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9044A - 미곡종합처리장의 원격통합 운영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미곡종합처리장의 원격통합 운영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9044A
KR20000059044A KR1020000039582A KR20000039582A KR20000059044A KR 20000059044 A KR20000059044 A KR 20000059044A KR 1020000039582 A KR1020000039582 A KR 1020000039582A KR 20000039582 A KR20000039582 A KR 20000039582A KR 20000059044 A KR20000059044 A KR 20000059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grain processing
grain
processing machine
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9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용교
Original Assignee
서용교
대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용교, 대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용교
Priority to KR1020000039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59044A/ko
Publication of KR20000059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904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곡종합처리장의 원격통합 운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미곡을 각각 가공 처리하는 곡물 가공 기계로 각각 구성된 원료투입 공정부, 건조저장 공정부, 현미가공 공정부, 정미가공 공정부, 백미가공 공정부, 제품 계량 및 포장 공정부 및 곡물이송 공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곡물 가공 기계 각각의 처리특성에 따른 처리상태정보를 출력하고, 적어도 하나의 곡물 가공 기계의 정상 작동을 위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곡물 가공 기계의 작동을 제어하는 곡물가공부; 상기 각 처리상태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처리상태정보에 따라 상기 각 곡물 가공 기계의 동작을 소정의 방법으로 표시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곡물 가공 기계의 정상 작동을 위한 상기 제어정보를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현장메인컴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미곡종합처리장의 각 곡물 가공 기계의 작동 상황의 실시간 파악과 작동 에러에 대한 신속한 처리가 가능하고 유무선 인터넷 통신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고객지원서비스를 통해 보다 신속한 애프터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곡종합처리장의 원격통합 운영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Remote Control Method and System of Rice Processing Complex}
본 발명은 미곡종합처리장의 통합 운영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기로는 원격으로 통합 운영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미곡종합처리장에서 운용되고 있는 통합전기판넬 시스템은 단순히 곡물 가공 기계의 온 오프(ON/OFF) 제어 및 표시개념에 불과하여 곡물 가공 기계의 작동 상황에 대한 판단의 근거가 될 시각적 정보가 부족하였고 또한 정밀한 제어 역시 불가능하였다.
기존의 미곡종합처리장내에는 수십 종의 곡물 가공 기계들이 구동되고 있으며, 이들에 대한 관리 및 보수가 중요하지만 현장담당자의 경험부족으로 간단한 조치로 해결될 수 있는 부분조차도 기계 공급업체의 서비스요원 또는 외부 용역업체 직원이 직접 방문하여 해결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직접 방문을 해야 하는 이유로 신속한 애프터 서비스가 이루어지기 어려웠고 서비스요원이나 외부 용역업체직원에 대한 인건비 부담 역시 상당하였다.
특히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한 구동을 요하는 기계들에 있어서 구동 프로그램의 간단한 로딩(loading) 문제정도도 자체 해결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신속한 서비스 체제 구축과 애프터 서비스에 대한 비용 절감은 날로 증가하고 있는 시장에서의 제품 품질문제와 관련하여 제품을 판매하는 판매회사측에서 볼 때 대단히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미곡종합처리장의 각 곡물 가공 기계에 대한 상세한 시각적 정보를 제공하고 각 곡물 가공 기계의 에러와 관련한 조치를 보다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미곡종합처리장의 원격통합 운영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원격지의 원격관리국에서 미곡종합처리장의 각 곡물 가공 기계의 작동 에러에 대한 조치를 수행할 수 있는 미곡종합처리의 원격통합 운영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은 본 발명에 의한 미곡종합처리장의 원격통합운영 시스템 및 서비스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시스템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b는 원료투입 공정부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c는 건조저장 공정부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d는 현미가공 공정부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e는 정미가공 공정부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f는 백미가공 공정부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g는 제품 계량 및 포장 공정부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h는 곡물이송 공정부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곡물 가공 기계의 에러 발생시의 조치에 대한 일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원격관리국 시스템과 현장메인컴퓨터와의 원격제어에 관한 일 흐름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현장 메인 컴퓨터와 현장 수동 제어 판넬의 현장 설치 실체도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현장메인컴퓨터의 그래픽 표시부에 보이는 화면의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미곡종합처리장의 통합전기판넬 시스템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미곡종합처리장의 원격통합 운영시스템은 미곡을 각각 가공 처리하는 곡물 가공 기계로 각각 구성된 원료투입 공정부(610), 건조저장 공정부(620), 현미가공 공정부(630), 정미가공 공정부(640), 백미가공 공정부(650), 제품 계량 및 포장 공정부(660) 및 곡물 이송 공정부(690)를 포함하고, 상기 곡물 가공 기계 각각의 처리특성에 따른 처리상태정보를 출력하고, 적어도 하나의 곡물 가공 기계의 정상 작동을 위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곡물 가공 기계의 작동을 제어하는 곡물가공부(100); 및 상기 각 처리상태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처리상태정보에 따라 상기 각 곡물 가공 기계의 동작을 소정의 방법으로 표시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곡물 가공 기계의 정상 작동을 위한 상기 제어정보를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현장메인컴퓨터(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미곡종합처리장의 원격 통합 운영시스템은 미곡을 각각 가공 처리하는 곡물 가공 기계로 각각 구성된 원료투입 공정부(610), 건조저장 공정부(620), 현미가공 공정부(630), 정미가공 공정부(640), 백미가공 공정부(650), 제품 계량 및 포장 공정부(660) 및 곡물 이송 공정부(690)를 포함하고, 상기 곡물 가공 기계 각각의 처리특성에 따른 처리상태정보를 출력하고, 적어도 하나의 곡물 가공 기계의 정상 작동을 위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곡물 가공 기계의 작동을 제어하는 곡물가공부(100); 상기 각 처리상태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처리상태정보에 따라 상기 각 곡물 가공 기계의 동작을 소정의 방법으로 표시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곡물 가공 기계의 정상 작동을 위한 상기 제어정보를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현장메인컴퓨터(170)를 포함하고 상기 현장메인컴퓨터(170)는 상기 제어 정보를 통한 상기 곡물 가공 기계의 작동의 정상화가 불가하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불가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어불가 정보에 관련하여 상기 곡물 가공 기계의 정상 작동을 위한 지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곡물 가공 기계의 정상 작동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현장메인컴퓨터(170)로부터 상기 제어불가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불가정보에 관련하여 상기 곡물 가공 기계의 정상 작동을 위한 상기 지시정보를 송신하는 원격관리국 시스템(1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미곡을 소정의 방법으로 처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곡물 가공 기계를 포함하는 곡물가공부(170)와 현장메인컴퓨터(180)가 RS 232, 485통신 또는 내부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통신수단을 매개로 연결되어 미곡종합처리장의 원격통합 운영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은 (a) 적어도 하나의 곡물 가공 기계로부터 작동에 관한 에러 정보를 포함하는 처리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처리 상태 정보에 따라 소정의 방법으로 상기 곡물 가공 기계의 작동을 표시하는 단계; (c) 곡물 가공 기계 각각에 대해 발생 가능한 모든 에러 정보에 대응되며 에러 정정 방법을 각각 참조할 수 있는 복수의 에러 코드중에서 상기 에러 정보에 대응되는 에러 코드를 결정하는 단계; (d) 상기 처리상태정보에 있는 에러 정보에 대응하는 에러 코드가 참조하는 에러 정정 방법을 포함하는 제어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곡물 가공 기계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미곡을 소정의 방법으로 처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곡물 가공 기계를 포함하는 곡물가공부(100)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현장메인컴퓨터(170)와 원격관리국시스템(180)이 유무선 인터넷 통신을 포함하는 통신망를 통해 연결되어 연결되어 미곡종합처리장의 원격통합 운영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은 (a) 상기 현장메인컴퓨터(170)가 에러가 발생한 적어도 하나의 곡물 가공 기계의 작동 정상화를 위한 현장내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b) 상기 현장메인컴퓨터(170)로부터 상기 현장내 제어를 통한 상기 곡물 가공 기계의 작동의 정상화가 불가하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불가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제어불가정보에 따라 소정의 방법으로 상기 곡물 가공 기계의 작동을 표시하는 단계; (d) 곡물 가공 기계 각각에 대해 발생 가능한 모든 제어불가정보에 대응되며 곡물 가공 기계의 정상 작동을 위한 추가 제어 방법을 각각 참조할 수 있는 복수의 제어 코드중에서 상기 제어불가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를 결정하는 단계; (e) 상기 제어불가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어 코드가 참조하는 상기 추가 제어 방법을 포함하는 추가제어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f) 상기 추가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곡물 가공 기계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은 본 발명에 의한 미곡종합처리장의 원격통합운영 시스템 및 서비스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시스템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크게는 곡물가공부(100), 현장메인컴퓨터(170), 원격관리국 시스템(180)으로 나누어 진다.
곡물가공부(100)와 현장메인컴퓨터(170)가 상호 연결되어 미곡종합처리장의 원격통합 운영시스템이 구성되고 곡물가공부(100)와 현장메인컴퓨터(170)와 원격관리국 시스템(180)이 상호 연결되어 미곡종합처리장의 원격통합 운영시스템이 구성된다. 이 경우 곡물가공부(100)와 현장메인컴퓨터(170)는 RS 232, 485통신 또는 내부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통신수단을 매개로 하여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현장메인컴퓨터(170)와 원격관리국 시스템(180)은 유무선 인터넷 통신을 포함하는 통신망을 매개로 하여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곡물가공부(100)는 도 1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료투입 공정부(110), 건조저장 공정부(120), 현미가공 공정부(130), 정미가공 공정부(140), 백미가공 공정부(150), 제품 계량 및 포장 공정부(160), 곡물이송 공정부(190)로 구성되어질 수 있다. 상기 각 부는 각 부의 역할에 필요한 소정의 곡물 가공 기계로 각각 이루어 질 수 있다.
이들 각각은 가공 특성에 맞는 센서 즉, 유량센서, 감지센서, 중량센서, 백도센서, 습도센서등을 적절히 선택하여 구비하고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와 현장메인컴퓨터(170)와의 통신을 이용하여 현장메인컴퓨터(170)의 그래픽부(173)상에 정확한 가공 진행 상태를 표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서 상기 기술적 과제에서 언급했던 미곡종합처리장의 각 곡물 가공 기계에 대한 상세한 시각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PLC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면 PLC는 논리연산, 순서조작, 시한, 계수 및 산술연산 등의 제어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해 제어 순서를 일련의 명령어 형식으로 기억하는 메모리를 가지고, 이 메모리의 내용에 따라 기계와 프로세스의 제어를 디지탈 또는 아날로그 입출력을 통하여 행하는 디지탈 조작형의 공업용 전자장치로서 PLC의 디지탈 입력 유니트는 입력기기로부터 ON, OFF신호를 입력 받을 때 사용한다. 이것은 기계의 상태정보를 입력 받는데 주로 사용된다. 대개 조작판넬의 푸시버턴이나 스위치가 연결되어 있는데 이들은 각각 다른 전력과 전압을 사용하므로 이것에 적합한 입력 유니트를 선정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각 곡물 가공 기계에 각각의 특성에 맞는 센서를 장착하고 이러한 각각의 센서에 PLC를 적용한다.
곡물 가공 기계중에서 모타가 들어가는 기계나 모타에 의해 구동되는 각종 콘베이어를 포함하는 곡물이송 공정부에는 PLC제어와 연동되어 모타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등의 모타 보호 및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전자식 과전류 계전기(Electronic Over Current Relay 이하 EOCR이라 한다.)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EOCR의 역할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EOCR은 전류설정치를 초과하는 과전류가 흐를 경우,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 경과후 또는 일정한 시간후 즉시 동작하여 모터의 소손을 방지하고 결상시 모터의 권선에 흐르는 전류는 증가하는 경우 설정한 시간 이내에 동작하여 모터의 소손을 방지한다. 또한 전력소모율을 줄이는 역할을 하고 재고관리기능도 지원한다. 따라서 모터가 포함되는 석발기와 같은 곡물 가공 기계등에는 회전 센서를 장착하고 이러한 EOCR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현장메인컴퓨터에서 모터 보호를 위한 EOCR의 기준값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1b는 원료투입 공정부(110)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원료 투입 공정부(110)는 제망기와 조선기(10) 및 호퍼스케일(11)로 구성되어질 수 있다. 제망기(10)는 미탈곡된 원료벼를 재탈곡하고 까락과 먼지등을 제거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제망기(10)에 부착할 센서로는 유량 센서를 사용하고 PLC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설명할 모든 곡물 가공 기계에 유량 센서를 사용하고 PLC를 적용하는 것으로 본다. 조선기(10)는 투입된 원료벼에 포함된 사모래, 깜부기, 검불, 쭉정이등을 선별한다.
호퍼스케일(11)은 정확한 원료량 측정 및 수분값 측정을 수행한다. 현장메인컴퓨터(170)와 호퍼스케일(11)을 링크로 연결하여(111) 호퍼스케일(11)이 포함된 기존 운영관리시스템이 현장메인컴퓨터(170)와 연결되어 기존의 운영관리시스템이 수행하였던 곡물의 입고에 관한 사항과 곡물을 가공하기 전 입고되는 곡물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체크하는 등 미곡종합처리장내 물류관리 및 수매시 수매전표의 발행을 수행하는 것을 미곡종합처리장의 원격통합 운영시스템에서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c는 건조저장 공정부(120)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건조 저장 공정부(120)는 곡물 건조기(12), 사일로(13), 톤백계량기(14), 원료저장탱크(15)로 구성되어질 수 있다.
곡물 건조기(12)는 벼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곡물 건조기(12)에는 통신보드를 장착하여 양방향 원격제어(121)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질 수 있다. RS 232나 485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이를 실현할 수 있다. 곡물건조기(12)가 미곡에 포함된 수분의 정도를 포함하는 건조정보를 송신하고 현장메인컴퓨터(170)는 건조 정보를 수신하여 곡물건조기(12)의 작동의 정상여부를 판단하고 미곡에 대한 건조량의 조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건조조절정보를 송신하는 방식으로 양방향 원격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건조정보와 건조조절정보에는 곡물의 건조정도의 표시, 건조휀 조절, 건조량, 습도 및 온도 표시 및 조절내용이 등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곡물 건조기(12)에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장착하여 필요한 제어를 수행하고 현장메인컴퓨터(170)와의 통신을 통해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사일로(13)는 벼의 저장 및 건조를 수행한다. 사일로(13)에는 중량센서, 습도센서, 온도센서등을 더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톤백계량기(14)는 곡물의 실중량을 계량한다. 톤백계량기(14)에는 중량센서을 더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료저장탱크(15)는 원료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원료저장탱크(15)는 레벨센서, 습도센서를 더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d는 현미가공 공정부(130)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현미 가공 공정부(130)는 연류계(16), 석발기(17), 현미기 왕겨풍구(18), 현미 분리기(19), 현미저장탱크(20)등으로 구성되어질 수 있다.
연류계(16)는 벼, 현미, 백미의 중량을 체크한다. 연류계(16)에는 중량센서을 더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석발기(17)는 원료벼에 포함된 돌, 먼지 등 원료와 비중이 다른 이물질을 제거한다. 현미기(18)는 원료벼의 겉껍질 즉 왕겨를 제거하고 왕겨풍구(18)는 벼, 현미 왕겨 혼합물에서 왕겨를 선별한다. 현미기(18)와 왕겨풍구(18)는 회전제어센서를 더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미분리기(19)는 현미와 벼를 분리한다. 현미저장탱크(20)는 현미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레벨센서, 습도센서를 더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e는 정미가공 공정부(140)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정미 가공 공정부(140)는 미질 조절기(21), 정미기(22), 로터리 시후더(23)로 구성되어질 수 있다.
미질조절기(21)는 쌀 품질개선 및 수율향상을 위한 기계로서 백도, 습도, 온도, 압력, 회전제어센서를 더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미기(22)는 현미의 미강 제거를 수행하고 압력, 백도, 회전제어센서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터리 시후다는 쇄미 및 싸래기 선별한다. 로터리 시후다에는 기본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e는 백미가공 공정부(150)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백미 가공 공정부(150)는 색채선별기(24)와 청결미기(25)로 구성되어질 수 있다.
색채선별기(24)는 백미속에 포함된 착색립, 뉘, 풀씨, 쥐똥등 이물질을 선별한다. 색채선별기(24)에는 통신보드를 장착하여 양방향 원격제어(151)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질 수 있다. RS 232나 485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이를 실현할 수 있다.
색채선별기(24)가 미곡속에 포함된 이물질의 선별 상태를 포함하는 선별정보를 송신하고 현장메인컴퓨터(170)는 선별정보를 수신하여 색채선별기(24)의 작동의 정상여부를 판단하고 미곡속에 포함된 이물질의 선별에 대한 원격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선별제어정보를 송신하는 방식으로 양방향 원격제어가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색채 선별기(24)에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장착하여 필요한 제어를 수행하고 현장메인컴퓨터(170)와의 통신을 통해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청결미기(25)는 백미 표면에 부착된 미강 및 이물질을 제거한다. 청결미기(25)에는 중량, 백도, 습도, 온도, 압력, 회전제어센서를 더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g는 제품 계량 및 포장 공정부(160)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품 계량 및 포장 공정부(160)는 자동계량기(26), 포장기(27), 재봉기(28)로 구성되어질 수 있다.
자동 계량기(26)는 포장될 제품의 무게를 측정하고 포장기(27)는 제품을 포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자 계량기(26)와 포장기(27)에는 중량센서를 더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봉기(28)는 포장된 제품을 재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1h는 곡물이송 공정부(190)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곡물이송 공정부(190)는 버킷 엘리버이터(29), 벨트 켄베이어(30), 체인 컨베이어(31), 스크류 컨베이어(32)로 구성되어질 수 있다.
버킷 엘리베이터(29)는 곡물의 수직이송에 유용하며, 벨트 컨베이어(30)는 곡물의 수평 또는 경사가 비교적 완만한 경우에 유용하며, 체인 컨베이어(31)와 스크류 컨베이어(32)는 마모성이 적은 입체 또는 분체의 이송에 유용하여 앞서 살펴본 각각의 공정부가 상호 연관되어 하나의 작업체게를 이루도록 각각의 공정부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버킷 엘리버이터(29), 벨트 켄베이어(30), 체인 컨베이어(31), 스크류 컨베이어(32)에는 중량 센서와 회전제어센서를 더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장메인컴퓨터(170)는 현장메인컴퓨터 단자(171), 마이크로 프로세서 제어부(172), 그래픽 표시부(173), 외부통신 제어부(174)로 구성되어질 수 있다. 현장메인컴퓨터(170)는 단자를 통해 앞서 살펴본 곡물 가공 기계 각각의 처리특성에 따른 처리상태정보를 입력받고 마이크로 프로세서 제어부(172)는 처리상태정보에 따라 상기 각 곡물 가공 기계의 동작을 그래픽 표시부(173)에 시각적으로 보여주고 곡물 가공 기계의 작동에 대해 에러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있어 에러정정을 위한 제어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공장 자동화 설비와 공정 제어 및 모니터링을 위한 MMI(Man Mashine Interface)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다.
고객 지원을 위한 각종 정보 즉, 최근 농산물 물가정보 및 수출입의 동정, 미곡종합처리장 소식, 최신 곡물 가공기계의 정보와 기타 오락물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곡물 가공 기계의 작동 에러에 대한 조치방법을 구비하고 있는 원격관리국 시스템(180)은 현장메인컴퓨터(170)와 인터넷등의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다.
원격관리국 시스템(180)은 앞서 에러 정정을 위한 제어 정보를 통해 곡물 가공 기계의 작동의 정상화가 불가하였을 경우 그러한 사실을 담고 있는 제어불가정보를 현장메인컴퓨터(170)로부터 수신하고 제어불가정보에 관련하여 곡물 가공 기계의 정상 작동을 위한 조치 즉, 에러 처리 방법 또는 처리 불가능시에 현장 방문까지 작업중단 명령등으로 이루어 질 수 있는 지시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원격관리국 시스템(180)으로 현장메인컴퓨터(170)의 그래픽 표시부(173)에 나타나는 생생한 작동 정보를 전송하여 원격제어가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도 1a에서는 원격관리국 시스템(180)이 하나의 현장메인컴퓨터(170)와만 연결되었지만 실제로 전국 여러 곳의 미곡종합처리장내의 현장메인컴퓨터(170)와 같은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원격지에서 미곡종합처리장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곡물 가공 기계의 에러 발생시의 조치에 대한 일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곡물 가공 기계에서 에러가 발생하여(201) 현장메인컴퓨터 단자(171)로 에러 정보가 전송된다(202). 에러 정보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제어부(172)로 전송되어 마이크로 프로세서 제어부(172)에서는 에러 정보에 대한 에러 화일을 생성 및 저장하고 그래픽 표시부(173)에 에러 상황을 표시한다(203). 에러 정보의 내용에 대응하는 에러 코드를 결정하여 분석하고 동시에 여러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우선 처리 순위를 결정한다(205).
현장메인컴퓨터(170)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제어부(172)에는 곡물 가공 기계 각각에 대해 발생 가능한 모든 에러 정보에 대응하고 우선 처리 순서가 결정되어진 복수의 에러 코드들이 저장되어 있다. 이러한 우선 처리 순서를 정하는 것은 가공 공정의 중요성 및 흐름에 따르는 제어를 기본으로 하여 정해진다.
예컨대 저장탱크등이 존재하는 곡물 가공 기계들은 어느 정도의 지연 시간을 가질 수 있으므로 우선 처리 순서에 있어 그 순위가 밀릴수 있다. 또한 에러가 발생한 곡물 가공 기계에 의해 다른 곡물 가공 기계의 작동에 영향을 줄 수 있다면 상대적으로 우선 처리 순서에 있어 그 순위가 상대적으로 앞으로 정해 진다. 예를 들어 에러 코드로서 E000 부터 E999까지 1000가지 내용을 기본으로 하여 계속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현장메인컴퓨터(170)는 에러 해당 곡물 가공 기계에 대한 원격제어 정보 송신할 수 있고 곡물 가공 기계의 정지 또는 작업경고를 지시할 수 있다. 일정시간 이상 응답이 없을 경우 현장 담당자에게 연락할 수 있다(206). 현장 담당자의 처리가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207) 가능한 경우에는 에러 및 조치내용을 마이크로 프로세서 제어부(172)에 저장하고 재가동 여부를 확인한다(209).
불가능한 경우에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통신망을 이용하여 원격관리국 시스템(180)으로 접속할 수 있다(211). 이 경우 원터치 클릭으로 자동 통신 접속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다. 원격관리국 시스템(180)에서는 에러 상황 데이터를 수신하고(212) 관리국 담당자가 이러한 에러를 확인한다(213). 이 경우에도 현장메인컴퓨터(170)에서와 같이 미리 현장내 제어 불가 에러에 대한 같은 방식의 제어 코드를 저장하여 관리함으로서 시스템내에서 자체적으로 에러 상황 데이터에 대응하는 처리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에러 상황에 대한 처리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214) 가능한 경우에는 시험가동을 수행하고 에러 및 조치내용에 대한 기록을 저장한다(216). 불가능한 경우에는 미처리 에러데이터를 입수하고(215) 애프터 서비스 담당자에게 직접 처리하도록 지시한다(217). 그 후에 처리 결과를 보고 받아 이를 새로운 제어 코드로서 생성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2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곡물 가공 기계에 에러 발생시 미리 정의된 에러코드를 현장 프로세서 모니터에 표시하는 동시에 시스템에 저장을 하고, 여러 개의 에러 발생시 에러우선순위를 자동으로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통하여 먼저 수행해야할 에러 코드를 차례로 표시하도록 한다. 또한 이 저장된 에러코드 파일은 현장에서 수리불가시 아이콘 클릭에 의해 자동으로 최근 화일을 원격관리국 시스템(180)으로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질 수 있다.
도 3은 원격관리국 시스템(180)과 현장메인컴퓨터(170)와의 원격제어에 관한 일 흐름예를 도시한 것이다. 원격관리국 시스템(180)에서 원격 제어 시작 정보를 송신한다(310). 현장메인컴퓨터(170)에서는 원격제어 시작 인식 신호 및 회원코드를 전송한다(320). 이어 에러 코드를 포함하는 제어불가정보를 송신한다(330). 원격관리국 시스템(180)은 원격 제어 및 에러처리 제어명령을 포함하는 지시정보를 송신하고(340) 원격 제어 처리 상태를 수신한다(350). 이어 원격 제어 및 에러 처리 제어 명령을 종료하는 신호를 송신하고(360) 결과 통보 및 원격 제어를 종료한다(370). 현장메인컴퓨터(170)는 원격 제어 종료 인식 신호를 송신한다(380).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다. 즉, 본 발명이 추구하는 원격지에서의 에러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은 구축된 시스템을 기반으로 여러가지 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4는 현장메인컴퓨터(170)와 현장 수동 제어 판넬의 현장 설치 실체도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PC모니터(410), 수동 제어 판넬(420), 경보기(430), 경보등(440), EMG(Emergency) 버턴(450, 460), 수동 제어 키보드(470), 컴퓨터 키보드(480), 기존 운영 관리 시스템(490)로 구성되어질 수 있다.
PC모니터는 그래픽 표시부(173)의 일 실시예이다. 수동 제어 판넬(420)에서는 간단한 시각적 정보만을 제공할 뿐이다. 또한 경보기(430), 경보등(440), EMG 버턴(450, 460)을 통해 긴급상황을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그래픽 표시부(173)의 일 예인 PC모니터(410)에서는 에러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그 구체적인 부분과 해당하는 곡물 가공 기계의 가공 특성에 맞는 정보를 앞서 살펴본 센서를 통해 에러 상화을 보다 자세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현장메인컴퓨터(170)의 그래픽 표시부(173)에 보이는 화면의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각 곡물 가공 기계 대한 화면은 원료 투입부(501), 제망기 및 조선기(502), 호퍼스케일(503), 사각빈(504), 곡물 건조기(505), 사일로(506), 톤백 계량기(507), 원료저장 탱크(508), 연류계(509), 진공식 석발기(510), 현미기 및 왕겨풍구(511), 현미분리기(512), 현미석발기(513), 현미저장탱크(514), 미질 조절기(515), 정미기(516), 로타리 시후다(517), 색채 선별기(518), 청결미기(519), 제품 저장 탱크(520), 무인 자동계량 포장기(521), 무인 소포장기(522), 전자 계량기(523), 미싱포장기 및 비닐 접착기(524)로 구성되어져 있다.
또한 수직 이송, 수평 또는 완만한 경사 이송, 마모성이 적은 입체 또는 분체의 이송등을 필요로 하는 부분에 각각 사용하여 각각의 공정부가 하나의 작업체계를 이루도록 연결하는 버킷 엘리베이터(525), 벨트 콘베이어(526), 스크류 콘베이어(527)도 구성에 부가되어 미곡종합처리 과정의 진행 상황을 한 눈에 볼 수 있게 된다.
도 6은 미곡종합처리장의 통합전기판넬 시스템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a에서 살펴본 원료투입 공정부(610), 건조저장 공정부(620), 현미가공 공정부(630), 정미가공 공정부(640), 백미가공 공정부(650), 제품 계량 및 포장 공정부(660), 곡물이송 공정부(690)로 동일하게 구성되어지고 현장 수동 제어 판넬 단자(670)에 연결되어 표시 및 제어부(680)로 신호를 보내어 곡물 가공 기계의 동작에 관한 표시로서 온 오프(ON/OFF) 제어 및 표시를 수행한다.
도 1a과 도 6과 관련하여 본 발명은 도 6의 통합전기판넬 제어 시스템과 함께 앞서 살펴본 원격통합 운영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도 4의 현장 설치 실체도가 이러한 본 발명의 일 구축예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과 도 6은 상호 결합하여 실시될 수 있음이 자명하다.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미곡종합처리장의 원격통합 운영시스템에서 가능한 관련정보 서비스와 관련하여서 원격관리국 시스템(180)은 고객 지원을 위한 각종 정보 즉, 최근 농산물 물가정보 및 수출입의 동정, 미곡종합처리장 소식, 최신 곡물 가공기계의 정보와 기타 오락물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격관리국시스템(180)은 현장메인컴퓨터(170)와 인터넷등의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기에 고객 지원 서비스를 별도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넷등의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고객 지원 서비스는, 고객의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고객지원을 위해 인터넷 상에 구축된 고객 지원 시스템에 접속하는 단계; 및 고객이 요청하는 서비스 내용을 상기 고객 지원 시스템에서 찾아서 고객에게 제공하는 과정으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다. 이 경우 원격 고객 지원 시스템의 역할을 앞서 살펴본 원격관리국 시스템(180)이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미곡종합처리장의 각 곡물 가공 기계의 작동 상황에 대한 보다 상세한 시각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원격제어가 필요한 곡물 가공 기계에 대한 원격 제어가 가능하여 각 곡물 가공 기계의 에러와 관련한 조치를 보다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원격지의 원격관리국에서 미곡종합처리장의 각 곡물 가공 기계의 작동 에러에 대한 조치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미곡종합처리장내 곡물 가공 기계등에 대한 애프터서비스 요청 건수를 줄이고 애프터서비스 요원들의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애프터서비스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첨단화된 미곡종합처리장의 원격통합 운영시스템과 더불어 본 발명시스템을 채택한 업체에서는 실시간으로 기기의 노후 및 오작동을 미리 파악함으로써 영업자료로의 이용과 한차원 개선된 서비스들을 고객에게 제공할수 있게 된다. 또한 구축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고객이 필요로 하는 미곡 관련 정보 및 곡물 가공 기계에 대한 정보등을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고객 지원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여 고객이 필요로하는 최근정보 등을 실시간 또는 규칙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Claims (11)

  1. 미곡을 각각 가공 처리하는 곡물 가공 기계로 각각 구성된 원료투입 공정부(610), 건조저장 공정부(620), 현미가공 공정부(630), 정미가공 공정부(640), 백미가공 공정부(650), 제품 계량 및 포장 공정부(660) 및 곡물 이송 공정부(690)를 포함하고, 상기 곡물 가공 기계 각각의 처리특성에 따른 처리상태정보를 출력하고, 적어도 하나의 곡물 가공 기계의 정상 작동을 위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곡물 가공 기계의 작동을 제어하는 곡물가공부(100);
    상기 각 처리상태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처리상태정보에 따라 상기 각 곡물 가공 기계의 동작을 소정의 방법으로 표시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곡물 가공 기계의 정상 작동을 위한 상기 제어정보를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현장메인컴퓨터(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곡종합처리장의 원격 통합 운영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상태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곡물 가공 기계의 에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현장메인컴퓨터(170)는 상기 곡물 가공 기계 각각에 대해 발생 가능한 모든 에러 정보에 대응되며 우선 처리 순서가 결정되어지고 에러 정정 방법을 각각 참조할 수 있는 복수의 에러 코드들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처리상태정보에 있는 에러 정보에 대응하는 에러 코드가 참조하는 에러 정정 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곡종합처리장의 원격통합 운영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메인컴퓨터(170)는 상기 제어 정보를 통한 상기 곡물 가공 기계의 작동의 정상화가 불가하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불가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어불가 정보에 관련하여 상기 곡물 가공 기계의 정상 작동을 위한 지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곡물 가공 기계의 정상 작동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현장메인컴퓨터(170)로부터 상기 제어불가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불가정보에 관련하여 상기 곡물 가공 기계의 정상 작동을 위한 상기 지시정보를 송신하는 원격관리국시스템(18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곡종합처리장의 원격 통합 운영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메인컴퓨터(170)는 곡물 가공 기계에 대한 특징 및 사양을 포함하는 곡물 가공 기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원격관리국 시스템(180)은 곡물 가공 기계에 대한 특징 및 사양을 포함하는 곡물가공기계 정보와 농산물 물가정보 및 농산물의 수출입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곡물 가공 기계에 대한 특징 및 사양을 포함하는 곡물 가공 기계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곡종합처리장의 원격 통합 운영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투입 공정부(110)는 미곡에 대해 원료량 및 수분값를 측정하여 상기 측정된 값을 송신하고
    상기 현장메인컴퓨터(170)는 상기 측정된 값을 수신하고, 상기 측정된 값에 따라 미곡에 대한 물류관리 및 수매시 수매전표의 발행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곡종합처리의 원격통합 운영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메인컴퓨터(170)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소정의 통신수단을 구비하며, 미곡에 포함된 수분의 정도를 포함하는 건조정보를 송신하는 곡물건조기(12)가 상기 건조저장 공정부(120)에 포함되고
    상기 현장메인컴퓨터(170)는 상기 건조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곡물건조기(12)의 작동의 정상여부를 판단하고 미곡에 대한 건조량의 조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건조조절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곡종합처리장의 원격통합 운영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메인컴퓨터(170)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소정의 통신수단을 구비하며, 미곡속에 포함된 이물질의 선별 상태를 포함하는 선별정보를 송신하는 색채선별기(24)가 상기 백미가공 공정부(150)에 포함되고
    상기 현장메인컴퓨터(170)는 상기 선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색채선별기(24)의 작동의 정상여부를 판단하고 미곡속에 포함된 이물질의 선별에 대한 원격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선별제어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곡종합처리장의 원격통합 운영시스템.
  8. 미곡을 소정의 방법으로 처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곡물 가공 기계를 포함하는 곡물가공부(100)와 현장메인컴퓨터(170)가 RS 232, 485통신 또는 내부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통신수단을 매개로 연결되어 미곡종합처리장의 원격통합 운영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적어도 하나의 곡물 가공 기계로부터 작동에 관한 에러 정보를 포함하는 처리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처리 상태 정보에 따라 소정의 방법으로 상기 곡물 가공 기계의 작동을 표시하는 단계;
    (c) 곡물 가공 기계 각각에 대해 발생 가능한 모든 에러 정보에 대응되며 에러 정정 방법을 각각 참조할 수 있는 복수의 에러 코드중에서 상기 에러 정보에 대응되는 에러 코드를 결정하는 단계;
    (d) 상기 처리상태정보에 있는 에러 정보에 대응하는 에러 코드가 참조하는 에러 정정 방법을 포함하는 제어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e) 상기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곡물 가공 기계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곡종합처리장의 원격통합 운영서비스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c) 단계의 복수의 에러 코드는 우선 처리 순서가 결정되어지고
    복수의 에러 정보의 발생시에 상기 우선 처리 순서에 따라 각각 (d) 단계 및 (e)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곡종합처리장의 원격통합 운영서비스 방법.
  10. 미곡을 소정의 방법으로 처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곡물 가공 기계를 포함하는 곡물가공부(100)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현장메인컴퓨터(170)와 원격관리국시스템(180)이 유무선 인터넷 통신을 포함하는 통신망를 통해 연결되어 미곡종합처리장의 원격통합 운영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현장메인컴퓨터(170)가 에러가 발생한 적어도 하나의 곡물 가공 기계의 작동 정상화를 위한 현장내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b) 상기 현장메인컴퓨터(170)로부터 상기 현장내 제어를 통한 상기 곡물 가공 기계의 작동의 정상화가 불가하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불가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제어불가정보에 따라 소정의 방법으로 상기 곡물 가공 기계의 작동을 표시하는 단계;
    (d) 곡물 가공 기계 각각에 대해 발생 가능한 모든 제어불가정보에 대응되며 곡물 가공 기계의 정상 작동을 위한 추가 제어 방법을 각각 참조할 수 있는 복수의 제어 코드중에서 상기 제어불가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를 결정하는 단계;
    (e) 상기 제어불가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어 코드가 참조하는 상기 추가 제어 방법을 포함하는 추가제어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f) 상기 추가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곡물 가공 기계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곡종합처리장의 원격통합 운영서비스 방법.
  11. 제 8항 또는 제 10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00039582A 2000-07-11 2000-07-11 미곡종합처리장의 원격통합 운영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000590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9582A KR20000059044A (ko) 2000-07-11 2000-07-11 미곡종합처리장의 원격통합 운영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9582A KR20000059044A (ko) 2000-07-11 2000-07-11 미곡종합처리장의 원격통합 운영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9044A true KR20000059044A (ko) 2000-10-05

Family

ID=19677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9582A KR20000059044A (ko) 2000-07-11 2000-07-11 미곡종합처리장의 원격통합 운영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59044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6123B1 (ko) * 2001-06-18 2003-08-27 한성공업 주식회사 농수산물.곡물 건조기의 원격 제어시스템
KR20030082860A (ko) * 2002-04-18 2003-10-23 주식회사 풍년농산 미곡 저장창고 및 저장방법
KR100416074B1 (ko) * 2001-02-16 2004-01-24 (주) 성산기업 자동 미곡처리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720833B1 (ko) * 2005-07-08 2007-05-22 주식회사 두손 온습도측정기가 부착된 사일로 원격제어 장치 및원격제어방법
KR100842177B1 (ko) * 2006-09-20 2008-06-30 (주)제이브이엠 정제자동포장기의 통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27796B1 (ko) * 2018-01-22 2019-02-26 최보규 IoT 기반의 미곡종합처리장 설비보전 및 운영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90064B1 (ko) * 2019-08-19 2020-03-17 이성봉 향상된 건조저장시설을 갖는 미곡 처리설비
KR102091425B1 (ko) * 2019-08-19 2020-03-20 이성봉 영양미 생산을 위한 시설을 갖는 미곡 처리설비
KR102094879B1 (ko) * 2019-08-19 2020-03-30 이성봉 양질미 생산을 위한 미곡 처리방법
KR102160901B1 (ko) 2020-07-09 2020-09-29 농업회사법인 (주)보람 곡물 운반용 용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2961A (ja) * 1989-05-02 1991-03-28 Shinnakano Kogyo Kk 全自動精米装置
JPH0730676A (ja) * 1993-07-09 1995-01-31 Iseki & Co Ltd 穀粒調整機の管理用デ−タ通信システム
JPH0871435A (ja) * 1994-08-30 1996-03-19 Kazuhiko Masui 自動精米装置
JPH1019465A (ja) * 1996-07-03 1998-01-23 Yamamoto Mfg Co Ltd 穀粒乾燥機における運転制御装置
KR980000187U (ko) * 1997-11-11 1998-03-30 최병준 벼건조, 저장 시설의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2961A (ja) * 1989-05-02 1991-03-28 Shinnakano Kogyo Kk 全自動精米装置
JPH0730676A (ja) * 1993-07-09 1995-01-31 Iseki & Co Ltd 穀粒調整機の管理用デ−タ通信システム
JPH0871435A (ja) * 1994-08-30 1996-03-19 Kazuhiko Masui 自動精米装置
JPH1019465A (ja) * 1996-07-03 1998-01-23 Yamamoto Mfg Co Ltd 穀粒乾燥機における運転制御装置
KR980000187U (ko) * 1997-11-11 1998-03-30 최병준 벼건조, 저장 시설의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6074B1 (ko) * 2001-02-16 2004-01-24 (주) 성산기업 자동 미곡처리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396123B1 (ko) * 2001-06-18 2003-08-27 한성공업 주식회사 농수산물.곡물 건조기의 원격 제어시스템
KR20030082860A (ko) * 2002-04-18 2003-10-23 주식회사 풍년농산 미곡 저장창고 및 저장방법
KR100720833B1 (ko) * 2005-07-08 2007-05-22 주식회사 두손 온습도측정기가 부착된 사일로 원격제어 장치 및원격제어방법
KR100842177B1 (ko) * 2006-09-20 2008-06-30 (주)제이브이엠 정제자동포장기의 통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27796B1 (ko) * 2018-01-22 2019-02-26 최보규 IoT 기반의 미곡종합처리장 설비보전 및 운영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90064B1 (ko) * 2019-08-19 2020-03-17 이성봉 향상된 건조저장시설을 갖는 미곡 처리설비
KR102091425B1 (ko) * 2019-08-19 2020-03-20 이성봉 영양미 생산을 위한 시설을 갖는 미곡 처리설비
KR102094879B1 (ko) * 2019-08-19 2020-03-30 이성봉 양질미 생산을 위한 미곡 처리방법
KR102160901B1 (ko) 2020-07-09 2020-09-29 농업회사법인 (주)보람 곡물 운반용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71740B2 (ja) 穀物調製機械の制御装置
KR20000059044A (ko) 미곡종합처리장의 원격통합 운영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20050004682A1 (en) Computer-assisted management of the processing of an agricultural product
JP6876243B2 (ja) 穀物調製設備
CN105608795B (zh) 自动售米机以及自动售米方法
WO2019235899A1 (ko) 시장 가격에 맞춰 용이하게 조정된 금액으로 판매되게 하는 무인 판매 시스템.
CN105651038A (zh) 谷物干燥机的运行信息管理系统
JPH03116395A (ja) 自動販売機データ収集システム
CN104821046A (zh) 一种具有米糠压缩和封装功能的现碾售米机及其售米方法
JP2005305345A (ja) 籾摺プラント
KR100920909B1 (ko) 과채류의 자동 선별/출하 시스템
CN206672138U (zh) 图像式数据采集系统
JP4145399B2 (ja) 組合せ計量装置
EP1489546A1 (en) Computer-assisted management of the processing of an agricultural product
KR101091103B1 (ko) 제품 이력 추적 시스템
JP7287537B2 (ja) 穀物乾燥機の運転情報管理システム
CN108806066A (zh) 运用物流箱进行菜品自助选购的方法及装置
KR102538044B1 (ko) 스마트 rpc 통합 관리 시스템
JP2007000085A (ja) 穀粒出荷設備
CN105752419A (zh) 一种打包控制管理系统
JP2019052844A (ja) 穀物乾燥機の運転情報管理システム
JPH0430799B2 (ko)
JP7123089B2 (ja) 穀物乾燥機の運転情報管理システム
JP2002120213A (ja) ネットワーク型自動化コンクリートプラントの異常監視システム
JP5259331B2 (ja) 計量包装システム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モニター装置、並びに、計量包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