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8799A - 곡물 저장 및 건조 설비 - Google Patents

곡물 저장 및 건조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8799A
KR20040078799A KR1020030013665A KR20030013665A KR20040078799A KR 20040078799 A KR20040078799 A KR 20040078799A KR 1020030013665 A KR1020030013665 A KR 1020030013665A KR 20030013665 A KR20030013665 A KR 20030013665A KR 20040078799 A KR20040078799 A KR 20040078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grain
grains
tower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3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한열
Original Assignee
임한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한열 filed Critical 임한열
Priority to KR1020030013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78799A/ko
Publication of KR20040078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879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Abstract

본 발명은 협소공간에 설치가능하고 곡물의 저장과 건조를 일괄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곡물 저장 및 건조 설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선기, 저장탱크, 호퍼스케일을 상하방향으로 설치함으로써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건조 및 저장공정을 일괄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설비를 협소공간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이송거리의 최소화로 인하여 이송에 따른 곡물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라 품질저하 및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각 구성요소를 상하 일방향으로 집적하여 설치함으로써 승강기의 개수를 줄일 수 있고, 집진장치 등을 공동으로 활용함으로써 설치비를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곡물 저장 및 건조 설비{APPARATUS FOR DRYNESS AND STORAGE OF CEREALS}
본 발명은 곡물 저장 및 건조 설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협소공간에 설치가능하고 곡물의 저장과 건조를 일괄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곡물 저장 및 건조 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탈곡 수확된 곡물은 햇볕에 의해 건조되고, 포대에 담겨 저장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건조 및 저장방식은 많은 노동력과 시간을 낭비하게되고, 특히 비합리적인 건조 및 저장으로 인하여 곡물의 품질저하와 손실이 뒤따랐다.
이에 따라, 자연건조 및 인력에 의한 저장방식을 개선하고자, 건조시설과 저장시설들을 기계화하여 일정부분 자동적으로 건조와 저장을 수행할 수 있는 설비가 제안되었다.
예컨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면상에 곡물투입호퍼(1), 조선기(2), 호퍼스케일(3), 사일로(4)가 구비되고, 곡물투입호퍼(1)로부터 곡물을 반출받아 조선기(2)로 이송하기 위한 제1승강기(5)와, 조선기(2)로부터 조선된 곡물을 반출받아 호퍼스케일(3)의 상단에 마련된 저장탱크(6)로 이송하기 위한 제2승강기(7)와, 호퍼스케일(3)에서 계량된 곡물을 반출받아 사일로(4)로 이송하기 위한 제3승강기(8)가 구비되며, 이송된 곡물을 사일로(4)로 투입하기 위한 투입체인콘베어(9)와, 사일로(4)에 투입된 곡물을 반출하기 위한 반출체인콘베어(10)가 구비된다. 그리고 제1승강기(5), 조선기(2), 제2승강기(7) 및 제3승강기(8) 각각에는 별도의 집진장치(11,13,12,14)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따르면 곡물투입호퍼에 곡물을 투입함에 따라 자동적으로 건조와 저장이 이루어진다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위 구성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각 구성요소가 동일면상에 위치함으로써 설치면적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그에 따라 협소공간의 경우 설치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각 구성요소가 동일면상에 위치함으로써 곡물의 이송거리가 길어지고, 그에 따라 곡물의 피로도가 증가하여 품질저하와 손실의 우려가 있었다.
셋째, 각 구성요소가 동일면상에 위치함으로써 각각의 구성요소에 곡물을 투입하기 위한 별도의 승강기가 구비되어야 하고, 별도의 집진장치가 구비되어야 하는 바, 그에 따라 설치비가 과다하게 소요되고 설비가 복잡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협소공간에 설치가능하고 건조 및 저장을 일괄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곡물 건조 및 저장 설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곡물의 이송거리를 최소화하여 곡물의 피로도를 저감시키는 한편 그에 따라 곡물의 품질저하 및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곡물 건조 및 저장 설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 구성요소를 상하 일방향으로 집적하여 승강기의 개수를 줄이는 한편 집진장치 등을 공동으로 활용함으로써 설치비를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곡물 건조 및 저장 설비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곡물 저장 및 건조 설비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 저장 및 건조 설비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 저장 및 건조 설비의 타워 부분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 저장 및 건조 설비 중 분배기의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 저장 및 건조 설비의 공정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타워 30 : 호퍼
35 : 조선기 40 : WJWKDXODZM
45 : 호퍼스케일 50 : 제1승강기
55 : 제2승강기 60 : 사일로
65 : 투입콘베어 70 : 반출콘베어
75 : 반출콘베어 80 : 분배기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다층으로 이루어진 타워와, 타워의 하단에 위치하며 운송된 곡물을 투입받기 위한 투입호퍼와, 투입호퍼로부터 곡물을 반출받아 타워 상방(上方)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1승강기와, 제1승강기로부터 곡물을 이송받아 조선공정을 수행하며 타워 상단에 위치한 조선기와, 조선기로부터 조선된 곡물을 낙하받아 저장하기 위한 저장탱크 및, 저장탱크로부터 곡물을 낙하받아 계량하며 타워 중단에 위치한 계량기와, 계량기로부터 계량된 곡물을 반출받아 상방으로 재차 이송하기 위한 제2승강기와, 제2승강기로부터 이송된 곡물을 받아 사일로에 저장할 수 있도록 이송하는 투입콘베어와, 사일로에 저장된 곡물을 반출받아 제2승강기를 통해 이송되도록 제2승강기 하단까지 연장형성된 반출콘베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2승강기 상단에 인접하여 외부로 곡물을 반출하기 위한 외부반출콘베어가 더 구비되고, 제2승강기로부터 이송된 곡물을 투입콘베어 또는 외부반출콘베어로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제2승강기 상단에 분배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승강기와 제2승강기에는 그 상부에 먼지 흡입덕크가 연결되어 하나의 관로로 취합되고, 공기를 이송매체로 하여 먼지 등을 집진할 수 있도록 집진팬 및 집진 싸이클론이 구비되고, 조선기에는 조선과정 중 송풍되어진 미숙립, 검불 등을 포함하는 이물질을 집진할 수 있도록 집진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곡물 건조 및 저장 설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 건조 및 저장 설비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 건조 및 저장 설비의 타워 부분의 상세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층으로 이루어진 타워(20)와, 타워(20) 하단에 위치하며 경운기나 트렉터 등의 운송수단에 의해 운송된 곡물을 투입받기 위한 투입호퍼(30)와, 이송거리를 최소화하는 한편 낙하에 의해 곡물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타워(20) 각층에 조선기(35), 저장탱크(40) 및 호퍼스케일(45)이 구비된다.
또, 투입호퍼(30)에 투입된 곡물을 타워(20) 상방(上方)으로 이송시켜 조선기(35)에 공급할 수 있도록 연장형성된 제1승강기(50)와, 호퍼스케일(45)에서 계량된 곡물을 사일로(60)에 저장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2승강기(55)가 구비된다.
또한, 제2승강기(55)에 의해 이송된 곡물을 받아 상기 사일로(60)에 저장하기 위한 투입콘베어(65) 및 사일로(60)에 저장된 곡물을 반출받아 제2승강기(55)측으로 이송하기 위한 반출콘베어(70)가 구비된다.
전술한 기술적 구성에서 타워(20)는 다층(多層)으로 이루어지며, 철골 또는 콘크리트 등의 구조물로 판넬 등에 의해 외벽이 형성된다. 예컨대, 경운기나 트렉터 등의 운송수단에 의해 곧바로 곡물을 하역할 수 있도록 바닥면, 즉 하단에 투입호퍼(30)가 구비되고, 조선기(35), 저장탱크(40), 호퍼스케일(45)을 상하방향으로 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단(21)과 중단(22)이 구비된다.
투입호퍼(30)는 운송수단 등에 의해 곡물을 하역받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바, 하역(투입)된 곡물이 제1승강기(50)를 통하여 조선기(35)측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제1승강기(50) 하단까지 연장 형성되어진 이송콘베어(31)를 포함한다.
제1승강기(50)는 투입호퍼(30)에 하역(투입)된 곡물을 이송콘베어(31)를 통해 이송받아 타워(20) 상단에 위치한 조선기(35)까지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 일례로 버킷타입으로 제작된다. 버킷타입은 밀폐공간부에 구동풀리에 의해 구동되는 이송벨트에 다수의 버킷이 설치되고, 이송 중 그 상단에서 버킷이 회전함에 따라 배출구를 통하여 곡물이 외부로 이송되어지게된다.
조선기(粗選機;35)는 제1승강기(50)로부터 이송된 곡물로부터 검불이나 미숙립, 돌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일례로 조선기로 투입된 곡물은 조선기 상부의 로우터리 밸브에 의해 일정하게 공급되고, 로우터리망에서 미탈곡 줄기나 검불 등 큰 물질이 분리되며, 로우터리망을 통과한 곡물은 진동강에 떨어져서 망 아래를 통하여 나오는 바람에 의해 미숙립, 먼지 등의 비교적 가벼운 이물질이 분리된다. 또한, 진동체를 통과하면서 돌 등 비교적 무거운 이물질이 분리되어 조선기 외부로 배출되어진다. 조선과정 중 먼지, 미숙립 등의 가벼운 이물질은 팬(36)에 의해 집진기(37)로 배출되어진다.
저장탱크(40)는 조선기(35)로부터 조선공정을 거친 곡물을 계량하기 전에 임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곡물의 이송거리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조선기(35)의 곡물 배출구 하단에 위치된다. 즉, 조선공정을 거친 곡물은 낙하되어 저장탱크(40)에 저장되게된다.
호퍼스케일(45)은 저장탱크(40)로부터 반출된 곡물을 계량하기 위한 것으로, 곡물의 이송거리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저장탱크(40)의 배출구 하단에 위치되며,타워(20)의 중단(22)에 설치된다. 일례로 호퍼스케일(45)은 저장탱크로부터 곡물이 투입됨에 따라 무게가 측정되어지며, 밸런스를 사용한 기계적인 방법에 의해 계량되어진다.
또한, 호퍼스케일(45)은 계량된 곡물을 제2승강기(55)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호퍼스케일(45)의 배출구로부터 제2승강기(55)까지 연장형성된 이송콘베어(46)를 포함한다.
제2승강기(55)는 사일로(60)의 반출콘베어(70)로부터 투입콘베어(65)까지 연장형성되며, 그 중간에 호퍼스케일(45)의 이송콘베어(46)로부터 곡물을 공급받아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즉, 사일로(60)의 곡물을 건조의 목적으로 순환시킬 경우 제2승강기(55)가 작동함에 따라 사일로(60)에서 반출된 곡물은 반출콘베어(70)에 의해 이송되고, 이후 제2승강기(55)에 의해 상방으로 이송되며, 이송된 곡물은 투입콘베어(65)에 의해 다시금 사일로(60)에 저장되게된다.
또한, 호퍼스케일(45)에 의해 계량된 곡물을 저장할 경우 제2승강기(55)가 작동함에 따라 호퍼스케일(45)의 이송콘베어(46)로부터 이송된 곡물은 제2승강기(55)를 타고 상방으로 이송되며, 이송된 곡물은 투입콘베어(65)에 의해 사일로(60)에 저장되게된다. 이를 위하여 호퍼스케일(45)의 이송콘베어(46)는 제2승강기(55)의 버킷에 인접하여 설치된다.
그리고 사일로(60)는 곡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공간으로, 그 상단에 곡물을 이송하기 위한 투입콘베어(65)와, 이송된 곡물을 투입받기 위한 투입구(61)가 구비되고, 그 하단에 저장된 곡물을 반출하기 위한 반출구(62)와, 반출된 곡물을 이송하기 위한 반출콘베어(70)가 구비된다. 투입콘베어(65)는 제2승강기(55)의 상단과 인접하여 설치되고, 반출콘베어(70)는 제2승강기(55) 하단까지 연장형성된다.
한편, 제2승강기(55) 상단에 인접하여 외부로 곡물을 반출하기 위한 외부반출콘베어(75)가 구비되는 바, 이에 따라, 제2승강기(55) 상단에는 제2승강기(55)로부터 이송된 곡물을 투입콘베어(65) 또는 외부반출콘베어(75)로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분배기(80)가 구비된다.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배기(80)는 일측단이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관로로 제어신호에 따라 유압부(미도시)가 작동하여 관로의 끝단을 투입콘베어(65) 또는 외부반출콘베어(75) 측으로 절환되게된다.
그리고 제1승강기(50)와 제2승강기(55) 및 조선기(35)측에는 집진장치가 설치된다.
예컨대, 밀폐공간부로 구성된 제1승강기(50)와 제2승강기(55)에는 그 상부에 먼지 흡입덕트가 연결되어 하나의 관로로 취합되고, 집진팬(51)이 구동됨에 따라 공기를 이송매체로 하여 먼지 등이 집진 싸이크론(52)으로 배출된다.
조선기(35)에는 조선과정 중 팬(36)의 구동에 따라 미숙립, 검불 등을 포함하는 이물질 등이 집진기(37)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집진장치는 집진이 용이하도록 타워의 중단(22) 높이로 타워(20)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다음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곡물 건조 및 저장 설비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곡물 건조 및 저장 설비는 원격제어된다.
먼저, 투입호퍼(30)에 곡물이 투입되면, 투입된 곡물은 이송콘베어(31)에 의해 제1승강기(50)측으로 이송된다.
이송된 곡물은 제1승강기(50)를 통하여 타워(20) 상단에 위치한 조선기(35)에 공급되고, 조선기(35)는 공급된 곡물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조선과정을 수행한다.
조선된 곡물은 별도의 이송없이 낙하되어 그 하단에 위치한 저장탱크(40)에 저장되고, 저장탱크(40)로부터 반출된 곡물은 별도의 이송없이 낙하되어 호퍼스케일(45)에 의해 계량된다. 즉, 조선기(34), 저장탱크(40), 호퍼(45)가 상하 일방향으로 배열됨에 따라 이송거리를 최소화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곡물의 피로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계량된 곡물은 이송콘베어(46)에 의해 제2승강기(55)측으로 이송된다.
이송된 곡물은 사일로(60) 상단까지 연장형성된 제2승강기(55)를 통하여 상방으로 이송되고, 이송된 곡물은 분배기(80)를 거쳐 투입콘베어(65)에 전달된다. 그에 따라 곡물은 투입콘베어(65)에 의해 이송되어 사일로(60)에 저장되게된다.
만약, 분배기(80)가 외부반출콘베어(75)측으로 절환된 경우 사일로(60)에 저장됨이 없이 외부반출콘베어(75)에 의해 외부로 반출되게된다.
한편, 사일로(60)의 곡물을 건조의 목적으로 순환시킬 경우, 사일로(60)에서 반출된 곡물은 반출콘베어(70)에 의해 이송되어 제2승강기(55) 측으로 이송되고,이송된 곡물은 제2승강기(55)가 작동함에 따라 상방으로 이송되며, 이송된 곡물은 분배기(80)를 거쳐 투입콘베어(65)에 실린다. 그에 따라 곡물은 투입콘베어(65)에 의해 이송되어 사일로(60)에 다시금 저장되게된다.
그리고 설비의 운전 중 제1승강기(50)와 제2승강기(55)는 집진팬(51) 및 집진 싸이클론(52)에 의해 집진이 이루어지고, 조선기(35)는 집진기(37)에 의해 집진이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조선기, 저장탱크, 호퍼스케일을 상하방향으로 설치함으로써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건조 및 저장공정을 일괄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설비를 협소공간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이송거리의 최소화로 인하여 이송에 따른 곡물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라 품질저하 및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구성요소를 상하 일방향으로 집적하여 설치함으로써 승강기의 개수를 줄일 수 있고, 집진장치 등을 공동으로 활용함으로써 설치비를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곡물 건조 및 저장 설비에 있어서,
    다층으로 이루어진 타워와,
    상기 타워의 하단에 위치하며 운송된 곡물을 투입받기 위한 투입호퍼와,
    상기 투입호퍼로부터 곡물을 반출받아 상기 타워 상방(上方)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1승강기와,
    상기 제1승강기로부터 곡물을 이송받아 조선공정을 수행하며 상기 타워 상단에 위치한 조선기와,
    상기 조선기로부터 조선된 곡물을 낙하받아 저장하기 위한 저장탱크 및,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곡물을 낙하받아 계량하며 상기 타워 중단에 위치한 계량기와,
    상기 계량기로부터 계량된 곡물을 반출받아 상방으로 재차 이송하기 위한 제2승강기와,
    상기 제2승강기로부터 이송된 곡물을 받아 사일로에 저장할 수 있도록 이송하는 투입콘베어와,
    상기 사일로에 저장된 곡물을 반출받아 상기 제2승강기를 통해 이송되도록 상기 제2승강기 하단까지 연장형성된 반출콘베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건조 및 저장 설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승강기 상단에 인접하여 외부로 곡물을 반출하기 위한 외부반출콘베어가 더 구비되되,
    상기 제2승강기로부터 이송된 곡물을 상기 투입콘베어 또는 상기 외부반출콘베어로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승강기 상단에 분배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건조 및 저장 설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승강기와 상기 제2승강기에는 그 상부에 먼지 흡입덕크가 연결되어 하나의 관로로 취합되고, 공기를 이송매체로 하여 먼지 등을 집진할 수 있도록 집진팬 및 집진 싸이클론이 더 구비되고,
    상기 조선기에는 조선과정 중 송풍되어진 미숙립, 검불 등을 포함하는 이물질을 집진할 수 있도록 집진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건조 및 저장 설비.
KR1020030013665A 2003-03-05 2003-03-05 곡물 저장 및 건조 설비 KR200400787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3665A KR20040078799A (ko) 2003-03-05 2003-03-05 곡물 저장 및 건조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3665A KR20040078799A (ko) 2003-03-05 2003-03-05 곡물 저장 및 건조 설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6465U Division KR200314700Y1 (ko) 2003-03-05 2003-03-05 곡물 저장 및 건조 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8799A true KR20040078799A (ko) 2004-09-13

Family

ID=37363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3665A KR20040078799A (ko) 2003-03-05 2003-03-05 곡물 저장 및 건조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7879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0064B1 (ko) 2019-08-19 2020-03-17 이성봉 향상된 건조저장시설을 갖는 미곡 처리설비
KR102094879B1 (ko) 2019-08-19 2020-03-30 이성봉 양질미 생산을 위한 미곡 처리방법
KR102620827B1 (ko) * 2023-07-21 2024-01-02 안영일 원료 싸이로 구조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0064B1 (ko) 2019-08-19 2020-03-17 이성봉 향상된 건조저장시설을 갖는 미곡 처리설비
KR102094879B1 (ko) 2019-08-19 2020-03-30 이성봉 양질미 생산을 위한 미곡 처리방법
KR102620827B1 (ko) * 2023-07-21 2024-01-02 안영일 원료 싸이로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205112A (ja) 精米装置
CN102909179A (zh) 种子加工工艺以及种子加工成套设备
KR20040078799A (ko) 곡물 저장 및 건조 설비
KR200314700Y1 (ko) 곡물 저장 및 건조 설비
JP3765169B2 (ja) 穀粒貯留サイロの穀粒量管理装置
KR102182609B1 (ko) 곡물저장설비 및 곡물가공설비의 에너지 절감시스템 및 그 방법
JP5354636B2 (ja) 施設
KR900001462B1 (ko) 곡물의 건조와 저장 및 도정을 겸한 종합 시스템
CN216234561U (zh) 种子清选称重入仓一体装置
CN202222119U (zh) 种子加工专用成套设备
JP3729824B2 (ja) 穀物処理設備
CN215507673U (zh) 一种物料筛选储存及出库系统
JP2860142B2 (ja) カントリーエレベータ等の集塵装置
JP2001050661A (ja) 試料穀物乾燥装置
JP2004057978A (ja) 穀物処理設備における荷受け処理部
JP3896691B2 (ja) 精米施設
JP3540653B2 (ja) 穀物処理設備
CN113968465A (zh) 种子清选称重入仓一体装置
JPH0755469Y2 (ja) 荷受装置
JPH02142417A (ja) カントリーエレベーターやライスセンターにおける荷受装置
JP4400967B2 (ja) 異なる容量の貯留ビン群を備えた穀物乾燥貯蔵施設
KR20200132816A (ko) 곡물저장설비 및 곡물가공설비의 에너지 절감방법
JP4475366B2 (ja) 複数の貯留タンク付き乾燥装置
JPH08989Y2 (ja) 籾摺プラント装置
JP2002090064A (ja) 穀物共同乾燥施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