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1754A - 센서 데이터 식별 기반 IoT 자동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센서 데이터 식별 기반 IoT 자동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1754A
KR20190021754A KR1020170106911A KR20170106911A KR20190021754A KR 20190021754 A KR20190021754 A KR 20190021754A KR 1020170106911 A KR1020170106911 A KR 1020170106911A KR 20170106911 A KR20170106911 A KR 20170106911A KR 20190021754 A KR20190021754 A KR 20190021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data
real
data
time
prio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6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7582B1 (ko
Inventor
정회경
유동균
Original Assignee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06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7582B1/ko
Publication of KR20190021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1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7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7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04L67/16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데이터 식별 기반 IoT 자동 관리 시스템은 실내 공간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로부터 복수의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센서 데이터를 실시간성 작업 또는 비 실시간성 작업으로 식별하는 데이터 식별부; 및 상기 실시간성 작업으로 식별된 센서 데이터의 경우, 해당 센서 데이터를 관리자 단말에 제공한 후 데이터베이스에 적재하고, 상기 비 실시간성 작업으로 식별된 센서 데이터의 경우, 해당 센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적재한 후 상기 관리자 단말의 요청 유무에 따라 상기 관리자 단말에 제공하는 데이터 관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센서 데이터 식별 기반 IoT 자동 관리 시스템 및 방법{INTERNET OF THINGS AUTOMATIC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SENSOR DATA IDENTIFICATION ALGORITHM}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IoT 자동 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센서 데이터 식별 기반 IoT 자동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IoT(Internet of Things)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스마트 홈, 스마트 그리드, 산업 IoT 등 스마트 환경을 구성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IoT의 응용 분야 중 각광 받는 산업 IoT는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장소에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거나 원격제어 및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디바이스 간 통신을 통해 사용자에게 적합한 환경을 구성한다. 하지만, 이러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센서의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센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술이 필수 요소가 되었다.
그러나, 기존 시스템들은 측정된 센서 데이터를 서버 내에서 일괄로 처리하는 배치처리 방식을 활용하기 때문에 시스템의 규모가 커질수록 사용자에게 Real-Time으로 제공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작업에 대한 이벤트의 경우 동작 조건이 충족하면 기존 작업이 동작하고 있어도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작업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35200호(발명의 명칭: 사물인터넷과 광대역 레이더 센싱 기술을 이용한 가정용 인텔리전트 스마트 모니터링시스템, 등록일자: 2016.06.24)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센서를 통해 측정된 센서 데이터를 실시간성 작업 또는 비 실시간성 작업으로 식별하여 화재나 침입 등과 같은 실시간성 작업인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제공한 후에 데이터베이스에 적재하고 환기, 온도 조절 등과 같은 비 실시간성 작업인 경우에는 데이터베이스에 적재한 후 관리자의 요청이 있을 경우에 제공하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관리함으로써 시스템의 규모가 커지는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관리 장소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센서 데이터 식별 기반 IoT 자동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작업 간에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우선순위가 높은 작업이 발생하면 기존 작업을 중단함으로써 동시다발적 작업을 줄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전력 사용량을 줄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능동적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센서 데이터 식별 기반 IoT 자동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데이터 식별 기반 IoT 자동 관리 시스템은 실내 공간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로부터 복수의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센서 데이터를 실시간성 작업 또는 비 실시간성 작업으로 식별하는 데이터 식별부; 및 상기 실시간성 작업으로 식별된 센서 데이터의 경우, 해당 센서 데이터를 관리자 단말에 제공한 후 데이터베이스에 적재하고, 상기 비 실시간성 작업으로 식별된 센서 데이터의 경우, 해당 센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적재한 후 상기 관리자 단말의 요청 유무에 따라 상기 관리자 단말에 제공하는 데이터 관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식별부는 상기 센서 데이터가 위험 상황의 이벤트인지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센서 데이터를 상기 실시간성 작업 또는 상기 비 실시간성 작업으로 식별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식별부는 화재 및 침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험 상황의 이벤트에 관한 센서 데이터의 경우, 해당 센서 데이터를 상기 실시간성 작업으로 식별하고, 환기 및 온도 조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험 상황이 아닌 이벤트에 관한 센서 데이터의 경우, 해당 센서 데이터를 상기 비 실시간성 작업으로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데이터 식별 기반 IoT 자동 관리 시스템은 상기 센서 데이터 각각에 대해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우선순위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우선순위 설정부는 상기 실시간성 작업으로 식별된 센서 데이터의 경우, 상기 비 실시간성 작업으로 식별된 센서 데이터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관리부는 상기 센서 데이터의 수신에 따라 새로운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우선순위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새로운 이벤트와 관련한 새로운 작업과 현재 동작중인 이전 작업 간의 우선순위를 비교하고, 상기 새로운 작업의 우선순위가 상기 이전 작업의 우선순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이전 작업을 중단하고 상기 새로운 작업을 동작하도록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데이터 식별 기반 IoT 자동 관리 시스템은 상기 실시간성 작업으로 식별된 센서 데이터 중 미리 설정된 복수의 센서 데이터 모두를 고려한 임계값을 나타내는 융합 임계값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 공간의 위험 상황을 식별하는 위험 상황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험 상황 알림부는 상기 미리 설정된 복수의 센서 데이터가 상기 융합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실내 공간에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식별하고, 상기 위험 상황의 발생에 관한 알림 메시지를 상기 관리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위험 상황 알림부는 상기 실내 공간이 복수의 섹터로 구분되어 있는 경우, 동일 섹터를 기준으로 상기 융합 임계값에 기초하여 위험 상황을 식별하되, 상기 미리 설정된 복수의 센서 데이터가 상기 융합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실내 공간의 해당 섹터에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식별하고, 상기 실내 공간의 각 섹터별로 부여된 고유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위험 상황의 발생에 관한 알림 메시지를 상기 관리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데이터 식별 기반 IoT 자동 관리 시스템은 상기 융합 임계값을 통해 상기 실시간성 작업 또는 상기 비 실시간성 작업을 처리한 결과에 기초하여 관리 대상인 상기 실내 공간의 환경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의 결과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표시되도록 하는 환경 상태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데이터 식별 기반 IoT 자동 관리 방법은 IoT 자동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 수집부가 실내 공간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로부터 복수의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IoT 자동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 식별부가 상기 센서 데이터를 실시간성 작업 또는 비 실시간성 작업으로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실시간성 작업으로 식별된 센서 데이터의 경우, 상기 IoT 자동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 관리부가 해당 센서 데이터를 관리자 단말에 제공한 후 데이터베이스에 적재하는 단계; 및 상기 비 실시간성 작업으로 식별된 센서 데이터의 경우, 상기 데이터 관리부가 해당 센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적재한 후 상기 관리자 단말의 요청 유무에 따라 상기 관리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센서 데이터가 위험 상황의 이벤트인지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센서 데이터를 상기 실시간성 작업 또는 상기 비 실시간성 작업으로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화재 및 침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험 상황의 이벤트에 관한 센서 데이터의 경우, 해당 센서 데이터를 상기 실시간성 작업으로 식별하는 단계; 및 환기 및 온도 조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험 상황이 아닌 이벤트에 관한 센서 데이터의 경우, 해당 센서 데이터를 상기 비 실시간성 작업으로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데이터 식별 기반 IoT 자동 관리 방법은 상기 IoT 자동 관리 시스템의 우선순위 설정부가 상기 센서 데이터 각각에 대해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실시간성 작업으로 식별된 센서 데이터의 경우, 상기 비 실시간성 작업으로 식별된 센서 데이터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데이터 식별 기반 IoT 자동 관리 방법은 상기 센서 데이터의 수신에 따라 새로운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 관리부가 상기 우선순위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새로운 이벤트와 관련한 새로운 작업과 현재 동작중인 이전 작업 간의 우선순위를 비교하고, 상기 새로운 작업의 우선순위가 상기 이전 작업의 우선순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이전 작업을 중단하고 상기 새로운 작업을 동작하도록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데이터 식별 기반 IoT 자동 관리 방법은 상기 IoT 자동 관리 시스템의 위험 상황 알림부가 상기 실시간성 작업으로 식별된 센서 데이터 중 미리 설정된 복수의 센서 데이터 모두를 고려한 임계값을 나타내는 융합 임계값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 공간의 위험 상황을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를 통해 측정된 센서 데이터를 실시간성 작업 또는 비 실시간성 작업으로 식별하여 화재나 침입 등과 같은 실시간성 작업인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제공한 후에 데이터베이스에 적재하고 환기, 온도 조절 등과 같은 비 실시간성 작업인 경우에는 데이터베이스에 적재한 후 관리자의 요청이 있을 경우에 제공하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관리함으로써 시스템의 규모가 커지는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관리 장소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 간에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우선순위가 높은 작업이 발생하면 기존 작업을 중단함으로써 동시다발적 작업을 줄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전력 사용량을 줄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능동적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데이터 식별 기반 IoT 자동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서버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데이터 식별 기반 IoT 자동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센서 데이터를 식별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새로운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 대한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작업에 대한 우선순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XML 데이터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적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데이터 식별 기반 IoT 자동 관리 시스템의 어플리케이션 구현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기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 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 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 구성 중에서 종래에 기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 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 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신호 또는 정보의 "전송", "통신", "송신", "수신" 기타 이와 유사한 의미의 용어는 일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로 신호 또는 정보가 직접 전달되는 것뿐만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거쳐 전달되는 것도 포함한다. 특히 신호 또는 정보를 일 구성요소로 "전송" 또는 "송신"한다는 것은 그 신호 또는 정보의 최종 목적지를 지시하는 것이고 직접적인 목적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신호 또는 정보의 "수신"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데이터 식별 기반 IoT 자동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데이터 식별 기반 IoT 자동 관리 시스템(100)은 서버(110), 상기 서버(110)와 연동하는 데이터베이스(DB)(115), 복수의 센서(120), 복수의 디바이스(130), 관리자 단말(140), 상기 관리자 단말(140)과 연동하는 어플리케이션(APP)(14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1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데이터 식별 기반 IoT 자동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센서 데이터를 식별하여 작업 간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115)에 저장된 웹 데이터를 통해 날짜, 시간에 맞게 상기 디바이스(130)를 자동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바이스(130)는 에어컨(Aircon), 히터(Heater), 도어(Door), 윈도우(Window) 등을 비롯하여 환경 제어를 위한 모든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110)는 상기 센서(120)를 통해 측정된 센서 데이터를 전송받아 임계값을 통해 이벤트를 처리하며, 상기 이벤트의 처리 결과를 토대로 관리 대상의 실내 장소(관리 장소)의 환경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임계값은 융합 임계값으로서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서버(110)는 상기 모니터링의 결과를 상기 관리자 단말(140)에 전송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145)을 통해 관리자가 상기 관리 장소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서버(110)는 상기 관리자 단말(140)로부터 원격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디바이스(130)에 전송함으로써, 관리자로 하여금 상기 관리자 단말(14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145)을 통해 상기 디바이스(130)를 원격으로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110)는 위험 상황 발생 시 알림 메시지를 상기 관리자 단말(14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서버(110)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상세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서버(110)는 데이터 수집부(210), 데이터 식별부(220), 데이터 관리부(230), 우선순위 설정부(240), 위험 상황 알림부(250), 환경 상태 모니터링부(26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수집부(210)는 실내 공간(관리 공간)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120)로부터 복수의 센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수집부(210)는 상기 수신된 센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115)와 연계하여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120)는 상기 실내 공간에 설치되어 환경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필요한 장치로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가스 센서, 진동 센서, 인체감지 센서 등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진동 센서는 윈도우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인체감지 센서는 도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식별부(220)는 상기 센서 데이터를 실시간성 작업 또는 비 실시간성 작업으로 식별할 수 있다. 즉, 상기 데이터 식별부(220)는 상기 센서 데이터가 위험 상황의 이벤트인지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센서 데이터를 상기 실시간성 작업 또는 상기 비 실시간성 작업으로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데이터 식별부(220)는 화재 및 침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험 상황의 이벤트에 관한 센서 데이터의 경우, 해당 센서 데이터를 실시간성 작업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식별부(220)는 환기 및 온도 조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험 상황이 아닌 이벤트에 관한 센서 데이터의 경우, 해당 센서 데이터를 비 실시간성 작업으로 식별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관리부(230)는 상기 실시간성 작업으로 식별된 센서 데이터의 경우, 해당 센서 데이터를 상기 관리자 단말(140)에 제공한 후 상기 데이터베이스(115)에 적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데이터 관리부(230)는 화재, 침입 등과 같이 위험 상황의 이벤트에 관한 센서 데이터의 경우, 위급한 상황으로 판단하여 해당 센서 데이터를 먼저 상기 관리자 단말(140)에 제공한 후 상기 데이터베이스(115)에 적재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데이터 관리부(230)는 상기 비 실시간성 작업으로 식별된 센서 데이터의 경우, 해당 센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115)에 적재한 후 상기 관리자 단말(140)의 요청 유무에 따라 상기 관리자 단말(140)에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데이터 관리부(230)는 환기, 온도 조절 등과 같이 위험 상황이 아닌 이벤트에 관한 센서 데이터의 경우, 위급한 상황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센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115)에 적재할 수 있다. 여기서, 해당 센서 데이터를 상기 관리자 단말(140)에 제공하는 것은 상기 관리자 단말(140)의 요청 유무에 따른 옵션 사항으로 처리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관리부(230)는 상기 센서 데이터의 수신에 따라 새로운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새로운 이벤트와 관련한 새로운 작업과 현재 동작중인 이전 작업 간의 우선순위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관리부(230)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새로운 작업의 우선순위가 상기 이전 작업의 우선순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이전 작업을 중단하고 상기 새로운 작업을 동작하도록 관리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데이터 관리부(230)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새로운 작업의 우선순위가 상기 이전 작업의 우선순위보다 낮은 경우, 상기 이전 작업의 동작이 완료될 때까지 대기 후 상기 새로운 작업을 동작하도록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우선순위 설정부(240)는 상기 센서 데이터 각각에 대해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우선순위 설정부(240)는 상기 센서 데이터에 의한 이벤트와 관련된 작업 간의 우선순위를 상기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기 전에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우선순위 설정부(240)는 상기 실시간성 작업으로 식별된 센서 데이터의 경우, 상기 비 실시간성 작업으로 식별된 센서 데이터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즉, 상기 우선순위 설정부(240)는 상기 센서 데이터에 의한 화재나 침입 등의 이벤트와 관련된 작업의 우선순위를, 상기 센서 데이터에 의한 환기나 온도 조절 등의 이벤트와 관련된 작업의 우선순위보다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이는 상기 화재나 침입 등의 이벤트와 관련된 작업은 위험 상황으로 식별되는 실시간성 작업이며, 상기 환기나 온도 조절 등의 이벤트와 관련된 작업은 위험하지 않은 상황으로 식별되는 비 실시간성 작업인 바, 위급 정도에 있어서 위험 상황이 위험하지 않은 상황보다 더 우선이기 때문이다.
상기 위험 상황 알림부(250)는 융합 임계값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 공간의 위험 상황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융합 임계값은 상기 실시간성 작업으로 식별된 센서 데이터 중 미리 설정된 복수의 센서 데이터 모두를 고려한 임계값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온도 데이터와 가스 데이터 모두를 고려한 임계값을 상기 융합 임계값이라 정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진동 데이터와 인체감지 데이터 모두를 고려한 임계값을 상기 융합 임계값이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위험 상황 알림부(250)는 상기 데이터 수집부(210)에 의해 수신된 센서 데이터가 상기 실시간성 작업으로 식별된 센서 데이터 중 미리 설정된 복수의 센서 데이터인 경우, 해당 센서 데이터들의 값이 상기 융합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실내 공간에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식별하고, 상기 위험 상황의 발생에 관한 알림 메시지를 상기 관리자 단말(14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위험 상황 알림부(250)는 온도 데이터와 가스 데이터의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모두 초과하면, 상기 실내 공간에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식별하고, 상기 위험 상황의 발생에 관한 알림 메시지를 상기 관리자 단말(14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상기 관리자 단말(14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145)을 통해 상기 실내 공간의 위험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내 공간이 복수의 섹터로 구분되어 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컨대, 건물 내에 관리 대상인 연구실이 여러 군데(연구실 #1, 연구실 #2, 연구실 #3 등)인 경우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위험 상황 알림부(250)는 동일 섹터를 기준으로 상기 융합 임계값에 기초하여 위험 상황을 식별할 수 있다. 즉, 상기 위험 상황 알림부(250)는 동일 섹터 내에서 미리 설정된 복수의 센서 데이터의 값이 상기 융합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실내 공간의 해당 섹터에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구실 #1에서 측정된 온도 데이터와 가스 데이터의 값이 상기 융합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위험 상황 알림부(250)는 건물 내 여러 연구실 중 연구실 #1에 위험 상황(화재)이 발생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연구실 #2에서 측정된 진동 데이터와 인체감지 데이터의 값이 상기 융합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위험 상황 알림부(250)는 건물 내 여러 연구실 중 연구실 #2에 위험 상황(침입)이 발생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내 공간의 각 센터별로 고유 식별정보가 미리 부여될 수 있다. 예컨대, 연구실 #1에는 '001', 연구실 #2에는 '002', 연구실 #3에는 '003' 등과 같은 고유 식별정보가 미리 부여될 수 있다.
상기 위험 상황 알림부(250)는 상기 실내 공간의 각 섹터별로 부여된 고유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위험 상황의 발생에 관한 알림 메시지를 상기 관리자 단말(140)에 제공할 수 있다. 위의 예에서 연구실 #1에 화재나 침입 등의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경우, 상기 위험 상황 알림부(250)는 연구실 #1에 부여된 '001'과 함께 상기 위험 상황의 발생에 관한 알림 메시지를 상기 관리자 단말(14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환경 상태 모니터링부(260)는 상기 융합 임계값을 통해 상기 실시간성 작업 또는 상기 비 실시간성 작업을 처리한 결과에 기초하여 관리 대상인 상기 실내 공간의 환경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 환경 상태 모니터링부(260)는 상기 모니터링의 결과를 상기 관리자 단말(140)로 전송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14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145)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70)는 상기 서버(110), 즉 상기 데이터 수집부(210), 상기 데이터 식별부(220), 상기 데이터 관리부(230), 상기 우선순위 설정부(240), 상기 위험 상황 알림부(250), 상기 환경 상태 모니터링부(260) 등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 요소,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 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 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컨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데이터 식별 기반 IoT 자동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센서 데이터를 식별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여기서 설명하는 센서 데이터 식별 기반 IoT 자동 관리 방법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그 이외에 필요에 따라 다양한 단계들이 부가될 수 있고, 하기의 단계들도 순서를 변경하여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하기에 설명하는 각 단계 및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단계(310)에서 상기 데이터 수집부(210)는 실내 공간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120)로부터 복수의 센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320)에서 상기 데이터 식별부(220)는 상기 센서 데이터를 실시간성 작업 또는 비 실시간성 작업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410)에서 상기 데이터 식별부(220)는 화재 및 침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험 상황의 이벤트에 관한 센서 데이터의 경우, 해당 센서 데이터를 실시간성 작업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420)에서 상기 데이터 식별부(220)는 환기 및 온도 조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험 상황이 아닌 이벤트에 관한 센서 데이터의 경우, 해당 센서 데이터를 비 실시간성 작업으로 식별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단계(330)에서 상기 실시간성 작업으로 식별된 센서 데이터의 경우(330의 "예" 방향), 단계(340)에서는 해당 센서 데이터가 융합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융합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340의 "예" 방향), 상기 데이터 관리부(230)는 해당 센서 데이터를 관리자 단말(140)에 제공한 후(350) 데이터베이스(115)에 적재할 수 있다(360). 반면, 상기 융합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340의 "아니오" 방향), 본 실시예는 종료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관리부(230)는 해당 센서 데이터를 상기 관리자 단말(140)에 제공하는 과정에서, 위험 상황의 발생에 관한 알림 메시지를 함께 상기 관리자 단말(140)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비 실시간성 작업으로 식별된 센서 데이터의 경우(330의 "아니오" 방향), 상기 데이터 관리부(230)는 해당 센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115)에 적재한 후(370), 상기 관리자 단말(140)의 요청이 있으면(380의 "예" 방향) 상기 관리자 단말(140)에 제공할 수 있다(390). 이때, 상기 관리자 단말(140)의 요청이 없으면(380의 "아니오" 방향), 본 실시예는 종료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새로운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 대한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의 처리 과정은 도 3의 단계(310)과 단계(320) 사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센서 데이터의 수신에 따라 새로운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510의 "예" 방향), 단계(520)에서 상기 데이터 관리부(230)는 이전 작업이 동작중인지를 체크할 수 있다.
상기 체크 결과 이전 작업이 동작중인 경우(520의 "예" 방향), 단계(530)에서 상기 데이터 관리부(230)는 상기 우선순위 설정부(240)에 의해 설정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새로운 이벤트와 관련한 새로운 작업과 현재 동작중인 이전 작업 간의 우선순위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새로운 작업의 우선순위가 상기 이전 작업의 우선순위보다 높은 경우(540의 "예" 방향), 상기 데이터 관리부(230)는 상기 이전 작업을 중단하고(550), 상기 새로운 작업을 동작(560)하도록 관리할 수 있다. 반면,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새로운 작업의 우선순위가 상기 이전 작업의 우선순위보다 높지 않은 경우(540의 "아니오" 방향)에는 본 실시예를 종료하고 도 3의 단계(320)으로 건너뛰기 할 수 있다.
한편, 새로운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510의 "아니오" 방향)에는 도 3의 단계(310)으로 리턴하고, 단계(520)에서 상기 이전 작업이 동작중이지 않은 경우(520의 "아니오" 방향)에는 단계(560)으로 건너뛰기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도 7 및 표 1 내지 표 7을 참조하여 작업 우선순위 설정, 웹 데이터 추출, 데이터베이스 설계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작업 우선순위 설정
본 시스템에서는 다섯 종류의 센서를 활용하여 환기 작업, 온도 조절 작업, 화재, 침입 발생에 대한 작업을 자동으로 제어하여 쾌적한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관리자는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하여 원하는 환경을 구성할 수 있다.
도 6은 작업에 대한 우선순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작업 우선순위의 1번 작업은 온도, 가스 센서에 의한 화재 발생이다. 온도가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고 가스만 발생했을 경우는 창문을 열어 환기 작업을 동작한다. 가스의 임계값을 초과하면서 온도의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는 화재로 식별하여 관리자에게 알림 메시지를 전송함과 동시에 동작중인 디바이스를 전부 중단한다.
작업 우선순위의 2번 작업은 진동과 인체감지 센서를 통해 침입 발생으로 관리 장소를 사용하지 않는 시간에 강제로 문을 여는 행위로 인한 진동 발생, 창문을 통해 침입하여 인체 감지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침입으로 식별하여 관리자에게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
작업 우선순위의 3번 작업은 어플리케이션에서 원격제어이다. 관리자로 인해 원격 신호가 발생하면 해당하는 디바이스를 동작하며 그렇지 않으면 자동제어로 동작한다.
작업 우선순위의 4번 작업은 웹 데이터를 통해 관리 장소의 사용, 미사용 별 동작이다. 데이터베이스에 적재되어 있는 날짜, 시간과 현재 날짜, 시간을 비교하여 관리 장소의 사용 유무를 식별하며 사용하는 경우에는 환경제어 작업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방범제어 작업을 동작한다.
작업 우선순위의 5번은 온도, 습도, 가스 센서를 활용한 자동제어이다. 실시간으로 측정된 센서 데이터는 각 센서의 임계값과 비교하여 초과하는 경우 온도 조절, 환기에 해당하는 작업이 발생하며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관리 장소가 쾌적한 것이다.
2. 웹 데이터 추출
본 시스템은 관리 장소에 사용 시간과 미사용 시간을 구분하여 불필요한 작업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웹 데이터를 추출하여 날짜, 시간에 맞게 동작한다.
도 7은 XML 데이터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적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Timetable과 Calendar XML 파일은 자바에서 활용되는 XML DOM Parser를 통해 추출되며 각 엘리먼트 단위로 분류한다. 분류된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JDBC API를 활용하여 각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 적재된다. 이러한 데이터들은 서버 내에서 쿼리를 통해 현재 날짜, 시간과 비교하여 자동제어 환경을 동작한다.
3. 데이터베이스 설계
본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아두이노, WiFi Shield, 센서 다섯 종류를 활용하여 환경을 구성할 수 있다. 각 센서를 통해 발생하는 데이터는 아두이노를 통해 측정하고 WiFi Shield를 통해 서버에 GET 방식으로 전송하며 서버에서는 전달 받은 센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적재한다. 또한 서버 내에서 발생한 작업과 날짜, 시간 별로 구분하기 위한 웹 데이터, 관리자 어플리케이션의 원격제어 데이터, 관리자를 구분하기 위한 회원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적재된다. 해당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는 표 1과 같다.
[표 1]
Figure pat00001
본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 구조는 6가지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 구조는 각 센서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적재하는 Event 테이블과, 관리자가 관리 장소의 환경정보와 디바이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State 테이블, 관리자를 구분하기 위한 회원정보를 적재하는 Manager 테이블과, 위험상황 시 알림 메시지를 제공받기 위한 User 테이블, 그리고 사용 시간과 날짜를 구분하기 위한 Timetable과 Calendar 테이블로 구성될 수 있다.
3.1 Event 테이블의 구조 정의
센서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적재하는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 구조는 표 2와 같다.
[표 2]
Figure pat00002
Event 테이블의 구조는 표 2와 같이 발생한 이벤트에 대한 데이터가 적재된다. Temperature, Humidity, Gas는 환경제어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담당하며 화재나 온도 조절, 환기로 인해 발생한 이벤트 데이터를 적재한다. Detection과 Vibration은 방범제어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담당하며 침입에 대한 이벤트 데이터를 적재한다.
3.2 State 테이블의 구조 정의
관리자가 환경정보와 디바이스의 상태를 모니터링 및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 구조는 표 3과 같다.
[표 3]
Figure pat00003
State 테이블은 자동제어와 원격제어를 통해 발생한 디바이스의 상태와 관리자의 모니터링을 위한 실시간 온도, 습도를 나타낸다. Doorlock, Window, Aircon, Heater는 각 디바이스의 실행 여부를 판단하며 디바이스가 동작중인 경우에는 1을,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2를 나타낸다.
Real_Temp와 Real_Humi는 환경제어가 동작중인 경우에 실시간으로 측정된 온도와 습도 데이터를 나타내며, Con은 원격제어와 자동제어를 구분하기 위해 지정한 카운트를 나타내고, 관리자를 통해 원격으로 동작중인 경우는 2를, 자동제어로 동작중인 경우에는 1을 나타낸다.
3.3 Manager 테이블의 구조 정의
관리자를 구분하기 위한 회원정보를 적재하는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 구조는 표 4와 같다.
[표 4]
Figure pat00004
회원가입 시 입력받는 데이터이며 ID와 Password는 어플리케이션에서 로그인을 담당하고 HP은 관리자의 전화번호이며 Number는 현재 관리자가 관리하고 있는 연구실의 번호를 적재한다.
3.4 User 테이블의 구조 정의
위험상황 시 FCM 메시지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 구조는 표 5와 같다.
[표 5]
Figure pat00005
ID는 화재나 침입 중 어떤 위험상황이 발생하였는지 구분하기 위해 적재되는 데이터이다. Token은 관리자의 스마트 디바이스 고유 값으로 해당하는 관리자에게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적재한다.
3.5 Timetable 테이블의 구조 정의
관리장소의 사용시간을 구분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 구조는 표 6과 같다.
[표 6]
Figure pat00006
Timetable 테이블은 시간표 정보를 나타내며 요일을 구분하는 Dayweek, 교시를 나타내는 Period, 시작시간과 종료 시간을 나타내는 StartTime과 EndTime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3.6 Calendar 테이블의 구조 정의
관리장소의 사용날짜를 구분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 구조는 표 7과 같다.
[표 7]
Figure pat00007
Calendar 테이블은 관리장소의 년, 월, 일, 휴일 유무를 나타내며 Timetable과 연계하여 서버 내에서 쿼리를 통해 사용 날짜, 시간별로 동작한다.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데이터 식별 기반 IoT 자동 관리 시스템의 어플리케이션 구현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시스템의 어플리케이션은 관리자가 아두이노에서 측정된 센서 데이터와 디바이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원격 제어하기 위한 중요 모듈이다. Android의 낮은 버전의 환경에서도 제어가 가능하다. 해당 어플리케이션은 관리 장소에서 관리자가 최소한으로 제공받아야 하는 데이터를 구분하여 구성할 수 있고 사용자가 쉽게 이용할 수 있다.
도 8은 어플리케이션 메인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회원가입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메인 페이지에서 JOIN 버튼을 클릭하게 되면 회원가입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회원가입 페이지에서 관리자의 ID, PW,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JOIN 버튼을 클릭하게 되면,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한 정보가 적재될 수 있다. 상기 회원가입 페이지에서 로그인 버튼을 클릭하게 되면 데이터베이스에 적재되어 있는 관리자의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면 로그인을 진행할 수 있다.
도 10은 관리 대상의 실내 공간인 연구실 선택 페이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가 로그인을 하게 되면 관리할 연구실을 선택하게 되고 선택된 연구실 번호는 데이터베이스에 적재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에 적재하는 이유는 관리자마다 관리 장소를 나누고 위험상황 발생 시 해당하는 관리자에게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함이다.
도 11은 연구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원격 제어할 수 있는 구현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관리자는 관리가 필요한 연구실이 몇 호인지, 사용 중인지 아닌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측정된 온도와 습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에어컨, 히터, 도어락, 창문 디바이스에 대해 원격으로 제어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Select Lab 버튼은 관리자가 다른 연구실을 선택하여 모니터링 및 제어할 수 있다.
도 12는 관리자의 어플리케이션 화면으로 관리 장소를 사용하지 않는 시간, 즉 방범제어 작업이 동작 중 침입이 발생했을 경우의 알림 메시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림 메시지는 위험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FCM 서버를 통해 푸시 팝업 메시지로 제공한다.
도 13은 관리자의 어플리케이션 화면으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알림 메시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의 경우 관리 장소를 사용하는 시간, 사용하지 않는 시간을 구분하지 않고 24시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모든 디바이스의 작업을 중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10: 서버
115: DB
120: 센서
130: 디바이스
140: 관리자 단말
145: APP
210: 데이터 수집부
220: 데이터 식별부
230: 데이터 관리부
240: 우선순위 설정부
250: 위험 상황 알림부
260: 환경 상태 모니터링부
270: 제어부

Claims (15)

  1. 실내 공간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로부터 복수의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센서 데이터를 실시간성 작업 또는 비 실시간성 작업으로 식별하는 데이터 식별부; 및
    상기 실시간성 작업으로 식별된 센서 데이터의 경우, 해당 센서 데이터를 관리자 단말에 제공한 후 데이터베이스에 적재하고, 상기 비 실시간성 작업으로 식별된 센서 데이터의 경우, 해당 센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적재한 후 상기 관리자 단말의 요청 유무에 따라 상기 관리자 단말에 제공하는 데이터 관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데이터 식별 기반 IoT 자동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식별부는
    상기 센서 데이터가 위험 상황의 이벤트인지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센서 데이터를 상기 실시간성 작업 또는 상기 비 실시간성 작업으로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데이터 식별 기반 IoT 자동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식별부는
    화재 및 침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험 상황의 이벤트에 관한 센서 데이터의 경우, 해당 센서 데이터를 상기 실시간성 작업으로 식별하고,
    환기 및 온도 조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험 상황이 아닌 이벤트에 관한 센서 데이터의 경우, 해당 센서 데이터를 상기 비 실시간성 작업으로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데이터 식별 기반 IoT 자동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데이터 각각에 대해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우선순위 설정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우선순위 설정부는
    상기 실시간성 작업으로 식별된 센서 데이터의 경우, 상기 비 실시간성 작업으로 식별된 센서 데이터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데이터 식별 기반 IoT 자동 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관리부는
    상기 센서 데이터의 수신에 따라 새로운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우선순위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새로운 이벤트와 관련한 새로운 작업과 현재 동작중인 이전 작업 간의 우선순위를 비교하고, 상기 새로운 작업의 우선순위가 상기 이전 작업의 우선순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이전 작업을 중단하고 상기 새로운 작업을 동작하도록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데이터 식별 기반 IoT 자동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성 작업으로 식별된 센서 데이터 중 미리 설정된 복수의 센서 데이터 모두를 고려한 임계값을 나타내는 융합 임계값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 공간의 위험 상황을 식별하는 위험 상황 알림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데이터 식별 기반 IoT 자동 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상황 알림부는
    상기 미리 설정된 복수의 센서 데이터가 상기 융합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실내 공간에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식별하고, 상기 위험 상황의 발생에 관한 알림 메시지를 상기 관리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데이터 식별 기반 IoT 자동 관리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상황 알림부는
    상기 실내 공간이 복수의 섹터로 구분되어 있는 경우, 동일 섹터를 기준으로 상기 융합 임계값에 기초하여 위험 상황을 식별하되, 상기 미리 설정된 복수의 센서 데이터가 상기 융합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실내 공간의 해당 섹터에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식별하고, 상기 실내 공간의 각 섹터별로 부여된 고유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위험 상황의 발생에 관한 알림 메시지를 상기 관리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데이터 식별 기반 IoT 자동 관리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융합 임계값을 통해 상기 실시간성 작업 또는 상기 비 실시간성 작업을 처리한 결과에 기초하여 관리 대상인 상기 실내 공간의 환경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의 결과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표시되도록 하는 환경 상태 모니터링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데이터 식별 기반 IoT 자동 관리 시스템.
  10. IoT 자동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 수집부가 실내 공간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로부터 복수의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IoT 자동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 식별부가 상기 센서 데이터를 실시간성 작업 또는 비 실시간성 작업으로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실시간성 작업으로 식별된 센서 데이터의 경우, 상기 IoT 자동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 관리부가 해당 센서 데이터를 관리자 단말에 제공한 후 데이터베이스에 적재하는 단계; 및
    상기 비 실시간성 작업으로 식별된 센서 데이터의 경우, 상기 데이터 관리부가 해당 센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적재한 후 상기 관리자 단말의 요청 유무에 따라 상기 관리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데이터 식별 기반 IoT 자동 관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센서 데이터가 위험 상황의 이벤트인지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센서 데이터를 상기 실시간성 작업 또는 상기 비 실시간성 작업으로 식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데이터 식별 기반 IoT 자동 관리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화재 및 침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험 상황의 이벤트에 관한 센서 데이터의 경우, 해당 센서 데이터를 상기 실시간성 작업으로 식별하는 단계; 및
    환기 및 온도 조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험 상황이 아닌 이벤트에 관한 센서 데이터의 경우, 해당 센서 데이터를 상기 비 실시간성 작업으로 식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데이터 식별 기반 IoT 자동 관리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IoT 자동 관리 시스템의 우선순위 설정부가 상기 센서 데이터 각각에 대해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실시간성 작업으로 식별된 센서 데이터의 경우, 상기 비 실시간성 작업으로 식별된 센서 데이터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데이터 식별 기반 IoT 자동 관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데이터의 수신에 따라 새로운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 관리부가 상기 우선순위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새로운 이벤트와 관련한 새로운 작업과 현재 동작중인 이전 작업 간의 우선순위를 비교하고, 상기 새로운 작업의 우선순위가 상기 이전 작업의 우선순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이전 작업을 중단하고 상기 새로운 작업을 동작하도록 관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데이터 식별 기반 IoT 자동 관리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IoT 자동 관리 시스템의 위험 상황 알림부가 상기 실시간성 작업으로 식별된 센서 데이터 중 미리 설정된 복수의 센서 데이터 모두를 고려한 임계값을 나타내는 융합 임계값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 공간의 위험 상황을 식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데이터 식별 기반 IoT 자동 관리 방법.
KR1020170106911A 2017-08-23 2017-08-23 센서 데이터 식별 기반 IoT 자동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957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911A KR101957582B1 (ko) 2017-08-23 2017-08-23 센서 데이터 식별 기반 IoT 자동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911A KR101957582B1 (ko) 2017-08-23 2017-08-23 센서 데이터 식별 기반 IoT 자동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754A true KR20190021754A (ko) 2019-03-06
KR101957582B1 KR101957582B1 (ko) 2019-03-12

Family

ID=65761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6911A KR101957582B1 (ko) 2017-08-23 2017-08-23 센서 데이터 식별 기반 IoT 자동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75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77784A (zh) * 2022-08-09 2022-11-01 成都秦川物联网科技股份有限公司 便于实现本地权限控制的工业物联网系统及控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6936A (ko) * 2007-07-13 2009-01-16 (재)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 능동적 상황 처리를 위한 센서 네트워크
KR20140058107A (ko) * 2012-11-06 2014-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센서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20170064893A (ko) * 2015-12-02 2017-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탐색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6936A (ko) * 2007-07-13 2009-01-16 (재)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 능동적 상황 처리를 위한 센서 네트워크
KR20140058107A (ko) * 2012-11-06 2014-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센서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20170064893A (ko) * 2015-12-02 2017-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탐색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77784A (zh) * 2022-08-09 2022-11-01 成都秦川物联网科技股份有限公司 便于实现本地权限控制的工业物联网系统及控制方法
CN115277784B (zh) * 2022-08-09 2023-06-20 成都秦川物联网科技股份有限公司 便于实现本地权限控制的工业物联网系统及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7582B1 (ko) 2019-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62032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US8635338B2 (en) Log collection data harvester for use in a building automation system
CN103221920B (zh) 用于集成多个建筑系统和业务应用的计算机实现的方法和系统
EP3402166B1 (en)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smart iot-boiler
EP3032841B1 (en) Indoor device, home system,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13455014B (zh) 设备管理系统
US20230366576A1 (en) Air conditioning management system
KR101957582B1 (ko) 센서 데이터 식별 기반 IoT 자동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190188269A1 (en) Providing bots for industrial processes
JP4820396B2 (ja) 遠隔制御装置
US11473803B2 (en) Inbuilt programming tool for use by non-programmers to add intelligence to a building automation system
KR101335738B1 (ko) 서버 및 그의 설비 제어방법
EP3662330B1 (en) Fault tolerant services for integrated building automation systems
US11368326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ing data points into a building controller of a building automation system
KR102002076B1 (ko) 자원 할당 알고리즘 기반 IoT 분산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575982B1 (ko) 가정이나 매장 등 특정 범위의 영역에 설치 및 배포되어 있는 IoT 단말, 혹은 매쉬업 서비스들의 QoS를 보장해 주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530364B1 (ko) 노드 분석 방법 및 장치
JP4898535B2 (ja) 施設管理装置および施設管理方法
CN107431734B (zh) 屋内设备、通信适配器、控制方法以及记录介质
KR20190044199A (ko) 제어 명령 분석 기반 IoT 자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96602A (ko)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
US20230341143A1 (en) Air-Conditioning System
JP2007329811A (ja) 中央監視システム
JP6351822B2 (ja) 管理装置、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3632499B (zh) 设备管理系统和设备管理服务的提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