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1901A - 차량 주행 안내 정보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주행 안내 정보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1901A
KR20180061901A KR1020160161606A KR20160161606A KR20180061901A KR 20180061901 A KR20180061901 A KR 20180061901A KR 1020160161606 A KR1020160161606 A KR 1020160161606A KR 20160161606 A KR20160161606 A KR 20160161606A KR 20180061901 A KR20180061901 A KR 20180061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peed
lane
guidance information
risk f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1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유진
이준근
Original Assignee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1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1901A/ko
Publication of KR20180061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19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05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transmitted instructions are used to compute a rou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15Dynamic re-routing, e.g. recalculating the route when the user deviates from calculated route or after detecting real-time traffic data or accid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3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different aspects are considered when computing the rou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주행 안내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서버가 임의의 구간을 주행 중인 차량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량 각각의 속도, 위치 및 차선 정보를 포함하는 주행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서버가 수집된 주행 정보에 기초하여 구간에 위험요인이 있는 차량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구간에 위험요인이 있는 차량이 존재하면, 서버가 해당 차량에 주행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주행 안내 정보 제공 방법{METHOD OF PROVIDING DRIVING GUIDE INFORMATION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주행 안내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위험요인이 있는 차량에 주행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차량 주행 안내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도로 이용자들에게 실시간으로 구간 교통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운행 및 시간 비용을 최소화하고, 차량을 최대한 분산시킴으로써 교통량 집중화를 방지하여 한정되어 있는 도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기술들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교통정보는 일반적으로 다수의 프로브차량(Probe vehicle)이 제공하는 정보를 기반으로 교통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산출되며, 교통정보 제공 장치들은 특히 지도데이터를 이용하여 계산된 구간별 평균속도를 반영하여 교통정보를 산출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지도데이터에는 도로의 링크, 각 링크별 노드 리스트, 각 노드의 좌표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종래 교통정보 제공 장치들은 이러한 지도데이터 및 프로브차량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각 링크별 평균속도 또는 특정 구간별 평균속도를 계산하여 교통정보를 산출하였다.
예를 들어 교통이 원활한 도로에는 파란색, 지체(또는 서행)중인 도로에는 노란색, 정체중인 도로에는 빨간색 정보를 지도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도로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7-0042445호(2007.04.23)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교통정보 제공 서비스들은 상술한 것과 같이, 정체구간이나 구간별 속도 정보를 제공해주는 것에서 그치고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교통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각 구간별 위험요인을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에 따라 안내 정보를 제공하여 각 구간의 전체적인 교통흐름을 조정할 수 있는 차량 주행 안내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주행 안내 정보 제공 방법은 서버가 임의의 구간을 주행 중인 차량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량 각각의 속도, 위치 및 차선 정보를 포함하는 주행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수집된 주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간에 위험요인이 있는 차량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구간에 위험요인이 있는 차량이 존재하면, 상기 서버가 해당 차량에 주행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위험요인이 있는 차량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차량의 속도, 해당 차량이 주행 중인 차선의 평균속도, 및/또는 상기 구간의 법정속도에 기초하여 해당 차량에 위험요인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위험요인이 있는 차량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차량의 속도가 상기 평균속도 또는 상기 법정속도를 초과하면, 해당 차량에 위험요인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주행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해당 차량에 감속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위험요인이 있는 차량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전방 차량까지의 거리가 상기 평균속도에 대응하는 안전거리 범위를 벗어난 차량이 존재하면, 해당 차량에 위험요인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주행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해당 차량에 적정 간격 조정을 위한 감속 또는 가속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위험요인이 있는 차량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구간의 각 차선별 평균속도에 기초하여 위험요인이 있는 차량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위험요인이 있는 차량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구간의 각 차선 중 추월차선의 평균속도보다 주행차선의 평균속도가 더 빠르고, 상기 추월차선의 평균속도와 상기 주행차선의 평균속도의 차이가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서버가 상기 추월차선 내에 속도 흐름을 방해하는 차량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속도 흐름을 방해하는 차량이 존재하면, 해당 차량에 위험요인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속도 흐름을 방해하는 차량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추월차선의 평균속도보다 설정속도 이상 낮은 속도를 가지는 차량이 존재하면, 해당 차량이 속도 흐름을 방해하는 차량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주행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해당 차량에 상기 주행차선으로의 차선 변경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위험요인이 있는 차량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하나의 차선에서 연속하게 위치한 2개의 차량의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2개의 차량에 위험요인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위험요인이 있는 차량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하나의 차선이 추월차선이고, 상기 2개의 차량 중 전방에 위치한 차량의 속도보다 후방에 위치한 차량의 속도가 빠르며, 상기 전방에 위치한 차량에 인접한 주행차선의 설정영역 내에 다른 차량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전방에 위치한 차량에 위험요인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주행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전방에 위치한 차량에 상기 주행차선으로의 차선 변경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위험요인이 있는 차량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하나의 차선이 추월차선이고, 상기 2개의 차량 중 전방에 위치한 차량의 속도보다 후방에 위치한 차량의 속도가 빠르며, 상기 전방에 위치한 차량에 인접한 주행차선의 설정영역 내에 다른 차량이 존재하고, 상기 전방에 위치한 차량의 속도가 상기 다른 차량의 속도보다 빠르며, 상기 전방에 위치한 차량의 속도가 상기 구간의 법정속도보다 빠르면, 상기 2개의 차량에 위험요인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주행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2개의 차량에 상기 법정속도로의 감속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위험요인이 있는 차량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하나의 차선이 추월차선이고, 상기 2개의 차량 중 전방에 위치한 차량의 속도보다 후방에 위치한 차량의 속도가 빠르며, 상기 전방에 위치한 차량에 인접한 주행차선의 설정영역 내에 다른 차량이 존재하고, 상기 전방에 위치한 차량의 속도가 상기 다른 차량의 속도보다 빠르며, 상기 전방에 위치한 차량의 속도가 상기 구간의 법정속도보다 느리면, 상기 2개의 차량에 위험요인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주행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전방에 위치한 차량에 상기 법정속도로의 가속 안내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후방에 위치한 차량에 상기 전방에 위치한 차량의 속도에 대응하는 안전거리 유지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위험요인이 있는 차량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하나의 차선이 추월차선이고, 상기 2개의 차량 중 전방에 위치한 차량의 속도보다 후방에 위치한 차량의 속도가 빠르며, 상기 전방에 위치한 차량에 인접한 주행차선의 설정영역 내에 다른 차량이 존재하고, 상기 전방에 위치한 차량의 속도가 상기 다른 차량의 속도보다 빠르지 않으면, 상기 전방에 위치한 차량에 위험요인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주행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전방에 위치한 차량에 상기 주행차선으로의 차선 변경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주행 안내 정보 제공 방법은 임의의 구간을 주행하는 차량 각각의 속도, 위치 및 차선 정보를 포함하는 주행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통해 해당 구간 내의 위험요인을 분석하며, 분석된 결과에 따라 각 차량에 가속, 감속 및 차선변경 안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해당 구간의 전체적인 교통흐름을 조정하여 안전 및 원활한 차량 운행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행 안내 정보 제공 방법이 수행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행 안내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행 안내 정보 제공 방법의 구체적인 동작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주행 안내 정보 제공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행 안내 정보 제공 방법이 수행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행 안내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행 안내 정보 제공 방법의 구체적인 동작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행 안내 정보 제공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서버(100)는 차량들(110)로부터 주행 안내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주행 정보들을 수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다수의 차량들(110)로부터 각 차량의 속도, 위치 및 차선 정보를 주행 정보로 수집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각 차량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 각 차량의 주행 방향 정보 등도 수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주행 정보는 각 차량에 탑재된 GPS 모듈, 차속 센서, 카메라 기반 차선 인식 시스템, 내비게이션 모듈 등을 통해 검출되고, 차량에 탑재된 통신 모듈을 통해 서버(100)로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 기반 차선 인식 시스템은 차량에 탑재된 전방 카메라를 통해 전방 영상을 획득하고, 이를 처리하여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차선이 어떤 차선인지 판단하는 시스템을 말한다.(예: 왼쪽에서 2번째 차선을 주행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각 차량에는 주변의 다른 차량의 정보를 수집하는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거나, 다른 차량으로부터 차량 간(vehicle-to-vehicle) 통신을 통해 수신된 정보를 서버(100)로 전달하도록 하는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서버(100)는 이러한 방식을 통해 주행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서버(100)는 도로에 설치된 교통 정보 인프라 시스템을 통해 상술한 주행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서버(100)는 상술한 것과 같이, 각 차량의 속도, 위치 및 차선 정보를 수집한다(S200). 이때 서버(100)는 도로를 임의의 구간으로 구분하고, 각 구간별로 이러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일반적인 지도 데이터에서의 링크가 이러한 구간을 구분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이어서 서버(100)는 수집된 주행 정보에 기초하여 구간에 위험요인이 있는 차량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210). 여기서 위험요인이 있는 차량은 주행 안내 정보를 제공받을 차량을 의미하며, 수집된 주행 정보의 분석에 따라 도로의 흐름에 방해가 되거나 사고의 가능성이 있는 차량이 이러한 위험요인이 있는 차량으로 판별될 수 있다.
이러한 판단에 따라 위험요인이 있는 차량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서버(100)는 해당 차량에 주행 안내 정보를 제공한다(S220). 여기서 제공되는 주행 안내 정보는 가속, 감속 및 차선변경 안내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은 서버(100)의 위험요인 존부 판단 및 주행 안내 정보 제공의 구체적인 동작 방식을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단계(S210)에서 서버(100)는 임의의 차량의 속도, 해당 차량이 주행 중인 차선의 평균속도 및/또는 구간의 법정속도에 기초하여 해당 차량에 위험요인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먼저 해당 차량의 속도가 해당 차량이 주행 중인 차선의 평균속도 또는 구간의 법정속도를 초과하면, 해당 차량에 위험요인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S300). 즉, 서버(100)는 각 차량의 속도가 해당 구간의 법정속도를 초과하거나, 해당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차선의 평균속도를 초과하면, 사고의 위험이 있는 차량 즉, 위험요인이 존재하는 차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0)는 상술한 주행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구간의 특정 차선을 주행하는 차량의 속도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상술한 평균속도를 산출할 수 있고, 해당 구간의 법정속도는 서버(10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렇게 차량의 속도가 해당 차량이 주행 중인 차선의 평균속도 또는 구간의 법정속도를 초과하면, 서버(100)는 해당 차량에 감속 안내 정보를 제공한다(S310). 즉, 서버(100)는 과속으로 인한 사고 위험이 있는 차량에 대해 감속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서버(100)는 해당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차선의 평균속도 또는 해당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구간의 법정속도에 관한 정보를 더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계(S300)의 판단결과, 해당 차량의 속도가 해당 차량이 주행 중인 차선의 평균속도 및 구간의 법정속도를 초과하지 않았더라도, 해당 차량의 전방에 위치한 차량까지의 거리가 상기 평균속도에 대응하는 안전거리 범위를 벗어난 경우, 서버(100)는 해당 차량에 위험요인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320).
즉, 서버(100)는 과속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 차량일지라도, 안전거리를 준수하고 있지 않은 차량에는 사고의 위험성이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서버(100)는 해당 차량에 적정 간격 조정을 위한 감속 또는 가속 안내 정보를 제공한다(S330). 여기서 감속 안내 정보뿐만 아니라, 가속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전방 차량까지의 거리가 너무 먼 차량은 차선 전체의 흐름을 방해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한편 여기서 평균속도에 대응하는 안전거리 범위는 기본적으로 서버(10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단계(S210)에서 서버(100)는 해당 구간의 각 차선별 평균속도에 기초하여 위험요인이 있는 차량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해당 구간에 추월차선 및 주행차선이 구분되어 존재하는 경우에, 추월차선의 평균속도보다 주행차선의 평균속도가 더 빠르고, 상기 추월차선의 평균속도와 상기 주행차선의 평균속도의 차이가 설정값 이상이면, 서버(100)가 상기 추월차선 내에 속도 흐름을 방해하는 차량의 존재 여부를 판단한다(S400).
즉, 서버(100)는 추월차선의 평균속도보다 주행차선의 평균속도가 더 빠르고, 그 차이가 설정값 이상이면, 추월차선의 흐름이 정상적이지 않다고 판단하여, 추월차선 내에 속도 흐름을 방해하는 차량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0)는, 추월차선의 평균속도보다 설정속도 이상 낮은 속도를 가지는 차량이 존재하면, 해당 차량이 속도 흐름을 방해하는 차량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차량의 속도 분포가 급 감소되는 지점 또는 차량 사이의 간격이 급격히 좁아지는 지점에 위치한 차량이 속도 흐름을 방해하는 차량인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렇게 서버(100)는 속도 흐름을 방해하는 차량이 존재하면, 해당 차량에 위험요인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서버(100)는 해당 차량에 주행차선으로의 차선 변경 안내 정보를 제공한다(S410).
즉, 서버(100)는 추월차선의 속도 흐름을 방해하는 차량을 주행차선으로 안내하여 추월차선의 속도 흐름이 개선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각 구간별 추월차선 및 주행차선의 존부는 도로의 형상에 따른 것이므로 서버(10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설정값 및 설정속도 또한 미리 설정되어 서버(10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단계(S210)에서 서버(100)는 하나의 차선에서 연속하게 위치한 2개의 차량의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2개의 차량에 위험요인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먼저 추월차선을 주행 중인 차량 A의 후방으로 차량 B가 접근하는지 확인한다(S500). 즉, 서버(100)는 상기 하나의 차선이 추월차선이고, 상기 2개의 차량 중 전방에 위치한 차량(차량 A)의 속도보다 후방에 위치한 차량(차량 B)의 속도가 빠른지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서버(100)는 추월차선에 추월을 시도하려는 차량이 존재하는지 확인하여, 위험요인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단계(S500)의 확인결과, 추월차선을 주행 중인 차량 A의 후방으로 차량 B가 접근한다면, 서버(100)는 차량 A에 인접한 주행차선의 설정영역 내에 다른 차량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510). 즉, 서버(100)는 차량 A가 주행차선으로 변경을 시도할 영역에 다른 차량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여기서 설정영역은 기본적으로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단계(S510)의 확인결과, 차량 A 주변 주행차선에 다른 차량이 존재하면, 서버(100)는 차량 A의 속도가 다른 차량의 속도보다 빠른지 확인한다(S520). 즉, 서버(100)는 차량 A과 다른 차량의 속도를 비교하여, 차량 A가 주행차선으로 이동해야할 속도를 가지고 있는지 확인 할 수 있다.
상기 단계(S520)의 확인결과 차량 A의 속도가 다른 차량의 속도보다 빠르고, 차량 A의 속도가 법정속도보다 빠르면, 서버(100)는 차량A와 차량 B에게 상기 법정속도로의 감속 안내 정보를 제공한다(S530).
즉, 서버(100)는 차량 A의 속도가 충분히 빠르다고 판단되면, 차량 A 및 B에게 감속 안내 정보를 제공하여, 과속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S520)의 확인결과 차량 A의 속도가 다른 차량의 속도보다 빠르고, 차량 A의 속도가 법정속도보다 느리면, 서버(100)는 차량 A에게는 법정속도로의 가속 안내 정보를 제공하고, 차량 B에게는 차량 A의 속도에 대응하는 안전거리 유지를 안내한다(S540).
즉, 서버(100)는 주행차선에 존재하는 다른 차량과의 비교를 통해 차량 A가 추월차선을 주행해야 한다고 판단되나, 차량 A의 속도가 법정속도보다 느린 경우에는 가속을 안내하여 전체 도로 흐름을 개선하고, 차량 B에게는 차량 A의 속도에 대응하는 안전거리를 유지하도록 안내하여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법정속도는 하나의 속도값이 아니라, 속도의 범위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법정속도보다 빠르다함은 법정속도 범위의 최댓값보다 빠른 속도값을 가지는 경우를 의미하고, 법정속도보다 느리다함은 법정속도 범위의 최솟값보다 느린 속도값을 가지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S510)의 확인결과 차량 A 주변 주행차선에 다른 차량이 존재하지 않거나, 상기 단계(S520)의 확인결과 차량 A의 속도가 주행차로에 위치한 다른 차량의 속도보다 빠르지 않으면, 서버(100)는 차량 A에 주행차선으로의 차선 변경 안내 정보를 제공한다(S550).
즉, 서버(100)는 차량 A가 주행차선으로 차선 변경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차량 A에만 위험요인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차선 변경 안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도로의 원활한 흐름을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행 안내 정보 제공 방법은 임의의 구간을 주행하는 차량 각각의 속도, 위치 및 차선 정보를 포함하는 주행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통해 해당 구간 내의 위험요인을 분석하며, 분석된 결과에 따라 각 차량에 가속, 감속 및 차선변경 안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해당 구간의 전체적인 교통흐름을 조정하여 안전 및 원활한 차량 운행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가속, 감속, 안전거리 유지 및 차선 변경 안내는 각 차량에 설치된 내비게이션 장치 등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해당 안내에 관련된 음성 메시지나 화면을 출력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서버
110: 차량

Claims (13)

  1. 서버가 임의의 구간을 주행 중인 차량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량 각각의 속도, 위치 및 차선 정보를 포함하는 주행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수집된 주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간에 위험요인이 있는 차량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구간에 위험요인이 있는 차량이 존재하면, 상기 서버가 해당 차량에 주행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주행 안내 정보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요인이 있는 차량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차량의 속도, 해당 차량이 주행 중인 차선의 평균속도, 및/또는 상기 구간의 법정속도에 기초하여 해당 차량에 위험요인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주행 안내 정보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요인이 있는 차량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차량의 속도가 상기 평균속도 또는 상기 법정속도를 초과하면, 해당 차량에 위험요인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주행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해당 차량에 감속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주행 안내 정보 제공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요인이 있는 차량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전방 차량까지의 거리가 상기 평균속도에 대응하는 안전거리 범위를 벗어난 차량이 존재하면, 해당 차량에 위험요인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주행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해당 차량에 적정 간격 조정을 위한 감속 또는 가속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주행 안내 정보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요인이 있는 차량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구간의 각 차선별 평균속도에 기초하여 위험요인이 있는 차량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주행 안내 정보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요인이 있는 차량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구간의 각 차선 중 추월차선의 평균속도보다 주행차선의 평균속도가 더 빠르고, 상기 추월차선의 평균속도와 상기 주행차선의 평균속도의 차이가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서버가 상기 추월차선 내에 속도 흐름을 방해하는 차량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속도 흐름을 방해하는 차량이 존재하면, 해당 차량에 위험요인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주행 안내 정보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흐름을 방해하는 차량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추월차선의 평균속도보다 설정속도 이상 낮은 속도를 가지는 차량이 존재하면, 해당 차량이 속도 흐름을 방해하는 차량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주행 안내 정보 제공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해당 차량에 상기 주행차선으로의 차선 변경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주행 안내 정보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요인이 있는 차량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하나의 차선에서 연속하게 위치한 2개의 차량의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2개의 차량에 위험요인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주행 안내 정보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요인이 있는 차량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하나의 차선이 추월차선이고, 상기 2개의 차량 중 전방에 위치한 차량의 속도보다 후방에 위치한 차량의 속도가 빠르며, 상기 전방에 위치한 차량에 인접한 주행차선의 설정영역 내에 다른 차량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전방에 위치한 차량에 위험요인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주행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전방에 위치한 차량에 상기 주행차선으로의 차선 변경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주행 안내 정보 제공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요인이 있는 차량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하나의 차선이 추월차선이고, 상기 2개의 차량 중 전방에 위치한 차량의 속도보다 후방에 위치한 차량의 속도가 빠르며, 상기 전방에 위치한 차량에 인접한 주행차선의 설정영역 내에 다른 차량이 존재하고, 상기 전방에 위치한 차량의 속도가 상기 다른 차량의 속도보다 빠르며, 상기 전방에 위치한 차량의 속도가 상기 구간의 법정속도보다 빠르면, 상기 2개의 차량에 위험요인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주행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2개의 차량에 상기 법정속도로의 감속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주행 안내 정보 제공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요인이 있는 차량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하나의 차선이 추월차선이고, 상기 2개의 차량 중 전방에 위치한 차량의 속도보다 후방에 위치한 차량의 속도가 빠르며, 상기 전방에 위치한 차량에 인접한 주행차선의 설정영역 내에 다른 차량이 존재하고, 상기 전방에 위치한 차량의 속도가 상기 다른 차량의 속도보다 빠르며, 상기 전방에 위치한 차량의 속도가 상기 구간의 법정속도보다 느리면, 상기 2개의 차량에 위험요인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주행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전방에 위치한 차량에 상기 법정속도로의 가속 안내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후방에 위치한 차량에 상기 전방에 위치한 차량의 속도에 대응하는 안전거리 유지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주행 안내 정보 제공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요인이 있는 차량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하나의 차선이 추월차선이고, 상기 2개의 차량 중 전방에 위치한 차량의 속도보다 후방에 위치한 차량의 속도가 빠르며, 상기 전방에 위치한 차량에 인접한 주행차선의 설정영역 내에 다른 차량이 존재하고, 상기 전방에 위치한 차량의 속도가 상기 다른 차량의 속도보다 빠르지 않으면, 상기 전방에 위치한 차량에 위험요인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주행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전방에 위치한 차량에 상기 주행차선으로의 차선 변경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주행 안내 정보 제공 방법.
KR1020160161606A 2016-11-30 2016-11-30 차량 주행 안내 정보 제공 방법 KR201800619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606A KR20180061901A (ko) 2016-11-30 2016-11-30 차량 주행 안내 정보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606A KR20180061901A (ko) 2016-11-30 2016-11-30 차량 주행 안내 정보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1901A true KR20180061901A (ko) 2018-06-08

Family

ID=62600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1606A KR20180061901A (ko) 2016-11-30 2016-11-30 차량 주행 안내 정보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190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5079B1 (ko) * 2018-11-23 2019-07-29 미성엠프로 주식회사 도로 터널에서의 통신설비 인프라를 이용한 과속 방지 장치 및 시스템
KR102244241B1 (ko) * 2020-10-28 2021-04-26 주식회사 예향엔지니어링 도로의 교통 혼잡 방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CN115662186A (zh) * 2022-10-13 2023-01-31 安徽信息工程学院 基于人工智能的车辆避障方法以及系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5079B1 (ko) * 2018-11-23 2019-07-29 미성엠프로 주식회사 도로 터널에서의 통신설비 인프라를 이용한 과속 방지 장치 및 시스템
KR102244241B1 (ko) * 2020-10-28 2021-04-26 주식회사 예향엔지니어링 도로의 교통 혼잡 방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CN115662186A (zh) * 2022-10-13 2023-01-31 安徽信息工程学院 基于人工智能的车辆避障方法以及系统
CN115662186B (zh) * 2022-10-13 2023-09-15 安徽信息工程学院 基于人工智能的车辆避障方法以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72847B2 (ja) 自動運転システム
JP5263312B2 (ja) 渋滞判定装置、及び車両制御装置
US9514642B2 (en) Method for detecting traffic jams using a wireless vehicle to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KR101709088B1 (ko) 고속화도로 교통사고다발구간을 포함한 위험구간 돌발상황 대응을 위한 연속류 고속화도로 위험상황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6414221B2 (ja) 車両の走行制御装置及び方法
JP6693548B2 (ja) 運転支援装置
JP6565480B2 (ja) 運転支援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運転支援システム
CN109624961B (zh) 一种车辆的驾驶方法及系统
JP2016200931A (ja) 運転支援装置および運転支援方法
JP5141783B2 (ja) 運転支援装置、車両及び車両運転支援方法
JP2009230377A (ja) 車両用運転支援装置
JP7185408B2 (ja) 車両制御装置
JP2009173093A (ja) 車両運転支援システム、運転支援装置、車両及び車両運転支援方法
WO2019189216A1 (ja) 交通監視装置、交通監視システム、交通監視方法及びプログラムが格納された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JP3572977B2 (ja) 車両用走行制御装置
JP5088127B2 (ja) 車載警報装置及び車両用警報方法
JP6326968B2 (ja) 運転支援システム及び運転支援方法
KR20180061901A (ko) 차량 주행 안내 정보 제공 방법
CN112017438B (zh) 一种行车决策生成方法及系统
JP3882541B2 (ja) 運転者将来状況予測装置
KR20140066301A (ko) 차선 변경 차량과 충돌 사고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271554B (zh) 用于车辆的驾驶辅助系统和方法
US11361687B2 (en) Advertisement display device, vehicle, and advertisement display method
KR101241516B1 (ko) 차량간 통신을 이용한 톨게이트 최적 통과 경로 안내 시스템
JP5936258B2 (ja) 運転支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