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7900A - 방수시트를 이용한 욕실 바닥층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방수시트를 이용한 욕실 바닥층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7900A
KR20180057900A KR1020160156337A KR20160156337A KR20180057900A KR 20180057900 A KR20180057900 A KR 20180057900A KR 1020160156337 A KR1020160156337 A KR 1020160156337A KR 20160156337 A KR20160156337 A KR 20160156337A KR 20180057900 A KR20180057900 A KR 20180057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sheet
bathroom
connection socket
wall
water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6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태광
Original Assignee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6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7900A/ko
Publication of KR20180057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79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8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use in wet roo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욕실 크기에 대응하도록 연질의 방수시트를 제작공장에서 미리 재단하여 준비하므로 시공시간을 최대한 단축시킴은 물론 제품의 소형화로 운반이 용이하며 연결소켓이 접착된 방수시트를 욕실 내부에서 접어서 고정시키므로 제작단가를 절감시킬 뿐만 아니라 시공성을 향상시켜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방수시트를 이용한 욕실 바닥층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수시트를 이용한 욕실 바닥층의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of bathroom floor using waterproof sheet}
본 발명은 방수시트를 이용한 욕실 바닥층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욕실 크기에 대응하도록 연질의 방수시트를 제작공장에서 미리 재단하여 준비하므로 시공시간을 최대한 단축시킴은 물론 제품의 소형화로 운반이 용이하며 연결소켓이 접착된 방수시트를 욕실 내부에서 접어서 고정시키므로 제작단가를 절감시킬 뿐만 아니라 시공성을 향상시켜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방수시트를 이용한 욕실 바닥층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 방수방법을 살펴보면, 기존 욕실 방수는 방수액을 슬라브층에 도포하여 방수작업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1차 방수처리 후 코너와 파이프 등에 아스팔트계 수지를 이용한 2차 방수처리를 단계적으로 실시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욕실 방수방법은 건설 기능공이 수작업으로 시공을 하므로 시공기간이 길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기술력, 작업환경에 따라 시공품질이 크게 달라지게 된다.
또한, 바닥 몰탈 혹은 슬라브층에 크랙 발생시 액체 도막이 파괴되면서 방수기능을 상실할 수 있으며, 크랙 발생부분에 물이 유입되어 고이면서 썩는 현상이 발생하여 위생적으로도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147238호로 방수판을 이용한 욕실 조립구조 및 그 시공방법이 등록된 바 있다.
상기 선 등록발명은 외주연 받침턱이 상향으로 절곡된 하나의 방수판으로 욕실 바닥 전체를 커버하도록 하고, 벽판넬을 상기 받침턱 상에 조립설치하고, 그 상,하단을 고정금구와 체결봉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 등록발명의 방수판은 FRP(fiber reinforced plastic) 또는 금속재질로 제작되므로 제작단가가 상승하여 비경제적이며, 상기 방수판이 각각의 욕실 크기에 맞게 제작되므로 방수판의 대형화로 인해 운반 및 보관성이 떨어지며 외부 충격으로 인해 형상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박스체로 형성된 방수판을 욕실 바닥에 안착시켜 시공되므로 시공 효율성이 현저하게 떨어져 시공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욕실 크기에 대응하도록 연질의 방수시트를 제작공장에서 미리 재단하여 준비하므로 시공시간을 최대한 단축시킴은 물론 제품의 소형화로 운반이 용이한 방수시트를 이용한 욕실 바닥층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결소켓이 접착된 방수시트를 욕실 내부에서 접어서 고정시키므로 제작단가를 절감시킬 뿐만 아니라 시공성을 향상시켜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방수시트를 이용한 욕실 바닥층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방수시트를 이용한 욕실 바닥층의 시공방법은, 욕실 크기에 맞게 방수시트를 일정 규격으로 재단하는 단계와;
상기 방수시트 일측에 연결소켓을 접착시키되, 욕실 벽면에 설치되는 관통슬리브와 대응하는 위치에 연결소켓을 접착한 후, 상기 연결소켓 내부의 방수시트를 절단하여 설치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소켓이 접착된 방수시트를 욕실 내부의 슬라브층에 안착시키고 방수시트의 가장자리를 접어서 일정 높이의 방수벽을 형성한 후 슬라브층과 벽면에 타카핀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방수시트의 상부에 배수트랩을 위치시키고 배수관을 고정슬리브에 결합시킨 후 배수관의 단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연결소켓을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방수시트의 방수벽 내측에 타일이 부착된 벽판넬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방수시트의 내측 상부에 배수트랩이 매립되도록 시멘트몰탈을 타설한 후 타일을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욕실 크기에 대응하도록 연질의 방수시트를 제작공장에서 미리 재단하여 준비하므로 시공시간을 최대한 단축시킴은 물론 제품의 소형화로 운반이 용이한 이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연결소켓이 접착된 방수시트를 욕실 내부에서 접어서 고정시키므로 제작단가를 절감시킬 뿐만 아니라 시공성을 향상시켜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공정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 방수시트에 연결소켓이 접착된 상태의 부분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방수시트가 욕실 내부에 고정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 방수시트 내부에 배수트랩과 배수관이 설치되는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 방수시트 내부에 시멘트몰탈을 타설한 후 타일을 부착하는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 방수시트를 이용한 욕실 바닥층의 시공방법은, 욕실 크기에 맞게 방수시트(10)를 일정 규격으로 재단하는 단계와; 상기 방수시트(10) 일측에 연결소켓(20)을 접착시키되, 욕실 벽면(40)에 설치되는 관통슬리브(41)와 대응하는 위치에 연결소켓(20)을 접착한 후, 상기 연결소켓(20) 내부의 방수시트(10)를 절단하여 설치공(11)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소켓(20)이 접착된 방수시트(10)를 욕실 내부의 슬라브층(30)에 안착시키고 방수시트(10)의 가장자리를 접어서 일정 높이의 방수벽(12)을 형성한 후 슬라브층(30)과 벽면(40)에 타카핀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방수시트(10)의 상부에 배수트랩(50)을 위치시키고 배수관(51)을 고정슬리브(41)에 결합시킨 후 배수관(51)의 단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연결소켓(20)을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방수시트(10)의 방수벽(12) 내측에 타일이 부착된 벽판넬(60)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방수시트(10)의 내측 상부에 배수트랩(50)이 매립되도록 시멘트몰탈(70)을 타설한 후 타일을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연결소켓(20)을 방수시트(10)에 접착시, 연결소켓(20)의 연결몸체(21)만 방수시트(10)에 접착되도록 하고, 연결몸체(21) 하부에 형성된 지지판(22)은 절곡부(23)를 통해 절곡 가능한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소켓(20)은 접착제 또는 열융착방식 중 어느 하나로 접착된다.
상기 연결소켓(20)에 형성되는 연결공(21a) 선단부에는 내측으로 경사진 안내면(21b)이 형성되어 배수관(51)의 설치를 안내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시공과정을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시공하고자 하는 욕실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일정 규격의 방수시트(10)를 제작공장에서 재단한다.(S10)
상기 방수시트(10)는 연질의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로 이루어지므로 부피를 소형화할 수 있고 시공현장으로의 운반이 용이하며, 후술하는 절곡공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방수시트(10)의 일측에는 연질로 이루어진 연결소켓(20)을 접착시켜야 하는데, 먼저, 방수시트(10)를 시공현장으로 운반한 후, 욕실 벽면(40)의 소정위치에 시공된 관통슬리브(41)와 대응하는 위치에 연결소켓(20)을 접착시킨다.
상기 연결소켓(20)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시킬 수 있으며 열융착 방식을 통해 방수시트(10)와 접착시킬 수도 있다.
상기 연결소켓(20)이 방수시트(10)에 접착되면, 연결소켓(20)에 형성된 연결공(21a) 내측의 방수시트(10)를 절단도구를 이용하여 도려내어 설치공(11)을 형성한다.
상기 연결소켓(20)을 방수시트(10)에 접착시, 연결소켓(20)의 연결몸체(21)만 방수시트(10)에 접착되도록 하고, 연결몸체(21) 하부에 연장형성된 지지판(22)은 절곡부(23)를 통해 절곡 가능한 상태를 유지시킨다.(S20)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소켓(20)이 접착된 방수시트(10)를 욕실 내부의 슬라브층(30)에 안착시킨 후, 방수시트(10)의 가장자리를 접어서 일정 높이의 방수벽(12)을 형성시킨다.
이때, 상기 연결소켓(20)의 지지판(22)은 절곡부(23)에 의해 90°절곡되어 방수시트(10)의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가 된다.
상기 방수벽(12) 형성시, 방수시트(10)에 형성된 설치공(11)이 욕실 벽면에 시공된 관통슬리브(41)와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해야 한다.
상기와 같이 방수벽(12)을 형성한 후 슬라브층(30)과 욕실 벽면(40)에 타카핀(미도시)을 이용하여 고정시킨다.(S30)
또한, 욕실 벽면(40)과 슬라브층(30)에 방수시트(10)가 고정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시트(10) 상부의 소정 위치에 통상의 구조로 된 배수트랩(50)을 위치시킨다.
상기 배수트랩(50)의 일측에 배수관(51)을 연결시키고, 상기 배수관(51)의 단부를 연결소켓(20)과 설치공(11)을 통해 고정슬리브(41)에 결합시킨 후, 연결소켓(20)의 연결몸체(21)를 배수관(51)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시킨다.(S40)
상기 연결소켓(20)은, 연결몸체(21)의 중앙이 일측으로 돌출형성되어 내부가 관통되는 연결공(21a)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공(21a)의 선단부에는 내측으로 경사진 안내면(21b)이 형성되어 배수관(51)의 설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방수시트(10)에 배수트랩(50)과 배수관(51)이 설치된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시트(20)의 가장자리에 수직으로 형성된 방수벽(12)의 내측으로 타일이 부착된 벽판넬(60)을 수직으로 설치한다.
상기 벽판넬(60)은 욕실 벽면(40)에 밀착될 수도 있고 벽판넬(60)과 욕실 벽면(40) 사이가 이격될 경우 단열재(미도시)를 시공할 수도 있다.
상기 벽판넬(60)은 욕실 벽면(40)에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되는 통상의 고정방법으로 설치된다.(S50)
상기와 같이 벽판넬(60)이 설치되면, 방수시트(10)의 내측에 시멘트몰탈(70)을 타설하여 배수트랩(50)과 배수관(51)이 매립되도록 하면서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바닥면을 형성시킨 후, 타일을 부착하여 시공을 완료하면 되는 것이다.(S6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방수시트 11: 설치공
12: 방수벽 20: 연결소켓
21: 연결몸체 22: 지지판
23: 절곡부 30: 슬라브층
40: 벽면 41: 관통슬리브
50: 배수트랩 51: 배수관
60: 벽판넬 70: 시멘트몰탈

Claims (4)

  1. 욕실 크기에 맞게 방수시트를 일정 규격으로 재단하는 단계와;
    상기 방수시트 일측에 연결소켓을 접착시키되, 욕실 벽면에 설치되는 관통슬리브와 대응하는 위치에 연결소켓을 접착한 후, 상기 연결소켓 내부의 방수시트를 절단하여 설치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소켓이 접착된 방수시트를 욕실 내부의 슬라브층에 안착시키고 방수시트의 가장자리를 접어서 일정 높이의 방수벽을 형성한 후 슬라브층과 벽면에 타카핀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방수시트의 상부에 배수트랩을 위치시키고 배수관을 고정슬리브에 결합시킨 후 배수관의 단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연결소켓을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방수시트의 방수벽 내측에 타일이 부착된 벽판넬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방수시트의 내측 상부에 배수트랩이 매립되도록 시멘트몰탈을 타설한 후 타일을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를 이용한 욕실 바닥층의 시공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소켓을 방수시트에 접착시, 연결소켓의 연결몸체만 방수시트에 접착되도록 하고, 연결몸체 하부에 형성된 지지판은 절곡부를 통해 절곡 가능한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를 이용한 욕실 바닥층의 시공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소켓은 접착제 또는 열융착방식 중 어느 하나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를 이용한 욕실 바닥층의 시공방법.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소켓에 형성되는 연결공 선단부에는 내측으로 경사진 안내면이 형성되어 배수관의 설치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를 이용한 욕실 바닥층의 시공방법.
KR1020160156337A 2016-11-23 2016-11-23 방수시트를 이용한 욕실 바닥층의 시공방법 KR201800579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337A KR20180057900A (ko) 2016-11-23 2016-11-23 방수시트를 이용한 욕실 바닥층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337A KR20180057900A (ko) 2016-11-23 2016-11-23 방수시트를 이용한 욕실 바닥층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900A true KR20180057900A (ko) 2018-05-31

Family

ID=62454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6337A KR20180057900A (ko) 2016-11-23 2016-11-23 방수시트를 이용한 욕실 바닥층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790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62543A (zh) * 2022-07-11 2022-10-11 中冶南方城市建设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预留孔洞的复合式防水护筒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62543A (zh) * 2022-07-11 2022-10-11 中冶南方城市建设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预留孔洞的复合式防水护筒
CN115162543B (zh) * 2022-07-11 2023-10-20 中冶南方城市建设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预留孔洞的复合式防水护筒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1288B1 (en) Waterproof base and methods of fabrication and installation thereof
CN110352282B (zh) 建筑物的墙壁结构、安装装置及板材的施工方法
RU2385392C2 (ru) Внешнестеновая конструкция
KR20180057900A (ko) 방수시트를 이용한 욕실 바닥층의 시공방법
JP2008038426A (ja) 可撓止水継手およびその施工方法
CN110522331B (zh) 一种拼装卫浴底盘
KR101988123B1 (ko) 건축용 외벽마감재 고정장치를 이용한 고정방법
JP6072416B2 (ja) 屋根置き型太陽光パネル配線引込部の屋根止水構造
KR200465920Y1 (ko) 욕실용 방수 시공구조
JP6404622B2 (ja) 仮防水構造および仮防水工法
KR20070085022A (ko) 옥상 코너부의 방수 보호대
JP5586389B2 (ja) 屋上におけるドレン周辺部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5314961B2 (ja) シート防水構造
JP5069734B2 (ja) 基礎用あと施工アンカー
JP2007070877A (ja) 建造物の隅角部における防水シートの施工方法
KR200482505Y1 (ko) 방수용 앵커볼트
JP2009079400A (ja) パラペットの防水下地構造及び防水構造
CN101225910A (zh) 建筑管道预埋接头
JP2018155052A (ja) 防水部材、建物の防水構造、防水部材用鋼板および防水部材用シート
JP5735063B2 (ja) ドレインの防水構造
KR102409576B1 (ko) 조립식 욕실용 방수판 제작공법
CN213418357U (zh) 一种隔层排水卫生间楼地面防水结构
JP2007120191A (ja) 側溝鋼板の排水防水工法
JP2002146803A (ja) 外断熱基礎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2018066158A (ja) 建物への付設物支持用基礎およびその設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