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5738B1 - 서버 및 그의 설비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서버 및 그의 설비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5738B1
KR101335738B1 KR1020120119764A KR20120119764A KR101335738B1 KR 101335738 B1 KR101335738 B1 KR 101335738B1 KR 1020120119764 A KR1020120119764 A KR 1020120119764A KR 20120119764 A KR20120119764 A KR 20120119764A KR 101335738 B1 KR101335738 B1 KR 101335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enter
facility
control center
algorith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9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호
Original Assignee
대우정보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정보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정보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9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57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5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5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the network commun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8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 Y02P80/10Efficient use of energy, e.g. using compressed air or pressurized fluid as energy c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너지 관리 차원에서 건물 또는 산업현장에 설치된 설비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원격지에 설치되어 있는 여러 종류의 설비에 대해, 각 설비의 특성에 맞는 체계적인 에너지 관리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설비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Description

서버 및 그의 설비 제어방법{THE SERVER AND ITS CONTROLLING METHOD FOR EQUIPMENT}
본 발명은 에너지 관리 차원에서 건물 또는 산업현장에 설치된 설비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설비를 제어하는 여러 시스템 중 건물에너지 관리 시스템(BEMS;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는 건물 내의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하면서도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시스템으로서, 건물 내 설비 시스템의 상태 감시와 자동 제어를 수행하고, 건물 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영과 에너지 절감을 목표로 한다.
그러나, 현재 적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BEMS 운영은, 전체적인 설비의 단순 제어 및 감시 기능만 수행할 뿐 에너지 관리에 대한 기능은 부분적으로 제공하고 있는 실정으로 대단지의 건물군에 대하여, 건물군에 속하는 건물에 대해 특화되면서도 체계적인 에너지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건물 내에 설치된 설비를 대상으로 상태 감시와 자동 제어가 수행되기 때문에 산업 현장 등 건물 내부가 아닌 곳에 설치된 설비에 대해서는 제어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건물 내 각 설비와 직접 연결되어 각 설비의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DDC(Direct Digital Control)와, 각 DDC로부터 각 설비의 상태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상태정보를 토대로 각 설비에 대한 동작명령이 상기 DDC로 전달되도록 하는 BEMS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중 DDC는 제어대상 설비가 위치한 지점 또는 그 주변에 위치하여 상기 제어대상 설비와 연결되며, 자체에 설비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알고리즘을 내장하여, 상기 BEMS 서버의 제어 및 상기 내장된 제어 알고리즘에 따라 자신과 연결된 각 제어대상 설비의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어 알고리즘은 임베디드 형태로 DDC에 내장되므로 새로운 제어 알고리즘을 추가하거나 내장된 제어 알고리즘을 갱신하고자 하는 경우 관리자가 직접 현장으로 나가 해당 DDC를 관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건물에 대해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이 적용되는 경우를 가정하면, 각 건물 또는 관리지역마다 한 대의 DDC가 설치되며, 설치된 DDC는 해당 건물 내의 제어 대상 설비와 연결된다.
BEMS 서버가 DDC#1로 on의 제어신호를 송신하면, DDC#1은 자체 저장된 제어 알고리즘(제1 알고리즘이라 가정)이 DDC#1과 연결된 각 설비에 적용되도록 해당 설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동작을 제어한다.
유사하게, BEMS 서버에서 DDC#2로 on의 제어신호를 송신하면, DDC#2는 자체 저장되며 상기 제1 알고리즘과는 다른 에너지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 알고리즘(제2 알고리즘이라 가정)이 DDC#2와 연결된 각 설비에 적용되도록 해당 설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DDC#2에 상기 제1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DDC#2에 연결된 설비들을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DDC#2에는 상기 제2 알고리즘만이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BEMS 서버는 DDC#2에 대해 상기 제1 알고리즘에 대한 on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없으며, 송신한다 하더라도 DDC#2에서는 알고리즘에 따른 동작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DDC#2에 저장된 상기 제2 알고리즘만이 설비 제어에 적용된다.
또한, 상기 제1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갱신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상기 제1 알고리즘이 임베디드 형태로 DDC에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DDC#1의 관리자가 직접 DDC#1로 가서 갱신해야만 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현재 적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BEMS 운영은, 실질적으로는 전체적인 설비의 단순 제어나 감시 기능만 수행할 뿐 에너지 관리에 대한 기능은 극히 부분적으로 또는 제한적으로 제공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건물군에 속하는 건물에 대해 특화되면서도 체계적인 에너지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데에는 큰 한계가 있으며, 건물 내부에 설치된 설비에 한해 에너지 관리 기능이 수행되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물 내 설치되어 있는 여러 종류의 설비에 대해 각 건물이나 설비의 특성에 맞는 체계적인 에너지 관리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설비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산업 현장 등 건물 내가 아닌 외부에 설치된 여러 종류의 설비에 대해서도 각 설비의 특성에 맞는 체계적인 에너지 관리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설비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서버의 설비 제어 방법에 있어서, 원격지에 설치되며 제어하고자 하는 각 설비로부터 관제점 정보가 수신하고 수집하는 관제점 정보 수집단계; 수집된 상기 관제점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관제점 정보에 대응하는 설비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센터가 생성되도록 하는 제어센터 생성단계; 및 생성된 상기 제어센터에 대해 에너지 관리를 위한 제어 알고리즘이 지정되면, 해당 제어센터에 대응하는 각 설비가 지정된 상기 제어 알고리즘에 따라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알고리즘 적용단계를 포함하는 설비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원격지에 설치되며 제어하고자 하는 각 설비로부터 관제점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수신된 상기 관제점 정보를 토대로 동작을 제어하고자 하는 설비에 대한 제어센터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제어센터 관리부; 및 생성된 상기 각 제어센터에 대해 동작 제어명령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동작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각 제어센터에 대응하는 설비가 동작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서버 제어부를 포함하는 서버를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설비 제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원격지에 설치되며 제어하고자 하는 각 설비로부터 관제점 정보가 수신하고 수집하는 기능; 수집된 상기 관제점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관제점 정보에 대응하는 설비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센터가 생성되도록 하는 기능; 및 생성된 상기 제어센터에 대해 에너지 관리를 위한 제어 알고리즘이 지정되면, 해당 제어센터에 대응하는 각 설비가 지정된 상기 제어 알고리즘에 따라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현재 적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건물에너지 관리시스템의 운영 한계에서 벗어나 에너지 관리를 수행하고자 하는 여러 건물이나 설비에 대해 각 특성에 맞게 특화되면서도 체계적인 에너지 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설비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에 대해 변경이나 갱신, 유지 보수 등에 소요되는 시간이나 비용 등의 자원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비 제어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비 제어 시스템이 도시된 개념도이다.
도3은 도2에 있어서, 제어센터의 개념이 도시된 개념도이다.
도4는 도2에 있어서, 서비스 센터의 개념이 도시된 개념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6은 도5에 있어서, 제어센터 관리부와 서비스 센터 관리부의 상세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설비 제어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설비 제어 시스템은,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적용된 것을 예로 하여 주로 설명하나, 설명하는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한정되지 않으며, 산업 현장이나 건물 내에 설치된 설비를 제어하는 모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비 제어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비 제어 시스템은 물리적으로 크게, 원격지에 설치되며 제어하고자 하는 대상인 각 설비와 직접 연결되어 각 설비의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설비 컨트롤러와, 상기 설비 컨트롤러로부터 각 설비의 상태정보를 수집하고, 각 설비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한 결과에 따라 각 설비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상기 설비 컨트롤러로 송신할 수 있는 설비제어 서버(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중 상기 설비 컨트롤러는, 예를 들어 DDC(Direct Digital Control)가 적용될 수 있는데, 제어대상 설비가 위치한 현장 또는 그 주변에 위치하여 상기 제어대상 설비와 연결되며, 자체에 설비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알고리즘을 내장하여, 상기 설비제어 서버의 제어 및 상기 내장된 제어 알고리즘에 따라 자신과 연결된 각 제어대상 설비의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설비 컨트롤러는 연결된 각 제어 대상 설비와 BACnet 통신 방식(N1)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전술한 설비제어 서버(1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 서버(Web Server) 또는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Web Application Server) 또는 왑 서버(WAP Server)와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다. 그러나, 소프트웨어적으로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바와 같이, C, C++, Java, PHP, .Net, Python, Ruby 등 여하한 언어를 통하여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Module)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설비제어 서버(10)는, 네트워크(N2)를 통하여 불특정 다수 클라이언트 및/또는 다른 서버와 연결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설비제어 서버(10)는 클라이언트 또는 다른 서버의 작업수행 요청을 접수하고 그에 대한 작업 결과를 도출하여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 또는 이러한 컴퓨터 시스템을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서버 프로그램)를 뜻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설비제어 서버(10)는, 전술한 서버 프로그램 이외에도, 서버(10) 상에서 동작하는 일련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과, 경우에 따라서는 내부 또는 외부에 구축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설비제어 서버(10)는 콘텐츠,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키고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는 설비제어 서버(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서버(10)는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s),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윈도우 환경에서 사용되는 웹 사이트(Website),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와 유닉스환경에서 사용되는 Apache, Nginx, Light HTTP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N2)는 크게, 설비제어 서버(10)와 타 서버를 연결해주거나, 설비제어 서버(10)와 단말을 연결해주는 망으로서,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일 수도 있으나,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여기서,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를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설비제어 서버(10)와 설비 컨트롤러간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방식이 다르므로 서로 다른 통신방식의 데이터를 변환하거나 각 장치간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할 수 있도록 하는 게이트웨이(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비 제어 시스템이 도시된 개념도로서, 물리적으로는 도1에 도시된 설비 제어 시스템과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비 제어 시스템은, 개념적으로 크게 제어대상 설비와, 설비제어 서버(10)와, 자동화 서버(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물은 사무실용의 대형 건축구조물이나 관공서, 은행, 호텔, 학교, 병원, 주거용 건축물은 물론이고 공장이나 사업장 등의 모든 건축물이 해당될 수 있으며, 나아가 학교 캠퍼스(campus)나 산업단지 등 다수의 건물이 일정 지역에 밀집되어 있는 건물군 역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대상 설비는 건물 내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도구, 기계, 장치등을 모두 포함하며, 구체적으로는 형광등, 백열등, LED 등의 조명설비, 에어컨 등의 공조설비, 난방설비, 배수설비, 전기설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필요한 경우 상기 설비로서 공조설비를 예로 하여 후술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부로부터(예를 들어, 설비 컨트롤러와 같이 연결된) 전달된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이 제어되는 모든 설비에 대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자동화 서버는 연결된 각 설비의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각 설비의 동작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비제어 서버(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각 제어대상 설비로부터 관제점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관제점 정보를 토대로 제어동작에 따라 해당 설비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센터를 생성(설정)하며, 제어센터별로 동작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관제점 정보는 설비에 대해 상태를 관리하고 통제하기 위한 포인트로서, 어떤 설비의 관제점이라 하면, 그 설비가 가지고 있는 온도, 습도, 압력, 유량 등 통제하기 위한 항목을 관리할 수 있는 포인트를 의미하며, 관제점 정보는 이러한 관제점에서 설비 제어 서버(10)로 수신되는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제어센터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로 설정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제어센터는 제어센터 그룹으로 묶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센터 그룹은 레벨정보를 포함하여 계층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2를 참조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면, 설비제어 서버(10)에서, 다수의 제어대상 설비로부터 수신된 관제점 정보를 토대로 9개의 제어센터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9개의 제어센터 중 제어센터#1 내지 제어센터#3은 제1 제어센터 그룹으로, 제어센터#4 내지 제어센터#5는 제2 제어센터 그룹으로, 제어센터#6 내지 제어센터#8은 제3 제어센터 그룹으로, 제어센터#9는 제4 제어센터 그룹으로, 각각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 제어센터 그룹은 다시 그룹화하여 상위의 제어센터 그룹을 형성할 수 있는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어센터 그룹 및 제2 제어센터 그룹이 상위의 제1 제어센터 그룹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제3 제어센터 그룹 및 제4 제어센터 그룹이 상위의 제2 제어센터 그룹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각 제어센터 그룹의 레벨값은 bottom-top 방식 또는 top-bottom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4 제어센터 그룹의 레벨 값이 1이면, 상기 상위의 제1 제어센터 그룹 및 제2 제어센터 그룹의 레벨 값은 2가 될 수 있으며, 역으로 상기 상위의 제1 제어센터 그룹 및 제2 제어센터 그룹의 레벨 값이 1이면, 상기 제1 내지 제4 제어센터 그룹의 레벨 값은 2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센터의 개념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은 도2에 있어서, 제어센터의 개념이 도시된 개념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센터는, 현장에 설치되며, 설비 제어 서버(10)에서 관리하고 제어하고자 하는 제어대상 설비의 관제점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기 위해 논리적으로 설정된 구성요소로서, 각 설비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관제점 정보가 각 제어센터에 속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제어센터에 속하는 각 관제점은 동일한 동작 또는 제어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원하는 목적에 맞게 제어센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센터에 원하는 관제점 정보를 할당할 수 있다.
상기 각 제어센터는 제어하고자 하는 설비 종류 또는 위치한 공간에 따라 설정될 수 있으며, 설비에서 수행하는 기능에 따라서도 해당하는 관제점 정보를 포함하고, 각 관제점에 대해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전달할 수 있다.
즉, 다수의 건물로 이루어진 건물 군의 경우, 제어센터 #1은 제1 건물, 제어센터 #2는 제2 건물, 제어센터 #3은 제3 건물 등을 나타낼 수 있으며, 제어센터 #1에 속하는 것으로 도시된 설비객체 #1은 조명설비, 설비객체 #2는 공조설비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센터 #1에 대해 on 명령이 전달되면, 상기 제어센터 #1은 자신에게 속하도록 설정된 설비객체 #1, #2로 on 명령을 전달하며, 설비객체 #1에 대응하는 현장의 제어대상 설비와 설비객체 #2에 대응하는 현장의 제어대상 설비로 on 제어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어센터 #2에 속하는 것으로 도시된 설비객체 #3은 조명설비, 설비객체 #4는 공조설비, #5는 전기설비를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 제어센터 #2에 off 명령이 전달되면, 상기 제어센터 #2은 자신에게 속하도록 설정된 설비객체 #3 내지 #5로 off 명령을 전달하며, 설비객체 #3에 대응하는 현장의 제어대상 설비와 설비객체 #4에 대응하는 현장의 제어대상 설비와 설비객체 #4에 대응하는 현장의 제어대상 설비로 off 제어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건물에 대해, 제어센터 #1 내지 제어센터 #4는 건물의 각 층을 나타낼 수 있으며, 해당 층에 설치된 여러 설비가 설비객체로 속할 수 있다.
또한, 설비객체 #1, #3, #6, #7이 조명 설비를 나타내는 경우, 제어센터 #3에 설비객체 #1, #3, #6, #7이 설정되도록 하여, 설비 종류별로 제어센터를 설정하여 대상 설비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BEMS 서버는, 상술한 각 제어센터 또는 제어센터 그룹별로 에너지 관리를 위한 제어 알고리즘을 설정할 수 있다.
도4는 도2에 있어서, 서비스 센터의 개념이 도시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BEMS에 있어서, 서비스 센터는 적용하고자 하는 제어 알고리즘을 논리객체화 한 것으로, 예를 들어 조명 제어 알고리즘의 경우, 기본으로 설정된 조도가 유지되도록 하는 on/off 제어, 시간 스케쥴 제어, 재실 감지를 이용한 제어 등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여러가지 제어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제어 알고리즘을 적용하기 위한 제어센터 그룹 또는 제어센터를 하나의 서비스 센터에 대응시키고, 대응된 서비스 센터에 제어 알고리즘을 설정하면, 설정된 제어 알고리즘에 따라 대응된 제어센터 그룹 또는 제어센터가 동작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도4를 참조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면, 서비스 센터 #1에는 제어센터 #1 및 #2가 대응되도록 하고, 서비스 센터 #2에는 제어센터 그룹 #1이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센터 #1에는 시간 스케쥴을 이용한 조명 제어 알고리즘이 할당되고, 서비스 센터#2에는 주광 보정을 이용한 조명 제어 알고리즘이 할당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비스 센터 #1에 대응되도록 설정된 제어센터#1 및 #2는 제어센터 #1 및 #2에 속하는 관제점에서의 동작이 시간 스케쥴을 이용한 조명 제어 알고리즘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제어센터 그룹#3의 경우와 유사하게 제어센터 그룹이 하위의 제어센터 그룹을 포함하는 경우, 서비스 센터 #2에 할당된 주광 보정을 이용한 조명 제어 알고리즘은 제어센터 그룹#1에 속하는 제어센터#4 및 #5에 속한 모든 관제점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각 서비스 센터에 할당되는 제어 알고리즘은 고정되지 않으므로, 재실 감지를 이용한 조명 제어 알고리즘이 할당된 서비스 센터#2에 시간 스케쥴을 이용한 조명 제어 알고리즘을 재할당하여 재할당된 이후로는 서비스 센터#2에 대응되는 제어센터 그룹 #2에 재실 감지를 이용한 조명 제어 알고리즘이 아닌 시간 스케쥴을 이용한 조명 제어 알고리즘이 적용되어 제어센터 그룹 #2에 속한 각 설비 객체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개념이 적용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비 제어 서버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비 제어 서버(10)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비 제어 서버(10)는, 자동화 서버(20) 또는 게이트웨이(30)를 통해 DDC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110)와, 설비 제어 서버(10) 내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서버제어부(120)와, 제어센터 관리부(140) 및 서비스 센터 관리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너지 관리를 위해 적용된 제어 알고리즘에 대해 어느 정도의 에너지 관리가 수행되었는지 등을 평가하는 에너지 관리 평가부(150) 및 상기 제어센터 관리부(140), 서비스 센터 관리부(130)의 설정 상태 또는 에너지 관리 평가 결과가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10)는 자동화 서버(20)로부터 현장에 설치된 각 제어대상 설비의 상태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서버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한 제어명령이 자동화 서버(20)를 통해 해당 설비가 연결된 설비 컨트롤러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 센터 관리부(140)는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현장에 설치되고 제어하기 위한 각 설비로부터 수신된 관제점 정보를 토대로 제어 센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센터를 대상으로 레벨을 할당하거나 제어센터 그룹이 설정되도록 한다.
서비스 센터 관리부(130)는 도2 및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설정된 제어센터 또는 제어센터 그룹에 대해 서비스 센터를 설정하고, 설정된 서비스 센터에 대해 적용되고자 하는 제어 알고리즘이 할당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센터 관리부(140) 및 서비스 센터 관리부(13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에너지 관리 평가부(150)는, 각 서비스 센터에 할당된 제어 알고리즘이 적용됨에 따라 소모되는 에너지량을 산출할 수 있으며, 산출된 에너지량을 토대로 제어 알고리즘의 적용에 따른 상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산출된 상기 에너지량 또는 생성된 상태 데이터는 상기 표시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화면에 표시될 수 있으며, 표시된 상기 에너지량 또는 상태 데이터에 따라 관리자로부터 서비스 센터에 할당된 제어 알고리즘의 변경 명령이나 서비스 센터에 설정된 제어센터 또는 제어센터 그룹의 설정 변경명령 또는 제어센터 그룹 또는 레벨 설정 변경 명령 등이 입력될 수 있으며, 변경 명령에 따라 해당 제어센터 그룹에 포함된 관제점에 대응하는 각 제어대상 설비에 제어 알고리즘이 재 적용될 수 있다.
도6은 도5에 있어서, 제어센터 관리부(130)와 서비스 센터 관리부(140)의 상세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로서, 도6(a)는 제어센터 관리부(130)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며, 도6(b)는 서비스 센터 관리부(140)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비 제어 서버의 제어센터 관리부(130)는, 제어센터 생성부(210)와, 센터그룹 설정부(220)와, 센터 레벨 설정부(230)와, 관제점 정보 수집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센터 생성부(210)는 통신부(110)를 통해 자동화 서버(20) 또는 DDC로부터 수신된 현장의 각 제어대상 설비의 관제점 정보를 토대로 제어 센터를 생성한다.
상기 제어센터 생성부(210)는 관제점 정보에 포함된 제어대상 설비의 식별번호나 관제점 식별번호 및 설비의 상태정보를 토대로 제어센터를 생성할 수 있다.
현장의 제어대상 설비의 고유정보는 해당 설비를 식별하기 위해 설정된 고유번호나 설비종류, 기기번호, 해당 설비가 설치된 건물의 식별정보, 건물 내에서 해당 설비가 설치된 상세 위치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태정보는 해당 설비의 동작상태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관제점 정보 수집부(240)는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각 관제점 정보에 대해 해당 관제점이 속하는 설비별로 관제점 정보를 분류하여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제어센터 생성부(210)는 상기 관제점 정보 수집부(240)에서 수집된 각 관제점 정보에 대해 제어하고자 하는 관제점들을 묶어 제어센터로 생성할 수 있으며, 이미 생성되어 있는 제어센터에 관제점 정보를 추가하거나 생성된 제어센터를 삭제할 수 있다.
상기 제어센터 관리부(130)는, 도3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서버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관제점 정보에 포함된 위치정보나 기능정보를 토대로 제어대상 설비가 설치된 건물이나 층별 또는 지역별로 제어센터를 설정하거나 제어대상 설비의 종류, 예를 들면 공조설비, 난방 설비, 배수설비 등으로 제어센터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센터 관리부(130)는 관리자의 입력에 따라 지정된 관제점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센터가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센터 그룹 설정부(220)는 설정된 각 제어센터 중 하나 이상을 제어센터 그룹으로 설정한다. 즉, 도2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센터 관리부(130)에 의해 설정된 다수의 제어센터 중 제어센터 #1 내지 #3에 대해 제1 제어센터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제어센터#4 및 제어센터 #5에 대해 제2 제어센터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센터 그룹 설정부(220)는 상기 서버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동일 건물군이나 건물, 또는 지역별로 제어센터 그룹을 설정할 수 있으며, 관리자의 입력에 따라 지정된 하나 이상의 제어센터가 제어센터 그룹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센터 레벨 설정부(230)는 상기 센터 그룹 설정부(220)에서 설정된 각 제어센터 그룹에 대해 레벨 정보를 설정한다. 상기 센터 레벨 설정부(230)는 상기 서버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제어센터 그룹 정보를 반영하여 제어센터 레벨정보를 설정할 수 있으며, 관리자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지정된 레벨값을 포함하는 레벨정보를 설정할 수도 있다.
즉,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어센터 생성부(210)에서 제어센터가 생성되면, 센터 그룹 설정부(220)는 설정된 다수의 제어센터에 대해 하나 이상의 제어센터가 제어센터 그룹으로 설정되도록 하고, 센터 레벨 설정부는 설정된 제어센터 그룹의 레벨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센터 관리부(130), 센터 그룹 설정부(220), 센터 레벨 설정부(230)는 관제점 정보 수집부(240)를 토대로 제어센터 설정 -> 하위 제어센터 그룹 설정-> 상위 제어센터 그룹 설정의 순서로 동작될 수 있으며, 역으로 상위 제어센터 그룹 설정-> 하위 제어센터 그룹 설정-> 제어센터 설정의 순으로 동작될 수도 있다.
도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비 제어 서버의 서비스센터 관리부(140)는, 서비스 센터 설정부(310)와, 알고리즘 할당부(320), 알고리즘 저장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센터 설정부(310)는 도4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센터 관리부(130)에서 설정된 각 제어센터 또는 제어센터 그룹에 대해 동일한 제어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서버 제어부(120) 또는 관리자의 입력에 따라 서비스 센터가 설정되도록 한다.
알고리즘 할당부(320)는 설정된 서비스 센터에 대해 제어 알고리즘을 할당한다. 도4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조명 제어 알고리즘에 있어서, 알고리즘 저장부(330)에 시간 스케쥴 제어 알고리즘, 재실 감지를 이용한 제어 알고리즘, 주광 보정을 이용한 제어 알고리즘이 각각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알고리즘 할당부(320)는 서비스 센터#1에 시간 스케쥴 제어 알고리즘을 할당할지, 재실 감지를 이용한 제어 알고리즘을 할당할지, 주광 보정을 이용한 제어 알고리즘을 할당할지 등을 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고리즘 할당부(320)는 재실 감지를 이용한 제어 알고리즘이 할당된 서비스 센터에 대해 시간 스케쥴 제어 알고리즘을 할당하는 등 특정 알고리즘이 할당된 서비스 센터에 대해 다른 알고리즘을 재할당할 수도 있다.
알고리즘 저장부(330)는 각종 제어대상 설비에 대해 에너지 관리를 위해 적용하고자 하는 여러 종류의 제어 알고리즘을 저장한다.
이러한 제어 알고리즘 중 일부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명 설비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조명 제어 알고리즘 중 상술한 각 알고리즘에 대해 설명하면,
1.on/off 제어: 건물 작업면의 기준 조도를 유지하면서 불필요한 공간에서의 조명 사용이 줄어들도록 한다.
2. 시간 스케줄을 이용한 제어: 24시간, 365일 조명이 필요한 건물은 거의 없기에 복수의 시간 스케줄(time schedule)을 정하여 제어한다.
3. 재실 감지를 이용한 제어: 오피스(normal office)의 경우, 오전 9시와 오후 5시 사이에 30-60%까지 재실자가 없는 경우도 있으므로 재실 감지 센서(occupancy sensor)로부터의 센서값을 토대로 전등을 On/Off 제어한다.
4. 로컬 조명 제어: 로컬 조명 센서(local light sensors; photocells)를 이용하여 과조명(overlighting)에 의한 에너지 손실을 파악하고 건물 운영자에게 운영상태를 보고할 수 있다.
5. 주광 보정 제어 : 맑은날, 흐린날, 중간기에서 주광을 적극적으로 활용(예를 들어, 포토 센서를 이용)하였을 때의 조명 기구 사용 시간의 단축 가능성을 점검할 수 있다.
한편, 조명설비를 예로 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설비별로 제어 알고리즘이 저장될 수도 있으나 건물의 층 전체나 건물 전체, 건물 군 전체로 에너지 관리를 위해 적용가능한 제어 알고리즘도 저장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어 알고리즘에 대해 일부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2.1 야간 운전(night cycle) 제어; 주간 시스템의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해 야간 공실 시간 실내 온도 유지시간, 유지 온도 등을 토대로 야간 공실 시간에 실내 온도를 적절히 유지시킨다.
2.2 야간 외기 냉방(night purge) 제어: 댐퍼 개구율을 토대로 환절기 시기 또는 냉방 기간의 일출전, 일몰후의 낮은 온도의 외기를 유입하여(즉, 냉방에 유리한 외기 온도 체크) 건물 구성요소 및 실공기의 온도를 낮추어 주간 냉방 부하를 절감한다.
2.3 최적 기동 및 정지 제어: 계절별, 사용시간대 별로 냉난방 설비를 기동/정지함에 있어 실내온도, 외기 온도, 빌딩설비에 따른 계수 등을 고려하여 자동으로 사전 공조 시간을 결정하여 불필요한 공조 예열이나 예냉시간을 감소시킨다. 이때 온도계수는 스케쥴에 따른 운용 중 재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최적 기동 및 정지시각은 예측 연산식과 실내 온도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2.5 절전 운전 제어: 최적 기동/정지 구간 내에서 실내 부하에 따라 공조기가 자동으로 기동/정지하도록 함으로써 실내 온도를 유지하면서도 공조기의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해 적용되는 것으로 사무실이 밀집된 대형 빌딩의 경우 점심시간이나 미리 설정된 휴식시간 구간에서 절전운전 제어를 수행하여 팬 동력을 절감시킬 수 있다.
2.6 엔탈피 제어: 댐퍼 개구율 또는 냉동기의 운전시간 정보를 토대로 주간 냉방 운전 시에 실내 공기보다 상대적으로 엔탈피가 적은 외기를 도입함으로써 실내 공기의 엔탈피를 감소시킨다.
2.7 외기 도입량 제어: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외기 도입량 제어는 외기 취입을 통해 냉난방 부하를 감소시키는 데 있어서 실내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청정수준을 유지하는 한도 내에서 최소한의 외기가 취입되도록 하고, 로비, 전시관, 공연장 등 사용자의 출입이 많은 경우에는 외기 도입량을 줄여 냉동기 또는 냉수 펌프의 동력을 절감시킬 수 있다.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설비 제어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비 제어 방법은, 원격지에 설치되며 제어하고자 하는 각 설비로부터 관제점 정보가 수신하고 수집하는 관제점 정보 수집단계(S100)와, 수집된 상기 관제점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관제점 정보에 대응하는 설비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센터가 생성되도록 하는 제어센터 생성단계(S110)와, 생성된 상기 제어센터에 대해 에너지 관리를 위한 제어 알고리즘이 할당되면, 해당 제어센터에 대응하는 각 설비가 할당된 상기 제어 알고리즘에 따라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알고리즘 적용단계(S130)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센터 생성단계(S110)에서, 제어센터가 설정되면, 하나 이상의 상기 제어센터를 그룹화하여 하나 이상의 제어센터 그룹이 설정되고, 다음으로 상기 제어센터 또는 상기 제어센터가 그룹화된 제어센터 그룹별로 서비스 센터가 설정된다.(S120)
상기 알고리즘 적용단계(S130) 후에는 상기 각 설비에서 소모되는 에너지 소모량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상기 에너지 소모량 데이터를 토대로 해당 설비에 할당된 상기 제어 알고리즘에 대한 에너지 관리 평가를 수행하고(S140), 수행된 바에 따라 도출된 평가결과 데이터가 관리자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비 제어 방법이 도7에서와 같은 절차로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본질적인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현 방식에 따라 각 단계의 수행 절차가 바뀌거나 둘 이상의 단계가 통합되거나 하나의 단계가 둘 이상의 단계로 분리되어 수행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비 제어 방법은, 서버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서버 또는 서버에 연결된 단말기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비 제어 방법을 구현한 프로그램은, 원격지에 설치되며 제어하고자 하는 각 설비로부터 관제점 정보가 수신하고 수집하는 기능과, 수집된 상기 관제점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관제점 정보에 대응하는 설비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센터가 생성되도록 하는 기능과, 생성된 상기 제어센터에 대해 에너지 관리를 위한 제어 알고리즘이 지정되면, 해당 제어센터에 대응하는 각 설비가 지정된 상기 제어 알고리즘에 따라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기능 등을 실행한다. 이뿐만 아니라, 도1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전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물 에너지 관리 방법에 대응되는 모든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되고 컴퓨터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전술한 기능들이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컴퓨터가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건물 에너지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컴퓨터의 통신 모듈(예: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만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과 이와 관련된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 등은, 기록매체를 읽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컴퓨터의 시스템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커넥션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분산된 컴퓨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컴퓨터는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 중 하나 이상에 그 실행 결과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전송받은 컴퓨터 역시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역시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에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비 제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일 예로,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미디어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비 제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Application Store Server),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Web Server) 등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Application Provider Server)에 포함된 저장매체(예: 하드디스크 등)이거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그 자체일 수도 있으며, 프로그램을 기록한 다른 컴퓨터 또는 그 저장매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제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 등의 일반 PC 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뿐만 아니라, 컴퓨팅(Computing) 가능한 모든 기기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서버의 설비 제어 방법에 있어서,
    원격지에 설치되며 제어하고자 하는 각 설비로부터 관제점 정보를 수신하고 수집하는 관제점 정보 수집단계;
    상기 제어하고자 하는 각 설비의 관제점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하고자 하는 해당 관제점으로부터 수집된 관제점 정보가 논리객체로서 생성되는 제어센터에 포함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센터 생성단계; 및
    관리자의 선택 또는 미리 저장된 설정에 따라 상기 제어센터에 대응하는 에너지 관리를 위한 제어 알고리즘이 할당되면, 상기 제어센터에 포함된 각 관제점에 대응하는 설비가 상기 할당된 제어 알고리즘에 따라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알고리즘 적용 단계
    를 포함하는 설비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고리즘 적용단계는,
    상기 제어센터 또는 상기 제어센터가 그룹화된 제어센터 그룹에 대응하는 논리 객체로서 서비스 센터가 생성되도록 제어하고, 생성된 상기 서비스 센터 각각에 대해 제어 알고리즘이 할당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방법.
  3. 원격지에 설치되며 제어하고자 하는 각 설비로부터 관제점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제어하고자 하는 각 설비의 관제점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하고자 하는 해당 관제점으로부터 수집된 관제점 정보가 논리객체로서 생성되는 제어센터에 포함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센터 관리부; 및
    생성된 상기 각 제어센터에 대해 동작 제어명령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동작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각 제어센터에 포함된 각 관제점에 대응하는 설비가 동작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서버 제어부
    를 포함하는 서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제어센터 또는 상기 제어센터가 그룹화된 제어센터 그룹에 대응하는 논리 객체로서 서비스 센터가 생성되도록 제어하고, 논리적으로 생성된 상기 서비스 센터 각각에 대해 상기 제어 알고리즘이 할당되도록 제어하는 서비스 센터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서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센터 관리부는,
    하나 이상의 상기 제어센터 또는 제어센터 그룹에 대해 동일한 제어 알고리즘이 수행되도록 상기 서비스 센터를 설정하는 서비스 센터 설정부; 및
    설정된 상기 서비스 센터에 에너지 관리를 위한 제어 알고리즘을 할당하는 알고리즘 할당부
    를 포함하는 서버.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센터 관리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관제점 정보를 수집하는 관제점 정보 수집부;
    수집된 상기 관제점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관제점 정보에 대응하는 설비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센터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제어센터 생성부; 및
    상기 각 제어센터에 대해 제어센터 그룹을 설정하는 센터 그룹 설정부
    를 포함하는 서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센터 관리부는,
    상기 제어센터 그룹이 계층적으로 구성되도록 상기 각 제어센터 그룹에 대해 레벨정보를 설정하는 센터 레벨 설정부
    를 더 포함하는 서버.
  8. 설비 제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원격지에 설치되며 제어하고자 하는 각 설비로부터 관제점 정보를 수신하고 수집하는 기능;
    상기 제어하고자 하는 각 설비의 관제점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하고자 하는 해당 관제점으로부터 수집된 관제점 정보가 논리객체로서 생성되는 제어센터에 포함되도록 제어하는 기능; 및
    관리자의 선택 또는 미리 저장된 설정에 따라 상기 제어센터에 대응하는 에너지 관리를 위한 제어 알고리즘이 할당되면, 상기 제어센터에 포함된 각 관제점에 대응하는 설비가 상기 할당된 제어 알고리즘에 따라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기능
    를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20119764A 2012-10-26 2012-10-26 서버 및 그의 설비 제어방법 KR101335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764A KR101335738B1 (ko) 2012-10-26 2012-10-26 서버 및 그의 설비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764A KR101335738B1 (ko) 2012-10-26 2012-10-26 서버 및 그의 설비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5738B1 true KR101335738B1 (ko) 2013-12-02

Family

ID=49987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9764A KR101335738B1 (ko) 2012-10-26 2012-10-26 서버 및 그의 설비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573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99394A1 (ko) * 2013-12-27 2015-07-02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빌딩 내 장비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빌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25114B1 (ko) 2014-04-11 2016-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 관리 서버, 이를 포함하는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원격 관리 방법
KR101752088B1 (ko) * 2016-02-29 2017-06-29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에너지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일 구조의 산업용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에너지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98276B1 (ko) * 2018-03-05 2018-10-29 주식회사 나라컨트롤 자가 제어기능을 갖는 지능형 빌딩자동제어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0792A (ko) * 2003-12-17 2005-06-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빌딩 군 원격 관제 시스템
KR20120028503A (ko) * 2010-09-15 2012-03-23 이승철 공간분할 기반 지능자율 에너지절감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0792A (ko) * 2003-12-17 2005-06-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빌딩 군 원격 관제 시스템
KR20120028503A (ko) * 2010-09-15 2012-03-23 이승철 공간분할 기반 지능자율 에너지절감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99394A1 (ko) * 2013-12-27 2015-07-02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빌딩 내 장비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빌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25114B1 (ko) 2014-04-11 2016-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 관리 서버, 이를 포함하는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원격 관리 방법
KR101752088B1 (ko) * 2016-02-29 2017-06-29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에너지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일 구조의 산업용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에너지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98276B1 (ko) * 2018-03-05 2018-10-29 주식회사 나라컨트롤 자가 제어기능을 갖는 지능형 빌딩자동제어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US10635067B2 (en) 2018-03-05 2020-04-28 Nara Controls Inc. Intelligent building automation apparatus of autonomous control and control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23798A1 (en) Energy management system
US20150198938A1 (en) Systems,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nfiguring a building automation system
US11079731B2 (en) Multi-site building management system
CN104238510A (zh) 一种基于物联网的智能建筑区域管理系统
Katipamula et al. Small-and medium-sized commercial building monitoring and controls needs: A scoping study
KR101133894B1 (ko) 건물의 에너지 관리 방법, 관리서버 및 기록매체
US20220376951A1 (en) Integrating and controlling multiple load control systems
KR101335738B1 (ko) 서버 및 그의 설비 제어방법
US20200175534A1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energy management
Taneja et al. Enabling advanced environmental conditioning with a building application stack
CN110692023B (zh) 集成和控制多个负载控制系统
Sciuto et al. On how to design smart energy-efficient buildings
Patti et al. Enable sensor networks interoperability in smart public spaces through a service oriented approach
De Paola et al. An intelligent system for energy efficiency in a complex of buildings
CN103679306A (zh) 节省楼宇能源消耗的方法和系统
US1080539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zone management
US10503190B2 (en) Residential-area-energy-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using social network
Pandharipande et al. IoT lighting: Towards a connected building eco-system
AU2020103018A4 (en) An autonomous block chain based IOT node cloud communication for smart lighting system.
EP3845980A1 (en) Wall mountable universal backplane
US20210251065A1 (en) Room type determinations with motion sensors
Khajenasiri et al. A presence-based control strategy solution for HVAC systems
JP2014099985A (ja) 電力需要制御システム及び方法
Mohamaddoust et al. Designing the lighting control system based on wsn with optimization of decision making algorithm
Venkatesan et al. Adaptive automation and run time equalization with real time monitoring for split air conditioners in telecom applications for energy efficienc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