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0119A - 분전반용 다중선로 계측기 구조체 - Google Patents

분전반용 다중선로 계측기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0119A
KR20180060119A KR1020160159246A KR20160159246A KR20180060119A KR 20180060119 A KR20180060119 A KR 20180060119A KR 1020160159246 A KR1020160159246 A KR 1020160159246A KR 20160159246 A KR20160159246 A KR 20160159246A KR 20180060119 A KR20180060119 A KR 20180060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hole
gas discharge
terminal block
meter
instr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9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7640B1 (ko
Inventor
안성기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9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7640B1/ko
Publication of KR20180060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0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2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용 다중선로 계측기 구조체는 가스 배출홀이 형성된 배선용 차단기에 결합되는 계측기와, 상기 계측기에 결합되는 단자대를 포함하고, 상기 계측기에는 상기 배선용 차단기의 상기 가스 배출홀에 대향된 가스 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단자대에는 상기 계측기의 상기 가스 배출홀에 대향된 가스 배출홀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배선용 차단기 내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계측기와 단자대를 통해 효율적으로 배출하여, 제품의 파손과 부하단의 2차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전반용 다중선로 계측기 구조체{BRANCH CIRCUIT MEAS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분전반용 다중선로 계측기 구조체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 배선용 차단기에 연결되고, 배선용 차단기 내에서 발생된 가스를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공이 형성된 분전반용 다중선로 계측기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전반 장치는 에너지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는 분전반 내 모선(전원 측에 접속된 주회로)의 전류, 전압 및 전력과 같은 전기량 정보뿐 아니라, 분기회로의 전기량 정보에 대한 감시 및 제어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분전반 장치에 설치되어 주회로 및 분기회로의 전기량을 계측하고 계측된 정보를 제공하는 분기회로 계측기를 포함한 분전반 장치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분전반 다중 선로용 계측기는 기존 분전반의 구성에 모선 및 지선 분기의 전력을 계측하는 지선 계측기(110)와 상기 지선 계측기(110)가 계측한 각종 전기량을 통신을 통해 전달받아 모선 및 지선의 전기량을 집중 통합 표시하는 메인 계측기(120)을 포함한다.
또한, 분전반내 부하 용량에 따라 지선은 복수개 존재할 수 있으며 한 개의 지선에 배선용 차단기(MCCB: 130)와 상기 지선 계측기(110)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배선용 차단기(130)과 지선 계측기(110)은 분전반이 수용할 수 있는 부하 용량에 따라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은 분전반내의 여유 공간등에 따라 배선용 차단기(130)와 지선 계측기(110)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결하는 관통형 연결방법으로 구현된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배선용 차단기(130)와 지선 계측기(110)를 직접 연결한 방법으로 구현된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배선용 차단기(130)에 상기 지선 계측기(110)가 직접 연결되는 구조는 두 제품이 서로 붙을 수 있도록 부스바(BUSBAR)등을 MCCB에 직접 체결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지선 계측기(110)는 모선 및 각 지선 분기의 배선용 차단기(130) 2차측에 연결되고, 모선 및 지선에 걸리는 3상 전압 및 전류를 계측한다.
그리고 상기 배선용 차단기(130)는 전류 FRAME 별로 제품 사이즈가 다르게 구성되므로 지선 계측기(110)는 배선용 차단기(130)의 가로 사이즈에 제한되고, 분전반 사이즈 단축을 위한 세로 및 높이에 제한된다.
또한, 상기 지선 계측기(110)은 계측된 3상 전압 및 3상 전류를 이용하여 전력 및 전력량을 포함하여 각종 전기량을 연산한다. 또한 지선 계측기(110)는 배선용 차단기(130) 부하단에 직접 설치되거나 일정 간격을 띄워서(관통형) 설치를 하여 계측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선 계측기(110)는 분전반 함 내에 설치되며 주로 지선 회로별로 설치되어 있는 배선용 차단기의 단락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위해 일반적으로 배선용 차단기의 2차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배선용 차단기의 2차측에 설치될 때, 배선용 차단기와 연결이 직결형 구조일 수 도 있고, 관통형 구조일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직결형 구조에서 일부 배선용 차단기는 단락성능 향상을 위한 가스 배출홀(HOLE)을 구성한 제품이 있으나, 지선 계측기에는 가스 배출홀이 없어 단락사고등에 의해 배선용 차단기 내부에 가스가 발생될 경우, 가스 배출이 어렵고, 제품파손 및 화재등 2차 피해를 줄 수 있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2015-0145643호
본 발명은 배선용 차단기 내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지선 계측기와 단자대의 가스 배출홀을 통해 효율적으로 배출하여, 제품의 파손과 부하단의 2차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분전반용 다중선로 계측기 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용 다중선로 계측기 구조체는 가스 배출홀이 형성된 배선용 차단기에 결합되는 계측기와, 상기 계측기에 결합되는 단자대를 포함하고, 상기 계측기에는 상기 배선용 차단기의 상기 가스 배출홀에 대향된 가스 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단자대에는 상기 계측기의 상기 가스 배출홀에 대향된 가스 배출홀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분전반용 다중선로 계측기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배선용 차단기의 가스 배출홀과 상기 계측기의 가스 배출홀과, 상기 단자대의 가스 배출홀은 일직선으로 연속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분전반용 다중선로 계측기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배선용 차단기에는 가스 배출홀을 연장시키는 연장부가 돌출되고, 상기 계측기에는 가스 배출홀을 연장시키는 연장부가 돌출되고, 상기 배선용 차단기의 연장부는 계측기의 가스 배출홀에 삽입되고, 상기 계측기의 연장부는 상기 단자대의 가스 배출홀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분전반용 다중선로 계측기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배선용 차단기의 가스 배출홀과, 상기 계측기의 가스 배출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튜브와, 상기 계측기의 가스 배출홀과 상기 단자대의 가스 배출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튜브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분전반용 다중선로 계측기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배선용 차단기의 상기 가스 배출홀과 상기 계측기의 상기 가스 배출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튜브는 상기 계측기의 상기 가스 배출홀과 상기 단자대의 상기 가스 배출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튜브와 일직선 상으로 배치된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전반용 다중선로 계측기 구조체에 의하면 배선용 차단기 내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계측기와 단자대를 통해 효율적으로 배출하여, 제품의 파손과 부하단의 2차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종래기술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배선용 차단기에 결합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용 다중선로 계측기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배선용 차단기와 분전반용 다중선로 계측기 구조체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한 배선용 차단기에 결합된 분전반용 다중선로 계측기 구조체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6은 배선용 차단기에 결합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용 다중선로 계측기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배선용 차단기에 결합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용 다중선로 계측기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배선용 차단기에 결합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용 다중선로 계측기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배선용 차단기와 분전반용 다중선로 계측기 구조체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분전반용 다중선로 계측기 구조체는 계측기(210)와 단자대(220)를 포함하고, 상기 배선용 차단기(230)에 결합된다.
즉, 상기 계측기(210)와 상기 단자대(220)를 먼저 결합하고, 상기 배선용 차단기(230)을 상기 계측기(210)에 결합한다.
또한, 상기 배선용 차단기(230)는 부스바(232)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대(220)은 부스바(22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계측기(210)와 상기 단자대(2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배선용 차단기(230)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고정볼트(240)로 상기 배선용 차단기(230)의 부스바(232)와 상기 단자대(220)의 부스바(222)를 결합시켜 상기 배선용 차단기(230), 상기 계측기(210) 및 상기 단자대(220)를 고정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선용 차단기(230)는 개폐기구, 트립장치 등을 절연물 용기 내에 일체로 조립한 것으로 통전상태의 전로를 수동 또는 전기 조작에 의해 개폐할 수 있으며, 과부하 및 단로 등의 이상 상태시 자동적으로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선용 차단기는 분전반 내에서 인입되는 주선과 분기되는 각 지선에 대하여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주선과 분기되는 각 지선을 구성하는 전기 선로의 전체 또는 일부는 부스바(Busbar)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계측기(210)는 관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자대의 부스바(222)가 관통된다. 그리고 관통된 상기 부스바(222)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배선용 차단기의 부스바(232)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계측기(210)는 상기 배선용 차단기(230)와 동일한 폭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선용 차단기(230)에는 가스 배출홀(23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계측기(210)에는 상기 배선용 차단기(230)의 가스 배출홀(231)에 대향된 가스 배출홀(21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단자대(220)에는 상기 계측기(210)의 가스 배출홀(211)에 대향된 가스 배출홀(2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선용 차단기(230)의 가스 배출홀(231)과 상기 계측기(210)의 가스 배출홀(211)과 상기 단자대(220)의 가스 배출홀(221)은 서로 대응되도록 즉, 동일한 크기 및 모양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선용 차단기(230), 계측기(210) 및 단자대(220)가 결합될 경우, 상기 가스 배출홀(231, 221, 211)의 유동로는 일직선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유동로의 변형에 따른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배선용 차단기 내에서 발생되는 가스는 상기 계측기(210) 및 단자대(220)의 가스 배출홀을 통해 효율적으로 배출되어, 제품의 파손과 부하단의 2차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배선용 차단기에 결합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용 다중선로 계측기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분전반용 다중선로 계측기 구조체는 도 1에 도시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용 다중선로 계측기 구조체와 비교하여 가스 배출홀의 구조만이 상이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전반용 다중선로 계측기 구조체는 계측기(310)와 단자대(320)를 포함하고, 상기 배선용 차단기(230)에 결합된다.
즉, 상기 계측기(310)와 상기 단자대(320)를 먼저 결합하고, 상기 배선용 차단기(330)을 상기 계측기(310)에 결합한다.
또한, 상기 배선용 차단기(330)는 부스바(332)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대(320)는 부스바(32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계측기(310)와 상기 단자대(3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배선용 차단기(330)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고정볼트(340)로 상기 배선용 차단기(330)는 부스바(333)와 상기 단자대(320)은 부스바(322)를 결합시켜 상기 배선용 차단기(330), 상기 계측기(310) 및 상기 단자대(320)를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배선용 차단기(330)에는 가스 배출홀부(331, 33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스 배출홀부(331, 332)는 배출홀(331) 및 연장부(332)를 포함한다. 즉, 상기 연장부(332)는 상기 배선용 차단기(330)의 가스배출홀(331)을 연장시키기 위해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계측기(310)의 가스 배출홀에 삽입되어 가스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계측기(310)에는 상기 배선용 차단기(330)의 가스 배출홀부(331, 332)에 대향된 가스 배출홀부(311, 312)가 형성된다.
그리고 가스 배출홀부(311, 312)는 배출홀(311) 및 연장부(312)를 포함한다. 즉, 상기 연장부(312)는 상기 계측기(310)의 배출홀(311)을 연장시키기 위해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단자대(320)의 가스 배출홀에 삽입되어 가스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단자대(320)에는 상기 계측기(310)의 가스 배출홀부(311, 312)에 대향된 가스 배출홀(3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선용 차단기(330)의 가스 배출홀(331)과 상기 계측기(310)의 가스 배출홀(311)과 상기 단자대(320)의 가스 배출홀(321)은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계측기(310)의 가스 배출홀(311)에 상기 배선용 차단기(330)의 연장부(332)가 삽입되고, 상기 단자대(320)의 가스 배출홀(321)에 상기 계측기(310)의 연장부(312)가 삽입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상기 배선용 차단기(330)의 연장부(332)는 상기 계측기(310)의 가스 배출홀(311) 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계측기(310)의 연장부(312)는 상기 단자대(320)의 가스 배출홀(321) 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계측기(310)의 가스 배출홀(311)은 상기 연장부(332)가 결합되는 일단부가 타단부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배선용 차단기에 발생되는 가스는 계측기(310) 및 단자대(320)와의 연결부에서 누설되지 않고, 상기 계측기(310) 및 단자대(320)을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도 7은 배선용 차단기에 결합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용 다중선로 계측기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분전반용 다중선로 계측기 구조체는 도 1에 도시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용 다중선로 계측기 구조체와 비교하여 연결튜브만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전반용 다중선로 계측기 구조체는 계측기(410)와 단자대(420)를 포함하고, 상기 배선용 차단기(430)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계측기(410), 상기 단자대(420) 및 상기 배선용 차단기(430)의 세부기술구성 및 유기적인 결합은 전술한 바 생략한다.
또한, 제3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용 다중선로 계측기 구조체는 연결튜브(450, 46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튜브(450)는 상기 배선용 차단기(430)의 가스 배출홀(431)과, 상기 계측기(410)의 가스 배출홀(411) 사이의 경계부를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튜브(460)는 상기 계측기(410)의 가스 배출홀(411)과 상기 단자대(420)의 가스 배출홀(421) 사이의 경계부를 연결한다.
또한, 상기 연결튜브(450)는 분리,결합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튜브(450)과 상기 연결튜브(460)은 일직선 상으로 배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배선용 차단기에 발생되는 가스는 계측기(410) 및 단자대(420)와의 연결부에서 누설되지 않고, 상기 계측기(410) 및 단자대(420)을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계측기 120: 메인 계측기
130: 배선용 차단기
210: 계측기 211: 가스 배출홀
220: 단자대 221: 가스 배출홀
222: 부스바 230: 배선용 차단기
231: 가스 배출홀 232: 부스바
240: 고정볼트
310: 계측기 311, 312: 가스 배출홀부
331, 332: 가스 배출홀부
311: 배출홀312: 연장부 320: 단자대
321: 가스 배출홀 322: 부스바
330: 배선용 차단기 331: 배출홀
332: 연장부 333: 부스바
340: 고정볼트
410: 계측기 411: 가스 배출홀
420: 단자대 421: 가스 배출홀
430: 배선용 차단기 431: 가스 배출홀
450, 460: 연결튜브

Claims (5)

  1. 가스 배출홀이 형성된 배선용 차단기에 결합되는 계측기; 및
    상기 계측기에 결합되는 단자대를 포함하고,
    상기 계측기에는 상기 배선용 차단기의 상기 가스 배출홀에 대향된 가스 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단자대에는 상기 계측기의 상기 가스 배출홀에 대향된 가스 배출홀이 형성된
    분전반용 다중선로 계측기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용 차단기의 상기 가스 배출홀과 상기 계측기의 상기 가스 배출홀과, 상기 단자대의 상기 가스 배출홀은 일직선으로 연속되도록 형성된
    분전반용 다중선로 계측기 구조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용 차단기에는 상기 가스 배출홀을 연장시키는 연장부가 돌출되고,
    상기 계측기에는 상기 가스 배출홀을 연장시키는 연장부가 돌출되고,
    상기 배선용 차단기의 상기 연장부는 계측기의 상기 가스 배출홀에 삽입되고,
    상기 계측기의 상기 연장부는 상기 단자대의 상기 가스 배출홀에 삽입된
    분전반용 다중선로 계측기 구조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용 차단기의 상기 가스 배출홀과 상기 계측기의 상기 가스 배출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튜브와, 상기 계측기의 상기 가스 배출홀과 상기 단자대의 상기 가스 배출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튜브를 더 포함하는
    분전반용 다중선로 계측기 구조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용 차단기의 상기 가스 배출홀과 상기 계측기의 상기 가스 배출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튜브는 상기 계측기의 상기 가스 배출홀과 상기 단자대의 상기 가스 배출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튜브와 일직선 상으로 배치된
    분전반용 다중선로 계측기 구조체.
KR1020160159246A 2016-11-28 2016-11-28 분전반용 다중선로 계측기 구조체 KR101877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246A KR101877640B1 (ko) 2016-11-28 2016-11-28 분전반용 다중선로 계측기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246A KR101877640B1 (ko) 2016-11-28 2016-11-28 분전반용 다중선로 계측기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0119A true KR20180060119A (ko) 2018-06-07
KR101877640B1 KR101877640B1 (ko) 2018-07-11

Family

ID=62621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9246A KR101877640B1 (ko) 2016-11-28 2016-11-28 분전반용 다중선로 계측기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76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6313B1 (ko) 2021-03-05 2021-06-18 주식회사 월드인텍 분기회로 보호용 온도 과부하 및 과전압 감시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143B2 (ja) * 1990-08-10 1994-03-09 東光株式会社 積層電子部品の製造方法
KR100652234B1 (ko) * 2004-12-07 2006-12-0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장치
KR20150145643A (ko) 2014-06-20 2015-12-3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분전반용 분기회로 계측기 및 해당 분기회로 계측기를 갖는 분전반 장치
JP2017130296A (ja) * 2016-01-19 2017-07-27 三菱電機株式会社 端子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9573B1 (ko) * 2011-01-28 2011-12-28 박기주 통신기능 탑재형 배선용 차단기
KR200479886Y1 (ko) * 2011-06-08 2016-03-1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차단기의 아크가스 배출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143B2 (ja) * 1990-08-10 1994-03-09 東光株式会社 積層電子部品の製造方法
KR100652234B1 (ko) * 2004-12-07 2006-12-0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장치
KR20150145643A (ko) 2014-06-20 2015-12-3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분전반용 분기회로 계측기 및 해당 분기회로 계측기를 갖는 분전반 장치
JP2017130296A (ja) * 2016-01-19 2017-07-27 三菱電機株式会社 端子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7640B1 (ko) 2018-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70103B1 (en) Bus joint cover assembly
US7508653B2 (en) Load center with plug in neutral connections
US9425603B2 (en) Bus plug apparatus using multiple interconnected enclosures
KR101176626B1 (ko) 컴팩트 분전반
AU2015303065B2 (en) Vertical fuse-carrying base
KR101877640B1 (ko) 분전반용 다중선로 계측기 구조체
KR100712245B1 (ko) 분전반
KR200431626Y1 (ko) 수배전반용 배선차단기의 부스바 접속장치
KR100715627B1 (ko) 배전용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와 이를 이용한 배전 구조
KR101798760B1 (ko) 계측기
KR100643184B1 (ko) 고압 케이블용 직선 접속함
KR200395578Y1 (ko) 저압 배전반용 착탈식 어댑터
KR101237875B1 (ko) 일체형 수배전반
CN201584679U (zh) 电压互感器柜
KR100658980B1 (ko) 변전소용 가스절연개폐장치의 부스섹션베이
KR101890109B1 (ko) 배전반용 컴팩트 컨트롤 박스
KR101640748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전력 모니터링 분·배전반
JP2010206894A (ja) 配電盤
CN220553702U (zh) 一种切换柜
JP6433336B2 (ja) 分電盤
CN218182724U (zh) 保电负荷投切控制箱
CN202940465U (zh) 用于电控柜上的模块出线架
KR20130021066A (ko) 분배전반의 전원분배기
JP6713840B2 (ja) 電源系統システム
GB2531157A (en) Cut-out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