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7914B1 - 방충망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방충망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7914B1
KR101597914B1 KR1020140184291A KR20140184291A KR101597914B1 KR 101597914 B1 KR101597914 B1 KR 101597914B1 KR 1020140184291 A KR1020140184291 A KR 1020140184291A KR 20140184291 A KR20140184291 A KR 20140184291A KR 101597914 B1 KR101597914 B1 KR 101597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locking
push
lock
p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4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범
양보호
Original Assignee
(주)성림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림금속 filed Critical (주)성림금속
Priority to KR1020140184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79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7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7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8Hasps; Hasp fastenings; Spring catch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푸쉬버튼부를 푸쉬한 후에 회전시켜 방충망을 잠금 해제 할 수 있도록 한 방충망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창틀 프레임에 형성된 훅고정부; 상기 창틀 프레임에 대응하여 체결되는 방충망 프레임에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홀을 구비한 베이스부; 상기 수용홀의 일측으로 돌출 가능하도록 상기 수용홀 내부에 설치되며, 평상시에 상기 훅고정부에 삽입되어 상기 방충망 프레임을 상기 창틀 프레임에 잠그고 있다가 밀음에 의해 상기 훅고정부로부터 이탈하기 위한 잠금부; 상기 베이스부의 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잠금부의 일측에 연결 형성되어, 푸쉬에 의해 회전 가능 상태가 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잠금부를 밀어주기 위한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일측에 결합 형성되어, 사용자의 푸쉬 및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부를 푸쉬 및 회전시켜 주기 위한 푸쉬버튼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방충망 잠금장치 {Locking Apparatus for a mosquito net}
본 발명은 방충망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푸쉬버튼부를 푸쉬한 후에 회전시켜 방충망을 잠금 해제 할 수 있도록 한 방충망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단독 주택의 창문에는 창문을 열었을 때 외부로부터 모기나 파리 등 해충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충망을 창문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81606호(2005.04.04 등록)는 방충망 잠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충망 잠금 장치는 창문이 설치되는 문틀의 바깥쪽에 슬라이딩되게 설치되어 해충의 침입을 방지하도록 한 방충망에 있어서, 상기 방충망의 내측 상단에는 걸림구가 설치되고, 그 걸림구와 동일위치의 창문에는 걸고리가 구비되어 그 걸고리가 상기 걸림구에 걸리어 잠금되거나 또는 잠금이 해재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걸고리는 상기 걸림구에 걸리는 걸이부; 몸체에 상기 걸이부가 힌지로 결합되고, 그 일측 단부는 창문틀에 힌지로 결합되어 타측 단부를 밀거나 당길 때 상기 걸이부가 측면 이동하여 걸림부에 걸리어 잠기거나 잠김이 해제되도록 하는 당김부를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0530호(2009.07.17 공개)는 슬라이딩 개폐식 방범창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침입자를 방지하도록 문틀에 설치되는 방범창에 있어서, 상기 문틀의 바깥쪽에 설치된 외측유리창에 결속되는 개폐유리창과 교체하여 사용하도록 상기 개폐유리창과 동일한 규격으로 형성되어 슬라이딩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방범창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방범창은, 상기 문틀에 끼움결합되는 사각틀체로 형성되고, 저부에 상기 문틀의 가이드레일에 결속되게 이동바퀴가 구비된 창문틀과 상기 창문틀의 내측에 격자 또는 경사지게 엮어진 방범망과 상기 창문틀의 일측에 상기 문틀의 바깥쪽에 구비된 외측유리창의 고정쇠에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잠금고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서는, 외부인이 방충망 사이로 고리를 삽입한 후에, 고리를 잠금장치에 걸어 당김으로써 잠금 해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외부인이 방충망을 열고 내부로 침입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81606호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0530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푸쉬버튼부를 푸쉬하여 회전부와 결합시킨 뒤 회전시켜 잠금 해제할 수 있도록 형성한 방충망 잠금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창틀 프레임에 형성된 훅고정부; 상기 창틀 프레임에 대응하여 체결되는 방충망 프레임에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홀을 구비한 베이스부; 상기 수용홀의 일측으로 돌출 가능하도록 상기 수용홀 내부에 설치되며, 평상시에 상기 훅고정부에 삽입되어 상기 방충망 프레임을 상기 창틀 프레임에 잠그고 있다가 밀음에 의해 상기 훅고정부로부터 이탈하기 위한 잠금부; 상기 베이스부의 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잠금부의 일측에 연결 형성되어, 푸쉬에 의해 회전 가능 상태가 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잠금부를 밀어주기 위한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일측에 결합 형성되어, 사용자의 푸쉬 및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부를 푸쉬 및 회전시켜 주기 위한 푸쉬버튼부를 포함하는 방충망 잠금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수용홀의 일측으로 돌출 가능하도록 상기 수용홀 내부에 설치되며, 평상시에 상기 훅고정부에 삽입되어 상기 방충망 프레임을 상기 창틀프레임에 잠그고 있다가 상기 회전부의 밀음에 의해 상기 훅고정부로부터 이탈하기 위한 잠금부재; 상기 잠금부재를 밀어주어 평상시에 상기 잠금부재가 훅고정부에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제1 탄성부재; 상기 수용홀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탄성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잠금커버부재; 및 상기 잠금부재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의 밀음에 의해 상기 수용홀의 측면에 형성된 통로부재를 따라 이동하는 걸림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잠금부재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잠금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라인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라인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라인돌기를 삽입하여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베이스부는, 측면에 상기 회전부가 회동가능 하도록 형성된 회전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잠금부의 일측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푸쉬버튼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잠금부를 밀어주기 위한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의 측면에 다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푸쉬버튼부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푸쉬버튼부는, 사용자의 푸쉬 및 회전에 의해 상기 결합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회전부재를 푸쉬 및 회전시키기 위한 버튼부재;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에 결합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재를 삽입하면서 상기 버튼부재를 관통시키기 위한 제1 관통홀이 구비된 베이스커버부재; 상기 회전부재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버튼부재를 삽입하여 상기 회전부재에서 상기 버튼부재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며, 사용자의 푸쉬에 의해 이동된 상기 버튼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제2 탄성부재; 및 상기 베이스커버부재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버튼부재를 관통시키기 위한 제2 관통홀이 구비되어, 상기 버튼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푸쉬버튼케이스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버튼부재는, 일 말단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위한 손잡이; 및 상기 결합부재와 대응하는 위치에 해당하는 다른 일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베이스부는, 상기 푸쉬버튼부와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1홀; 상기 제1홀과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푸쉬버튼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2홀; 및 상기 제1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2홀에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푸쉬버튼부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푸쉬버튼부를 푸쉬한 후에 회전시켜야만 잠금을 해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외부인이 방충망 사이로 고리를 삽입하여 잡아당기더라도 잠금을 해제할 수 없으므로, 외부인의 강제적인 침입에 대한 방범의 효과가 탁월하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충망 잠금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잠금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베이스부, 회전부, 푸쉬버튼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충망 잠금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충망 잠금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충망 잠금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충망 잠금장치를 분해도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방충망 잠금장치(10)는, 훅고정부(100), 베이스부(200), 잠금부(300), 회전부(400), 푸쉬버튼부(500)를 포함한다.
훅고정부(100)는, 창틀 프레임(W)의 일측에 형성되며, 잠금부(300)를 삽입하여 방충망 프레임(M)을 잠근다.
일 실시 예에서, 훅고정부(100)는, 창틀 프레임(W)의 측면에 위치시킨 후에 나사를 관통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베이스부(200)는, 창틀 프레임(W)에 대응하여 체결되는 방충망 프레임(M)에 형성되며, 내부에 수용홀(H)을 구비한다.
잠금부(300)는, 수용홀(H)의 일측으로 돌출 가능하도록 수용홀(H) 내부에 설치되며, 평상시에 훅고정부(100)에 삽입되어 방충망 프레임(M)을 창틀 프레임(W)에 잠그고 있다가 회전부(400)의 밀음에 의해 훅고정부(100)로부터 이탈하여 잠금 해제 시킨다.
회전부(400)는, 베이스부(200)의 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잠금부(300)의 일측에 연결 형성되며, 사용자의 푸쉬에 의해 회전 가능 상태가 되며, 회전에 의해 잠금부(300)를 잠금 해제 방향(창틀 프레임(W)에서 방충망 프레임(M) 방향)으로 밀어준다.
푸쉬버튼부(500)는, 회전부(400)의 일측에 결합 형성되며, 사용자의 푸쉬 및 회전에 의해 회전부(400)를 푸쉬 및 회전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방충망 잠금장치(10)는, 푸쉬버튼부(500)를 푸쉬한 후에 회전시켜야만 잠금부(300)를 이동시켜 잠금 해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외부인이 방충망 사이로 고리를 삽입하여 잡아당기더라도 잠금을 해제할 수 없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잠금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잠금부(300)는, 잠금부재(310), 제1 탄성부재(320), 잠금커버부재(330), 걸림턱부재(340)를 포함한다.
잠금부재(310)는, 수용홀(H)의 일측으로 돌출 가능하도록 수용홀(H) 내부에 설치되며, 평상시에 수용홀(H)의 일측으로 돌출되면서 훅고정부(100)에 삽입되어, 방충망 프레임(M)을 창틀 프레임(W)에 잠그고 있다가 회전부(400)의 밀음에 의해 훅고정부(100)로부터 이탈하여 잠금 해제 시킨다.
제1 탄성부재(320)는, 잠금부재(310)를 잠금 방향(방충망 프레임(M)에서 창틀 프레임(W) 방향)으로 밀어주어 평상시에 잠금부재(310)가 훅고정부(100)에 삽입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탄성부재(320)는, 잠금부재(310)과 잠금커버부재(330) 사이에 형성되어, 잠금 방향(방충망 프레임(M)에서 창틀 프레임(W)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며, 회전부(400)의 회전에 의해 이동된 잠금부재(310)을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탄성부재(320)는, 스프링 등 탄력을 가지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잠금커버부재(330)는, 수용홀(H)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제1 탄성부재(320)를 고정시킨다.
걸림턱부재(340)는, 잠금부재(310)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며, 회전부(400)의 밀음에 의해 수용홀(H)의 측면에 형성된 통로부재(210)를 따라 이동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잠금부(300)는, 라인돌기(350)를 더 포함한다.
라인돌기(350, 351)는, 잠금부재(31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되며, 잠금부재(310)가 수용홀(H) 내에서 직선운동 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라인돌기(350, 351)는, 잠금부재(310)의 상부 및 하부에 가로방향으로 돌출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있는 베이스부, 회전부, 푸쉬버튼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베이스부(200)는, 가이드홈(220, 221), 회전축부재(230)를 포함하며, 회전부(400)는, 회전부재(410), 결합부재(420)를 포함하며, 푸쉬버튼부(500)는, 버튼부재(510), 베이스커버부재(520), 제2 탄성부재(530), 푸쉬버튼케이스부재(540)를 포함한다.
가이드홈(220, 221)은, 라인돌기(350, 351)에 대응하는 위치에 해당하는 수용홀(H) 내부에 형성되며, 라인돌기(350, 351)를 삽입한 후에 잠금부재(310)가 직선 운동하도록 안내한다.
회전축부재(230)는, 베이스부(200)의 측면에 회전부(400)를 삽입하여 회전부(400)가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회전축부재(230)는, 상부와 하부가 가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부와 하부 사이(연장 형성된 부분 사이)에 회전부(400)를 삽입할 수 있다.
회전부재(410)는, 잠금부(300)의 일측에 연결 형성되어, 푸쉬버튼부(50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면서 잠금부(300)를 잠금 해제 방향으로 밀어준다.
결합부재(420)는, 회전부재(410)의 측면에 다수개로 형성되며, 푸쉬버튼부(500)에 형성된 결합홈(512)과 결합한다.
일 실시 예에서, 결합부재(420)는, 돌기, 요철모양 등 다양한 결합수단으로 형성할 수 있다.
버튼부재(510)는, 사용자의 푸쉬 및 회전에 의해 결합부재(420)와 결합하여 회전부재(410)를 푸쉬 및 회전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버튼부재(510)는, 손잡이(511), 결합홈(512)을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511)는, 버튼부재(510)의 일 말단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푸쉬 및 회전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손잡이(510)는, 외부 침입자가 고리 등의 도구를 끼울 수 없도록 둥글게 형성할 수 있다.
결합홈(512)은, 결합부재(420)와 대응하는 위치에 해당하는 버튼부재(510)의 다른 일 말단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푸쉬에 의해 결합부재(420)와 결합한다.
베이스커버부재(520)는, 회전부재(410)의 일측에 결합 형성되며, 결합부재(420)를 삽입하면서 버튼부재(510)를 관통시키기 위한 제1 관통홀(500a)이 구비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관통홀(500a)은, 사용자의 푸쉬에 의해 버튼부재(510)를 관통시켜, 버튼부재(510)에 형성된 결합홈(512)과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결합부재(420)를 끼워 회전부재(410)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제2 탄성부재(530)는, 회전부재(410)에 고정 설치되며, 버튼부재(510)를 삽입하여 회전부재(410)에서 버튼부재(510)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며, 사용자의 푸쉬에 의해 이동된 버튼부재(510)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푸쉬버튼케이스부재(540)는, 베이스커버부재(520)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버튼부재(510)를 관통시키기 위한 제2 관통홀(500b)이 구비되어, 제2 관통홀(500b)을 통해 버튼부재(510)를 삽입하여 수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베이스부(200)는, 체결부재(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재(240)는, 베이스부(200)와 푸쉬버튼부(500) 사이에 형성되며, 베이스부(200)와 푸쉬버튼부(500)를 체결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부재(240)는, 제1홀(241), 제2홀(242), 체결수단(2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홀(241)은, 베이스부(200)에 다수개로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홀(241)은, 베이스부(20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제2홀(242)은, 제1홀에 대응하는 위치의 푸쉬버튼부(500)에 다수개로 형성된다.
체결수단(243)은, 제1홀(241)을 관통하여 제2홀(242)에 삽입되며, 베이스부(200)와 푸쉬버튼부(500) 사이를 체결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수단(243)은, 볼트 등의 다양한 체결도구로 형성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충망 잠금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방충망의 잠금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잠금이 해제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수용홀(H)의 내부에 잠금부(300)가 장착된 베이스부(200)를 방충망 프레임(M)의 측면에 설치하여, 잠금부(300)가 수용홀(H)의 일측으로 돌출되면서 창틀 프레임(W)에 설치된 훅고정부(100)에 삽입되어 방충망 프레임(M)이 잠긴 상태이다.
여기서 버튼부재(510)를 잠금부(300) 쪽으로 푸쉬한 후에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6과 같이, 버튼부재(510)의 푸쉬에 의해 결합홈(512)과 결합부재(420)가 결합되어, 회전부재(410)가 버튼부재(510)에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회전부재(410)가 회전하면서 걸림턱부재(340)을 밀어주어 잠금부재(310)을 잠금 해제 방향(창틀 프레임(W)에서 방충망 프레임(M) 방향)으로 직선 운동한다.
이와 같이 버튼부재(510)와 회전부재(410)의 운동에 따라 잠금부재(310)가 잠금 해제 방향(창틀 프레임(W)에서 방충망 프레임(M)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훅고정부(100)로부터 빠져나와 방충망 프레임(M)의 잠금 설정이 해제된다.
이때, 잠금부재(310)이 잠금 해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잠금부재(310)과 잠금커버부재(330) 사이에 형성된 제1 탄성부재(320)가 탄성 압축된다. 잠금부재(310)을 잠금 해제 방향으로 가압하는 압력이 해제되는 경우, 잠금부재(310)는 제1 탄성부재(320)의 탄성력에 의해 잠금 방향(원위치)으로 위치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잠금 동작을 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잠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버튼부재(510)를 푸쉬하는 경우에, 회전부재(410)와 버튼부재(510) 사이에 형성된 제2 탄성부재(540)가 압축되면서 회전부재(410)에서 버튼부재(510) 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버튼부재(510)를 푸쉬하는 압력이 해제되는 경우, 버튼부재(510)는 제2 탄성부재(540)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위치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별도로 버튼부재(510)를 당기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원위치로 이동하여 사용자가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어준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방충망 잠금장치
100 : 훅고정부
200 : 베이스부
210 : 통로부재
220, 221 : 가이드홈
230 : 회전축부재
240 : 체결부재
241 : 제1홀
242 : 제2홀
243 : 체결수단
300 : 잠금부
310 : 잠금부재
320 : 제1 탄성부재
330 : 잠금커버부재
340 : 걸림턱부재
350, 351 : 라인돌기
400 : 회전부
410 : 회전부재
420 : 결합부재
500 : 푸쉬버튼부
510 : 버튼부재
511 : 손잡이
512 : 결합홈
520 : 베이스커버부재
530 : 제2 탄성부재
540 : 푸쉬버튼케이스부재
500a : 제1 관통홀
500b : 제2 관통홀
W : 창틀 프레임
M : 방충망 프레임
H : 수용홀

Claims (10)

  1. 창틀 프레임에 형성된 훅고정부;
    상기 창틀 프레임에 대응하여 체결되는 방충망 프레임에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홀을 구비한 베이스부;
    상기 수용홀의 일측으로 돌출 가능하도록 상기 수용홀 내부에 설치되며, 평상시에 상기 훅고정부에 삽입되어 상기 방충망 프레임을 상기 창틀 프레임에 잠그고 있다가 밀음에 의해 상기 훅고정부로부터 이탈하기 위한 잠금부;
    상기 베이스부의 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잠금부의 일측에 연결 형성되어, 푸쉬에 의해 회전 가능 상태가 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잠금부를 밀어주기 위한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일측에 결합 형성되어, 사용자의 푸쉬 및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부를 푸쉬 및 회전시켜 주기 위한 푸쉬버튼부를 포함하는 방충망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수용홀의 일측으로 돌출 가능하도록 상기 수용홀 내부에 설치되며, 평상시에 상기 훅고정부에 삽입되어 상기 방충망 프레임을 상기 창틀프레임에 잠그고 있다가 상기 회전부의 밀음에 의해 상기 훅고정부로부터 이탈하기 위한 잠금부재;
    상기 잠금부재를 밀어주어 평상시에 상기 잠금부재가 훅고정부에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제1 탄성부재;
    상기 수용홀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탄성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잠금커버부재; 및
    상기 잠금부재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의 밀음에 의해 상기 수용홀의 측면에 형성된 통로부재를 따라 이동하는 걸림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망 잠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잠금부재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잠금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라인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망 잠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라인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라인돌기를 삽입하여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망 잠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측면에 상기 회전부가 회동가능 하도록 형성된 회전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망 잠금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잠금부의 일측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푸쉬버튼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잠금부를 밀어주기 위한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의 측면에 다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푸쉬버튼부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망 잠금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버튼부는,
    사용자의 푸쉬 및 회전에 의해 상기 결합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회전부재를 푸쉬 및 회전시키기 위한 버튼부재;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에 결합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재를 삽입하면서 상기 버튼부재를 관통시키기 위한 제1 관통홀이 구비된 베이스커버부재;
    상기 회전부재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버튼부재를 삽입하여 상기 회전부재에서 상기 버튼부재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며, 사용자의 푸쉬에 의해 이동된 상기 버튼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제2 탄성부재; 및
    상기 베이스커버부재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버튼부재를 관통시키기 위한 제2 관통홀이 구비되어, 상기 버튼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푸쉬버튼케이스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망 잠금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재는,
    일 말단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위한 손잡이; 및
    상기 결합부재와 대응하는 위치에 해당하는 다른 일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망 잠금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베이스부는,
    상기 푸쉬버튼부와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망 잠금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1홀;
    상기 제1홀과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푸쉬버튼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2홀; 및
    상기 제1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2홀에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푸쉬버튼부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망 잠금장치.
KR1020140184291A 2014-12-19 2014-12-19 방충망 잠금장치 KR101597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4291A KR101597914B1 (ko) 2014-12-19 2014-12-19 방충망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4291A KR101597914B1 (ko) 2014-12-19 2014-12-19 방충망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7914B1 true KR101597914B1 (ko) 2016-02-25

Family

ID=55446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4291A KR101597914B1 (ko) 2014-12-19 2014-12-19 방충망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791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2074A (ko) * 2017-01-10 2018-07-18 김정숙 분리형 방충망을 구비한 창틀 구조체
KR20180137115A (ko) 2017-06-16 2018-12-27 (주)다우솔루션 창문잠금장치
KR20220014010A (ko) * 2020-07-28 2022-02-04 주식회사 신흥코리아 창문 개폐용 안전장치
KR20220033313A (ko) * 2020-09-09 2022-03-16 주식회사 스마트카라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606Y1 (ko) 2005-01-20 2005-04-14 상훈 한 방충망 잠금 장치
JP2005146512A (ja) * 2003-11-11 2005-06-09 Nishi Seisakusho:Kk 錠前、並びに、サムターン
KR20070005536A (ko) * 2006-12-16 2007-01-10 이동혁 자동수동 겸용 창문용 잠금장치
KR20080000530U (ko) 2006-10-13 2008-04-17 김광철 매트리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6512A (ja) * 2003-11-11 2005-06-09 Nishi Seisakusho:Kk 錠前、並びに、サムターン
KR200381606Y1 (ko) 2005-01-20 2005-04-14 상훈 한 방충망 잠금 장치
KR20080000530U (ko) 2006-10-13 2008-04-17 김광철 매트리스
KR20070005536A (ko) * 2006-12-16 2007-01-10 이동혁 자동수동 겸용 창문용 잠금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2074A (ko) * 2017-01-10 2018-07-18 김정숙 분리형 방충망을 구비한 창틀 구조체
KR101882763B1 (ko) 2017-01-10 2018-07-27 김정숙 분리형 방충망을 구비한 창틀 구조체
KR20180137115A (ko) 2017-06-16 2018-12-27 (주)다우솔루션 창문잠금장치
KR20220014010A (ko) * 2020-07-28 2022-02-04 주식회사 신흥코리아 창문 개폐용 안전장치
KR102523037B1 (ko) * 2020-07-28 2023-04-18 주식회사 신흥코리아 창문 개폐용 안전장치
KR20220033313A (ko) * 2020-09-09 2022-03-16 주식회사 스마트카라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
KR102474495B1 (ko) * 2020-09-09 2022-12-06 주식회사 스마트카라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7914B1 (ko) 방충망 잠금장치
KR20160052486A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CA2728416A1 (en) Sash window restrictor
KR101916103B1 (ko) 잠금장치를 포함한 창호용 그립 손잡이
KR101849386B1 (ko) 잠금식별과 방범기능을 갖는 창호용 잠금장치
KR101833524B1 (ko) 잠금식별이 가능한 창호용 잠금장치
US20200056403A1 (en) Lock with a lockable push-through latch
KR101793629B1 (ko) 안전 방충망 잠금장치
KR100825446B1 (ko) 전자식 도어록의 비상시 록킹 해정장치
KR101787667B1 (ko) 안전 방충망 잠금장치
KR200456588Y1 (ko) 창호용 자동 잠금장치
KR100877568B1 (ko) 창문 자동 잠금 장치
US20100096863A1 (en) Mechanical latch assembly for retractable screen doors and windows
KR101663162B1 (ko) 로테이터블 래치볼트를 갖는 도어락
KR101599896B1 (ko) 방충망 도어의 잠금장치
KR200489898Y1 (ko) 방충망용 잠금장치
KR101990693B1 (ko) 방범 방충망용 잠금장치
KR101782579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101645522B1 (ko) 방범기능을 갖춘 실내용 개폐문틀
KR20220014010A (ko) 창문 개폐용 안전장치
KR101811814B1 (ko) 자동잠김을 방지하는 안전방충망 잠금장치
KR100706762B1 (ko) 멀티볼트를 갖는 모티스 락
KR101990692B1 (ko) 방범 방충망용 잠금장치
KR100647860B1 (ko) 샷시문의 도어록 장치
KR101440528B1 (ko) 다중 래치 멀티 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