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0449A -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0449A
KR20180060449A KR1020160159952A KR20160159952A KR20180060449A KR 20180060449 A KR20180060449 A KR 20180060449A KR 1020160159952 A KR1020160159952 A KR 1020160159952A KR 20160159952 A KR20160159952 A KR 20160159952A KR 20180060449 A KR20180060449 A KR 20180060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ub
drain
drain pump
drain p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9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성
최종철
최병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9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0449A/ko
Publication of KR20180060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04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9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는, 열교환기의 하측에 배치된 드레인 팬과 연통되고,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된 서브 드레인 팬; 서브 드레인 팬에 수거된 응축수를 흡입하여 수송하는 드레인 펌프; 서브 드레인 팬의 개구된 상면을 커버하고, 드레인 펌프가 고정되는 메인 커버; 및 저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고, 메인 커버의 상측에 결합되며, 내부에 드레인 펌프가 수용되는 서브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DRAIN PUMP ASSEMBLY AND AIR CONDITIONING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교환기에서 응축된 응축수를 흡입하여 수송하는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건축물 실내의 쾌적한 환경조성을 위하여 실내공기를 냉방시키거나 또는 정화시켜 순환시키는 공기조절장치이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설치위치에 따라 실내기를 벽에 거는 벽걸이형과, 실내기를 바닥면에 설치하는 상치형과, 실내기를 천장에 매달거나 천장 내부에 설치하는 천정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 중 천정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기가 천정에 위치되므로 다른 종류의 공기조화기에 비하여 실내공간의 활용도가 좋은 장점을 가진다.
좀 더 상세히, 천정형 공기조화기는 건물의 천정에 매립 설치되거나 매달리도록 설치되어, 내부에 마련된 냉동사이클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냉기를 하측으로 공급함으로써, 벽걸이형 또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를 설치하기 어려운 영역에 냉난방을 수행하는 천정 장착방식의 공기조화기이다.
특히, 실내기가 천장에 매달리는 타입의 천정형 공기조화기는 실링 서스펜디드(Ceiling-Suspended) 공기조화기로 명명된다.
다만, 종래의 천정형 공기 조화기는 드레인 구조 설치 시 자연 배수 또는 별도의 드레인 펌프를 공기 조화기의 외부에 장착하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었다. 자연 배수의 경우, 작업자의 설치 미숙에 의한 누수 발생이 우려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드레인 펌프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외관상 좋지 않고, 펌프 소음 발생에 의한 사용의 불편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특2002-0044798 A (2002.06.19.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드레인 펌프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저감되는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교체 및 보수점검이 용이한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가 공기조화기의 내부에 장착되어 외관이 디자인적으로 향상되고, 소음이 더욱 저감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는, 열교환기의 하측에 배치된 드레인 팬과 연통되고,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된 서브 드레인 팬; 상기 서브 드레인 팬에 수거된 응축수를 흡입하여 수송하는 드레인 펌프; 상기 서브 드레인 팬의 개구된 상면을 커버하고, 상기 드레인 펌프가 고정되는 메인 커버; 및 저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고, 상기 메인 커버의 상측에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드레인 펌프가 수용되는 서브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펌프는, 구동 모터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 커버의 상측에 위치하는 헤드부; 상기 서브 드레인 팬에 수거된 응축수를 흡입하는 흡입부; 및 상기 흡입부로 흡입된 응축수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 및 배출부는 상기 메인 커버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서브 커버는 상기 메인 커버 보다 작고, 내부 공간에 상기 드레인 펌프의 상기 헤드부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배출부에는 상기 서브 드레인 팬의 외부로 연장되는 배출 유로가 연결되고, 상기 메인 커버에는 상기 배출 유로가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커버는, 상기 서브 드레인 팬의 상면을 커버하는 커버부; 상기 드레인 펌프가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드레인 펌프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송풍 기구 및 열교환기가 배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사이드 커버;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열교환기의 하측에 배치되는 드레인 팬; 및 상기 사이드 커버 내부에 배치되는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는, 상기 드레인 팬과 연통되고,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된 서브 드레인 팬; 상기 서브 드레인 팬에 수거된 응축수를 흡입하여 수송하는 드레인 펌프; 상기 서브 드레인 팬의 개구된 상면을 커버하고, 상기 드레인 펌프가 고정되는 메인 커버; 및 저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고, 상기 메인 커버의 상측에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드레인 펌프가 수용되는 서브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펌프는, 구동 모터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 커버의 상측에 위치하는 헤드부; 상기 서브 드레인 팬에 수거된 응축수를 흡입하는 흡입부; 및 상기 흡입부로 흡입된 응축수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 및 배출부는 상기 메인 커버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서브 커버는 상기 메인 커버 보다 작고, 내부에 상기 드레인 펌프의 상기 헤드부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송풍 기구보다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드레인 팬은 전방으로 갈수록 상방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는 상기 송풍 기구의 사이드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는 상기 본체의 외측면과 상기 사이드 커버의 내측면에 접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커버는, 상기 본체의 일 측면에 결합되는 제1사이드 커버; 및 상기 본체의 타 측면에 결합되는 제2사이드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는 상기 제1사이드 커버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사이드 커버의 내부에는 상기 열교환기에 연결되는 냉매 배관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드레인 팬에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서브 드레인 팬은, 상기 드레인 팬에 형성된 연결부와 상기 유입구를 연결하는 유입유로에 의해 상기 드레인 팬과 연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의 내부에 드레인 펌프가 수용됨으로써 펌프 소음이 저감될 수 있고, 드레인 펌프가 보호될 수 있다.
또한, 본체의 외부에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가 배치됨으로써,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의 교체 및 보수 점검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가 사이드 커버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공기조화기의 외관이 디자인적으로 향상되고, 소음이 더욱 저감될 수 있다.
또한,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를 실링 서스펜디드 타입 공기조화기에 적용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외관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에서 A-A 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에서 B-B 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에서 C-C 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의 외관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외관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실내기 유닛을 의미할 수 있고, 상기 실내기 유닛은 천장에 매달려 설치되는 실링 서스펜디드 타입(Ceiling-suspended type)의 공기 조화기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것을 명확히 밝혀둔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공기 조화기(1)는 본체(2)와, 사이드 커버(3)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는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본체(2)는 전후 방향 길이보다 좌우방향 길이로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체(2)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체(2)의 내부에는 송풍 기구(6, 도 3 참조) 및 열교환기(7, 도 3 참조)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체(2)에는 공기 흡입구(4)와 공기 토출구(5)가 형성될 수 있다.
송풍 기구(6)는 공기조화기(1) 외부의 공기를 공기 흡입구(4)로 흡입하고, 공기조화기(1) 내부에서 열교환기(7)와 열교환된 공기가 공기 토출구(5)로 토출되도록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열교환기(7)는 공기 흡입구(4)를 통해 본체(2) 내부로 유동된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킬 수 있다. 열교환기(7)에서 열교환된 공기는 공기 토출구(5)를 통해 본체(2)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송풍 기구(6)는 열교환기(7)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열교환기(7)는 송풍 기구(6)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 토출구(5)에서는 본체(2) 내부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공기 토출구(5)는 본체(2)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공기 토출구(5)는 본체(2)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의 유동량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 공기 토출구(5)는 본체(2)의 전면 전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공기 토출구(5)에는 풍향 조절 부재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풍향 조절 부재는 공기 토출구(5)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것을 조절하는 댐퍼의 역할을 겸할 수 있다.
공기 흡입구(4)에서는 본체(2) 외부의 공기가 본체(2)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공기 흡입구(4)는 본체(2)의 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공기 흡입구(4)는 본체(2)의 배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공기 흡입구(4)는 본체(2)의 저면 중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공기 흡입구(4)로 유입된 공기가 열교환기(7)에서 열교환되어 공기 토출구(5)로 형성되어야 하므로, 공기 흡입구(4)와 공기 토출구(5)는 열교환기(7)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편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 흡입구(4) 및 공기 토출구(5)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체(2)의 측면에는 사이드 커버(3)가 결합될 수 있다. 사이드 커버(3)는 본체(2)의 양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사이드 커버(3)는 본체(2)의 일 측면에 결합되는 제1사이드 커버와, 타 측면에 결합되는 제2사이드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2)의 우측면에 결합되는 사이드 커버(3)는 제1사이드 커버로 명명될 수 있고, 본체(2)의 좌측면에 결합되는 사이드 커버(3)는 제2사이드 커버로 명명될 수 있다.
사이드 커버(3)는 본체(2)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관리자나 사용자는 사이드 커버(3)를 본체(2)에서 분리시키거나 본체(2)에 결합시킬 수 있다.
사이드 커버(3)는 일 면이 개구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사이드 커버(3)의 상기 개구된 일 면은 본체(2)의 측면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사이드 커버(3)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 커버(3)의 바깥쪽 측면과 저면의 연결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이드 커버(3)의 하측 일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 커버(3)의 본체(2) 반대편 측면은 아래로 갈수록 본체(2)와의 거리가 가까워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이드 커버(3)의 바깥쪽 측면은 아래로 갈수록 본체(2) 쪽으로 구배지게 형성될 수 있다.
각 사이드 커버(3)는 제1커버부(3a)와, 제2커버부(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커버부(3a)와 제2커버부(3b)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서로 분리 가능하도록 체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작업자는 사이드 커버(3) 전체를 분리하지 않고, 제1커버부(3a)만을 분리하여 후술할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10)에 접근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1커버부(3a)는 제2커버부(3b)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1커버부(3a)는 본체(2) 내부의 송풍 기구(6)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제2커버부(3b)는 본체(2) 내부의 열교환기(7)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커버부(3a)는 송풍 기구(6)의 사이드에 배치될 수 있고, 제2커버부(3b)는 열교환기(7)의 사이드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커버부(3a)의 저면은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고, 제2커버부(3b)의 저면은 전방으로 갈수록 상방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커버부(3b)의 저면은 공기 토출구(5)에 가까워 질수록 상방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드레인 팬(8, 도 3 참조)의 형상에 따른 것으로, 이에 의하면 공기 조화기(1)가 컴팩트화 될 수 있다.
한편, 공기조화기(1)는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10)를 포함할 수 있다.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10)는 본체(2)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고, 사이드 커버(3)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10)는 사이드 커버(3)의 바깥쪽 측면 및 저면에 접하여 지지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이드 커버(3)의 하측 일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10) 중 사이드 커버(3)에 접하는 부분은 사이드 커버(3)에 대응되도록 라운드 지게 형성될 수 있다.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10)는 본체(2)의 양 측면에 체결된 사이드 커버(3) 중 어느 하나의 사이드 커버(3)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2)의 일 측면에 체결된 제1사이드 커버의 내부에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10)가 배치될 수 있다.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10)는 제1커버부(3a)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10)는 송풍 기구(6)의 사이드에 배치될 수 있다.
본체(2) 내부에는 드레인 팬(8, 도 3 참조)이 배치될 수 있고,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10)는 드레인 팬(8)과 연통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드레인 팬(8)은 열교환기(7)의 하부에 배치되어 열교환기에서 응축된 응축수를 수거할 수 있다. 공기 조화기(1)의 냉방 시, 열교환기(7)의 표면은 공기에 비해 온도가 낮으므로 열교환기(7)의 외측 표면에 응축수가 맺힐 수 있다. 상기 응축수는 중력에 의해 열교환기(7)에서 아래로 낙하하여 드레인 팬(8)에 수거될 수 있다.
드레인 팬(8)에 수거된 응축수는, 드레인 팬(8)과 연통된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10)로 유동될 수 있다.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10)는 상기 응축수를 공기조화기(1) 외부로 수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10)의 상세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이후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에서 A-A 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에서 B-B 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에서 C-C 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1)는 송풍 기구(6), 열교환기(7) 및 드레인 팬(8)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 기구(6)는 본체(2)에 형성된 공기 흡입구(4)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기(7) 방향으로 송풍시킬 수 있다.
공기 흡입구(4)는 본체(2)의 배면에 형성될 수 있고, 동시에 본체(2)의 저면 중 후방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풍 기구(6)는 본체(2)의 후방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 흡입구(4)와 송풍기구(6) 사이에는 필터(4a)가 설치될 수 있다. 필터(4a)는 공기 흡입구(4)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거르고 정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필터(4a)는 헤파 필터, 미디움 필터 등 단일의 필터이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송풍기구(4)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송풍기구(4)는 구동 모터(6a)와 송풍 팬(6b)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모터(6a)는 송풍기구(4)의 일 측에 배치되어 송풍 팬(6b)을 회전 시킬 수 있다.
송풍 팬(6b)은 회전하여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송풍 팬(6b)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송풍 팬(6b)는 관류형 축류팬(Cross Flow Fan)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송풍기구(6)의 하부는 드레인 팬(8)과 접할 수 있다. 이로써, 송풍기구(6)에서 열교환기(7) 쪽으로 유동된 공기가 다시 흡입구(4) 측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드레인 팬(8)이 베리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송풍 기구(6)의 하측에 별도의 베리어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열교환기(7)는 본체(2) 내부에서 송풍 기구(6)의 전방에 설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7)는 본체(2) 내부의 전방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기와의 열교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열교환기(7)는 본체(2) 내부에서 비스듬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7)는 좌우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기(7)는 송풍 기구(6)에 의해 유동된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열교환기(7)는 공기를 저온의 냉매와 열교환 시켜 공기를 냉각 시킬 수 있다. 상기 냉각된 공기는 공기 토출구(5)로 토출되어 실내를 냉방시킬 수 있다.
열교환기(7)에는 냉매 유로(9)가 연결될 수 있다. 냉매 유로(9)는 냉매 유입 유로와 냉매 유출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냉매는 냉매유로를 통해 유동될 수 있다.
냉매 유로(9)는 공기조화기(1) 외부의 냉매를 열교환기(7)로 유동시켜야 하므로, 본체(2)의 외부에서 내부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냉매 유로(9)는 사이드 커버(3)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냉매 유로(9)의 일부는 사이드 커버(3)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냉매 유로(9)는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10)가 배치되지 않은 사이드 커버(3)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본체(2)의 일 측면에 결합된 제1사이드 커버 내부에는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10)가 배치될 수 있고, 본체(2)의 타 측면에 결합된 제2사이드 커버 내부에는 냉매 유로(9)의 일부가 위치할 수 있다.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10)와 냉매 유로(9)가 서로 다른 사이드 커버(3)에 각각 배치됨으로써, 각 사이드 커버(3)가 컴팩트 해질 수 있고, 공기 조화기(1)의 외관이 미려해지며,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10)의 교체 및 유지 보수 시에 냉매 유로(9)에 의해 작업이 방해되지 않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드레인 팬(8)은 본체(2)의 내부에서 열교환기(7)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드레인 팬(8)은 열교환기(7)의 표면에서 응축되어 낙하한 응축수를 수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드레인 팬(8)은 본체(2)의 전방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드레인 팬(8)은 좌우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드레인 팬(8)의 단면적은 열교환기(7)의 단면적보다 클 수 있다.
드레인 팬(8)의 상면은 개구되어 열교환기(7)의 응축수가 드레인 팬(8) 내부로 낙하할 수 있다. 드레인 팬(8)의 저면은 전방 또는 후방으로 갈수록 상방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드레인 팬(8)의 저면은 전방으로 갈수록 상방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드레인 팬(8)의 후방 측에 가장 깊이가 깊은 지점이 위치함을 뜻할 수 있다. 수거된 응축수는 드레인 팬(8)의 경사면을 따라 상기 가장 깊은 지점으로 모일 수 있다.
드레인 팬(8)에는 연결부(8a)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8a)는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10)와 연통될 수 있다. 즉, 드레인 팬(8)에 수거된 응축수는 연결부(8a)를 통해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10)로 유동될 수 있다.
연결부(8a)는 드레인 팬(8)에서 가장 깊은 지점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드레인 팬(8)의 경사면을 따라 상기 가장 깊은 지점으로 모인 응축수는 연결부(8a)를 통해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10)로 유동될 수 있다.
연결부(8a)는 드레인 팬(8)의 측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부(8a)는 사이드 커버(3)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8a)는 본체(2)의 외부인 사이드 커버(3) 내부로 연장될 수도 있다.
좀 더 상세히, 연결부(8a)는 양 사이드 커버(3) 중,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10)가 배치된 사이드 커버(3)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10)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의 외관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10)는 서브 드레인 팬(11), 드레인 펌프(12)를 포함할 수 있다.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10)는 메인 커버(20) 및 서브 커버(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브 드레인 팬(11)은 드레인 팬(8)과 연통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서브 드레인 팬(11)에는 드레인 팬(8)과 연통되는 유입구(15)가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15)는 서브 드레인 팬(11)의 둘레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유입구(15)에는 유입 유로(18)가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유입 유로(18)는 드레인 팬(8)의 연결부(8a)와, 서브 드레인 팬(11)의 유입구(15)를 연결할 수 있다. 이로써, 드레인 팬(8)에 수거된 응축수는 유입 유로(18)를 통해 서브 드레인 팬(11)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서브 드레인 팬(11)의 상면은 개구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서브 드레인 팬(11)의 상면 적어도 일부는 개구될 수 있다. 이는 드레인 펌프(12)가 설치되기 위함이다.
서브 드레인 팬(11)은 사이드 커버(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서브 드레인 팬(11)은 사이드 커버(3)의 내면과 본체(2)의 측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이드 커버(3)의 하측 일부는 라운드 지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서브 드레인 팬(11) 중 사이드 커버(3)에 접하는 면은 사이드 커버(3)에 대응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서브 드레인 팬(11)의 내부에는 응축수의 양이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는 수위 감지 센서가 제공될 수 있다.
드레인 펌프(12)는 서브 드레인 팬(11)에 수거된 응축수를 흡입하여 수송할 수 있다.
드레인 펌프(12)의 일부는 서브 드레인 팬(11)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드레인 펌프(12)의 하측 일부는 서브 드레인 팬(11)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드레인 펌프(12)는 헤드부(13), 흡입부(16) 및 배출부(17)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부(13)는 드레인 펌프(12)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헤드부(13)는 후술할 메인 커버(2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고, 서브 드레인 팬(11)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헤드부(13)에는 펌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드레인 펌프(11)에서 발생하는 펌프 소음은 주로 헤드부(13)에서 발생할 수 있다.
헤드부(13)는 서브 커버(14)에 수용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메인 커버(20)의 상측에 결합되는 서브 커버(14)는, 메인 커버(20)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되는 헤드부(13)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브 커버(14)의 내부 수직 길이는 헤드부(13)의 높이보다 길 수 있다.
이로써 헤드부(13)가 서브 커버(14)의 내부에 수용되어, 헤드부(13)에서 발생하는 펌프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흡입부(16) 및 배출부(17)는 드레인 펌프(12)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흡입부(16)는 서브 드레인 팬(11)에 수거된 응축수를 흡입하고, 배출부(17)는 흡입부(16)로 흡입된 응축수를 배출할 수 있다.
흡입부(16)는 하방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흡입부(16)는 메인 커버(2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고, 서브 드레인 팬(11)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흡입부(16)는 유입유로(18)를 통해 서브 드레인 팬(11)으로 유입된 응축수를 흡입할 수 있다.
배출부(17)은 측방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배출부(17)는 메인 커버(2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고, 서브 드레인 팬(11)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배출부(17)는 흡입부(16)로 흡입된 응축수를 배출할 수 있다.
배출부(17)에는 배출 유로(19)가 연결될 수 있다. 배출 유로(19)는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10)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배출 유로(19)는 사이드 커버(3)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고, 결론적으로 공기조화기(1)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배출부(17)에서 배출된 응축수는 배출 유로(19)를 따라 수송되어 배수될 수 있다.
한편, 메인 커버(20)는 대략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메인 커버(2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팬 결합부(26)가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메인 커버(20)의 가장자리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팬 결합부 (26)가 형성될 수 있다. 팬 결합부(26)는 하방 돌출된 후크임이 바람직하다.
서브 드레인 팬(11)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메인 커버(20)의 팬 결합부(26)와 대응되는 위치에 커버 결합부(27)가 형성될 수 있다. 팬 결합부(26)는 커버 결합부(27)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커버 결합부(27)는 후크인 팬 결합부(26)가 끼워 맞춰지는 홈 형상일 수 있다.
서브 드레인 팬(11)과 메인 커버(20)에 각각 결합부(26, 27)가 구비되지 않고, 나사 등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메인 커버(20)는 서브 드레인 팬(11)의 상면에 체결될 수 있다. 즉, 메인 커버(20)는 서브 드레인 팬(11)의 개구된 상면을 커버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커버(20)는 드레인 펌프(12)를 고정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메인 커버(20)는 커버부(21) 및 고정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커버(20)는 지지부(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21)는 서브 드레인 팬(11)의 상면을 커버할 수 있다. 따라서, 서브 드레인 팬(11)의 개구된 상면은 커버부(21)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고정부(22)에는 드레인 펌프(12)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22)는 설치공을 포함되고, 상기 설치공은 드레인 펌프(12)의 형상에 맞게 형성될 수 있다. 드레인 펌프(12)가 고정부(22)에 고정됨으로써 드레인 펌프(12)가 진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드레인 펌프(12)가 고정부(22)에 고정되면, 드레인 펌프(12)의 헤드부(13)는 메인 커버(20)의 상측에 위치하고, 흡입부(16) 및 배출부(17)는 메인 커버(2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헤드부(13)는 서브 드레인 팬 (11)의 외부에 위치하고, 흡입부(16) 및 배출부(17)는 서브 드레인 팬(11)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써, 흡입부(16) 및 배출부(17)는 서브 드레인 팬(11)에 수거된 응축수를 수송할 수 있다. 또한, 서브 드레인 팬(11)에 수거된 응축수가 헤드부(13)로 유입되어 구동 모터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부(23)는 고정부(22)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23)는 드레인 펌프(12)를 하방에서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20)는 고정부(22)의 하측에 수직하게 구비된 복수개의 바(bar)와, 그에 매달린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23)에는 드레인 펌프(12)의 흡입부(16) 및 배출부(17)가 통과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지지부(23)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드레인 펌프(12)를 하방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이면 무엇이든 가능할 것이다.
메인 커버(20)에는 관통홀(24)이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커버부(21)에는 관통홀(24)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24)은 드레인 펌프(12)의 배출부(17)에 연결되는 배출 유로(19)가 통과할 수 있다.
관통홀(24)은 메인 커버(20)가 아닌 서브 드레인 팬(11)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는 서브 드레인 팬(11)에 응축수가 차오르면 관통홀(24)로 응축수가 누수될 염려가 있다. 따라서, 서브 드레인 팬(11)의 상측에 체결되는 메인 커버(20)에 관통홀(24)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서브 커버(14)는 메인 커버(2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서브 커버(14)의 저면은 개구될 수 있고, 상기 개구된 저면은 메인 커버(20)의 상면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서브 커버(14)의 내부에는 드레인 펌프(12)가 수용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서브 커버(14)의 내부에는 드레인 펌프(12)의 헤드부(13)가 수용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헤드부(13)가 서브 커버(14)의 내부에 수용되어, 헤드부(13)에서 발생하는 펌프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소음 차단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서브 커버(14)의 내측 면에는 소음저감 부재가 부착될 수도 있다.
서브 커버(14)는 메인 커버(20)보다 작을 수 있다. 서브 드레인 팬(11)은 응축수를 수용하기 위해 일정 부피를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고, 메인 커버(20)는 이러한 서브 드레인 팬(11)의 상면을 커버하기 위해 그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서브 커버(14)는 드레인 펌프(12)의 헤드부(13)를 커버하기 위한 것이므로 메인 커버(20)보다 작을 수 있다. 이로써,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10)가 더욱 컴팩트하게 제작될 수 있다.
서브 커버(14)의 하측 가장자리에는 메인커버 체결부(28)가 구비될 수 있고, 메인 커버(20)에는 메인커버 체결부(28)와 대응되는 서브커버 체결부(25)가 형성될 수 있다.
메인커버 체결부(28)는 후크일 수 있고, 서브커버 체결부(25)는 후크가 결합될 수 있는 그루브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서브 커버(14) 및 메인 커버(20)에 각각 체결부(25, 28)가 구비되지 않고, 나사 등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1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열교환기(7)에서 응축된 응축수는 낙하하여 드레인 팬(8)에 수거되고, 드레인 팬(8)의 연결부(8a)와 연결된 유입유로(18)를 통해 서브 드레인 팬(11)의 유입구(15)로 유입될 수 있다. 서브 드레인 팬(11)에 수거된 응축수가 일정 수위 이상이 되면, 드레인 펌프(12)는 응축수를 흡입부(16)로 흡입되어 배출부(17)로 배출할 수 있다.
배출부(17)로 배출된 응축수는 배출부(17)에 연결된 배출 유로(19)로 유동될 수 있다. 배출 유로(19)는 관통홀(24)을 통과하여 공기조화기(1)의 외부로 연통될 수 있으므로, 응축수는 배출 유로(19)를 통해 배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커버(14)의 내부에 드레인 펌프(12)의 헤드부(13)가 수용됨으로써 펌프 소음이 저감될 수 있고, 또한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드레인 펌프(12)가 보호될 수 있다.
또한, 본체(2)의 외부에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10)가 배치됨으로써,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10)의 교체 및 보수 점검이 용이해질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사이드 커버(3)만을 본체(2)에서 분리하여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10)에 접근할 수 있다.
또한,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10)가 사이드 커버(3)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공기조화기(1)의 외관이 디자인적으로 향상되고, 소음이 더욱 저감될 수 있다.
또한,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10)를 실링 서스펜디드 타입 공기조화기(1)에 적용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8: 드레인 팬 10: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
11: 서브 드레인 팬 12: 드레인 펌프
13: 헤드부 14: 서브 커버
15: 유입구 16: 흡입부
17: 배출부 18: 유입 유로
19: 배출 유로 20: 메인 커버
21: 커버부 22: 고정부
23: 지지부 24: 관통홀

Claims (12)

  1. 열교환기의 하측에 배치된 드레인 팬과 연통되고,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된 서브 드레인 팬;
    상기 서브 드레인 팬에 수거된 응축수를 흡입하여 수송하는 드레인 펌프;
    상기 서브 드레인 팬의 개구된 상면을 커버하고, 상기 드레인 펌프가 고정되는 메인 커버; 및
    저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고, 상기 메인 커버의 상측에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드레인 펌프가 수용되는 서브 커버를 포함하는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펌프는,
    구동 모터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 커버의 상측에 위치하는 헤드부;
    상기 서브 드레인 팬에 수거된 응축수를 흡입하는 흡입부; 및
    상기 흡입부로 흡입된 응축수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부 및 배출부는 상기 메인 커버의 하측에 위치하는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커버는 상기 메인 커버 보다 작고, 내부 공간에 상기 드레인 펌프의 상기 헤드부가 수용되는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에는 상기 서브 드레인 팬의 외부로 연장되는 배출 유로가 연결되고,
    상기 메인 커버에는 상기 배출 유로가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커버는,
    상기 서브 드레인 팬의 상면을 커버하는 커버부;
    상기 드레인 펌프가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드레인 펌프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
  6.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송풍 기구 및 열교환기가 배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사이드 커버;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열교환기의 하측에 배치되는 드레인 팬; 및
    상기 사이드 커버 내부에 배치되는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는,
    상기 드레인 팬과 연통되고,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된 서브 드레인 팬;
    상기 서브 드레인 팬에 수거된 응축수를 흡입하여 수송하는 드레인 펌프;
    상기 서브 드레인 팬의 개구된 상면을 커버하고, 상기 드레인 펌프가 고정되는 메인 커버; 및
    저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고, 상기 메인 커버의 상측에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드레인 펌프가 수용되는 서브 커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펌프는,
    구동 모터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 커버의 상측에 위치하는 헤드부;
    상기 서브 드레인 팬에 수거된 응축수를 흡입하는 흡입부; 및
    상기 흡입부로 흡입된 응축수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부 및 배출부는 상기 메인 커버의 하측에 위치하는 공기조화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커버는 상기 메인 커버 보다 작고, 내부에 상기 드레인 펌프의 상기 헤드부가 수용되는 공기조화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송풍 기구보다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드레인 팬은 전방으로 갈수록 상방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는 상기 송풍 기구의 사이드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는 상기 본체의 외측면과 상기 사이드 커버의 내측면에 접하는 공기 조화기.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커버는,
    상기 본체의 일 측면에 결합되는 제1사이드 커버; 및
    상기 본체의 타 측면에 결합되는 제2사이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는 상기 제1사이드 커버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사이드 커버의 내부에는 상기 열교환기에 연결되는 냉매 배관이 위치하는 공기 조화기.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드레인 팬에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서브 드레인 팬은, 상기 드레인 팬에 형성된 연결부와 상기 유입구를 연결하는 유입유로에 의해 상기 드레인 팬과 연통되는 공기 조화기.
KR1020160159952A 2016-11-29 2016-11-29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KR201800604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952A KR20180060449A (ko) 2016-11-29 2016-11-29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952A KR20180060449A (ko) 2016-11-29 2016-11-29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0449A true KR20180060449A (ko) 2018-06-07

Family

ID=62621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9952A KR20180060449A (ko) 2016-11-29 2016-11-29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044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13572A (zh) * 2019-07-24 2019-11-29 浙江富士精工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排水泵的支架及其制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4798A (ko) 2000-12-06 2002-06-19 구자홍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펌프 장착용 브래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4798A (ko) 2000-12-06 2002-06-19 구자홍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펌프 장착용 브래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13572A (zh) * 2019-07-24 2019-11-29 浙江富士精工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排水泵的支架及其制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7901B1 (ko)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JP6800339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空気調和装置および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の設置方法
KR20070078259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41705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4187034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KR100642365B1 (ko)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80060449A (ko) 드레인 펌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KR100734362B1 (ko) 공기조화 시스템
KR20060117832A (ko) 공기조화기의 드레인팬
JPH06109302A (ja) 空調換気扇
KR20080011507A (ko) 외기도입장치의 제어방법
KR20070073164A (ko) 공기조화기
KR20070078250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50120218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213841125U (zh) 空调室内机
KR100529914B1 (ko)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90022102A (ko) 공기조화기
CN216481307U (zh) 一种一体式空调器
CN215909282U (zh) 厨房空调系统
KR100575305B1 (ko) 공기조화기의 드레인팬
KR100624737B1 (ko) 공기조화기
JP2011112341A (ja) 空気調和装置
JPH11311422A (ja) 空気調和機
KR20070074403A (ko)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
KR100239464B1 (ko) 공기조화기의 공기 흡입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