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2418A -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2418A
KR20180062418A KR1020170162402A KR20170162402A KR20180062418A KR 20180062418 A KR20180062418 A KR 20180062418A KR 1020170162402 A KR1020170162402 A KR 1020170162402A KR 20170162402 A KR20170162402 A KR 20170162402A KR 20180062418 A KR20180062418 A KR 20180062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communi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ing apparatus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2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9972B1 (ko
Inventor
아카리 야스카와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62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2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6Connection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22Increasing security of the print job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38Secure printing, e.g. user identification, user rights for device usage, unallowed content, blanking portions or fields of a page, releasing held job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G06F3/1286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via local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92Mobile client, e.g. wireless prin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95Systems or arrangements for the transmission of the picture signal
    • H04N1/00103Systems or arrangements for the transmission of the picture signal specially adapted for radio transmission, e.g. via satelli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1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the display also being used for user input, e.g. touch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74Output means outputting a plurality of functional options, e.g. scan, copy or pr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77Indicating status, e.g. of a jo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4Key management, e.g. using generic bootstrapping architecture [GBA]
    • H04W12/041Key generation or deriv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48Type of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통신 단말과 다이렉트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는, 무선 LAN 인터페이스, 지시들의 세트를 저장하는 메모리 디바이스, 및 무선 LAN 인터페이스를 제어하여 다이렉트 무선 통신에 사용될 액세스 포인트를 기동시키고, 다이렉트 무선 통신을 사용하여 통신 단말로부터 정보 처리 장치의 미리 결정된 설정 변경에 대한 지시를 대기하는 제1 모드에서 정보 처리 장치가 동작하는 조건에서는, 제1 통신 필터를 사용하여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을 제어하고, 제1 모드와 상이한 제2 모드에서 정보 처리 장치가 동작하는 조건에서는, 제2 통신 필터를 사용하여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을 제어하는 지시들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본 발명은,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LAN) 기능을 포함하는 다기능 주변기기들 및 프린터들과 같은 정보 처리 장치들의 수는 증가하고 있다. 이들 정보 처리 장치 중에서, 일부 장치는 장치 자신이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 AP 기능을 포함하고, 외부 중계 장치의 중개 없이 통신 단말과 무선 통신을 확립함으로써 정보의 송신 및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이는 다이렉트 무선 통신으로 지칭될 것임). 일본 특허 공개 제2013-205982호 공보에는, 모바일 단말과 무선 통신을 확립하고, 확립된 무선 통신을 사용하여 모바일 단말과 같은 통신 단말과 오디오 데이터 및 사진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을 수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정보 처리 장치의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설정을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해서, 정보 처리 장치와 상이한 통신 단말의 조작 유닛을 통해 정보 처리 장치의 네트워크 설정을 수행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일본 특허 공개 제2010-9876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98765호 공보에 기재된 통신 단말은 통신 단말의 조작 유닛 상에 검색에 의해 찾아진 AP들의 리스트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통신 단말의 조작 유닛 상에 표시된 AP들의 리스트에서 정보 처리 장치가 접속해야 할 AP를 선택한다. 통신 단말은 선택된 AP에 관한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한다. 정보 처리 장치는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AP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접속 목적지에서 네트워크의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인쇄 장치 또는 퍼스널 컴퓨터(PC)와 같은 정보 처리 장치에서 일부 경우에, 보안을 향상시키기 위해 통신에 사용하는 것이 허가되는 포트(허가 포트)는 미리 설정되고, 통신의 포트 필터로서 사용된다. 전술한 정보 처리 장치에서 통신에 사용되는 포트가 허가 포트가 아닌 경우에는, 수신된 데이터가 파기될 수 있고, 정보 처리 장치의 보안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다이렉트 무선 통신을 사용해서 통신 단말로부터 인쇄를 수행하는 모바일 인쇄 기능을 포함하는 다기능 주변기기와 같은 정보 처리 장치가 제안되었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통신 단말과 다이렉트 통신을 수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가 제공되며, 이 정보 처리 장치는,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LAN) 인터페이스; 지시들의 세트를 저장하는 메모리 디바이스; 및 다이렉트 무선 통신에 사용될 액세스 포인트를 기동시키기 위해 무선 LAN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지시들을 실행하고, 다이렉트 무선 통신을 사용하여 통신 단말로부터 정보 처리 장치의 미리 결정된 설정 변경에 대한 지시를 대기하는 제1 모드에서 정보 처리 장치가 동작하는 조건에서는, 제1 통신 필터를 사용하여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을 제어하고, 제1 모드와 상이한 제2 모드에서 정보 처리 장치가 동작하는 조건에서는, 제2 통신 필터를 사용하여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인쇄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2는 다기능 주변기기(Multi Function Peripheral)(MFP)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3은 MFP의 조작 유닛 상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MFP의 조작 유닛 상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MFP의 조작 유닛 상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6은 MFP의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의 일례이다.
도 7은 MFP의 모바일 제휴에 관한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의 일례이다.
도 8은 MFP의 액세스 포인트(AP)에 관한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의 일례이다.
도 9a 및 도 9b는 스토리지에 저장된 포트 필터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0은 MFP의 AP에 관한 제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의 일례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MFP의 조작 유닛 상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다이렉트 무선 통신을 사용하여 통신 단말로부터 인쇄를 수행하는 모바일 인쇄 기능을 포함하는 다기능 주변기기 또는 프린터와 같은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해, 통신 단말로부터 다이렉트 무선 통신을 사용하여 정보 처리 장치의 네트워크 설정을 수행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이 다른 양태에 따르면, 다이렉트 무선 통신이 정보 처리 장치와 통신 단말 사이에서 수행되는 경우에,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에 대한 통신을 일률적으로 허가하지 않고, 관리자 등의 의도에 따라 통신을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모바일 인쇄의 서비스 또는 정보 처리 장치의 네트워크 설정의 서비스에 대하여 다이렉트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정보 처리 장치와 무선 통신을 확립하는 통신 단말로부터 데이터 통신이 수행되는 경우를 고려할 것이다. 이 경우, 일반 사용자가 모바일 인쇄를 위한 무선 통신을 확립할 때, 보안 문제를 고려하면서 사용자의 통신 단말로부터 네트워크 설정 서비스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설정 정보의 재기입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네트워크 관리자 등이 통신 단말을 사용해서 네트워크 설정 서비스를 사용하고 싶을 경우에는, 네트워크 설정 서비스가 사용될 수 있도록 적절하게 통신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다이렉트 무선 통신을 수행할 때의 동작 모드에 따라 다른 포트 필터들에 기초하는 통신 제어를 수행하고, 통신 단말과 정보 처리 장치 사이의 제휴를 적절하게 수행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또한, 이하의 예시적 실시예는 청구항들의 범위에 관한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설명된 특징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해결 방법에 반드시 필수적인 것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제1 예시적 실시예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성이 설명될 것이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다기능 주변기기(MFP)(101), 통신 단말(102) 및 액세스 포인트(AP)(103)로 구성된다.
통신 단말(102)은 IEEE 802.11 규격(이하, 802.11 규격으로 지칭함)에 기초하는 무선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AP(103)에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확장 서비스 세트 식별자(extended service set identifier)(ESSID) 및 보안 키를 통신 단말(102)에 입력할 때, 통신 단말(102)은 AP(103)에 의해 제공되는 네트워크에 접속될 수 있다.
MFP(101)는 원고 상의 화상을 판독하는 판독 기능, 시트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 기능을 포함한다. 또한, MFP(101)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고, 시트에 화상을 인쇄하는 모바일 인쇄 기능을 포함한다.
MFP(101)의 무선 네트워크 설정으로서 AP(103)에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ESSID 및 보안 키가 설정될 때, 통신 단말(102) 및 MFP(101)는 AP(103)를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단말(102) 및 MFP(101)가 AP(103)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모드는 인프라스트럭쳐 무선 통신(infrastructure wireless communication)으로 지칭될 것이다. 네트워크 관리자는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인프라스트럭쳐 무선 통신이 허가되는지 여부에 대한 모드(인프라스트럭쳐 모드라고 지칭함)를 MFP(101)에 설정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인프라스트럭쳐 모드가 ON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MFP(101)는 외부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을 확립할 수 있는 상태(인프라스트럭쳐 모드에서 동작 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인프라스트럭쳐 모드가 OFF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MFP(101)는 외부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을 제한하는 상태(인프라스트럭쳐 모드에서 동작이 수행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통신 단말(102)은 AP(103)를 통해 MFP(101)와 통신한다. 통신 단말(102)은 AP(103)를 통해 MFP(101)에 인쇄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는 MFP(101)는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는 인쇄를 실행한다.
MFP(101)는 소프트웨어 AP를 기동시키고, 그래서 AP(103)와 같은 중계 장치의 중개 없이 통신 단말(102)과 무선 통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MFP(101)가 소프트웨어 AP를 기동시키는 경우, 통신 단말(102)은 MFP(101)에 의해 제공되는 소프트웨어 AP에 접속될 수 있다.
사용자는, MFP(101)에 의해 기동되는 소프트웨어 AP에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접속 정보(예를 들어, ESSID 및 보안 키)를 통신 단말(102)에 입력한다. 통신 단말(102)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MFP(101)에 의해 제공되는 소프트웨어 AP에 접속된다. MFP(101)에 의해 제공되는 소프트웨어 AP에 접속된 통신 단말(102)은, AP(103)와 같은 중계 장치의 중개 없이 MFP(101)와 다이렉트 무선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이후,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단말(102)이 AP(103)와 같은 중계 장치의 중개 없이 MFP(101)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모드를 다이렉트 무선 통신이라 지칭할 것이다.
통신 단말(102)은 인프라스트럭쳐 무선 통신 또는 다이렉트 무선 통신을 사용해서 MFP(101)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단말
먼저, 통신 단말(102)이 설명될 것이다. 통신 단말(102)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단말, 퍼스널 컴퓨터(PC)와 같은 정보 처리 장치이며, 다양한 용도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통신 단말(102)에 인스톨되어 있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단말(102)에는, 통신 단말(102) 근방에 존재하는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설정을 수행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설정 애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통신 단말(102)에는, 인쇄 데이터가 MFP(101)에 송신되어 인쇄를 수행할 수 있는 인쇄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인쇄 애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인쇄 애플리케이션은 인프라스트럭쳐 무선 통신 또는 다이렉트 무선 통신을 사용해서 MFP(101)에 인쇄 데이터를 송신하고, 그래서 MFP(101)는 인쇄를 수행할 수 있다.
설정 애플리케이션 및 인쇄 애플리케이션이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개별 애플리케이션들로서 제공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통신 단말(102)을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OS)가 전술한 인쇄 기능 및 설정 기능을 OS의 기본 기능으로서 제공하는 모드가 채택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
이어서, MFP(101)가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MFP(101)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중앙 처리 유닛(CPU)(111)을 포함하는 제어 유닛(110)은 MFP(101)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CPU(111)는 ROM(Read Only Memory)(112) 또는 스토리지(114)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인쇄 제어 및 판독 제어와 같은 각종 제어를 수행한다. ROM(112)은 CPU(111)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113)는 CPU(111)의 메인 저장 메모리이며, 작업 영역 또는 각종 제어 프로그램의 명령을 전개하기 위한 일시 저장 영역으로서 사용된다. 스토리지(114)는 인쇄 데이터, 화상 데이터, 각종 프로그램 및 각종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
단일 CPU(111)가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MFP(101)에서 단일 메모리(RAM (113))를 사용하여 후술하는 흐름도에 나타낸 각각의 처리를 실행하지만, 다른 모드가 채택될 수도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CPU, RAM, ROM 및 스토리지를 서로 제휴하여 후술하는 흐름도에 나타낸 각각의 처리를 실행할 수도 있다. 또한, 주문형 집적회로(ASIC) 또는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와 같은 하드웨어 회로를 사용해서 일부의 처리가 실행될 수 있다.
조작 유닛 인터페이스(I/F)(115)는 조작 유닛(116)과 제어 유닛(110)을 접속한다. 조작 유닛(116)에는, 터치 패널 기능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유닛, 각종 하드 키 등이 제공되고,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유닛 및 사용자로부터 지시를 접수하는 접수 유닛으로서 기능한다.
판독 유닛 I/F(117)는 판독 유닛(118)과 제어 유닛(110)을 접속한다. 판독 유닛(118)은 원고를 판독하고, 판독 화상을 생성한다. 생성된 판독 화상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에 송신되거나, 인쇄를 위해 사용된다.
인쇄 유닛 I/F(119)는 인쇄 유닛(120)과 제어 유닛(110)을 접속한다. 인쇄 유닛(120)은 외부로부터 수신된 인쇄 데이터 또는 판독 화상에 기초하여 시트에 화상을 인쇄한다.
제어 유닛(110)은 유선 LAN I/F(121)을 통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네트워크에 접속된다. 유선 LAN I/F(121)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네트워크 상의 외부 장치에 화상 또는 정보를 송신하고, 네트워크 상의 외부 장치로부터 인쇄 데이터 또는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제어 유닛(110)에는 무선 LAN I/F(122)가 제공된다. 무선 LAN I/F(122)는 외부 AP에 접속을 확립함으로써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클라이언트의 기능, 및 MFP(101)가 AP로서 작용하는 소프트웨어 AP의 기능을 제공한다.
MFP(101)의 무선 클라이언트의 기능은 인프라스트럭쳐 모드가 ON인 경우에 동작한다. 인프라스트럭쳐 모드가 ON인 경우, MFP(101)에 저장된 무선 네트워크 설정에 기초하여 외부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이 확립된다. 예를 들어, AP(103)에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ESSID 및 보안 키가 무선 네트워크 설정으로서 설정될 때, MFP(101)는 AP(103)에 접속된 다른 장치와 AP(103)를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AP는, 액세스 포인트 모드가 ON인 경우에 기동된다. 사용자가 액세스 포인트 모드를 ON으로 설정한 경우, 무선 LAN I/F(122)는 소프트웨어 AP를 기동시키고, 외부 장치가 접속될 수 있는 AP로서 동작한다. 소프트웨어 AP에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ESSID 및 보안 키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서 MFP(101)의 조작 유닛(116) 상에 표시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LAN I/F(122)는 단일 소프트웨어 AP를 기동시키는 것이 가능하지만, 동시에 복수의 소프트웨어 AP를 기동할 수는 없다.
따라서, MFP(101)에 포함되는 물리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유선 LAN I/F(121) 및 무선 LAN I/F(122)를 포함하는 2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이지만, MFP(101)는 논리적으로 3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이들 네트워크를 구별하기 위해서, 유선 LAN I/F(121)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eth0"이라고 지칭할 것이다. 인프라스트럭쳐 모드에서 외부 AP와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wlan0"이라고 지칭할 것이다. 소프트웨어 AP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wlan1"이라고 지칭할 것이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LAN I/F(122)는 무선 클라이언트의 기능 및 소프트웨어 AP의 기능을 동시에 동작할 수 있지만,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무선 LAN I/F(122)가 무선 클라이언트의 기능 및 소프트웨어 AP의 기능 중 하나에서만 동작하는 경우, 무선 LAN I/F(122)는 배타 처리를 수행하여 모드들 중 하나를 선택해서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인프라스트럭쳐 모드가 인프라스트럭쳐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ON으로 설정될 때, 액세스 포인트 모드는 소프트웨어 AP의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해 OFF로 설정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 모드가 소프트웨어 AP를 기동시키기 위해 ON으로 설정될 때, 인프라스트럭쳐 모드는 외부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을 제한하기 위해 OFF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단말(102)과 제휴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일례로서 MFP(101)가 예시되어 있지만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시적 실시예는 다른 장치와 제휴를 수행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AP를 개시할 수 있는 여러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구성은 스캐너 장치 및 프린터 장치와 같은 단일 기능 주변기기(single function peripheral)(SFP), 디지털 카메라 및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digital signage apparatus)와 같은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AP를 사용해서 통신 단말과 제휴
이어서,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소프트웨어 AP를 사용해서 통신 단말(102)과 제휴를 수행하는 기능이 설명될 것이다.
MFP(101)는 복수의 용도에서 소프트웨어 AP를 사용한다. 먼저, 모바일 인쇄 기능(서비스)이 MFP(101)의 사용자에게 제공될 때, 소프트웨어 AP는 제1 용도로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사무실 방문자의 통신 단말, 개인 소유의 통신 단말 등으로부터 인쇄를 수행하고 싶은 경우에는, 보안의 관점에서 많은 경우에 사내에 설치된 인프라스트럭쳐 환경의 이용이 허가되지 않는다. 상기 관점에서,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MFP(101)는 MFP(101)에 의해 기동된 소프트웨어 AP와 통신 단말(102) 사이에 무선 접속을 확립하고, 다이렉트 무선 통신에 의해 인쇄를 수행하기 위해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는 모바일 인쇄 기능을 제공한다.
MFP(101) 등의 네트워크 관리자에게 제공된 네트워크 설정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 소프트웨어 AP는 제2 용도로 사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관리자는 통신 단말(102)의 설정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해서 MFP(101)의 무선 네트워크의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통신 단말(102)의 설정 애플리케이션은 MFP(101)의 소프트웨어 AP와 무선 통신을 확립하고, 다이렉트 무선 통신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의 설정 데이터를 송신한다. MFP(101)는 설정 애플리케이션과 제휴하기 위한 서비스에 의해, 통신 단말(102)로부터 수신된 설정 데이터에 기초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수신된 데이터에 포함되는 ESSID 및 보안 키는 무선 네트워크 설정으로 저장된다. 설정 애플리케이션과 제휴하기 위한 서비스는 무선 네트워크 설정을 반영하고, MFP(101)를 장치 외부의 AP에 접속한다.
이때, MFP(101)의 소프트웨어 AP를 통한 다이렉트 무선 통신이 MFP(101)와 통신 단말(102) 사이에 수행되는 경우, MFP(101)의 여러 서비스에 대한 통신이 일률적으로 허가되면, 보안의 관점에서 문제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일반 사용자가 모바일 인쇄를 위한 무선 접속을 확립하고 다이렉트 무선 통신을 수행할 때, 네트워크 설정 정보가 사용자의 통신 단말로부터 네트워크의 설정 서비스를 사용해서 재기입될 수 있다면, 보안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소프트웨어 AP를 사용해서 다이렉트 무선 통신을 수행할 때, 일률적으로 모바일 인쇄 서비스에 사용되는 통신 이외의 통신을 금지하면, 전술한 네트워크의 설정 서비스에 대한 통신이 제한되고, 설정이 수행될 수 없는 위험이 존재한다. 따라서, 네트워크 관리자 등이 통신 단말을 사용해서 네트워크 설정 서비스를 사용하고 싶을 경우, 네트워크 설정의 서비스가 사용될 수 없는 위험이 존재한다.
이것을 감안하여,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다이렉트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 모드들은 모바일 인쇄 기능과 같은 일반 사용자를 위해 설계된 기능이 제공될 때와, 네트워크 관리자를 위해 설계된 네트워크 설정 기능이 제공될 때 다르게 된다. 또한, 동작 모드에 따라 소프트웨어 AP를 통해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이 수행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는 다른 포트 필터가 적용되고, 통신 단말(102)과 MFP(101) 사이의 제휴는 적절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하, 이들의 제어를 실현하는 방법이 설명될 것이다.
소프트웨어 AP의 기동
먼저, MFP(101)의 사용자가 MFP(101)의 소프트웨어 AP를 기동시키는 방법이 설명될 것이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일반 사용자를 위해 설계된 모바일 인쇄 기능과 같은 기능이 사용되는 경우는 모바일 제휴 모드라고 지칭하고, 네트워크 관리자를 위해 설계된 네트워크 설정 기능이 사용되는 경우는 무선 LAN 설정 모드라고 지칭할 것이다.
사용자가 모바일 제휴 모드를 위한 소프트웨어 AP를 기동시키는 방법은 도 3과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3은 MFP(101)의 조작 유닛(116) 상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3에서는, MFP(101)의 사용자가 MFP(101)의 각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메인 메뉴 화면(300)이 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메인 메뉴 화면(300)으로부터 MFP(101)의 카피 기능 또는 스캐닝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키(표시된 아이템)를 선택함으로써, MFP의 각각의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모바일 포털 키(301)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단말과 같은 통신 단말(102)과의 제휴가 수행되는 경우에 사용되는 키이다. 사용자가 모바일 포털 키(301)를 선택할 때, 조작 유닛(116) 상에 표시된 화면을 모바일 포털 화면에 천이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4a 및 도 4b는 MFP(101)의 조작 유닛(116) 상에 표시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4a 및 도 4b에서, 모바일 포털 화면은 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통신 단말(102)과 MFP(101)가 서로 접속되었을 때 사용된 정보를 확인하고, 모바일 포털 화면(400 및 410)을 통해 통신 단말(102)과의 접속 방법을 변경할 수 있다.
LAN 접속 키(401)는 MFP(101)와 통신 단말(102)이 동일한 네트워크(예를 들어, AP(103))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사용되는 키이다. LAN 접속 키(401)가 눌러질 때, 접속 지원 화면(도시 생략)이 표시된다. 접속 지원 화면에는 장치의 IP 어드레스 등을 포함하는 QR 코드(등록 상표)가 표시된다. 통신 단말의 인쇄 애플리케이션은 조작 유닛(116) 상에 표시된 QR 코드를 판독하고, 인쇄 데이터가 MFP(101)에 송신되는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IP 어드레스를 취득한다. 또한, 인쇄 데이터는 취득된 어드레스를 사용해서 MFP(101)에 송신된다.
한편, 다이렉트 접속 키(402)는, 모바일 인쇄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MFP(101)와 통신 단말(102) 사이에서 다이렉트 무선 통신을 위한 접속이 확립되는 경우에 사용되는 키이다. 도 4a 및 도 4b는 다이렉트 접속 키(402)가 예로서 선택되는 경우의 화면을 예시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개시 키(403)는 다이렉트 무선 통신에 사용될 소프트웨어 AP가 기동되는 경우에 사용되는 키이다. CPU(111)는 사용자에 의한 개시 키(403)의 선택에 기초하여, 조작 유닛(116) 상에 표시된 화면을 도 4b에 예시된 모바일 포털 화면(410)으로 전환한다.
또한, CPU(111)는 액세스 포인트 모드를 ON으로 설정하고, 무선 LAN I/F(122)를 제어하여 모바일 제휴 모드를 위한 소프트웨어 AP를 기동시킨다.
여기서는, 모바일 제휴 모드를 위한 소프트웨어 AP가 기동될 때, 액세스 포인트를 식별하기 위한 ESSID가 "PRINTER-AP"이고 네트워크 키가 "123"인 설정을 사용하여 소프트웨어 AP가 기동되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기동될 소프트웨어 AP의 ESSID 및 네트워크 키의 설정은 미리 MFP(101)의 스토리지(114)에 저장되어 있지만,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ESSID는 MFP(101)의 명칭 또는 모델 등으로부터 생성될 수 있거나, 일자 또는 시간과 같은 정보를 사용해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키는 소프트웨어 AP가 기동될 때 랜덤하게 생성될 수 있다. 모바일 제휴 모드를 위한 소프트웨어 AP가 기동될 때 사용자 또는 네트워크 관리자가 ESSID 및 네트워크 키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구성도 채택될 수 있다.
정보(411)는 MFP(101)의 소프트웨어 AP와의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접속 정보로서 모바일 포털 화면(410) 상에 표시된다. 또한, ESSID 및 네트워크 키와 같은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QR 코드(412)는 모바일 포털 화면(410) 상에 표시된다. 종료 키(413)는 모바일 제휴 모드를 위한 소프트웨어 AP가 정지될 때 사용되는 키이다. MFP(101)는 사용자에 의한 종료 키(413)의 선택에 기초하여 모바일 제휴 모드를 위한 동작 중인 소프트웨어 AP를 정지한다.
통신 단말(102)의 인쇄 애플리케이션은, 통신 단말(102)의 카메라(도시 생략)를 사용해서 사용자에게 QR 코드를 판독할 것을 요구하고, MFP(101)의 소프트웨어 AP와의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접속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단말(102)의 인쇄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게 ESSID 및 네트워크 키를 입력할 것을 요구하고, 접속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 포털 화면(410) 상에 표시된 정보(411)를 보고 인쇄 애플리케이션에 입력해야 할 ESSID 및 네트워크 키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CPU(111)는 통신 액세스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포트 필터를, 소프트웨어 AP를 통해 데이터가 송신 및 수신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wlan1"에 적용한다. 이 포트 필터는, 모바일 인쇄 기능과 같은 일반 사용자를 위해 설계된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통신이 허가되고, 다른 통신에서는 데이터의 수신이 거부(수신 데이터가 파기)되는 필터이다. 포트 필터의 구체적인 예는 후술하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 처리의 결과로서, MFP(101)가 모바일 제휴 모드를 위한 소프트웨어 AP를 기동시킨 상태에서, 모바일 인쇄 기능과 같은 일반 사용자를 위해 설계된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통신이 허가될 수 있다. 또한, 이 처리의 결과로서, MFP(101)가 모바일 제휴 모드를 위한 소프트웨어 AP를 기동시킨 상태에서, 다른 통신(예를 들어, 전술한 설정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송신된 설정 데이터의 수신)을 파기할 수 있다.
이어서, 무선 LAN 설정 모드를 위한 소프트웨어 AP를 사용자가 기동시키는 방법은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5a 및 도 5b는 MFP(101)의 조작 유닛(116) 상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로서, 무선 LAN을 위한 설정 화면(500)을 나타내고 있다. MFP의 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화면(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MFP(101)의 관리자에 의한 네트워크 설정의 아이템의 선택이 접수되면, MFP(101)는 무선 LAN에 대한 설정 화면(500)을 조작 유닛(116) 상에 표시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관리의 권한을 가진 사용자(예를 들면, 디바이스 관리자)만이 MFP(101)의 네트워크 설정의 예상치 않은 변경을 억제하기 위해 설정 화면(500)에 기초하여 설정을 수행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MFP(101)는 설정 화면(500)이 표시되기 전에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이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만 설정 화면(500)이 표시된다.
설정 화면(500)에서 무선 LAN I/F(122)에 대한 설정이 수행될 수 있다. "수동 설정" 키(501)는, MFP(101)가 접속되는 외부 AP에 관한 설정이 수동으로 수행되는 경우에 사용되는 키이다. "수동 설정" 키(501)가 선택될 때, 사용자는 입력 화면(도시 생략)으로부터 MFP(101)의 무선 네트워크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MFP(101)에 의해 접속될 AP의 ESSID 및 보안 키를 입력 화면으로부터 입력하여 수동 무선 네트워크 설정을 수행한다.
"무선 LAN 설정 서비스의 사용" 키(502)는 무선 LAN I/F(122)에 대한 설정이 통신 단말(102)의 설정 애플리케이션과 제휴해서 수행되는 경우에 사용되는 키이다.
CPU(111)는, "무선 LAN 설정 서비스의 사용" 키(502)가 선택되었다고 결정될 때, 액세스 포인트 모드를 ON으로 설정하고, 무선 LAN 설정 모드를 위한 소프트웨어 AP를 기동시킨다. 또한, CPU(111)는 사용자에 의한 개시 키(403)의 선택에 기초하여, 조작 유닛(116) 상에 표시된 화면을 도 5b에 예시된 화면(510)으로 전환한다.
여기서는, 무선 LAN 설정 모드를 위한 소프트웨어 AP가 기동될 때, ESSID를 "PRINTER-ConfigAP"로 설정하고 네트워크 키를 "456"으로 설정한 상태에서 소프트웨어 AP를 기동시키는 경우가 예시된다. 기동될 소프트웨어 AP의 ESSID 또는 네트워크 키의 설정은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MFP(101)의 스토리지(114)에 미리 저장되고 있지만,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ESSID는 MFP(101)의 명칭 또는 모델 등으로부터 생성될 수 있거나, 일자 또는 시간 등의 정보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키는 소프트웨어 AP가 기동될 때 랜덤하게 생성될 수 있다. 모바일 제휴 모드를 위한 소프트웨어 AP가 기동될 때 사용자 또는 네트워크 관리자가 ESSID 및 네트워크 키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구성도 채택될 수 있다.
정보(511)는 MFP(101)의 무선 LAN 설정 모드를 위한 소프트웨어 AP에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접속 정보로서 화면(510) 상에 표시된다. ESSID 및 네트워크 키와 같은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QR 코드(512)도 화면(510) 상에 표시된다. 종료 키(513)는 무선 LAN 설정 모드를 위한 소프트웨어 AP가 정지되는 경우에 사용되는 키이다. MFP(101)는, 사용자가 종료 키(513)를 선택한 것이 검출될 때, 무선 LAN 설정 모드를 위한 동작 중인 소프트웨어 AP를 정지한다.
통신 단말(102)의 설정 애플리케이션은, 통신 단말(102)의 카메라(도시 생략)를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QR 코드의 판독을 요구할 때, MFP(101)의 무선 LAN 설정 모드를 위한 소프트웨어 AP에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접속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단말(102)의 설정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게 ESSID 및 네트워크 키의 입력을 요구할 때, 접속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사용자는 화면(510) 상에 표시된 정보(511)를 보고 인쇄 애플리케이션에 입력해야 할 ESSID 및 네트워크 키를 파악할 수 있다.
CPU(111)는 통신 액세스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포트 필터를, 소프트웨어 AP를 통해 데이터가 송신 및 수신되는 "wlan1"에 적용한다. 이 포트 필터는, 설정 애플리케이션과의 제휴에 사용되는 통신을 허가하고, 다른 통신에서는 수신된 데이터를 파기하는 필터이다. 포트 필터의 구체적인 예는 후술하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어서, MFP(101)와 통신 단말(102) 간의 제휴와 관련된 제어는 도 6 내지 도 8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6 내지 도 8의 흐름도에 나타낸 각각의 동작(단계)은, CPU(111)가 ROM(112) 또는 스토리지(114)에 저장된 각각의 제어 모듈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RAM(113)으로 판독하여 실행할 때 실현된다.
CPU(111)는, MFP(101)가 전원이 ON인 상태에서 통상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도 6 내지 도 8의 흐름도를 실행한다. MFP(101)에 전력이 공급되고 MFP(101)가 다양한 부트 프로그램에 의해 사용될 수 있을 때, CPU(111)는 도 6에 도시된 흐름도에 도시된 제어를 실행한다.
S601에서, CPU(111)는 모바일 포털 화면의 표시 지시가 접수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CPU(111)는, 메인 메뉴 화면(300)을 통해 모바일 포털 키(301)가 선택된 경우, 모바일 포털 화면의 표시 지시를 접수했다고 결정하고, 처리는 S602으로 진행한다. 메인 메뉴 화면(300)을 통해 모바일 포털 키(301)가 선택되지 않는 경우에는, 모바일 포털 화면의 표시 지시를 접수하지 않았다고 결정하고, 처리는 S605로 진행한다.
S602에서, CPU(111)는 조작 유닛(116) 상에 모바일 포털 화면을 표시하고, 처리는 S603으로 진행한다. S603에서, CPU(111)는 모바일 포털 화면(400)을 통해 무선 다이렉트를 개시하기 위한 지시가 접수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무선 다이렉트를 개시하기 위한 지시가 접수된 경우, 처리는 S604으로 진행한다. 무선 다이렉트를 개시하기 위한 지시가 접수되지 않은 경우, 처리를 S602으로 복귀시키고, 사용자에 의한 개시 지시를 기다린다. CPU(111)는 모바일 포털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메인 메뉴에 천이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 등이 접수된 경우에 S601의 처리로 복귀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S604에서, CPU(111)는 모바일 제휴 모드에서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RAM(113)에 저장하고, 처리는 S608로 진행한다. RAM(113)에 저장된 플래그는 후술하는 단계에서 적절히 참조될 것이다.
S608에서는, 다이렉트 무선 통신을 사용하는 통신 단말(102)과의 제휴 처리가 수행된다.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S605에서, CPU(111)는 무선 LAN 설정 서비스를 위한 화면(510)을 표시하기 위한 지시가 접수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CPU(111)는, 설정 화면(500)을 통해 "무선 LAN 설정 서비스의 사용" 키(502)가 선택된 경우, 무선 LAN 설정 서비스를 위한 화면(510)을 표시하기 위한 지시가 접수되었다고 결정하고, 처리는 S606으로 진행한다. 한편, "무선 LAN 설정 서비스의 사용" 키(502)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처리는 S609로 진행한다.
S606에서, CPU(111)는 무선 LAN 설정 서비스를 위한 화면(510)을 조작 유닛(116) 상에 표시하고, 처리는 S607로 진행한다. S607에서, CPU(111)는 무선 LAN 설정 모드에서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RAM(113)에 저장하고, 처리는 S608로 진행한다. RAM(113)에 저장된 플래그는 후술하는 단계에서 적절히 참조될 것이다.
한편, S609에서, CPU(111)는 기타 지시가 접수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기타 지시가 접수된 경우는, 처리는 S610으로 진행한다. 기타 지시가 접수되지 않은 경우, 처리는 S611로 진행한다.
S610에서, CPU(111)는 S609에서 접수된 기타 지시에 기초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CPU(111)는, 사용자 지시에 기초하여 판독 유닛(118)에 의해 원고를 판독해서 얻어진 화상을 시트에 인쇄하는 카피 처리를 수행하거나, 판독 유닛(118)에 의해 원고를 판독해서 외부에 전송하는 "스캔 및 전송" 처리를 수행한다. 외부 장치로부터 AP(103) 또는 유선 LAN I/F(121)를 통해 인쇄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에는, 수신된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는 인쇄 처리가 수행된다. CPU(111)는, 지시에 기초한 처리일 때, S601의 처리로 복귀한다.
S611에서, CPU(111)는 MFP(101)를 셧다운하기 위한 지시가 접수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MFP(101)를 셧다운하기 위한 지시가 접수된 경우, MFP(101)에 대한 전력 공급을 턴 오프하는 셧다운 처리가 실행되어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MFP(101)를 셧다운하기 위한 지시가 접수되지 않은 경우, 처리는 S601로 복귀한다.
이어서, 도 7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S605에서 다이렉트 무선 통신을 사용하는 통신 단말(102)과의 제휴 처리가 설명될 것이다.
S701에서, CPU(111)는 소프트웨어 AP에 대한 기동 처리를 수행한다. 소프트웨어 AP에 대한 기동 처리는 도 8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S801에서, CPU(111)는 모바일 제휴 모드에서 동작이 수행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모바일 제휴 모드에서 동작이 수행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가 RAM(113)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처리는 S802로 진행한다. 모바일 제휴 모드에서 동작이 수행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가 RAM(113)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즉, 무선 LAN 설정 모드에서 동작이 수행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처리는 S807로 진행한다.
S802에서, CPU(111)는 무선 LAN I/F(122)와 제휴해서 모바일 제휴 모드를 위한 설정에 기초하는 소프트웨어 AP가 동작 중 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모바일 제휴 모드를 위한 설정에 기초하는 소프트웨어 AP가 동작 중일 때, 처리는 도 7의 S702로 진행한다(S803 내지 S806의 처리를 스킵한다). 모바일 제휴 모드를 위한 설정에 기초하는 소프트웨어 AP가 동작 중이 아닐 때, 처리는 S803으로 진행한다.
S803에서, CPU(111)는 무선 LAN I/F(122)와 제휴해서 다른 용도를 위한 소프트웨어 AP가 동작 중 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다른 용도를 위한 소프트웨어 AP가 동작 중일 때, 처리는 S804로 진행한다. 다른 용도를 위한 소프트웨어 AP가 동작 중이 아닐 때, 처리는 S805로 진행한다.
S804에서, CPU(111)는 무선 LAN I/F(122)와 제휴해서 동작 중인 소프트웨어 AP를 정지하고, 처리는 S805로 진행한다. S805에서, CPU(111)는 모바일 제휴를 위한 설정에 기초하여 소프트웨어 AP를 기동시킨다. 예를 들어, CPU(111)는, ESSID가 "PRINTER-AP"로 설정되고 네트워크 키가 "123"으로 설정된 소프트웨어 AP를 기동시킨다.
S806에서, CPU(111)는 모바일 제휴 모드를 위한 포트 필터를, 소프트웨어 AP를 통해 데이터가 송신 및 수신되는 "wlan1"에 적용한다.
도 9a 및 도 9b는 소프트웨어 AP를 통해 데이터가 송신 및 수신되는 "wlan1"에 적용되는 포트 필터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9a는 모바일 제휴를 위한 소프트웨어 AP가 기동될 때 사용되는 포트 필터(910)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포트 필터는 송신 포트 및 수신 포트에서의 통신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포트들 9100 및 515는, MFP(101)가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고 RAW 인쇄 또는 라인 프린터 원격(line printer remote)(LPR) 인쇄에서 인쇄 데이터를 대기하는데 사용되는 포트이다. 여기서, 통신 단말(102)의 인쇄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포트들 9100 및 515에서 데이터를 대기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포트들에서의 데이터 수신이 허가된다.
포트 67은 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DHCP) 서비스에 의해 사용되는 포트이다. 포트 5353은, 장치가 통신 단말(102) 등으로부터 송신된 장치 탐색 요구에 대한 응답을 행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포트이다. 전술한 포트는 인쇄 애플리케이션과의 제휴시에 데이터를 송신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포트에서의 데이터 송신이 허가된다.
이와 같이, 모바일 제휴 모드에서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의 포트 필터에는, 인쇄 애플리케이션과의 제휴 시에 통신이 발생하는 포트만을 해제하고 다른 포트를 폐쇄하는 규칙이 정의된다. CPU(111)는 포트 필터를, 소프트웨어 AP를 통해 데이터가 송신 및 수신되는 "wlan1"에 적용한다. 인쇄 애플리케이션이 기타 제휴 기능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기타 제휴 기능에 대응하는 포트 필터링이 적절히 수행됨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포트 필터링의 규칙은 화이트 리스트 포맷에서 예시되었지만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블랙 리스트 방식에 기초한 정의가 채택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MFP(101)에 의해 기동되는 소프트웨어 AP를 통해 데이터 통신에만 전술한 포트 필터(910)에 기초하는 통신 제어(액세스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선 LAN I/F(121)를 통한 데이터 통신 또는 무선 클라이언트 기능을 사용해서 외부 AP에 대한 데이터 통신이 수행되는 경우, MFP(101)는 별도 설정된 포트 필터에 따라 통신을 제어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이들의 포트 필터는, 예를 들어 MFP(101)에 미리 설정된 보안 정책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관리자에 의해 생성된다. 따라서, "eth0"를 위해 설정된 포트 필터는 유선 LAN I/F(121)를 통해 데이터가 송신 및 수신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eth0"에 적용된다. 무선 클라이언트 기능을 사용해서 외부 AP에 대한 데이터 통신이 수행되는 경우, "wlan0"을 위해 설정된 포트 필터는 인프라스트럭쳐 접속을 위해 MFP(101)에 의해 사용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wlan0"에 적용된다.
다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이 제공될 것이다. S807에서, CPU(111)는 무선 LAN 설정 모드를 위한 설정에 기초한 소프트웨어 AP가 무선 LAN I/F(122)와 제휴하여 동작 중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무선 LAN 설정 모드를 위한 설정에 기초하는 소프트웨어 AP가 동작 중일 때, 처리는 도 7의 S702로 진행한다. 무선 LAN 설정 모드를 위한 설정에 기초하는 소프트웨어 AP가 동작 중이 아닐 때, 처리는 S808로 진행한다.
S808에서, CPU(111)는 다른 용도를 위한 소프트웨어 AP가 무선 LAN I/F(122)과 제휴해서 동작 중 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다른 용도를 위한 소프트웨어 AP가 동작 중일 때, 처리는 S809로 진행한다. 다른 용도를 위한 소프트웨어 AP가 동작 중이 아닐 때, 처리는 S810으로 진행한다.
S809에서, CPU(111)는 무선 LAN I/F(122)과 제휴해서 동작 중인 소프트웨어 AP를 정지하고, 처리는 S810으로 진행한다. S810에서, CPU(111)는 무선 LAN 설정 모드를 위한 설정에 기초하여 소프트웨어 AP를 기동시킨다. 예를 들어, CPU(111)는, ESSID가 "PRINTER-ConfigAP"로 설정되고 네트워크 키가 "456"으로 설정되는 소프트웨어 AP를 기동시킨다.
S811에서, CPU(111)는 무선 LAN 설정 모드를 위한 포트 필터를, 소프트웨어 AP를 통해 데이터가 송신 및 수신되는 "wlan1"에 적용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S811에서 사용된 무선 LAN 설정 모드를 위한 포트 필터에는, S806에서 사용된 모바일 제휴를 위한 포트 필터와는 다른 통신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규칙이 기술되어 있다. 이 구성은 도 9b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9b는 모바일 제휴를 위한 소프트웨어 AP가 기동되는 경우에 "wlan1"에 적용되는 포트 필터(920)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포트 161은 단순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SNMP)에서 사용되는 포트이고, 포트 80은 하이퍼 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yper Text Transfer Protocol)(HTTP)에서 사용되는 포트이다. 포트 5683은 CoAP(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에서 사용되는 포트이다. 이들 포트는 설정 애플리케이션과의 제휴 시에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포트이기 때문에, 전술한 포트에서의 데이터 송신 및 수신이 허가된다. DHCP 서비스에 의해 사용되는 포트 67과, 탐색을 수행하기 위한 포트 5353은 설정 애플리케이션과의 제휴 시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포트이기 때문에, 전술한 포트를 사용하는 데이터의 송신이 허가된다.
무선 LAN 설정 서비스를 위한 소프트웨어 AP가 기동되는 경우, 통신 단말의 설정 애플리케이션과의 제휴 시에 통신이 발생하는 포트만을 해제하고, 기타 포트는 폐쇄되는 규칙을 갖는 포트 필터가 "wlan1"에 적용된다. 따라서, 무선 LAN 설정 서비스를 위한 소프트웨어 AP가 기동되는 경우, MFP(101)는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고 RAW 인쇄 또는 LPR 인쇄에서 인쇄 데이터를 대기하기 위해 사용된 포트를 향해 송신된 데이터를 파기할 수 있다.
모바일 제휴를 위한 전술한 소프트웨어 AP가 기동되는 경우, MFP(101)는 설정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포트들 161, 80 및 5683을 사용하는 통신을 파기할 수 있다. 따라서, MFP(101)가 모바일 제휴를 위한 소프트웨어 AP를 기동시키고 있는 동안, 설정 애플리케이션과의 제휴는 수행되지 않는다.
소프트웨어 AP를 통해 데이터가 송신 및 수신되는 "wlan1"에 대한 포트 필터의 적용이 완료될 때, 처리는 도 7의 S702로 진행한다. S702에서, CPU(111)는 통신 단말(102)로부터 소프트웨어 AP에 대한 접속 요구가 접수될 때 접속 처리를 수행한다.
S703에서, CPU(111)가 소프트웨어 AP를 사용하는 무선 접속을 확립하는 경우, 처리는 S704로 진행한다. 소프트웨어 AP를 사용하는 무선 접속이 확립되지 않는 경우, 처리는 S710으로 진행한다.
S704에서, CPU(111)는 무선 LAN 설정 데이터가 통신 단말(102)로부터 소프트웨어 AP를 통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무선 LAN 설정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처리는 S705로 진행한다. 무선 LAN 설정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처리는 S708로 진행한다.
도 8과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무선 LAN 설정 모드를 위한 소프트웨어 AP가 기동되는 경우에는, 설정 데이터를 접수하는 포트가 해제되기 때문에, 통신 단말(102)로부터 송신된 무선 LAN 설정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한편, 모바일 제휴 모드를 위한 소프트웨어 AP가 기동되는 경우, 설정 데이터가 통신 단말(102)로부터 MFP(101)로 송신될지라도, 설정 데이터를 접수하기 위한 포트가 폐쇄되기 때문에, 전술한 설정 데이터는 설정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고 파기된다.
S705에서, CPU(111)는 수신된 설정 데이터를 분석하고, 설정 데이터에 포함되는 ESSID, 보안 키 등을 접속 정보로서 취득한다. 또한, CPU(111)는 취득된 접속 정보를 MFP(101)가 외부 AP에 접속하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 설정으로서 저장한다.
S706에서, CPU(111)는 무선 LAN I/F(122)와 제휴해서 동작 중인 소프트웨어 AP를 정지하고, 처리는 S707로 진행한다.
S707에서, CPU(111)는 무선 LAN I/F(122)를 제어하고, 외부 AP와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 설정을 반영한다. 설정을 반영하기 위해 MFP(101)의 재기동이 필요하면, MFP(101)의 재기동이 수행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반영 처리가 완료될 때, 일련의 제휴 처리를 종료하고, 처리는 S601로 복귀한다.
S708에서, CPU(111)는 인쇄 데이터가 통신 단말(102)로부터 소프트웨어 AP를 통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인쇄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처리는 S709로 진행한다. 인쇄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처리는 S710으로 진행한다.
도 8 및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모바일 제휴 모드를 위한 소프트웨어 AP가 기동되는 경우, 인쇄 데이터를 접수하기 위한 포트가 해제되기 때문에, 통신 단말(102)로부터 송신된 인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무선 LAN 설정 모드를 위한 소프트웨어 AP가 기동되는 경우, 인쇄 데이터를 접수하기 위한 포트가 폐쇄된다. 따라서, 인쇄 데이터가 통신 단말(102)로부터 MFP(101)로 송신될지라도, 인쇄 데이터를 접수하기 위한 포트가 폐쇄되기 때문에, 이런 인쇄 데이터는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고 파기된다.
S709에서, CPU(111)는 수신된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트에 화상을 인쇄한다. 인쇄가 완료될 때, 처리는 S710으로 진행한다.
S710에서, CPU(111)는 소프트웨어 AP를 정지하기 위한 지시가 접수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소프트웨어 AP를 정지하기 위한 지시가 접수된 경우, 처리는 S711로 진행한다. 소프트웨어 AP를 정지하기 위한 지시가 접수되지 않은 경우, 처리는 S702로 복귀한다.
S711에서, CPU(111)는 기동된 소프트웨어 AP를 정지한다. S711의 처리가 완료될 때, 일련의 제휴 처리를 종료하고, 처리는 S601로 복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다이렉트 무선 통신이 수행될 때의 동작 모드에 따라, 다른 포트 필터에 기초하는 통신 제어가 수행된다. 따라서, 다이렉트 무선 통신에 의해 통신 단말(102)과 MFP(101) 간의 제휴가 수행되는 경우, 동작 모드에 따라 적절한 통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변형예 1
제1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LAN I/F(122)가 복수의 소프트웨어 AP를 동시에 기동시키지 않은 것을 전제로 하면서, 소프트웨어 AP를 통해 데이터가 송신 및 수신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적용되는 포트 필터를 변경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했다.
그런데 복수의 소프트웨어 AP를 동시에 기동할 수 있는 무선 LAN 모듈은 디바이스 및 칩 개발 기술의 발전에 따라 개발되었다.
변형예 1에 따르면, 무선 LAN I/F(122)가 복수의 소프트웨어 AP를 동시에 기동할 수 있는 것을 전제로 하면서 제어가 설명될 것이다. 변형예 1에 따르면, 전제가 되는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차이는 무선 LAN I/F(122)만이며, 기타 구성은 제1 예시적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변형예 1에 따른 MFP(101)에 포함되는 무선 LAN I/F(122)는 복수의 소프트웨어 AP를 동시에 기동시키고, 복수의 소프트웨어 AP를 독립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변형예 1에 따르면, 소프트웨어 AP마다, 소프트웨어 AP를 통해 데이터가 송신 및 수신되는 논리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무선 LAN I/F(122)가 변형예 1에 따라 무선 LAN 설정을 위한 소프트웨어 AP 및 모바일 제휴를 위한 소프트웨어 AP를 동작시킬 경우, 논리적으로 4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예시적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유선 LAN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eth0"이라고 지칭하고, 인프라스트럭쳐 모드에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wlan0"이라고 지칭한다. 무선 LAN 설정을 위해 기동된 소프트웨어 AP를 통해 데이터가 송신 및 수신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wlan1"이라고 지칭한다. 모바일 제휴를 위해 기동된 소프트웨어 AP를 통해 데이터가 송신 및 수신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wlan2"라고 지칭한다.
도 10은 변형예에 따라 소프트웨어 AP를 위한 기동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의 흐름도는 제1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도 8의 흐름도 대신에 실행된다. 도 10의 흐름도에 나타낸 각각의 동작(단계)은, CPU(111)가 ROM(112) 또는 스토리지(114)에 저장된 각각의 제어 모듈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RAM(113)으로 판독하여 실행할 때 실현된다.
S1001에서, CPU(111)는 모바일 제휴 모드에서 동작이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모바일 제휴 모드에서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 처리는 S1002로 진행한다. 모바일 제휴 모드에서 동작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 처리는 S1007로 진행한다. 이 처리는 제1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S801과 마찬가지의 처리이다.
S1002에서, CPU(111)는 무선 LAN I/F(122)와 제휴해서 모바일 제휴 모드를 위한 설정에 기초하는 소프트웨어 AP가 동작 중 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소프트웨어 AP가 동작 중일 때, 소프트웨어 AP를 위한 기동 처리는 종료된다. 소프트웨어 AP가 동작하고 있지 않을 때, 처리는 S1003으로 진행한다.
S1003에서, CPU(111)는 무선 LAN I/F(122)와 제휴하여 모바일 제휴를 위한 설정에 기초하는 소프트웨어 AP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CPU(111)는, ESSID가 "PRINTER-AP"로 설정되고 네트워크 키가 "123"으로 설정되는 소프트웨어 AP를 생성한다. 설명의 편의상, S1003에서 생성된 소프트웨어 AP를 소프트웨어 AP1이라 지칭할 것이다. 소프트웨어 AP1의 생성이 완료될 때, 처리는 S1004로 진행한다.
S1004에서, CPU(111)는 모바일 제휴 모드를 위한 포트 필터를, S1003에서 생성된 소프트웨어 AP1을 통해 데이터가 송신 및 수신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wlan1"에 적용한다. 적용이 완료될 때, 소프트웨어 AP의 기동 처리를 종료한다. 이 처리의 결과로서, MFP(101)는 통신 단말(102)의 인쇄 애플리케이션과의 제휴 시에 사용되는 통신을 허가하고, 모바일 제휴 모드를 위해 기동된 소프트웨어 AP1을 통해 무선 다이렉트 통신에서의 기타 통신을 제한할 수 있다.
한편, S1007에서, CPU(111)는 무선 LAN I/F(122)와 제휴해서 무선 LAN 설정 모드를 위한 설정에 기초하는 소프트웨어 AP가 동작 중 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소프트웨어 AP가 동작 중일 때, 소프트웨어 AP를 위한 기동 처리는 종료된다. 소프트웨어 AP가 동작하고 있지 않을 때, 처리는 S1008로 진행한다.
S1008에서, CPU(111)는 무선 LAN I/F(122)와 제휴하여 무선 LAN 설정 모드를 위한 설정에 기초하는 소프트웨어 AP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CPU(111)는, ESSID가 "PRINTER-ConfigAP"로 설정되고 네트워크 키가 "456"으로 설정되는 소프트웨어 AP를 생성한다. 설명의 편의상, S1008에서 생성된 소프트웨어 AP를 소프트웨어 AP2라 지칭할 것이다. 소프트웨어 AP2의 생성이 완료될 때, 처리는 S1009로 진행한다.
S1009에서, CPU(111)는 무선 LAN 설정 모드를 위한 포트 필터를, S1008에서 생성된 소프트웨어 AP2를 통해 데이터가 송신 및 수신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wlan2"에 적용한다. 적용이 완료될 때, 소프트웨어 AP의 기동 처리를 종료한다. 이 처리의 결과로서, MFP(101)는 통신 단말(102)의 설정 애플리케이션과의 제휴 시에 사용되는 통신을 허가하고, 무선 LAN 설정 모드를 위해 기동된 소프트웨어 AP2를 통한 무선 다이렉트 통신에서의 기타 통신을 제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변형예 1에 따르면, MFP(101)가 복수의 소프트웨어 AP를 기동할 수 있는 무선 LAN I/F(122)를 포함할지라도, 소프트웨어 AP를 사용해서 통신이 수행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마다 다른 포트 필터를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생성될 소프트웨어 AP마다 다이렉트 무선 통신 시의 액세스 제어를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 실시예들
또한, 기동된 소프트웨어 AP에 적용되는 모바일 제휴 모드를 위한 포트 필터 또는 무선 LAN 설정을 위한 포트 필터를 네트워크 관리자가 변경할 수 있는 구성이 채택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MFP(101)의 조작 유닛(116) 상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예시하며, 이는 포트 필터의 설정 변경 화면을 나타낸다. 먼저, 도 11a가 설명될 것이다.
도 11a는 MFP(101)의 네트워크 관리의 권한을 갖는 사용자가 포트 필터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화면의 일례를 예시한다. 사용자는 편집 키를 눌러 포트 필터링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추가 키를 눌러 포트 필터링의 새로운 규칙을 추가할 수 있다. 포트 번호는 "10-200"과 같이 범위를 지정함으로써 설정될 수도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1a가 모바일 제휴 모드를 위한 포트 필터의 설정 변경의 예를 예시하고 있지만, 무선 LAN 설정 모드를 위한 포트 필터의 설정 변경을 수행하기 위해서도 유사한 방법이 채택될 수 있다.
MFP(101)의 CPU(111)는 도 11a의 화면을 통해 수행되는 설정에 기초하여 스토리지(114)에 저장된 포트 필터를 업데이트한다. 업데이트가 완료될 때, 완료된 포트 필터에 기초하여 소프트웨어 AP를 통해 무선 통신의 액세스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MFP(101) 또는 통신 단말의 애플리케이션에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었을 경우에도, 포트 필터의 설정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b는, MFP(101)의 네트워크 관리의 권한을 갖는 사용자가 포트 필터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화면의 변형예를 예시한다. 도 11b에서, 네트워크 관리의 권한을 갖는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게 통신의 허가 또는 금지에 관한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11b의 화면을 통해 통신 단말(102)과 제휴해서 사용될 각 기능을 ON 또는 OFF로 설정할 수 있다.
MFP(101)는 기능마다, 기능이 사용될 때에 사용되는 포트 번호 리스트를 미리 스토리지(114)에 저장한다. CPU(111)는 도 11b의 화면을 통해 수행되는 ON 또는 OFF에 관한 설정 변경과, 스토리지(114)에 저장된 각 기능마다의 포트 번호 리스트에 기초하여 스토리지(114)에 저장된 포트 필터를 업데이트한다. 도 11b는 모바일 제휴 모드를 위한 포트 필터의 설정 변경의 일례를 예시했지만, 무선 LAN 설정 모드를 위한 포트 필터에서 설정 변경을 수행하기 위해서도 유사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전술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MFP(101) 및 통신 단말(102)은 전술한 바와 같이, MFP(101)의 소프트웨어 AP를 통해 다이렉트 무선 통신을 실행하지만, 다이렉트 무선 통신의 실행 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Wi-Fi 협회(Alliance)에 의해 규정되는 Wi-Fi Direct(등록 상표)에 기초하여 다이렉트 무선 통신이 실행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다이렉트 무선 통신을 복수의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통신 단말과 정보 처리 장치 사이의 제휴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또한,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의 실시예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저장 매체(예를 들어,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상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판독하고 실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및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의 실시예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판독하고 실행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컴퓨터는 중앙 처리 유닛(CPU), 마이크로 처리 유닛(MPU), 또는 다른 회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별개의 컴퓨터들 또는 별개의 컴퓨터 프로세서들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은, 예를 들어 네트워크 또는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제공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예를 들어, 콤팩트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의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 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현가능하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에 의해서도 실행가능하다.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는 이러한 모든 변형과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3)

  1. 통신 단말과 다이렉트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이며,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LAN) 인터페이스;
    상기 무선 LAN 인터페이스를 제어하여 상기 다이렉트 무선 통신에 사용될 액세스 포인트를 기동시키도록 구성된 기동 유닛; 및
    상기 다이렉트 무선 통신을 사용하여 상기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미리 결정된 설정 변경에 대한 지시를 대기하는 제1 모드에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동작하는 조건에서는, 제1 통신 필터를 사용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을 제어하고, 상기 제1 모드와 상이한 제2 모드에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동작하는 조건에서는, 제2 통신 필터를 사용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통신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네트워크 설정이 상기 통신 단말을 사용하여 변경되는 조건에서 채택되는 동작 모드이고, 상기 제2 모드는 인쇄 데이터가 상기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되어 인쇄되는 조건에서 채택되는 동작 모드인, 정보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 유닛은,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사용자 지시가 접수되는 조건에서, 또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사용자 지시가 접수되는 조건에서, 상기 무선 LAN 인터페이스를 제어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기동시키는, 정보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 유닛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제1 모드를 위한 설정에서 기동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2 모드를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 지시가 접수되는 조건에서, 상기 제1 모드를 위한 상기 설정에서 기동되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 대신에 상기 제2 모드를 위한 설정에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기동시키는, 정보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 유닛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제2 모드를 위한 상기 설정에서 기동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모드를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 지시가 추가로 접수되는 조건에서, 상기 제2 모드를 위한 상기 설정에서 기동되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 대신에 상기 제1 모드를 위한 상기 설정에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기동시키는, 정보 처리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를 위한 상기 설정 및 상기 제2 모드를 위한 상기 설정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식별하기 위한 서비스 세트 식별자(service set identifier)(SSID) 및 네트워크 키를 적어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필터는 적어도 인쇄 데이터의 수신이 허가되지 않는 방식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통신 필터는 적어도 상기 인쇄 데이터의 수신이 허가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정보 처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필터 및 상기 제2 통신 필터는 포트 필터들인, 정보 처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LAN 인터페이스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 외부의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제공되는 네트워크에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인프라스트럭쳐 모드(infrastructure mode)에서 추가로 동작할 수 있고,
    상기 통신 제어 유닛은,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모드에서 외부와 무선 통신이 수행되는 조건에서, 제3 통신 필터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와의 상기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을 제어하는, 정보 처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유선 LAN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제어 유닛은, 상기 유선 LAN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와 통신이 수행되는 조건에서, 제3 통신 필터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와의 상기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을 제어하는, 정보 처리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프린터인, 정보 처리 장치.
  12.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LAN)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LAN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 단말과 다이렉트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이며,
    상기 무선 LAN 인터페이스를 제어하여 상기 다이렉트 무선 통신에 사용될 액세스 포인트를 기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다이렉트 무선 통신을 사용하여 상기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미리 결정된 설정 변경에 대한 지시를 대기하는 제1 모드에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동작하는 조건에서는, 제1 통신 필터를 사용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을 제어하고, 상기 제1 모드와 상이한 제2 모드에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동작하는 조건에서는, 제2 통신 필터를 사용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3.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LAN)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LAN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 단말과 다이렉트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컴퓨터가 실행하게 하기 위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며,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무선 LAN 인터페이스를 제어하여 상기 다이렉트 무선 통신에 사용될 액세스 포인트를 기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다이렉트 무선 통신을 사용하여 상기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미리 결정된 설정 변경에 대한 지시를 대기하는 제1 모드에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동작하는 조건에서는, 제1 통신 필터를 사용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을 제어하고, 상기 제1 모드와 상이한 제2 모드에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동작하는 조건에서는, 제2 통신 필터를 사용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70162402A 2016-11-30 2017-11-30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2399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32716A JP6797651B2 (ja) 2016-11-30 2016-11-30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JP-P-2016-232716 2016-1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418A true KR20180062418A (ko) 2018-06-08
KR102239972B1 KR102239972B1 (ko) 2021-04-14

Family

ID=60387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2402A KR102239972B1 (ko) 2016-11-30 2017-11-30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168966B2 (ko)
EP (1) EP3330847B1 (ko)
JP (1) JP6797651B2 (ko)
KR (1) KR102239972B1 (ko)
CN (1) CN10812151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60614B (zh) * 2017-07-05 2019-12-10 珠海赛纳打印科技股份有限公司 与图像形成装置进行网络连接的方法及图像形成装置
JP6995568B2 (ja) 2017-11-06 2022-01-14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通信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9068327A (zh) * 2018-09-19 2018-12-21 珠海奔图电子有限公司 控制终端与图像形成装置建立无线连接的方法和装置
JP7311989B2 (ja) * 2019-03-20 2023-07-2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7332348B2 (ja) * 2019-05-30 2023-08-23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395934B2 (ja) * 2019-10-07 2023-12-12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7321903B2 (ja) * 2019-11-22 2023-08-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8765A (ja) * 2003-06-20 2010-04-30 Canon Inc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3205982A (ja) * 2012-03-27 2013-10-07 Canon Inc 携帯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および印刷システム
US20140240750A1 (en) * 2013-02-22 2014-08-28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20140320900A1 (en) * 2013-04-26 2014-10-30 Canon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150331650A1 (en) * 2014-05-16 2015-11-19 Canon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8272A (ja) * 2003-04-23 2004-11-18 Canon Inc 撮像装置及び前記撮像装置を含む印刷システムとその印刷制御方法
JP4785350B2 (ja) * 2004-06-04 2011-10-05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印刷装置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JP2007199789A (ja) * 2006-01-23 2007-08-09 Fuji Xerox Co Ltd ネットワークプリンタシステム、プリンタ、コンピュータ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183265B2 (ja) * 2006-12-26 2008-11-19 キヤノン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それらの通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310445B2 (ja) * 2009-09-28 2013-10-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制御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2855104A (zh) * 2012-08-27 2013-01-02 深圳市乐印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通信设备及其打印方法、系统
JP5686125B2 (ja) * 2012-10-25 2015-03-1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設定値入力装置、画像形成装置、設定値入力方法及び設定値入力プログラム
JP6635713B2 (ja) * 2015-08-21 2020-01-2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622609B2 (ja) * 2016-02-03 2019-12-18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8765A (ja) * 2003-06-20 2010-04-30 Canon Inc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3205982A (ja) * 2012-03-27 2013-10-07 Canon Inc 携帯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および印刷システム
US20140240750A1 (en) * 2013-02-22 2014-08-28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20140320900A1 (en) * 2013-04-26 2014-10-30 Canon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150331650A1 (en) * 2014-05-16 2015-11-19 Canon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585634B2 (en) 2020-03-10
CN108121519B (zh) 2021-07-06
US20190095149A1 (en) 2019-03-28
EP3330847B1 (en) 2019-10-16
US20180150269A1 (en) 2018-05-31
JP6797651B2 (ja) 2020-12-09
US10168966B2 (en) 2019-01-01
KR102239972B1 (ko) 2021-04-14
JP2018092230A (ja) 2018-06-14
EP3330847A1 (en) 2018-06-06
CN108121519A (zh) 201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9972B1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10750049B2 (en)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mmunications system
US9924355B2 (e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EP3161647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1073560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near-field and direct wireless communication
US9612777B2 (en) Pull print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JP6468464B2 (ja) 直接無線通信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US20170034768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of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10855879B2 (en) Method for establishing wireless connection of image forming device by using mobile terminal, and image forming device for performing same
US1086342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program
US2023013598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storing method
US20230363022A1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US11936831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first and second setting information,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storing program
US20230067941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JP2018029265A (ja) 情報処理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3183241A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通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2023176541A (ja) プログラム、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220164425A (ko)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23037733A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