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0064B1 - 향상된 건조저장시설을 갖는 미곡 처리설비 - Google Patents

향상된 건조저장시설을 갖는 미곡 처리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0064B1
KR102090064B1 KR1020190101023A KR20190101023A KR102090064B1 KR 102090064 B1 KR102090064 B1 KR 102090064B1 KR 1020190101023 A KR1020190101023 A KR 1020190101023A KR 20190101023 A KR20190101023 A KR 20190101023A KR 102090064 B1 KR102090064 B1 KR 102090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rice
grains
hopper
sil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1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봉
이창승
Original Assignee
이성봉
이창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봉, 이창승 filed Critical 이성봉
Priority to KR1020190101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00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0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0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08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02Preserving by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4Anti-slip materials; Abrasives
    • C09K3/149Antislip compos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1/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 F26B11/1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stationary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with moving stirring devices
    • F26B11/14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stationary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with moving stirring devices the stirring device moving in a horizontal or slightly-inclined pl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1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arry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with it
    • F26B3/1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arry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with it in the form of a spray, i.e. sprayed or dispersed emulsions or susp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향상된 건조저장시설을 갖는 미곡 처리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탈곡이 완료된 미곡을 반입하되 반입한 미곡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이물질제거장치와 미곡의 건조 처리를 위한 건조기 및 미곡의 저장을 위한 저장부를 포함하는 반입건조부와, 미곡으로부터 왕겨를 벗겨내되 배아층과 호분층이 모두 보존된 상태의 현미를 얻기 위한 현미가공부와, 현미로부터 미강을 벗겨내 백미로 가공하기 위한 백미가공부, 및 포장 처리하는 포장부를 포함하는 미곡 처리설비에 있어서, 상기 반입건조부 측 이물질제거장치는, 상기 탈곡이 완료된 미곡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호퍼; 상기 투입호퍼로부터 미곡을 공급받아 검불이나 지푸라기를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미곡의 배출이 가능한 타공을 갖는 원형 망체로 구비하되 하향 경사 배치되며, 유입부 측 상면에 통풍구가 형성되고 유출부 측 하면에 배출구가 형성된 선별드럼; 상기 선별드럼의 상측에 설치되고, 통풍구를 통해 하향 경사지는 방향으로 송풍을 공급하기 위한 선별브로워; 상기 선별드럼의 이물배출구에 연결되어 미곡과 분리되는 검불이나 지푸라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검불배출덕트; 상기 선별드럼의 하측에 배치되고, 타공을 통해 배출되는 미곡를 하측 방향으로 유도하는 재투입호퍼; 상기 재투입호퍼의 하측에 위치하여 하향 경사 배치되고, 미곡의 알갱이보다 작은 입자의 이물질을 하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크기의 타공을 갖는 선별판; 상기 선별판에 진동에 의한 떨림을 제공하여 미곡과 이물질의 선별력을 높이기 위한 진동제공수단; 상기 선별판의 하향 경사 끝단부에 연결되어 선별된 미곡를 배출하기 위한 선별된 미곡 배출덕트; 상기 선별판의 하측에 위치하여 미곡과 분리되는 이물질을 이송 배출하기 위한 이물배출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탈곡이 완료된 미곡을 반입하여 도정 처리함에 있어 도정을 위한 시작단계인 미곡의 반입과 건조 및 저장시 기존에 비해 처리능력 및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양질의 미곡으로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향상된 건조저장시설을 갖는 미곡 처리설비{RICE PROCESSING EQUIPMENT HAVING DRYING STROAGE COMPLEX IMPROVED}
본 발명은 미곡(米穀)의 반입과 건조 및 저장은 물론 도정 작업을 위한 미곡 처리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탈곡이 완료된 미곡의 반입과 건조 및 저장에 따른 처리능력 및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양질의 미곡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한 향상된 건조저장시설을 갖는 미곡 처리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가에서 재배되어 수확된 미곡들은 대부분이 미곡종합처리장(米穀綜合處理場, Rice Processing Complex)에 반입되고 도정 작업을 거쳐 미곡(쌀) 처리된 후 유통된다.
상기 미곡종합처리장은 미곡을 산물형태로 반입한 후 가공하여 미곡(쌀) 제품으로 출하하는 공정을 위해 일관된 작업이 가능하도록 기계화 또는 자동화된 시설을 갖춘 곳으로서, 미곡을 반입한 후 이를 건조 및 저장하기 위한 건조저장시설과 미곡을 도정 및 가공하기 위한 도정처리시설 등이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미곡종합처리장에서는 반입하는 미곡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고 이물질이 제거된 미곡을 건조 및 저장하기 위한 반입건조부와, 미곡으로부터 왕겨를 벗겨내되 배아층과 호분층이 모두 보존된 상태의 현미를 얻기 위한 현미가공부와, 현미로부터 미강을 벗겨내 백미로 가공하기 위한 백미가공부, 및 포장 처리하는 포장부를 포함하는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이를 통해 미곡을 도정 처리 및 가공하기 위한 다수의 공정을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 미곡종합처리장 등지에서 사용되고 있는 미곡 처리설비로서는 탈곡이 완료된 미곡의 반입과 건조 및 저장을 위한 단계에서부터 미곡의 처리능력 및 처리효율이 저하되므로 인해 품질이 우수한 양질미를 생산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실정에 있다.
즉, 농가에서의 벼 수확 이후에 수행되는 건조 및 저장에서부터 미곡의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7879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10381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탈곡이 완료된 미곡의 반입과 건조 및 저장에 따른 처리능력 및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양질의 미곡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한 향상된 건조저장시설을 갖는 미곡 처리설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향상된 건조저장시설을 갖는 미곡 처리설비는, 탈곡이 완료된 미곡을 반입하되 반입한 미곡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이물질제거장치와 미곡의 건조 처리를 위한 건조기 및 미곡의 저장을 위한 저장부를 포함하는 반입건조부와, 미곡으로부터 왕겨를 벗겨내되 배아층과 호분층이 모두 보존된 상태의 현미를 얻기 위한 현미가공부와, 현미로부터 미강을 벗겨내 백미로 가공하기 위한 백미가공부, 및 포장 처리하는 포장부를 포함하는 미곡 처리설비에 있어서, 상기 반입건조부 측 이물질제거장치는, 상기 탈곡이 완료된 미곡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호퍼; 상기 투입호퍼로부터 미곡을 공급받아 검불이나 지푸라기를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미곡의 배출이 가능한 타공을 갖는 원통형 망체로 구비하되 하향 경사 배치되며, 유입부 측 상면에 통풍구가 형성되고 유출부 측 하면에 이물배출구가 형성된 선별드럼; 상기 선별드럼의 상측에 설치되고, 통풍구를 통해 하향 경사지는 방향으로 송풍을 공급하기 위한 선별브로워; 상기 선별드럼의 이물배출구에 연결되어 미곡과 분리되는 검불이나 지푸라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검불배출덕트; 상기 선별드럼의 하측에 배치되고, 타공을 통해 배출되는 미곡를 하측 방향으로 유도하는 재투입호퍼; 상기 재투입호퍼의 하측에 위치하여 하향 경사 배치되고, 미곡의 알갱이보다 작은 입자의 이물질을 하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크기의 타공을 갖는 선별판; 상기 선별판에 진동에 의한 떨림을 제공하여 미곡과 이물질의 선별력을 높이기 위한 진동제공수단; 상기 선별판의 하향 경사 끝단부에 연결되어 선별된 미곡를 배출하기 위한 선별된 미곡 배출덕트; 상기 선별판의 하측에 위치하여 미곡과 분리되는 이물질을 이송 배출하기 위한 이물배출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진동제공수단은, 상기 하향 경사 배치되는 선별판의 양측면을 지지하도록 결합 및 유동 가능하게 힌지 구조로 결합되는 전방지지대 및 후방지지대; 상기 전방지지대 또는 후방지지대의 어느 일측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베어링에 고정 결합되는 진동유발샤프트; 상기 베어링의 내측에 위치하여 공회전하도록 결합된 캠; 상기 캠에 결합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동력제공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캠에 대해 수평 배치하여 좌우 방향으로 회전력을 갖도록 설치시 선별판을 좌우 방향으로 진동 제어하고, 상기 캠에 대해 수직 배치하여 전후 방향으로 회전력을 갖도록 설치시 선별판을 전후 방향으로 진동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투입호퍼의 하부 내측에는 반입되는 탈곡 완료된 미곡들이 원활하게 반입 및 공급되도록 회전로터리를 설치하고, 상기 투입호퍼의 내면에는 탈곡 완료된 미곡들이 달라붙지 않고 잘 미끄러져 내려가도록 미끄러짐유도층을 형성하거나 또는 탈곡 완료된 미곡들이 달라붙지 않게 하면서 수분을 제거하도록 면상발열체를 장착하며; 상기 미끄러짐유도층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퍼플루오르알콕시,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코팅 형성되고; 상기 재투입호퍼의 하부 내면에는 자석판을 고정 설치하여 반입되는 탈곡 완료된 미곡들로부터 금속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반입건조부 측 건조기는, 상기 이물질제거장치를 통해 선별된 미곡을 반입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 둘레에 2개 이상의 분진흡입구가 간격 형성되는 반입호퍼; 상기 반입호퍼의 분진흡입구에 연결되는 분진흡입덕트; 상기 분진흡입덕트 상에 설치되는 분진흡입팬; 상기 반입호퍼의 하측에 위치하여 연결되고, 내부공간의 상측에 미곡반입구를 갖고 하측에 미곡배출구를 갖는 건조기본체; 상기 건조기본체의 내측 상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반입호퍼를 통해 건조기본체의 내부로 반입되는 선별된 미곡을 분산시켜 낙하시키기 위한 분산부재; 상기 건조기본체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여주기 위한 공기블로워; 상기 공기블로워에 연결되는 공기공급덕트 내에 설치되어 열풍이 공급되게 하는 전기히터봉; 상기 건조기본체의 내벽에 장착되는 면상발열체; 상기 건조기본체의 내측 하단부에 수평 배치되고, 하나 이상이 구비되며, 하측에 쌓이는 미곡들을 교반 처리하기 위한 제1교반기; 상기 건조기본체의 내측 중간부에 수평 배치하되, 제1교반기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하나 이상이 구비되며, 중간지점에서 미곡들을 교반 처리하기 위한 제2교반기; 상기 건조기본체 측 미곡배출구 상에 설치되고, 건조된 미곡의 외부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배출로터리; 상기 건조기본체 측 하단부 둘레에 3개 이상을 간격 설치되고, 건조된 미곡들의 함수율을 측정하기 위한 정전용량식 수분측정센서; 상기 건조기본체의 미곡배출구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반입호퍼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수분측정센서의 측정 상태에 따라 건조된 미곡들의 함수율이 기준치를 초과하여 수분 함량이 높은 경우 반입호퍼로 회귀시켜 재건조 처리하기 위한 회귀처리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반입건조부 측 저장부는, 상기 건조기를 통해 건조된 미곡을 반입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 둘레에 2개 이상의 분진흡입구가 간격 형성되는 반입호퍼; 상기 반입호퍼의 분진흡입구에 연결되는 분진흡입덕트; 상기 분진흡입덕트 상에 설치되는 분진흡입팬; 상기 반입호퍼 상에 설치되는 호퍼스케일; 상기 반입호퍼의 하측에 위치하여 연결되고, 내부공간의 하측에 미곡반출구를 갖는 사일로; 상기 사일로의 내부공간 상에 위치하여 수직 설치되고,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수직교반기; 상기 사일로의 내측 하단부에 수평 설치되고,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수평교반기; 상기 사일로 상에 설치되어 사일로 내에 저장된 미곡들의 함수율을 측정하기 위한 정전용량식 수분측정센서; 상기 사일로의 내측에 다수개가 설치되어 사일로 내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습도센서; 상기 사일로의 내측에 다수개가 설치되어 미곡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열전대; 상기 사일로의 내측 상부에 1개 이상이 설치되고, 초음파 발진을 통해 사일로 내 저장되는 미곡의 퇴적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초음파센서; 상기 사일로 측 미곡반출구 상에 설치되고, 사일로에 저장된 미곡의 외부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배출로터리; 상기 사일로의 외벽 둘레에 다수가 설치되는 것으로서, 냉각부위가 외벽에 접촉되게 배치되는 제1펠티에소자 및 온열부위가 외벽에 접촉되게 배치되는 제2펠티에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펠티에소자와 제2펠티에소자는 각각 필요에 따라 개별 제어되고, 상기 정전용량식 수분측정센서에서의 측정데이터에 의해 함수율이 높은 경우 건조기로 보내 건조 처리한 후 재반입하여 저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탈곡이 완료된 미곡을 반입하여 도정 처리함에 있어 도정을 위한 시작단계인 미곡의 반입과 건조 및 저장시 기존에 비해 처리능력 및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양질의 미곡으로 생산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탈곡이 완료된 미곡을 반입시 미곡으로부터 이물질 제거효율을 높일 수 있고, 이물질 제거된 미곡의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미곡의 저온 상태를 유지하는 등 저장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곡 처리설비를 나타낸 개략적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곡 처리설비에 있어 반입건조부 측 이물질제거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곡 처리설비에 있어 반입건조부 측 건조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곡 처리설비에 있어 반입건조부 측 저장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곡 처리설비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입건조부(10)와 현미가공부(20), 백미가공부(30), 및 포장부(4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반입건조부(10)는 탈곡이 완료된 미곡을 반입하되 반입한 미곡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고, 이렇게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의 미곡을 건조 처리한 후 일정의 저온을 유지한 상태로 저장하기 위한 시설이다.
이를 위해, 상기 반입건조부(10)는 이물질제거장치(100)와, 건조기(200) 및 저장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현미가공부(20)는 상기 반입건조부(10)를 거친 미곡으로부터 왕겨를 벗겨내되 배아층과 호분층이 모두 보존된 상태의 현미를 얻기 위한 시설이다.
상기 백미가공부(30)는 상기 현미가공부(20)를 거친 현미로부터 미강을 벗겨내 백미로 가공하기 위한 시설이다.
상기 포장부(40)는 상기 현미가공부(20) 또는 백미가공부(30)를 통해 가공된 현미 또는 백미를 포장 처리함으로써 유통 가능하게 하는 시설이다.
이하에서, 향상된 건조저장시설을 위한 상기 반입건조부(10) 측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반입건조부(10) 측 이물질제거장치(10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입호퍼(110), 선별드럼(120), 선별브로워(130), 검불배출덕트(140), 재투입호퍼(150), 선별판(160), 진동제공수단(170), 배출덕트(180), 이물배출컨베이어(190)를 포함한다.
상기 투입호퍼(110)는 탈곡이 완료된 상태의 미곡을 투입 및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탈곡이 완료된 상태의 알갱이 입자인 미곡에는 검불이나 지푸라기, 잔돌 등의 이물질이 혼입되어 있다.
상기 선별드럼(120)은 투입호퍼(110)로부터 미곡을 공급받아 검불이나 지푸라기를 분리해내기 위한 것으로서, 알갱이 입자인 미곡의 배출이 가능한 타공을 갖는 원통형 망체로 구비하되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선별드럼(120)에는 미곡이 유입되는 유입부 측 상면에 통풍구(121)가 형성되고 그 반대방향의 유출부 측 하면에 이물배출구(122)가 형성된다.
상기 선별브로워(130)는 선별드럼(120)의 상측에 설치되고, 통풍구(121)를 통해 하향 경사지는 방향으로 송풍을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선별브로워(130)를 이용한 공기 송풍을 통해 알갱이 입자인 미곡보다 가벼운 검불이나 지푸라기를 날려 미곡과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검불배출덕트(140)는 선별드럼(120)의 이물배출구(122)에 연결되어 미곡과 분리되는 검불이나 지푸라기를 장치의 외부로 배출하는 경로가 된다.
상기 재투입호퍼(150)는 선별드럼(120)의 하측에 배치되고, 선별드럼(120)의 타공을 통해 분리 배출되는 미곡을 하측 방향으로 유도하여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선별판(160)은 재투입호퍼(150)의 하측에 위치하여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으로서, 미곡의 알갱이보다 작은 입자를 갖는 잔돌 등의 이물질을 분리하여 하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선별판(160)은 판형 망체로 구비되며, 미곡의 알갱이보다 작은 입자를 갖는 잔돌 등의 이물질을 분리하여 하측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크기의 타공을 갖는 메시구조체로 구비된다.
상기 진공제공수단(170)은 선별판(160)에 진동에 의한 떨림을 제공하여 미곡과 잔돌 등 이물질과의 선별력을 높이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진동제공수단(170)은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선별판(160)의 양측면을 지지하도록 결합 및 유동 가능하게 힌지 구조로 결합되는 전방지지대(171) 및 후방지지대(172)와, 상기 전방지지대(171) 또는 후방지지대(172)의 어느 일측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베어링(174) 측에 고정 결합되는 진동유발샤프트(173)와, 상기 베어링(174)의 내측에 위치하여 공회전하도록 결합되는 캠(175)과, 상기 캠(175)에 결합되는 회전축(176)과, 상기 회전축(176)에 결합되는 동력제공모터(177)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제공모터(177)는 풀리 및 벨트를 사용하거나 스프로킷 및 체인을 사용하여 회전축(176)을 회전 구동하도록 연결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캠(175)에 대해 수평 배치하여 좌우 방향으로 회전력을 갖도록 설치함으로써 선별판(160)을 좌우 방향으로 진동되게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캠(175)에 대해 수직 배치하여 전후 방향으로 회전력을 갖도록 설치함으로써 선별판(160)을 전후 방향으로 진동되게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캠(175)의 수평 배치시 전방지지대와 후방지지대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진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상기 캠(175)의 수직 배치시 전방지지대와 후방지지대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진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할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캠(175)의 수평 배치 또는 수직 배치 상태에 따라 회전축과 동력제공모터의 설치방향이 결정된다 할 것이다.
상기 선별된 미곡 배출덕트(180)는 선별판(160)의 하향 경사지는 끝단부에 연결되어 선별된 미곡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경로가 된다.
상기 이물배출컨베이어(190)는 선별판(160)의 하측에 위치하여 미곡과 분리되는 잔돌 등의 이물질을 이송 배출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이물배출컨베이어(190)의 이송 방향 끝단부에는 이물질을 외부 배출하기 위한 이물질배출덕트가 배치된다.
상기 투입호퍼(110)의 하부 내측에는 반입되는 탈곡 완료된 미곡들이 원활하게 반입 및 공급되도록 회전로터리(111)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투입호퍼(110)의 내면에는 탈곡 완료된 미곡들이 수분이 있는 경우라도 투입호퍼의 내벽에 달라붙지 않고 잘 미끄러져 내려가도록 미끄러짐유도층(112)을 형성하거나 또는 탈곡 완료된 미곡들이 투입호퍼의 내벽에 달라붙지 않게 하면서 수분을 제거하도록 면상발열체(113)를 장착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미끄러짐유도층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퍼플루오르알콕시,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가지 이상을 혼합하는 형태로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재투입호퍼(150)의 하부 내면에는 자석판(151)을 고정 설치하여 반입되는 탈곡 완료된 미곡들로부터 금속이물질이 혼힙된 경우 이를 용이하게 제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석판(151)은 탈장착 가능하도록 구비하여 사용 상태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입건조부(10) 측 건조기(20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입호퍼(210), 건조기본체(220), 분산부재(221), 공기블로워(230), 면상발열체(240), 제1교반기(251), 제2교반기(252), 배출로터리(260), 수분측정센서(270), 회귀처리부(280)를 포함한다.
상기 반입호퍼(210)는 상기 이물질제거장치(100)를 통해 선별된 미곡을 반입하기 위한 것으로서, 미곡 반입시 발생되는 미곡 분진을 집진할 수 있도록 상부 둘레에 2개 이상의 분진흡입구가 간격 형성된다.
상기 반입호퍼(210)의 분진흡입구에는 분진흡입덕트(211)가 연결되며, 분집흡입덕트(211) 상에는 미곡 분진을 흡입 처리하기 위한 분진흡입팬(212)이 설치된다.
상기 분진흡입팬(212)을 통해 흡입 처리되는 미곡 분진은 집진기로 보내진다.
상기 건조기본체(220)는 반입호퍼(210)의 하측에 위치하여 연결되는 것으로서, 내부공간의 상측에 미곡반입구가 형성되고 하측에 미곡배출구가 형성된다.
상기 분산부재(221)는 건조기본체(210)의 내측 상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반입호퍼(210)를 통해 건조기본체(210)의 내부로 반입되는 선별된 미곡을 분산시켜 낙하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분산부재(221)는 "∧"의 형상 구조로 구비하여 다단 다열로 배치함으로써 건조기본체(210)의 내부공간 상에 고르면서도 균등하게 분배하여 공급되게 한다.
상기 공기블로워(230)는 건조기본체(210)의 내부로 공기를 일정 압력으로 공급하여주기 구성이다.
이때, 상기 공기블로워(230)에는 공기공급덕트(231)가 연결 구비되고, 상기 공기공급덕트(231) 내에 전기히터봉(232)을 설치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열풍이 공급되게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공기블로워(230)를 이용한 공기 송풍을 통해 건조기본체(210) 내로 유입된 미곡들을 유동 처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면상발열체(240)는 건조기본체(210)의 내벽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건조기본체(210)의 내부에 열을 공급함으로써 미곡을 건조 처리하는데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교반기(251)는 건조기본체(210)의 내측 하단부에 수평 배치되는 것으로서, 하나 이상이 설치되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교반기(251)는 건조기본체(210)의 내부 하측에 쌓이는 미곡들을 교반 처리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 제2교반기(252)는 건조기본체(210)의 내측 중간부에 수평 배치하되, 제1교반기(251)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하나 이상이 설치되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교반기(252)는 건조기본체(210) 측 중간지점에서 미곡들을 교반 처리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 배출로터리(260)는 건조기본체(210)의 하단부에 형성된 미곡배출구 상에 설치되고, 건조기본체(210)의 내부공간에서 건조 처리된 미곡의 외부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상기 수분측정센서(270)는 건조기본체(210) 측 하단부 둘레에 3개 이상을 간격 설치함이 바람직하고, 건조된 미곡들의 함수율을 측정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 및 건조 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분측정센서(270)는 미곡들과의 접촉에 따라 정전용량이 변화됨으로써 이러한 변화를 통해 함수율을 측정할 수 있도록 정전용량식 수분측정센서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귀처리부(280)는 건조기본체(210)의 미곡배출구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반입호퍼(210)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수분측정센서(270)의 측정 상태에 따라 건조된 미곡들의 함수율이 기준치를 초과하여 수분 함량이 높은 경우 반입호퍼(210)로 회귀시켜 재건조 처리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회귀처리부(280)는 건조기본체(210)의 미곡배출구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반입호퍼(210)의 상측에 위치되는 회귀처리덕트(281)와, 상기 회귀처리덕트 상에 설치되어 미곡을 흡입 처리하기 위한 회귀흡입팬(282)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귀처리부(280)는 버킷엘리베이터 또는 압출스크류이송기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반입건조부(10) 측 저장부(30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입호퍼(310), 사일로(320), 수직교반기(330), 수평교반기(340), 수분측정센서(351), 온습도센서(352), 열전대(353), 초음파센서(354), 배출로터리(360), 제1펠티에소자(371), 및 제2펠티에소자(372)를 포함한다.
상기 반입호퍼(310)는 건조기(200)를 통해 건조 처리한 미곡을 반입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 둘레에 2개 이상의 분진흡입구가 간격 형성된다.
상기 반입호퍼(310)의 분진흡입구에는 분진흡입덕트(311)가 연결되며, 분집흡입덕트(311) 상에는 미곡 분진을 흡입 처리하기 위한 분진흡입팬(312)이 설치된다.
상기 분진흡입팬(312)을 통해 흡입 처리되는 미곡 분진은 집진기로 보내진다.
또한, 상기 반입호퍼(310) 상의 하면에 설치되어 반입되는 건조 처리한 미곡을 계량하기 위한 호퍼스케일(314)을 포함한다.
상기 사일로(320)는 건조 처리한 미곡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소로서, 반입호퍼(310)의 하측에 위치하여 연결되며, 내부공간의 상측에 미곡반입구가 형성되고 내부공간의 하측에 미곡반출구가 형성된다.
상기 수직교반기(330)는 사일로(320)의 내부공간 상에 위치하여 수직 설치되고, 하나 이상이 설치되어 구비된다.
상기 수평교반기(340)는 사일로(320)의 내측 하단부에 수평 설치되고, 하나 이상이 설치되어 구비된다.
상기 수분측정센서(351)는 사일로(320) 상에 설치되어 사일로(320) 내에 저장된 미곡들의 함수율을 측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정전용량식 수분측정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분측정센서(351)는 사일로(320)의 상부와 하부, 수직교반기(330)와 수평교반기(340) 상에 장착하는 등 다수 개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온습도센서(352)는 사일로(320)의 내측에 다수 개를 설치할 수 있고, 사일로(320) 내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열전대(353)는 사일로(320)의 내측에 다수 개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며, 사일로(320) 내 저장되는 미곡들의 온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초음파센서(354)는 사일로(320)의 내측 상부에 1개 이상이 설치되고, 초음파 발진을 통해 사일로(320) 내 저장되는 미곡의 퇴적상태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수분측정센서(351), 온습도센서(352), 열전대(353), 및 초음파센서(354) 등의 센서 소자들을 통해 사일로(320) 내 저장되는 미곡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수직교반기(330)와 수평교반기(340)를 가동하거나 미곡의 자동 퇴적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배출로터리(360)는 사일로(320) 측 미곡반출구 상에 설치되고, 사일로에 저장된 미곡의 외부 배출량을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제1펠티에소자(371) 및 제2펠티에소자(372)는 각각 사일로(320)의 외벽 둘레에 다수가 설치되는 열전소자이다.
상기 제1펠티에소자(371)는 냉각부위가 사일로(320)의 외벽에 접촉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2펠티에소자(372)는 온열부위가 사일로(320)의 외벽에 접촉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1펠티에소자(371)와 제2펠티에소자(372)는 각각 필요에 따라 개별 제어되며, 계절에 따라 변화되는 온도에 맞추어 사일로(320) 내 저장되는 미곡들의 저온 보관상태를 유지하는데 사용된다.
여기에서, 상기 정전용량식 수분측정센서(351)에서의 측정데이터에 의해 사일로(320)의 내부공간에 저장 보관되는 미곡들의 함수율이 높은 경우에는 건조기(200) 측으로 보내 건조 처리한 후 재반입하여 저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향상된 건조저장시설을 갖는 미곡 처리설비를 통해서는 탈곡이 완료된 미곡을 반입하여 도정 처리함에 있어 도정을 위한 시작단계인 미곡의 반입과 건조 및 저장시 기존에 비해 각 단계별 처리능력 및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고 양질의 미곡 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탈곡이 완료된 미곡으로부터 검불이나 지푸라기 및 잔돌 등의 이물질 제거효율을 높일 수 있고,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미곡의 저장 보관시 저온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등 저장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의 당해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과 변형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반입건조부
100: 이물질제거장치
200: 건조기
300: 저장부

Claims (5)

  1. 탈곡이 완료된 미곡을 반입하되 반입한 미곡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이물질제거장치와 미곡의 건조 처리를 위한 건조기 및 미곡의 저장을 위한 저장부가 구비되는 반입건조부와, 미곡으로부터 왕겨를 벗겨내되 배아층과 호분층이 모두 보존된 상태의 현미를 얻기 위한 현미가공부와, 현미로부터 미강을 벗겨내 백미로 가공하기 위한 백미가공부, 및 포장 처리하는 포장부를 포함하는 미곡 처리설비에 있어서,
    상기 반입건조부 측 이물질제거장치는, 상기 탈곡이 완료된 미곡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호퍼; 상기 투입호퍼로부터 미곡을 공급받아 검불이나 지푸라기를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미곡의 배출이 가능한 타공을 갖는 원통형 망체로 구비하되 하향 경사 배치되며, 유입부 측 상면에 통풍구가 형성되고 유출부 측 하면에 이물배출구가 형성된 선별드럼; 상기 선별드럼의 상측에 설치되고, 통풍구를 통해 하향 경사지는 방향으로 송풍을 공급하기 위한 선별브로워; 상기 선별드럼의 이물배출구에 연결되어 미곡과 분리되는 검불이나 지푸라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검불배출덕트; 상기 선별드럼의 하측에 배치되고, 타공을 통해 배출되는 미곡를 하측 방향으로 유도하는 재투입호퍼; 상기 재투입호퍼의 하측에 위치하여 하향 경사 배치되고, 미곡의 알갱이보다 작은 입자의 이물질을 하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크기의 타공을 갖는 선별판; 상기 선별판에 진동에 의한 떨림을 제공하여 미곡과 이물질의 선별력을 높이기 위한 진동제공수단; 상기 선별판의 하향 경사 끝단부에 연결되어 선별된 미곡를 배출하기 위한 선별된 미곡배출덕트; 상기 선별판의 하측에 위치하여 미곡과 분리되는 이물질을 이송 배출하기 위한 이물배출컨베이어; 를 포함하며,
    상기 투입호퍼의 하부 내측에는 반입되는 탈곡 완료된 미곡들이 원활하게 반입 및 공급되도록 회전로터리를 설치하고, 상기 투입호퍼의 내면에는 탈곡 완료된 미곡들이 달라붙지 않고 잘 미끄러져 내려가도록 미끄러짐유도층을 형성하거나 또는 탈곡 완료된 미곡들이 달라붙지 않게 하면서 수분을 제거하도록 면상발열체를 장착하며;
    상기 미끄러짐유도층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퍼플루오르알콕시,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코팅 형성되고;
    상기 재투입호퍼의 하부 내면에는 자석판을 고정 설치하여 반입되는 탈곡 완료된 미곡들로부터 금속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건조저장시설을 갖는 미곡 처리설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제공수단은,
    상기 하향 경사 배치되는 선별판의 양측면을 지지하도록 결합 및 유동 가능하게 힌지 구조로 결합되는 전방지지대 및 후방지지대; 상기 전방지지대 또는 후방지지대의 어느 일측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베어링에 고정 결합되는 진동유발샤프트; 상기 베어링의 내측에 위치하여 공회전하도록 결합된 캠; 상기 캠에 결합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동력제공모터; 를 포함하고,
    상기 캠에 대해 수평 배치하여 좌우 방향으로 회전력을 갖도록 설치시 선별판을 좌우 방향으로 진동 제어하고, 상기 캠에 대해 수직 배치하여 전후 방향으로 회전력을 갖도록 설치시 선별판을 전후 방향으로 진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건조저장시설을 갖는 미곡 처리설비.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입건조부 측 건조기는,
    상기 이물질제거장치를 통해 선별된 미곡을 반입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 둘레에 2개 이상의 분진흡입구가 간격 형성되는 반입호퍼;
    상기 반입호퍼의 분진흡입구에 연결되는 분진흡입덕트;
    상기 분진흡입덕트 상에 설치되는 분진흡입팬;
    상기 반입호퍼의 하측에 위치하여 연결되고, 내부공간의 상측에 미곡반입구를 갖고 하측에 미곡배출구를 갖는 건조기본체;
    상기 건조기본체의 내측 상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반입호퍼를 통해 건조기본체의 내부로 반입되는 선별된 미곡을 분산시켜 낙하시키기 위한 분산부재;
    상기 건조기본체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여주기 위한 공기블로워;
    상기 공기블로워에 연결되는 공기공급덕트 내에 설치되어 열풍이 공급되게 하는 전기히터봉;
    상기 건조기본체의 내벽에 장착되는 면상발열체;
    상기 건조기본체의 내측 하단부에 수평 배치되고, 하나 이상이 구비되며, 하측에 쌓이는 미곡들을 교반 처리하기 위한 제1교반기;
    상기 건조기본체의 내측 중간부에 수평 배치하되, 제1교반기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하나 이상이 구비되며, 중간지점에서 미곡들을 교반 처리하기 위한 제2교반기;
    상기 건조기본체 측 미곡배출구 상에 설치되고, 건조된 미곡의 외부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배출로터리;
    상기 건조기본체 측 하단부 둘레에 3개 이상을 간격 설치되고, 건조된 미곡들의 함수율을 측정하기 위한 정전용량식 수분측정센서;
    상기 건조기본체의 미곡배출구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반입호퍼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수분측정센서의 측정 상태에 따라 건조된 미곡들의 함수율이 기준치를 초과하여 수분 함량이 높은 경우 반입호퍼로 회귀시켜 재건조 처리하기 위한 회귀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건조저장시설을 갖는 미곡 처리설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입건조부 측 저장부는,
    상기 건조기를 통해 건조된 미곡을 반입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 둘레에 2개 이상의 분진흡입구가 간격 형성되는 반입호퍼;
    상기 반입호퍼의 분진흡입구에 연결되는 분진흡입덕트;
    상기 분진흡입덕트 상에 설치되는 분진흡입팬;
    상기 반입호퍼 상에 설치되는 호퍼스케일;
    상기 반입호퍼의 하측에 위치하여 연결되고, 내부공간의 하측에 미곡반출구를 갖는 사일로;
    상기 사일로의 내부공간 상에 위치하여 수직 설치되고,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수직교반기;
    상기 사일로의 내측 하단부에 수평 설치되고,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수평교반기;
    상기 사일로 상에 설치되어 사일로 내에 저장된 미곡들의 함수율을 측정하기 위한 정전용량식 수분측정센서;
    상기 사일로의 내측에 다수개가 설치되어 사일로 내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습도센서;
    상기 사일로의 내측에 다수개가 설치되어 미곡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열전대;
    상기 사일로의 내측 상부에 1개 이상이 설치되고, 초음파 발진을 통해 사일로 내 저장되는 미곡의 퇴적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초음파센서;
    상기 사일로 측 미곡반출구 상에 설치되고, 사일로에 저장된 미곡의 외부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배출로터리;
    상기 사일로의 외벽 둘레에 다수가 설치되는 것으로서, 냉각부위가 외벽에 접촉되게 배치되는 제1펠티에소자 및 온열부위가 외벽에 접촉되게 배치되는 제2펠티에소자; 를 포함하며,
    상기 제1펠티에소자와 제2펠티에소자는 각각 필요에 따라 개별 제어되고, 상기 정전용량식 수분측정센서에서의 측정데이터에 의해 함수율이 높은 경우 건조기로 보내 건조 처리한 후 재반입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건조저장시설을 갖는 미곡 처리설비.
KR1020190101023A 2019-08-19 2019-08-19 향상된 건조저장시설을 갖는 미곡 처리설비 KR102090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023A KR102090064B1 (ko) 2019-08-19 2019-08-19 향상된 건조저장시설을 갖는 미곡 처리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023A KR102090064B1 (ko) 2019-08-19 2019-08-19 향상된 건조저장시설을 갖는 미곡 처리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0064B1 true KR102090064B1 (ko) 2020-03-17

Family

ID=70003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1023A KR102090064B1 (ko) 2019-08-19 2019-08-19 향상된 건조저장시설을 갖는 미곡 처리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006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18617A (zh) * 2022-08-02 2022-11-11 安徽新世纪种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小麦选育组合选种设备及方法
CN115654870A (zh) * 2022-10-19 2023-01-31 安徽正阳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烘干容积可调式粮食烘干机
CN117029374A (zh) * 2023-10-09 2023-11-10 江苏宝信空调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粮库粮仓自动冷却降温设备
CN117928184A (zh) * 2024-03-21 2024-04-26 洛阳万谷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节能粮食烘干机
CN117928184B (zh) * 2024-03-21 2024-06-04 洛阳万谷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节能粮食烘干机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9044A (ko) * 2000-07-11 2000-10-05 서용교 미곡종합처리장의 원격통합 운영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40026572A (ko) * 2002-09-25 2004-03-31 최우혁 조선기
KR20040078799A (ko) 2003-03-05 2004-09-13 임한열 곡물 저장 및 건조 설비
KR101110381B1 (ko) 2009-04-29 2012-02-16 남재욱 벼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180060538A (ko) * 2016-11-29 2018-06-07 최옥창 Gi지수를 낮춘 쌀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934721B1 (ko) * 2017-07-18 2019-01-03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아산현대미곡종합처리장 쌀눈이 보전되는 12분도 쌀눈쌀 가공방법 및 상기 가공용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9044A (ko) * 2000-07-11 2000-10-05 서용교 미곡종합처리장의 원격통합 운영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40026572A (ko) * 2002-09-25 2004-03-31 최우혁 조선기
KR20040078799A (ko) 2003-03-05 2004-09-13 임한열 곡물 저장 및 건조 설비
KR101110381B1 (ko) 2009-04-29 2012-02-16 남재욱 벼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180060538A (ko) * 2016-11-29 2018-06-07 최옥창 Gi지수를 낮춘 쌀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934721B1 (ko) * 2017-07-18 2019-01-03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아산현대미곡종합처리장 쌀눈이 보전되는 12분도 쌀눈쌀 가공방법 및 상기 가공용 건조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18617A (zh) * 2022-08-02 2022-11-11 安徽新世纪种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小麦选育组合选种设备及方法
CN115654870A (zh) * 2022-10-19 2023-01-31 安徽正阳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烘干容积可调式粮食烘干机
CN115654870B (zh) * 2022-10-19 2024-03-29 安徽正阳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烘干容积可调式粮食烘干机
CN117029374A (zh) * 2023-10-09 2023-11-10 江苏宝信空调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粮库粮仓自动冷却降温设备
CN117029374B (zh) * 2023-10-09 2023-12-15 江苏宝信空调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粮库粮仓自动冷却降温设备
CN117928184A (zh) * 2024-03-21 2024-04-26 洛阳万谷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节能粮食烘干机
CN117928184B (zh) * 2024-03-21 2024-06-04 洛阳万谷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节能粮食烘干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4879B1 (ko) 양질미 생산을 위한 미곡 처리방법
KR102090064B1 (ko) 향상된 건조저장시설을 갖는 미곡 처리설비
JP4783477B2 (ja) 栄養富化穀物製造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穀物乾燥施設
KR102005776B1 (ko) 인라인 농산물 가공 시스템
US623042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grain
KR101966788B1 (ko) 쌀눈 분리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쌀눈 분리 방법
RU2529704C2 (ru) Конвейерн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сушки пророщенного зерна
KR102091425B1 (ko) 영양미 생산을 위한 시설을 갖는 미곡 처리설비
CN107677107A (zh) 一种用于樱花树种子的连续烘干装置
US2722749A (en) Apparatus for treating food items with radiant heat
CN212585422U (zh) 一种能够均匀烘干的粮食烘干装置
KR101539062B1 (ko) 콩 선별장치
RU2479809C1 (ru) Технологическая линия для проращивания зерна, его обработки и подготовки к скармливанию
JP4076086B2 (ja) 粉粒物乾燥装置
KR102518421B1 (ko) 공정속도가 개선된 백미 제조설비
RU50643U1 (ru) Сушилка зерновых материалов
KR102166178B1 (ko) 곡물 선별장치
US34346A (en) Improved hulling-machine
JP4598285B2 (ja) 茶葉のケバ取り装置
RU2062664C1 (ru) Аэродинамический комплекс для сушки и очистки зерна
JP2613190B2 (ja) 自主検査用乾燥装置
JP4234560B2 (ja) 米麦調製出荷設備に使用される仕上風選装置
RU2031821C1 (ru) Вентилируемый бункер для зерна
KR940000131Y1 (ko) 곡물건조장치를 갖는 콤바인
US526256A (en) William onderdo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