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5578Y1 - 저압 배전반용 착탈식 어댑터 - Google Patents

저압 배전반용 착탈식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5578Y1
KR200395578Y1 KR20-2005-0018063U KR20050018063U KR200395578Y1 KR 200395578 Y1 KR200395578 Y1 KR 200395578Y1 KR 20050018063 U KR20050018063 U KR 20050018063U KR 200395578 Y1 KR200395578 Y1 KR 2003955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hook
busbar
plate
circuit br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80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춘 근 홍
Original Assignee
(주)서전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전기전 filed Critical (주)서전기전
Priority to KR20-2005-00180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55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55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55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02B1/202Cable lay-ou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02B1/207Cross-bar layou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력회사에서 공급하는 전력을 수전(受電)하여 수용가의 각 부하로 배전(配電)하는 수배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 크기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내부에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된 다수의 분기 부스바에 직교방향으로 걸쳐져서 소정의 배전용 차단기를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하는 저압 배전반용 착탈식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저압 배전반용 착탈식 어댑터는, 소정 크기의 캐비닛 내부에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된 다수의 분기 부스바에 있어서, 상기 분기 부스바에 직교방향으로 걸쳐지는 사각형상의 어댑터케이스와, 상기 어댑터케이스의 상판에 설치되어 상기 분기 부스바에 고정되는 어댑터고정금구와, 상기 어댑터케이스의 상판에 설치되어 분기 부스바와 배전용 차단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수단과, 상기 어댑터케이스의 상부에 배전용 차단기를 설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차단기 설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저압 배전반용 착탈식 어댑터{Detachable adapter for low-voltage distributing board}
본 고안은 전력회사에서 공급하는 전력을 수전(受電)하여 수용가의 각 부하로 배전(配電)하는 수배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 크기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내부에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된 다수의 분기 부스바에 직교방향으로 걸쳐져서 소정의 배전용 차단기를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하는 저압 배전반용 착탈식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 공장 또는 아파트 등에는 전력회사에서 공급하는 전기를 받아들여 각 수용가의 부하로 배전하는 수배전장치가 구비된다. 수배전장치는 고압 또는 특고압의 전기를 공급받아 용도에 맞게 감압한 뒤 수용가의 각 부하로 보내기 위한 것으로, 감전 및 화재에 대한 안전성을 고려하여 설계된 소정 크기의 캐비닛과, 이 캐비닛의 내부에 개폐기, 변압기, 주차단기, 콘덴서, 배선용 차단기, 파워휴즈, 피로기와 같은 각종 차단기와 보호장비, 그리고 변류기, 전력계, 영상 변류기, 전류계, 전압계 등과 같은 각종 계전장비가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수배전장치는 고압 또는 특고압을 수전하기 위한 특고압수전반(LBS반), 계기용변압변류기반(MOF반), 계기용변압기반(PT반), 특고차단기반(VCB반) 등으로 구성된 고압반, 변압기가 설치된 변압기반, 그리고 저압 차단기반과 배전반(동력반)으로 구성된 저압 배전반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저압 배전반에 관한 것인데, 이러한 저압 배전반은 변압기에서 공급되는 저압의 전기를 일련의 장치를 통해 각 부하에 배분해 주고,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차단기나 보호계전기 등과 같은 각종 단위기기와, 이들 단위기기를 부착 지지하는 구조물과, 상기 단위기기를 접속 및 연결하는 도체(Busbar, Cable)의 집합체이다.
한편, 저압 배전반은 건물의 크기와 전력소모에 적합하도록 개별적으로 설계된다. 따라서, 저압 배전반은 표준화된 제품을 제공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종래의 저압 배전반은 각각의 전력수요에 맞도록 배전반을 설계하고, 그 설계에 따라 메인 부스바와 분기 부스바의 접점 위치를 계산한 다음, 부스바를 절단, 절곡이나 홀 가공한 후 조립하기 때문에 그 제작 공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시간과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며 반드시 숙련된 전문가를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저압 배전반의 일례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저압 배전반(10)은 소정의 캐비닛의 내부에 설치된 메인 차단기(12)와, 이 메인 차단기(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 개의 배전용 차단기(14)와, 소정의 부스바시스템(16)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 차단기(12)는 변압기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개폐시킴과 아울러 과부하, 단로 등의 이상 발생 시 자동으로 차단하는 것이고, 상기 배전용 차단기(14)는 메인 차단기(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메인 차단기(12)로부터 전달되는 전력을 부하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부스바시스템(16)은, 상기 메인 차단기(12)와 배전용 차단기(14)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메인 차단(12)와 접속되어 있는 메인 부스바(13)와 다수의 배전용 차단기(14)가 접속되어 있는 다수의 분기 부스바(15)로 이루어진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저압 배전반(10)은, 상기 메인 차단기(12)의 출력단(122)에 메인 부스바(13)가 수직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부스바(13)에 직교하도록 다수의 분기 부스바(15)가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각 분기 부스바(15)의 끝 부분에는 배전용 차단기(14)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배전용 차단기(14)의 출력단(142)에는 각각 부하가 접속되게 된다. 한편, 상기 메인 차단기(12)의 입력단(121)에는 변압기로부터 전력을 수전하는 메인 부스바(17)(11)가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저압 배전반(10)은 수직하게 설치된 메인 부스바(13)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다수의 분기 부스바(15)가 직교하고, 상기 분기 부스바(15)의 양단에는 배전용 차단기(14)가 설치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직교하는 메인 부스바(13)와 분기 부스바(15)를 교차시킴과 아울러 소정의 교차접점에서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각 교차접점에 체결구멍(18)을 형성하고, 상기 분기 부스바(15)의 접점에 절곡부(19)를 형성하여야 한다. 그런데 상기 메인 부스바(13)와 분기 부스바(15)의 교차접점의 위치는 배전반의 설계에 따라 달라지므로 부스바를 미리 절곡하거나 홀 가공할 수 없고 그때그때 체결위치를 선정한 후에 절곡 및 홀 가공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저압 배전반(10)은 분기 부스바(15)의 양단에 배전용 차단기(14)가 설치되므로, 먼저 각 배전용 차단기(14)를 캐비닛에 고정하고, 절곡 및 홀 가공된 각 분기 부스바(15)의 양단을 배전용 차단기(14)의 입력단(141)에 나사 체결하여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저압 배전반(10)은 조립 시 부스바의 절곡 및 홀 가공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배전용 차단기를 캐비닛에 고정하고 일일이 나사체결하여야 하므로 설치 및 교체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다수의 분기 부스바에 다수의 배전용 차단기를 설치함에 있어,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된 분기 부스바에 착탈식으로 설치하여 배전용 차단기의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캐비닛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콤팩트한 저압 배전반을 제공할 수 있는 저압 배전반용 착탈식 어댑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저압 배전반용 착탈식 어댑터는, 소정 크기의 캐비닛 내부에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된 다수의 분기 부스바에 있어서, 상기 분기 부스바에 직교방향으로 걸쳐지는 사각형상의 어댑터케이스와, 상기 어댑터케이스의 상판에 설치되어 상기 분기 부스바에 고정되는 어댑터고정금구와, 상기 어댑터케이스의 상판에 설치되어 분기 부스바와 배전용 차단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수단과, 상기 어댑터케이스의 상부에 배전용 차단기를 설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차단기 설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저압 배전반용 착탈식 어댑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착탈식 어댑터가 적용되는 모듈 조립형 저압 배전반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모듈 조립형 저압 배전반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5 및 도 6은 측면도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모듈 조립형 저압 배전반(1)은 상기 부스바시스템(6)을 통해서 변압기에서 공급되는 저압의 전기를 메인 차단기(3)와 배전용 차단기(5)를 경유하여 각 부하로 공급함과 아울러 과부하, 단로 등의 이상 발생시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여 부하를 보호하게 된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메인 차단기(3)는 변압기로부터 송전 되는 전력을 수전한 후, 이를 다수의 개폐접점을 통해 개폐시킨다. 상기 메인 차단기(3)는 바람직하게 ACB(Air Circuit Breaker)이다. ACB는 전기를 켜고 끌 때 스위치부분에서 일어나는 스파크 불꽃을 공기역학을 응용한 구조로 소거시키는 차단기이다. 또한, ACB는 비상시 손잡이를 움직여 켜거나 끌 수 있지만 원격운전을 기본으로 하고 과전류 또는 과전압 부족전압등 비정상 시 자동차단 기능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배전용 차단기(5)는 메인 차단기(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송전 되는 전력을 각 부하로 선택적으로 송전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배전용 차단기(5)는 바람직하게 MCCB(Molded Case Circuit Breaker)이다. 상기 MCCB의 입력단은 분기 부스바와 직결되고 출력단은 각 부하가 접속된다. 상기 MCCB는 개폐기구, 트립장치 등을 절연물 용기 내에 일체로 조립한 것으로 통전상태의 전로를 수동 또는 전기 조작에 의해 개폐할 수 있다. 또한, MCCB는 소형이며 조작이 안전하고 퓨우즈를 끼우는 등의 수고가 없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MCCB는 각 부하중 어느 하나의 부하가 단락되거나 과부하가 발생할 경우, 해당 MCCB가 트립되어 메인으로부터 인가되는 전력이 자동 차단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메인 차단기(3)와 배전용 차단기(5)의 구조 및 기능은 종래의 것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부스바시스템(6)을 중심으로 하여, 본 고안에 따른 모듈 조립형 저압 배전반(1)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부스바시스템(6)은, 변압기의 출력측과 메인 차단기(3)의 입력단을 연결하는 제1 메인 부스바장치(7)와, 상기 메인 차단기(3)의 출력단과 다수의 분기 부스바를 연결하는 제2 메인 부스바장치(8)와, 상기 제2 메인 부스바장치(8)와 다수의 배전용 차단기(5)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분기 부스바장치(9)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제1 메인 부스바장치(7) 및 제2 메인 부스바장치(8)는 각형 부스바(20)와 판형 부스바(30) 그리고 상기 각형 부스바와 판형 부스바를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시키는 다수의 부스바커넥터(4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분기 부스바장치(9)는 훅크형 부스바(60)를 포함하는 다수의 분기 부스바(50)와, 상기 분기 부스바(50)의 훅크형 부스바(60)와 판형 부스바(30)를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시키는 부스바접속부재(70)와, 다수의 배전용 차단기(5)를 상기 분기 부스바(50)에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시키는 착탈식 어댑터(90)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제1 메인 부스바장치(7)는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캐비닛(2)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된 제1 각형 부스바(20-1)와, 상기 메인 차단기(3)의 입력단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판형 부스바(30-1)와, 상기 제1 각형 부스바(20-1)와 제1 판형 부스바(30-1)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제1 부스바커넥터(40-1)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 메인 부스바장치(8)는 상기 메인 차단기(3)의 출력단에 수직하게 연결되어 있는 제2 판형 부스바(30-2)와, 제1 캐비닛(2)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된 제2 각형 부스바(20-2)와, 상기 제2 판형 부스바(30-2)와, 제2 각형 부스바(20-2)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제2 부스바커넥터(40-2)와, 제2 캐비닛(4)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제3 각형 부스바(20-3)과, 상기 제2 캐비닛(4)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된 제3 판형 부스바(30-3)와, 상기 제3 각형 부스바(20-3)과 제3 판형 부스바(30-3)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3 부스바커넥터(40-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 각형 부스바(20-2)와 제3 각형 부스바(20-3)는 온도에 따라 신축되는 신축부재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제2 메인 부스바장치(8)는 도 4의 정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캐비닛(2)과 제2 캐비닛(4)을 통해 전체적으로 U자 형태를 갖게 된다.
이어서, 상기 분기 부스바장치(9)는 도 3, 도 4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 캐비닛(4)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된 다수의 훅크형 부스바(60)를 포함하는 분기 부스바(50)와, 상기 분기 부스바(50)의 훅크형 부스바(60)와 제2 캐비닛(4) 내부에 수직하게 설치된 제3 판형 부스바(30-3)를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부스바접속부재(70)와, 상기 분기 부스바(50)의 훅크형 부스바(60)에 직교방향으로 걸쳐져서 상기 배전용 차단기(5)를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하는 다수의 착탈식 어댑터(90)로 구성된다.
이어, 제2 캐비닛(4) 내부에 설치되는 분기 부스바장치(9)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상기 분기 부스바장치(9)는 제1 및 제2 메인 부스바장치(7)(8)를 통해 송전된 전력을 분배함과 아울러 다수의 배전용 차단기(5)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분기 부스바장치(9)는 제2 캐비닛(4)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된 다수의 분기 부스바(5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분기 부스바(50)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하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훅크형 부스바(60)와, 상기 다수의 훅크형 부스바(60)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단부지지부재(51)와, 상기 훅크형 부스바(60) 및 단부지지부재(51)를 감싸는 절연커버(55)로 이루어진다.
상기 훅크형 부스바(60)는, 전도성 금속을 압출한 것으로, 'T자'와 'L자'가 결합한 형상을 갖는다. 즉, 상기 훅크형 부스바(60)는 소정 높이의 수직부(61)와, 상기 수직부(61)의 선단에서 일측 방향으로 직각 되게 절곡된 훅크부(62)와, 상기 수직부(61)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양측으로 직각 되게 돌출된 수평부(63)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하나의 분기 부스바(50)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3개 또는 4개의 훅크형 부스바(6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단부지지부재(51)는 절연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사각형의 사출물로서, 상기 훅크형 부스바(60)의 수평부(63)와 수직부(61)의 일부가 측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T형 삽입관통홈(52)이 이격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단부지지부재(51)에는 단부지지부재(51)를 고정하기 위한 소정의 체결구멍(151)과 걸림턱(152)이 상하로 형성된다. 따라서, 훅크형 부스바(60)를 단부지지부재(51)의 삽입관통홈(52)에 삽입하여 고정하면, 훅크형 부스바(60)의 훅크부(62)가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절연커버(55)는 절연성 플라스틱 사출물로서, 다수의 단부지지부재(51)와 훅크형 부스바(60)의 하부를 감쌀 수 있도록 ㄷ자 형태를 이룬다. 그 바닥판(58)의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두 개의 내·외측판(53)(54)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내측판(53)의 상단에는 단부지지부재(51)에 형성된 걸림턱(152)에 결합하는 결합돌기(251)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판(54)에는 상부덮개(57)의 수직측판(153)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돌기(253)이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수직측판(153)은 절연커버(55)의 내측판(53)와 외측판(54) 사이에 끼워지도록 소정 길이를 갖는다. 한편, 상기 상부덮개(57)의 상판(154)의 저면에는 다수의 스페이서부재(155)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페이서부재(155)는 외측으로 대칭되게 굴곡된 두 개의 탄성돌편(15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돌편(156)는 훅크형 부스바(60)의 훅크부(62)와 접촉할 수 있도록 소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설치된다.
이어서, 상기 부스바접속부재(70)는 상기 분기 부스바(50)의 훅크형 부스바(60)와 수직하게 설치된 제3 판형 부스바(30-3)의 접점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접속부재(70)는 도8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다수의 훅크형 부스바(60)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제3 판형 부스바(30-3)의 교차접점에 설치되는 절연케이스(71)와, 상기 절연케이스(71)에 고정되어 상기 훅크형 부스바(60)의 훅크부(62)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제3 판형 부스바(30-3)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고정금구부재(73)로 이루어진다.
이어서,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다수의 분기 부스바(50)에는 다수의 착탈식 어댑터(9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착탈식 어댑터(90)에는 다수의 배전용 차단기(5)가 설치된다. 즉, 도 9 내지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착탈식 어댑터(90)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훅크형 부스바(60)를 포함하는 분기 부스바(50)에 대해서 직교방향으로 걸쳐져 기계적으로 고정될 뿐만 아니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배전용 차단기(5)에 소정의 전원을 공급한다.
즉, 상기 착탈식 어댑터(90)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다수의 훅크형 부스바(60)를 안내할 수 있도록 하부 측벽에 다수의 안내홈부(94)가 형성된 사각형상의 어댑터케이스(91)와, 상기 어댑터케이스(91)를 이루는 상판(92)에 설치되어 상기 훅크형 부스바(60)의 훅크부(62)에 걸쳐지는 어댑터고정금구(97)와, 상기 어댑터케이스(91)의 상판(92)의 저면에 설치되어 훅크형 부스바(60)와 배전용 차단기(5)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케이블수단(95)과, 상기 어댑터케이스(91)의 상부에 설치되어 배전용 차단기(5)가 고정되는 차단기 설치수단(94)으로 구성된다.
먼저 도 11 및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어댑터케이스(91)는 절연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사출물로 이루어지고, 소정 크기를 갖는 상판(92)의 상부로는 소정 높이의 상부측벽(191)이 형성되어 상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상판(92)의 저면에는 소정 폭을 갖는 띠형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케이블수단(95)을 안내하는 다수의 안내채널(19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안내채널(192)의 소정 위치에는 훅크형 부스바(60)의 훅크부(62)와 접속되는 어댑터고정금구(97)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케이블수단(95)은 다수의 훅크형 부스바(60)와 선택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케이블수단(95)은 훅크형 부스바(60)의 훅크부(62)와 접속할 수 있도록 절곡되어 있는 접속부(195)와, 상판(92)의 저면에 형성된 안내채널(192)을 따라 안내되는 소정 길이의 수평부(196)와, 상기 수평부(196)와 접속됨과 아울러 상기 상판(92)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소정 형태로 절곡되고 그 단부에 소정의 접속단자(199)가 구비되는 단자부(197)와, 일단은 상기 접속단자(199)를 통해서 단자부(197)에 접속되고 타단은 배전용 차단기(5)와 접속되는 접속케이블(198)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블수단(95)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응용 또는 변형이 가능하므로 도시된 실시예로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어댑터케이스(91)의 상판(92)에 설치되는 어댑터고정금구(97)는, 전도성 금속판을 절곡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훅크형 부스바(60)의 훅크부(62)에 걸리도록 일측으로 절곡된 걸림부(297)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어댑터고정금구(97)는 상판(92)에 형성된 개구부에 설치된다. 즉, 상기 어댑터고정금구(97)의 걸림부(297)는 케이블수단(95)의 접속부(195)와 개구부 사이에 형성된 소정 간격의 틈을 관통하여 상판(92)의 하부에 위치한다. 이때, 상기 걸림금구(297)는 ㄷ자형으로 절곡된 금속판으로, 한 쌍의 걸림부(297)와 이들 걸림부(297)를 연결하는 수평연결부(298)와, 상기 수평연결부(298)에 형성된 체결구멍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는 소정 길이의 고정볼트(299)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고정볼트(299)를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볼트(299)의 단부가 케이블수단(95)의 절곡판(195)을 가압하는 동시에 상기 걸림부(297)를 상판(92) 쪽으로 잡아당겨서 훅크형 부스바(60)의 훅크부(62)에 고정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 따른 착탈식 어댑터(90)를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다수의 훅크형 부스바(60)에 대해 직교방향으로 걸치면, 상기 걸림부(297)가 훅크형 부스바(60)의 훅크부(62)에 걸리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고정볼트(299)를 한쪽으로 돌리면 상기 걸림부(297)가 훅크부(62)에 밀접하게 결합하여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착탈식 어댑터(90)를 훅크형 부스바(60)에 걸치는 방식으로 설치하므로 원하는 위치에 쉽게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치 변경과 교체가 매우 용이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모듈 조립형 저압 배전반(1)은, 상기 분기 부스바(50)에 설치된 다수의 착탈식 어댑터(90) 위에 배전용 차단기(5)를 설치함으로써 훅크형 부스바(60)를 절곡하거나 홀 가공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부스바를 배전용 차단기(5)의 입력단에 일일이 나사체결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때, 상기 착탈식 어댑터(90)의 상부에는 배전용 차단기(5)를 설치하기 위한 차단기 설치수단(94)이 구비된다. 상기 차단기 설치수단(94)의 한 예는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어댑터케이스(91)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판(294)이다. 상기 고정판(294)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배전용 차단기(5)를 나사 체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구멍(293)이 천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차단기 설치수단(94)의 다른 실시예는, 도 19에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어댑터케이스(91)의 상부에 소정의 탄성편(292)이 가로질러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탄성편(292)은 소정 두께의 금속판을 절곡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배전용 차단기(5)의 저면에는 상기 탄성편(292)이 탄성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홈이 대응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배전용 차단기(5)의 저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상기 탄성편(292)을 삽입함으로써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설치부재(94)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어댑터케이스(91)의 상부 양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결합블럭(296)이다. 상기 결합블록(296)은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전용 차단기(5)의 저면에 형성된 결합훅크(도시되지 않음)가 삽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결합홀(297)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배전용 차단기(5)의 저면에 형성된 결합훅크를 결합홀(297)에 삽입함으로써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도 13및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착탈식 어댑터(90)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와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어댑터(90-1)는 훅크형 부스바(60)의 훅크부(62)에 탄성적으로 결합하는 탄성고정수단(80)을 구비한다. 상기 탄성고정수단(80)은 착탈식 어댑터(90-1)가 훅크형 부스바(60)의 훅크부(62)에 삽입될 때 훅크부(62)에 탄성적으로 결합하여 착탈식 어댑터(90-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고정수단(80)은 착탈식 어댑터(90-1)의 상판(92)에 형성된 안내채널(192)에 안내되고 상기 훅크부(62)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절곡된 절곡접속판(81)과, 상기 절곡접속판(81)을 하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상판(92)에 형성된 안착홈에 안착되어 있는 상부스프링(82)과, 상기 절곡접속판(81)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그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가압판(83)과, 상기 하부가압판(83)을 항상 상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하부스프링(84)과, 상기 하부가압판(83)과 하부스프링(84)이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함과 아울러 대응하는 상기 절곡접속판(81)과의 사이에 상기 훅크부(62)가 탄성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간격을 유지하여 상판(92)의 저면에 고정하는 고정블록(85)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블록(85)은 하부가압판(83)과 하부스프링(84)이 이탈되지 않게 소정의 돌부(184)와 안착부(183)가 형성된 지지블록(86)과, 상기 지지블록(86)을 착탈식 어댑터케이스(91)의 저면에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하부가압판(83)과 절곡접속판(81) 사이에 소정 높이의 공간을 형성하는 스페이서블록(87)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지지블록(86), 하부가압판(83), 스페이서블록(87) 및/또는 절곡접속판(181)에 형성된 각 체결구멍(185, 186, 187, 188)을 통하여 소정 길이의 고정볼트(88)를 상판(92)에 체결하면 ㄱ자 형태의 고정블록(85)이 일체로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가압판(83)과 절곡접속판(81) 사이로 훅크형 부스바(60)의 훅크부(62)를 삽입하면, 대향방향으로 탄압되어 있는 하부가압판(83)과 절곡접속판(81)이 상기 훅크부(62)의 양면에 긴밀하게 접속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될 뿐만 아니라 기계적으로 단단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라서 탄성고정수단(80)이 구비된 착탈식 어댑터(90-1)는 착탈식 어댑터(90-1)를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분기 부스바(50)에 직교방향으로 걸치는 것만으로 훅크형 부스바(60)와 케이블수단(94)의 전기적 접속이 달성될 뿐만 아니라 별도의 나사 체결과정이 필요 없이 기계적으로도 단단히 결합되게 되므로 조립과 해체가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저압 배전반용 착탈식 어댑터는, 수평 또는 수직하게 설치된 분기 부스바에 직교하게 걸치는 것만으로 다수의 훅크형 부스바와 배전용 차단기를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할 수 있으므로 배전용 차단기를 쉽게 설치하거나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착탈식 어댑터는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된 분기 부스바상에 직접 설치하므로 나사체결 등과 같은 복잡한 공정이 생략되어 조립시간을 크게 단축시키고 비숙련자라도 쉽게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정된 캐비닛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콤팩트한 배전반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저압 배전반의 일례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저압 배전반의 부스바시스템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착탈식 어댑터가 적용된 저압 배전반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착탈식 어댑터가 적용된 저압 배전반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형 저압 배전반의 제1 캐비닛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착탈식 어댑터가 적용된 저압 배전반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분기 부스바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부스바접속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와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착탈식 어댑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착탈식 어댑터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착탈식 어댑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3 및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착탈식 어댑터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와 분해 사시도이다.

Claims (16)

  1. 소정 크기의 캐비닛 내부에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된 다수의 분기 부스바에 있어서,
    상기 분기 부스바에 직교방향으로 걸쳐지는 사각형상의 어댑터케이스와;
    상기 어댑터케이스의 상판에 설치되어 상기 분기 부스바에 고정되는 어댑터고정금구와;
    상기 어댑터케이스의 상판에 설치되어 분기 부스바와 배전용 차단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수단과;
    상기 어댑터케이스의 상부에 배전용 차단기를 설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차단기 설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배전반용 착탈식 어댑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 부스바는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훅크형 부스바와, 상기 다수의 훅크형 부스바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단부지지부재와, 상기 훅크형 부스바 및 단부지지부재를 감싸는 절연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배전반용 착탈식 어댑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훅크형 부스바는, 소정 높이의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선단에서 일측 방향으로 직각 되게 절곡된 훅크부와, 상기 수직부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양측으로 직각 되게 돌출된 수평부로 이루어져 'T자'와 'L자'가 결합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배전반용 착탈식 어댑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지지부재는 절연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사각형의 사출물로서, 상기 훅크형 부스바의 수평부와 수직부가 측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T형 삽입관통홈이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하에는 단부지지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소정의 체결구멍과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배전반용 착탈식 어댑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커버는 절연성 플라스틱 사출물로서, 다수의 단부지지부재와 훅크형 부스바의 하부를 감쌀 수 있도록 ㄷ자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바닥판의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두 개의 내·외측판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내측판의 상단에는 단부지지부재에 형성된 걸림턱에 결합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배전반용 착탈식 어댑터.
  6. 제 2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커버의 상부에는, ㄷ자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판의 양측면에는 상기 절연커버의 내측판와 외측판 사이에 끼워지는 소정 길이의 수직측판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상판의 저면에는 훅크형 부스바의 훅크부와 탄성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대칭되게 굴곡된 두 개의 탄성돌편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스페이서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절연덮개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배전반용 착탈식 어댑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케이스는, 절연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사출물로서, 상판의 상부로는 소정 높이의 상부측벽이 형성되어 상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상판의 저면에는 띠형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케이블수단을 안내하는 다수의 안내채널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채널의 소정 위치에는 분기 부스바에 포함된 훅크형 부스바의 훅크부와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어댑터고정금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배전반용 착탈식 어댑터.
  8. 제 1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고정금구는, 전도성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분기 부스바에 포함된 훅크형 부스바의 훅크부에 걸리도록 일측으로 절곡된 한 쌍의 걸림부와, 상기 한 쌍의 걸림부를 연결하는 수평연결부로 이루어진 ㄷ자형의 걸림금구와, 상기 수평연결부에 형성된 체결구멍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는 소정 길이의 고정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배전반용 착탈식 어댑터.
  9. 제 1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수단은, 훅크형 부스바의 훅크부와 접속할 수 있도록 절곡되어 있는 접속부와, 상판의 저면에 형성된 안내채널을 따라 안내되는 소정 길이의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와 접속됨과 아울러 상기 상판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소정 형태로 절곡되고 그 단부에 소정의 접속단자가 구비되는 단자부와, 일단은 상기 접속단자를 통해서 단자부와 접속되고 타단은 배전용 차단기와 접속되는 접속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배전반용 착탈식 어댑터.
  10. 제 1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 설치수단은, 상기 어댑터케이스의 상면에 설치된 금속판으로, 상기 배전용 차단기를 나사 체결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고정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배전반용 착탈식 어댑터.
  11. 제 1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 설치수단은, 상기 어댑터케이스의 상부에 가로질러 설치되고 소정 두께의 금속판을 절곡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한 탄성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배전반용 착탈식 어댑터.
  12. 제 1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 설치수단은, 상기 어댑터케이스의 상부 양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배전용 차단기의 저면에 수직하게 형성된 결합훅크가 삽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결합홀이 형성된 결합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배전반용 착탈식 어댑터.
  13. 소정 크기의 캐비닛 내부에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된 다수의 분기 부스바에 있어서,
    상기 분기 부스바에 직교방향으로 걸쳐지는 사각형상의 어댑터케이스와;
    상기 어댑터케이스의 상판에 설치되어 상기 분기 부스바의 훅크형 부스바 또는 T형 부스바를 탄성적으로 결합하는 탄성고정수단과;
    상기 어댑터케이스의 상판에 설치되어 분기 부스바와 배전용 차단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수단과;
    상기 어댑터케이스의 상부에 배전용 차단기를 설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차단기 설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배전반용 착탈식 어댑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케이스는, 절연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사출물로서, 상판의 상부로는 소정 높이의 상부측벽이 형성되어 상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상판의 저면에는 띠형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케이블수단을 안내하는 다수의 안내채널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채널의 소정 위치에는 분기 부스바에 포함된 훅크형 부스바의 훅크부와 탄성적으로 접속되는 탄성고정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배전반용 착탈식 어댑터.
  15.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고정수단은 착탈식 어댑터의 상판에 형성된 안내채널에 안내되고 상기 훅크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절곡된 절곡접속판과, 상기 절곡접속판을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상판에 형성된 안착홈에 안착되어 있는 상부스프링과, 상기 절곡접속판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그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가압판과, 상기 하부가압판을 항상 상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하부스프링과, 상기 하부가압판과 하부스프링이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함과 아울러 대응하는 상기 절곡접속판과의 사이에 상기 훅크부가 탄성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간격을 유지하여 상판의 저면에 고정되는 고정블록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배전반용 착탈식 어댑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록은 하부가압판과 하부스프링이 이탈되지 않게 소정의 돌부와 안착부가 형성된 지지블록과, 상기 지지블록을 착탈식 어댑터케이스의 저면에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하부가압판과 절곡접속판 사이에 소정 높이의 공간을 형성하는 스페이서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배전반용 착탈식 어댑터.
KR20-2005-0018063U 2005-06-22 2005-06-22 저압 배전반용 착탈식 어댑터 KR2003955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063U KR200395578Y1 (ko) 2005-06-22 2005-06-22 저압 배전반용 착탈식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063U KR200395578Y1 (ko) 2005-06-22 2005-06-22 저압 배전반용 착탈식 어댑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5578Y1 true KR200395578Y1 (ko) 2005-09-13

Family

ID=43696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8063U KR200395578Y1 (ko) 2005-06-22 2005-06-22 저압 배전반용 착탈식 어댑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557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293B1 (ko) 2010-12-29 2011-04-18 (주)서전기전 착탈식 멀티 어댑터 조립체를 이용한 배전반
KR101132053B1 (ko) * 2009-09-09 2012-04-02 (주)서전기전 착탈식 어댑터 조립체
CN107528232A (zh) * 2017-09-28 2017-12-29 湖州电力设备成套有限公司 一种顶部可拆卸开关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053B1 (ko) * 2009-09-09 2012-04-02 (주)서전기전 착탈식 어댑터 조립체
KR101029293B1 (ko) 2010-12-29 2011-04-18 (주)서전기전 착탈식 멀티 어댑터 조립체를 이용한 배전반
CN107528232A (zh) * 2017-09-28 2017-12-29 湖州电力设备成套有限公司 一种顶部可拆卸开关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0202B1 (ko) 모듈 조립형 저압 배전반
US6870103B1 (en) Bus joint cover assembly
KR101024727B1 (ko) 산업용 분전반용 분기 접속자 키트 및 이를 구비하는 산업용 분전반
US7232335B2 (en) K-series watthour meter socket adapter
KR100816102B1 (ko) 저압 배전반용 이중 착탈식 어댑터
KR100540204B1 (ko) 모듈 조립형 저압 동력반(엠씨씨반)
US3218519A (en) Protective device panel assembly
US20110176258A1 (en) Configurable deadfront fusible panelboard
KR100973944B1 (ko) 분전반용 플러그
KR101336968B1 (ko) 다적재 멀티 배전반
PL192631B1 (pl) Zespół zasilania niskonapięciowej elektrycznej szafki rozdzielczej
KR200395578Y1 (ko) 저압 배전반용 착탈식 어댑터
KR20080003842U (ko) 배전반
KR20090115451A (ko) 모터 컨트롤 센터
KR100641031B1 (ko) 전력장치용 배전반
KR100767400B1 (ko) 조립식 분전반
KR100534588B1 (ko) 전력장치용 차단기
KR200431626Y1 (ko) 수배전반용 배선차단기의 부스바 접속장치
KR200395590Y1 (ko) 저압 배전반용 부스바접속부재
KR100880625B1 (ko) 분배전반용 배전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배전함
KR200395579Y1 (ko) 저압 배전반용 조립식 부스바커넥터
KR200331163Y1 (ko) 배전반
JPH06507781A (ja) 後面より電気的アクセス可能な配電盤
KR20090100706A (ko) 산업용 분전반용 분기 접속자 키트 및 이를 구비하는산업용 분전반
EP2124303A1 (en) Adapter, adapter in combination with an MCCB for a low voltage switchboard, use of such adapter and an electric switchboard comprising such adap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