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2019A - 더블 클러치 조립체 - Google Patents

더블 클러치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2019A
KR20180062019A KR1020160161841A KR20160161841A KR20180062019A KR 20180062019 A KR20180062019 A KR 20180062019A KR 1020160161841 A KR1020160161841 A KR 1020160161841A KR 20160161841 A KR20160161841 A KR 20160161841A KR 20180062019 A KR20180062019 A KR 20180062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iaphragm spring
guide
center
pu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1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8785B1 (ko
Inventor
김상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평화발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평화발레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평화발레오
Priority to KR1020160161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8785B1/ko
Publication of KR20180062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2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22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 F16D13/38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with flat clutching surfaces, e.g. discs
    • F16D13/385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with flat clutching surfaces, e.g. discs double clutches, i.e. comprising two friction disc mounted on one driven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0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 F16H3/087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gears
    • F16H3/093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gears with two or more countersha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더블 클러치의 동작시 다이아프램 스프링과 풀링 플레이트의 편심을 방지할 수 있는 더블 클러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더블 클러치 조립체는 풀링 플레이트와, 제1 다이아프램 스프링과, 센터 플레이트와, 커버 플레이트와, 가이드 플레이트와, 제1 압력판과, 제2 압력판과, 제2 다이아프램 스프링과, 제1 디스크와, 제2 디스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다이아프램 스프링은 상기 풀링 플레이트에 대해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풀링 플레이트의 축방향 변위를 제공하고 상기 풀링 플레이트가 편심되지 않도록 지지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다이아프램 스프링이 편심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더블 클러치의 동작시 다이아프램 스프링과 풀링 플레이트의 편심을 방지할 수 있어 압력판의 들림 편차를 감소시키고, 압력판과 디스크의 균일한 마찰 면적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더블 클러치 조립체{DOUBLE CLUTCH ASSEMBLY}
본 발명은 더블 클러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더블 클러치의 동작시 다이아프램 스프링과 풀링 플레이트의 편심을 방지할 수 있는 더블 클러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 개의 입력축을 가지는 더블 클러치 트랜스미션(Double Clutch T/M)은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서 클러치 디스크가 두 개인 더블 클러치의 사용이 요구된다. 이러한 더블 클러치는 클러치가 두 개가 필요하고, 기어방식도 듀얼(Dual)로 작동되며 한 개 단씩 변속될 때마다 이중으로 되어 있는 샤프트가 바뀌기 때문에 변속 속도가 빠르며 실제 연비에도 도움이 된다.
특히, 건식 더블 클러치(Dry Double Clutch)는 종래의 습식 더블 클러치(Wet Double Clutch)와는 다르게 오일을 사용하지 않고, 클러치 디스크와 압력판의 마찰에 의해서 엔진의 동력을 트랜스미션에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건식 더블 클러치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0599호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 더블 클러치(1)는 댐퍼 플라이휠(3)과 셋 더블 클러치(5)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셋 더블 클러치(5)의 환형 케이싱(13)에 의해 외주연이 묻히고 외주연을 제외한 부분은 상기 환형 케이싱(13) 밖으로 노출되도록 동축상으로 고정된 제1 다이어프램 스프링(7), 제1 다이어프램 스프링(7) 안쪽에 동축 상으로 인접 배치되어 외주연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돌출된 동축 상의 엠보싱부(15)에 의해 상기 제1 다이어프램 스프링(7)의 외주연을 지지하는 커버판(9), 커버판(9)의 안쪽에 동축 상으로 인접 배치되어 셋 더블 클러치(5)의 제1 압력판(21)을 가압하도록 되어 있는 제2 다이어프램 스프링(11), 및 커버판(9)의 외주연과 제2 다이어프램 스프링(11)의 외주연 사이에 동축 상으로 개재되어 커버판(9)에 의해 제2 다이어프램 스프링(11)이 지지되도록 하는 환형의 지지부재(1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종래 더블 클러치(1)는, 커버판(9)이 지지부재(10)에 의해 지지되고, 엠보싱부(15)를 커버판(9)의 중심에서부터 외주단 쪽으로 즉,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최대한 멀리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제1 다이어프램 스프링(7)의 엠보싱부(15)에 의해 지지되는 외주연 부분도 중심에서부터 더욱 외주단 쪽으로 멀리 위치할 수 있게 되고, 제1 다이어프램 스프링(7)의 외주단에서부터 엠보싱부(15)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까지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도 제1 다이어프램 스프링(7)의 직경을 최대한 늘릴 수 있게 되며, 이는 결과적으로 케이싱(13) 내경을 동일하게 유지하면서도 제1 다이어프램 스프링(7)의 직경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므로, 다이어프램 스프링의 탄발력을 증대시키고 응력 감소에 따라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더블 클러치는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수축과 복원시 클러치와 다이아프램 스프링 사이의 축 중심이 틀어지는 문제를 유발하게 되고, 이러한 동심도의 불일치는 압력판과 디스크 사이의 편심 접촉을 초래하여 디스크의 편마모를 수반하는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0599호 (2012.08.3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더블 클러치의 동작시 다이아프램 스프링과 풀링 플레이트의 편심을 방지할 수 있는 더블 클러치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더블 클러치 조립체는, 엔진으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풀링 플레이트; 상기 풀링 플레이트에 대해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풀링 플레이트의 축방향 변위를 제공하고, 상기 풀링 플레이트가 편심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제1 다이아프램 스프링; 상기 풀링 플레이트가 연결되고 변속기의 입력축에 대해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센터 플레이트; 상기 센터 플레이트와 결합되고, 상기 풀링 플레이트와 함께 상기 제1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지지점을 형성하는 커버 플레이트;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다이아프램 스프링이 편심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가이드 플레이트; 상기 제1 다아아프램 스프링의 작동시 제1 디스크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제1 압력판; 상기 센터 플레이트와 결합되고 변속기의 입력축에 대해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압력판; 상기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압력판 사이에 설치되는 제2 다이아프램 스프링; 상기 센터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압력판 사이에 설치되고, 변속기의 입력축과 결합되는 허브를 갖추고서 상기 제1 압력판을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을 변속기의 입력축으로 제공하는 제1 디스크; 및 상기 센터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압력판 사이에 설치되고 변속기의 입력축과 결합되는 허브를 갖추고, 상기 제2 압력판을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을 변속기의 입력축으로 제공하는 제2 디스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다이아프램 스프링은, 링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에서 중심측으로 연장되게 복수로 마련되고, 절개홈이 형성되게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탄성편; 및 상기 몸체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풀링 플레이트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상기 풀링 플레이트의 센터링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체결되고, 상기 제1 다이아프램 스프링 측으로 절곡 형성된 돌기가 상기 제1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절개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센터링을 가이드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결합부위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링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원호형상의 복수의 분할편으로 마련되고, 복수의 상기 분할편들의 조합에 의한 전체적인 외형이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결합부위의 형상에 대응하는 링 형상을 이루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돌기는, 상기 절개홈을 관통하도록 절곡된 제1 절곡부; 상기 제1 절곡부에서 연장되어 외측으로 절곡된 제2 절곡부; 및 상기 절개홈을 관통하도록 상기 제2 절곡부에서 연장되어 내측으로 절곡된 제3 절곡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돌기의 제1 절곡부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서 상기 제1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지지점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다이아프램 스프링을 향해 돌출 형성된 돌출부에 지지되게 마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더블 클러치 조립체에 따르면, 더블 클러치의 동작시 다이아프램 스프링과 풀링 플레이트의 편심을 방지할 수 있어 압력판의 들림 편차를 감소시키고, 압력판과 디스크의 균일한 마찰 면적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압력판과 디스크의 균일한 마찰 면적을 확보하여 디스크의 편마모를 예방할 수 있어 더블 클러치의 허브 중심과 변속기의 압력축 중심 사이에서 정상적인 축 정렬에 의한 구동력을 원활히 전달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더블 클러치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더블 클러치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더블 클러치 조립체에서 제1 다이아프램 스프링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더블 클러치 조립체에서 가이드 플레이트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더블 클러치 조립체에서 가이드 플레이트와 제1 다이아프램 스프링이 체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더블 클러치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평면도,
도 7은 도 6에서 A-A' 영역을 절단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8은 도 6에서 B-B' 영역을 절단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더블 클러치 조립체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더블 클러치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및 분리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 및 도 4는 상기 더블 클러치 조립체에서 제1 다이아프램 스프링 및 가이드 플레이트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더블 클러치 조립체에서 가이드 플레이트와 제1 다이아프램 스프링이 체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더블 클러치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6에서 A-A' 영역을 절단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에서 B-B' 영역을 절단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더블 클러치 조립체(100)는 접속 케이싱(110), 풀링 플레이트(120), 커버 플레이트(130), 센터 플레이트(140), 제1 압력판(160), 제2 압력판(170), 제1 디스크(180), 제2 디스크(190), 제1 다이아프램 스프링(210), 제2 다이아프램 스프링(220), 및 가이드 플레이트(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접속 케이싱(110)은 엔진의 출력측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엔진으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을 제공받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접속 케이싱(110)은 링 형상의 원판 부재로 형성되고, 중앙부위의 내주면에 엔진과의 동력 전달을 위한 이음부위로서 세레이션부(112)를 균일하게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접속 케이싱(110)은 가장자리 부위에 센터 플레이트(140)와의 결합을 위한 플랜지부(114)가 형성된다.
상기 풀링 플레이트(120)은 상기 접속 케이싱(110)과 결합되어 엔진의 가동시 클러치의 중심축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풀링 플레이트(120)은 변속기의 입력축과 동축상으로 외측에 배치되도록 중앙부위에 천공된 형태의 설치구멍(122)을 갖춘 링 형상의 원판부재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풀링 플레이트(120)은 일측 가장자리 부위에 제1 압력판(160)과의 결합을 위한 플랜지부(12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풀링 플레이트(120)에는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의 가이드 홈(128)이 형성되어 이하에서 설명되는 상기 제1 다이아프램 스프링(210)의 가이드부(214)가 삽입된다. 즉, 상기 풀링 플레이트(120)의 가이드 홈(218)에 상기 제1 다이아프램 스프링(210)의 가이드부(214)가 삽입되어 있어 축 방향 이동을하여도 어느 일측으로 편심되지 않고 센터링을 유지하도록 지지된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130)은 센터 플레이트(140)와 결합되어 엔진의 가동시 클러치의 중심축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커버 플레이트(130)은 변속기의 입력축과 동축상으로 외측에 배치되도록 중앙부위에 천공된 형태의 설치구멍(132)을 갖춘 링 형상의 원판부재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130)은 일측 가장자리 부위에 센터 플레이트(140)와의 결합을 위한 플랜지부(134)가 형성된다.
상기 센터 플레이트(140)는 풀링 플레이트(120)과 결합되어 엔진의 가동시 클러치의 중심에 위치하는 변속기의 입력축에 대해 공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센터 플레이트(140)는 변속기의 입력축과 동축상으로 외측에 배치되도록 중앙부위에 천공된 형태의 설치구멍(142)을 갖춘 링 형상의 원판부재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센터 플레이트(140)는 가장자리 부위에 접속 케이싱(110)의 플랜지부(104)와 대응하는 위치에 접속 케이싱(110)과의 결합을 위한 플랜지부(14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센터 플레이트(140)는 설치구멍(142)의 내주면에 변속기의 입력축에 대한 공회전을 위해 베어링(146)이 설치된다.
상기 제1 압력판(160)은 풀링 플레이트(120)과 결합되어 엔진의 가동시 클러치의 중심축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압력판(160)은 변속기의 입력축과 동축상으로 외측에 배치되도록 중앙부위에 천공된 형태의 설치구멍(162)을 갖춘 링 형상의 원판부재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압력판(160)은 가장자리 부위에 풀링 플레이트(120)의 플랜지부(124)와 대응하는 위치에 풀링 플레이트(120)과의 결합을 위한 플랜지부(164)가 형성된다.
상기 제2 압력판(170)은 센터 플레이트(140)와 결합되어 엔진의 가동시 클러치의 중심에 위치하는 변속기의 입력축에 대해 공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압력판(170)은 변속기의 입력축과 동축상으로 외측에 배치되도록 중앙부위에 천공된 형태의 설치구멍(172)을 갖춘 링 형상의 원판부재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압력판(170)은 가장자리 부위에 센터 플레이트(140)와의 결합을 위한 플랜지부(174)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디스크(180)는 센터 플레이트(140)와 제1 압력판(160) 사이에 설치되어 제1 다이아프램 스프링(210)의 수축에 따른 풀링 플레이트(120)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제1 압력판(160)과 접속되고, 이를 통해 센터 플레이트(140)로 제공된 구동력은 제1 디스크(180)를 거쳐 제1 압력판(160)으로 제공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디스크(180)는 중앙부위에 변속기의 입력축 중 어느 하나, 예컨대 중공의 입력축과의 결합을 위해 허브(182)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디스크(180)는 허브(182)의 둘레에 급격한 구동력의 변화를 완충시키기 위한 댐퍼 스프링(184)이 설치된다.
상기 제2 디스크(190)는 센터 플레이트(140)와 제2 압력판(170) 사이에 설치되어 제2 다이아프램 스프링(220)의 수축에 따른 커버 플레이트(130)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제2 압력판(170)과 접속되고, 이를 통해 센터 플레이트(140)로 제공된 구동력은 제2 디스크(190)를 거쳐 제2 압력판(170)으로 제공된다. 이를 위해, 제2 디스크(190)는 중앙부위에 변속기의 입력축 중 어느 하나, 예컨대 중실의 입력축과의 결합을 위해 허브(192)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다이아프램 스프링(210)은 판스프링으로 마련되어 풀링 플레이트(130)에 대해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설치되어 풀링 플레이트(130)의 축방향 변위를 제공하고, 풀링 플레이트(130)이 편심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다이아프램 스프링(210)은 풀링 플레이트(120)과 커버 플레이트(130) 사이에 설치되는 링 형상의 몸체(211)와, 상기 몸체(211)에서 중심측으로 연장되게 복수로 마련되고 절개홈(213)이 형성되게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탄성편(212), 그리고 상기 몸체(211)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풀링 플레이트(120)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 홈(128)에 삽입되어 상기 풀링 플레이트(120)의 센터링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부(21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다이아프램 스프링(210)의 중심부위는 변속기 입력축의 설치를 위해 개구된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다이아프램 스프링(210)은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따라 클러치의 축방향으로 경사지게 수축 변형되어 풀링 플레이트(120)에 대한 축방향 변위를 구현함으로써 센터 플레이트(140)와 제1 디스크(180) 및 압력 플레이트(160) 사이의 접속에 따른 구동력의 전달을 도모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다이아프램 스프링(210)의 지지점 형성을 위하여,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풀링 플레이트(120)에는 제1 다이아프램 스프링(210)을 향해 돌출된 제1 돌출부(126)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130)에는 풀링 플레이트(120)의 상기 제1 돌출부(126)와 함께 상기 제1 다이아프램 스프링(210)의 지지점을 형성하도록 제1 다이아프램 스프링(210)을 향해 돌출된 제2 돌출부(136)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돌출부(126)는 제1 다이아프램 스프링(210)의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돌출부(136) 보다 중심축에서 먼 가장자리 부위에 형성된다.
상기 제2 다이아프램 스프링(220)은 커버 플레이트(130)과 제2 압력판(170) 사이에 설치되는 와셔 형태의 판스프링으로 마련되고, 가장자리 부위의 원주면으로부터 중심부위를 향해 방사상으로 절개홈(223)을 형성하도록 다수로 분할된 탄성편(222)을 갖춘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제2 다이아프램 스프링(220)의 중심부위는 변속기 입력축의 설치를 위해 개구된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다이아프램 스프링(220)도 제1 다이아프램 스프링(210)과 동일하게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따라 클러치의 축방향으로 경사지게 수축 변형되어 풀링 플레이트(120)에 대한 축방향 변위를 구현함으로써 센터 플레이트(140)와 제2 디스크(190) 및 제2 압력판(170) 사이의 접속에 따른 구동력의 전달을 도모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 다이아프램 스프링(220)의 지지점 형성을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 플레이트(130)에는 상기 제2 다이아프램 스프링(220)을 향해 돌출된 제3 돌출부(138)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제3 돌출부(138)는 제1 돌출부(126) 및 제2 돌출부(136)와 달리 단일의 개소에서 상기 제2 다이아프램 스프링(220)에 대한 지지점을 형성하게 되고,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제2 다이아프램 스프링(220)의 반경방향 외측 가장자리부위에 대해 지지점을 형성하는 위치로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30)는 커버 플레이트(130)의 일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다이아프램 스프링(210) 측으로 절곡 형성된 돌기(233)가 상기 제1 다이아프램 스프링(210)의 절개홈(212)에 끼워져 제1 다이아프램 스프링(210)의 수축과 복원시 클러치의 축 중심에 대해 제1 다이아프램 스프링(210)의 축 중심을 일치시켜 주는 역할, 즉 상기 제1 다이아프램 스프링(210)과 클러치 사이의 동심도를 상호 일치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30)는 커버 플레이트(130)에 대해 체결핀(240)을 매개로 고정되고, 상기 체결핀(240)의 머리부위는 제1 다이아프램 스프링(210)의 절개홈(21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 플레이트(130)에 체결핀(240)을 매개로 하는 결합을 위해 체결부(232)가 형성되고, 제1 다이아프램 스프링(210) 측으로 절곡되어 절개홈(213)에 삽입되는 돌기(233)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232)는 방사상으로 다수 개 형성되고, 상기 돌기(233)도 마찬가지로 방사상으로 다수 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30)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130)의 결합부위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링 형상으로 마련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형상의 복수의 분할편(231)으로 마련되어 복수의 상기 분할편(231)들의 조합에 의한 전체적인 외형이 상기 커버 플레이트(130)의 결합부위의 형상에 대응하는 링 형상을 이루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30)의 돌기(233)는 상기 제1 다이아프램 스프링(210)의 절개홈(213)을 관통하도록 절곡된 제1 절곡부(234)와, 상기 제1 절곡부(234)에서 연장되어 외측으로 절곡된 제2 절곡부(235), 그리고 상기 절개홈(213)을 관통하도록 상기 제2 절곡부(235)에서 연장되어 내측으로 절곡된 제3 절곡부(236)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기(233)의 제1 절곡부(234)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 플레이트(130)에서 상기 제1 다이아프램 스프링(210)의 지지점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다이아프램 스프링(210)을 향해 돌출 형성된 돌출부 즉, 제2 돌출부(136)에 지지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30)는 제1 다이아프램 스프링(210)의 절개홈(213)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되는 돌기(233)의 형성을 통해 더블 클러치의 작동에 따른 제1 다이아프램 스프링(210)의 압축과 복원시 클러치의 허브 중심에 대한 제1 다이아프램 스프링(210)의 동심도를 정상의 상태로 정렬하고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풀링 플레이트(120)에 형성된 가이드 홈(128)에 상기 제1 다이아프램 스프링(210)의 원주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부(214)가 삽입되어 상기 풀링 플레이트(120)의 편심을 방지하고, 상기 제1 다이아프램 스프링(210)의 절개홈(213)에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30)에서 상기 제1 다이아프램 스프링(210) 측으로 절곡 형성된 돌기(233)가 삽입되어 상기 제1 다이아프램 스프링(210)의 편심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다이아프램 스프링(210)의 편심 변위에 따른 제1 압력판(160)과 제1 디스크(180) 사이의 편심 접촉을 방지하여 제1 디스크(180)의 편마모를 예방하고, 이를 통해 더블 클러치의 허브 중심과 변속기의 입력축 중심 사이에서 정상적인 축 정렬에 의한 구동력의 원활한 전달을 유도함으로써 변속기의 정상적인 기능 구현에 조력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더블 클러치 조립체 110 : 접속 케이싱
120 : 풀링 플레이트 128 : 가이드 홈
130 : 커버 플레이트 140 : 센터 플레이트
160 : 제1 압력판 170 : 제2 압력판
180 : 제1 디스크 190 : 제2 디스크
210 : 제1 다이아프램 스프링 211 : 몸체
212 : 탄성편 213 : 절개홈
214 : 가이드부 220 : 제2 다이아프램 스프링
230 : 가이드 플레이트 231 : 분할편
232 : 체결부 233 : 돌기
234 : 제1 절곡부 235 : 제2 절곡부
236 : 제3 절곡부 240 : 체결핀

Claims (7)

  1. 엔진으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풀링 플레이트;
    상기 풀링 플레이트에 대해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풀링 플레이트의 축방향 변위를 제공하고, 상기 풀링 플레이트가 편심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제1 다이아프램 스프링;
    상기 풀링 플레이트가 연결되고 변속기의 입력축에 대해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센터 플레이트;
    상기 센터 플레이트와 결합되고, 상기 풀링 플레이트와 함께 상기 제1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지지점을 형성하는 커버 플레이트;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다이아프램 스프링이 편심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가이드 플레이트;
    상기 제1 다아아프램 스프링의 작동시 제1 디스크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제1 압력판;
    상기 센터 플레이트와 결합되고 변속기의 입력축에 대해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압력판;
    상기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압력판 사이에 설치되는 제2 다이아프램 스프링;
    상기 센터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압력판 사이에 설치되고, 변속기의 입력축과 결합되는 허브를 갖추고서 상기 제1 압력판을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을 변속기의 입력축으로 제공하는 제1 디스크; 및
    상기 센터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압력판 사이에 설치되고 변속기의 입력축과 결합되는 허브를 갖추고, 상기 제2 압력판을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을 변속기의 입력축으로 제공하는 제2 디스크;
    를 포함하는 더블 클러치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이아프램 스프링은,
    링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에서 중심측으로 연장되게 복수로 마련되고, 절개홈이 형성되게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탄성편; 및
    상기 몸체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풀링 플레이트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상기 풀링 플레이트의 센터링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클러치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체결되고, 상기 제1 다이아프램 스프링 측으로 절곡 형성된 돌기가 상기 제1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절개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센터링을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클러치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결합부위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링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클러치 조립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원호형상의 복수의 분할편으로 마련되고, 복수의 상기 분할편들의 조합에 의한 전체적인 외형이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결합부위의 형상에 대응하는 링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클러치 조립체.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돌기는,
    상기 절개홈을 관통하도록 절곡된 제1 절곡부;
    상기 제1 절곡부에서 연장되어 외측으로 절곡된 제2 절곡부; 및
    상기 절개홈을 관통하도록 상기 제2 절곡부에서 연장되어 내측으로 절곡된 제3 절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클러치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의 제1 절곡부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서 상기 제1 다이아프램 스프링의 지지점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다이아프램 스프링을 향해 돌출 형성된 돌출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클러치 조립체.
KR1020160161841A 2016-11-30 2016-11-30 더블 클러치 조립체 KR101898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841A KR101898785B1 (ko) 2016-11-30 2016-11-30 더블 클러치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841A KR101898785B1 (ko) 2016-11-30 2016-11-30 더블 클러치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019A true KR20180062019A (ko) 2018-06-08
KR101898785B1 KR101898785B1 (ko) 2018-09-13

Family

ID=62600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1841A KR101898785B1 (ko) 2016-11-30 2016-11-30 더블 클러치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87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13485A (zh) * 2018-07-27 2021-03-16 平和法雷奥有限公司 双离合器组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7897B1 (ko) * 2020-05-26 2022-11-15 주식회사평화발레오 클러치 조립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308Y2 (ja) * 1989-11-09 1995-07-05 株式会社ユニシアジェックス クラッチカバー組立体
KR20050054567A (ko) * 2003-12-05 2005-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클러치 조립체
KR100682769B1 (ko) * 2005-09-15 2007-02-15 주식회사평화발레오 클러치의 다이어프램 스프링 및 상기 다이어프램 스프링을포함하는 클러치 커버 조립체
KR101180599B1 (ko) 2010-06-29 2012-09-06 주식회사평화발레오 다이어프램 지지부재를 구비한 건식 더블 클러치
KR101558768B1 (ko) * 2014-02-27 2015-10-12 주식회사평화발레오 더블 클러치 조립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308Y2 (ja) * 1989-11-09 1995-07-05 株式会社ユニシアジェックス クラッチカバー組立体
KR20050054567A (ko) * 2003-12-05 2005-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클러치 조립체
KR100682769B1 (ko) * 2005-09-15 2007-02-15 주식회사평화발레오 클러치의 다이어프램 스프링 및 상기 다이어프램 스프링을포함하는 클러치 커버 조립체
KR101180599B1 (ko) 2010-06-29 2012-09-06 주식회사평화발레오 다이어프램 지지부재를 구비한 건식 더블 클러치
KR101558768B1 (ko) * 2014-02-27 2015-10-12 주식회사평화발레오 더블 클러치 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13485A (zh) * 2018-07-27 2021-03-16 平和法雷奥有限公司 双离合器组件
CN112513485B (zh) * 2018-07-27 2023-01-31 平和法雷奥有限公司 双离合器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8785B1 (ko) 2018-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8768B1 (ko) 더블 클러치 조립체
KR101803952B1 (ko) 차량용 토크 컨버터
US8151964B2 (en) Multiple disc clutch apparatus
KR101180599B1 (ko) 다이어프램 지지부재를 구비한 건식 더블 클러치
KR102561060B1 (ko) 클러치 장치
US10208809B2 (en) Double clutch assembly
KR101898785B1 (ko) 더블 클러치 조립체
KR102094607B1 (ko) 더블 클러치 조립체
US20220136593A1 (en) Friction engaging device
KR101534657B1 (ko) 자동변속기용 클러치
KR101903882B1 (ko) 더블클러치 어셈블리
KR101963028B1 (ko) 더블 클러치 조립체
CN111609110B (zh) 锁止装置
US4633989A (en) Structure for supporting a diaphragm spring in a clutch
KR101202908B1 (ko) 건식 더블클러치
KR102467897B1 (ko) 클러치 조립체
KR20190064003A (ko) 건식 더블 클러치의 다이어프램 편심 방지 장치
KR100478393B1 (ko)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및 클러치 장치
JP7154724B2 (ja) ダンパ装置
CN113638982A (zh) 离合机构及车辆动力系统
JP2005172137A (ja) クラッチレリーズ軸受装置
KR20020050995A (ko) 다판클러치의 클러치 플레이트 지지구조
JP2021085429A (ja) クラッチ装置の組付構造
KR20170132037A (ko) 차량용 토크 컨버터
JP2018179272A (ja) 自動変速機におけるリテーニングプレートの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