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0538A - Gi지수를 낮춘 쌀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Gi지수를 낮춘 쌀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0538A
KR20180060538A KR1020160160115A KR20160160115A KR20180060538A KR 20180060538 A KR20180060538 A KR 20180060538A KR 1020160160115 A KR1020160160115 A KR 1020160160115A KR 20160160115 A KR20160160115 A KR 20160160115A KR 20180060538 A KR20180060538 A KR 201800605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chamber
control unit
pressure steam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0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6122B1 (ko
Inventor
최옥창
Original Assignee
최옥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옥창 filed Critical 최옥창
Priority to KR1020160160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6122B1/ko
Publication of KR20180060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0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6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6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8Dry unshaped finely divided cereal produ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7/117 - A23L7/196 and A23L29/00, e.g. meal, flour, powder, dried cereal creams or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자 및 후숙이 된 벼를 증자챔버 내에서 1차 건조시켜 벼에 남아 있는 수분을 줄인 다음, 2차로 규격이 작은 건조기에서 빠른 건조과정을 거치도록 함으로써 쌀의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GI지수를 낮춘 쌀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드럼형태의 증자챔버와, 상기 증자챔버를 감압시키는 감압장치와, 상기 증자챔버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다수의 분사 노즐이 구비된 고압수증기 공급관과, 상기 고압수증기 공급관에 일측 단부에 연결되어 고압수증기를 공급하는 보일러와, 상기 고압수증기 공급관 상에 설치되는 교반수단을 포함하는 증자 및 후숙장치와, 후숙이 완료된 벼를 공급받아 건조시키는 건조기와, 상기 건조가 완료된 벼를 도정하는 도정기와,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압수증기 공급관과 보일러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제1 전자밸브와, 상기 증자챔버의 타측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제2 전자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배기관과, 상기 증자챔버의 외측 둘레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전기의 공급을 통해 증자챔버의 외측 둘레를 가열하는 간접 히팅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GI지수를 낮춘 쌀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MANUFACTUR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RICE HAVING LOW GI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MANUFACTURING RICE HAVING LOW GI}
본 발명은 GI지수를 낮춘 쌀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증자 및 후숙이 된 벼를 증자챔버 내에서 1차 건조시켜 벼에 남아 있는 수분을 줄인 다음, 2차로 규격이 작은 건조기에서 빠른 건조과정을 거치도록 함으로써 쌀의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GI지수를 낮춘 쌀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에너지, 포화지방산, 콜레스테롤, 동물성 단백질 및 과다한 지방섭취 등에 관한 것 외에 당질의 총섭취량이나 당질의 종류가 혈당을 조절하는데 큰 영향을 미쳐, 식품의 종류나 섭취 형태가 당뇨병 예방과 치료에 중요한 요소로 보고되고 있다.
인체 내에서의 혈당반응은 식품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 일반적으로 같은 양의 탄수화물 식품을 섭취하더라도 서로 다른 속도로 소화/흡수되며, 이러한 혈당지수(glycemic index)의 개념이 1981년에 Jenkins에 의해 처음 도입된 이후, 혈당지수가 55 이하인 저혈당지수 식품의 섭취는 혈당과 관련된 지표들의 개선에 도움을 준다고 알려졌다.
또한, 높은 혈당지수의 식사를 낮은 혈당지수의 식사로 교체 하는 것은 제2형 당뇨병 환자에게서 2차적인 혈관합병증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당뇨병 예방과 치료에 혈당지수가 중요한 연관성이 있다는 것이 보고 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쌀은 섭취후 소화기관에서 소화될 때, 탄수화물의 당화 과정에 의해 GI지수가 84 이상이 되므로, 장기간 섭취시 대사 증후군(특히 당뇨병)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대사 증후군의 예방을 위해 통곡식인 귀리, 조, 수수, 율무 등을 쌀과 혼합하여 밥을 지어 먹는 것이 일반적으로 추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곡물의 혼합은 GI지수를 낮춰주는 역할을 하지만, 밥맛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소화 기능이 약한 사람에게는 치명적인 다른 질병을 유발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90030호는 취반시 검류를 첨가하여 밥을 제조함으로써 밥의 소화속도를 조절하여 혈액 내 포도당의 함량이 증가하는 속도를 늦추거나 가속화시켜 섭취시 혈당 조절이 가능한 밥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은 밥을 지을 때 검류를 따로 첨가하여야 하므로 번거로우며, 검류로 인하여 밥맛이 부자연스러워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원 출원인은 상기 특허건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도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48168호(GI지수를 낮춘 쌀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제조시스템)를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그러나 이건 또한 제조장치가 벼를 증자하고 건조하는 2단계의 각각의 과정을 별도로 수행함에 따라 제조시간이 오래 걸리고 제조생산량이 적은 문제점를 전부 해결하지는 못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48168호"GI지수를 낮춘 쌀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제조시스템"(2016.08.08.등록)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증자챔버에서 벼를 증자시킬 때 발생되는 수증기를 간접 히팅수단을 통해 가열시켜 증발공기를 바로 배출시킴으로써, 증자챔버 내에서 증자 및 후숙을 마친 벼에 남아 있는 수분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GI지수를 낮춘 쌀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증자챔버 내에서 수증기의 수분증발과정을 거치는 1차 건조과정에서 미증발된 수증기를 냉각공기로 냉각시켜 증류수를 바로 배출함으로써, 증자챔버내의 벼에 남아 있는 수분을 현저하게 좀 더 줄일 수 있도록 하는 GI지수를 낮춘 쌀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GI지수를 낮춘 쌀의 제조장치"는 드럼형태의 증자챔버와, 상기 증자챔버를 감압시키는 감압장치와, 상기 증자챔버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다수의 분사 노즐이 구비된 고압수증기 공급관과, 상기 고압수증기 공급관에 일측 단부에 연결되어 고압수증기를 공급하는 보일러와, 상기 고압수증기 공급관 상에 설치되는 교반수단을 포함하는 증자 및 후숙장치와, 후숙이 완료된 벼를 공급받아 건조시키는 건조기와, 상기 건조가 완료된 벼를 도정하는 도정기와,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압수증기 공급관과 보일러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제1 전자밸브와, 상기 증자챔버의 타측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제2 전자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배기관과, 상기 증자챔버의 외측 둘레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전기의 공급을 통해 증자챔버의 외측 둘레를 가열하는 간접 히팅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GI지수를 낮춘 쌀의 제조장치"의 상기 간접 히팅수단은 상기 증자챔버의 외측 둘레에 형성된 가열챔버와, 상기 가열챔버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증자챔버의 외측면을 가열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전기의 공급을 통해 열을 방출하는 열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GI지수를 낮춘 쌀의 제조장치"는 상기 고압수증기 공급관의 타측 단부에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냉풍 공급수단이 더 연결되고, 상기 냉풍 공급수단과 고압수증기 공급관의 사이에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제3 전자밸브가 더 구비되며, 상기 증자챔버의 하부에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제4 전자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드레인관(8)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GI지수를 낮춘 쌀의 제조방법"은 교반수단, 고압수증기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구비한 증자챔버에 벼를 투입하는 벼 투입단계와; 증자챔버 내부를 감압시키는 감압단계와; 증자챔버에 고압수증기를 공급하여 예열시키는 증자챔버 예열단계와; 증자챔버의 내부로 고압수증기를 분사하고 벼를 교반하면서 설정된 시간동안 벼를 증자시키는 벼 증자단계와; 고압수증기 공급 및 교반을 중단한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을 경과시켜 증자된 벼를 후숙시키는 벼 후숙단계와; 후숙이 완료된 상태에서 증자챔버에 구비된 배기관을 개방하고 증자챔버의 외측 둘레를 가열하여 증자챔버내의 수증기와 증발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키는 1차 건조단계와; 상기 1차 건조가 완료된 벼를 건조기로 옮겨서 2차 건조시키는 2차 건조단계와; 상기 건조된 벼를 도정하여 미강부를 제거하는 도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GI지수를 낮춘 쌀의 제조방법"의 상기 1차 건조단계를 진행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증자챔버의 하부에 구비된 드레인관을 개방하고 증자챔버의 내부로 외기인 냉각공기를 분사하여 미증발된 수증기를 냉각시켜 증류수를 상기 드레인관으로 더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쌀의 제조시 증자 및 후숙과정 후 증자챔버에서 1차로 수증기의 수분증발과정을 거치도록 하여 벼에 남아 있는 수분을 줄인 다음, 2차로 규격이 작은 건조기에서 빠른 건조과정을 거치도록 함으로써, 쌀의 제조시간을 단축시켜 쌀의 제조생산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증자챔버 내에서 수증기의 수분증발과정을 거치는 1차 건조과정에서 미증발된 수증기를 냉각공기로 냉각시켜 증류수를 바로 배출함으로써, 증자챔버 내의 벼에 남아 있는 수분을 현저하게 좀 더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분이 줄어든 벼를 규격 및 가격이 적은 소형의 건조기로 이동하여 건조시킴으로써 건조 로테이션을 빨리 가져가도록 함으로써 제조 생산량을 최대화 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쌀의 제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쌀의 제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쌀의 제조장치는 드럼형태의 증자챔버(1)와, 상기 증자챔버(1)를 감압시키는 감압장치(13)와, 상기 증자챔버(1)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다수의 분사 노즐이 구비된 고압수증기 공급관(14)과, 상기 고압수증기 공급관(14)에 일측 단부에 연결되어 고압수증기를 공급하는 보일러(2)와, 상기 고압수증기 공급관(14) 상에 설치되는 교반수단(31)을 포함하는 증자 및 후숙장치(3)와, 상기 후숙이 완료된 벼를 공급받아 건조시키는 건조기(4)와, 상기 건조가 완료된 벼를 도정하는 공지된 도정기(미도시됨)와,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됨),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쌀의 제조장치는 상기 고압수증기 공급관(14)과 보일러(2)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제1 전자밸브(V1)와, 상기 증자챔버(1)의 타측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제2 전자밸브(V2)에 의해 개폐되는 배기관(5)과, 상기 증자챔버(1)의 외측 둘레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전기의 공급을 통해 증자챔버(1)의 외측 둘레를 가열하는 간접 히팅수단(6)을 더 포함한다.
상기 증자챔버(1)는 드럼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일측 상부에는 수동으로 개폐되는 벼 투입 개폐구(11)가 구비되고, 타측 하부에는 수동으로 개폐되는 벼 배출 개폐구(12)가 구비되며, 증자챔버(1)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수단(미도시됨) 및 증자챔버(1)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측정수단(미도시됨)을 가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증자챔버(1)에는 챔버 내부를 일정한 압력으로 유지하기 위해 공지된 릴리프 밸브(미도시됨)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사노즐(15)은 보일러(2)에서 공급되는 고압 수증기를 상기 증자챔버(1)의 내부에 분사시키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교반수단(31)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교반날개(311)가 회전하면서 벼를 교반할 수 있는 일반적인 형태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교반은 순방향 및 역방향으로 차례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건조기(4)는 규격이 적고 가격이 적는 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상기 후숙이 완료된 벼를 공급받아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교반할 수 있는 스크류 컨베이어(411)가 내장된 건조챔버(41)와, 상기 건조챔버(41)의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 공급장치(42)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열풍 공급장치(42)는 열풍을 공급시킬 수 있는 일반적인 형태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간접 히팅수단(6)은 증자챔버(1)의 외측을 가열할 수 있도록, 상기 증자챔버(1)의 외측 둘레에 형성된 가열챔버(61)와, 상기 가열챔버(61)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증자챔버(1)의 외측면을 가열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전기의 공급을 통해 열을 방출하는 열선(62)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열을 방출하는 열선(62)은 가열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증자챔버(1)의 외주면에 코일 형상으로 감겨지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에서는 증자챔버(1) 내에서 증자가 완료되면 상기 보일러(2)를 정지시키고 상기 제1 전자밸브(V1)를 닫아 고압수증기의 공급을 차단하여 설정된 시간동안 후숙을 진행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와 같이 증자챔버(1)에서 벼의 후숙이 완료되면 상기 제2 전자밸브(V2)를 개방한 다음 설정된 시간동안 간접 히팅수단(6)을 작동시켜 증자챔버(1) 내의 수증기를 열로 증발시켜 상기 배기관(5)을 통해 수증기와 증발공기를 함께 배출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쌀의 제조장치는 상기 고압수증기 공급관(14)의 타측 단부에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냉풍 공급수단(7)이 더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냉풍 공급수단(7)과 고압수증기 공급관(14)의 사이에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제3 전자밸브(V3)가 더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증자챔버(1)의 하부에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제4 전자밸브(V4)에 의해 개폐되는 드레인관(8)이 더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냉풍 공급수단(7)은 외부의 공기를 상기 고압수증기 공급관(14)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송풍기(71)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에서는 간접 히팅수단(6)을 작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제3 전자밸브(V3)와 제4 전자밸브(V4)를 개방하고 상기 냉풍 공급수단(7)을 작동시켜 증자챔버(1)의 내부로 외기를 더 공급하여 미증발된 수증기를 냉각시켜 상기 드레인관(8)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냉풍 공급수단(7)에서 공급된 외기는 타측이 상기 제1 전자밸브(V1)로 막혀 있는 고압수증기 공급관(14)의 내부로 공급되어 고압수증기 공급관(14)에 다수로 구비된 분사노즐(15)을 통해 증자챔버(1)의 내부로 분사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GI지수를 낮춘 쌀의 제조방법을 설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쌀의 제조방법은 상술한 쌀의 제조장치를 사용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쌀의 제조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쌀의 제조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의 쌀의 제조장치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쌀의 제조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교반수단(31), 고압수증기를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노즐(15)을 구비한 증자챔버(1)에 벼를 투입하는 벼 투입단계를 진행한다. 즉, 상기 벼를 투입단계에서는 상기 증자챔버(1)의 일측 상부에 구비된 벼 투입 개폐구(11)를 수동으로 개방하여 벼를 투입한 다음, 벼 투입 개폐구(11)를 닫는 과정을 통해 벼를 투입하는 것이다.
다음, 증자챔버(1) 내부를 감압시키는 감압단계를 진행한다. 즉, 상기 감압단계는 벼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증발시키기 위한 과정으로, 증자챔버(1)의 내부를 500~700mmHg로 감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감압단계를 통하여 수분이 증발된 벼의 수분은 약 10~13중량%로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증자챔버(1)에 고압수증기를 공급하여 예열시키는 증자챔버 예열단계를 진행한다.
다음, 증자챔버(1)의 내부로 고압수증기를 분사하고 벼를 교반하면서 설정된 시간동안 벼를 증자시키는 벼 증자단계를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벼 증자단계에서는 증자챔버(1)의 내부 온도가100~135℃, 내부압력이 1~1.7kg/cm2가 유지되도록 고압수증기를 분사하고 벼를 교반하면서 15~32분간 증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벼 증자단계에서 증자챔버(1)의 내부온도는 115~129℃로 유지하고, 압력은 1.2~1.5kg/cm2로 유지하며, 증자시간은 20~27분간 증자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벼 증자단계에서는 교반기의 회전속도는 50~70RPM, 더욱 바람직하게는 60RPM일 수 있다.
다음, 고압수증기 공급 및 교반을 중단한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을 경과시켜 증자된 벼를 후숙시키는 벼 후숙단계를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벼 후숙단계는 5~20분간 진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벼 후숙단계는 10~15분으로 수행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음, 후숙이 완료된 상태에서 증자챔버(1)에 구비된 배기관(5)을 개방하고 증자챔버(1)의 외측 둘레를 가열하여 증자챔버(1)내의 수증기와 증발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키는 1차 건조단계를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1차 건조단계는 1 ~ 5분간 진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1차 건조단계를 진행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증자챔버(1)의 하부에 구비된 드레인관(8)을 개방하고 증자챔버(1)의 내부로 외기인 냉각공기를 분사하여 증발이 되지 않은 미증발 수증기를 냉각시켜 증류수를 상기 드레인관(8)으로 더 배출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증자챔버 내에서 수증기의 수분증발과정을 거치는 1차 건조과정에서 미증발된 수증기를 냉각공기로 냉각시켜 증류수를 바로 배출함으로써, 증자챔버 내의 벼에 남아 있는 수분을 좀 더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다음, 상기 1차 건조가 완료된 벼를 건조기(4)로 옮겨서 2차 건조시키는 2차 건조단계를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2차 건조단계에서는 벼의 수분함유량이 10~14중량%가 되도록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2차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벼의 수분함유량은 12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음, 상기 건조된 벼를 도정하여 미강부를 제거하는 도정단계를 진행함으로써, GI지수를 낮춘 쌀의 제조하는 것이다.
이하에서, 실시예1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1은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의 실시예1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수정, 변경될 수 있다.
<실시예1: GI지수를 낮춘 쌀의 제조>
도 1에 도시된 장치를 사용하여 GI지수를 낮춘 쌀을 제조하였다. 먼저, 벼 투입 개폐구(11)을 통하여 벼 100 Kg을 증자챔버(1)에 넣었다.
증자챔버(1)에 연결된 감압장치(13)를 작동시켜 증자챔버(1)를 600mmHg로 감압시켰다. 보일러(2)를 가동하여 고압수증기 공급관(14)에 고압수증기를 공급하고 분사노즐(15)을 통하여 증자챔버(1) 내부로 고압수증기를 5분간 서서히 공급하여 장치를 예열하였다.
증자챔버(1)의 내부 온도가 120℃, 증자챔버(1)의 내부압력이 1.3kg/cm2로 유지되도록 고압수증기를 분사하고, 교반기를 60 RPM으로 회전시켜서 벼를 교반하면서 24분간 벼를 증자시켰다.
상기 증자가 완료 후, 고압수증기의 공급을 중단하고, 교반수단의 운전을 중단한 상태에서 12분간 후숙시켰다.
상기 후숙이 완료된 후, 증자챔버(1)에 구비된 배기관(5)을 개방하고 증자챔버(1)의 외측 둘레를 3분간 가열하여 증자챔버(1)내의 수증기와 증발공기를 외부로 배기시켜 1차 건조단계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상기 1차 건조단계를 진행하는 동안 증자챔버(1)의 하부에 구비된 드레인관(8)을 개방하고 증자챔버(1)의 내부로 외기인 냉각공기를 분사하여 증발이 되지 않은 미증발 수증기를 냉각시켜 증류수를 상기 드레인관(8)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켰다.
상기 1차 건조가 완료된 벼를 증자챔버(1)의 벼 배출 개폐구(12)를 통하여 건조기(4)로 옮겼다. 건조기(4)에 설치된 스크류 컨베이어(411)에 의해 벼를 이동시키면서 열풍 공급장치(42)로부터 50℃의 열풍을 공급하여 수분함유량이 12중량%가되도록 벼를 건조시켰다.
상기에서 제조된 벼를 도정하여 미강부를 제거하여 백미로 가공하고, 가공된 백미의 GI(Glycemic index) 지수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상기와 같은 증자 및 후숙과정을 거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GI(Glycemic index) 비교
대조군 84 고혈당
실시예1에서 제조된 쌀 40 저혈당
상기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가공된 쌀은 GI(Glycemic index) 지수가 현저히 낮아지므로, 고유의 밥맛을 유지하면서도 대사 증후군(특히, 당료병)의 예방 및 치료에 우수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쌀의 제조방벙은, 쌀의 제조시 증자 및 후숙단계 후 증자챔버(1)에서 1차로 수증기의 수분증발과정인 1차 건조 단계를 거치도록 하여 벼에 남아 있는 수분을 줄인 다음, 상기 건조기(4)를 통해 2차 건조단계를 진행함에 따라, 규격이 작은 건조기(4)에서 빠른 건조과정을 거치도록 함으로써, 쌀의 제조시간을 단축시켜 쌀의 제조생산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증자챔버
11 : 벼 투입 개폐구, 12 : 벼 배출 개폐구
13 : 감압장치, 14 : 고압수증기 공급관
15 : 분사노즐
2 : 보일러
3 : 증자 및 후숙장치
31 : 교반수단, 311 : 교반날개
4 : 건조기
41 : 건조챔버, 411 : 스크류 컨베이어
42 : 열풍 공급장치
5 : 배기관
6 : 간접 히팅수단
61 : 가열챔버, 62 : 열선
7 : 냉풍 공급수단
71 : 송풍기
8 : 드레인관
V1 ~ V4 : 제1 ~ 제4 전자밸브

Claims (9)

  1. 드럼형태의 증자챔버(1)와, 상기 증자챔버(1)를 감압시키는 감압장치(13)와, 상기 증자챔버(1)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다수의 분사노즐(15)이 구비된 고압수증기 공급관(14)과, 상기 고압수증기 공급관(14)에 일측 단부에 연결되어 고압수증기를 공급하는 보일러(2)와, 상기 고압수증기 공급관(14) 상에 설치되는 교반수단(31)을 포함하는 증자 및 후숙장치(3)와, 상기 후숙이 완료된 벼를 공급받아 건조시키는 건조기(4)와, 상기 건조가 완료된 벼를 도정하는 도정기와,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압수증기 공급관(14)과 보일러(2)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제1 전자밸브(V1)와,
    상기 증자챔버(1)의 타측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제2 전자밸브(V2)에 의해 개폐되는 배기관(5)과,
    상기 증자챔버(1)의 외측 둘레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전기의 공급을 통해 증자챔버(1)의 외측 둘레를 가열하는 간접 히팅수단(6),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지수를 낮춘 쌀의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접 히팅수단(6)은
    상기 증자챔버(1)의 외측 둘레에 형성된 가열챔버(61)와,
    상기 가열챔버(61)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증자챔버(1)의 외측면을 가열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전기의 공급을 통해 열을 방출하는 열선(6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지수를 낮춘 쌀의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4)는
    후숙이 완료된 벼를 공급받아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교반할 수 있는 스크류 컨베이어(411)가 내장된 건조챔버(41)와,
    상기 건조챔버(41)의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 공급장치(4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지수를 낮춘 쌀의 제조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증자챔버(1) 내에서 증자가 완료되면 상기 보일러(2)를 정지시키고 상기 제1 전자밸브(V1)를 닫아 고압수증기의 공급을 차단하여 설정된 시간동안 후숙을 진행하게 하고,
    상기 증자챔버(1)에서 벼의 후숙이 완료되면 상기 제2 전자밸브(V2)를 개방한 다음 설정된 시간동안 간접 히팅수단(6)을 작동시켜 증자챔버(1) 내의 수증기를 열로 증발시켜 상기 배기관(5)을 통해 수증기와 증발공기를 함께 배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지수를 낮춘 쌀의 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쌀 제조장치는
    상기 고압수증기 공급관(14)의 타측 단부에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냉풍 공급수단(7)이 더 연결되고,
    상기 냉풍 공급수단(7)과 고압수증기 공급관(14)의 사이에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제3 전자밸브(V3)가 더 구비되며,
    상기 증자챔버(1)의 하부에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제4 전자밸브(V4)에 의해 개폐되는 드레인관(8)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지수를 낮춘 쌀의 제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냉풍 공급수단(7)은
    외부 공기를 상기 고압수증기 공급관(14)으로 공급하는 송풍기(71)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지수를 낮춘 쌀의 제조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간접 히팅수단(6)을 작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제3 전자밸브(V3)와 제4 전자밸브(V4)를 개방하고 상기 냉풍 공급수단(7)을 작동시켜 증자챔버(1)의 내부로 외기를 더 공급하여 미증발된 수증기를 냉각시켜 증류수를 상기 드레인관(8)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지수를 낮춘 쌀의 제조장치.
  8. 교반수단, 고압수증기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구비한 증자챔버에 벼를 투입하는 벼 투입단계와;
    증자챔버 내부를 감압시키는 감압단계와;
    증자챔버 에 고압수증기를 공급하여 예열시키는 증자챔버 예열단계와;
    증자챔버의 내부로 고압수증기를 분사하고 벼를 교반하면서 설정된 시간동안 벼를 증자시키는 벼 증자단계와;
    고압수증기 공급 및 교반을 중단한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을 경과시켜 증자된 벼를 후숙시키는 벼 후숙단계와;
    후숙이 완료된 상태에서 증자챔버에 구비된 배기관을 개방하고 증자챔버의 외측 둘레를 가열하여 증자챔버내의 수증기와 증발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키는 1차 건조단계와;
    상기 1차 건조가 완료된 벼를 건조기로 옮겨서 2차 건조시키는 2차 건조단계와;
    상기 건조된 벼를 도정하여 미강부를 제거하는 도정단계를 포함하는 GI지수를 낮춘 쌀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건조단계를 진행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증자챔버의 하부에 구비된 드레인관을 개방하고 증자챔버의 내부로 외기인 냉각공기를 분사하여 미증발된 수증기를 냉각시켜 증류수를 상기 드레인관(8)으로 더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지수를 낮춘 쌀의 제조방법.
KR1020160160115A 2016-11-29 2016-11-29 Gi지수를 낮춘 쌀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946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115A KR101946122B1 (ko) 2016-11-29 2016-11-29 Gi지수를 낮춘 쌀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115A KR101946122B1 (ko) 2016-11-29 2016-11-29 Gi지수를 낮춘 쌀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0538A true KR20180060538A (ko) 2018-06-07
KR101946122B1 KR101946122B1 (ko) 2019-02-08

Family

ID=62621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0115A KR101946122B1 (ko) 2016-11-29 2016-11-29 Gi지수를 낮춘 쌀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612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4122B1 (ko) * 2019-02-26 2019-10-01 한경우 Gi 저감 쌀의 제조장치
KR102090064B1 (ko) * 2019-08-19 2020-03-17 이성봉 향상된 건조저장시설을 갖는 미곡 처리설비
KR102091425B1 (ko) * 2019-08-19 2020-03-20 이성봉 영양미 생산을 위한 시설을 갖는 미곡 처리설비
KR102117195B1 (ko) * 2019-07-18 2020-05-29 한경우 Gi 저감 쌀의 제조장치
KR102160110B1 (ko) * 2020-01-29 2020-09-25 주식회사 태환자동화산업 곡물 증숙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3379A (ko) * 2004-01-09 2005-07-13 주식회사 네오바이오 기능성 쌀의 제조시스템
JP2008220221A (ja) * 2007-03-09 2008-09-25 Satake Corp パーボイル米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方法によって製造されたパーボイル米
KR101294602B1 (ko) * 2011-08-05 2013-08-0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푸르메 연화 현미 제조장치 및 그를 이용한 연화현미의 제조방법
KR101328450B1 (ko) * 2011-08-01 2013-11-14 이민성 현미의 제조장치
KR101487539B1 (ko) * 2012-12-26 2015-01-2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곡물 증숙 건조 일관 제조장치
KR101648168B1 (ko) 2014-09-18 2016-08-16 최옥창 Gi지수를 낮춘 쌀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제조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3379A (ko) * 2004-01-09 2005-07-13 주식회사 네오바이오 기능성 쌀의 제조시스템
JP2008220221A (ja) * 2007-03-09 2008-09-25 Satake Corp パーボイル米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方法によって製造されたパーボイル米
KR101328450B1 (ko) * 2011-08-01 2013-11-14 이민성 현미의 제조장치
KR101294602B1 (ko) * 2011-08-05 2013-08-0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푸르메 연화 현미 제조장치 및 그를 이용한 연화현미의 제조방법
KR101487539B1 (ko) * 2012-12-26 2015-01-2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곡물 증숙 건조 일관 제조장치
KR101648168B1 (ko) 2014-09-18 2016-08-16 최옥창 Gi지수를 낮춘 쌀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제조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4122B1 (ko) * 2019-02-26 2019-10-01 한경우 Gi 저감 쌀의 제조장치
KR102117195B1 (ko) * 2019-07-18 2020-05-29 한경우 Gi 저감 쌀의 제조장치
KR102090064B1 (ko) * 2019-08-19 2020-03-17 이성봉 향상된 건조저장시설을 갖는 미곡 처리설비
KR102091425B1 (ko) * 2019-08-19 2020-03-20 이성봉 영양미 생산을 위한 시설을 갖는 미곡 처리설비
KR102160110B1 (ko) * 2020-01-29 2020-09-25 주식회사 태환자동화산업 곡물 증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6122B1 (ko) 2019-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6122B1 (ko) Gi지수를 낮춘 쌀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648168B1 (ko) Gi지수를 낮춘 쌀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제조시스템
CN102423087B (zh) 一种即食松脆脱水鱼丸的负压微波分段联合干燥制作方法
CN107692189A (zh) 一种香菇粉挤压膨化加工方法及加工设备
CN112167678A (zh) 大豆低温脱皮工艺
US20080286435A1 (en) Grain or legume having increased content of functional component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6085758A (zh) 一种真空冷冻干燥蛋花米酒的加工方法
CN108514339A (zh) 一种多味鲜玉米单传动式蒸烤装置
CN105076966A (zh) 一种纯物理手段制备速煮糙米的方法
KR100947743B1 (ko) 압출성형 떡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압출성형 떡 제조방법
CN101352194B (zh) 一种红枣茶及其制备方法
KR20160082647A (ko) 식품 살균장치
CN208490775U (zh) 一种香菇粉挤压膨化加工设备
CN109619605B (zh) 一种红枣真空脉动红外去皮装置及方法
CN110800929A (zh) 一种高活性快熟杂粮营养米
RU2200429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хлопьев из злаковых и бобовых культур
CN102177972A (zh) 新型豆浆制备工艺
WO2021039974A1 (ja) 焙煎カカオ豆、および生カカオ豆の焙煎方法
KR100546033B1 (ko) 현미 연속살균과 백미 혼합 장치 및 방법
CN111543592A (zh) 一种红豆预熟化处理方法
KR101806285B1 (ko) 목이버섯의 함유량과 멸균력을 높여 건강 기능성 및 유통기한을 향상시킨 목이버섯 김의 제조방법
JP2005506848A (ja) 穀物の予備調理方法および穀物の予備調理装置
CN108633953A (zh) 一种薏苡雪米饼及其制备方法
RU2537541C1 (ru) Способ микронизации фуражного зерна
CN108236090A (zh) 一种微波膨化制备山楂脆片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