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1907A -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 - Google Patents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1907A
KR20180061907A KR1020160161615A KR20160161615A KR20180061907A KR 20180061907 A KR20180061907 A KR 20180061907A KR 1020160161615 A KR1020160161615 A KR 1020160161615A KR 20160161615 A KR20160161615 A KR 20160161615A KR 20180061907 A KR20180061907 A KR 20180061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door lock
driving
upper frame
smar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1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9455B1 (ko
Inventor
전충광
Original Assignee
전충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충광 filed Critical 전충광
Priority to KR1020160161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9455B1/ko
Publication of KR20180061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1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9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9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Opening, closing of the circuit
    • E05B2047/0054Opening, closing of the circuit using microprocessor, printed circui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 E05B2047/0095Mechanical aspects of locks controlled by telephone signals, e.g. by mobile phone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도어의 내측에 위치하는 보조 도어락의 외면에 설치되어 스마트기기와의 무선통신에 의해 자동으로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고, 기존의 도어락에 설치되어 불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제거가 용이하도록 하며, 커버부를 분리시켜 수동으로 잠금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홀더핸들을 구비하고, 홀더핸들의 외측 원주면을 따라 일부가 파지된 걸림턱이 형성되어 제2 기어가 회전하면서 걸림턱 구간에 걸리게 되면 제2 기어가 공회전하도록 하여 유사 시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잠금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기존의 도어락 외면에 탈부착되는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에 있어서, 상부프레임; 상부프레임의 상측에 장착되어 탈분리 가능한 커버부; 제1 기어, 제1 기어와 외접하여 형성되어 제1 기어의 회전운동에 의해 회동하는 제2 기어, 기존의 도어락 래치가 설치되는 공간으로, 기존의 도어락 래치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개구된 공간이 형성되는 아답터핸들, 제2 기어가 안착되어 제2 기어의 회전운동을 가이드하는 홀더핸들, 상부로 돌출형성되어 하방으로 누르면 내부에 장착된 구동모터에 입력신호를 전달하는 버튼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기어박스; 상부프레임의 하부에 장착되어 기어박스가 구비되는 하부프레임; 하부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하고, 스마트기기 또는 버튼부로부터 구동신호를 전달받아 장치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및 버튼부의 입력신호 또는 스마트기기의 구동신호에 의해 구동모터를 구동 또는 정지시키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omitted}
본 발명은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도어의 내측에 위치하는 보조 도어락의 외면에 설치되어 스마트기기와의 무선통신에 의해 자동으로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고, 기존의 도어락에 설치되어 불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제거가 용이하도록 하며, 커버부를 분리시켜 수동으로 잠금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홀더핸들을 구비하고, 홀더핸들의 외측 원주면을 따라 일부가 파지된 걸림턱이 형성되어 제2 기어가 회전하면서 걸림턱 구간에 걸리게 되면 제2 기어가 공회전하도록 하여 유사 시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잠금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도어락은 가정, 원룸, 회사 등 외부로부터 불법침입을 방지하고, 내부 시설물의 안전 내부를 보안하기 위하여 개발된 도어 잠금 및 개폐장치로서, 일반적으로 도어락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입력된 비밀번호가 저장된 것과 일치하는 경우 도어락과 연동하여 도어를 개방하도록 하는 비밀번호 개폐방식으로 이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 내부 시설의 보안을 위한 잠금장치의 사용량이 많아짐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잠금장치와, 이를 보안하기 위한 보안방법에 관한 기술이 급증하고 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5-0004569호(2015.12.23.공개), "비밀번호 도어락을 구비한 보안시스템"(이하, 선행기술문헌)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비밀번호 도어락과 보안서버를 포함하고, 보안서버는 무선통신모듈,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비밀번호 도어락은 복수개의 비밀번호 키를 구비하며, 복수개의 비밀번호의 키의 입력에 응답하거나, 출입통제 카드를 읽어 신원검증메세지를 수신하며, 신원검증메세지에 따라 신원검증을 하여 검증에 통과되면 잠금해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고, 제어모듈은 무선통신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신원검증결과 검증에 통과되고, 보안상태가 감시상태일 때, 보안상태를 해제상태로 설정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도어락은 선행기술문헌과 같이 도어 벽면이나, 도어 외벽에만 설치되어 도어를 개폐하도록 하고,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도어의 잠금 또는 해제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나, 도어 안쪽에서 문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 및 시스템의 개발은 미비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기존의 도어락에 설치되어 스마트기기와의 무선통신에 의해 자동으로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고, 불필요시 탈착이 용이하도록 하며, 유사 시 수동조작에 의해 잠금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은 기존의 도어락 외면에 탈부착되는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에 있어서, 상부프레임; 상부프레임의 상측에 장착되어 탈분리 가능한 커버부; 제1 기어, 제1 기어와 외접하여 형성되어 제1 기어의 회전운동에 의해 회동하는 제2 기어, 기존의 도어락 래치가 설치되는 공간으로, 기존의 도어락 래치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개구된 공간이 형성되는 아답터핸들, 제2 기어가 안착되어 제2 기어의 회전운동을 가이드하는 홀더핸들, 상부로 돌출형성되어 하방으로 누르면 내부에 장착된 구동모터에 입력신호를 전달하는 버튼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기어박스; 상부프레임의 하부에 장착되어 기어박스가 구비되는 하부프레임; 하부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하고, 스마트기기 또는 버튼부로부터 구동신호를 전달받아 장치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및 버튼부의 입력신호 또는 스마트기기의 구동신호에 의해 구동모터를 구동 또는 정지시키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홀더핸들의 외측 원주면을 따라 일부가 파지된 걸림턱이 형성되어 제2 기어의 회전 시 걸림턱 구간에 걸리게 되면 제2 기어가 공회전하도록 하여 유사 시 사용자의 물리적인 힘에 의해 잠금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디지털 도어락은 스마트기기와의 연동에 의해 열림 또는 열림이 해제되도록 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의 내측에 위치하는 보조 도어락의 외면에 설치되어 스마트기기와의 무선통신에 의해 자동으로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고, 기존의 도어락에 설치되어 불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제거가 용이하도록 하는 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커버부를 분리하여 수동조작으로 잠금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홀더핸들을 구비하고, 홀더핸들의 외측 원주면을 따라 일부가 파지된 걸림턱이 형성되어 제2 기어가 회전하면서 걸림턱 구간에 걸리게 되면 제2 기어가 공회전하도록 하여 유사 시 사용자의 물리적인 힘에 의해 잠금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어의 회동을 온/오프하도록 장착되는 스탑스위치를 장착함으로써 제2 기어가 회전을 하면서 특정 지점에 위치하면 자동으로 제2 기어의 회전을 멈추도록 하는 데 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의 측면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의 측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1000)은 상부프레임(100), 커버부(110), 하부프레임(120), 기어박스(130), 구동모터(140), 제1 기어 (150), 피니언기어(152), 제2 기어(160), 아댑터 핸들(170), 홀더핸들(180), 버튼부(190), 전원공급부(192), 및 스탑스위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프레임(100)은 아답터노출부(102), 홀더핸들노출부(104), 전원공급부노출부(106), 및 기어확인창(108)를 포함하는 다수의 개구부로 이루어진다.
아답터노출부(102)는 상부프레임(100)에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고, 아답터 핸들(170)이 노출되어 아답터 핸들(170)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홀더핸들노출부(104)는 홀더핸들(180)이 노출될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고, 노출된 홀더핸들(180)을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전원공급부노출부(106)는 장치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2)가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기어확인창(108)은 제1 기어 (150)와 제2 기어(160)가 서로 맞물리며 회전하는 구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로 형성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어확인창(108)은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내측으로 굽어진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그 이외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기어확인창(108)의 형상을 특정한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어락(109)의 일측면에는 투명창(111)을 형성하여 내부 기어의 구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투명창(111)의 재질은 아크릴재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투명창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커버부(110)는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보호하는 덮개의 기능을 한다.
커버부(110)는 상부프레임(100)의 아답터노출부(102)와 기어확인창(108)과 상응하는 위치에 개구된 공간이 형성되어 기어와 기어확인 및 아답터 노출이 가능하도록 한다.
커버부(110)는 외측에 디자인적인 요소가 가미되는 다양한 이미지 등이 삽입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외관상의 미려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하부프레임(120)은 기어박스(130)과 전원공급부(192)가 고정되어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그 형상은 기어박스(1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기어박스(130)의 하부 형상에 맞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120) 간을 체결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부(112)가 구비될 수 있다.
기어박스(130)는 다수의 기어와, 아답터핸들(170), 홀더핸들(180), 버튼부(190), 및 스탑스위치(200)를 포함하는 다수의 부품을 내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어는 제1 기어(150)와, 제1 기어(150)에 외접하여 회전하는 제2 기어(160)로 구성되며, 제1 기어(150)의 회전에 의해 제2 기어(160)에 맞물려있던 제2 기어(160)가 회전하도록 한다.
제1 기어(150)의 하부에는 피니언기어(152)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피니언기어(152)의 하부에 구동모터(140)의 회전축이 상호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버튼부(190)는 기어박스(130)의 상부로 돌출형성되어 버튼을 하방으로 누르면, 내부 구동모터(140)에 동작이 수행된다.
스탑스위치(200)는 기어의 회동을 온/오프하도록 장착되는 스위치로, 제2 기어(160)가 회전을 하면서 특정 지점에 위치하면 자동으로 제2 기어(160)의 회전을 멈추도록 한다.
아답터 핸들(170)은 하부가 다각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프레임(120)의 관통구에 삽입되고, 홀더핸들(180)의 개구된 공간으로 삽입되어 끼워진다.
홀더핸들(180)에는 제2 기어(160)가 장착되고, 제2 기어(160)의 회전운동을 가이드한다.
홀더핸들(180)은 원주면을 따라 일부가 파지된 걸림턱(182)이 형성되고, 제2 기어(160)가 회전하면서 걸림턱 구간에 걸리게 되면 제2 기어(160)가 공회전하도록 하여 유사 시,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수동 조작으로 기어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마이크로컨트롤러(미도시)는 버튼부(190)의 입력신호 또는 스마트기기(미도시)의 구동신호에 의해 구동모터를 구동 또는 정지시키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스마트기기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기어박스의 일측에 무선통신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을 작동시킬 수 있는 방식은 버튼부(190)의 누름동작과, 스마트기기(미도시)의 애플리케이션을 활셩화시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작동방식이 있다.
상기 작동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구동모터에 구동신호가 전달되면, 구동모터가 구동하며, 제1 기어(150)가 회전하고, 제1 기어(150)에 외접되어 있던 제2 기어(160)가 맞물리면서 회전하게 되면서, 도어락 래치(A)가 회동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과 스마트기기와의 무선통신 방식으로는 W-CDMA, 블루투스, 와이파이, 지그비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무선통신 방식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은 후면에 접착이면테이프를 포함하는 부착부재를 이용하여 기존의 도어락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도어락으로부터 제거가 용이하도록 하는 데 그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도시한 도면은 장치에 포함되는 부품과, 이에 대한 구동방식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로서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상술한 바에 따라 다른 형상으로도 변형 가능함을 밝혀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A - 도어락 래치
100 -상부프레임 102 - 아답터노출부
104 - 홀더핸들노출부 106 - 전원공급부노출부
108 - 기어확인창 109 - 도어락
110 - 커버부 111 - 투명창
112 - 체결부 120 - 하부프레임
130 - 기어박스 140 - 구동모터
150 - 제1 기어 152 - 피니언기어
160 - 제2 기어 170 - 아댑터 핸들
180 - 홀더핸들 182 - 걸림턱
190 - 버튼부 192 - 전원공급부
200 - 스탑스위치
1000 -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

Claims (3)

  1. 기존의 도어락 외면에 탈부착되는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에 있어서,
    상부프레임;
    상부프레임의 상측에 장착되어 탈분리 가능한 커버부;
    제1 기어, 제1 기어와 외접하여 형성되어 제1 기어의 회전운동에 의해 회동하는 제2 기어, 기존의 도어락 래치가 설치되는 공간으로, 기존의 도어락 래치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개구된 공간이 형성되는 아답터핸들, 제2 기어가 안착되어 제2 기어의 회전운동을 가이드하는 홀더핸들, 상부로 돌출형성되어 하방으로 누르면 내부에 장착된 구동모터에 입력신호를 전달하는 버튼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기어박스;
    상부프레임의 하부에 장착되어 기어박스가 구비되는 하부프레임;
    하부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하고, 스마트기기 또는 버튼부로부터 구동신호를 전달받아 장치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및
    버튼부의 입력신호 또는 스마트기기의 구동신호에 의해 구동모터를 구동 또는 정지시키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
  2. 제1항에 있어서,
    홀더핸들의 외측 원주면을 따라 일부가 파지된 걸림턱이 형성되어 제2 기어의 회전 시 걸림턱 구간에 걸리게 되면 제2 기어가 공회전하도록 하여 유사 시 사용자의 물리적인 힘에 의해 잠금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것
    을 더 포함하는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
  3. 제1항에 있어서,
    스마트기기와의 연동에 의해 열림 또는 열림이 해제되도록 하는 것
    을 더 포함하는 부착형 디지털 도어락.
KR1020160161615A 2016-11-30 2016-11-30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 KR101899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615A KR101899455B1 (ko) 2016-11-30 2016-11-30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615A KR101899455B1 (ko) 2016-11-30 2016-11-30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1907A true KR20180061907A (ko) 2018-06-08
KR101899455B1 KR101899455B1 (ko) 2018-09-17

Family

ID=62600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1615A KR101899455B1 (ko) 2016-11-30 2016-11-30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94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92262A (zh) * 2019-07-24 2019-10-01 深圳易举易动科技有限公司 快递柜结构及多功能智能存储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Lockitron(2015.09.05.)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92262A (zh) * 2019-07-24 2019-10-01 深圳易举易动科技有限公司 快递柜结构及多功能智能存储柜
CN110292262B (zh) * 2019-07-24 2021-06-15 深圳易举易动科技有限公司 快递柜结构及多功能智能存储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9455B1 (ko) 2018-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9373B1 (ko) 사물함용 전자 도어락
KR101899455B1 (ko) 부착형 디지털 보조도어락
KR101793629B1 (ko) 안전 방충망 잠금장치
KR101597914B1 (ko) 방충망 잠금장치
KR200487221Y1 (ko) 창문 자동 개폐장치
KR100991848B1 (ko) 착탈식 키홀더가 적용된 디지털 도어록
KR101242404B1 (ko) 사물함용 전자 도어락
JP2016075134A (ja) 屋内側施錠装置
KR20130072055A (ko) 도어 스토퍼 장치
KR101615899B1 (ko) 비상탈출용 잠금 해제 기능을 갖는 출입문 손잡이
CN109695407A (zh) 一种新型安防用门设施
JP2007046290A (ja) 開閉装置
CN206429150U (zh) 一种可进行二次防盗的电子密码锁防盗门
KR20110034213A (ko) 얼굴인식 도어개폐 시스템
KR102155984B1 (ko) 도어 장치
CN105332591A (zh) 无障碍自动门系统
JP2013096135A (ja) 錠装置
KR100734030B1 (ko)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장치
KR101202952B1 (ko) 여닫이문 조립체
KR20120091944A (ko) 사물함 손잡이
CN214504477U (zh) 一种数据记录指纹锁
JP5679708B2 (ja) 設置が容易なデジタルドアロック
JP3338246B2 (ja) 自動改札機
JP2009102904A (ja) 建築用開閉体における防犯装置
JP4445356B2 (ja) 施錠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施錠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