유사하게 동작하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한편, 단계 650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촬영된 보험 증권으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보험 계약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보험 보장 기간이 남아있는 보험 계약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의료 기록 서류에서 획득된 보험금 청구에 필요한 정보에 대응하는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보험 계약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촬영된 보험 증권으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촬영된 보험 증권으로부터 획득된 보험 계약에서 보장하는 사항에 관련된 정보(예를 들면, 질병명, 질병 코드, 보험 금액, 보험 기간), 보험금 청구 기간, 보험사, 보험명, 증권 번호, 계약자, 피보험자, 연락처 및 보험금 수령 계좌에 기초하여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보험 계약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서버에 저장된 보험 계약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보험 계약에 관한 정보와 보험 증권으로부터 획득된 보험 계약에 관한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보험 계약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보험 계약의 존재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를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보험 계약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보험 계약이 복수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저장된 보험 계약에 관한 정보가 복수개 인 경우, 복수개의 보험 계약 각각에 대해서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보험 계약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된 보험 계약에 관한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100)는 보험 증권을 촬영하도록 알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촬영된 보험 증권으로부터 획득된 보험 계약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보험 계약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없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100)는 보험 증권을 촬영하도록 알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보험 계약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필요한 경우, 모바일 단말기(100)는 보험 증권을 촬영하도록 알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촬영된 보험 증권으로부터 보험 계약에 관한 정보가 획득되지 않은 경우, 모바일 단말기(100)는 보험 증권을 촬영하도록 알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단계 670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촬영된 보험 증권에 대응되는 보험 계약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100)는 촬영된 보험 증권에 대응되는 보험 계약에 관한 정보(810a, 810b)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촬영된 보험 증권에 대응되는 보험 계약에 관한 정보를 서버가 저장하도록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100)는 촬영된 보험 증권에 대응되는 보험 계약에 관한 정보(810a, 810b)의 상태(820a, 820b)를 서버가 저장하도록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단계 690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저장된 보험 계약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보험 계약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의료 기록 서류에서 획득된 보험금 청구에 필요한 정보에 대응하는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보험 계약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촬영된 보험 증권으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의료 기록 서류에서 획득된 보험금 청구에 필요한 정보를 서버로부터 수신한 보험 계약에 관한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보험 계약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서버에서 판단된 의료 기록 서류에서 획득된 보험금 청구에 필요한 정보에 대응되는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보험 계약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보험 계약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보험금 청구서의 접수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보험금 청구서가 정상적으로 접수되었는지 여부에 관한 접수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는 보험사에 전송된 보험금 청구서의 오류 여부, 보험사에 전송된 보험금 청구서에 첨부된 서류의 부족 여부 및 오류 여부, 보험사에서 인정하지 않은 서류의 존재여부, 보험사로부터 추가로 제출할 것을 요청 받은 서류의 존재 및 종류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보험금 청구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보험금 청구의 접수 진행 상황, 보험금 청구의 심사 진행 상황, 보험금 청구 결과, 청구한 보험금의 입금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보험금 청구 시스템>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보험금 청구서를 작성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험금 청구서를 작성하는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기(1000), 서버(2000), 네트워크(3000)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0)의 구성 및 제어방법은 위에 기재된 모바일 단말기(100)의 구성 및 제어방법과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서버(2000)는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서버(2000)는 운영 주체에 따라 각각 운영되는 서로 다른 복수의 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2000)는 보험금 청구 어플리케이션을 운영하는 운영주체가 운영하는 서버, 보험사가 운영하는 서버, 병원에서 운영하는 서버, 신용카드 회사에서 운영하는 서버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0)는 모바일 단말기(1000)가 촬영한 의료 기록 서류를 모바일 단말기(10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서버(2000)는 모바일 단말기(1000)로부터 수신된 의료 기록 서류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0)는 모바일 단말기(1000)로부터 수신된 의료 기록 서류로부터 보험금 청구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2000)는 모바일 단말기(1000)로부터 수신된 의료 기록 서류로부터 보험금 청구에 필요한 환자 이름, 병원 이름, 병명, 의료 기록 서류의 발행일자, 치료 방법 및 질병 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2000)는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로부터 광학 문자 판독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을 이용하여 보험금 청구에 필요한 환자 이름, 병원 이름, 병명, 의료 기록 서류의 발행일자, 치료 방법 및 질병 코드에 관한 텍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2000)는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를 평면으로 촬영한 것으로 보여지도록 보정하고, 보정된 의료 기록 서류로부터 보험금 청구에 필요한 환자 이름, 병원 이름, 병명, 의료 기록 서류의 발행일자, 치료 방법 및 질병 코드에 관한 텍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0)는 모바일 단말기(1000)로부터 수신된 의료 기록 서류로부터 획득된 보험금 청구에 필요한 정보에 기초하여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보험 계약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2000)는 서버(2000)에 저장된 보험 계약에 관한 정보와 획득된 보험금 청구에 필요한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보험 계약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0)는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보험 계약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를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0)는 모바일 단말기(1000)로부터 수신된 의료 기록 서류로부터 획득된 보험금 청구에 필요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2000)는 모바일 단말기(1000)로부터 수신한 보험금 청구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0)는 모바일 단말기(1000)로부터 수신된 보험금 청구에 필요한 정보에 기초하여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보험 계약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2000)는 서버(2000)에 저장된 보험 계약에 관한 정보와 획득된 보험금 청구에 필요한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보험 계약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0)는 모바일 단말기(1000)가 촬영한 보험 증권을 모바일 단말기(10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서버(2000)는 모바일 단말기(1000)로부터 수신된 보험 증권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0)는 모바일 단말기(1000)로부터 수신된 보험 증권으로부터 보험 계약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0)는 촬영된 보험 증권으로부터 보험사, 보험명, 증권 번호, 계약자, 피보험자, 연락처 및 보험금 수령 계좌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2000)는 촬영된 보험 증권으로부터 광학 문자 판독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을 이용하여 보험사, 보험명, 증권 번호, 계약자, 피보험자, 연락처 및 보험금 수령 계좌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2000)는 촬영된 보험 증권을 평면으로 촬영한 것으로 보여지도록 보정하고, 보정된 보험 증권으로부터 보험사, 보험명, 증권 번호, 계약자, 피보험자, 연락처 및 보험금 수령 계좌에 관한 정보에 관한 텍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0)는 모바일 단말기(1000)로부터 수신된 보험 증권으로부터 획득된 보험 계약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2000)는 모바일 단말기(1000)로부터 수신한 보험 계약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0)는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보험 계약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서버(2000)는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보험 계약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면, 모바일 단말기(1000)로,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보험 계약에 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0)는 획득한 보험 계약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보험 계약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2000)는 획득한 보험 계약에 관한 정보와 저장된 보험 계약에 관한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보험 계약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다르면, 서버(2000)는 모바일 단말기(1000)로부터 수신한 보험 계약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보험 계약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2000)는 수신한 보험 계약에 관한 정보와 저장된 보험 계약에 관한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보험 계약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0)는 모바일 단말기(1000)로부터 수신한 요청에 대응하여,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보험 계약에 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0)는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보험 계약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양식에 대응되도록 보험금 청구서를 작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0)는 모바일 단말기(1000)가 촬영한 의료 기록 서류로부터 획득된 보험금 청구에 필요한 정보에 기초하여 보험금 청구서를 자동으로 작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0)는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보험 계약이 존재하는 경우, 보험 계약을 맺은 보험 회사의 기 설정된 양식에 대응하도록 보험금 청구서를 작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2000)는 보험 계약을 맺은 보험 회사가 요구하는 기 설정된 양식에 대응하도록 보험금 청구서를 작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0)는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로부터 획득된 보험금 청구에 필요한 정보에 기초하여 보험금 청구서를 자동으로 작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2000)는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로부터 획득된 환자 이름, 병원 이름, 병명, 의료 기록 서류의 발행일자, 치료 방법 및 질병 코드에 관한 텍스트를 기 설정된 양식에 자동으로 기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0)는 저장된 보험금 수령인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보험금 청구서를 자동으로 작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2000)는 보험금 수령인 이름, 보험금 수령 계좌에 관한 정보, 보험금 수령인의 연락처에 관한 텍스트를 기 설정된 양식에 자동으로 기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0)는 촬영된 보험 증권으로부터 획득된 보험 계약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보험금 청구서를 자동으로 작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2000)는 촬영된 보험 증권으로부터 획득된 보험사, 보험명, 증권 번호, 계약자, 피보험자, 연락처 및 보험금 수령 계좌에 관한 정보에 관한 텍스트를 기 설정된 양식에 자동으로 기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0)는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보험 계약이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 복수개의 보험 계약에 각각 대응하는 보험금 청구서를 작성할 수 있다. 서버(2000)는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로부터 획득된 보험금 청구에 필요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보험 계약에 각각 대응하는 보험금 청구서를 자동으로 작성할 수 있다. 서버(2000)는 촬영된 보험 증권으로부터 획득된 보험 계약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보험 계약 각각에 대응하는 보험금 청구서를 자동으로 작성할 수 있다. 서버(2000)는 복수개의 보험 계약 각각의 기 설정된 양식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개의 보험금 청구서를 자동으로 작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0)는 첨부되는 의료 기록 서류의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0)는 작성된 보험금 청구서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2000)는 작성된 보험금 청구서를 모바일 단말기(1000)에 송신할 수 있다. 서버(2000)는 작성된 보험금 청구서를 보험 회사가 운영하는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0)는 작성된 보험금 청구서를 인터넷 팩스를 발송하는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0)는 작성된 보험금 청구서를 인터넷 팩스로 보험 회사의 팩스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0)는 보험금 청구서 전송 결과를 모바일 단말기(1000)에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0)는 보험금 청구서의 접수 결과를 모바일 단말기(1000)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2000)는 보험사에 전송된 보험금 청구서의 오류 여부, 보험사에 전송된 보험금 청구서에 첨부된 서류의 부족 여부 및 오류 여부, 보험사에서 인정하지 않은 서류의 존재여부, 보험사로부터 추가로 제출할 것을 요청 받은 서류의 존재 및 종류에 관한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10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0)는 보험금 청구 결과를 모바일 단말기(1000)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2000)는 보험금 청구의 접수 진행 상황, 보험금 청구의 심사 진행 상황, 보험금 청구 결과, 청구한 보험금의 입금 여부를 모바일 단말기(1000)로 송신할 수 있다.
<보험금 청구용 어플리케이션>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모바일 단말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모바일 단말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소정의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명령어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개시된 실시예들의 소정의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1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의료 기록 서류를 촬영하는 기능,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로부터 보험금 청구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는 기능, 획득된 보험금 청구에 필요한 정보에 기초하여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보험 계약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양식에 대응되도록 보험금 청구서를 작성하는 기능 및 작성된 보험금 청구서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1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은 획득된 보험금 청구에 필요한 정보에 기초하여 보험금 청구서를 자동으로 작성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1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은, 보험 증권을 촬영하는 기능, 촬영된 보험 증권으로부터 보험 계약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기능, 촬영된 보험 증권으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보험 계약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촬영된 보험 증권에 대응되는 보험 계약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1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저장된 보험 계약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보험 계약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1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촬영된 보험 증권 및 의료 기록 서류 중 적어도 하나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1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촬영된 보험 증권 및 의료 기록 서류 중 적어도 하나를 보정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1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은 보험금 청구서의 작성에 필요한 의료 기록 서류를 촬영하도록 알려주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1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작성된 보험금 청구서의 접수 결과를 표시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1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작성된 보험금 청구서에 기초한 보험금 청구 결과를 표시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가 제공하는 기능은 모바일 단말기(100)의 제어방법에 개시된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기재를 생략한다.
<기록매체>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소정의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명령어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개시된 실시예들의 소정의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Claims (10)

  1. 의료 기록 서류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로부터 보험금 청구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보험금 청구에 필요한 정보에 기초하여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보험 계약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의 결과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양식에 대응되도록 보험금 청구서를 작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작성된 보험금 청구서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제어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험금 청구서를 작성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보험금 청구에 필요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보험금 청구서를 자동으로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제어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방법은,
    보험 증권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보험 증권으로부터 보험 계약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보험 증권으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보험 계약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촬영된 보험 증권에 대응되는 보험 계약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험 계약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된 보험 계약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보험 계약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제어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촬영된 보험 증권 및 상기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 중 적어도 하나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제어방법.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촬영된 보험 증권 및 상기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 중 적어도 하나를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제어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보험금 청구서의 작성에 필요한 의료 기록 서류를 촬영하도록 알려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제어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작성된 보험금 청구서의 접수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제어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작성된 보험금 청구서에 기초한 보험금 청구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제어방법.
  9. 의료 기록 서류를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로부터 보험금 청구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보험금 청구에 필요한 정보에 기초하여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보험 계약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의 결과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양식에 대응되도록 보험금 청구서를 작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작성된 보험금 청구서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10. 모바일 단말기가 이하의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상기 기능들은:
    의료 기록 서류를 촬영하는 기능;
    상기 촬영된 의료 기록 서류로부터 보험금 청구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는 기능;
    상기 획득된 보험금 청구에 필요한 정보에 기초하여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보험 계약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
    상기 판단의 결과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양식에 대응되도록 보험금 청구서를 작성하는 기능; 및
    상기 작성된 보험금 청구서를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KR1020160162921A 2016-12-01 2016-12-01 보험금 청구용 모바일 단말기, 제어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KR201800628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921A KR20180062816A (ko) 2016-12-01 2016-12-01 보험금 청구용 모바일 단말기, 제어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921A KR20180062816A (ko) 2016-12-01 2016-12-01 보험금 청구용 모바일 단말기, 제어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816A true KR20180062816A (ko) 2018-06-11

Family

ID=62603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2921A KR20180062816A (ko) 2016-12-01 2016-12-01 보험금 청구용 모바일 단말기, 제어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281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1546B1 (ko) * 2020-04-10 2021-03-02 렌카 주식회사 Ai(artificial intelligence)에 의한 데이터 기반의 알고리즘 수행하여 보험 대차에 이용되는 중개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46027A (ja) * 2013-08-28 2015-03-12 あいおいニッセイ同和損害保険株式会社 保険証券の情報取得システム
KR20150028025A (ko) 2013-09-05 2015-03-13 주식회사 이안메드 보험금 청구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78745A (ko) 2013-12-31 2015-07-08 (주)단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단말기를 이용한 보험금 청구 방법
KR20150099961A (ko) * 2014-02-24 2015-09-02 삼성생명보험주식회사 보험금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20160069684A (ko) * 2014-12-09 2016-06-17 중소기업은행 금융기관 서버 및 보험금 자동 청구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46027A (ja) * 2013-08-28 2015-03-12 あいおいニッセイ同和損害保険株式会社 保険証券の情報取得システム
KR20150028025A (ko) 2013-09-05 2015-03-13 주식회사 이안메드 보험금 청구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78745A (ko) 2013-12-31 2015-07-08 (주)단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단말기를 이용한 보험금 청구 방법
KR20150099961A (ko) * 2014-02-24 2015-09-02 삼성생명보험주식회사 보험금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20160069684A (ko) * 2014-12-09 2016-06-17 중소기업은행 금융기관 서버 및 보험금 자동 청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1546B1 (ko) * 2020-04-10 2021-03-02 렌카 주식회사 Ai(artificial intelligence)에 의한 데이터 기반의 알고리즘 수행하여 보험 대차에 이용되는 중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4017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btaining Authorization to Release Personal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User
US11074333B2 (en) Anti-replay authent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2017033029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Medical Claims Fraud
US11605060B1 (en)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check deposit with restricted endorsement
US20090076960A2 (en) Method, system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detecting and preventing fraudulent health care claims
US9984366B1 (en) Secure paper-free bills in workflow applications
US20090228300A1 (en) Mobile device-enhanced verification of medical transportation services
US20210201423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insurance claims and detecting fraud and communication thereof
KR20130033915A (ko) 클라우드 컴퓨팅에 기초하여 보험 계약들을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과 관련 비지니스 관리 도구
KR101863882B1 (ko) 카드사 시스템을 이용한 의료 보험금 간편 청구 대행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816298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btaining authorization to release personal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user
US11436588B1 (en) Location-based purchase verification for fund transfers
JP6534355B2 (ja) Pdfファイル管理システム、pdfファイル管理サーバ、pdfファイルデータ取得サーバ、pdfファイル管理方法、pdfファイルデータ取得方法、pdfファイル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pdfファイルデータ取得プログラム
KR20180062816A (ko) 보험금 청구용 모바일 단말기, 제어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US963339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venting fraud
JP2013190934A (ja) 窓口認証システム、窓口認証サーバー、プログラムおよび窓口認証方法
KR20160069684A (ko) 금융기관 서버 및 보험금 자동 청구 방법
KR102028844B1 (ko) 의무기록 및 제증명 서류의 자동 제출이 가능한 보험금 자동 청구 시스템
JP2020021458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6774684B2 (ja) 情報処理装置、在留カード確認方法、および在留カード確認プログラム
JP7305937B2 (ja) 発行システム、証明装置、発行方法、プログラム
KR20130001460A (ko) 전자 문서 양방향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금융 자동화 시스템 및 그 구현 방법
US20130334305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medical examiner&#39;s certificate
JP2021022188A (ja) 受付システム、携帯端末、受付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448395B2 (ja) 金融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