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8474A - Fota을 적용한 tr―069 프로토콜 기반의 스마트 홈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Fota을 적용한 tr―069 프로토콜 기반의 스마트 홈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8474A
KR20180058474A KR1020160157494A KR20160157494A KR20180058474A KR 20180058474 A KR20180058474 A KR 20180058474A KR 1020160157494 A KR1020160157494 A KR 1020160157494A KR 20160157494 A KR20160157494 A KR 20160157494A KR 20180058474 A KR20180058474 A KR 20180058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device
fota
protocol
management system
cl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7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1148B1 (ko
Inventor
손민재
박수빈
김계영
배성원
문대진
조대수
Original Assignee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더블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더블피 filed Critical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57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1148B1/ko
Publication of KR20180058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8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1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1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1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s triggering a change of settings
    • H04L41/082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s triggering a change of settings the condition being updates or upgrades of network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46Exchanging or transporting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Embedding network management web servers in network elements; Web-services-based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4Processing captured monitoring data, e.g. for logfile generation
    • H04L43/045Processing captured monitoring data, e.g. for logfile generation for graphical visualisation of monitoring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Abstract

본 발명은 FOTA을 적용한 TR-069 프로토콜 기반의 스마트 홈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데이터베이스(50)로 수집된 데이터를 통합해서 관리하는 메인서버(40); 홈 디바이스 집합(10)을 구성하는 각 홈 디바이스의 정보를 수집하고 메인서버(40)와 통신을 하는 허브(CPE)(20); 및 메인서버(40)와 통신하여 홈 디바이스 집합(10)을 구성하는 각 홈 디바이스의 제어와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웹(WEB) 기반의 제 1 클라이언트(30-1) 및 앱(APP) 기반의 제 2 클라이언트(30-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클라이언트(30); 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홈 디바이스들을 통합하여 관리하고, 홈 디바이스 별 펌웨어를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TR-069 프로토콜 방식을 활용하여 HTTP기반으로 서버와 디바이스와 연결 매개체가 되는 허브(CPE)의 통신을 통해 각 디바이스들을 통합적으로 제어 및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디바이스 별 펌웨어의 정보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수집하여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 별도의 클라이언트 연결 없이 FOTA 방식으로 펨웨어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FOTA을 적용한 TR―069 프로토콜 기반의 스마트 홈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SMART HOME DEVICE MANAGEMENT SYSTEM BASED ON TR-069 PROTOCOL USING FOTA,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FOTA을 적용한 TR-069 프로토콜 기반의 스마트 홈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클라이언트에 연결하지 않고 Wi-Fi, 무선 인터넷 등을 사용하여 무선으로 펌웨어를 업데이트 하는 기술인 FOTA(Firmware Over The Air)를 적용하여 펌웨어에 대한 관리 및 업데이트가 용이하며, TR-069 프로토콜 방식을 활용하여 HTTP 통신으로 서버와 디바이스와 연결 매개체가 되는 허브(CPE)의 통신을 통해 각 디바이스들을 제어 및 관리하도록 하기 위한 FOTA을 적용한 TR-069 프로토콜 기반의 스마트 홈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가정에서는 전력을 조절해주는 IoT 콘센트 스위치(예, WEMO 콘센트)나 온도를 자동으로 조절해주는 IoT 기반 온도 조절기(예, NEST 온도기) 등 다양한 스마트 홈 디바이스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들의 종류가 많아지면서, 홈 디바이스를 통합하여 관리하는 시스템들이 많이 생겨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시스템들에는 펌웨어 업데이트에 대한 관리가 미비한 실정이다. 펌웨어 업데이트는 디바이스별로 기능이나 컨텐츠가 추가될 때 디바이스 내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 시켜주는 것으로, 펌웨어가 최신 상태가 아닐 경우 새로운 기능을 사용하는데 많은 제한이 발생한다.
또한 펌웨어를 업데이트 하는 과정에서도 많은 불편함이 따른다. PC 등과 같은 클라이언트에서 디바이스의 펌웨어를 다운 받아야 하며 이후, 이후 클라이언트에 디바이스를 연결해 최신 버전의 펌웨어를 설치해야한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디바이스들을 통합하여 관리하고, 디바이스 별 펌웨어를 관리해주는 시스템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홈 디바이스 별 펌웨어의 정보는 지속적으로 수집되어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 종래와 같이 별도의 클라이언트 연결 없이 펨웨어 업데이트를 수행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제10-2015-0123273호 "IoT 디바이스 그룹에서의 협업 지능 및 의사 결정(COLLABORATIVE INTELLIGENCE AND DECISION-MAKING IN AN IOT DEVICE GROUP)"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제10-2016-0086332호 "물리적인 IoT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 PHYSICAL IOT DEVICE)"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1589413호 "IoT 디바이스에 대한 DNS 네이밍 방법(DNS NAMING METHOD FOR IOT DEVICE)"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TR-069 프로토콜 방식으로 구현하여 HTTP 통신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Node.js 기반의 허브를 통해 디바이스들을 통합관리 및 제어를 하도록 하기 위한 FOTA을 적용한 TR-069 프로토콜 기반의 스마트 홈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홈 디바이스 별 펌웨어의 정보는 지속적으로 수집되어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 별도의 클라이언트와 디바이스의 연결 없이 FOTA 방식으로 펨웨어 업데이트를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FOTA을 적용한 TR-069 프로토콜 기반의 스마트 홈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OTA을 적용한 TR-069 프로토콜 기반의 스마트 홈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50)로 수집된 데이터를 통합해서 관리하는 메인서버(40); 홈 디바이스 집합(10)을 구성하는 각 홈 디바이스의 정보를 수집하고 메인서버(40)와 통신을 하는 허브(CPE)(20); 및 메인서버(40)와 통신하여 홈 디바이스 집합(10)을 구성하는 각 홈 디바이스의 제어와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웹(WEB) 기반의 제 1 클라이언트(30-1) 및 앱(APP) 기반의 제 2 클라이언트(30-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클라이언트(30); 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FOTA을 적용한 TR-069 프로토콜 기반의 스마트 홈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허브(CPE)(20)는, 홈 디바이스 집합(10)의 각 홈 디바이스 연동시 홈 디바이스 상태와 펌웨어 버전 정보를 메인서버(40)에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FOTA을 적용한 TR-069 프로토콜 기반의 스마트 홈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메인서버(40)는, 허브(CPE)(20)로부터 수신된 홈 디바이스의 펌웨어 버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된 펌웨어 버전 정보와 다른 경우, 허브(CPE)(20)에 대해서 펌웨어 업데이트를 수행을 명령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FOTA을 적용한 TR-069 프로토콜 기반의 스마트 홈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허브(CPE)(20)는, FOTA 방식으로 홈 디바이스에 펌웨어 업데이트를 하는 메소드를 실행시켜서 홈 디바이스 집합(10)의 각 홈 디바이스에 대해서 최신 버전의 펌웨어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FOTA을 적용한 TR-069 프로토콜 기반의 스마트 홈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허브(CPE)(20)와 메인서버(40) 간에는 TR-069 프로토콜을 이용한 양방향 HTTP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FOTA을 적용한 TR-069 프로토콜 기반의 스마트 홈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웹(WEB) 기반의 제 1 클라이언트(30-1)는, 웹 대시보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현시, 사용자 ID에 등록되어 있는 홈 디바이스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하며, 각각의 홈 디바이스에 대해서 대시보드 형태로 객체화되어 있어 위치와 크기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현하고, 수집된 데이터들은 그래프를 통해 시각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OTA을 적용한 TR-069 프로토콜 기반의 스마트 홈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홈 디바이스들을 통합하여 관리하고, 홈 디바이스 별 펌웨어를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FOTA을 적용한 TR-069 프로토콜 기반의 스마트 홈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TR-069 프로토콜 방식을 활용하여 HTTP기반으로 서버와 디바이스와 연결 매개체가 되는 허브(CPE)의 통신을 통해 각 디바이스들을 통합적으로 제어 및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FOTA을 적용한 TR-069 프로토콜 기반의 스마트 홈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디바이스 별 펌웨어의 정보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수집하여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 별도의 클라이언트 연결 없이 FOTA 방식으로 펨웨어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OTA을 적용한 TR-069 프로토콜 기반의 스마트 홈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OTA을 적용한 TR-069 프로토콜 기반의 스마트 홈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TR-069 프로토콜을 설명하기 위한 TR-069 네트워크 토폴로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OTA을 적용한 TR-069 프로토콜 기반의 스마트 홈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 집합을 구성하는 IoT 온도계(10-3) 관련 request 목록을 나타내는 도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OTA을 적용한 TR-069 프로토콜 기반의 스마트 홈 디바이스 관리 방법에서 허브(CPE)와 홈 디바이스 집합 간 SOAP 통신 방식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OTA을 적용한 TR-069 프로토콜 기반의 스마트 홈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의 펌웨어 관리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OTA을 적용한 TR-069 프로토콜 기반의 스마트 홈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에서의 웹 기반 클라이언트에 포함된 모듈형 웹 대시보드의 서브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OTA을 적용한 TR-069 프로토콜 기반의 스마트 홈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에서의 웹 대시보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OTA을 적용한 TR-069 프로토콜 기반의 스마트 홈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에서의 앱 대시보드 메인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과, 디바이스의 제어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FOTA을 적용한 TR-069 프로토콜 기반의 스마트 홈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OTA을 적용한 TR-069 프로토콜 기반의 스마트 홈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FOTA을 적용한 TR-069 프로토콜 기반의 스마트 홈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은 홈 디바이스 집합(10), 허브(CPE)(20), 웹(WEB) 기반의 제 1 클라이언트(30-1), 앱(APP) 기반의 제 2 클라이언트(30-2), 메인서버(40), 그리고 데이터베이스(50)를 포함함으로써, 기존의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홈 오토메이션 시스템(Home Automation)에서의 펌웨어 관리에 대한 문제점을 보안하고자 FOTA 방식을 적용한 TR-069 프로토콜 기반으로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한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Home Automation)이란 가정 내의 네트워크 시설을 이용하여 가정생활의 자동화를 실현하기 위해 각종 전자기기와 설비들을 제어, 감시하고 관리하는 지능형 홈 제어 플랫폼을 탑재한 시스템으로, 구체적 사례로서는 홈뱅킹, 홈쇼핑, 재택근무, 재택의료, 난방의 원격제어 등을 위해 구축될 수 있다.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은 생산현장에서의 자동화를 의미하는 공장자동화, 사무현장에서의 자동화를 의미하는 사무자동화 등의 개념과 유사하게 가정에서 여러 가지 전자기술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절약하고 주거환경을 보다 쾌적하게 실현해 줄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며, FOTA을 적용한 TR-069 프로토콜 기반의 스마트 홈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은 크게 세 부분으로, 데이터베이스(50)로 수집된 데이터를 통합해서 관리하는 "메인서버(40)"와, 홈 디바이스 집합(10)을 구성하는 각 홈 디바이스(10-1, 10-2, 10-3, 10-4, ...)의 정보를 수집하고 메인서버(40)와 통신을 하는 "허브(CPE)(20)"와, 사용자가 메인서버(40)와 통신하여 홈 디바이스의 제어와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 웹/앱 클라이언트(30-1, 30-2)인 "클라이언트(30)"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TR-069 프로토콜"은 도 2에 도시된 TR-069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참조하면 양방향 HTTP를 기반으로 Customer-Premises Equipment(CPE)와 Auto Configuration Servers(ACS) 간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안전한 자동 설정 기능을 제공하며 통합 환경 내에서 다른 CPE 관리 함수를 제어하고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해준다. TR-069 표준은 여러 가지 접속 방법에 대한 자동 설정을 제공하며 이를 이용해서 말단 장비들은 자동 설정 서버(Auto Configuration Servers)(ACS)에 접속하고 필요한 설정을 자동으로 받아오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따로 설정하지 않아도 필요한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OTA을 적용한 TR-069 프로토콜 기반의 스마트 홈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 집합(10)을 구성하는 각 디바이스로의 예시로 도 1에 도시된 IoT 콘센트 스위치(10-1), 스마트 TV(10-2), IoT 온도계(10-3), IoT 전등(10-4) 중 IoT 온도계(10-3) 관련 request 목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메인서버(40)에서는 클라이언트(30)의 단말기나 허브(CPE)(20)와 통신을 할 경우 HTTP 방식을 사용하여 URL 뒤에 GET이나 POST형식으로 request를 한다. 이때, 메인서버(40)는 도 3과 같이 requset에 따른 response를 미리 정의 하여 그에 해당하는 정보를 가져올 수 있다. 이 방식을 사용하면 기존의 웹 인프라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어 방화벽 문제에서 자유롭고, Resource를 Unique하게 설계를 하면 웹 캐시 서버도 이용 가능해 Resource 측면에 활용도가 높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OTA을 적용한 TR-069 프로토콜 기반의 스마트 홈 디바이스 관리 방법에서 허브(CPE)(20)와 홈 디바이스 집합(10) 간 SOAP 통신 방식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홈 디바이스 집합(10)과 메인서버(40)의 사이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허브(CPE)(20)는 리눅스 운영체제를 올린 Raspberry Pi를 사용할 수 있으며, 도 4와 같이 node.js 서버 환경을 구축하여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통신으로 등록된 홈 디바이스 집합(10)의 제어와 데이터 수집을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클라이언트(30)에서 허브(CPE)(20)로 전송된 “Turn on the light”에 따라, 허브(CPE)(20)는 IoT 콘센트 스위치(10-1)로 POST/upnp/control/basicevent1 형식의 HTTP with SOAP를 전송하며, IoT 콘센트 스위치(10-1)는 Echo sends SetBinaryState command를 수행한다. 이후, IoT 콘센트 스위치(10-1)는 returns confirmation을 위해 허브(CPE)(20)로 HTTP SOAP response을 전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OTA을 적용한 TR-069 프로토콜 기반의 스마트 홈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의 펌웨어 관리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FOTA을 적용한 TR-069 프로토콜 기반의 스마트 홈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은 FOTA(Firmware Over The Air)를 활용한 펌웨어 관리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의 펌웨어 관리를 위해 "FOTA(Firmware Over The Air)" 방식을 사용함으로서, 디바이스의 펌웨어를 무선으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 즉, FOTA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위해 디바이스를 PC와 같은 클라이언트(30)에 연결하거나 서비스 센터를 방문할 필요 없이, Wi-Fi 또는 무선 인터넷 환경에서 언제라도 펌웨어를 최신 버전으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
허브(CPE)(20)는 홈 디바이스 집합(10)의 각 홈 디바이스 연동시 홈 디바이스 상태와 펌웨어 버전 정보를 메인서버(40)에 함께 보내게 되는데, 이때 메인서버(40)는 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된 펌웨어 버전과 디바이스에 가져온 버전 정보가 다르면, 허브(CPE)(20)에 대해서 펌웨어 업데이트를 수행 명령한다. 이에 따라, 허브(CPE)(20)는 FOTA 방식으로 디바이스에 펌웨어 업데이트를 하는 메소드를 실행시킨다. 이를 통해 홈 디바이스 집합(10)의 각 홈 디바이스는 최신 버전의 펌웨어를 유지하게 된다.
즉, 기존의 펌웨어를 업데이트 하는 방식은 PC와 같은 클라이언트에서 디바이스에 맞는 최신 펌웨어를 다운을 받은 상태에서 디바이스와 연결하여 펌웨어를 업데이트 시키는 방식이었으나, FOTA 방식을 사용하여 프로세스 절차를 줄여서 홈 디바이스 집합(10)의 PC와 같은 클라이언트(30)에 연결 없이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만 설정되면 업데이트를 할 수 있게 하고, 펌웨어 업데이트의 자동화를 위해 도 5와 같이 메인서버(40)에서는 웹 스크래핑(Web Scraping)을 통해 주기적으로 등록된 디바이스의 최신 펌웨어 정보를 가져와 데이터베이스(50)에 갱신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데이터베이스(50)라 함은, 각각의 정보를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50)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링크드 리스트(linked-list), 트리(Tree),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저장매체 및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OTA을 적용한 TR-069 프로토콜 기반의 스마트 홈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에서의 웹 기반 클라이언트(30-1)에 포함된 모듈형 웹 대시보드의 서브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사용하는 웹 대시보드는 프레임워크로 구글의 앵귤러JS(AngularJS)를 사용하여 메인 모듈인 IotPlatform과 12개의 서브 모듈인 ngRoute, Side, Login, Mainboard(popup, Card), Log, Devicemanager, Systemmanager, Community, Fota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각 모듈들을 html상에 랜더링되는 뷰 중에서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기준으로 분류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웹 대시보드는 AngularJS의 양방향 데이터 바인딩을 통해 메인서버(40)의 데이터가 수정되면 브라우저에서도 리플레쉬 없이 즉각적으로 반영되도록 한다. 또한 부트스트랩 라이브러리의 그리드 기능을 적용하여 모바일 환경에서도 볼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OTA을 적용한 TR-069 프로토콜 기반의 스마트 홈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에서의 웹 대시보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이하, 'UI')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 맞춤 대시보드는 사용자가 웹(Web) 상에서 접속할 경우 ID에 등록되어 있는 홈 디바이스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한다. 더 나아가 각각의 홈 디바이스는 대시보드 형태로 객체화되어 있어 위치와 크기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현하고, 수집된 데이터들은 그래프를 통해 시각화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OTA을 적용한 TR-069 프로토콜 기반의 스마트 홈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에서의 앱 대시보드 메인 UI 화면과, 디바이스의 제어 UI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앱 기반의 제 2 클라이언트(30-2)의 앱의 기능은 등록 된 디바이스의 상태를 모니터링과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제 2 클라이언트(30-2)가 스마트폰인 경우, GPS 수신모듈을 통해 외출 판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홈 디바이스 집합
20 : 허브(Customer-Premises Equipment, CPE)(20)
30 : 클라이언트
30-1 : 웹(WEB) 기반의 제 1 클라이언트
30-2 : 앱(APP) 기반의 제 2 클라이언트
40 : 메인서버
50 : 데이터베이스

Claims (6)

  1. 데이터베이스(50)로 수집된 데이터를 통합해서 관리하는 메인서버(40);
    홈 디바이스 집합(10)을 구성하는 각 홈 디바이스의 정보를 수집하고 메인서버(40)와 통신을 하는 허브(CPE)(20); 및
    메인서버(40)와 통신하여 홈 디바이스 집합(10)을 구성하는 각 홈 디바이스의 제어와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웹(WEB) 기반의 제 1 클라이언트(30-1) 및 앱(APP) 기반의 제 2 클라이언트(30-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클라이언트(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OTA을 적용한 TR-069 프로토콜 기반의 스마트 홈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허브(CPE)(20)는,
    홈 디바이스 집합(10)의 각 홈 디바이스 연동시 홈 디바이스 상태와 펌웨어 버전 정보를 메인서버(40)에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OTA을 적용한 TR-069 프로토콜 기반의 스마트 홈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메인서버(40)는,
    허브(CPE)(20)로부터 수신된 홈 디바이스의 펌웨어 버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된 펌웨어 버전 정보와 다른 경우, 허브(CPE)(20)에 대해서 펌웨어 업데이트를 수행을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OTA을 적용한 TR-069 프로토콜 기반의 스마트 홈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허브(CPE)(20)는,
    FOTA 방식으로 홈 디바이스에 펌웨어 업데이트를 하는 메소드를 실행시켜서 홈 디바이스 집합(10)의 각 홈 디바이스에 대해서 최신 버전의 펌웨어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OTA을 적용한 TR-069 프로토콜 기반의 스마트 홈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허브(CPE)(20)와 메인서버(40) 간에는 TR-069 프로토콜을 이용한 양방향 HTTP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OTA을 적용한 TR-069 프로토콜 기반의 스마트 홈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웹(WEB) 기반의 제 1 클라이언트(30-1)는,
    웹 대시보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현시, 사용자 ID에 등록되어 있는 홈 디바이스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하며, 각각의 홈 디바이스에 대해서 대시보드 형태로 객체화되어 있어 위치와 크기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현하고, 수집된 데이터들은 그래프를 통해 시각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OTA을 적용한 TR-069 프로토콜 기반의 스마트 홈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KR1020160157494A 2016-11-24 2016-11-24 Fota을 적용한 tr―069 프로토콜 기반의 스마트 홈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881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494A KR101881148B1 (ko) 2016-11-24 2016-11-24 Fota을 적용한 tr―069 프로토콜 기반의 스마트 홈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494A KR101881148B1 (ko) 2016-11-24 2016-11-24 Fota을 적용한 tr―069 프로토콜 기반의 스마트 홈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8474A true KR20180058474A (ko) 2018-06-01
KR101881148B1 KR101881148B1 (ko) 2018-08-17

Family

ID=62634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7494A KR101881148B1 (ko) 2016-11-24 2016-11-24 Fota을 적용한 tr―069 프로토콜 기반의 스마트 홈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11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1113A (ko) * 2019-01-22 2020-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이파이 디바이스 시스템의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3474A (ko) * 2008-12-03 2010-06-11 주식회사 케이티 Fota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30049137A (ko) * 2011-11-03 2013-05-13 주식회사 케이티 Tr-069 프로토콜을 이용한 사용자 단말 장치 동시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130069287A (ko) * 2011-12-16 2013-06-26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클라우드 기반의 스마트홈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123273A (ko) 2013-02-25 2015-11-03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Iot 디바이스 그룹에서의 협업 지능 및 의사 결정
KR101589413B1 (ko) 2015-07-17 2016-01-2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IoT 디바이스에 대한 DNS 네이밍 방법
KR20160086332A (ko) 2013-11-14 2016-07-19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물리적인 iot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3474A (ko) * 2008-12-03 2010-06-11 주식회사 케이티 Fota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30049137A (ko) * 2011-11-03 2013-05-13 주식회사 케이티 Tr-069 프로토콜을 이용한 사용자 단말 장치 동시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130069287A (ko) * 2011-12-16 2013-06-26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클라우드 기반의 스마트홈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123273A (ko) 2013-02-25 2015-11-03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Iot 디바이스 그룹에서의 협업 지능 및 의사 결정
KR20160086332A (ko) 2013-11-14 2016-07-19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물리적인 iot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589413B1 (ko) 2015-07-17 2016-01-2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IoT 디바이스에 대한 DNS 네이밍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1113A (ko) * 2019-01-22 2020-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이파이 디바이스 시스템의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1148B1 (ko) 201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55390B (zh) 一种智能家居系统
KR101850879B1 (ko) 서비스 인에이블러 기능
CN101873343A (zh) 物联网组网方法及其系统
AU2016361086B2 (en) Smart home service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8812644B2 (en) Enabling customized functions to be implemented at a domain
EP2780806A1 (en) System comprising a publish/subscribe broker for a remote management of end-user devices, and respective end-user device
CN103312760A (zh) 实现终端设备即插即用管理的能力开放平台、方法及网关
CN102150381A (zh) 统一设备管理方法和系统
US11095471B2 (en) Home-autom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stituting the topology of a home-automation system
CN103201689A (zh) 具有嵌入式网络服务器的现场面板及其访问方法
WO2015001041A1 (en) A gateway system for facilitating the interoperability between different service domains and a multitude of communication protocols within and outside a home network
CN104954412A (zh) 物联网终端的固件管理方法、装置及通用服务实体
KR101881148B1 (ko) Fota을 적용한 tr―069 프로토콜 기반의 스마트 홈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16022018A1 (en) Universal control system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KR101672868B1 (ko)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소프트웨어 프로비저닝 시스템 및 방법
US20160330565A1 (en) Z-wave controller shift in thermostats
CN109547536A (zh) 智能网关设备类型自动识别及软件版本升级方法及系统
CN103106713A (zh) 一种基于云管理的门禁考勤实现方法
CN113424510A (zh) 基于模板的注册
CN102904978B (zh) 泛在网络内泛在设备实现通用即插即用的方法
CN105391749A (zh) 一种物联网中设备的联网系统和显示方法
US20120303832A1 (en) Achieving a uniform device abstraction layer
CN103873284A (zh) 设备管理系统及方法
CN103716368A (zh) 利用具备wifi模块的可视电话的远程控制装置
KR100641831B1 (ko) 동적 노드 관리를 위한 oma 장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