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3273A - Iot 디바이스 그룹에서의 협업 지능 및 의사 결정 - Google Patents

Iot 디바이스 그룹에서의 협업 지능 및 의사 결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3273A
KR20150123273A KR1020157026012A KR20157026012A KR20150123273A KR 20150123273 A KR20150123273 A KR 20150123273A KR 1020157026012 A KR1020157026012 A KR 1020157026012A KR 20157026012 A KR20157026012 A KR 20157026012A KR 20150123273 A KR20150123273 A KR 20150123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t
request message
group
state transition
recommendation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6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2799B1 (ko
Inventor
아미트 고엘
모하메드 아타울 라흐만 슈만
비니타 굽타
아슈토시 아가르왈
산딥 샤르마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50123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3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1Collaborative creation, e.g. joint development of products or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W4/00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04W4/21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for social networking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5/00Computing arrangements using knowledge-based models
    • G06N5/04Inference or reasoning mod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물은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 그룹에서의 협업 지능 및 의사결정에 관련한다. 특히, 그룹에서의 다양한 IoT 디바이스들은 상호의존적일 수도 있음으로써, 하나의 IoT 디바이스가 계획하는 결정이 그 그룹에서의 다른 IoT 디바이스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따라서, IoT 디바이스가 (예컨대, 상태를 전환하거나 또는 다른 액션을 개시하는) 특정한 결정을 계획함에 응답하여, 그 그룹에서의 IoT 디바이스들은 계획된 결정에 대해 액션을 취하기 전에 분산 지능을 사용하여 협업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추천 요청이 그룹에서의 다른 IoT 디바이스들로 전송될 수도 있으며, 그러면 다른 IoT 디바이스들은 그 그룹 내의 관계들을 분석하여 계획된 결정과 연관된 잠재적 영향들을 평가하고 계획된 결정을 승인 또는 불승인하기 위해 응답할 수도 있다. 다른 IoT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된 응답들에 기초하여, IoT 디바이스는 그 다음에 계획된 결정에 대해 액션을 취할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IOT 디바이스 그룹에서의 협업 지능 및 의사 결정 {COLLABORATIVE INTELLIGENCE AND DECISION-MAKING IN AN IOT DEVICE GROUP}
관련 출원들에 대한 상호참조
본 출원은 2013년 2월 25일자로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COLLABORATIVE INTELLIGENCE AND DECISION-MAKING IN AN IOT DEVICE GROUP"이고 본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61/769,149호를 우선권 주장하며, 이 미국 가특허출원은 그 전체가 참조로 본원에 명시적으로 통합된다.
기술 분야
본원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형태들이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 그룹에서의 협업 지능 및 분산 의사결정을 위한 것이다.
인터넷은 서로 통신하기 위해 표준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 (예컨대, 송신 제어 프로토콜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및 인터넷 프로토콜 (Internet Protocol, IP)) 를 사용하는 상호접속된 컴퓨터들 및 컴퓨터 네트워크들의 글로벌 시스템이다. 사물 인터넷 (Internet of Things, IoT) 은 단지 컴퓨터들 및 컴퓨터 네트워크들만이 아닌 일상 개체들이, IoT 통신 네트워크 (예컨대, 애드-혹 시스템 또는 인터넷) 를 통해 판독가능, 인식가능, 위치결정가능, 어드레싱가능, 및 제어가능할 수 있다는 아이디어에 기초하고 있다.
다수의 시장 경향들이 IoT 디바이스들의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증가하는 에너지 비용들이 미래의 소비에 대한, 이를테면 전기 차량들과 공공 충전 스테이션들에 대한 지원과 스마트 그리드들에서 정부의 전략적 투자를 추진하고 있다. 증가하는 보건 (health care) 비용들 및 노령화 인구 (aging populations) 는 원격/접속된 보건 및 신체단련 (fitness) 서비스들에 대한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가정에서의 기술 혁명은, 'N' 플레이 (예컨대, 데이터, 음성, 비디오, 보안, 에너지 관리 등) 를 시판하고 홈 네트워크들을 확장하는 서비스 제공자들에 의한 통합 (consolidation) 을 포함한 새로운 "스마트" 서비스들에 대한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빌딩들은 기업 시설들에 대한 운영 비용들을 감소시키는 수단으로서 더 스마트해지고 더욱 편리해지고 있다.
IoT에 대한 다수의 핵심 애플리케이션들이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그리드들과 에너지 관리의 영역에서, 공익 기업들은 가정들 및 사업장들로의 에너지의 전달을 최적화할 수 있으면서도 고객들은 에너지 사용량을 양호하게 관리할 수 있다. 가정 및 빌딩 자동화의 영역에서, 스마트 홈들 및 빌딩들은 가정 또는 사무실에서 가전기기들부터 플러그 인 전기 차량 (plug-in electric vehicle, PEV) 보안 시스템들까지 임의의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 전체에 걸쳐 가상적으로 중앙 제어를 할 수 있다. 자산 추적의 영역에서, 기업들, 병원들, 공장들, 및 다른 대규모 조직들은 고가의 장비, 환자들, 차량들 등의 로케이션들을 정확히 추적할 수 있다. 건강과 웰빙의 영역에서, 의사들은 환자들의 건강을 원격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면서도 사람들은 신체단련 루틴들의 진행을 추적할 수 있다.
다음에서는 본원에서 개시된 하나 이상의 양태들 및/또는 실시형태들에 관련한 단순화된 개요를 제시한다. 이처럼, 다음의 개요는 기도된 모든 양태들 및/또는 실시형태들에 관련한 광범위한 개관으로 고려되지 않아야 하고, 다음의 개요는 기도된 모든 양태들 및/또는 실시형태들에 관련한 핵심 또는 중요 엘리먼트들을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 또는 임의의 특정 양태 및/또는 실시형태와 연관된 범위를 묘사하기 위한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다음의 개요는 본원에서 개시된 하나 이상의 양태들 및/또는 실시형태들에 관련한 특정한 개념들을 아래에서 제시되는 상세한 설명에 선행하는 단순화된 형태로 제시하기 위한 유일한 목적을 갖는다.
본 개시물은 대체로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 그룹에서의 협업 지능 및 의사결정에 관련한다. 특히, 그룹에서의 다양한 IoT 디바이스들은 상호의존적일 수도 있음으로써, 하나의 IoT 디바이스가 계획하는 결정이 그 그룹에서의 다른 IoT 디바이스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따라서, IoT 디바이스가 (예컨대, 상태를 전환하거나 또는 다른 액션을 개시하는) 특정한 결정을 계획함에 응답하여, 그 그룹에서의 IoT 디바이스들은 계획된 결정에 대해 액션을 취하기 전에 분산 지능을 사용하여 협업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추천 요청 메시지가 그룹에서의 다른 IoT 디바이스들로 전송될 수도 있으며, 그러면 다른 IoT 디바이스들은 IoT 디바이스 그룹 내의 관계들을 분석하여 계획된 결정과 연관된 잠재적 영향들을 평가하고 계획된 결정을 승인 또는 불승인하기 위해 응답할 수도 있다. 다른 IoT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된 응답들에 기초하여, IoT 디바이스는 그 다음에 계획된 결정에 대해 액션을 취할지의 여부를 적절히 결정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그룹 내의 다양한 IoT 디바이스들은 특정한 결정들을 계획할지의 여부, 특정한 상태들 간을 전환할지의 여부, 또는 달리 특정한 액션들을 개시할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적합한 의사결정 알고리즘들을 추종할 수도 있는데, 특정한 결정을 계획하는 IoT 디바이스는 그 IoT 디바이스가 개시할 것을 계획한 액션을 나타내는 추천 요청 메시지를 액션을 실제로 개시하기 전에 그 그룹에서의 다른 IoT 디바이스들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IoT 디바이스는 그 다음에 그 그룹에서의 다른 IoT 디바이스들이 당해 결정에 찬성하거나 또는 반대하는 추천들로 응답할 것을 예상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그 그룹에서의 각각의 IoT 디바이스는 그 그룹에서의 다른 IoT 디바이스들과의 다양한 상호의존성들을 정의하는 관계 트리를 유지할 수도 있는데, 추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특정 IoT 디바이스는 추천 요청 메시지에서 나타내어진 결정으로부터 초래될 수도 있는 임의의 잠재적 영향들을 평가하기 위해 관계 트리를 체크할 수도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추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각각의 IoT 디바이스는 응답하는 IoT 디바이스가 추천 요청 메시지에서 나타내어진 결정을 승인하거나 또는 불승인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승인 또는 불승인 메시지로 응답할 수도 있거나, 또는 다르게는 그 추천 요청 메시지를 무시할 수도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추천 요청 메시지를 전송했던 IoT 디바이스는 그 다음에 그 그룹에서의 다른 IoT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된 임의의 승인 또는 불승인 응답 메시지들을 (예컨대, 합리적인 시구간 내에) 분석하고 추천 요청 메시지에서 나타내어진 액션을 개시할지의 여부를 (예컨대, 최적화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적절하게 결정할 수도 있다.
다른 예시적인 양태에 따르면, 그룹에서의 IoT 디바이스들은 그 그룹에서의 다른 IoT 디바이스들에게 (예컨대, 현재 상태에 기초하여) 비요청 추천들을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IoT 디바이스가 특정한 자원을 이용하는 현재 상태를 가짐 (예컨대, 샤워기 IoT 디바이스가 사용중 상태를 가짐) 에 응답하여, IoT 디바이스는, 현재 자원 이용 상태에 악영향을 주거나 또는 달리 간섭할 수도 있는 임의의 액션들을 취하지 않을 (예컨대, 샤워기에서의 수온에 악영향을 줄 수도 있는 방식으로 온수 또는 냉수 사용량을 갑자기 변경시키지 않을) 것 또는 동일한 자원을 이용하지 않을 것을 그 그룹에서의 다른 IoT 디바이스들에게 지시하는 비요청 추천을 전송할 수도 있다.
다른 예시적인 양태에 따르면, IoT 그룹에서의 IoT 디바이스들 간에 협업 의사결정하는 방법이, 다른 것들도 있지만 무엇보다도, IoT 그룹에서의 하나 이상의 멤버 IoT 디바이스들에게 추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로서, 추천 요청 메시지는 계획된 상태 전환 (예컨대, 추천 요청 메시지를 송신했던 IoT 디바이스에 의해 계획된 상태 전환) 을 나타내는, 상기 송신하는 단계; 추천 요청 메시지에 대한 하나 이상의 응답들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하나 이상의 응답들은 추천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는 하나 이상의 멤버 IoT 디바이스들로부터의 계획된 상태 전환에 관한 피드백 (예컨대, 응답하는 멤버 IoT 디바이스들이 계획된 상태 전환을 승인하는지 또는 불승인하는지를 나타내는 불 (Boolean) 값, 퍼지 로직 값, 또는 다른 적합한 데이터이며, IoT 그룹에서의 멤버 IoT 디바이스들 간의 관계들을 기술하는 종속성 트리를 사용하여 결정된 잠재적 영향에 의존할 수도 있음) 을 포함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응답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추천 요청 메시지에 대한 하나 이상의 응답들에 기초하여 계획된 상태 전환을 개시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추천 요청 메시지를 송신했던 IoT 디바이스는 미리 정의된 시구간이 만료되기까지 추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들을 결집한 다음 상기 미리 정의된 시구간 동안 수신되는 응답들을 분석하여 계획된 상태 전환을 개시할지의 여부를 (예컨대, 로컬 의사결정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도 있다. 더욱이,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그 방법은, IoT 그룹에서의 하나 이상의 멤버 IoT 디바이스들에게 계획된 상태 전환이 개시되지 않을 것임을 나타내는 최종 결정을 알리는 단계와 최종 결정을 알리는 단계에 후속하여 계획된 상태 전환을 개시하는 단계, 또는 대안으로 계획된 상태 전환이 개시되지 않을 것임을 나타내는 최종 결정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예시적인 양태에 따르면, IoT 그룹에서의 하나 이상의 멤버 IoT 디바이스들에게 추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수단으로서, 추천 요청 메시지는 계획된 상태 전환을 나타내는, 상기 송신하는 수단; 추천 요청 메시지에 대한 하나 이상의 응답들을 수신하는 수단으로서, 하나 이상의 응답들은 추천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는 하나 이상의 멤버 IoT 디바이스들로부터의 계획된 상태 전환에 관한 피드백을 포함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응답들을 수신하는 수단; 및 추천 요청 메시지에 대한 하나 이상의 응답들에 기초하여 계획된 상태 전환을 개시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수단을 장치가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계획된 상태 전환을 개시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수단은, 미리 정의된 시구간이 만료되기까지 추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들을 결집시키는 수단; 계획된 상태 전환을 개시할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미리 정의된 시구간 동안 수신되는 응답들을 분석하는 수단; 및/또는 로컬 의사결정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상태 전환을 계획하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더욱이,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그 장치는, IoT 그룹에서의 하나 이상의 멤버 IoT 디바이스들에게 계획된 상태 전환이 개시되지 않을 것임을 나타내는 최종 결정을 알리는 수단과 최종 결정을 알림에 후속하여 계획된 상태 전환을 개시하는 수단을 포함함 수도 있거나, 또는 대안으로 알려진 (advertised) 최종 결정이 계획된 상태 전환이 개시되지 않을 것임을 나타낼 수도 있다.
다른 예시적인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가 기록되어 있는 협업 그룹기반 의사결정을 위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들을 가질 수도 있으며, IoT 디바이스 상에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들을 실행하는 것은, IoT 디바이스로 하여금, IoT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IoT 그룹에서의 하나 이상의 멤버 IoT 디바이스들에게 계획된 상태 전환을 나타내는 추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게 하며, 추천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는 멤버 IoT 디바이스들로부터의 계획된 상태 전환에 관한 피드백을 포함하는, 추천 요청 메시지에 대한 하나 이상의 응답들을 수신하게 하고, 추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들에 기초하여 계획된 상태 전환을 개시할지의 여부를 결정하게 한다.
다른 예시적인 양태에 따르면, IoT 그룹에서의 IoT 디바이스들 간에 협업 의사결정하는 다른 방법이, IoT 그룹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멤버 IoT 디바이스로부터 추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추천 요청 메시지는 적어도 하나의 멤버 IoT 디바이스와 연관된 계획된 상태 전환을 나타내는, 상기 추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계획된 상태 전환에 관한 피드백 (예컨대, 계획된 상태 전환이 승인될지 또는 불승인될지를 나타내는 불 값, 계획된 상태 전환이 승인 또는 불승인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퍼지 로직 값 등) 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추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결정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멤버 IoT 디바이스로부터 계획된 상태 전환이 개시될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알려진 최종 결정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적어도 하나의 멤버 IoT 디바이스는 계획된 상태 전환에 관한 피드백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최종 결정을 생성하는, 상기 알려진 최종 결정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추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결정하는 단계는, IoT 그룹에서의 멤버 IoT 디바이스들 간의 관계들을 기술하는 종속성 트리에 기초하여 계획된 상태 전환와 연관된 잠재적 영향을 분석하는 단계와, 잠재적 영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추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결정하는 단계로서, 결정된 응답은 계획된 상태 전환이 승인되는지 또는 불승인되는지를 나타내는, 상기 응답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 특정한 사용 사례들에서, 추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결정하는 단계는, 계획된 상태 전환을 승인할지 또는 불승인할지에 관한 의견이 없음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멤버 IoT 디바이스에게 피드백을 송신하지 않고 추천 요청 메시지를 무시하는 단계 및/또는 계획된 상태 전환을 승인할지 또는 불승인할지를 결정하고 추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적어도 하나의 멤버 IoT 디바이스에게 송신하기 위해 프록시 (proxy) 멤버 IoT 디바이스를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원에서 개시되는 양태들 및 실시형태들과 연관된 다른 목적들 및 장점들은 첨부 도면들 및 상세한 설명에 기초하여 당업자들에게 명확할 것이다.
본 개시물의 양태들 및 그것에 수반되는 수많은 이점들의 더 완전한 이해는 그것들이 본 개시물의 예시를 위해서만 제시되고 본 개시물의 제한은 아닌 다음의 첨부 도면들에 관련하여 고려되는 경우의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양호하게 이해됨에 따라 쉽사리 획득될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e는 본 개시물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예시적인 하이레벨 시스템 아키텍처를 도시한다.
도 2a는 본 개시물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예시적인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한편, 도 2b는 본 개시물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예시적인 수동적 IoT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물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로직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통신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물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예시적인 서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물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IoT 디바이스 그룹들을 형성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물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IoT 디바이스 그룹에서의 협업 지능 및 의사결정을 사용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물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IoT 디바이스 그룹에서의 협업 지능 및 의사결정을 사용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다양한 양태들이 다음의 설명에서 개시되고 도면들에 관련된다. 대체 양태들이 본 개시물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고안될 수도 있다. 덧붙여, 본 개시물의 잘 알려진 엘리먼트들은 본 개시물의 관련 세부사항들을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서 상세히 설명되지 않을 것이거나 또는 생략될 것이다.
"예시적인 (exemplary)" 및/또는 "예"라는 단어들은 여기서는 "예, 인스턴스, 또는 예시"를 의미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시적인 것" 및/또는 "예"로서 본원에서 설명되는 임의의 양태는 다른 양태들보다 더 바람직하거나 유익한 것으로 생각될 필요는 없다. 마찬가지로, "본 개시물의 양태들"이란 용어는 본 개시물의 모든 양태들이 논의되는 특징부, 이점 또는 동작 모드를 포함할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게다가, 많은 양태들은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의 엘리먼트들에 의해 수행될 액션들의 시퀀스들의 측면에서 설명된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액션들은 특정 회로들 (예컨데, 주문형 집적 회로 (ASIC)) 에 의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명령들에 의해, 또는 양쪽 모두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덧붙여, 본원에서 설명되는 액션들의 이들 시퀀스는 실행 시 연관된 프로세서로 하여금 본원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컴퓨터 명령들의 대응하는 세트를 저장하고 있는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내에 완전히 수록된다고 생각될 수 있다. 그래서, 본 개시물의 다양한 양태들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도 있으며, 그 형태들의 전부는 청구된 요지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라고 기도되고 있다. 덧붙여서, 본원에서 설명되는 양태들의 각각에 대해, 임의의 그런 양태들 중 대응하는 형태는 예를 들어 설명된 액션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로직"으로서 본원에서 설명될 수도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라는 용어는 어드레스가능 인터페이스 (예컨대, 인터넷 프로토콜 (IP) 어드레스, 블루투스 식별자 (ID), 근접장 통신 (NFC) ID 등) 를 갖고 유선 또는 무선 접속을 통해 정보를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로 송신할 수 있는 임의의 개체 (예컨대, 가전기기, 센서 등) 를 지칭하는데 사용된다. IoT 디바이스가 수동적 통신 인터페이스, 이를테면 신속 응답 (quick response, QR) 코드, 라디오-주파수 식별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태그, NFC 태그 등 또는 능동적 (active) 통신 인터페이스, 이를테면 모뎀, 트랜시버, 송신기-수신기 등을 가질 수도 있다. IoT 디바이스가 중앙 프로세싱 유닛 (CPU), 마이크로프로세서, ASIC 등에 내장될 수 있고 및/또는 그것들에 의해 제어/모니터링될 수 있는 그리고 로컬 애드-혹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과 같은 IoT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을 위해 구성될 수 있는 특정 세트의 속성들 (예컨대, IoT 디바이스가 온인지 또는 오프인지, 개방인지 또는 폐쇄인지, 유휴인지 또는 활동인지, 태스크 실행을 위해 이용가능한지 또는 비지 (busy) 인지 등과 같은 디바이스 상태 또는 스테이터스, 냉각 또는 가열 기능, 환경 모니터링 또는 레코딩 기능, 광 방출 기능, 사운드 방출 기능 등) 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디바이스들에 IoT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어드레스가능 통신 인터페이스가 장비되는 한, IoT 디바이스들은 냉장고들, 토스터들, 오븐들, 전자레인지들, 냉동고들, 식기세척기들, 접시들, 수공구들, 의류 세탁기들, 의류 건조기들, 난로들 (furnaces), 에어 컨디셔너들, 서모스탯들 (thermostats), 텔레비전들, 조명 기구들, 진공 청소기들, 스프링클러들, 전기 계량기들, 가스 계량기들 등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IoT 디바이스들은 셀 폰들, 데스크톱 컴퓨터들, 랩톱 컴퓨터들, 태블릿 컴퓨터들, 개인 정보 단말기들 (PDA들) 등을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IoT 네트워크는 인터넷 접속성을 통상 갖지 않는 디바이스들 (예컨대, 식기세척기들 등) 에 더하여 "레거시" 인터넷 액세스가능 디바이스들 (예컨대, 랩톱 또는 데스크톱 컴퓨터들, 셀 폰들 등) 의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a는 본 개시물의 일 양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 (100A) 의 하이레벨 시스템 아키텍처를 예시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 (100A) 은 텔레비전 (110), 실외 에어 컨디셔닝 유닛 (112), 서모스탯 (114), 냉장고 (116), 그리고 세탁기 및 건조기 (118) 를 포함하는 복수의 IoT 디바이스들을 구비한다.
도 1a를 참조하면, IoT 디바이스들 (110-118) 은 에어 인터페이스 (108) 와 직접 유선 접속 (109) 으로서 도 1a에서 도시된 물리적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계층을 통해 액세스 네트워크 (예컨대, 액세스 포인트 (125)) 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에어 인터페이스 (108) 는 무선 인터넷 프로토콜 (IP), 이를테면 IEEE 802.11을 준수할 수 있다. 비록 도 1a가 에어 인터페이스 (108) 를 통해 통신하는 IoT 디바이스들 (110-118) 과, 직접 유선 접속 (109) 을 통해 통신하는 IoT 디바이스 (118) 를 예시하지만, 각각의 IoT 디바이스는 유선 또는 무선 접속, 또는 양쪽 모두를 통해 통신할 수도 있다.
인터넷 (175) 은 다수의 라우팅 에이전트들 및 프로세싱 에이전트들 (편의를 위해 도 1a에서 도시되지 않음) 을 포함한다. 인터넷 (175) 은 이질적인 디바이스들/네트워크들 간에 통신하기 위한 표준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 (예컨대, 송신 제어 프로토콜 (TCP) 및 IP) 를 사용하는 상호접속된 컴퓨터들 및 컴퓨터 네트워크들의 글로벌 시스템이다. TCP/IP는 데이터가 포맷팅, 어드레싱, 송신, 라우팅 및 목적지에서 수신되어야 하는 방법을 특정하는 엔드 투 엔드 접속성을 제공한다.
도 1a에서, 컴퓨터 (120), 이를테면 데스크톱 또는 개인용 컴퓨터 (PC) 가, (예컨대, 이더넷 접속 또는 Wi-Fi 또는 802.11 기반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175) 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컴퓨터 (120) 는 인터넷 (175) 에 대한 유선 접속, 이를테면 모뎀 또는 라우터에 대한 직접 접속을 가질 수도 있는데, 이 접속은, 일 예에서, (예컨대, 유선 및 무선 양쪽 모두의 접속성을 갖는 Wi-Fi 라우터의 경우) 액세스 포인트 (125) 자체에 해당할 수 있다. 대안으로, 유선 접속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 (125) 와 인터넷 (175) 에 연결되어 있는 대신에, 컴퓨터 (120) 는 에어 인터페이스 (108) 또는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 (125) 에 접속될 수도 있고, 에어 인터페이스 (108) 를 통해 인터넷 (175) 에 액세스할 수도 있다. 비록 데스크톱 컴퓨터로서 예시되었지만, 컴퓨터 (120) 는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PDA, 스마트 폰 등일 수도 있다. 컴퓨터 (120) 는 IoT 디바이스일 수도 있고 그리고/또는 IoT 네트워크/그룹, 이를테면 IoT 디바이스들 (110-118) 의 네트워크/그룹을 관리하는 기능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액세스 포인트 (125) 는, 예를 들어, 광학적 통신 시스템, 이를테면 FiOS, 케이블 모뎀, 디지털 가입자 회선 (digital subscriber line, DSL) 모뎀 등을 통해 인터넷 (175) 에 접속될 수도 있다. 액세스 포인트 (125) 는 표준 인터넷 프로토콜들 (예컨대, TCP/IP) 을 사용하여 IoT 디바이스들 (110-120) 및 인터넷 (175) 과 통신할 수도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IoT 서버 (170) 가 인터넷 (175) 에 접속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IoT 서버 (170) 는 복수의 구조적으로 별개의 서버들로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르게는 단일 서버에 해당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IoT 서버 (170) 는 (점선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옵션적이고, IoT 디바이스들 (110-120) 의 그룹은 피어 투 피어 (peer-to-peer, P2P)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IoT 디바이스들 (110-120) 은 에어 인터페이스 (108) 및/또는 직접 유선 접속 (109) 을 통해 서로 직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덧붙여, IoT 디바이스들 (110-120) 의 일부 또는 전부는 에어 인터페이스 (108) 및 직접 유선 접속 (109) 과는 독립적인 통신 인터페이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에어 인터페이스 (108) 가 Wi-Fi 인터페이스에 해당하면, IoT 디바이스들 (110-120) 중 하나 이상은 서로 또는 다른 블루투스 또는 NFC 가능 디바이스들과 직접적으로 통신하기 위한 블루투스 또는 NFC 인터페이스들을 가질 수도 있다.
피어 투 피어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발견 체계들이 노드들의 존재, 그것들의 능력들, 및 그룹 멤버십을 멀티캐스트할 수 있다. 피어 투 피어 디바이스들은 이 정보에 기초하여 연관들 및 후속 상호작용들을 확립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일 양태에 따라, 도 1b는 복수의 IoT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 (100B) 의 하이레벨 아키텍처를 예시한다. 대체로, 도 1b에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 (100B) 은 위에서 매우 상세히 설명되었던 도 1a에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 (100A) 과는 동일한 및/또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다양한 컴포넌트들 (예컨대, 에어 인터페이스 (108) 및/또는 직접 유선 접속 (109) 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 (125) 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텔레비전 (110), 실외 에어 컨디셔닝 유닛 (112), 서모스탯 (114), 냉장고 (116), 그리고 세탁기 및 건조기 (118) 를 포함한 다양한 IoT 디바이스들, 인터넷 (175) 에 직접적으로 접속하는 및/또는 액세스 포인트 (125) 를 통해 인터넷 (175) 에 접속하는 컴퓨터 (120), 그리고 인터넷 (175) 을 통해 액세스가능한 IoT 서버 (170) 등)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처럼, 설명의 간결함 및 편의를 위해, 도 1b에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 (100B) 에서의 특정한 컴포넌트들에 관련한 다양한 세부사항들은 동일한 또는 유사한 세부사항들이 도 1a에 예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 (100A) 에 관련하여 위에서 이미 제공되었던 결과로 여기서는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b를 이제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 (100B) 은 감독자 디바이스 (130) 를 포함할 수도 있는데, 감독자 디바이스는 다르게는 IoT 관리자 (130) 또는 IoT 관리자 디바이스 (130) 라고 지칭될 수도 있다. 이처럼, 다음의 설명이 "감독자 디바이스" (130) 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경우, 당업자들은 IoT 관리자, 그룹 소유자, 또는 유사한 기술용어에 대한 임의의 언급들이 감독자 디바이스 (130) 또는 동일한 또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는 다른 물리적 또는 논리적 컴포넌트를 지칭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감독자 디바이스 (130) 는 무선 통신 시스템 (100B) 에서의 다양한 다른 컴포넌트들을 일반적으로 관찰, 모니터링, 제어, 또는 달리 관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감독자 디바이스 (130) 는 무선 통신 시스템 (100B) 에서의 다양한 IoT 디바이스들 (110-120) 과 연관된 속성들, 활동들, 또는 다른 상태들을 모니터링 또는 관리하기 위해 에어 인터페이스 (108) 및/또는 직접 유선 접속 (109) 을 통해 액세스 네트워크 (예컨대, 액세스 포인트 (125)) 와 통신할 수 있다. 감독자 디바이스 (130) 는 인터넷 (175) 에 대해 그리고 옵션으로는 IoT 서버 (170) (점선으로 도시됨) 에 대해 유선 또는 무선 접속을 가질 수도 있다. 감독자 디바이스 (130) 는 다양한 IoT 디바이스들 (110-120) 과 연관된 속성들, 활동들, 또는 다른 상태들을 추가로 모니터링 또는 관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정보를 인터넷 (175) 및/또는 IoT 서버 (170) 로부터 획득할 수도 있다. 감독자 디바이스 (130) 는 자립형 디바이스일 수도 있거나 또는 IoT 디바이스들 (110-120) 중 하나, 이를테면 컴퓨터 (120) 일 수도 있다. 감독자 디바이스 (130) 는 물리적 디바이스 또는 물리적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중인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일 수도 있다. 감독자 디바이스 (130) 는 IoT 디바이스들 (110-120) 과 연관된 모니터링된 속성들, 활동들, 또는 다른 상태들에 관련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고 그것들과 연관된 속성들, 활동들, 또는 다른 상태들을 제어 또는 달리 관리하기 위해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감독자 디바이스 (130) 는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일반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고 무선 통신 시스템 (100B) 에서 상기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관찰, 모니터링, 제어, 또는 달리 관리하기 위해 다양한 유선 및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들을 지원할 수도 있다.
도 1b에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 (100B) 은 (능동적 IoT 디바이스들 (110-120) 과는 대조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 (100B) 의 부분에 커플링될 수 있거나 또는 달리 무선 통신 시스템 (100B) 의 부분이 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수동적 IoT 디바이스들 (105) 을 포함할 수도 있다. 대체로, 수동적 IoT 디바이스들 (105) 은 바코드식 디바이스들, 블루투스 디바이스들, 무선 주파수 (RF) 디바이스들, RFID 태그식 디바이스들, 적외선 (IR) 디바이스들, NFC 태그식 디바이스들, 또는 단거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조회 (query) 될 경우 자신의 식별자 및 속성들을 다른 디바이스에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능동적 IoT 디바이스들은 수동적 IoT 디바이스들의 속성들에서의 변경들을 검출, 저장, 통신 및 그 변경들에 따른 작용 등을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동적 IoT 디바이스들 (105) 은 RFID 태그 또는 바코드를 각각이 갖는 커피 잔 및 오렌지 쥬스 용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커피 잔 및/또는 오렌지 쥬스 용기 수동적 IoT 디바이스들 (105) 이 추가 또는 제거되었을 경우를 검출하기 위해 RFID 태그 또는 바코드를 판독할 수 있는 적절한 스캐너 또는 판독기를 캐비넷 IoT 디바이스와 냉장고 IoT 디바이스 (116) 가 각각 가질 수도 있다. 캐비넷 IoT 디바이스가 커피 잔 수동적 IoT 디바이스 (105) 의 제거를 검출하는 것과 냉장고 IoT 디바이스 (116) 가 오렌지 쥬스 용기 수동적 IoT 디바이스의 제거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감독자 디바이스 (130) 는 캐비넷 IoT 디바이스 및 냉장고 IoT 디바이스 (116) 에서 검출된 활동들에 관련한 하나 이상의 신호들을 수신할 수도 있다. 감독자 디바이스 (130) 는 그 다음에 사용자가 오렌지 쥬스를 커피 잔으로 마시고 있다고 그리고/또는 오렌지 쥬스를 커피 잔으로 마실 가능성이 있다고 유추할 수도 있다.
비록 전술한 바가 RFID 태그 또는 바코드 통신 인터페이스의 일부 형태를 갖는 것으로서 수동적 IoT 디바이스들 (105) 을 설명하지만, 수동적 IoT 디바이스들 (105) 은 이러한 통신 능력들을 갖지 않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 또는 다른 물리적 개체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IoT 디바이스들은 수동적 IoT 디바이스들 (105) 을 식별하기 위해 수동적 IoT 디바이스들 (105) 과 연관된 형상들, 사이즈들, 컬러들, 및/또는 다른 관찰가능 특징들을 검출할 수 있는 적절한 스캐너 또는 판독기 메커니즘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런 방식으로, 임의의 적합한 물리적 개체는 자신의 아이덴티티 및 속성들을 통신할 수도 있고, 무선 통신 시스템 (100B) 의 부분이 될 수도 있고, 감독자 디바이스 (130) 로 관찰, 모니터링, 제어, 또는 달리 관리될 수도 있다. 게다가, 수동적 IoT 디바이스들 (105) 은 도 1a의 무선 통신 시스템 (100A) 의 부분에 커플링될 수도 있거나 또는 상기 부분이 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유사한 방식으로 관찰, 모니터링, 제어, 또는 달리 관리될 수도 있다.
본 개시물의 다른 양태에 따라, 도 1c는 복수의 IoT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 (100C) 의 하이레벨 아키텍처를 예시한다. 대체로, 도 1c에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 (100C) 은 위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되었던 각각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들 (100A 및 100B) 과는 동일한 및/또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처럼, 설명의 간결함 및 편의를 위해, 도 1c에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 (100C) 에서의 특정한 컴포넌트들에 관련한 다양한 세부사항들은 동일한 또는 유사한 세부사항들이 도 1a 및 도 1b에 예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들 (100A 및 100B) 에 관련하여 위에서 이미 제공되었던 결과로 여기서는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c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 (100C) 은 IoT 디바이스들 (110-118) 및 감독자 디바이스 (130) 간의 예시적인 피어 투 피어 통신들을 도시한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독자 디바이스 (130) 는 IoT 감독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IoT 디바이스들 (110-118) 의 각각과 통신한다. 게다가, IoT 디바이스들 (110 및 114), IoT 디바이스들 (112, 114, 및 116), 및 IoT 디바이스들 (116 및 118) 은 서로 직접적으로 통신한다.
IoT 디바이스들 (110-118) 은 IoT 그룹 (160) 을 구성한다. IoT 디바이스 그룹 (160) 이 사용자의 홈 네트워크에 접속된 IoT 디바이스들과 같은 논리적으로 연결된 IoT 디바이스들의 그룹이다.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다수의 IoT 디바이스 그룹들은 서로에게 접속될 수도 있고 및/또는 인터넷 (175) 에 접속된 IoT 슈퍼에이전트 (140) 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도 있다. 하이 레벨에서, 감독자 디바이스 (130) 는 그룹 내 통신들을 관리하는 반면, IoT 슈퍼에이전트 (140) 는 그룹 간 통신들을 관리할 수 있다. 비록 별개의 디바이스들로서 도시되었지만, 감독자 디바이스 (130) 와 IoT 슈퍼에이전트 (140) 는 동일한 디바이스 (예컨대, 자립형 디바이스 또는 IoT 디바이스, 이를테면 도 1a에서의 컴퓨터 (120)) 일 수도 있거나, 또는 그런 디바이스 상에 존재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 IoT 슈퍼에이전트 (140) 는 액세스 포인트 (125) 의 기능에 해당할 수도 있거나 또는 그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대체예로서, IoT 슈퍼에이전트 (140) 는 IoT 서버, 이를테면 IoT 서버 (170) 의 기능에 해당할 수도 있거나 또는 그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IoT 슈퍼에이전트 (140) 는 게이트웨이 기능 (145) 을 캡슐화할 수도 있다.
각각의 IoT 디바이스 (110-118) 는 감독자 디바이스 (130) 를 피어로서 취급할 수 있고 속성/스키마 업데이트들을 감독자 디바이스 (130) 로 송신할 수 있다. IoT 디바이스가 다른 IoT 디바이스와 통신할 것을 필요로 하는 경우, 그 IoT 디바이스는 감독자 디바이스 (130) 로부터 당해 IoT 디바이스에 대한 포인터를 요청한 다음 피어로서의 타겟 IoT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IoT 디바이스들 (110-118) 은 공통 메시징 프로토콜 (common messaging protocol, CMP) 을 사용하여 피어 투 피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통신한다. 2 개의 IoT 디바이스들이 CMP 가능식이고 공통 통신 전송을 통해 서로 접속되는 한, 그 IoT 디바이스들은 서로 통신할 수 있다. 프로토콜 스택에서, CMP 계층 (154) 은 애플리케이션 계층 (152) 아래에 있고 전송 계층 (156) 및 물리 계층 (158) 위에 있다.
본 개시물의 다른 양태에 따라, 도 1d는 복수의 IoT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 (100D) 의 하이레벨 아키텍처를 예시한다. 대체로, 도 1d에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 (100D) 은 위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되었던 각각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들 (100A 내지 100C) 과는 동일한 및/또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처럼, 설명의 간결함 및 편의를 위해, 도 1d에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 (100D) 에서의 특정한 컴포넌트들에 관련한 다양한 세부사항들은 동일한 또는 유사한 세부사항들이 도 1a 내지 도 1c에 예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들 (100A 내지 100C) 에 관련하여 위에서 이미 제공되었던 결과로 여기서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인터넷 (175) 은 IoT의 개념을 사용하여 통제될 수 있는 "자원"이다. 그러나, 인터넷 (175) 은 통제되는 자원의 단지 하나의 예이고, 임의의 자원이 IoT의 개념을 사용하여 통제될 수 있다. 통제될 수 있는 다른 자원들은, 전기, 가스, 저장소, 보안 등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한다. IoT 디바이스가 자원에 접속되어서 그 자원을 통제할 수도 있거나, 또는 그 자원은 인터넷 (175) 을 통해 통제될 수 있다. 도 1d는 인터넷 (175) 에 부가하여 및/또는 그 인터넷을 통해 통제될 수 있는 여러 자원들 (180), 이를테면 천연 가스, 가솔린, 온수, 및 전기를 예시한다.
IoT 디바이스들은 자신들의 자원 (180) 의 사용을 통제하기 위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스터, 컴퓨터, 및 헤어드라이어와 같은 IoT 디바이스들은 자신들의 전기 (자원 (180)) 사용을 통제하기 위해 블루투스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데스크톱 컴퓨터, 전화기, 및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IoT 디바이스들은 자신들의 인터넷 (175) (자원 (180)) 에 대한 액세스를 통제하기 위해 Wi-Fi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스토브, 의류 건조기, 및 온수기와 같은 IoT 디바이스들은 그것들의 가스 사용을 통제하기 위해 Wi-Fi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 또는 덧붙여, 각각의 IoT 디바이스는 IoT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자신들의 자원 (180) 사용을 통제하는 로직을 갖는 IoT 서버, 이를테면 IoT 서버 (170) 에 접속될 수도 있다.
본 개시물의 다른 양태에 따라, 도 1e는 복수의 IoT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 (100E) 의 하이레벨 아키텍처를 예시한다. 대체로, 도 1e에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 (100E) 은 위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되었던 각각 도 1a 내지 도 1d에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들 (100A 내지 100D) 과는 동일한 및/또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처럼, 설명의 간결함 및 편의를 위해, 도 1e에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 (100E) 에서의 특정한 컴포넌트들에 관련한 다양한 세부사항들은 동일한 또는 유사한 세부사항들이 도 1a 내지 도 1d에 예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들 (100A 내지 100D) 에 관련하여 위에서 이미 제공되었던 결과로 여기서는 생략될 수도 있다.
통신 시스템 (100E) 은 2 개의 IoT 디바이스 그룹들 (160A 및 160B) 을 포함한다. 다수의 IoT 디바이스 그룹들은 서로에게 접속될 수도 있고 및/또는 인터넷 (175) 에 접속된 IoT 슈퍼에이전트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도 있다. 하이 레벨에서, IoT 슈퍼에이전트가 IoT 디바이스 그룹들 간에 그룹 간 통신들을 관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e에서, IoT 디바이스 그룹 (160A) 은 IoT 디바이스들 (116A, 122A, 및 124A) 과 IoT 슈퍼에이전트 (140A) 를 포함하는 한편, IoT 디바이스 그룹 (160B) 은 IoT 디바이스들 (116B, 122B, 및 124B) 과 IoT 슈퍼에이전트 (140B) 를 포함한다. 이처럼, IoT 슈퍼에이전트들 (140A 및 140B) 은 인터넷 (175) 에 접속하고 인터넷 (175) 을 통해 서로 통신할 수도 있고 및/또는 IoT 디바이스 그룹들 (160A 및 160B) 간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서로 직접 통신할 수도 있다. 더욱이, 비록 도 1e는 IoT 슈퍼에이전트들 (140A 및 140B) 을 통해 서로 통신하는 2 개의 IoT 디바이스 그룹들 (160A 및 160B) 을 예시하지만, 당업자들은 임의의 수의 IoT 디바이스 그룹들이 IoT 슈퍼에이전트들을 사용하여 서로 적절히 통신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e에 각각 도시된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들 (100A-100E) 에서, IoT 서버 (170) 및/또는 감독자 디바이스 (130) 는 IoT 디바이스 그룹들 (160) 내에서 및/또는 중에서 협업 지능 및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예컨대, IoT 디바이스 그룹들 (169) 에서의 IoT 디바이스들 (110-120) 및/또는 수동적 IoT 디바이스들 (105) 간에 공유될 수도 있는 다양한 자원들 (180) 과 연관된 사용량을 제어하기 위해) 다양한 IoT 디바이스들 (110-120) 및/또는 수동적 IoT 디바이스들 (105) 을 하나 이상의 소형 및 관련 IoT 디바이스 그룹들 (160) 로 편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IoT 서버 (170) 및/또는 감독자 디바이스 (130) 는 무선 통신 시스템들 (100A-100E) 에서의 각각의 IoT 디바이스 (110-120) 및/또는 수동적 IoT 디바이스 (105) 를 디바이스 특정 전역 고유 식별자 (예컨대, D_GUID) 및 그룹 특정 전역 고유 식별자 (예컨대, G_GUID) 로 나타낼 수 있고 추가로 무선 통신 시스템들 (100A-100E) 에서의 공유된 각각의 자원 (180) 을 자원 특정 전역 고유 식별자 (예컨대, R_GUID) 로 나타낼 수 있는 분산 네트워크 서비스 (예컨대, 클라우드 서비스) 를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D_GUID들, G_GUID들, 및 R_GUID들은 IoT 디바이스 그룹 (160) 내에서 및/또는 상이한 IoT 디바이스 그룹들 (160) 간에 자원들 (180) 의 공유를 제어 또는 아니면 조정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a 내지 도 1e에 도시된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들 (100A-100E) 에서, IoT 서버 (170) 및/또는 감독자 디바이스 (130) 에는 다양한 IoT 디바이스들 (110-120) 및/또는 수동적 IoT 디바이스들 (105) 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D_GUID들이 준비될 수도 있다. 덧붙여, 새로운 디바이스가 파워 업되거나 또는 달리 IoT 네트워크에 접속한 후에 IoT 서버 (170) 및/또는 감독자 디바이스 (130) 에 등록됨에 응답하여, 새로운 디바이스가 도달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새로운 D_GUID가 새로운 디바이스에 할당될 수도 있고 다양한 속성들 (예컨대, 설명, 로케이션, 유형 등) 이 새로운 디바이스에 할당된 D_GUID 와 연관될 수도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IoT 서버 (170) 및/또는 감독자 디바이스 (130) 에는 IoT 네트워크 내의 공유된 자원들 (180) 에 대응하고 디바이스들이 동작하거나 또는 달리 상호작용하는 것이 필요할 수도 있는 R_GUID들이 추가로 준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자원들 (180) 은 로케이션, 가정 (household), 또는 자원들 (180) 과 연관된 다른 적합한 속성들에 따라 콘텍스트 내에서 고유하게 식별될 수도 있는 물, 전기, 햇빛, 도로, 식품,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자원 (180) 을 일반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더욱이, IoT 서버 (170) 및/또는 감독자 디바이스 (130) 에는, 함께 작업하는 각각의 IoT 디바이스 그룹 (160) 을 나타내는 G_GUID들이 준비될 수도 있다 (예컨대, 가정에서, 잔디 스프링클러, 온수기, 냉장고, 욕조 등이 공유된 수자원들 (180) 상에서 모두가 동작할 수도 있다). G_GUID들은 IoT 디바이스 그룹 (160) (예컨대, 가정, 로케이션, 소유자 등) 및 그 속에서 공유되는 자원들 (180) 과 연관된 콘텍스트를 정의하는 다양한 속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IoT 서버 (170) 및/또는 감독자 디바이스 (130) 에는, 그것들이 할당되는 IoT 디바이스 그룹들 (160), 그 속에서 공유되는 자원들 (180), 및 자원들 (180) 에 대한 경합 액세스를 제어하는 임의의 정책들 외에, 다양한 IoT 디바이스들 (110-120) 및 수동적 IoT 디바이스들 (105) 간의 계층구조들, 랭킹들, 우선순위들, 또는 다른 관계들을 정의하는 다양한 정책들이 추가로 준비될 수도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다양한 D_GUID들, G_GUID들, R_GUID들, 및 정책들을 갖는 적절히 준비된 IoT 서버 (170) 및/또는 감독자 디바이스 (130) 를 가짐에 응답하여, IoT 서버 (170) 및/또는 감독자 디바이스 (130) 는 그 다음에 다양한 IoT 디바이스 그룹들 (160) 과 그것들에 의해 공유되는 다양한 자원들 (180) 을 발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R_GUID에는 특정한 공유된 자원 (180) 에 대한 액세스를 요청하는 디바이스들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D_GUID들이 정적으로 준비 또는 달리 연관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특정한 공유된 자원 (180) 에 액세스하기 원하는 디바이스가 그것과 연관된 로케이션, 설명, 또는 다른 적합한 속성들에 기초하여 IoT 서버 (170) 및/또는 감독자 디바이스 (130) 에 조회할 수도 있고 그 다비이스는 그 다음에 IoT 서버 (170) 및/또는 감독자 디바이스 (130) 가 그 디바이스에게 반환하는 리스트로부터 적절한 자원 (180) 을 선택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자원들 (180) 에는 RFID, 바 코드, 또는 IoT 디바이스들 (110-120) 이 자원들 (180) 을 동적으로 발견하기 위하여 판독할 수 있는 다른 적합한 데이터가 태깅될 수도 있다. 더욱이,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IoT 서버 (170) 및/또는 감독자 디바이스 (130) 는 적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입력된 정보 또는 콘텍스트에 기초하여 IoT 디바이스 그룹들 (160) 을 발견하는 조회 메커니즘을 채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2 개의 IoT 디바이스 그룹들 (160) 과 연관된 소유자들은 2 개의 IoT 디바이스 그룹들 (160) 간의 상호작용을 개시하기 위해 G_GUID들을 교환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IoT 서버 (170) 및/또는 감독자 디바이스 (130) 에게 준비된 허가 (permissions), 규칙들, 또는 다른 정책들에 기초하여, 둘 이상의 IoT 디바이스 그룹들 (160) 은 둘 이상의 IoT 디바이스 그룹들 (160) 이 각각의 IoT 디바이스 그룹 내의 공유된 자원들을 사용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병합될 수도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그 속에서 공유되는 적절히 형성된 다양한 IoT 디바이스 그룹들 (160) 을 가짐에 응답하여 (예컨대, 그 속에서 공유되는 다양한 자원들 (180), IoT 디바이스들 (110-120) 간의 모니터링되는 상호작용들 등에 기초하여), 다양한 IoT 디바이스 그룹들 (160) 내의 IoT 디바이스들 (110-120) 은 계획된 상태 전환들에 관한 결정들을 하기 위해 협업 방식으로 서로 통신할 수도 있다. 특히, 위에서 언급했듯이, 각각의 IoT 디바이스 그룹 (160) 에서의 다양한 IoT 디바이스들 (110-120) 은 상호의존적일 수도 있어서, 하나의 IoT 디바이스 (110-120) 가 계획한 결정이 IoT 디바이스 그룹 (160) 에서의 다른 IoT 디바이스들 (110-120) 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따라서, IoT 디바이스 (110-120) 가 (예컨대, 상태를 전환하거나 또는 다른 액션을 개시하는) 특정한 결정을 계획함에 응답하여, IoT 디바이스 그룹 (160) 에서의 IoT 디바이스들 (110-120) 은 계획된 결정에 대해 액션을 취하기 전에 분산 지능을 사용하여 협업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추천 요청 메시지가 IoT 디바이스 그룹 (160) 에서의 다른 IoT 디바이스들 (110-120) 로 전송될 수도 있는데, IoT 디바이스 그룹 (160) 에서의 다른 IoT 디바이스들 (110-120) 은 IoT 디바이스 그룹 (160) 내의 관계들을 분석하여 계획된 결정과 연관된 잠재적 영향들을 평가함으로써 추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결정할 수도 있으며, 결정된 응답은 계획된 결정이 승인되는지 또는 불승인되는지를 나타내는 추천 요청 메시지를 송신했던 IoT 디바이스 (110-120) 로 송신될 수도 있다. 다른 IoT 디바이스들 (110-120) 로부터 수신된 추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들에 기초하여, 결정을 계획했던 IoT 디바이스 (110-120) 는 그 다음에 계획된 결정에 대해 액션을 개시할 것인지의 여부를 적절하게 결정할 수도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IoT 디바이스 그룹 (160) 내의 다양한 IoT 디바이스들 (110-120) 은 특정한 결정들을 계획할지의 여부, 특정한 상태들 간을 전환할지의 여부, 또는 달리 특정한 액션들을 개시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적합한 로컬 의사결정 알고리즘들을 추종할 수도 있는데, 특정한 결정을 계획하는 IoT 디바이스 (110-120) 는 특정 IoT 디바이스 (110-120) 가 개시할 것을 계획한 액션을 나타내는 추천 요청 메시지를 액션을 실제로 개시하기 전에 IoT 디바이스 그룹 (160) 에서의 다른 IoT 디바이스들 (110-120) 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IoT 디바이스 (110-120) 는 그 다음에 IoT 디바이스 그룹 (160) 에서의 다른 IoT 디바이스들 (110-120) 이 당해 결정에 찬성하거나 또는 반대하는 적절한 추천들로 응답할 것을 예상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IoT 디바이스 그룹 (160) 에서의 각각의 IoT 디바이스 (110-120) 는 IoT 디바이스 그룹 (160) 에서의 다른 IoT 디바이스들 (110-120) 과의 다양한 상호의존성들을 정의하는 관계 트리를 유지할 수도 있는데, 추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특정 IoT 디바이스 (110-120) 는 추천 요청 메시지에서 나타내어진 결정으로부터 초래될 수도 있는 임의의 잠재적 영향들을 평가하기 위해 관계 트리를 체크할 수도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추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각각의 IoT 디바이스 (110-120) 는 응답하는 IoT 디바이스 (110-120) 가 추천 요청 메시지에서 나타내어진 결정을 승인하거나 또는 불승인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승인 또는 불승인 메시지로 응답할 수도 있거나, 또는 IoT 디바이스 그룹 (160) 에서의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들 (110-120) 은 다르게는 추천 요청 메시지를 무시할 수도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추천 요청 메시지를 전송했던 IoT 디바이스 (110-120) 는 그 다음에 IoT 디바이스 그룹 (160) 에서의 다른 IoT 디바이스들 (110-120) 로부터 수신된 임의의 승인 또는 불승인 응답 메시지들을 (예컨대, 합리적인 시구간 내에) 분석하고 추천 요청 메시지에서 나타내어진 액션을 개시할지의 여부를 적절하게 결정할 수도 있다.
더욱이,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IoT 디바이스 그룹 (160) 에서의 IoT 디바이스들 (110-120) 은 비요청 추천들을 IoT 디바이스 그룹 (160) 에서의 다른 IoT 디바이스들 (110-120) 에게 (예컨대, 현재 상태에 기초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IoT 디바이스 (110-120) 가 특정한 자원 (180) 을 이용하는 현재 상태를 가짐 (예컨대, 샤워기 IoT 디바이스가 사용중 상태를 가짐) 에 응답하여, IoT 디바이스 (110-120) 는, 자원 (180) 과 연관된 현재 이용 상태에 악영향을 주거나 또는 달리 간섭할 수도 있는 임의의 액션들을 취하지 않을 (예컨대, 샤워기에서의 수온에 악영향을 줄 수도 있는 방식으로 온수 또는 냉수 사용량을 갑자기 변경시키지 않을) 것 또는 동일한 자원 (180) 을 이용하지 않을 것을 IoT 디바이스 그룹 (160) 에서의 다른 IoT 디바이스들 (110-120) 에게 지시하는 비요청 추천을 전송할 수도 있다.
도 2a는 본 개시물의 양태들에 따른 IoT 디바이스 (200A) 의 하이레벨 예를 도시한다. 외부 외관들 및/또는 내부 컴포넌트들이 IoT 디바이스들 간에 상당히 상이하지만, 대부분의 IoT 디바이스들은 어떤 종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질 것이며, 이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디스플레이와 사용자 입력을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없는 IoT 디바이스들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이를테면 도 1a 도 1b에서의 에어 인터페이스 (108) 를 통해 원격으로 통신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IoT 디바이스 (200A) 에 대한 일 구성예에서, IoT 디바이스 (200A) 의 외부 케이싱이 당해 분야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다른 컴포넌트들도 있지만 그 중에서도, 디스플레이 (226), 전원 버튼 (222), 및 2 개의 제어 버튼들 (224A 및 224B) 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226) 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일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제어 버튼들 (224A 및 224B) 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비록 IoT 디바이스 (200A) 의 부분으로서 명시적으로 도시되진 않았지만, IoT 디바이스 (200A) 는 Wi-Fi 안테나들, 셀룰러 안테나들, 위성 포지션 시스템 (SPS) 안테나들 (예컨대, 위성 포지셔닝 시스템 (GPS) 안테나들) 등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외부 안테나들 및/또는 외부 케이싱에 내장된 하나 이상의 통합형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비록 IoT 디바이스들, 이를테면 IoT 디바이스 (200A) 의 내부 컴포넌트들이 상이한 하드웨어 구성들로 실시될 수 있지만, 내부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에 대한 기본 하이레벨 구성은 도 2a에서의 플랫폼 (202) 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플랫폼 (202) 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이를테면 도 1a와 도 1b에서의 에어 인터페이스 (108) 및/또는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데이터 및/또는 커맨드들을 수신 및 실행할 수 있다. 플랫폼 (202) 은 국소적으로 저장된 애플리케이션들을 또한 독립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플랫폼 (202) 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208), 이를테면 프로세서 (208) 라고 일반적으로 지칭될 마이크로제어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집적회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프로그램가능 로직 회로, 또는 다른 데이터 프로세싱 디바이스에 동작적으로 커플링된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하나 이상의 트랜시버들 (206) (예컨대, Wi-Fi 트랜시버, 블루투스 트랜시버, 셀룰러 트랜시버, 위성 트랜시버, GPS 또는 SPS 수신기 등) 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208) 는 IoT 디바이스의 메모리 (212) 내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명령들을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 (212) 는 판독 전용 메모리 (ROM)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 프로그래밍가능 ROM (EEPROM), 플래시 카드들, 또는 컴퓨터 플랫폼들에 공통인 임의의 메모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입출력 (I/O) 인터페이스들 (214) 은 예시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226), 전원 버튼 (222), 제어 버튼들 (224A 및 224B) 과 같은 다양한 I/O 디바이스들과, IoT 디바이스 (200A) 와 연관된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들, 이를테면 센서들, 액추에이터들, 릴레이들, 밸브들, 스위치들 등과 프로세서 (208) 가 통신하고 그것들을 제어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양태가 본원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능력을 포함하는 IoT 디바이스 (예컨대, IoT 디바이스 (200A)) 를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바와 같이, 다양한 로직 엘리먼트들은 개별 엘리먼트들, 프로세서 (예컨대, 프로세서 (208)) 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들 또는 본원에 개시된 기능을 달성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임의의 조합으로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랜시버 (206), 프로세서 (208), 메모리 (212), I/O 인터페이스 (214) 는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기능들을 로드, 저장 및 실행하는데 모두가 협업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그래서 이러한 기능들을 수행하는 로직은 다양한 엘리먼트들에 전체에 걸쳐 분산될 수도 있다. 대안으로, 그 기능은 하나의 개별 컴포넌트에 통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도 2a의 IoT 디바이스 (200) 의 특징부 (feature) 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것이고 본 개시물은 예시된 특징부들 또는 배치구성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2b는 본 개시물의 양태들에 따른 수동적 IoT 디바이스 (200B) 의 하이레벨 예를 도시한다. 대체로, 도 2b에 도시된 수동적 IoT 디바이스 (200B) 는 위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되었던 도 2a에 도시된 IoT 디바이스 (200A) 와는 동일한 및/또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처럼, 설명의 간결함 및 편의를 위해, 도 2b에 도시된 수동적 IoT 디바이스 (200B) 에서의 특정한 컴포넌트들에 관련한 다양한 세부사항들은 동일한 또는 유사한 세부사항들이 도 2a에 예시된 IoT 디바이스 (200A) 에 관련하여 위에서 이미 제공되었던 결과로 여기서는 생략될 수도 있다.
도 2b에 도시된 수동적 IoT 디바이스 (200B) 는 수동적 IoT 디바이스 (200B) 가 프로세서, 내부 메모리, 또는 특정한 다른 컴포넌트들을 갖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에서 도 2a에 도시된 IoT 디바이스 (200A) 와는 일반적으로 상이할 수도 있다. 대신,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수동적 IoT 디바이스 (200B) 는 수동적 IoT 디바이스 (200B) 가 제어된 IoT 네트워크 내에서 관찰, 모니터링, 제어, 관리, 또는 달리 알려지는 것을 허용하는 I/O 인터페이스 (214) 또는 다른 적합한 메커니즘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수동적 IoT 디바이스 (200B) 와 연관된 I/O 인터페이스 (214) 는, 단거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조회될 경우 수동적 IoT 디바이스 (200B) 와 연관된 식별자 및 속성들을 다른 디바이스 (예컨대, 수동적 IoT 디바이스 (200B) 와 연관된 속성들에 관련한 정보를 검출, 저장, 통신, 그 정보에 작용, 또는 달리 프로세싱할 수 있는 능동적 IoT 디바이스, 이를테면 IoT 디바이스 (200A)) 로 제공할 수 있는 바코드, 블루투스 인터페이스, 무선 주파수 (RF) 인터페이스, RFID 태그, IR 인터페이스, NFC 인터페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I/O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비록 전술한 바가 일부 형태의 RF, 바코드, 또는 다른 I/O 인터페이스 (214) 를 갖는 것으로서 수동적 IoT 디바이스 (200B) 를 설명하지만, 수동적 IoT 디바이스 (200B) 는 이러한 I/O 인터페이스 (214) 를 갖지 않는 디바이스 또는 다른 물리적 개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IoT 디바이스들은 수동적 IoT 디바이스 (200B) 를 식별하기 위해 수동적 IoT 디바이스 (200B) 와 연관된 형상들, 사이즈들, 컬러들, 및/또는 다른 관찰가능 특징들을 검출할 수 있는 적절한 스캐너 또는 판독기 메커니즘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런 방식으로, 임의의 적합한 물리적 개체는 제어된 IoT 네트워크 내에서 자신의 아이덴티티 및 속성들을 통신할 수도 있고 관찰, 모니터링, 제어, 또는 달리 관리될 수도 있다.
도 3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로직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300) 를 예시한다. 통신 디바이스 (300) 는 IoT 디바이스들 (110-120), IoT 디바이스 (200A), 인터넷 (175) 에 커플링된 임의의 컴포넌트들 (예컨대, IoT 서버 (170)) 등을 포함한 위에서 언급된 통신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것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디바이스 (300) 는 도 1a와 도 1b의 무선 통신 시스템들 (100A-100E) 을 통해 하나 이상의 다른 엔티티들과 통신하도록 (또는 통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임의의 전자 디바이스에 해당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통신 디바이스 (300) 는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05) 을 포함한다. 일 예에서, 통신 디바이스 (300) 가 무선 통신 디바이스 (예컨대, IoT 디바이스 (200A) 및/또는 수동적 IoT 디바이스 (200B)) 에 해당한다면,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05) 은 무선 트랜시버와 같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예컨대, 블루투스, Wi-Fi, Wi-Fi 다이렉트, LTE (Long-Term Evolution) 다이렉트 등) 및 연관된 하드웨어 (예컨대, RF 안테나, 모뎀, 변조기 및/또는 복조기 등) 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05) 은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 (예컨대, 직렬 접속, USB 또는 파이어와이어 (Firewire) 접속, 인터넷 (175) 이 액세스될 수 있는 이더넷 접속 등) 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디바이스 (300) 가 어떤 유형의 네트워크 기반 서버 (예컨대, 애플리케이션 (170)) 에 해당한다면,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05) 은, 일 예에서, 네트워크 기반 서버를 이더넷 프로토콜을 통해 다른 통신 엔티티들에 접속시키는 이더넷 카드에 해당할 수 있다. 추가의 예에서,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05) 은 통신 디바이스 (300) 가 자신의 로컬 환경을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하는 감지 (sensory) 또는 측정 하드웨어 (예컨대, 가속도계, 온도 센서, 광 센서, 로컬 RF 신호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안테나 등) 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05) 은, 실행되는 경우,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05) 의 연관된 하드웨어가 자신의 수신 및/또는 송신 기능(들)을 수행하는 것을 허용하는 소프트웨어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05) 은 소프트웨어에 단독으로 대응하지 않고,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05) 은 자신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하드웨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의존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통신 디바이스 (300) 는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310) 을 더 포함한다. 일 예에서,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310) 은 적어도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310) 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세싱 유형의 구현예들은, 결정들을 수행하는 것, 접속들을 확립하는 것, 상이한 정보 옵션들 간에 선택들을 하는 것, 데이터에 관련된 평가들을 수행하는 것, 측정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통신 디바이스 (300) 에 커플링된 센서들과 상호작용하는 것, 하나의 포맷에서부터 다른 포맷으로 (예컨대, .wmv 내지 .avi 등과 같은 상이한 프로토콜들 간에) 정보를 변환하는 것 등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정보를 포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310) 에 포함된 프로세서는, 본원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범용 프로세서, DSP, ASIC,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개별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그것들의 임의의 조합에 해당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가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체예에서, 그 프로세서는 기존의 임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 (state machine) 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가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컨대,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DSP 코어와 협력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 으로 또한 구현될 수도 있다.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310) 은, 실행되는 경우, 자신의 프로세싱 기능(들)을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310) 의 연관된 하드웨어가 수행하는 것을 허용하는 소프트웨어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310) 은 소프트웨어에 단독으로 대응하지 않고,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310) 은 자신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하드웨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의존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통신 디바이스 (300) 는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 (315) 을 더 포함한다. 일 예에서,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 (315) 은 적어도 비일시적 메모리 및 연관된 하드웨어 (예컨대, 메모리 제어기 등) 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 (315) 에 포함된 비일시적 메모리는 RAM, 플래시 메모리, ROM, 소거가능 프로그램가능 ROM (EPROM), EEPROM,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착탈식 디스크, CD-ROM, 또는 당해 분야에서 알려진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해당할 수 있다.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 (315) 은, 실행되는 경우, 자신의 저장 기능(들)을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 (315) 의 연관된 하드웨어가 수행하는 것을 허용하는 소프트웨어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 (315) 은 소프트웨어에 단독으로 대응하지 않고,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 (315) 은 자신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하드웨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의존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통신 디바이스 (300) 는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로직 (320) 을 옵션으로 더 포함한다. 일 예에서,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로직 (320) 은 적어도 출력 디바이스 및 연관된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디바이스는, 비디오 출력 디바이스 (예컨대, 디스플레이 스크린, USB, HDMI 등과 같이 비디오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포트),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 (예컨대, 스피커들, 마이크로폰 잭, USB, HDMI 등과 같이 오디오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포트), 진동 디바이스 및/또는 정보가 통신 디바이스 (300) 의 사용자 또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실제로 출력될 수 있거나 또는 출력을 위해 포맷팅될 수 있게 하는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디바이스 (300) 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IoT 디바이스 (200A) 및/또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동적 IoT 디바이스 (200B) 에 해당한다면,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로직 (320) 은 디스플레이 (226) 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예에서,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로직 (320) 은 로컬 사용자를 갖지 않는 특정한 통신 디바이스들, 이를테면 네트워크 통신 디바이스들 (예컨대, 네트워크 스위치들 또는 라우터들, 원격 서버들 등) 에 대해 생략될 수 있다.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로직 (320) 은, 실행되는 경우, 자신의 제시 기능(들)을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로직 (320) 의 연관된 하드웨어가 수행하는 것을 허용하는 소프트웨어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로직 (320) 은 소프트웨어에 단독으로 대응하지 않고,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로직 (320) 은 자신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하드웨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의존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통신 디바이스 (300) 는 로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25) 을 옵션으로 더 포함한다. 일 예에서, 로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25) 은 적어도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 및 연관된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는 버튼들,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키보드, 카메라, 오디오 입력 디바이스 (예컨대, 마이크로폰 또는 마이크로폰 잭 등과 같이 오디오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포트), 및/또는 정보가 통신 디바이스 (300) 의 사용자 또는 오퍼레이터로부터 수신될 수 있게 하는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디바이스 (300) 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IoT 디바이스 (200A) 및/또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동적 IoT 디바이스 (200B) 에 해당한다면, 로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25) 은 버튼들 (222, 224A, 및 224B), (터치스크린이면) 디스플레이 (22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예에서, 로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25) 은 로컬 사용자를 갖지 않는 특정한 통신 디바이스들, 이를테면 네트워크 통신 디바이스들 (예컨대, 네트워크 스위치들 또는 라우터들, 원격 서버들 등) 에 대해 생략될 수 있다. 로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25) 은, 실행되는 경우, 자신의 입력 수신 기능(들)을 로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25) 의 연관된 하드웨어가 수행하는 것을 허용하는 소프트웨어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로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25) 은 소프트웨어에 단독으로 대응하지 않고, 로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25) 은 자신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하드웨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의존한다.
도 3을 참조하면, 305 내지 325의 구성된 로직들은 도 3에서 별개의 또는 전혀 다른 블록들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개별 구성된 로직이 자신의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는 부분적으로 중복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305 내지 325의 구성된 로직들의 기능을 용이하게 하는데 사용되는 임의의 소프트웨어가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 (315) 과 연관된 비일시적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어서, 305 내지 325의 구성된 로직들 각각은 그 기능 (즉, 이 경우, 소프트웨어 실행) 을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 (315) 에 의해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동작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수행한다. 비슷하게, 구성된 로직들 중 하나에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하드웨어는 다른 구성된 로직들에 의해 가끔 차용되거나 또는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310) 의 프로세서는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05) 에 의해 송신되기 전에 데이터를 적절한 포맷으로 포맷팅할 수 있어서,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05) 은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310) 과 연관된 하드웨어 (즉, 프로세서) 의 동작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자신의 기능 (즉, 이 경우, 데이터의 송신) 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명시적으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본 개시물 전체에 걸쳐 사용된 바와 같은 "하도록 구성된 로직"이란 어구는 하드웨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되는 일 양태를 언급하도록 의도되고, 하드웨어와는 독립적인 소프트웨어 전용 구현예들에 매핑하도록 의도되진 않는다. 또한, 다양한 블록들에서의 구성된 로직 또는 "하도록 구성된 로직"은 특정 로직 게이트들 또는 엘리먼트들로 제한되지 않고, 본원에서 설명된 기능을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수행하는 능력을 일반적으로 지칭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다양한 블록들에서 예시된 바와 같은 구성된 로직들 또는 "하도록 구성된 로직"은 단어 "로직"을 공유함에도 불구하고 로직 게이트들 또는 로직 엘리먼트들로서 반드시 구현되지는 않는다. 다양한 블록들에서의 로직 간의 다른 상호작용들 또는 협력은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양태들의 관점에서 당업자에게 명확할 것이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은 다양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서버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것, 이를테면 도 4에 예시된 서버 (400) 상에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예에서, 서버 (400) 는 위에서 설명된 IoT 서버 (170) 의 하나의 구성예에 해당할 수도 있다. 도 4에서, 서버 (400) 는 휘발성 메모리 (402) 와 대용량 비휘발성 메모리, 이를테면 디스크 드라이브 (403) 에 커플링된 프로세서 (401) 를 구비한다. 서버 (400) 는 프로세서 (401) 에 커플링된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콤팩트 디스크 (CD) 또는 DVD 디스크 드라이브 (406) 를 또한 구비할 수도 있다. 서버 (400) 는 다른 브로드캐스트 시스템 컴퓨터들 및 서버들에 커플링된 또는 인터넷에 커플링된 로컬 영역 네트워크와 같은 네트워크 (407) 와의 데이터 접속들을 확립하기 위해 프로세서 (401) 에 네트워크 액세스 포트들 (404) 을 또한 구비할 수도 있다. 도 3의 맥락에서, 도 4의 서버 (400) 가 통신 디바이스 (300) 의 하나의 구현예를 예시함으로써, 정보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05) 은 네트워크 (407) 와 통신하기 위해 서버 (400) 에 의해 사용되는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들 (404) 에 해당하며,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310) 은 프로세서 (401) 에 해당하고,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 (315) 은 휘발성 메모리 (402), 디스크 드라이브 (403) 및/또는 디스크 드라이브 (406) 의 임의의 조합에 해당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옵션적 로직 (320) 과 로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옵션적 로직 (325) 은 도 4에서 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고 그것에 포함되거나 또는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도 4는 통신 디바이스 (300) 가, 도 2a에서와 같은 IoT 디바이스 구현예 외에도, 서버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을 돕는다.
IP 기반 기술들 및 서비스들은 더욱 성숙해져, 단가를 낮추고 IP의 가용성을 증가시켰다. 이는 인터넷 접속성이 점점 더 많은 유형들의 일상의 전자 개체들에 추가되는 것을 허용하였다. IoT는 단지 컴퓨터들 및 컴퓨터 네트워크들만이 아닌 일상의 전자 개체들이, 인터넷을 통해 판독가능, 인식가능, 위치결정가능, 어드레싱가능, 및 제어가능할 수 있다는 아이디어에 기초하고 있다. 대체로, IoT의 개발과 증가하는 유행으로, 상이한 활동들을 수행하고 많은 상이한 방도들에서 서로 상호작용하는 것이 필요한 수많은 이종 IoT 디바이스들이 가정, 직장, 자동차, 쇼핑 센터, 및 다양한 다른 로케이션들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이처럼, 사용중 일 수도 있는 잠재적으로 많은 수의 이종 IoT 디바이스들로 인해, 개개의 IoT 디바이스들 간의 직접 통신이 사용자 요구들 및 필요들을 충족시키는데 비효율적이거나 또는 불충분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5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다양한 IoT 디바이스들은 상이한 IoT 디바이스들이 더욱 효율적으로 함께 작업하며, 상이한 IoT 디바이스들 간의 통신을 최적화하고, 효과 및 전체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그룹들로 편성되거나 또는 달리 형성될 수도 있다.
더 상세하게는,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IoT 디바이스 그룹들을 형성하고 IoT 디바이스 그룹들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예시적인 방법 (500) 이, 블록 510에서 IoT 디바이스 그룹들을 형성하는 다양한 기준을 정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는데, 블록 510에서 정의된 IoT 그룹 기준은, 특정 IoT 그룹 내의 멤버들을 순위화하는 적절한 기준을 포함하여, IoT 디바이스들을 특정한 그룹들, 또는 다른 적합한 그룹 기준으로 할당하는 메커니즘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블록 510에서 정의된 기준은 다양한 상이한 IoT 디바이스들 간에 동일한, 실질적으로 유사한, 또는 달리 관련될 수도 있는 특정한 활동들 또는 콘텍스트들을 정의할 수도 있다 (예컨대, 식기세척기들, 샤워기들, 욕조들, 온수기들, 세탁기들 등이 모두 온수를 사용할 수도 있는 한편, 텔레비전들, 블루레이 플레이어들, DVR들 등이 모두가 미디어 디바이스들로 간주될 수도 있다는 등등이다). 더욱이,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블록 510에서 정의된 기준은 범위, 지속기간, 로케이션, 또는 다른 것에서 제한될 수도 있는 특정한 동적 콘텍스트들을 정의할 수도 있다 (예컨대, 식기세척기들, 샤워기들, 욕조들, 온수기들, 세탁기들 등이 모두가 온수를 이용할 수도 있지만 특정한 시간들에서만 온수를 실제로 사용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블록 510에서 IoT 디바이스 그룹화 기준을 적절히 정의함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미리 정의된 IoT 디바이스 그룹들이 블록 520에서의 정적 기준에 기초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동일한 또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활동들을 수행하거나, 동일한 또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자원들을 이용하거나, 또는 달리 특정한 영구 공통 특성들을 갖는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들은, 영구 공통 특성들을 갖는 모든 IoT 디바이스들 간에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블록 520에서 미리 정의된 IoT 디바이스 그룹들에 지속적으로 할당될 수도 있다. 게다가,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특정한 IoT 디바이스들은, 이러한 IoT 디바이스들이 특정한 제한된 콘텍스트들에서 동일한 또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활동들을 수행하거나, 특정한 제한된 콘텍스트들에서 동일한 또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자원들을 이용하거나, 또는 달리 특정한 일시적으로 공통 특성들을 가질 수도 있을 정도까지, 블록 530에서 하나 이상의 애드-혹 IoT 디바이스 그룹들에 동적으로 할당될 수도 있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들은 동적 IoT 디바이스 그룹 형성 기준이 충족되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블록 530에서 하나 이상의 애드-혹 IoT 디바이스 그룹들에 동적으로 할당될 수도 있게 하는, 하나 이상의 동적 IoT 디바이스 그룹 형성 기준이 충족되었는지의 여부에 관한 결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블록 530에서 형성된 애드-혹 IoT 디바이스 그룹들은 특정한 시간 계속되거나, 특정한 로케이션들에서의 IoT 디바이스들을 망라하거나, 또는 달리 현재 스테이터스에 기초하여 콘텍스트를 공유하는 IoT 디바이스들을 망라하도록 정의될 수도 있다 (예컨대, 소유자 존재 동안, 온수를 사용하는 모든 IoT 디바이스들과 같이 특정한 자원들을 사용하는 IoT 디바이스들은 자동으로 온수 그룹의 부분이 될 수도 있으며, 현재 액티브인 모든 IoT 디바이스들과 같은 특정 동작 상태를 갖는 IoT 디바이스들은 비지 (busy) 그룹의 부분이 될 수도 있다는 등등이다). 따라서, 다양한 미리 정의된 IoT 디바이스 그룹들 및/또는 애드-혹 IoT 디바이스 그룹들 내의 멤버들은 각각 적합한 정적 및/또는 동적 기준에 기초하여 일반적으로 할당될 수도 있다. 다른 이점들도 있지만 무엇보다도, 미리 정의된 및 애드-혹 그룹들로의 IoT 디바이스들의 그룹화는 특정 IoT 디바이스가 특정 미리 정의된 또는 애드-혹 그룹에게, 그 그룹 내의 멤버들을 모르고서도,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에너지 미터 IoT 디바이스가 전력 그리드로부터의 적절한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애드-혹 "유휴" IoT 디바이스 그룹에게 오프라인 상태에 들어가라는 커맨드를 전송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블록 520에서의 미리 정의된 IoT 디바이스 그룹들 및/또는 블록 530에서의 동적 그룹 형성 기준을 충족시키는 임의의 애드-혹 IoT 디바이스 그룹들을 적절히 형성함에 응답하여, 형성된 IoT 디바이스 그룹들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계층구조들이 블록 540에서 정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블록 540에서 정의된 계층구조들은 각각의 그룹에서의 특정 IoT 디바이스를 그것과 연관된 소유자 또는 관리자로서 지정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블록 540에서 정의된 계층구조들은 (예컨대, 다양한 그룹화된 IoT 디바이스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며, 공통 또는 달리 유사한 활동들을 수행하며, 의존 관계들을 가지는 등의 방식에 따라) 각각의 그룹에서의 IoT 디바이스들을 순위화할 수도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블록 540에서 정의된 계층구조들은 그 다음에 블록 550에서 다양한 미리 정의된 및/또는 애드-혹 IoT 디바이스 그룹들 간에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블록 550은 다수의 IoT 디바이스 그룹들과 연관된 그룹 소유자들 또는 관리자들 (또는 특정한 IoT 디바이스 그룹들) 만이 서로 통신하는 방식으로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런 방식으로, IoT 디바이스 그룹 소유자들 또는 관리자들은 그룹간 통신만이 그룹 소유자들 또는 관리자들 간에 발생하도록 멤버 IoT 디바이스들에게 및 그 멤버 IoT 디바이스들로부터 메시지들을 중계할 수도 있다 (예컨대, 발신자 IoT 디바이스가 타겟 IoT 그룹과 연관된 주소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타겟 IoT 그룹 내의 랭킹들 또는 다른 계층구조들에 기초하여, 랭킹 관리자, 소유자, 서버, 또는 그 그룹 속의 다른 멤버는 랭킹들 또는 다른 계층적 기준에 기초하여 다른 멤버들에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계층적 그룹 통신은 블록 550에서 가능하게 될 수도 있는데, 그 블록에서 특정 그룹에서의 모든 IoT 디바이스들 중 특정한 IoT 디바이스들로 진행되는 특정한 메시지들은 그 그룹에서의 하나 이상의 랭킹 멤버들을 목표로 할 수도 있다 (예컨대, 특정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메시지가 멀티 룸 (multi-room) DVR 시스템에서의 마스터 DVR로 진행될 수도 있으며 그 마스터 DVR 시스템에서는 위성 룸들에서의 특정한 셋톱 박스들이 마스터 DVR 상에 기록된 콘텐츠를 스트리밍한다). 다른 예에서, 온수를 현재 사용하고 있는 홈에서의 모든 IoT 디바이스들은 애드-혹 온수 IoT 디바이스 그룹에 동적으로 할당될 수도 있음으로써, 애드-혹 온수 그룹에서의 IoT 디바이스들과 통신하기 원하는 임의의 IoT 디바이스는 개개의 IoT 멤버 디바이스들을 알거나 또는 달리 식별할 필요 없이 (예컨대, 메시지를 통해 그룹 소유자 또는 관리자에게) 그룹을 어드레싱할 수 있다. 더욱이,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블록 550에서 가능하게 된 IoT 그룹 통신은 피어 투 피어 통신을 포함할 수도 있다. 특히, 피어 투 피어 IoT 그룹 통신은 발신 IoT 디바이스가 타겟 IoT 그룹과 연관된 멤버들을 찾기 위해 타겟 IoT 그룹 내의 관리자 IoT 디바이스를 핑 (ping)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처럼, 발신 IoT 디바이스는 그때에 타겟 IoT 그룹 피어 투 피어에서의 멤버들과 통신할 수도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IoT 디바이스 그룹들을 적절히 형성함, IoT 디바이스 그룹들과 연관된 계층구조들을 정의함, 및 IoT 디바이스 그룹들 간에 통신을 가능하게 함에 응답하여, 방법 (500) 은 IoT 디바이스 그룹들을 관리하는 블록 520 및 블록 530으로 복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IoT 멤버 디바이스들은 블록 530에서 하나 이상의 애드-혹 IoT 디바이스 그룹들로부터 그것들과 연관된 스테이터스에서의 변경들에 응답하여 동적으로 할당 또는 제거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소유자가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특정한 IoT 디바이스가 블록 520에서 그 IoT 디바이스가 멤버였던 임의의 미리 정의된 IoT 디바이스 그룹 또는 애드-혹 IoT 디바이스 그룹으로부터 제거될 수도 있다. 더욱이,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새로운 IoT 디바이스는 현재 스테이터스 및/또는 후속하는 스테이터스에서의 변경들에 기초하여 블록 520에서 초기화 시에 하나 이상의 미리 정의된 IoT 디바이스 그룹들 그리고/또는 블록 530에서 애드-혹 IoT 디바이스 그룹들에 추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새로운 냉장고 IoT 디바이스가 초기화 시 네트워크에서의 모든 IoT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미리 정의된 IoT 그룹에 참가하고 식료품점에 통합된 주문들을 전송할 수 있는 인근의 폐쇄형 냉장고 IoT 그룹에 참가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로컬 이웃이 날씨 정보를 공유하고 동작 시간들을 조정할 수 있는 폐쇄형 스프링클러 제어기 IoT 디바이스 그룹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스프링클러 제어기 IoT 디바이스 그룹에서의 그룹 소유자 또는 다른 적합한 랭킹 멤버는 스프링클러들이 언제 및/또는 얼마 동안 동작 상태에 진입해야 하는지를 조정하기 위해 일기 예보에 가입하고 그 그룹에서의 모든 다른 멤버들에게 다가오는 일기 예보에 관해 알려줄 수도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욕조 IoT 디바이스가 특정한 시구간에 대해 (예컨대, 다음의 15 분 또는 욕조가 채워지기까지) 물이 요구될 것임을 애드-혹 온수 그룹에게 통지할 수도 있거나, 또는 욕조는 온수가 요구될 시구간 동안 애드-혹 온수 그룹에 적절히 참가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되고 위에서 상세히 설명된 방법 (500) 은 IoT 디바이스들, IoT 디바이스 그룹들, 및 IoT 디바이스들 및/또는 IoT 디바이스 그룹들 중 및 간에 공유되는 자원들을 준비 및 발견하기 위해 서버 또는 다른 적합한 관리 엔티티 상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더 상세하게는, 방법 (500) 은 다양한 IoT 디바이스들 및/또는 수동적 IoT 디바이스들을 하나 이상의 소형 및 관련 IoT 디바이스 그룹들로 편성하기 위해 수행될 수도 있는데, IoT 디바이스 그룹들로 편성된 다양한 IoT 디바이스들 및/또는 수동적 IoT 디바이스들은 그 다음에 협업적 및 지능적 방식으로 결정들을 이루기 위하여 서로 통신하여 계획된 상태 전환들 또는 다른 적합한 결정들에 관한 정보를 교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서버는 각각의 IoT 디바이스 및/또는 수동적 IoT 디바이스를 디바이스 특정 전역 고유 식별자 (예컨대, D_GUID) 로, 각각의 IoT 디바이스 그룹을 그룹 특정 전역 고유 식별자 (예컨대, G_GUID) 로, 그리고 각각의 공유된 자원을 자원-특정 전역 고유 식별자 (예컨대, R_GUID) 로 표현할 수 있는 분산 네트워크 서비스 (예컨대, 클라우드 서비스) 를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D_GUID들, G_GUID들, 및 R_GUID들은 IoT 디바이스 그룹 내에서 및/또는 상이한 IoT 디바이스 그룹들 간에 자원들의 공유를 제어 또는 아니면 조정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특히, 서버는, 특정 디바이스가 공유된 자원에 액세스할 수 있는지의 여부, 상이한 IoT 디바이스 그룹들이 서로 상호작용하고 상이한 IoT 디바이스 그룹들에서의 자원들에 액세스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지의 여부, 및 자원들과 연관된 사용량을 통제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는 허가, 규칙, 또는 다른 적합한 정책들을 정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서버는 다양한 IoT 디바이스들 및/또는 수동적 IoT 디바이스들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D_GUID들을 준비하는 방법 (500) 을 수행할 수도 있다. 덧붙여, 새로운 디바이스가 파워 업되거나 또는 달리 IoT 네트워크에 접속한 후에 서버에 등록됨에 응답하여, 새로운 디바이스가 도달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새로운 D_GUID가 새로운 디바이스에 할당될 수도 있고 다양한 속성들 (예컨대, 설명, 로케이션, 유형 등) 이 새로운 디바이스에 할당된 D_GUID 와 연관될 수도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서버는 디바이스들이 동작하기 위해 필요로 할 수도 있거나 또는 달리 디바이스가 상호작용하기 위해 필요로 할 수도 있는, IoT 네트워크 내의 공유된 자원들에 대응하는 R_GUID들을 추가로 준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자원들은 로케이션, 가정, 또는 자원들과 연관된 다른 적합한 속성들에 따라 콘텍스트 내에서 고유하게 식별될 수도 있는 물, 전기, 햇빛, 도로, 식품,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자원을 일반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더욱이, 서버는, 함께 작업하는 각각의 IoT 디바이스 그룹을 나타내는 G_GUID들을 준비할 수도 있다 (예컨대, 가정에서, 잔디 스프링클러, 온수기, 냉장고, 욕조 등이 공유된 수자원들 상에서 모두가 동작할 수도 있다). G_GUID들은 IoT 디바이스 그룹 (예컨대, 가정, 로케이션, 소유자 등) 및 그 속에서 공유되는 자원들과 연관된 콘텍스트를 정의하는 다양한 속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서버에는 다양한 IoT 디바이스들 및 수동적 IoT 디바이스들 간의 계층구조들, 랭킹들, 우선순위들, 또는 다른 관계들을 정의하는 다양한 정책들이, 그것들이 할당되는 IoT 디바이스 그룹들, 그 속에서 공유되는 자원들, 및 자원들에 대한 경합 액세스를 제어하는 임의의 정책들 외에 추가로 준비될 수도 있고, 그 다음에, 본원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협업적 및 지능적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IoT 디바이스 그룹들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개시물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르면, 도 6은 IoT 디바이스 그룹에서의 협업 지능 및 의사결정을 사용하는 예시적인 방법 (600) 을 도시하는데, 그 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방법 (500)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수법에 따라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위에서 언급했듯이, IoT 디바이스 그룹은 그 그룹에서의 특정 IoT 디바이스가 계획된 결정에 대해 액션을 취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협업 지능 및 의사결정을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상호의존적 IoT 디바이스들을 편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IoT 디바이스 그룹에서의 다양한 IoT 디바이스들이 상호의존적이기 때문에, 그 그룹 내의 하나의 IoT 디바이스가 계획하는 결정은 그 그룹에서의 다른 IoT 디바이스들에 나쁜 또는 유익한 방식으로 잠재적으로 영향을 줄 수도 있다. 따라서, 그 그룹에서의 특정 IoT 디바이스가 (예컨대, 상태를 전환하거나 또는 다른 액션을 개시하는) 특정한 결정을 계획함에 응답하여, 그 그룹에서의 다양한 IoT 디바이스들은 계획된 결정에 대해 액션을 취하기 전에 분산 지능을 사용하여 협업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결정을 계획했던 IoT 디바이스는 그 그룹에서의 다른 IoT 디바이스들에게 추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으며, 다른 IoT 디바이스들은 그 다음에 계획된 결정과 연관된 잠재적 영향들을 평가하기 위해 IoT 디바이스 그룹 내의 관계들을 분석할 수도 있다. 그 그룹에서의 다른 IoT 디바이스들은 그 다음에 계획된 결정을 승인 또는 불승인하는 메시지로 응답할 수도 있으며, 계획하는 IoT 디바이스는 그 다음에 다른 IoT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된 임의의 응답들에 기초하여 결정에 대해 액션을 취할지의 여부를 적절하게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계획된 결정을 승인 또는 불승인하는 메시지는 불 (Boolean) 응답 (예컨대, 계획된 결정을 승인하는 "예" 또는 논리적 '1' 또는 계획된 결정을 불승인하는 "아니오" 또는 논리적 '0'), 퍼지 로직 응답 (예컨대, [0:1], [-1:+1], 또는 다른 적합한 범위에 걸친 범위에서의 십진수 값, 백분율 승인 값 등), 또는 응답하는 IoT 디바이스가 추천 요청 메시지에서 나타내어진 계획된 결정을 승인 또는 불승인하는지 및/또는 그 정도 또는 그 한도를 나타낼 수도 있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응답일 수도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방법 (600) 에서, 그룹에서의 각각의 IoT 디바이스는, 개별 IoT 디바이스가 의사결정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이루어진 결정에 기초하여 상태에서의 특정한 전환 또는 다른 액션을 계획할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추종할 수도 있는 적절한 의사결정 알고리즘으로 구성 또는 달리 프로그래밍될 수도 있다. 이처럼,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IoT 디바이스 그룹에서의 임의의 적합한 IoT 디바이스는 블록 610에서 그것과 연관된 의사결정 알고리즘을 실행하고 블록 620에서 특정한 전환 (예컨대, 상태의 변경, 액션의 개시 등) 을 계획할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프린터 IoT 디바이스는 프린터 IoT 디바이스와 연관된 사용량에 의존하여 최대절전 모드 (hibernation mode), 슬립 모드, 또는 다른 저전력 상태에 진입할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블록 610에서 의사결정 알고리즘을 실행할 수도 있다. 프린터 IoT 디바이스가 블록 610에서 실행하는 의사결정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프린터 IoT 디바이스는 그 다음에 블록 620에서 저 전력 상태로의 전환을 계획할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프린터 IoT 디바이스는 프린터 IoT 디바이스가 15 분 또는 다른 적합한 시구간 동안 사용되고 있지 않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저 전력 상태로의 전환을 계획할 수도 있거나 또는 대안으로 프린터 IoT 디바이스가 정의된 시구간 내에서 사용되고 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저 전력 상태로의 전환을 계획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계획된 전환을 트리거하는 하나 이상의 기준 또는 다른 조건들이 충족되지 않았다는 블록 620에서의 IoT 디바이스의 결정에 응답하여, IoT 디바이스는 블록 610에서 계획된 전환을 트리거하는 기준 또는 다른 조건들이 충족되기까지 의사결정 알고리즘을 계속 실행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 계획된 전환을 트리거하는 기준 또는 다른 조건들이 블록 620에서 충족되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IoT 디바이스는 실제로 임의의 액션을 취하거나 또는 달리 계획된 전환을 이루기 전에 블록 630에서 IoT 디바이스 그룹에서의 다른 IoT 멤버 디바이스들에게 추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IoT 디바이스가 블록 630에서 IoT 디바이스 그룹에서의 다른 멤버들에게 전송하는 추천 요청 메시지는 IoT 디바이스가 개시하기 위해 계획한 액션 또는 전환을 일반적으로 나타낼 수도 있고, IoT 디바이스는 그러면 그 그룹에서의 IoT 멤버 디바이스들이 당해 결정에 찬성하거나 또는 반대하는 추천들을 포함하는 적절한 응답들을 갖는 추천 요청 메시지로 응답할 것을 기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그 그룹에서의 각각의 IoT 멤버 디바이스는 그 그룹에서의 다른 IoT 디바이스들과의 상호의존성을 정의하는 관계 트리를 유지할 수도 있다. 이처럼, IoT 디바이스 그룹에서의 특정 IoT 멤버 디바이스가 블록 630에서 전송된 추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수신 IoT 디바이스는 추천 요청 메시지에서 나타내어진 계획된 전환으로부터 초래될 수도 있는 임의의 잠재적 영향들을 평가하기 위해 관계 트리에서 정의된 상호의존성들을 체크할 수도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추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각각의 IoT 디바이스는 그 다음에 승인 또는 불승인 메시지로 응답할 수도 있다. 더욱이,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승인 또는 불승인 메시지는 응답하는 IoT 디바이스가 추천 요청 메시지에서 나타내어진 계획된 결정을 승인 또는 불승인하는 정도를 (예컨대, [0:1], [-1:+1], 또는 다른 적합한 범위에 걸친 범위에서의 십진수 값과 같은 퍼지 로직 측정치에 따라, 백분율 승인 또는 불승인 값과 같은 신뢰도 측정치에 따라, "강한 승인 (strong approval)", "약한 승인 (slight approval)", "약한 불승인", "강한 불승인" 등을 나타내는 미리 정의된 스케일에 따라, 또는 응답하는 IoT 디바이스가 계획된 결정을 승인 또는 블승인하는지 및/또는 그 정도 또는 한도를 나타낼 수도 있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체계에 따라) 나타낼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승인 또는 불승인 메시지는 불 또는 이진수 항들 (예컨대, 계획된 결정을 승인하는 "예" 또는 논리적 '1' 또는 계획된 결정을 불승인하는 "아니오" 또는 논리적 '0') 로 승인 또는 불승인을 나타낼 수도 있다.
더구나,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추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임의의 특정 IoT 디바이스는 추천 요청 메시지를 단순히 무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추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특정 IoT 디바이스는, 그 IoT 디바이스가 계획된 전환을 승인할지 또는 불승인할지에 관한 의견을 갖지 않는다면, 블록 630에서 전송된 추천 요청 메시지를 무시할 수도 있다. 덧붙여,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들은 다른 IoT 디바이스를 대신하여 추천들을 프록시하고 그러므로 블록 630에서 전송된 추천 요청 메시지에 다른 IoT 디바이스를 대신하여 승인 또는 불승인 메시지로 응답할 수도 있다. 더 상세하게는, 특정 IoT 디바이스가 그것과 연관된 현재 또는 계획된 상태에 기초하여 그것 대신에 추천들을 프록시할 다른 IoT 디바이스를 (예컨대, 특정 상태에 진입하기 전에, 특정 상태의 진입에 응답하여 등으로) 지정할 수도 있음으로써, 지정된 프록시 IoT 디바이스는 그 다음에 자신 대신에 추천들을 프록시할 다른 IoT 디바이스를 지정했던 IoT 디바이스를 향해 전송된 또는 달리 진행된 임의의 추천 요청 메시지들에 응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유지보수가 앞으로 한 시간에 발생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파워 오프가 필요한 냉장고 IoT 디바이스가 다른 IoT 디바이스를 프록시를 위해 지정할 수 있다. 이처럼, 제 3 IoT 디바이스 (예컨대, 세탁기 (washer) IoT 디바이스) 가 냉수를 쓰기 위한 계획된 전환을 나타내는 추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면, 지정된 프록시 IoT 디바이스는 냉장고 IoT 디바이스가 파워 오프를 유지하는 동안 냉수의 많은 양들의 소비를 막기 위해 냉장고 IoT 디바이스를 대신하여 응답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추천 요청 메시지를 전송했던 IoT 디바이스는 그 다음에 블록 640에서 그룹에서의 다른 IoT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되었을 수도 있는 임의의 승인 또는 불승인 응답 메시지들을 결집시키고 분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IoT 디바이스는 다른 IoT 디바이스들이 추천 요청 메시지에 응답할 수도 있는 적합한 시구간을 정의하고 정의된 시구간이 만료되기 전에 다른 IoT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된 임의의 응답들을 결집시키고 분석할 수도 있다. 이런 방식으로, 추천 요청 메시지를 송신했던 IoT 디바이스는 모든 IoT 멤버 디바이스들이 응답하기까지 기다리지 않고서도 승인 또는 불승인 응답 메시지들을 분석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IoT 멤버 디바이스들이 추천 요청 메시지를 무시할 상황들을 용인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승인 또는 불승인 응답 메시지들 및/또는 추천 요청 메시지가 무시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들이 정의된 시구간 만료 전에 모든 IoT 멤버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된다면, IoT 디바이스는 시구간이 만료되기까지 기다리지 않고 수신되었던 승인 또는 불승인 응답 메시지들을 결집 및 분석할 수도 있다. 그러나, 당업자들은 IoT 멤버 디바이스들이 추천 요청 메시지에 적절하게 응답하는 것을 허용하는데 다른 기법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컨대, IoT 멤버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상태 변경들, IoT 디바이스 그룹과 함께 또는 그런 IoT 디바이스 그룹 내에서 이용되는 자원들 등에 기초하여 특정한 IoT 멤버 디바이스들이 자신들의 추천들 또는 계획된 전환이 승인되거나 또는 불승인될 수도 있는 정도를 변경시키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모든 IoT 멤버 디바이스들이 심지어 더 빨리 응답하더라도, 전환을 계획하는 IoT 디바이스는 시구간이 만료되기까지 기다릴 수도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승인 또는 불승인 응답 메시지들을 적절히 결집 및 분석함에 응답하여, 전환을 계획하는 IoT 디바이스는 블록 650에서 (예컨대, 최적화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추천 요청 메시지에서 나타내어진 액션을 개시할지의 여부를 적절하게 결정할 수도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IoT 디바이스는 그 다음에 다른 IoT 멤버 디바이스들이 IoT 디바이스와 연관되는 예상된 상태, IoT 디바이스가 결정을 행할 것을 결정하는 것으로부터 초래되는 자원 이용에서의 임의의 변경들 또는 전환을 하지 않는다는 결정 등을 알 수도 있도록 계획된 전환이 블록 670에서 개시되었는지의 여부 또는 개시될 것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최종 결정을 알릴 수도 있다.
본 개시물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르면, 도 7은 IoT 디바이스 그룹에서의 협업 지능 및 의사결정을 사용하는 다른 방법 (700) 을 도시하는데, 그 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방법 (500) 및/또는 다른 적합한 수법에 따라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도 7에 도시된 방법 (700) 은 도 6에 도시되고 위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 방법 (600) 과 유사한 특성들을 가질 수도 있으며, IoT 디바이스 그룹에서의 각각의 IoT 디바이스는, 로컬 의사결정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특정한 상태 전환 또는 다른 액션을 계획할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개별 IoT 디바이스가 블록 710에서 실행할 수도 있는 적절한 로컬 의사결정 알고리즘으로 구성될 또는 달리 프로그래밍될 수도 있다. 그러나, 도 7에 도시된 방법 (700) 은, 블록 720에서 로컬 의사결정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상태 전환을 계획하는 IoT 디바이스가 블록 730에서 IoT 디바이스 그룹에서의 다른 IoT 디바이스들로부터의 피드백을 요청할지의 여부를 추가로 결정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도 6에 도시된 방법 (600) 과는 상이하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상태 전환을 계획했던 IoT 디바이스가 IoT 디바이스 그룹에서의 다른 IoT 디바이스들로부터 피드백이 필요할 수도 있다고 결정하는 결과를 블록 730이 초래함에 응답하여, IoT 디바이스는 그 다음에 도 6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것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수법에 따라 그룹에서의 다른 IoT 디바이스들에게 추천 요청 메시지들을 전송할 수도 있다 (예컨대, 블록 630으로 복귀한 다음 추천 요청 메시지에서 나타내어진 결정에 관해 그룹에서의 다른 IoT 디바이스들로부터의 피드백을 포함하는 응답들에 기초하여 계획된 전환을 개시할지의 여부를 결정함).
대안으로, IoT 디바이스 그룹에서의 다른 IoT 디바이스들로부터 피드백이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결정을 블록 730이 초래함에 응답하여, 상태 전환을 계획했던 IoT 디바이스는 블록 740에서 다른 IoT 멤버 디바이스들에게 하나 이상의 비요청 추천들을 전송하고 블록 750에서 계획된 상태 전환을 자율적으로 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IoT 디바이스가 특정한 자원을 이용할 상태로의 전환 (예컨대, 샤워기 IoT 디바이스가 사용중 상태를 가짐) 을 계획함에 응답하여, IoT 디바이스는, IoT 디바이스가 전환했을 수도 있는 상태에서 자원 이용에 악영향을 주거나 또는 달리 간섭할 수도 있는 임의의 액션들을 취하는 것 또는 동일한 자원을 이용하는 것을 하지 않을 것 (예컨대, 샤워기에서의 수온에 악영향을 줄 수도 있는 방식으로 온수 또는 냉수 사용량을 갑자기 변경하지 않을 것) 을 그룹에서의 다른 IoT 멤버 디바이스들에게 지시하기 위해 블록 740에서 비요청 추천을 전송할 수도 있다. 더욱이, 당업자들은 비요청 추천들이 위에서 설명된 협업 의사결정 프로세스들과는 독립적으로 블록 740에서 다른 IoT 멤버 디바이스들에 전송되었을 수도 있다 (예컨대, 특정한 결정들은 협업 의사결정을 요구하지 않고서도 허가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비요청 추천들은, 각각의 IoT 멤버 디바이스들이 특정한 전환들 또는 다른 액션들을 계획하기 위해 개별 의사결정 알고리즘들을 사용하는 방법을 알려주기 위하여, 그룹에서의 IoT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현재 상태와 그것이 이용가능한 자원들에 관해 다른 IoT 멤버 디바이스들에게 알리려고 블록 740에서 전송될 수도 있다) 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정보 및 신호들이 다양한 상이한 기술들 및 기법들 중의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표현될 수도 있다는 것을 당업자들이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위의 설명 전체에 걸쳐 언급될 수도 있는 데이터, 명령들, 커맨드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 (chip) 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적 장들 또는 입자들, 광학적 장들 또는 입자들, 또는 그것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표현될 수도 있다.
게다가, 본원에 개시된 양태들에 관련하여 설명되는 다양한 예시적 논리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양쪽 모두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는 것을 당업자들이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교환가능성을 명백하게 예증하기 위하여, 다양한 예시적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일반적으로 그것들의 기능성의 관점에서 설명되어 있다. 이러한 기능성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중 어느 것으로 구현되는지는 전체 시스템에 부과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설계 제약들에 달려있다. 당업자들은 설명된 기능성을 각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구현 결정들은 본 개시물의 범위로부터의 일탈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원에서 개시된 실시형태들에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구체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본원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주문형 집적회로 (ASIC),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개별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그것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실시될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가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체예에서, 그 프로세서는 기존의 임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가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컨대,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협력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본원에서 개시된 실시형태들에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들, 시퀀스들 및/또는 알고리즘들은 직접적으로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구현되거나, 이들 두 가지의 조합으로 실시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착탈식 디스크, CD-ROM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내에 존재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가 프로세서에 커플링되어서 그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읽을 수 있고 그 저장 매체에 정보를 쓸 수 있다. 대체예에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와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존재할 수도 있다. ASIC은 사용자 단말 (예컨대, UE) 내에 존재할 수도 있다. 대체예에서, 프로세서와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에 개별 컴포넌트들로서 존재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그것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된다면, 그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저장되거나 송신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의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저장 매체들 및 통신 매체들 양쪽 모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들은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들일 수도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 디스크 스토리지,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소망의 프로그램 코드를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운반하거나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접속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 적절히 칭해진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자원으로부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twisted pair), 디지털 가입자 회선 (DSL), 또는 무선 기술들 이를테면 적외선, 라디오, 및/또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송신된다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은 매체의 정의에 포함된다. 디스크 (disk 및 disc) 는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콤팩트 디스크 (compact disc, CD), 레이저 디스크, 광 디스크, 디지털 다용도 디스크 (DVD), 플로피 디스크 (floppy 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를 포함하는데, disk들은 보통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disc들은 레이저들로써 광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상기한 것들의 조합들은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전술한 개시물이 본 개시물의 구체적인 양태들을 보여주지만, 갖가지 변경들 및 변형들이 첨부의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본 개시물의 범위로부터 벗어남 없이 본원 내에서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본원에서 설명된 본 개시물의 양태들에 따른 방법 청구항들의 기능들, 단계들 및/또는 액션들은 임의의 특정한 순서로 수행될 필요는 없다. 더욱이, 본 개시물의 엘리먼트들이 단수형으로 설명되고 청구되었을 수도 있지만, 단수형에 대한 제한이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형은 의도된 것이다.

Claims (25)

  1. 사물 인터넷 (Internet of Things, IoT) 그룹에서의 IoT 디바이스들 간에 협업 의사결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IoT 그룹에서의 하나 이상의 멤버 IoT 디바이스들에게 추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추천 요청 메시지는 계획된 상태 전환을 나타내는, 상기 추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추천 요청 메시지에 대한 하나 이상의 응답들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응답들은 상기 추천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멤버 IoT 디바이스들로부터의 상기 계획된 상태 전환에 관한 피드백을 포함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응답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추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상기 하나 이상의 응답들에 기초하여 상기 계획된 상태 전환을 개시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IoT 그룹에서의 IoT 디바이스들 간에 협업 의사결정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미리 정의된 시구간이 만료되기까지 상기 추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상기 응답들을 결집시키고, 상기 계획된 상태 전환을 개시할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미리 정의된 시구간 동안 수신되는 상기 응답들을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IoT 그룹에서의 IoT 디바이스들 간에 협업 의사결정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로컬 의사결정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상기 상태 전환을 계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IoT 그룹에서의 IoT 디바이스들 간에 협업 의사결정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상기 하나 이상의 응답들은 응답하는 멤버 IoT 디바이스들이 상기 계획된 상태 전환을 승인하는지 또는 불승인하는지를 나타내는 불 (Boolean) 값을 포함하는, IoT 그룹에서의 IoT 디바이스들 간에 협업 의사결정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상기 하나 이상의 응답들은 응답하는 멤버 IoT 디바이스들이 상기 계획된 상태 전환을 승인 또는 불승인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퍼지 로직 값을 포함하는, IoT 그룹에서의 IoT 디바이스들 간에 협업 의사결정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멤버 IoT 디바이스들은 상기 IoT 그룹에서의 상기 멤버 IoT 디바이스들 간의 관계들을 기술하는 종속성 트리에 기초하여 상기 계획된 상태 전환와 연관된 잠재적 영향을 분석하고 상기 잠재적 영향에 기초하여 상기 계획된 상태 전환을 승인할지 또는 불승인할지를 결정하는, IoT 그룹에서의 IoT 디바이스들 간에 협업 의사결정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IoT 그룹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멤버 IoT 디바이스는 상기 계획된 상태 전환을 승인할지 또는 불승인할지에 관한 의견이 없음에 응답하여 상기 추천 요청 메시지를 무시하는, IoT 그룹에서의 IoT 디바이스들 간에 협업 의사결정하는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IoT 그룹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멤버 IoT 디바이스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멤버 IoT 디바이스를 대신하여 상기 계획된 상태 전환을 승인할지 또는 불승인할지를 결정하는 프록시 (proxy) 멤버 IoT 디바이스를 지정하는, IoT 그룹에서의 IoT 디바이스들 간에 협업 의사결정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IoT 그룹에서의 상기 하나 이상의 멤버 IoT 디바이스들에게 상기 계획된 상태 전환이 개시될 것을 나타내는 최종 결정을 알리는 (advertising) 단계; 및
    상기 최종 결정을 알리는 단계에 후속하여 상기 계획된 상태 전환을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IoT 그룹에서의 IoT 디바이스들 간에 협업 의사결정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IoT 그룹에서의 상기 하나 이상의 멤버 IoT 디바이스들에게 상기 계획된 상태 전환이 개시되지 않을 것임을 나타내는 최종 결정을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IoT 그룹에서의 IoT 디바이스들 간에 협업 의사결정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IoT 그룹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멤버 IoT 디바이스로부터 비요청 추천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비요청 추천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멤버 IoT 디바이스와 연관된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상기 비요청 추천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계획된 상태 전환이 상기 비요청 추천을 전송했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멤버 IoT 디바이스와 연관된 상기 동작 상태에 잠재적 악영향을 준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계획된 상태 전환을 개시하지 않을 것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IoT 그룹에서의 IoT 디바이스들 간에 협업 의사결정하는 방법.
  12. 사물 인터넷 (Internet of Things, IoT) 그룹에서의 하나 이상의 멤버 IoT 디바이스들에게 추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추천 요청 메시지는 계획된 상태 전환을 나타내는, 상기 추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수단;
    상기 추천 요청 메시지에 대한 하나 이상의 응답들을 수신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응답들은 상기 추천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멤버 IoT 디바이스들로부터의 상기 계획된 상태 전환에 관한 피드백을 포함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응답들을 수신하는 수단; 및
    상기 추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상기 하나 이상의 응답들에 기초하여 상기 계획된 상태 전환을 개시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계획된 상태 전환을 개시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수단은,
    미리 정의된 시구간이 만료되기까지 상기 추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상기 응답들을 결집시키는 수단; 및
    상기 계획된 상태 전환을 개시할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미리 정의된 시구간 동안 수신되는 상기 응답들을 분석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계획된 상태 전환을 개시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수단은, 로컬 의사결정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상기 상태 전환을 계획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IoT 그룹에서의 하나 이상의 멤버 IoT 디바이스들에게 상기 계획된 상태 전환이 개시될 것을 나타내는 최종 결정을 알리는 수단; 및
    상기 최종 결정을 알림에 후속하여 상기 계획된 상태 전환을 개시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IoT 그룹에서의 상기 하나 이상의 멤버 IoT 디바이스들에게 상기 계획된 상태 전환이 개시되지 않을 것임을 나타내는 최종 결정을 알리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IoT 그룹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멤버 IoT 디바이스로부터 비요청 추천을 수신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비요청 추천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멤버 IoT 디바이스와 연관된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상기 비요청 추천을 수신하는 수단; 및
    상기 계획된 상태 전환이 상기 비요청 추천을 전송했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멤버 IoT 디바이스와 연관된 상기 동작 상태에 잠재적 악영향을 준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계획된 상태 전환을 개시하지 않을 것을 결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18. 협업 그룹기반 의사결정을 위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들을 기록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사물 인터넷 (Internet of Things, IoT) 디바이스 상에서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들을 실행하는 것은, 상기 IoT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IoT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IoT 그룹에서의 하나 이상의 멤버 IoT 디바이스들에게 추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 추천 요청 메시지는 계획된 상태 전환을 나타내는, 상기 추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게 하며;
    상기 추천 요청 메시지에 대한 하나 이상의 응답들을 수신하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응답들은 상기 추천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는 상기 멤버 IoT 디바이스들로부터의 상기 계획된 상태 전환에 관한 피드백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응답들을 수신하게 하며; 그리고
    상기 추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상기 응답들에 기초하여 상기 계획된 상태 전환을 개시할지의 여부를 결정하게 하는, 협업 그룹기반 의사결정을 위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들을 기록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9. 사물 인터넷 (Internet of Things, IoT) 그룹에서의 IoT 디바이스들 간에 협업 의사결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IoT 그룹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멤버 IoT 디바이스로부터 추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추천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멤버 IoT 디바이스와 연관된 계획된 상태 전환을 나타내는, 상기 추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계획된 상태 전환에 관한 피드백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추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멤버 IoT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계획된 상태 전환이 개시될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알려진 (advertised) 최종 결정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멤버 IoT 디바이스는 상기 계획된 상태 전환에 관한 피드백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최종 결정을 생성하는, 상기 알려진 최종 결정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IoT 그룹에서의 IoT 디바이스들 간에 협업 의사결정하는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상기 응답은 상기 계획된 상태 전환이 승인되는지 또는 불승인되는지를 나타내는 불 (Boolean) 값을 포함하는, IoT 그룹에서의 IoT 디바이스들 간에 협업 의사결정하는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상기 응답은 상기 계획된 상태 전환이 승인 또는 불승인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퍼지 로직 값을 포함하는, IoT 그룹에서의 IoT 디바이스들 간에 협업 의사결정하는 방법.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IoT 그룹에서의 상기 멤버 IoT 디바이스들 간의 관계들을 기술하는 종속성 트리에 기초하여 상기 계획된 상태 전환과 연관된 잠재적 영향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잠재적 영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추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결정하는 단계로서, 결정된 상기 응답은 상기 계획된 상태 전환이 승인되는지 또는 불승인되는지를 나타내는, 상기 응답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IoT 그룹에서의 IoT 디바이스들 간에 협업 의사결정하는 방법.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계획된 상태 전환을 승인할지 또는 불승인할지에 관한 의견이 없음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멤버 IoT 디바이스에게 피드백을 송신하지 않고 상기 추천 요청 메시지를 무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IoT 그룹에서의 IoT 디바이스들 간에 협업 의사결정하는 방법.
  24.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계획된 상태 전환을 승인할지 또는 불승인할지를 결정하고 상기 추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상기 응답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멤버 IoT 디바이스에게 송신하기 위해 프록시 멤버 IoT 디바이스를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IoT 그룹에서의 IoT 디바이스들 간에 협업 의사결정하는 방법.
  25.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멤버 IoT 디바이스로부터 비요청 추천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비요청 추천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멤버 IoT 디바이스와 연관된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상기 비요청 추천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비요청 추천을 전송했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멤버 IoT 디바이스와 연관된 동작 상태에 대한 잠재적 악영향을 피하기 위해 로컬 의사결정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상태 전환들을 계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IoT 그룹에서의 IoT 디바이스들 간에 협업 의사결정하는 방법.
KR1020157026012A 2013-02-25 2014-02-25 Iot 디바이스 그룹에서의 협업 지능 및 의사 결정 KR1017027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769149P 2013-02-25 2013-02-25
US61/769,149 2013-02-25
US14/188,081 2014-02-24
US14/188,081 US9292832B2 (en) 2013-02-25 2014-02-24 Collaborative intelligence and decision-making in an IoT device group
PCT/US2014/018335 WO2014131015A2 (en) 2013-02-25 2014-02-25 Collaborative intelligence and decision-making in an iot device grou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3273A true KR20150123273A (ko) 2015-11-03
KR101702799B1 KR101702799B1 (ko) 2017-02-06

Family

ID=51389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6012A KR101702799B1 (ko) 2013-02-25 2014-02-25 Iot 디바이스 그룹에서의 협업 지능 및 의사 결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92832B2 (ko)
EP (1) EP2959434B1 (ko)
JP (1) JP6039824B2 (ko)
KR (1) KR101702799B1 (ko)
CN (1) CN105308630B (ko)
WO (1) WO2014131015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3548A (ko) * 2016-03-04 2017-09-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용자 의도 맞춤형 사물기기간 협업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130005A (ko) 2016-05-17 2017-11-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oT 플랫폼 기반 소셜 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80058474A (ko) 2016-11-24 2018-06-01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Fota을 적용한 tr―069 프로토콜 기반의 스마트 홈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59338A (ko) * 2016-11-25 2018-06-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SG에 설치된 IoT 디바이스간 협업을 위한 리소스 할당 방법 및 협업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22716S1 (en) 2016-05-13 2018-07-10 Google Llc Voice interface device
CN104662858B (zh) 2013-02-20 2017-10-17 华为技术有限公司 机器通信操作触发方法和装置
US9843886B2 (en) 2013-09-16 2017-12-12 Qualcomm Incorporated User interactive application enabled gateway
US10051068B2 (en) 2013-11-14 2018-08-14 Qualcomm Incorporated Mechanisms to route IoT notifications according to user activity and/or proximity detection
US10362577B2 (en) 2014-09-23 2019-07-2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arrangement of group resour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505752B2 (en) 2014-12-15 2019-12-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group action
US10282475B2 (en) 2014-12-18 2019-05-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eneration of browser suggestions based on internet of things device data
US9979724B2 (en) 2015-02-06 2018-05-22 NXT-ID, Inc. Distributed method and system to improve collaborative services across multiple devices
US9693178B2 (en) * 2015-03-18 2017-06-27 Intel IP Corporation Procedures to provision and attach a cellular internet of things device to a cloud service provider
US10887384B2 (en) * 2015-03-25 2021-01-05 Accenture Global Services Limited Digital collaboration system
US9461976B1 (en) 2015-03-25 2016-10-04 Mcafee, Inc. Goal-driven provisioning in IoT systems
WO2016160626A1 (en) 2015-03-27 2016-10-06 Globallogic, Inc. Determining actions based on imputing meaning to sensed information in a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KR102498739B1 (ko) * 2015-05-11 2023-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서버 및 이의 제어 방법
US10110394B2 (en) 2015-05-11 2018-10-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403062B1 (ko) * 2015-05-13 2022-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3099087A1 (en) * 2015-05-28 2016-11-30 Gemalto M2M GmbH Method for ope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10045148B2 (en) * 2015-06-26 2018-08-07 Intel Corporation Location-based wireless device presentation and connection
US10027758B2 (en) * 2015-10-05 2018-07-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tributed load processing using location-based internet of things device clusters
US10057261B2 (en) 2015-11-09 2018-08-21 Fotonation Limited Method for configuring access for a limited user interface (UI) device
US10609146B2 (en) 2015-12-18 2020-03-31 Intel Corporation Group-based data transfer in machine-to-machine systems
US10534866B2 (en) * 2015-12-21 2020-01-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lligent persona agents for design
US20180234418A1 (en) * 2016-02-03 2018-08-16 Averon U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access to publish or post utilizing frictionless two-factor authentication
US20180316671A1 (en) * 2016-02-03 2018-11-01 Averon U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authorization of a specified task via multi-stage and multi-level authentication processes utilizing frictionless two-factor authentication
US20180232514A1 (en) * 2016-02-03 2018-08-16 Averon U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access to a device utilizing frictionless two-factor authentication
WO2017134632A1 (en) 2016-02-03 2017-08-10 Averon U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frictionless two-factor authentication
US20180229689A1 (en) * 2016-02-03 2018-08-16 Averon U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access to an automobile utilizing frictionless two-factor authentication
US10382530B2 (en) * 2016-02-11 2019-08-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tributed load processing using drift-based dynamic clusters of Internet of Things devices
US9811387B2 (en) * 2016-02-11 2017-11-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tributed load processing using sampled clusters of location-based internet of things devices
US9990234B2 (en) * 2016-02-11 2018-06-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tributed load processing using clusters of interdependent internet of things devices
US9954953B2 (en) * 2016-02-11 2018-04-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tributed load processing using forecasted location-based internet of things device clusters
CN105678655A (zh) * 2016-02-18 2016-06-15 成都美联利华电气有限公司 一种推荐方法和洗涤管理系统
CN105700374A (zh) * 2016-03-24 2016-06-22 苏州路之遥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技术的燃气热水器
US10257270B2 (en) 2016-04-26 2019-04-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nomous decentralized peer-to-peer telemetry
EP3455719A1 (en) 2016-05-10 2019-03-20 Google LLC Implementations for voice assistant on devices
EP3757753A1 (en) 2016-05-13 2020-12-30 Google LLC Initiating by voice play of media content
US10212232B2 (en) 2016-06-03 2019-02-1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ata communications using communication thresholds
KR101696151B1 (ko) * 2016-06-09 2017-01-12 신재광 IoT 기반의 모듈러 로보틱스 시스템
US10270610B2 (en) 2016-06-12 2019-04-23 Apple Inc. Selection of a coordinator device for an automated environment
US10375079B2 (en) 2016-06-29 2019-08-06 Mcafee, Llc Distributed communication between internet of things devices
WO2018004677A1 (en) * 2016-07-01 2018-01-04 Intel IP Corporation Communications in internet-of-things devices
US10412562B2 (en) 2016-08-08 2019-09-1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oftware defined IoT service network architecture
US10715603B2 (en) 2016-09-19 2020-07-1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ystems and methods for sharing application data between isolated applications executing on one or more application platforms
US10270738B1 (en) * 2016-09-19 2019-04-23 Amazon Technologies, Inc. Aggregated group state for a group of device representations
US10409786B2 (en) 2016-09-19 2019-09-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ployment of applications confirming to application data sharing and decision service platform schema
US10887174B2 (en) * 2016-09-19 2021-01-05 Amazon Technologies, Inc. Group command management for device groups
US10270875B1 (en) * 2016-09-19 2019-04-23 Amazon Technologies, Inc. Dynamic grouping of device representations
US9778964B1 (en) 2016-09-19 2017-10-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pplication data sharing and decision service platform
US10298448B2 (en) 2016-09-20 2019-05-2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extending service capabilities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10320583B2 (en) * 2016-10-07 2019-06-11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interoperability across internet of things (IOT) domains
US10531227B2 (en) 2016-10-19 2020-01-07 Google Llc Time-delimited action suggestion system
US20180137457A1 (en) * 2016-11-16 2018-05-17 Sap Se Monitoring inventory based on iot device data
US20180152391A1 (en) * 2016-11-25 2018-05-3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Cooperation method and resource allocation method for cooperation between iot devices installed in isg
CN106612326B (zh) * 2016-11-30 2019-11-12 安徽大学 一种物联网资源搜索方法
US10146924B2 (en) 2016-12-14 2018-12-04 Fotonation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authenticating a biometric device using a trusted coordinating smart device
US10628747B2 (en) * 2017-02-13 2020-04-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gnitive contextual diagnosis, knowledge creation and discovery
US10140147B2 (en) * 2017-02-16 2018-11-27 Sanctum Solutions Inc. Intelligently assisted IoT endpoint device
WO2018169372A1 (en) * 2017-03-17 2018-09-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routine disruption handling and routine management in a smart environment
US10528293B2 (en) 2017-06-26 2020-01-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Grouping devices as a virtual device for providing better quality of device data
US20190065544A1 (en) * 2017-08-29 2019-02-28 Walmart Apollo, Llc System and method for collaborative sharing of database information
US20190064913A1 (en) * 2017-08-29 2019-02-28 Walmart Apollo, Llc System and method for collaborative computing power
WO2019046475A1 (en) * 2017-08-29 2019-03-07 Walmart Apollo, Llc SYSTEM AND METHOD ASSOCIATED WITH COLLABORATIVE BATTERY POWER
US11328214B2 (en) 2017-09-28 2022-05-10 Kyndryl, Inc. Real-time multi-agent response based on a preference-based consensus
US10613906B2 (en) 2017-11-17 2020-04-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hared hardware and software resource replacement
US10693984B2 (en) 2017-11-17 2020-06-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ed mobile device notification routing
US10467900B2 (en) 2017-11-22 2019-11-05 Bank Of America Corporation System for communicable integration of an automobile system and a parking system
CN108377258A (zh) * 2018-01-16 2018-08-07 广州市信富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云服务器的远程多端协作方法及系统
US10655974B2 (en) 2018-05-22 2020-05-19 Bank Of America Corporation System for providing real-time routing and data services for user events based on real-time vehicle location
US10659460B2 (en) 2018-05-22 2020-05-19 Bank Of America Corporation Two factor vehicle authentication
US10990109B2 (en) 2018-05-22 2021-04-27 Bank Of America Corporation Integrated connectivity of devices for resource transmission
US10732624B2 (en) 2018-05-22 2020-08-04 Bank Of America Corporation User data digestion for autonomous car implementation
JP7118753B2 (ja) * 2018-06-05 2022-08-16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冷蔵庫制御方法、及び、冷蔵庫制御プログラム
US10902363B2 (en) 2018-08-30 2021-01-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etermining an order of emphasis for capacity planning metrics based on similarity scores of stakeholder preferred orders of emphasis while protecting stakeholder privacy
US11281983B2 (en) 2018-09-04 2022-03-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agent system for efficient decentralized information aggregation by modeling other agents' behavior
CN111131353B (zh) * 2018-10-31 2021-06-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协作方法和智能设备群
CN113016001A (zh) * 2018-11-19 2021-06-22 三星电子株式会社 对基于内容的推荐进行预测的方法和系统
US10949417B2 (en) 2018-11-26 2021-03-16 Bank Of America Corporation Blockchain augmented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based system for dynamic supply chain tracking
US10841772B2 (en) * 2018-12-28 2020-11-17 Wipro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between internet-of-things (IOT) devices
US11102064B2 (en) 2019-08-28 2021-08-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ally adapting an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
US11176505B2 (en) 2020-01-07 2021-11-16 Bank Of America Corporation Multi-channel tracking and control system
US11915691B2 (en) 2021-01-19 2024-0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1722A (ko) * 2010-12-23 2012-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응용 필드 통신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17264A (ko) * 2011-08-10 2013-02-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능형 사물에 대한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3341A (ja) * 2002-06-04 2004-01-15 Fujitsu Ltd グループ管理プログラム及びそのグループ管理方法
US6865517B2 (en) * 2002-12-11 2005-03-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ggregation of sensory data for distributed decision-making
JP4284993B2 (ja) * 2002-12-18 2009-06-24 ソニー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0600734B1 (ko) * 2004-02-25 2006-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7315952B2 (en) 2004-06-02 2008-01-01 Intel Corporation Power state coordination between devices sharing power-managed resources
KR20050120565A (ko) * 2004-06-17 2005-12-22 인텔 코오퍼레이션 전력-관리된 리소스들을 공유하는 디바이스들 간의 전력상태 조정
US20100231506A1 (en) 2004-09-07 2010-09-16 Timothy Pryor Control of appliances, kitchen and home
US20070288546A1 (en) 2005-01-15 2007-12-13 Outland Research, Llc Groupwise collaborative suggestion moderation system
US20130173062A1 (en) 2009-12-08 2013-07-04 Pamela Koenig-Richardson Smart building unified managed solutions
CN102238573A (zh) 2010-04-30 2011-11-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m2m业务的架构及实现m2m业务的方法
US20120213098A1 (en) 2011-02-21 2012-08-23 Future Wireless Tech LLC Real-time and synchronization Internet of things analyzer System Architecture
WO2013123445A1 (en) 2012-02-17 2013-08-22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Smart internet of things services
WO2013169974A1 (en) 2012-05-11 2013-11-14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Context-aware peer-to-peer communic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1722A (ko) * 2010-12-23 2012-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응용 필드 통신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17264A (ko) * 2011-08-10 2013-02-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능형 사물에 대한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3548A (ko) * 2016-03-04 2017-09-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용자 의도 맞춤형 사물기기간 협업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130005A (ko) 2016-05-17 2017-11-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oT 플랫폼 기반 소셜 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80058474A (ko) 2016-11-24 2018-06-01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Fota을 적용한 tr―069 프로토콜 기반의 스마트 홈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59338A (ko) * 2016-11-25 2018-06-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SG에 설치된 IoT 디바이스간 협업을 위한 리소스 할당 방법 및 협업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59434A2 (en) 2015-12-30
EP2959434A4 (en) 2016-10-26
US9292832B2 (en) 2016-03-22
US20140244568A1 (en) 2014-08-28
EP2959434B1 (en) 2020-08-05
WO2014131015A3 (en) 2014-11-27
CN105308630A (zh) 2016-02-03
JP2016517060A (ja) 2016-06-09
CN105308630B (zh) 2018-08-03
WO2014131015A2 (en) 2014-08-28
KR101702799B1 (ko) 2017-02-06
JP6039824B2 (ja)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2799B1 (ko) Iot 디바이스 그룹에서의 협업 지능 및 의사 결정
US10659246B2 (en) Methods to discover, configure, and leverage relationships in internet of things (IoT) networks
EP2959642B1 (en) Adaptive and extensible universal schema for heterogeneous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KR102166819B1 (ko) 자동 IoT 디바이스 소셜 네트워크 확장
EP2989775B1 (en) Coordinated resource sharing in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using a network-based group management and floor control mechanism
US9853826B2 (en) Establishing groups of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and enabling communication among the groups of IOT devices
EP2959663B1 (en) Controlling many different devices from a smart controller
CN106256105B (zh) 用于设置用户偏好或设备配置的方法和装置
JP2016530605A (ja) IoTリソース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内の制御負荷を低減するためのトラストヒューリスティックモデル
CN106464692B (zh) 确定对接收授权的设备的信任级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