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9338A - ISG에 설치된 IoT 디바이스간 협업을 위한 리소스 할당 방법 및 협업 방법 - Google Patents

ISG에 설치된 IoT 디바이스간 협업을 위한 리소스 할당 방법 및 협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9338A
KR20180059338A KR1020170095335A KR20170095335A KR20180059338A KR 20180059338 A KR20180059338 A KR 20180059338A KR 1020170095335 A KR1020170095335 A KR 1020170095335A KR 20170095335 A KR20170095335 A KR 20170095335A KR 20180059338 A KR20180059338 A KR 20180059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sg
time
target command
information
i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5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8084B1 (ko
Inventor
허미영
박주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5/822,541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80152391A1/en
Publication of KR20180059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9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8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8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6Grouping or aggregating service requests, e.g. for unified processing
    • H04L67/283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3Terminal profiles
    • H04L67/3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oT 디바이스간 협업을 위한 리소스 할당 방법 및 협업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ISG(IoT-based Smart Greenhouse)에 설치된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간 협업 방법은, 타겟 커맨드 및 결정 조건과 관련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처리된 타겟 커맨드 관련 데이터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특정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특정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부가 정보 및 상기 처리된 결정 조건 관련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그룹핑(grouping) 하는 단계와, 상기 그룹핑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각각에 제1실행 명령(execution instruction)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그룹핑 이후,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특정 디바이스로부터 재수신된 부가 정보 및 상기 처리된 결정 조건과 동일하거나 재수신한 결정 조건 관련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재그룹핑(regrouping) 하는 단계와, 상기 재그룹핑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각각에 제2실행 명령(execution instruction)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ISG에 설치된 IoT 디바이스간 협업을 위한 리소스 할당 방법 및 협업 방법{RESOURCE ALLOCATION AND COOPERATION METHOD FOR COLLABORATION AMONG IOT DEVICES WITHIN ISG}
본 발명은 IoT 디바이스간 협업을 위한 리소스 할당 방법 및 협업 방법에 대한 것이다. 예를 들면, 기설정된 공간(space)내에 위치하고 있는 IoT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IoT 디바이스가 설치된 온실(IoT-based Smart Greenhouse)의 기술분야에도 적용 가능하다.
IoT 는 생활 속 사물들을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해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을 의미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최근 상용화 되고 있는 각종 스마트 글래스, 스마트 워치, 스마트 밴드 등도 IoT 기반 디바이스의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논의되고 있는 IoT 환경은, 상당히 국한된 분야(예를 들어, 가정, 자동차, 의료 분야) 등에서만 제한적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미래 산업으로 각광 받는 농장(farming)이나 온실, 스마트 그린하우스 등의 농업 분야에서 IoT 를 접목할 경우 요구 되어지는 필수 모델링 기법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 매우 부족한 상태이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ISG(IoT-based Smart Greenhouse)에 설치된 IoT (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간 협업을 위한 리소스 할당 방법 및 협업 방법을 위한 모델링 기법(ex : selection, grouping, regrouping)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모델링에 필요한 그룹핑, 리그룹핑 과정을 시작하는 트리거 조건을 정의함으로써, 불필요한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고 최적의 IoT 디바이스 조합을 결정 가능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
전술한 목적 등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ISG(IoT-based Smart Greenhouse)에 설치된 IoT (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간 협업을 위한 리소스 할당 방법은, 타겟 커맨드(Target Command)와 관련된 제1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결정 조건(Decision Condition)과 관련된 제2요청 메시지를 제1시점에서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제1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특정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특정 디바이스로부터, 프로파일 정보(profile information), 능력 정보(capability information) 또는 상태 정보(operation status inform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제2시점에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시점에 수신된 제2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 및 상기 제2시점에 수신된 프로파일 정보(profile information), 능력 정보(capability information) 또는 상태 정보(operation status information)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그룹핑(grouping) 하는 단계와, 결정 조건(Decision Condition)과 관련된 제2요청 메시지를 제3시점에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특정 디바이스로부터, 프로파일 정보(profile information), 능력 정보(capability information) 또는 상태 정보(operation status inform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제4시점에 수신하는 단계와, 그리고 제1시점 또는 제3시점에서 수신된 제2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결정 조건 및 상기 제2시점 또는 상기 제4시점에 수신된 프로파일 정보(profile information), 능력 정보(capability information) 또는 상태 정보(operation status information)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리그룹핑(regrouping)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목적 등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ISG(IoT-based Smart Greenhouse)에 설치된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간 협업 방법은, 타겟 커맨드 및 결정 조건과 관련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처리된 타겟 커맨드 관련 데이터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특정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특정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부가 정보 및 상기 처리된 결정 조건 관련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그룹핑(grouping) 하는 단계와, 상기 그룹핑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각각에 제1실행 명령(execution instruction)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그룹핑 이후,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특정 디바이스로부터 재수신된 부가 정보 및 상기 처리된 결정 조건과 동일하거나 재수신한 결정조건 관련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재그룹핑(regrouping) 하는 단계와, 상기 재그룹핑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각각에 제2실행 명령(execution instruction)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ISG에 설치된 IoT 디바이스간 협업을 위한 리소스 할당 방법 및 협업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ISG(IoT-based Smart Greenhouse)에 설치된 IoT (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간 협업을 위한 리소스 할당 방법 및 협업 방법을 위한 모델링 기법(ex : selection, grouping, regrouping)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다른 하나에 의하면, 상기 모델링에 필요한 그룹핑, 리그룹핑 과정을 시작하는 트리거 조건을 정의함으로써, 불필요한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고 최적의 IoT 디바이스 조합을 결정 가능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ISG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델링 프로세스 중 "Selection(선택)" 과정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델링 프로세스 중 "Grouping(그룹핑)" 과정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델링 프로세스 중 "Regrouping(재그룹핑)" 과정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델링 프로세스 중 "Virtual Device" 를 추가적으로 고려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델링 프로세스 중 "Exceptional Condition" 를 추가적으로 고려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델링 프로세스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플로우 차트(flow chart)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ISG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통합 ISG 관리 엔티티(Integrated ISG management entity)(110)는 온실 외부에 설치된 서버에 대응하는 반면, ISG 운영 엔티티(ISG operation entity)(120), ISG 컨트롤 엔티티(ISG control entity)(130), 센서 노드 엔티티(sensor node entity)(140), 센서(sensor)(150), 액츄에이터 노드 엔티티(actuator node entity)(160), 액츄에이터(actuator)(170) 등은 온실 내부에 설치된다. 또한, 도 1에 유저(180)라고 도시하였으나, 이는 실제 사람이 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유저(180)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이 될 수도 있다. 상기 단말은 예를 들어,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또는 데스트탑 등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ISG 운영 엔티티(120) 및 상기 ISG 컨트롤 엔티티(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개의 구성요소로 구현할 수도 있고 또는 하나의 디바이스로 구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나아가, 도 1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들에 보다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통합 ISG 관리 엔티티(110)는, 환경 상태 정보(environment status values)를 수집하고, 타겟 환경 조건을 상기 ISG 운영 엔티티(120)에 제공한다. 나아가, 타겟 작물 성장 조건으로 구성된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고, 온실의 환경 상태 정보로부터 타겟 환경 조건이 도출될 수 있다. 나아가, 타겟 환경 조건을 상기 ISG 운영 엔티티(120)에 제공하며, 이와 같은 정보의 타입은 예를 들어 프로파일에 대응한다.
상기 ISG 운영 엔티티(120)는, 상기 ISG 컨트롤 엔티티(130)로부터 환경 상태 값을 수신하고, 수신된 값을 상기 통합 ISG 관리 엔티티(110)에 릴레이 한다. 또한, 타겟 환경 조건을 상기 ISG 컨트롤 엔티티(130)에 제공한다.
상기 ISG 컨트롤 엔티티(130)는 상기 센서 노드 엔티티(140)로부터 환경 상태 값을 수신하고, 수신된 값을 상기 ISG 운영 엔티티(120)에 릴레이 한다. 또한, 상기 ISG 운영 엔티티(120)로부터 온실을 위한 타겟 환경 조건을 수신하고, 센싱된 환경 값에 따라 제어 커맨드를 상기 액츄에이터 노드 엔티티(160)에 전송한다.
상기 센서 노드 엔티티(140)는, 상기 센서(150)를 통해 온실의 환경 상태를 센싱하고, 센싱된 값을 상기 ISG 컨트롤 엔티티(130)에 전송한다.
상기 액츄에이터 노드 엔티티(160)는, 상기 ISG 컨트롤 엔티티(130)로부터 수신된 제어 커맨드(예를 들어, 환풍기(ventilator)을 턴온(turn on)) 상기 액츄에이터(170)를 동작시킨다.
상기 유저(180) 또는 그의 디바이스는 전술한 다른 엔티티들과 정보 교환을 위해 상호작용(interacts)을 수행한다.
나아가, 각 엔티티들간 인터페이스(R1, R2, R3, R4, R5, R6, R7, R8, R9, R10, R11)에 대해서는 이하 도면에서 후술할 모델링 과정을 통해 당업자는 반복 실시 가능하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엔티티들은 ISG(IoT-based Smart Greenhouse)에 설치된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들에 대응할 수 있고, 상기 IoT 는, 상호 정보 교환이 가능한(interoperable) 통신 수단에 근거하여, 사물간 상호 연결(interconnect)을 통한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기반 시설(infrastructure)에 대응한다.
또한, 당해 명세서에서 서술하는 디바이스 또는 IoT 디바이스라 함은, 상기 IoT와 관련하여 센싱(sensing), 제어(actuation), 데이터 캡쳐(data capture), 데이터 저장(data storage) 또는 데이터 처리(data processing)가 가능한 능력을 구비하고 있는 장비(equipment)에 대응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센싱 능력을 구비한 장비는 도 1에 도시된 센서 노드 엔티티(140) 또는 센서(150)에 해당하며, 제어 능력을 구비한 장비는 도 1에 도시된 액추에이터 노드 엔티티(160) 또는 액츄에이터(170)에 해당하며, 데이터 캡쳐/저장/처리 능력을 구비한 장비는 도 1에 도시된 ISG 컨트롤 엔티티(130)에 해당한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실제 물리적으로(physically) 존재하는 엔티티들 뿐만 아니라 가상의(virtual) 값들을 모두 고려하여 최적화된 작물 재배 환경을 도출하는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모델링 프로세스에 대해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모델링 프로세스에서 “Selection(선택)” 과정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델링 프로세스 중 “Selection(선택)” 과정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다만, 당해 명세서에서는 셀렉션(선택) 과정으로 명명하였으나, 반드시 해당 용어로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도 2에 도시된 모델링 프로세스에서 고려되어야 할 각각의 엘리먼트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2에 도시된 타겟 커맨드(target command)는, 예를 들어 제어하고자 하는 대상(ex: 온도, 습도, 풍향, 탄소 배출량 등), 타겟값(ex : 몇도, 몇프로, 몇리터 등), 타겟값 도달 소요 시간(ex : 1시간 이내, 2시간 이내 등) 또는 타겟값 유지 기간(ex : 일주일 동안, 한달 동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한편,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타겟 커맨드는 상기 제어하고자 하는 대상 및 상기 타겟값을 반드시 포함하고, 상기 타겟값 도달 소요 시간 및 상기 타겟값 유지 기간은 선택적(optional)으로 포함된다. 만약 상기 타겟값 도달 소요 시간 및 상기 타겟값 유지 기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면, 메모리를 참조하여 디폴트 값(default value)을 사용하도록 설계한다.
그리고,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타겟 커맨드는 상기 제어하고자 하는 대상 및 상기 타겟값의 구체적인 값을 포함하지 않고, 별도의 다른 모드와 맵핑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최적생장모드, 친환경모드가 결정되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각각의 모드에 제어하고자 하는 대상 및 타겟값이 자동으로 결정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온실내 IoT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거나 온실 외부 서버로부터 추출된다.도 2에 도시된 결정 조건(decision command)는, 상기 타겟 커맨드를 실행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선택 조건으로서, 예를 들어 최소 시간, 최대 시간, 최소 비용, 최대 비용, 임계치, 우선 순위(ex : 사용자 선택 또는 자동), 환경값(ex : 탄소배출량, 전자파, 소음, 쓰레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실행 명령(execution instruction)은, 특정 디바이스 또는 특정 IoT 디바이스를 어떤 기간 동안 어떤 값으로 운영하라는 지시 사항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적어도 하나의 IoT 디바이스는, 상기 실행 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디바이스의 프로파일 정보, 운영 상태 정보 또는 능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다가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요청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전술한 도 2의 엘리먼트들을 참조하여, 선택(selection)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타겟 커맨드가 특정 온도(ex : 18도씨)를 타겟값으로 포함하고 있는 경우, 통신 연결된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부가 정보(ex : 프로파일 정보, 능력 정보,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온도에 영향을 주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선택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프로파일 정보(profile information)는, 예를 들어 디바이스 이름, 디바이스 ID, 디바이스 위치,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능력 정보(capability information)는, 예를 들어 수행 가능한 업무의 명칭, 특정 업무의 처리 시간, 처리 비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상태 정보(operation status information)는, 예를 들어 디바이스의 현재 동작 상태, 현재 이용 가능 여부, 현재 실행 업무, 현재 실행 업무의 종료 예정 시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부가 정보 중 프로파일 정보에 포함되는 카테고리가 온도에 영향을 주는 디바이스를 식별하도록 설계된다. 물론, 상기 카테고리는 상기 부가 정보 중 프로파일 정보가 아닌 능력 정보에 포함되도록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도 2에서는 타겟 커맨드에 포함된 타겟 대상(예를 들어, 온도로 가정)에 대응하는 카테고리를 가지는 디바이스로, 제1 내지 제5 IoT 디바이스 가 선택된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이하 도 3 내지 도 7 역시 제1 내지 제5 IoT 디바이스 가 선택된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하도록 하겠다.
모델링 프로세스에서 “Grouping(그룹핑)” 과정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델링 프로세스 중 “Grouping(그룹핑)” 과정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셀렉션 과정으로서 온도에 영향을 받는 제1 내지 제5 IoT 디바이스를 선택한 다음에는, 선택된 복수의 디바이스들 중에서 실행 명령(execution command)을 실제 전송할 대상 및 값을 정하는 절차가 필요하며 이에 대해서는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겠다. 한편, 당해 명세서에서는 이를 그룹핑 과정으로 명명하였으나, 반드시 해당 용어로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도 3에 도시된 결정 조건(decision condition)은, 예를 들어 타겟 커맨드를 구현하는 다양한 접근 방법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한달동안 18도씨를 유지하라는 타겟 커맨드를 구현하기 위한 세부 조건으로서, “비용의 범위”, “전력량 소모 범위”, “임계치(ex : 어떠한 경우에도 100도씨가 초과하지 않는 조건)”, “우선순위(ex : 고장이 없는 장치부터 컨트롤 하고, 고장이 빈번한 장치의 컨트롤은 후순위로 자동 또는 수동 설정)” 등이 이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결정 조건은 하나 또는 둘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나아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제1 내지 제5 IoT 디바이스들 중에서 결정 조건에 따라 특정 3개의 IoT 디바이스로 제1 IoT 디바이스, 제2 IoT 디바이스 및 제4 IoT 디바이스가 1차적으로 그룹핑 된다. 물론, 오프 상태인 제3 IoT 디바이스 및 다른 동작을 수행하고 있는 제5 IoT 디바이스는 도 3에 도시된 그룹핑에서 제외되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2의 선택(selection) 과정에서 각 IoT 디바이스로부터 부가 정보를 수신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한편, 결정 조건으로 최소한의 비용이 확정된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룹핑된 제1 IoT 디바이스, 제2 IoT 디바이스 및 제4 IoT 디바이스 각각에 “18도” 타겟 커맨드를 “최소한의 비용”의 결정 조건으로 구현할 수 있는 실행 명령(execution instruction)을 전송한다. 예를 들어, 그룹핑된 제1 IoT 디바이스(ex : 보일러-1)에는 30분 가동하라는 실행 명령을 전송하고, 그룹핑된 제2 IoT 디바이스(ex : 환풍기-1)에는 full 가동하라는 실행 명령을 전송하고, 그리고 그룹핑된 제4 IoT 디바이스(ex : 창측 개폐기)에는 오프 시키라는 실행 명령을 전송한다.
모델링 프로세스에서 “Regrouping(재그룹핑)” 과정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델링 프로세스 중 “Regrouping(재그룹핑)” 과정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주요한 특징 중 하나는, 센싱 주기에 따라 IoT 디바이스들의 변경된, 또는 동일한 상태 및 변경된 또는 동일한 결정 조건을 반영하여 제어하고자 하는 디바이스 및 실행 명령을 재설정하는 리그룹핑 과정을 적응적으로 구현한다는 것이다. 물론, 당해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리그룹핑, 재그룹핑(regrouping) 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으나, 해당 용어로 당해 권리범위가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에서는 제5 IoT 디바이스가 다른 동작을 수행하기 때문에 그룹핑 대상에서 의도적으로 제외한 바 있다. 다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IoT 디바이스가 다른 동작을 모두 종료하고, 최소 비용이라는 결정 조건(decision command)에 “타겟값 도달 소요 시간 또는 타겟값 유지 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충족하기 위한 시간적 여유가 있다”는 결정 조건이 추가되어 제2 IoT 디바이스에 비해 보다 상대적으로 부합한 경우, 도 4에서 도시한 그룹핑과 달리 제5 IoT 디바이스(ex : 환풍기 2)에 1시간 가동하라는 실행 명령을 전송한다.
한편, 이전 도 1 내지 도 5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ISG(IoT-based Smart Greenhouse)에 설치된 IoT (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간 협업을 위한 리소스 할당 방법을 다시 정리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에 도시된 ISG 운영 엔티티(120) 또는 ISG 컨트롤 엔티티(130)는, 타겟 커맨드(Target Command)와 관련된 제1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결정 조건(Decision Condition)과 관련된 제2요청 메시지를 제1시점에서 수신한다.
다만, 상기 제1요청 메시지 또는 상기 제2요청 메시지는, 예를 들어 하나의 메시지 또는 별개의 다른 메시지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상기 제1요청 메시지 또는 상기 제2요청 메시지는, 예를 들어 다른 IoT 디바이스로부터 직접 수신하거나 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DB)를 통해 추출된다.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DB)는, 예를 들어 ISG 운영 엔티티(120), ISG 컨트롤 엔티티(130) 또는 외부 서버(server)에 구축되어 있다.
상기 타겟 커맨드(target command)는, 예를 들어 제어하고자 하는 대상, 타겟값, 타겟값 도달 소요 시간 또는 타겟값 유지 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결정 조건(decision condition)은, 예를 들어 상기 타겟 커맨드를 실행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선택 조건으로서, 최소 시간, 최대 시간, 최소 비용, 최대 비용, 임계치, 우선 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나아가, 도 1에 도시된 ISG 운영 엔티티(120) 또는 ISG 컨트롤 엔티티(130)는, 상기 수신된 제1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특정 디바이스를 선택한다. 상기 선택(selection) 과정에 대해서는 이전 도 2에서 충분히 설명한 바 당업자는 이를 참조하여 반복 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ISG 운영 엔티티(120) 또는 ISG 컨트롤 엔티티(130)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특정 디바이스로부터, 프로파일 정보(profile information), 능력 정보(capability information) 또는 상태 정보(operation status inform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제2시점에 수신하고, 상기 제1시점에 수신된 제2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결정 조건 및 상기 제2시점에 수신된 프로파일 정보(profile information), 능력 정보(capability information) 또는 상태 정보(operation status information)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그룹핑(grouping) 한다. 상기 그룹핑(grouping) 과정에 대해서는 이전 도 3 및 도 4에서 충분히 설명한 바 당업자는 이를 참조하여 반복 실시가 가능하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ISG 운영 엔티티(120) 또는 ISG 컨트롤 엔티티(130)는, 제3시점에서 결정조건과 관련된 제2 요청메시지를 수신하고(상기 제3시점은 상기 제1시점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함),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특정 디바이스로부터, 프로파일 정보(profile information), 능력 정보(capability information) 또는 상태 정보(operation status inform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제4시점에 수신하고(상기 제4시점은 상기 제2시점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함), 상기 제3시점 (또는 제3시점에 제2요청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았다면 제1시점)에 수신된 제2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결정 조건 및 상기 제4시점 (또는 제4시점에 수신되지 않았다면 제3시점)에 수신된 프로파일 정보(profile information), 능력 정보(capability information) 또는 상태 정보(operation status information)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리그룹핑(regrouping) 한다. 상기 리그룹핑(regrouping) 과정에 대해서는 이전 도 5에서 충분히 설명한 바 당업자는 이를 참조하여 반복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리그룹핑 단계에서 사용되는 제2요청 메시지는, 상기 그룹핑 단계에서 사용되는 제2요청 메시지와 동일한 메시지일 수도 있고, 또는 다른 시점에 수신된 다른 메시지일 수도 있다. 따라서, 그룹핑 단계에서 확정된 결정 조건(Decision Condition)과 리그룹핑 단계에서 확정된 결정 조건(Decision Condition)이 다른 경우도 모두 해결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그룹핑 단계에서는 유저가 설정하거나 또는 자동으로 생성된 우선순위에 따라 결정 조건이 확정되는 반면, 리그룹핑 단계에서는 상기 우선순위가 변경될 수 있다(예를 들어, 1시간 이내에 18도씨를 맞추라는 타겟 커맨드가 만족에 실패한 경우, 그룹핑때 확정된 우선순위와 관계 없이 최소한의 시간으로 타겟 커맨드를 만족하는 결정 조건이 새롭게 계산된다).
결정 조건(decision condition)은 타겟 커맨드를 구현하는 접근 방법 중 하나로서, 예컨대 타겟 커맨드를 구현하기 위한 디바이스 선택의 세부 조건으로서 비용의 범위, 전력량 소모 범위, 임계치, 최소/최대 시간, 최소/최대 비용, 출하 시기, 우선 순위(고장이 없는 장치부터 컨트롤하고, 고장이 빈번한 장치의 컨트롤은 후순위로 설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된다
전술한 선택(selection) 과정에 대하여 다시 서술하면, 타겟 커맨드가 특정 온도(18℃)를 타겟값으로 포함하고 있는 경우, 통신 연결된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프로파일 정보, 능력 정보, 상태 정보 등에 기초하여, 온도에 영향을 주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선택한다.
그 다음, 그룹핑(grouping) 과정에 대하여 서술하면, 온도에 영향을 주는 것이어서 선택된 디바이스 중에서, 타겟 커맨드(18℃)에 대한 결정 조건이 “최소한의 비용”인 경우, 그룹핑된 디바이스 각각에 타겟 커맨드를 해당 결정 조건으로 구현할 수 있는 실행 명령(execution instruction)을 전송하여, 예컨대 그룹핑된 제1 IoT 디바이스(ex : 보일러-1)에는 30분 가동하라는 실행 명령을, 그룹핑된 제2 IoT 디바이스(ex : 환풍기-1)에는 full 가동하라는 실행 명령, 그리고 그룹핑된 제4 IoT 디바이스(ex : 창측 개폐기)에는 오프 시키라는 실행 명령을 전송한다.
리그룹핑(regrouping) 과정에 대하여 서술하면, 시점을 달리하거나 조건이 추가된 결정 조건을 반영하여, 상대적으로 그 결정조건에 더욱 부합하는 디바이스가 있다면, 전술한 그룹핑과 달리 제5 IoT디바이스(ex. 환풍기-2)에 1시간 동안 가동하라는 실행 명령을 전송한다.
이러한 그룹핑 및 리그룹핑은, 선택 조건(타겟 커맨드를 구현하기 위한 결정 조건)을 고려하여 복수의 디바이스들 중에서, 타겟 커맨드를 구현하기 위해 선택된 각각의 디바이스의 동작 비율 또는 동작 순위를 결정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DB로부터 하달받은 생육 조건 만족을 위한 실행 명령을 종속적으로 수행하거나, 단일 디바이스의 제어 조건을 설정하는 것에 그치지 아니하고, 외부 DB로부터 수신한 생육 조건 만족 또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변경되는 결정 조건을 반영하여, 타겟 커맨드를 만족하기 위한 복수의 디바이스들 간의 동작 우선 순위 또는 동작 비율을 결정함으로써, 타겟 커맨드 구현을 위한 제어 효율성 및 신뢰성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동일한 디바이스라고 하더라도, 현재 제어 대상인 온실의 스펙(예: 부피, 재질이 다르거나, 포함되는 구동기가 상이한 경우 등) 내에서, 구동기의 역량 또는 비용 산출을 통해 온실 맞춤형 능력 정보 산출 및 적용이 가능하다.
즉, 특정 온도 유지에 대한 타겟 커맨드와 결정 조건(운영 요구사항, 예를 들어 비용 최소화 또는 출하 시기 조정 등)에 대하여, 디바이스의 구동을 위한 결정을 내리기 위한 근거로서, 구동기의 역량 또는 비용을 산출하고 이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온도 1℃ 상승을 위해서 필요한 가동 시간과 비용을 산출하여, 온실 맞춤형 구동기 능력정보 산출 및 적용이 가능하다. 동일한 보일러라고 하더라도, 배치되는 온실(부피가 상이한 온실 A 및 온실 B의 경우)에 따라서 1℃를 상승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각각 다르게 되는데, 온실 맞춤형 구동기의 능력정보 산출 결과를 바탕으로, 해당 특정 온실의 상황에 부합하도록, 타겟 커맨드 만족을 위한 구동기들의 예상 소요 시간 및 비용을 적응적으로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결정조건에 출하 시기 조정이 포함된 경우라면, 농장주가 투입되는 코스트(cost)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결정을 내리기 위한 근거 자료로서, 온실 맞춤형 구동기 역량 정보를 산출하여 농장주에게 제공함으로써, 농장주가 특정 시기에 작물 수확을 하기 위해서 소요 예상되는 비용을 정확히 인지하여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지원한다.
예컨대, 현재 타겟 커맨드에 따르면 3주 뒤에 수확하게 되는 상황임을 가정하자.
이 때, 시장 조건을 따져 봤을 때, 수확 시기를 현 시점으로부터 2 주 뒤로, 즉 예상 수확 시기를 1주 당기게 되면, 수확시기를 앞당기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들어가는 코스트가 발생한다.
그런데, 수확 시기를 1 주 앞당김에 있어 발생되는 코스트보다, 수확 시기를 앞당김으로써 발생되는 수입이 더 클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즉, 2주 뒤 수확 시 수입 - 수확 시기를 앞당기기 위해 추가적으로 소모되는 비용> 3주 뒤 수확 시 수입 - 현재 타겟 커맨드 만족을 위해 소모되는 비용), 수확 시기를 1 주 앞당기도록 결정할 수 있고, 그러한 결정을 위한 근거 자료로서 적응적 산출 자료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복수의 디바이스 들 간의 동작 우선 순위 또는 동작 비율 조정에 대한 트리거 조건에 대하여는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모델링 프로세스에서 “Virtual Device(가상 디바이스)” 처리 과정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델링 프로세스 중 “Virtual Device” 를 추가적으로 고려한 도면이다. 이전 도면들을 참조하여 도 6을 보충 해석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도 6에 도시된 가상 디바이스(virtual device)라 함은 온실내 현재 물리적으로(physically) 존재하는 IoT 디바이스들은 아니지만, 결정 조건(decision condition) 및 실행 명령(execution instruction) 중 적어도 하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가상의 엘리먼트들이다.
나아가, 상기 가상 디바이스는 온실내 IoT 디바이스가 처리한 값과 독립적인 정보(independent information) 및 상기 온실내 IoT 디바이스가 처리한 값에 종속적인 정보(inform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가상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독립적인 정보(independent information)라 함은, 예를 들어 온실 내부의 예측 온도, 온실 외부의 현재 또는 예측 온도에 해당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온실내 IoT 디바이스가 센싱한 온도와 관계 없이,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온실 외부의 현재 또는 예측 온도가 상기 ISG 운영 엔티티(120) 또는 상기 ISG 컨트롤 엔티티(130)로 수신된다.
반면, 상기 가상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종속적인 정보(dependent information)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온실내 IoT 디바이스의 일예인 카메라가 캡쳐한 로우데이터(raw data)가 외부 서버로 전송되면, 상기 외부 서버의 분석 알고리즘에 따라 온실내 작물의 상태를 정의하는 결과값(ex : 병충해 발생 여부)이 상기 ISG 운영 엔티티(120) 또는 상기 ISG 컨트롤 엔티티(130)로 수신된다. 상기 결과값이, 상기 가상 디바이스에 포함된 종속적인 정보의 일예이다.
상기 가상 디바이스에 포함된 독립적인 정보 또는 종속적인 정보에 따라, 예외 조건(exceptional condition)이 도출된다. 예컨대, 상기 가상 디바이스의 일예인 상기 온실 외부의 현재 또는 예측 온도에 따라 예외 조건(ex : 급격한 온도 변화)을 추정한다. 나아가, 상기 가상 디바이스의 다른 일예인 온실내 작물의 상태를 정의하는 결과값에 따라, 예외 조건(ex : 병충해 발생)을 추정한다. 상기 예외 조건의 처리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가상의 디바이스는, 온실내 예측 온도, 온실 외부의 현재 온도, 온실 외부의 예측 온도 등이 이에 해당한다. 온실내 예측 온도, 온실 외부의 현재/예측 온도 등은 통합 ISG 관리 엔티티(110) 또는 서버를 통해 획득 되어지는 정보(external virtual device)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가상 디바이스가 온실 밖 폭설로 인한 강추위가 예상되는 경우, 가장 빠른 성능을 보이는 제2 IoT 디바이스(ex : 보일러-2)에 full 가동하라는 실행 명령(execution instruction)을 전송한다. 이는 이전 도 2 내지 7에서 전술한 최초 그룹핑 및 재그룹핑과는 다른 결과값이다.
한편, 도 1을 참고하여 부연 설명을 하면, 도 1에 도시된 ISG 운영 엔티티(120) 또는 ISG 컨트롤 엔티티(130)는, 도 6에 도시된 가상 디바이스(Virtual Device)와 관련된 제3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상 디바이스는 통합 ISG 관리 엔티티(110) 또는 서버를 통해 획득 되어지는 정보(external virtual device)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ISG 운영 엔티티(120) 또는 ISG 컨트롤 엔티티(130)는, 상기 수신된 제3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 상기 수신된 제2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 및 상기 수신된 프로파일 정보(profile information), 능력 정보(capability information) 또는 상태 정보(operation status information)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그룹핑(grouping) 또는 재그룹핑(regrouping) 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모델링 프로세스에서 “Exceptional Condition(예외 조건)” 처리 과정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델링 프로세스 중 “Exceptional Condition” 를 추가적으로 고려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예외 조건(Exceptional condition)은 예를 들어 비상 사태(emergency)를 의미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온실내 시설 또는 온실 자체에 대한 손상, 온실 내부의 침입 상황 발생, 화재 발생, 급격한 기후 변화, 지진 발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한편, 도 7에서는 예외 조건을 결정 조건과 동일한 레벨의 다른 개념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결정 조건에 상기 예외 조건이 포함되는 개념으로도 변형 설계 가능하다.
한편, 도 1을 참고하여 부연 설명을 하면, 도 1에 도시된 ISG 운영 엔티티(120) 또는 ISG 컨트롤 엔티티(130)는, 상기 결정 조건에 예외 조건(예를 들어, 비상 사태)이 포함된 경우, 상기 수신된 제1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특정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단계를 해제하고, 상기 비상 사태에 보다 적합한 제6 IoT 디바이스(ex : 경고알람)를 full 가동하는 실행 명령을 상기 제6 IoT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이전 도면들에서는 모델링 프로세스를 위해 필요한 각각의 엘리먼트들 및 각각의 실시예들을 서술하였다. 다만, 이하 도 8 내지 도 11에서는 시간 순서에 따라 동작하는 단계들을 보다 상세히 기술하도록 하겠다.
도 8은 도 2 내지 도 7의 모델링 프로세스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메인 플로우 차트(flow chart) 이다. 도 8에 도시된 동작의 주체는 도 1에 도시된 임의의 디바이스가 될 수도 있다.
다만, 예시적으로 도 1에 도시된 ISG 운영 엔티티(120) 또는 ISG 컨트롤 엔티티(130)에서 해당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가정하고 이하에서는 설명하도록 하겠다.
우선, 도 1에 도시된 ISG 운영 엔티티(120) 또는 ISG 컨트롤 엔티티(1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겟 커맨드를 확인하고(S811), 결정 조건을 확인하고, 부가정보를 수집하며, 디바이스들에 대한 셀렉션(selection)을 수행한다(S812).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타겟 커맨드는 온실내 온도를 18도로 맞추는 커맨드에 대응한다고 가정하겠다.
제어 대상이 온도이므로, 온도와 관련하여 제어가 가능한 디바이스 리스트를 선택(selection)한다. 예를 들어, 보일러, 환풍기, 천장, 측장 등이 이에 해당한다.
나아가, 각 디바이스의 부가 정보를 수집하는데, 상기 부가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 디바이스의 프로파일 정보, 운영상태 정보 또는 능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프로파일 정보에는, 예를 들어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 디바이스의 개수 정보, 디바이스가 다른 디바이스에 미치는 영향 등이 포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환풍기는 2개 존재하고, 환풍기 1이 특정 면적 내 온도 1도를 올리는데 소요 시간, 소요 비용, 배출되는 쓰레기 정보량 등이 포함된다.
다음으로, 도 1에 도시된 ISG 운영 엔티티(120) 또는 ISG 컨트롤 엔티티(1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겟 커맨드 만족 여부를 반복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확인한다. 이전 도 5에서 전술한 리그룹핑 되는 동작이 트리거 되는 중요한 시간 정보가 정의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도 1에 도시된 ISG 운영 엔티티(120) 또는 ISG 컨트롤 엔티티(130)는, 결정 조건 및 디바이스 부가 정보에 따라 실행 명령(execution instruction)을 조정한다. 최초 생성된 실행 명령은 그룹핑에 해당하고, 그 이후 특정 시점에 재생성된 실행 명령은 리그룹핑에 해당한다.
예를 들면, 결정 조건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일예인 선호도를 고려하여 타겟 커맨드를 구현하기 위한 디바이스들의 반영 비율 및 세부 실행 명령을 조절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선호도는, 시간(ex : 1시간 이내), 비용(ex : 1천달러 이하), 환경(ex : 탄소 배출량을 얼마 이내로) 등이 해당한다.
예를 들면, 결정 조건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다른 일예인 임계치(threshold)를 고려하여 타겟 커맨드를 구현하기 위한 디바이스들의 반영 비율 및 세부 실행 명령을 조절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최소 시간, 최대 시간, 최소 비용, 최대 비용, 친환경 유지 등이 해당한다.
예를 들면, 결정 조건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또 다른 일예인 우선순위(priority) 또는 사용자 요구를 고려하여 타겟 커맨드를 구현하기 위한 디바이스들의 반영 비율 및 세부 실행 명령을 조절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우선순위 또는 사용자 요구에 따라 특정 보일러(고장 가능성이 없는 새로운 제품)를 다른 조건 관계 없이 최우선으로 동작시키는 반면, 다른 보일러(오래되거나 고장 가능성 높은)는 다른 조건 관계 없이 가장 후순위로 동작시킨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에는 보일러 1을 x1시간 가동할 경우, x2 비용이 발생하고 x3 환경 쓰레기가 배출된다는 정보와, 환풍기 1을 y1시간 가동할 경우, y2 비용이 발생하고 y3 환경 쓰레기가 배출된다는 정보와, 그리고 천창 1을 z1시간 가동할 경우, z2 비용이 발생하고 z3 환경 쓰레기가 배출된다는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결정 조건은 동일하더라도, 타겟 커맨드의 만족 여부를 확인하는 시점/ 타겟 커맨드의 만족 여부에 따라 실행 명령을 조정하여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필요에 의해 제안되는 리소스 할당 방법은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ISG 운영 엔티티(120) 또는 ISG 컨트롤 엔티티(130)는 타겟 커맨드의 유지 기간(T1)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821), 타겟 커맨드의 유지 기간이 아닌 경우, 그룹핑/ 재그룹핑 해제 및 실행 명령 삭제(S830) 가 수행된다.
타겟 커맨드의 유지 기간 내인지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S821), 유지 기간(T1)에 해당하는 경우, 타겟 커맨드의 도달 시간(T2) 범위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며(S822), 이 때, T2는 T1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유지 기간(T1)은 온실을 18도로 "1개월 동안 유지" 하라는 시간 정보에 대응하고, 상기 도달 시간(T2)은 온실을 최초18도로 유지하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을 "10시간 이내"로 제한하는 시간 정보에 대응한다.
상기 판단 결과(S822) 타겟 커맨드의 도달 시간(T2) 범위 이내인 경우, 타겟 커맨드 만족 여부를 판단한다(S823-1).
상기 판단 결과(S823-1) 타겟 커맨드가 만족된 경우, 특정 시간(T3) 경과 후 타겟값 만족 여부를 모니터링(센싱)하도록 설계한다(S824).
S824단계에서, 타겟 커맨드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823-1)를 수행하는 주기가 설정되는데, 예컨대 도달 시간이 전술한 예와 같이 10시간 이라면, 5시간이 지난 후의 시점(t3-1), 그로부터 2시간 반이 지난 후의 시점(t3-2), 그로부터 1시간 15분이 지난 후의 시점(t3-3) 단위로 타겟 커맨드 만족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예컨대 고부가가치 작물인 특용작물의 생육 환경의 경우, 생육 비용이 더 소요되더라도 제어 초기에 타겟 컨디션의 조속한 만족이 필요한 경우, 타겟 커맨드 만족 여부 확인 시점을 임의로 조절하여 매 1시간 또는 매 30분마다 그 만족 여부를 확인하도록 설정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S824단계 이후에는 S812단계로 회귀한다. 즉, 이미 타겟값을 만족하므로 주기적 모니터링을 바로 실행하지 않음으로써, 불필요한 자원 낭비를 줄일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기설정된 시간(T3)에 따르면 기설정 방식의 시간 간격으로 타겟값 만족 여부를 센싱하되, 기설정 방식은 i) 고정 방식으로서 균등하게 시간 간격이 나뉘어 진 것이거나, ii) 규칙성을 가진 수렴 형태의 시간 간격이거나, iii) 변동 방식으로서 임의로 나뉘어지게 된다.
즉, ii)의 경우, T3는 t3-1, t3-2, t3-3…의 시간 간격을 주기로 구성될 수 있는데, t3-1, t3-2, t3-3, …의 간격은 예컨대 그 앞의 주기보다 1/2로 줄어들어 수렴하는 형태로 센싱할 수 있다. (
Figure pat00001
)
iii)의 경우, 농장주, 온실설치자, 외부 제어관리자 등에 의하여 임의로 지정할 수도 있다.
반면, 상기 판단 결과(S823-1) 타겟 커맨드가 만족되지 않은 경우, 타겟 커맨드 만족 추이 적정 여부에 따라, 디바이스 실행 명령 조정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825-1).
예컨대, 실행 명령 조정 여부 판단에 타겟 커맨드의 만족 여부를 확인하는 현재 시점이 적용되는 경우를 가정하면, 타겟 커맨드의 도달 시간이 전술한 바와 같이 10시간이고, 타겟 커맨드의 만족 여부를 확인한 시점이 초기 5시간이 경과한 시점에 불과한 경우, S825-1단계에서는 실행 명령 조정이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S825-4단계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면, 타겟 커맨드의 도달 시간이 전술한 바와 같이 10시간이고, 타겟 커맨드의 만족 여부를 확인한 시점이 초기 7시간 30분이 경과한 시점인 경우, S825-1단계에서는 실행 명령 조정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S825-2단계 및 S825-3 단계를 수행한다.
이러한 S825-1 단계의 판단 기준은 전술한 가정 상에서의 시간적 요소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와 같이 생육 작물의 특징에 따라 외부 DB로부터 또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의하여 설정됨이 가능하다.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2017. 6. 1. 오후 1시에 수신된 타겟 커맨드의 18℃로의 유지 기간이 1달이고, 18℃까지의 도달 시간이 10시간인 경우를 가정한다.
타겟 커맨드 및 결정조건에 따라, 온도와 관련된 IoT 디바이스 중 보일러, 환풍기, 천장개폐장치가 선택(selection)되고, 보일러-1, 보일러-2 중 비용이 상대적으로 적게 소모되는 보일러-1이, 환풍기-1, 환풍기-2 중 환풍기-1이 선택되고, 천장개폐장치는 반정도 off된 상황(grouping)을 가정한다.
2017. 6. 1. 오후 3시는 타겟 커맨드의 유지 기간 내이며, 도달 시간 내이며, 타겟 커맨드의 만족 여부를 확인하여(S823-1), 타겟 커맨드가 만족되었다면, 당장 센싱을 하지 않고 일정 시간(T3)이 지난 후 센싱(S824)을 하여, 불필요한 센싱 자원 낭비를 방지한다.
반면, S823-1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타겟 커맨드가 만족되지 않았다면, 타겟 커맨드의 만족 추이 적정성을 확인하여 실행 명령 조정 필요성을 판단한다(S825-1).
즉, 현재 도달 시간 10시간 중 5시간이 지난 상황이므로, 산술적으로는 50%의 만족추이를 가져야 하는데, 그 만족 추이가 30%에 머물러 있는 경우, 실행 명령을 조정하여 리그루핑을 수행한다(S825-2).
이어서, 조정된 실행 명령을 디바이스에 전송하여(S825-3), IoT 디바이스 중 배제되었던 보일러-2와, 환풍기-2, 천장개폐장치 완전 off시키게 된다. .
이후, 지속적으로 센싱을 하되, 그 센싱 주기(T4)는 타겟 커맨드가 만족된 경우의 센싱을 수행하는 기준이 되는 특정 시간(T3)보다 짧게 설정하여 센싱을 수행한다(S825-4).
센싱 주기(T4)에 따르면 기설정 방식의 시간 간격으로 타겟값 만족 여부를 센싱하되, 기설정 방식은 i) 고정 방식으로서 균등하게 시간 간격이 나뉘어 진 것이거나, ii) 규칙성을 가진 수렴 형태의 시간 간격이거나, iii) 변동 방식으로서 임의로 나뉘어지게 된다.
즉, ii)의 경우, T4는 t4-1, t4-2, t4-3…의 시간 간격을 주기로 구성될 수 있는데, t4-1, t4-2, t4-3, …의 간격은 예컨대 그 앞의 주기보다 1/2로 줄어들어 수렴하는 형태로 센싱할 수 있다. (
Figure pat00002
)
iii)의 경우, 농장주, 온실설치자, 외부 제어관리자 등에 의하여 임의로 지정할 수도 있다.
이 때, 전술한 T3와 T4의 관계를 살펴보면, t3-1, t3-2, t3-3, …간의 시간 간격은 t4-1, t4-2, t4-3, …간의 시간 간격보다 크다.
상기 판단 결과(S822) 타겟 커맨드의 도달 시간(T2)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타겟 커맨드 만족 여부를 판단한다(S826). 상기 판단 결과(S826) 타겟 커맨드가 만족된 경우, 일정 시간(T3)이 지난 후 타겟값 만족 여부를 모니터링(센싱)하도록 설계(S827)하고, S827단계 이후에는 S812단계로 회귀하여, 결정 조건을 확인하고, 부가정보를 수집하고, 셀렉션을 수행하게 된다. 즉, 전술한 S824단계와 같이, 이미 타겟값이 만족된 상황이므로, 주기적 모니터링을 바로 실행하지 않음으로써, 불필요한 자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반면, 상기 판단 결과(S826) 타겟 커맨드를 만족하지 않은 경우(예컨대, 날씨의 급격한 변화에 따른 외부 기온 하강으로 인하여 타겟 커맨드 도달시간 후 타겟 커맨드의 만족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디바이스에 대한 실행 명령 조정이 필요한 상황이므로, 실행 명령을 조정하여 리그루핑을 수행하고(S828-1). 이후, 조정된 실행 명령을 디바이스에 전송하고(S828-2), 지속적으로 센싱을 하되, 그 센싱 주기(T5)는 타겟 커맨드가 만족된 경우의 센싱 주기(T3)보다 짧게 설정되어 센싱이 수행된다.
센싱 주기(T5)에 따르면 기설정 방식의 시간 간격으로 타겟값 만족 여부를 센싱하되, 기설정 방식은 i) 고정 방식으로서 균등하게 시간 간격이 나뉘어 진 것이거나, ii) 규칙성을 가진 수렴 형태의 시간 간격이거나, iii) 변동 방식으로서 임의로 나뉘어지게 된다.
즉, ii)의 경우, T5는 t5-1, t5-2, t5-3…의 시간 간격을 주기로 구성될 수 있는데, t5-1, t5-2, t5-3, …의 간격은 예컨대 그 앞의 주기보다 1/2로 줄어들어 수렴하는 형태로 센싱할 수 있다. (
Figure pat00003
)
iii)의 경우, 농장주, 온실설치자, 외부 제어관리자 등에 의하여 임의로 지정할 수도 있다.
이 때, 전술한 T5와 T3의 관계를 살펴보면, t5-1, t5-2, t5-3, …간의 시간 간격은 t3-1, t3-2, t3-3, …간의 시간 간격보다 작다.
T5의 주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T3의 주기보다 짧은 것으로, T4와는 상호 독립적이다.
IoT 디바이스들 중 어느 하나(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ISG 운영 엔티티(120) 또는 ISG 컨트롤 엔티티(130))는 전술한 결정 조건(decision condition)을 외부 다른 IoT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거나 메모리에서 추출한다.
나아가, 상기 결정 조건 및 S812 단계의 디바이스 부가 정보에 따라, 그룹핑이 이루어 진다. 상기 도 3 및 도 4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 대상 디바이스” 및 “각 디바이스에 대한 설정값” 을 모두 포함하는 실행 명령을 생성하는 과정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인 ISG(IoT-based Smart Greenhouse)에 설치된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간 협업 방법을 다시 정리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IoT 디바이스들 중 어느 하나(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ISG 운영 엔티티(120) 또는 ISG 컨트롤 엔티티(130))는 타겟 커맨드 및 결정 조건과 관련된 데이터를 처리하고, 상기 처리된 타겟 커맨드 관련 데이터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특정 디바이스를 선택한다. 상기 선택 과정은 이전 도 2에서 상세히 전술한 바 있다.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특정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부가 정보 및 상기 처리된 결정 조건 관련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그룹핑(grouping) 하고, 상기 그룹핑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각각에 제1실행 명령(execution instruction)을 전송한다. 상기 그룹핑 과정은 이전 도 3 및 4에서 상세히 전술한 바 있다.
그리고, 상기 그룹핑 이후,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특정 디바이스로부터 재수신된 부가 정보 및 상기 처리된 결정 조건 관련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재그룹핑(regrouping) 하고, 상기 재그룹핑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각각에 제2실행 명령(execution instruction)을 전송한다. 상기 리그룹핑 과정은 이전 도 5에서 상세히 전술한 바 있다.
한편, 상기 제1실행 명령과 상기 제2실행 명령은 컨텐트 및 수신 대상 면에서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제1실행 명령에는 제1디바이스에 대한 1레벨 온도 제어, 제2디바이스에 대한 2레벨 온도 제어 및 제4디바이스에 대한 오프 제어가 포함된 반면, 제2실행 명령에는 제1디바이스에 대한 2레벨 온도 제어 및 제4디바이스에 대한 온 제어만이 포함된다. 즉, 수신 대상은 실행 명령을 수신하는 디바이스에 해당하고, 컨텐트는 실제 제어 명령(예를 들어, 1레벨 온도 제어, 2레벨 온도 제어 등)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IoT 디바이스들 중 어느 하나(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ISG 운영 엔티티(120) 또는 ISG 컨트롤 엔티티(130))는 상기 처리된 타겟 커맨드 관련 데이터에 따라, 타겟값이 기설정된 기간내에 충족(satisfy)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타겟값 충족 여부에 따라, 센싱 주기를 변경하고, 그리고 상기 변경된 센싱 주기에 따라, 재그룹핑 하는 단계를 반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IoT 디바이스들 중 어느 하나(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ISG 운영 엔티티(120) 또는 ISG 컨트롤 엔티티(130))는 상기 처리된 타겟 커맨드 관련 데이터에 따라, 타겟값이 기설정된 기간내에 충족(satisfy)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타겟값 충족 여부에 따라, 센싱 주기를 변경하고, 그리고 상기 변경된 센싱 주기에 따라, 타겟 커맨드 만족 여부를 판단하고 그 충족 여부에 따라 재그룹핑 하는 단계를 반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타겟 커맨드의 유지 시간(T1)에 해당하는 경우, 타겟 커맨드의 도달 시간(T2)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T1은 T2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함), 타겟값 만족 시 특정 시간(T3) 경과 후 센싱이 이루어 지도록 제어하고, 그리고 타겟값 만족이 되지 않은 경우, T4 주기로 센싱이 이루어지도록 제어(T4는 T3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함)한다.
즉, 타겟 커맨드의 유지 기간(T1) 내이고, 상기 타겟 커맨드의 도달 시간(T2) 범위 내인지 확인하고, 타겟 커맨드가 만족된 경우 기설정된 시간(T3) 경과 후 타겟값 만족 여부를 센싱한다. 반면, 타겟 커맨드의 도달 시간 범위 내에서 타겟 커맨드가 만족되지 않은 경우, 현 시점에서의 타겟 커맨드에 대한 만족 추이가 적정한지 판단한 결과에 따라 실행 명령을 조정하여 디바이스들 간의 동작 비율 또는 우선순위를 조정하고, 기설정된 시간(T3) 보다 짧은 주기(T4)로 타겟 커맨드에 대한 만족 여부에 대한 주기적인 센싱을 수행한다.
나아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10 : 통합 ISG 관리 엔티티 (Integrated ISG Management Entity)
120 : ISG 운영 엔티티 (ISG Operation Entity)
130 : ISG 컨트롤 엔티티 (ISG Control Entity)
140 : 센서 노드 엔티티 (sensor node entity)
150 : 센서 (sensor)
160 : 액츄에이터 노드 엔티티 (actuator node entity)
170 : 액츄에이터 (actuator)
180 : 유저 (user)

Claims (20)

  1. ISG(IoT-based Smart Greenhouse)에 설치된 IoT (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간 협업을 위한 리소스 할당 방법에 있어서,
    타겟 커맨드(Target Command)와 관련된 제1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결정 조건(Decision Condition)과 관련된 제2요청 메시지를 제1시점에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특정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특정 디바이스로부터, 프로파일 정보(profile information), 능력 정보(capability information) 또는 상태 정보(operation status inform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제2시점에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시점에 수신된 제2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결정 조건 및 상기 제2시점에 수신된 프로파일 정보(profile information), 능력 정보(capability information) 또는 상태 정보(operation status information)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그룹핑(grouping) 하는 단계;
    결정 조건(Decision Condition)과 관련된 제2요청 메시지를 제3시점에서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3시점은 상기 제1시점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함-;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특정 디바이스로부터, 프로파일 정보(profile information), 능력 정보(capability information) 또는 상태 정보(operation status inform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제4시점에 수신하는 단계-상기 제4시점은 상기 제2시점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함-; 그리고
    상기 제1시점 또는 상기 제3시점에 수신된 제2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결정 조건 및 상기 제2시점 또는 상기 제4시점에 수신된 프로파일 정보(profile information), 능력 정보(capability information) 또는 상태 정보(operation status information)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리그룹핑(regrouping)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G에 설치된 IoT 디바이스간 협업을 위한 리소스 할당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그룹핑 단계에서 사용되는 제2요청 메시지는, 상기 그룹핑 단계에서 사용되는 제2요청 메시지와 동일한 메시지일 수도 있고, 또는 다른 시점에 수신된 다른 메시지일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G에 설치된 IoT 디바이스간 협업을 위한 리소스 할당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요청 메시지 또는 상기 제2요청 메시지는,
    하나의 메시지 또는 별개의 다른 메시지로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G에 설치된 IoT 디바이스간 협업을 위한 리소스 할당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요청 메시지 또는 상기 제2요청 메시지는,
    다른 IoT 디바이스로부터 직접 수신하거나 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DB)를 통해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G에 설치된 IoT 디바이스간 협업을 위한 리소스 할당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DB)는,
    ISG 운영 엔티티(operation entity), ISG 컨트롤 엔티티(control entity) 또는 외부 서버(server)에 구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G에 설치된 IoT 디바이스간 협업을 위한 리소스 할당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커맨드(target command)는,
    제어하고자 하는 대상, 타겟값, 타겟값 도달 소요 시간 또는 타겟값 유지 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G에 설치된 IoT 디바이스간 협업을 위한 리소스 할당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조건(decision condition)은,
    상기 타겟 커맨드를 실행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선택 조건으로서, 최소 시간, 최대 시간, 최소 비용, 최대 비용, 임계치, 우선 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그룹핑하는 단계 및 리그룹핑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 조건을 고려하여 복수의 디바이스들 중에서 상기 타겟 커맨드를 구현하기 위해 선택된 각각의 디바이스의 동작 비율 또는 동작 순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G에 설치된 IoT 디바이스간 협업을 위한 리소스 할당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정보(profile information)는, 디바이스 이름, 디바이스 ID, 디바이스 위치,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능력 정보(capability information)는, 수행 가능한 업무의 명칭, 특정 업무의 처리 시간, 처리 비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상태 정보(operation status information)는, 디바이스의 현재 동작 상태, 현재 이용 가능 여부, 현재 실행 업무, 현재 실행 업무의 종료 예정 시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G에 설치된 IoT 디바이스간 협업을 위한 리소스 할당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조건(decision condition)은, 예외 조건(exceptional condition)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결정 조건에 예외 조건이 포함된 경우, 상기 수신된 제1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특정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단계를 해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G에 설치된 IoT 디바이스간 협업을 위한 리소스 할당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가상 디바이스(Virtual Device)와 관련된 제3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수신된 제3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 상기 수신된 제2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 및 상기 수신된 프로파일 정보(profile information), 능력 정보(capability information) 또는 상태 정보(operation status information)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그룹핑(grouping) 또는 재그룹핑(regrouping)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G에 설치된 IoT 디바이스간 협업을 위한 리소스 할당 방법.
  11. ISG(IoT-based Smart Greenhouse)에 설치된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간 협업 방법에 있어서,
    타겟 커맨드 및 결정 조건과 관련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
    상기 처리된 타겟 커맨드 관련 데이터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특정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특정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부가 정보 및 상기 처리된 결정 조건 관련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그룹핑(grouping) 하는 단계;
    상기 그룹핑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각각에 제1실행 명령(execution instruction)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그룹핑 이후,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특정 디바이스로부터 재수신된 부가 정보 및 상기 처리된 결정 조건과 동일하거나 재수신한 결정 조건 관련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재그룹핑(regrouping) 하는 단계;
    상기 재그룹핑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각각에 제2실행 명령(execution instruction)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G에 설치된 IoT 디바이스간 협업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커맨드의 만족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타겟 커맨드의 유지 기간(T1) 내이고, 상기 타겟 커맨드의 도달 시간(T2) 범위 내인지 확인하고,
    상기 타겟 커맨드가 만족된 경우 기설정된 시간(T3) 경과 후 타겟값 만족 여부를 센싱하고,
    상기 타겟 커맨드의 도달 시간 범위 내에서 타겟 커맨드가 만족되지 않은 경우, 현 시점에서의 상기 타겟 커맨드에 대한 만족 추이가 적정한지 판단한 결과에 따라 실행 명령을 조정하여 상기 디바이스들 간의 동작 비율 또는 우선순위를 재조정하고, 상기 기설정된 시간(T3) 보다 짧은 주기(T4)로 상기 타겟 커맨드에 대한 만족 여부에 대한 주기적인 센싱을 수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ISG에 설치된 IoT 디바이스간 협업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시간(T3)에 따르면 기설정 방식의 시간 간격으로 상기 타겟값 만족 여부를 센싱하되, 상기 기설정 방식은 고정 방식으로서 균등하게 시간 간격이 나뉘어 진 것이거나, 규칙성을 가진 수렴 형태의 시간 간격이거나, 변동 방식으로서 임의로 나뉘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ISG에 설치된 IoT 디바이스간 협업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커맨드의 만족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주기 결정 정보에 따라 상기 타겟 커맨드의 만족 정도 추이를 확인하고, 상기 타겟 커맨드를 만족하는지 확인하는 현재 시점에 따라, 상기 동작 비율 또는 우선순위 재조정에 가중치를 적용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ISG에 설치된 IoT 디바이스간 협업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된 타겟 커맨드 관련 데이터에 따라, 타겟 커맨드의 유지 기간이 지난 경우, 상기 그룹핑 또는 리그룹핑을 해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G에 설치된 IoT 디바이스간 협업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부가 정보는,
    각 디바이스의 프로파일 정보(profile information), 능력 정보(capability information) 또는 상태 정보(operation status inform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ISG에 설치된 IoT 디바이스간 협업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행 명령과 상기 제2실행 명령은 컨텐트 및 수신 대상 면에서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ISG에 설치된 IoT 디바이스간 협업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커맨드 관련 데이터는,
    제어하고자 하는 대상, 타겟값, 타겟값 도달 소요 시간 또는 타겟값 유지 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ISG에 설치된 IoT 디바이스간 협업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조건 관련 데이터는,
    상기 타겟 커맨드를 실행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선택 조건으로서, 최소 시간, 최대 시간, 최소 비용, 최대 비용, 임계치, 우선 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ISG에 설치된 IoT 디바이스간 협업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IoT 는,
    상호 정보 교환이 가능하(interoperable) 통신 수단에 근거하여, 사물간 상호 연결(interconnect)을 통한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기반 시설(infrastructure)에 대응하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IoT와 관련하여 센싱(sensing), 제어(actuation), 데이터 캡쳐(data capture), 데이터 저장(data storage) 또는 데이터 처리(data processing)가 가능한 능력을 구비하고 있는 장비(equipment)에 대응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ISG에 설치된 IoT 디바이스간 협업 방법.
KR1020170095335A 2016-11-25 2017-07-27 ISG에 설치된 IoT 디바이스간 협업을 위한 리소스 할당 방법 및 협업 방법 KR102438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822,541 US20180152391A1 (en) 2016-11-25 2017-11-27 Cooperation method and resource allocation method for cooperation between iot devices installed in is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061 2016-11-25
KR20160158061 2016-1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338A true KR20180059338A (ko) 2018-06-04
KR102438084B1 KR102438084B1 (ko) 2022-08-29

Family

ID=62628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5335A KR102438084B1 (ko) 2016-11-25 2017-07-27 ISG에 설치된 IoT 디바이스간 협업을 위한 리소스 할당 방법 및 협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80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5781A1 (en) * 2021-11-09 2023-05-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iot device for enhancing device performance in smart home environment
WO2023214854A1 (en) * 2022-05-05 2023-1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ice negotiation in personal iot network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3273A (ko) * 2013-02-25 2015-11-03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Iot 디바이스 그룹에서의 협업 지능 및 의사 결정
KR20160068943A (ko) * 2013-11-12 2016-06-15 주하이 유니테크 파워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스마트홈 시나리오 전환 방법 및 시스템
US20160261458A1 (en) * 2015-03-06 2016-09-08 International Mobile Iot Corp Internet of things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monitoring and dynamically reacting to events and reconstructing application system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3273A (ko) * 2013-02-25 2015-11-03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Iot 디바이스 그룹에서의 협업 지능 및 의사 결정
KR20160068943A (ko) * 2013-11-12 2016-06-15 주하이 유니테크 파워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스마트홈 시나리오 전환 방법 및 시스템
US20160261458A1 (en) * 2015-03-06 2016-09-08 International Mobile Iot Corp Internet of things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monitoring and dynamically reacting to events and reconstructing application system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5781A1 (en) * 2021-11-09 2023-05-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iot device for enhancing device performance in smart home environment
WO2023214854A1 (en) * 2022-05-05 2023-1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ice negotiation in personal iot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8084B1 (ko) 2022-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7486B1 (en) HVAC workload and cost logic
CN105830462B (zh) 网关、管理中心、远程访问系统以及远程访问方法
US11038767B2 (en) Discovery of a set of nodes in a network
US11976835B2 (en) Air conditioner,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ir conditioning system
JP5238829B2 (ja) データ収集装置、データ収集プログラム、およびデータ収集システム
US20150304689A1 (en) Pushing video to panels and sending metadata tag to cloud
US10848337B2 (en) Management device, control method for management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management system
KR20180059338A (ko) ISG에 설치된 IoT 디바이스간 협업을 위한 리소스 할당 방법 및 협업 방법
CN104640083A (zh) 信息发送方法及装置
JP4626443B2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ゲートウェイ装置、及びセンタサーバ
KR20210141581A (ko) 음성 식별 장치 및 그 웨이크업 응답 방법, 컴퓨터 저장 매체
US20180152391A1 (en) Cooperation method and resource allocation method for cooperation between iot devices installed in isg
KR101335738B1 (ko) 서버 및 그의 설비 제어방법
WO2021012581A1 (zh) 语音识别设备及其唤醒响应方法、计算机存储介质
US11087404B1 (en) Electronic sensor management
JP5404943B2 (ja) データ収集装置、データ収集プログラム、およびデータ収集システム
US11566806B2 (en) Humidity analytics
CN103576664A (zh) 一种智能家居系统中传送值变化信息的自动化组件和方法
KR20190081578A (ko)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지능 데이터 수집 동작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6067471B2 (ja) ゲートウェイ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9239511A (ja) 設備機器に関するデータ処理装置、設備機器管理システム及びデータ処理方法
CN111812992A (zh) 用于网关的智能家居控制方法和装置
US20220229702A1 (en) Metho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creating action resources
KR20190021754A (ko) 센서 데이터 식별 기반 IoT 자동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45681A (ko)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그 통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