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7724A - 조전지 - Google Patents

조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7724A
KR20180057724A KR1020187013677A KR20187013677A KR20180057724A KR 20180057724 A KR20180057724 A KR 20180057724A KR 1020187013677 A KR1020187013677 A KR 1020187013677A KR 20187013677 A KR20187013677 A KR 20187013677A KR 20180057724 A KR20180057724 A KR 20180057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assembly
spacer
pair
bus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3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1414B1 (ko
Inventor
마사히로 나카모토
겐 다카야마
Original Assignee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57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7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2/1077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1M2/206
    • H01M2/2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71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7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n arrangement of two or more busbars within a container structure, e.g. busbar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69Constructional details of 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detecting conditions inside cells or batteries, e.g. details of voltage sensing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박형화나 소형화를 도모한 조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조전지(100)는, 발전 요소(111)를 포함해 편평하게 형성된 전지 본체(110H)와, 전지 본체로부터 도출된 전극 탭(113)을 구비하고, 두께 방향으로 적층한 적어도 1쌍의 단전지(110), 및 적층한 1쌍의 단전지의 전극 탭 사이에 배설되는 절연성 스페이서(121)를 구비한 전지 어셈블리(100M, 100N)가 복수 적층되어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스페이서는, 1쌍의 단전지의 어셈블리 내 전극 탭(114)을 보유 지지하고, 보유 지지된 1쌍의 단전지는 전지 어셈블리 내에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인접하는 전지 어셈블리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1쌍의 어셈블리 내 전극 탭의 선단부(115a)는, 스페이서의 면 중, 전지 본체와는 반대측에 위치한 면의 측에서, 전지 어셈블리의 적층 방향으로 절곡되고, 절곡된 부분끼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Description

조전지
본 발명은 조전지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업계에서는 근년, 환경 보호나 연비 등의 관점에서 이차 전지나 연료 전지의 개발이 주로 행해지고 있다. 이차 전지는 전지 하나하나의 출력이 그리 크지 않기 때문에, 자동차의 항속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원하는 수 적층되어 조전지가 된다. 조전지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서, 특허문헌 1에는 조전지를 구성하는 단전지끼리 조전지의 케이스 내부에서 이동하거나 하지 않도록, 평면으로 보았을 때의 이차 전지의 단부에 스페이서를 배치하는 기술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18755호 공보
스페이서는, 단전지로부터 면 방향으로 돌출하는 전극 탭의 부근에서 단전지의 형상에 맞춰서 배치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편평한 형상이 되기 쉽다. 또한, 조전지와 같이 단전지를 복수 적층하는 분야에서는 조전지의 체적을 작게 하고자, 전지의 박형화나 소형화가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박형화를 위하여 단전지를 얇게 하려고 하면, 스페이서는 단전지의 형상에 맞게 배치되는 것이 통상이기 때문에, 스페이서의 두께도 얇아진다. 스페이서는 수지 재료로 성형되는 경우가 많고, 얇아진 경우, 평면 방향의 치수에 비하여 두께 방향의 치수가 보다 작아져, 스페이서의 성형성이나 강도 등의 점이 염려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박형화나 소형화를 도모한 조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관한 조전지는, 발전 요소를 포함해 편평하게 형성한 전지 본체와, 전지 본체로부터 도출된 전극 탭을 구비하고, 두께 방향으로 적층한 적어도 1쌍의 단전지, 및 적층한 1쌍의 단전지의 전극 탭 사이에 배설되는 절연성 스페이서를 구비한 전지 어셈블리가 복수 적층되어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스페이서는, 1쌍의 단전지의 전극 탭을 보유 지지하고, 보유 지지된 1쌍의 단전지는 전지 어셈블리 내에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인접하는 전지 어셈블리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1쌍의 전극 탭의 선단부는, 스페이서의 면 중, 전지 본체와는 반대측에 위치한 면의 측에서, 전지 어셈블리의 적층 방향으로 절곡되고, 절곡된 부분끼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조전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의 (A), 도 2의 (B)는 도 1의 조전지를 나타내는 평면도, 측면도이다.
도 3은 조전지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되는 적층체로부터 보호 커버를 제거하고, 또한, 적층체를 전지군과 버스 바 유닛으로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되는 버스 바 유닛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종류가 상이한 전지 어셈블리를 적층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전지 어셈블리에 있어서 전극 탭 부분을 확대하고, 스페이서를 표시하지 않는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인접하는 전지 어셈블리의 전류의 흐름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전지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1쌍의 스페이서(제1 스페이서 및 제2 스페이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의 (A), 도 10의 (B)는 전지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어셈블리 내 버스 바를 나타내는 사시도, 정면도이다.
도 11은 적층한 전지 어셈블리의 어셈블리간 전극 탭에 어셈블리간 버스 바를 접합한 상태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어셈블리 내 전극 탭과 어셈블리간 전극 탭의 변형예이며, 전류의 흐름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어셈블리 내 전극 탭과 어셈블리간 전극 탭의 변형예이며, 전류의 흐름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어셈블리 내 전극 탭과 어셈블리간 전극 탭의 위치 관계에 관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면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 있어서의 부재의 크기나 비율은, 설명의 편의상 과장되어 실제의 크기나 비율과는 상이한 경우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조전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의 (A), 도 2의 (B)는 도 1의 조전지를 나타내는 평면도, 측면도이다. 도 3은 조전지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되는 적층체로부터 보호 커버를 제거하고, 또한, 적층체를 전지군과 버스 바 유닛으로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되는 버스 바 유닛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종류가 상이한 전지 어셈블리를 적층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전지 어셈블리에 있어서 전극 탭 부분을 확대하고, 스페이서를 표시하지 않는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인접하는 전지 어셈블리의 전류의 흐름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전지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1쌍의 스페이서(제1 스페이서 및 제2 스페이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의 (A), 도 10의 (B)는 전지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어셈블리 내 버스 바를 나타내는 사시도, 정면도이다. 도 11은 적층한 전지 어셈블리의 어셈블리간 전극 탭에 어셈블리간 버스 바를 접합한 상태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1에 도시되는 상태에 있어서, 왼쪽 앞측을 조전지(100) 전체 및 각 구성 부품의 「전방면측」이라 하고, 오른쪽 안측을 조전지(100) 전체 및 각 구성 부품의 「배면측」이라 하고, 오른쪽 앞측 및 왼쪽 안측을 조전지(100) 전체 및 각 구성 부품의 좌우의 「측방측」이라고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전지(100)는, 편평 형상을 갖는 단전지(110)를 두께 방향으로 복수매 적층한 전지군(100G)을 포함하는 적층체(100S)를 갖는다. 조전지(100)는 또한, 적층체(100S)의 전방면측에 장착되는 보호 커버(140)와, 단전지(110)의 적층 방향을 따라서 각각의 단전지(110)를 가압한 상태에 있어서 적층체(100S)를 수용하는 케이스(150)를 갖는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체(100S)는, 전지군(100G)과, 전지군(100G)의 전방면측에 장착되어 복수개의 버스 바(131)를 일체적으로 보유 지지하는 버스 바 유닛(130)을 갖는다. 보호 커버(140)는, 버스 바 유닛(130)을 피복하여 보호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 바 유닛(130)은, 복수개의 버스 바(131)와, 복수개의 버스 바(131)를 매트릭스 형상으로 일체적으로 장착되는 버스 바 홀더(132)를 갖는다. 복수의 버스 바(131) 중, 애노드측의 종단부에는 애노드측 터미널(133)을 장착하고, 캐소드측의 종단부에는 캐소드측 터미널(134)을 장착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조전지(100)는, 도 1, 도 11을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발전 요소(111)를 포함해 편평하게 형성된 전지 본체(110H)와, 전지 본체(110H)로부터 도출된 전극 탭(113)을 구비하고, 두께 방향으로 적층한 1쌍의 단전지(110) 및 적층한 1쌍의 단전지(110)의 전극 탭(113) 사이에 배설하는 제1 스페이서(121) 및 제2 스페이서(122)를 구비한 전지 어셈블리(100M, 100N)가 복수 적층되어, 제1 스페이서(121) 및 제2 스페이서(122)는 1쌍의 단전지(110)의 전극 탭(113)을 보유 지지하고, 보유 지지된 1쌍의 단전지(110)는 전지 어셈블리(100M, 100N) 내에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인접하는 전지 어셈블리(100M, 100N)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1쌍의 어셈블리간 전극 탭(115)의 선단부(115a)는, 제1 스페이서(121)의 면 중, 전지 본체(110H)와 반대측에 위치한 면의 측에서, 전지 어셈블리(100M, 100N)의 적층 방향 Z에 절곡되고, 절곡된 부분끼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하, 상세히 기술한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지군(100G)은, 전기적으로 직렬 접속한 2개의 단전지(110)를 포함하는 전지 어셈블리(100M)와, 전기적으로 직렬 접속한 별도의 2개의 단전지(110)를 포함하는 전지 어셈블리(100N)를 어셈블리간 버스 바(131)에 의해 직렬로 접속하여 구성하고 있다.
전지 어셈블리(100M) 및 전지 어셈블리(100N)는, 단전지(110)의 전극 탭(113)을 구성하는 어셈블리간 전극 탭(115)의 선단부(115a)의 절곡 방향을 제외하고 동일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는, 전지 어셈블리(100N)는, 전지 어셈블리(100M)에 포함되는 단전지(110)의 천지를 뒤바꾼 것이다. 단, 전지 어셈블리(100N)의 어셈블리간 전극 탭(115)의 선단부의 절곡 방향은, 천지를 뒤바꿔도 상이하게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단전지(110)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쌍의 스페이서(120)(제1 스페이서(121) 및 제2 스페이서(122))를 장착하고 있다.
단전지(110)는, 예를 들어 편평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 상당한다. 단전지(110)는, 도 11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전 요소(111)를 1쌍의 라미네이트 필름(112)에 의해 밀봉한 전지 본체(110H)와, 발전 요소(11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지 본체(110H)로부터 외부로 도출된 박판 형상의 전극 탭(113)을 구비하고 있다.
발전 요소(111)는, 정극과 부극을 세퍼레이터로 끼움 지지한 것을 복수매 적층하여 구성하고 있다. 발전 요소(111)는, 외부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받아서 충전한 후, 외부의 전기 디바이스에 대해 방전하면서 전력을 공급한다.
라미네이트 필름(112)은, 절연성을 구비한 시트에 의해 금속박의 양측을 덮어서 구성하고 있다. 1쌍의 라미네이트 필름(112)은, 발전 요소(111)를 적층 방향 Z에 따른 양측으로부터 피복하고, 그 4변을 밀봉하고 있다. 1쌍의 라미네이트 필름(112)은,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짧은 변 방향 Y에 따른 일단부(112a)의 사이부터 외부를 향하고, 어셈블리간 전극 탭(115A) 또는 어셈블리간 전극 탭(115K)을 도출시키고 있다.
라미네이트 필름(112)은, 도 6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짧은 변 방향 Y에 따른 일단부(112a)의 양단에 각각 구비한 1쌍의 연결 구멍(112e)에, 제1 스페이서(121)의 1쌍 연결 핀(121i)을 각각 삽입 관통시키고 있다. 한편, 라미네이트 필름(112)은, 짧은 변 방향 Y에 따른 타단부(112b)의 양단에 각각 구비한 1쌍의 연결 구멍(112e)에, 1쌍의 연결 핀(122i)을 각각 삽입 관통시키고 있다. 라미네이트 필름(112)은, 긴 변 방향 X에 따른 양단부(112c 및 112d))를, 적층 방향 Z의 상방을 향하여 절곡하여 형성하고 있다.
전극 탭(113)은, 전지 어셈블리(100M, 100N)에 각각 설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지 어셈블리(100M)는, 적층 방향 Z에 있어서 인접하는 1쌍의 단전지(110)를 도전성이 있는 부재인 어셈블리 내 버스 바(123)(도전 부재에 상당)를 개재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전지 어셈블리(100N)는, 적층 방향 Z에 있어서 인접하는 1쌍의 단전지(110)를 어셈블리 내 버스 바(124)를 개재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전극 탭(113)은, 전지 어셈블리(100M, 100N)에 있어서 인접하는 1쌍의 단전지(110)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어셈블리 내 전극 탭(114)과, 인접하는 전지 어셈블리(100M)와 전지 어셈블리(100N)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어셈블리간 전극 탭(115)을 갖는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114A는 어셈블리 내의 애노드 전극 탭을 나타내고, 114K는 어셈블리 내 캐소드 전극을 나타낸다. 또한, 115A는 어셈블리간의 애노드 전극을 나타내고, 115K는 어셈블리간의 캐소드 전극을 나타낸다.
어셈블리 내 전극 탭(114)은, 도 8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라미네이트 필름(112)의 긴 변 방향 X에 따르는 변에 있어서의 일단부(112a)이며, 후술하는 어셈블리 내 버스 바(123)와 함께 짧은 변 방향 Y에 있어서 어셈블리간 전극 탭(115)보다도 내측인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어셈블리 내 전극 탭(114)은, 제1 스페이서(121)의 1변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어셈블리 내 전극 탭(114)은, 전지 어셈블리(100M)에 있어서 도 7의 상부에 위치하는 단전지(110)에 어셈블리 내 전극 탭(114K)을 설치하고, 하측의 단전지(110)에 어셈블리 내 전극 탭(114A)(도시되지 않음)을 설치하고 있다. 어셈블리 내 전극 탭(114K)은, 도 7에 있어서 우측에 설치하고, 어셈블리 내 전극 탭(114A)은 도 7에 있어서 좌측에 설치하고 있다. 어셈블리 내 전극 탭(114A)과 어셈블리 내 전극 탭(114K)은, 전극 탭을 배열하는 짧은 변 방향 Y에 있어서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배치하고 있다. 어셈블리 내 전극 탭(114A) 및 어셈블리 내 전극 탭(114K)은, 긴 변 방향 X로 연장되도록 형성하고 있다. 또한, 어셈블리 내 전극 탭(114)은, 후술하는 어셈블리 내 버스 바(123)와 접속된다.
어셈블리간 전극 탭(115)은, 어셈블리 내 전극 탭(114)보다도 전극 탭을 배열하는 짧은 변 방향 Y에 있어서의 외측에 있어서의 단부측에 배치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지 어셈블리(100M)에서는, 상부의 단전지(110)의 도 7에 있어서의 좌측에 어셈블리간 전극 탭(115A)을 배치하고 있다. 또한, 도 7에 있어서의 하부에 배치한 단전지(110)에서는 우측에 어셈블리간 전극 탭(115K)을 배치하고 있다.
어셈블리간 전극 탭(115)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전지 어셈블리(100M, 100N)에 있어서 어셈블리간 전극 탭(115)이 위치하는 측에 있어서 어셈블리간 버스 바(131)에 접합되어 있다.
어셈블리간 전극 탭(115A)은, 전지 본체(110H)로부터 긴 변 방향 X로 연장시킴과 함께, 도중에서 선단부(115a)를 적층 방향 Z에 있어서의 하방으로 절곡하고, 소위 L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어셈블리간 전극 탭(115K)은, 어셈블리간 전극 탭(115A)과 마찬가지로 전지 본체(110H)로부터 긴 변 방향 X로 연장시키고, 도중에서 상방으로 절곡하여 L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전지 어셈블리(100M, 100N)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으면, 어셈블리간 전극 탭(115)의 절곡 방향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형상도 L자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선단부(115a)는, 제1 스페이서(121) 또는 제2 스페이서(122)의 면 중, 전지 본체(110H)와는 반대측의 면에 위치하고 있다.
여기서,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전지 어셈블리에 있어서의 전류의 경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8에 있어서의 이점쇄선은 전류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12, 도 13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전지 어셈블리(100M)에 있어서 도시되지 않은 전지 유닛의 애노드 전극 탭으로부터 흐르는 전류는 도 8 우측 상단의 단전지(110)의 캐소드 어셈블리간 전극 탭(115K)으로 흘러, 단전지(110)의 내부를 통하여 어셈블리 내 전극 탭(114A)에 흐른다. 어셈블리 내 전극 탭(114A)으로부터 전류는, 후술하는 어셈블리 내 버스 바(123)를 개재하여 상부의 단전지(110)의 어셈블리 내 전극 탭(114K)에 흘러, 단전지(110)의 내부를 통하여 어셈블리간 전극 탭(115A)에 흐른다. 어셈블리간 전극 탭(115A)으로부터 전류는, 적층 방향 Z에 있어서 인접하는 전지 어셈블리(100N)의 어셈블리간 전극 탭(115K)으로 흐른다. 그리고, 전지 어셈블리(100N)에 있어서, 어셈블리간 전극 탭(115K), 어셈블리 내 전극 탭(114A), 어셈블리 내 버스 바(124), 어셈블리 내 전극 탭(114K), 어셈블리간 전극 탭(115A)의 순서대로 흐른다. 도 8에 있어서의 상방에서 3개째의 전지 어셈블리(100M)는 상방에서 1단째의 전지 어셈블리(100M)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의 경우, 전지 어셈블리(100M, 100N)의 각각에 있어서 인접하는 단전지(110) 및 전지 어셈블리(100M과 100N)는 모두 직렬로 접속된다. 또한, 인접하는 전지 어셈블리(100M, 100N)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면 테이프(160)를 부착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스페이서(120)를 구성하는 제1 스페이서(121) 및 제2 스페이서(122)는, 도 6,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 방향 Z에 있어서 적층한 단전지(110) 사이에 배설되어 있다. 제1 스페이서(121) 및 제2 스페이서(122)는, 복수의 변이나 면을 구비한 다면체를 포함한다. 제1 스페이서(121)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평한 단전지(110)가 연장하는 평면 방향 XY에 있어서의 일단부(112a)에 따라 배설되어 있다. 제2 스페이서(122)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평한 단전지(110)가 연장하는 평면 방향 XY이며 단전지(110)의 일단부(112a)는 반대측의 타단부(112b)를 따라 배설되어 있다. 1쌍의 단전지(110)는, 제1 스페이서(121) 및 제2 스페이서(122)를 설치하고 나서, 적층 방향 Z를 따라 복수매 적층한다. 제1 스페이서(121) 및 제2 스페이서(122)는, 절연성을 구비한 강화 플라스틱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 제1 스페이서(121) 및 제2 스페이서(122)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스페이서(121)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셈블리 내 전극 탭(114) 및 어셈블리간 전극 탭(115)을 배열하는 짧은 변 방향 Y에 긴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스페이서(121)는, 적층 방향 Z에 있어서 인접하는 제1 스페이서(121)를 적재하기 위한 적재부(121M, 121N)를 짧은 변 방향 Y에 있어서의 양단에 구비하고 있다.
제1 스페이서(121)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전지(110)에 장착한 상태에서 적층했을 때, 하나의 제1 스페이서(121)의 적재부(121M 및 121N)의 상면(121a)과, 당해 하나의 제1 스페이서(121)의 상방에 배설된 다른 제1 스페이서(121)의 적재부(121M 및 121N)의 하면(121b)이 맞닿는다.
제1 스페이서(121)는,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매 적층하는 단전지(110)가 상대적인 위치 결정을 행하기 위하여, 하나의 제1 스페이서(121)의 상면(121a)에 구비된 위치 결정 핀(121c)과, 다른 제1 스페이서(121)의 하면(121b)에 개구하여 위치 결정 핀(121c)의 위치에 대응한 위치 결정 구멍(121d)을 끼워 맞춘다.
제1 스페이서(121)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 방향 Z를 따라 연결하는 복수의 조전지(100)끼리를 연결하는 볼트를 삽입 관통하기 위하여 로케이트 구멍(121e)을, 적층 방향 Z을 따라 적재부(121M 및 121N)에 각각 개구되어 있다.
제1 스페이서(121)는, 적재부(121M, 121N)보다도 긴 변 방향(짧은 변 방향 Y)에 있어서의 중앙을 절결하고, 라미네이트 필름(112)의 일단부(112a)를 적재하여 지지하고 있다. 제1 스페이서(121)는, 라미네이트 필름(112)을 장착하기 위한 연결 핀(121i)을 구비하고 있다. 연결 핀(121i)에서 전지 어셈블리(100M, 100N)를 구성하는 1쌍의 단전지(110)가 제1 스페이서(121)에 장착되어, 보유 지지된다.
제1 스페이서(121)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셈블리 내 버스 바(123 또는 124)를 장착하기 위한 홈부(121k)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홈부(121k)의 짧은 변 방향 Y에 있어서의 근방에는, 어셈블리 내 버스 바(123 또는 124)를 노출하여 배치하는 노출부(121j)를 설치하고 있다. 노출부(121j)보다도 외측에는, 외부로부터 어셈블리 내 버스 바(123 또는 124)를 시인할 수 있도록 개구부(121n)가 설치되어 있다. 노출부(121j)에는 어셈블리 내 버스 바(123 또는 124)가 배치되고, 그 위에 어셈블리 내 전극 탭(114)이 배치된다. 또한, 전극 탭은 단전지의 두께에 비하여 얇게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노출부(121j)는, 제1 스페이서(121)의 적층 방향 Z에 있어서의 양면을 일부 절결하여 어셈블리 내 전극 탭(114)을 설치할 수 있도록 어셈블리 내 버스 바(123 또는 124)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개구부(121n)로부터 어셈블리 내 버스 바(123, 124)를 시인할 수 있으면, 개구부(121n)는 상기 이외에도 예를 들어 노출부(121j)보다도 제1 스페이서(121)에 있어서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어셈블리 내 버스 바(123)는, 도 10의 (A), 도 10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쌍의 단전지(110)에 있어서의 한쪽 단전지(110)의 어셈블리 내 전극 탭(114)과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접촉하는 접촉면(123a)과, 다른 쪽 단전지(110)의 어셈블리 내 전극 탭(114)과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접촉하는 접촉면(123b)과, 접촉면(123a)과 접촉면(123b)을 연결하는 접속부(123c)와, 접촉면(123b)에 설치되고, 단전지의 전압을 검출하는 검출부(123d)를 갖는다.
접촉면(123a)은 도 7 등에 있어서의 한쪽 단전지에 해당되는 상부의 단전지(110)의 어셈블리 내 전극 탭(114)과 접촉한다. 접촉면(123a)은 어셈블리 내 전극 탭(114)과 접촉하는 위치보다도 외측이 제1 스페이서(121)에 매립된다. 한편, 접촉면(123b)은, 도 7 등에 있어서의 다른 쪽 단전지에 해당되는 하부의 단전지(110)의 어셈블리 내 전극 탭(114)과 접촉한다. 접촉면(123a, 123b)은 어셈블리 내 전극 탭(114)과 접촉하는 면보다도 외측이 제1 스페이서(121)에 매몰되어 있다(매몰부에 상당).
전극 탭은 단전지에 비하여 얇기 때문에, 접속부(123c)는 1쌍의 단전지에 있어서 접촉면(123a, 123b)이 각각 전극 탭과 면 접촉할 수 있도록 제1 스페이서(121)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접속부(123c)는, 접촉면(123a, 123b)과 대략 9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접촉면(123a, 123b)이 각각 어셈블리 내 전극 탭(114)과 면 접촉할 수 있으면, 형상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검출부(123d)는, 조전지의 제조시나 사용시에 있어서 단전지당의 전압을 검출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검출부(123d)는, 어셈블리 내 버스 바(123)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 개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셈블리 내 전극 탭(114)에 있어서 단전지끼리를 직렬로 접속하는 경우, 어셈블리 내 버스 바(123)는 애노드의 어셈블리 내 버스 바(123A)와 캐소드의 어셈블리 내 버스 바(123K)의 2매로 구성하고, 양자는 초음파 등으로 접합된다.
제2 스페이서(122)는, 어셈블리 내 전극 탭(114) 및 어셈블리간 전극 탭(115)을 설치하지 않았다. 그 때문에, 제2 스페이서(122)는, 제1 스페이서(121)와 마찬가지로 적재부(122M, 122N), 위치 결정 핀(122c), 위치 결정 구멍(122d), 로케이트 구멍(122e), 연결 핀(122i)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홈부(121k), 노출부(121j), 및 개구부(121n)는 설치하지 않았다.
버스 바 유닛(13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 바(131)를 일체적으로 복수 구비하고 있다. 버스 바(131)는, 도전성을 구비한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단전지(110)의 어셈블리간 전극 탭(115)의 선단부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버스 바(131)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하고, 적층 방향 Z를 따라 기립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버스 바(13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단전지(110)의 애노드 어셈블리간 전극 탭(115A)과 접합하는 애노드측 버스 바(131A)와, 적층 방향 Z를 따라 인접하는 다른 단전지(110)의 캐소드 어셈블리간 전극 탭(115K)과 접합하는 캐소드측 버스 바(131K)를 접합하여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애노드측 버스 바(131A)와 캐소드측 버스 바(131K)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각각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애노드측 버스 바(131A)와 캐소드측 버스 바(131K)는, 천지를 반전시켜 중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버스 바(131)는, 애노드측 버스 바(131A)의 적층 방향 Z를 따른 일단부의 굴절된 부분과, 캐소드측 버스 바(131K)의 적층 방향 Z를 따른 일단부의 굴절된 부분을 접합하여, 일체화하고 있다. 애노드측 버스 바(131A)와 캐소드측 버스 바(131K)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짧은 변 방향 Y의 일단부로부터 긴 변 방향 X를 따라 측부를 구비하고 있다. 측부는, 버스 바 홀더(132)에 접합된다.
애노드측 버스 바(131A)는, 애노드측 전극 탭(113A)과 마찬가지로,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다. 캐소드측 버스 바(131K)는, 캐소드측 전극 탭(113K)과 마찬가지로, 구리로 이루어진다. 상이한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애노드측 버스 바(131A)와 캐소드측 버스 바(131K)는, 초음파 접합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있다.
버스 바(131)는, 전지 어셈블리(100M, 100N)의 애노드의 어셈블리간 전극 탭(115A) 및 캐소드의 어셈블리간 전극 탭(115K)에 애노드측 버스 바(131A) 또는 캐소드측 버스 바(131K)를 레이저 용접 등으로 접합하고 있다.
단,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설한 버스 바(131) 중, 도 4 및 도 5의 도면에서 우측 상방에 위치하는 버스 바(131)는, 직접 접속한 복수의 단전지(110)의 애노드측의 종단부에 상당하고, 애노드측 버스 바(131A)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애노드측 버스 바(131A)는, 전지군(100G)의 최상부의 전지 어셈블리(100M)의 애노드측 전극 탭(113A)에 대해 레이저 용접 등으로 접합한다. 마찬가지로,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설된 버스 바(131) 중, 도 4 및 도 5의 도면에서 좌측 하방에 위치하는 버스 바(131)는, 복수의 단전지(110)의 캐소드측의 종단부에 상당하고, 캐소드측 버스 바(131K)만으로 구성하고 있다. 이 캐소드측 버스 바(131K)는, 전지군(100G)의 최하부의 전지 어셈블리(100N)의 캐소드측 전극 탭(113K)에 대해 레이저 용접 등으로 접합한다.
버스 바 홀더(132)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버스 바(131)를, 복수매 적층한 각각의 단전지(110)의 어셈블리간 전극 탭(115)에 대면하도록 매트릭스 형상으로 일체적으로 보유 지지하고 있다. 버스 바 홀더(132)는, 절연성을 구비한 수지를 포함하고,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버스 바 홀더(13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전지(110)의 전극 탭(113)을 지지하고 있는 쪽의 제1 스페이서(121)의 긴 변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적층 방향 Z를 따라 기립한 1쌍의 지주부(132a)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1쌍의 지주부(132a)는, 제1 스페이서(121)의 적재부(121M 및 121N)의 측면에 끼워맞춰진다. 1쌍의 지주부(132a)는, 적층 방향 Z로부터 평면에서 본 경우에 L자형이며, 적층 방향 Z를 따라 연장된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버스 바 홀더(132)는, 제1 스페이서(121)의 긴 변 방향의 중앙 부근에 위치하도록, 적층 방향 Z에 따라 기립한 1쌍의 보조 지주부(132b)를 이격시켜 구비하고 있다. 1쌍의 보조 지주부(132b)는, 적층 방향 Z를 따라 연장된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버스 바 홀더(13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 방향 Z를 따라 인접하는 버스 바(131) 사이에 각각 돌출되는 절연부(132c)를 구비하고 있다. 절연부(132c)는, 짧은 변 방향 Y를 따라 연장된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절연부(132c)는, 지주부(132a)와 보조 지주부(132b) 사이에 수평하게 구비되어 있다. 절연부(132c)는, 적층 방향 Z를 따라 인접하는 단전지(110)의 버스 바(131) 사이를 절연함으로써 방전을 방지한다.
버스 바 홀더(132)는,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한 지주부(132a)와 보조 지주부(132b) 및 절연부(132c)를 서로 접합하여 구성해도 되고, 지주부(132a)와 보조 지주부(132b) 및 절연부(132c)를 일체적으로 성형하여 구성해도 된다.
애노드측 터미널(133)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지 어셈블리(100M)와 전지 어셈블리(100N)를 교대로 적층하여 구성한 전지군(100G)의 애노드측의 종단부에 상당한다.
애노드측 터미널(133)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설된 버스 바(131) 중, 도면에서 우측 상방에 위치하는 애노드측 버스 바(131A)에 접합한다. 애노드측 터미널(133)은, 도전성을 구비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짧은 변 방향 Y를 따라 시인한 경우, 중앙부(133b)를 기준으로 하여, 일단부(133a)와 타단부(133c)를 적층 방향 Z를 따라 상이한 방향으로 굴절시킨 형상을 포함한다. 일단부(133a)는, 애노드측 버스 바(131A)에 레이저 등에 의해 접합된다. 타단부(133c)는, 그 중앙에 개구된 구멍(133d)(나사 홈을 포함함)에, 외부의 입출력 단자를 접속시킨다.
캐소드측 터미널(134)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지 어셈블리(100M)와 전지 어셈블리(100N)를 교대로 적층하여 구성한 전지군(100G)의 캐소드측의 종단부에 상당한다. 캐소드측 터미널(134)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설한 버스 바(131) 중, 도면에서 좌측 하방에 위치하는 캐소드측 버스 바(131K)에 접합한다. 캐소드측 터미널(134)은, 애노드측 터미널(133)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보호 커버(140)는,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 바 유닛(130)을 피복함으로써, 버스 바(131)끼리 단락되거나, 버스 바(131)가 외부의 부재에 접촉하여 단락되거나 누전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보호 커버(140)는, 애노드측 터미널(133) 및 캐소드측 터미널(134)을 외부에 면하게 하여, 각각의 단전지(110)의 발전 요소(111)에 충방전을 시킨다. 보호 커버(140)는, 절연성을 구비한 플라스틱을 포함한다.
보호 커버(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 형상으로 형성하고, 적층 방향 Z를 따라 기립하여 배치되어 있다. 보호 커버(140)는, 그 측면(140a)의 상단(140b)과 하단(140c)을 긴 변 방향 X를 따라 굴절된 형상을 포함하고, 버스 바 유닛(130)에 끼워 맞춘다.
보호 커버(140)의 측면(140a)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 바 유닛(130)에 구비된 애노드측 터미널(133)에 대응하는 위치에, 당해 애노드측 터미널(133)보다도 약간 큰 직사각 형상의 구멍을 포함하는 제1 개구(140d)를 구비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보호 커버(140)의 측면(140a)은, 버스 바 유닛(130)에 구비된 캐소드측 터미널(134)에 대응하는 위치에, 당해 캐소드측 터미널(134)보다도 약간 큰 직사각 형상의 구멍을 포함하는 제2 개구(140e)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150)는, 도 1 및 도 2의 (B)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지군(100G)을 적층 방향을 따라 가압한 상태에서 수용하고 있다. 상부 가압판(151) 및 하부 가압판(152)은, 전지군(100G)에 구비된 각각의 단전지(110)의 발전 요소(111)를 끼움 지지하면서 가압함으로써, 발전 요소(111)에 적정한 면압을 부여한다. 다른 표현으로 하면, 조전지(100)에 있어서의 전지군(100G)의 높이는, 상부 가압판(151) 및 하부 가압판(152)에 의해, 단전지(110)를 무부하 상태에서 전지군(100G)과 동일한 수만큼 적층했을 때의 높이보다도 높이가 낮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부 가압판(151)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지군(100G)의 적층 방향 Z를 따른 상방에 배설되어 있다. 상부 가압판(151)은, 적층 방향 Z를 따라 하방으로 돌출된 가압면(151a)을, 중앙에 구비하고 있다. 가압면(151a)에 의해, 각각의 단전지(110)의 발전 요소(111)를 하방에 압박한다. 상부 가압판(151)은, 짧은 변 방향 Y를 따른 양측으로부터, 긴 변 방향 X를 따라 연장된 보유 지지부(151b)를 구비하고 있다. 보유 지지부(151b)는, 제1 스페이서(121)의 적재부(121M 및 121N) 또는 제2 스페이서(122)의 적재부(122M 및 122N)를 피복한다. 보유 지지부(151b)의 중앙에는, 제1 스페이서(121)의 위치 결정 구멍(121d) 또는 제2 스페이서(122)의 위치 결정 구멍(122d)과 적층 방향 Z를 따라 연통하는 로케이트 구멍(151c)이 개구되어 있다. 로케이트 구멍(151c)에는, 조전지(100)끼리를 연결하는 볼트를 삽입 관통한다. 상부 가압판(151)은, 충분한 두께를 구비한 금속판을 포함한다. 상부 가압판(151)은,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판(153)의 접합부로서 적층 방향 Z와 교차하는 짧은 변 방향 Y에 있어서의 양단을 절곡한 절곡부(151d)를 갖고 있다.
하부 가압판(152)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가압판(151)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부 가압판(151)의 상하가 역전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하부 가압판(152)은, 전지군(100G)의 적층 방향 Z를 따른 하방에 배설되어 있다. 하부 가압판(152)은, 적층 방향 Z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된 가압면(152a)에 의해, 각각의 단전지(110)의 발전 요소(111)를 상방으로 압박한다. 하부 가압판(152)은,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판(153)의 접합부로서 적층 방향 Z에 교차하는 짧은 변 방향 Y에 있어서의 양단을 절곡한 절곡부(152d)를 갖고 있다.
1쌍의 측판(153)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지군(100G)을 적층 방향 Z의 상하로부터 끼움 지지하면서 가압하고 있는 상부 가압판(151) 및 하부 가압판(152)이 서로 이격되지 않도록, 상부 가압판(151) 및 하부 가압판(152)의 상대 위치를 고정한다. 측판(153)은, 직사각 형상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적층 방향 Z를 따라 기립되어 있다. 1쌍의 측판(153)은, 상부 가압판(151) 및 하부 가압판(152)에 비해 전지군(100G)의 짧은 변 방향 Y의 양측으로부터 레이저 용접에 의해 접합된다. 각각의 측판(153)은, 도 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가압판(151)과 맞닿아 있는 상단(153a)의 부분에 대해, 긴 변 방향 X를 따라, 시임 용접 등으로 선상의 용접부(153c)를 형성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각각의 측판(153)은, 하부 가압판(152)과 맞닿아 있는 하단(153b)의 부분에 대해, 긴 변 방향 X에 따라, 시임 용접 등으로 선상의 용접부(153d)를 형성하고 있다. 1쌍의 측판(153)은, 전지군(100G)의 짧은 변 방향 Y의 양측을 피복하여 보호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조전지(100)에 의하면, 이하의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스페이서(121) 및 제2 스페이서(122)가 1쌍의 단전지(110)의 전극 탭(113)을 보유 지지하고, 보유 지지된 1쌍의 단전지(110)는 전지 어셈블리(100M, 100N) 내에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인접하는 전지 어셈블리(100M, 100N)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1쌍의 어셈블리간 전극 탭(115)의 선단부(115a)는, 제1 스페이서(121)의 면 중, 전지 본체(110H)와는 반대측에 위치한 면의 측에서, 전지 어셈블리(100M, 100N)의 적층 방향 Z에 절곡되고, 절곡된 부분끼리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 때문에, 조전지의 체적을 작게 하려고 단전지를 얇게 구성했을 때도 스페이서를 비교적 두껍게 구성할 수 있고, 스페이서의 성형성이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어셈블리간 전극 탭(115)의 선단부(115a)는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절곡되지 않은 종래의 전지와 비교하여 조전지를 평면으로 보았을 때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고,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전지 어셈블리(100M, 100N)를 구성하는 1쌍의 단전지(110)는 도전 부재인 어셈블리 내 버스 바(123)를 개재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인접하는 전지 어셈블리(100M, 100N)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어셈블리간 전극 탭(115)은 제1 스페이서(121)의 짧은 변 방향 Y에 있어서의 양단측에 배치되고, 어셈블리 내 버스 바(123)에 의해 1쌍의 단전지(110)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위치는, 인접하는 전지 어셈블리(100M, 100N)끼리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위치보다도 내측인 중앙 등에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전지 어셈블리(100M) 및 전지 어셈블리(100N) 내에 있어서 어셈블리 내 전극 탭을 어셈블리간 전극 탭보다 외측에 배치한 경우와 비교하여 전류의 경로를 비교적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전지 어셈블리(100M, 100N)에 있어서 어셈블리 내 버스 바(123 또는 124)는 제1 스페이서(121)에 장착하여 이루어진다. 그 때문에, 부품 개수를 저감시킬 수 있고, 어셈블리 내 버스 바(123 또는 124)를 제1 스페이서(121)와 별도로 조립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어셈블리 내 버스 바(123)는, 전압을 검출할 때에 사용하는 전압 검출부(123d)를 갖고, 일체적으로 설치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전압 검출부를 별도 부품으로서 설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부품 개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1 스페이서(121)는, 홈부(121k)에 장착된 어셈블리 내 버스 바(123)의 접촉면(123a)에 있어서 제1 스페이서(121)에 매몰된 부분을 외부로부터 시인하기 위한 개구부(121n)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전지 어셈블리(100M, 100N)를 조립하여 출하할 때, 또는 전지 어셈블리(100M, 100N)를 사용하여 조전지(100)를 조립할 때 등에 어셈블리 내 버스 바(123 또는 124)를 확실하게 시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립 시 등에 있어서의 오 조립을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만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개변이 가능하다. 도 12, 도 13은 어셈블리 내 전극 탭과 어셈블리간 전극 탭의 변형예이며, 전류의 흐름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기에서는, 전지 어셈블리(100M, 100N)에 있어서의 1쌍의 단전지(110)를 어셈블리 내 버스 바(123, 123)를 사용하여 직렬로 접속하고, 전지 어셈블리(100M, 100N)를 버스 바(131)를 사용하여 직렬로 접속하는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지 어셈블리(100M, 100N)는 버스 바(131)를 사용하지 않고 어셈블리간 전극 탭(115)을 직접 접촉시켜 접합하여 전지 어셈블리(100M, 100N)를 전기적으로 접속해도 된다. 전지 어셈블리(100M, 100N)간에 있어서 인접하는 어셈블리간 전극 탭(115)의 극성을 바꾸고, 인접하는 전지 어셈블리(100M, 100N) 내에 있어서 어셈블리 내 전극 탭(114)의 극성을 상이하게 하면 전지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단전지는 모두 직렬로 접속된다.
또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지 어셈블리(100M 또는 100N)를 구성하는 1쌍의 단전지(110)에 있어서 어셈블리 내 전극 탭(14)을 동일 극성으로 하고, 전지 어셈블리(100M, 100N)간의 어셈블리간 전극 탭(15)의 극성을 상이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전지 모듈 내에서는 단전지끼리를 병렬 접속하고, 전지 모듈간에서는 직렬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전지 어셈블리 내에서 병렬 접속하는 경우, 상기 실시 형태와는 달리, 어셈블리 내 버스 바는 1매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서는 인접하는 전지 어셈블리의 어셈블리간 전극 탭(115)을 어셈블리간 전극 탭(115)이 위치하는 측에 있어서 어셈블리간 버스 바(131)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접합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와 마찬가지로 어셈블리간 버스 바(131)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에서 1개째와 2개째의 전지 어셈블리(100R)를 병렬로 접속하고, 3개째와 4개째의 전지 어셈블리(100T)를 병렬로 접속하며, 5개째와 6개째의 전지 어셈블리(100R)를 병렬로 접속한다. 그리고, 2개째의 전지 어셈블리(100R)와 3개째의 전지 어셈블리(100T), 4개째의 전지 어셈블리(100T)와 5개째의 전지 어셈블리(100R)는 직렬로 접속한다. 또한, 1개째로부터 6개째의 전지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각각의 1쌍 단전지(110)는 직렬로 접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접하는 전지 어셈블리를 직렬 또는 병렬로 접속하고, 전지 어셈블리 내의 단전지끼리를 직렬 또는 병렬로 접속함으로써, 직렬 접속이나 병렬 접속의 조합을 바꾸고, 원하는 전압이나 전류 특성에 따른 조전지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어셈블리 내 전극 탭(114) 및 어셈블리간 전극 탭(115)을 라미네이트 필름(112)의 일단부(112a)에 배치하는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이외에도 라미네이트 필름(112)의 일단부(112a) 및 타단부(112b)에 어셈블리 내 전극 탭 및 어셈블리간 전극 탭을 배치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도 14는 어셈블리 내 전극 탭과 어셈블리간 전극 탭의 위치 관계에 관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에서는 어셈블리 내 전극 탭(114)이 어셈블리간 전극 탭(115)보다도 내측에 배치되는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러한 경우에는 어셈블리 내 전극 탭(114)과 어셈블리간 전극 탭(115)의 절연을 행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어셈블리 내 전극 탭(114)과 어셈블리간 전극 탭(115)이 높이(두께) 방향에 해당하는 적층 방향 Z에 있어서 위치를 상이하게 하면서, 전극 탭을 배열하는 짧은 변 방향 Y에 있어서 겹치도록 배치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각각의 전극 탭의 짧은 변 방향 Y에 있어서의 길이를 비교적 크게 할 수 있고, 출력이 비교적 요구되는 사양에 의한 대응이 용이해진다.
100: 조전지
100M, 100N: 전지 어셈블리
110: 단전지
110H: 전지 본체
111: 발전 요소
113: 전극 탭
114, 114A, 114K: 어셈블리 내 전극 탭
115, 115A, 115K: 어셈블리간 전극 탭
120: 스페이서
121: 제1 스페이서
121m: 매몰부
121n: 개구부
122: 제2 스페이서
123, 124: 어셈블리 내 버스 바(접속 부재)
123d: (전압) 검출부
131: 어셈블리간 버스 바

Claims (8)

  1. 발전 요소를 포함해 편평하게 형성된 전지 본체와, 상기 전지 본체로부터 도출된 전극 탭을 구비하고, 두께 방향으로 적층한 적어도 1쌍의 단전지, 및 적층한 상기 1쌍의 단전지의 상기 전극 탭 사이에 배설되는 절연성 스페이서를 구비한 전지 어셈블리가 복수 적층되어,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1쌍의 단전지의 전극 탭을 보유 지지하고,
    보유 지지된 상기 1쌍의 단전지는 상기 전지 어셈블리 내에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인접하는 전지 어셈블리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1쌍의 상기 전극 탭의 선단부는, 상기 스페이서의 면 중, 상기 전지 본체와는 반대측에 위치한 면의 측에서, 상기 전지 어셈블리의 적층 방향으로 절곡되고, 절곡된 부분끼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조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단전지는 도전성의 도전 부재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인접하는 전지 어셈블리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기 전극 탭은, 상기 스페이서의 양단측에 배치되고,
    상기 도전 부재에 의해 상기 1쌍의 단전지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위치는, 상기 인접하는 전지 어셈블리끼리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위치보다도 내측인, 조전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부재는 상기 스페이서에 보유 지지된 버스 바를 갖고,
    상기 스페이서는 복수의 변을 구비하며, 하나의 변에 있어서의 중앙에서 상기 버스 바를 보유 지지하고,
    상기 하나의 변에 있어서의 단부에 있어서 상기 인접하는 전지 어셈블리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조전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단전지는, 상기 도전 부재에 의해 직렬 또는 병렬로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조전지.
  5.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부재는, 버스 바를 갖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버스 바를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조전지.
  6.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바는,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를 일체적으로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조전지.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부재는, 상기 스페이서에 형성된 홈부에 삽입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스페이서에 매몰된 매몰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매몰부를 외부로부터 시인하는 개구부를 더 구비하는, 조전지.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전지의 적층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전지 어셈블리는, 상기 인접하는 전지 어셈블리끼리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1쌍의 상기 전극 탭을 서로 직접 접합 또는 버스 바를 개재하여 접합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조전지.
KR1020187013677A 2015-10-22 2015-10-22 조전지 KR1019414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79904 WO2017068709A1 (ja) 2015-10-22 2015-10-22 組電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724A true KR20180057724A (ko) 2018-05-30
KR101941414B1 KR101941414B1 (ko) 2019-01-22

Family

ID=58557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3677A KR101941414B1 (ko) 2015-10-22 2015-10-22 조전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515597B2 (ko)
EP (1) EP3367462A4 (ko)
JP (1) JP6564048B2 (ko)
KR (1) KR101941414B1 (ko)
CN (1) CN108352469B (ko)
WO (1) WO20170687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65154A (zh) * 2018-01-31 2018-08-03 北京海博思创科技有限公司 软包电池芯单元、软包电池芯及软包电池
GB2580340B (en) * 2019-01-02 2021-07-07 Dyson Technology Ltd A hair styling appliance
DE102019209252A1 (de) * 2019-06-26 2020-12-31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Trägerstruktur, Zellkontaktiersystem und Herstellungsverfahren
KR20220045353A (ko) * 2020-10-05 2022-04-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6428A (ja) * 2004-05-31 2006-07-27 Nissan Motor Co Ltd 組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218755A (ja) 2009-03-13 2010-09-30 Nissan Motor Co Ltd 組電池
KR20120048631A (ko) * 2009-08-28 2012-05-15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조전지 및 조전지의 제조 방법
JP2012123980A (ja) * 2010-12-07 2012-06-28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電池モジュール及びプレート組立体
JP2013536979A (ja) * 2010-09-01 2013-09-26 エスケー イノベーション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抵抗溶接によるセルタブ連結構造を有するバッテリー
JP2013229266A (ja) * 2012-04-27 2013-11-07 Automotive Energy Supply Corp 組電池
WO2014073443A1 (ja) * 2012-11-09 2014-05-1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および組電池の製造方法
JP2014110219A (ja) * 2012-12-04 2014-06-12 Nissan Motor Co Ltd 組電池および組電池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393B1 (ko) * 2005-01-21 2009-06-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모듈
WO2007121445A2 (en) * 2006-04-18 2007-10-25 Securaplane Technologies, Inc. Battery busing scheme
JP5362996B2 (ja) * 2006-07-06 2013-12-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保護装置及びその電気量検出方法
KR101054833B1 (ko) 2007-10-29 2011-08-05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리튬 2차 전지 단위 셋 및 리튬 2차 전지 셋
KR101660895B1 (ko) * 2010-01-27 2016-09-28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직렬 연결형 이차 전지 모듈
JP5624507B2 (ja) * 2011-03-16 2014-11-12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組電池
JP5968211B2 (ja) 2012-02-14 2016-08-10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蓄電モジュール、その製造方法、及び作業機械
JP2014135163A (ja) 2013-01-09 2014-07-24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蓄電モジュール
US20160072116A1 (en) 2013-03-22 2016-03-10 Automotive Energy Supply Corporation Battery unit and battery module having stacked battery units
US20150037662A1 (en) * 2013-07-30 2015-02-05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sealing a battery cell
WO2016004079A1 (en) * 2014-06-30 2016-01-07 Black & Decker Inc. Battery pack for a cordless power tools
JP2018510488A (ja) * 2015-02-27 2018-04-12 リテルヒューズ・インク バッテリーパック保護のための相互接続部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6428A (ja) * 2004-05-31 2006-07-27 Nissan Motor Co Ltd 組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218755A (ja) 2009-03-13 2010-09-30 Nissan Motor Co Ltd 組電池
KR20120048631A (ko) * 2009-08-28 2012-05-15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조전지 및 조전지의 제조 방법
JP2013536979A (ja) * 2010-09-01 2013-09-26 エスケー イノベーション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抵抗溶接によるセルタブ連結構造を有するバッテリー
JP2012123980A (ja) * 2010-12-07 2012-06-28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電池モジュール及びプレート組立体
JP2013229266A (ja) * 2012-04-27 2013-11-07 Automotive Energy Supply Corp 組電池
WO2014073443A1 (ja) * 2012-11-09 2014-05-1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および組電池の製造方法
JP2014110219A (ja) * 2012-12-04 2014-06-12 Nissan Motor Co Ltd 組電池および組電池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352469B (zh) 2019-06-18
EP3367462A1 (en) 2018-08-29
JP6564048B2 (ja) 2019-08-21
WO2017068709A1 (ja) 2017-04-27
EP3367462A4 (en) 2018-09-26
JPWO2017068709A1 (ja) 2018-08-30
US11515597B2 (en) 2022-11-29
KR101941414B1 (ko) 2019-01-22
CN108352469A (zh) 2018-07-31
US20180287109A1 (en) 2018-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7439B2 (en) Battery
EP2337106B1 (en) Rechargeable battery
KR101941414B1 (ko) 조전지
CN102484232A (zh) 组装电池模块
JP2003234094A (ja) 非水電解質電池
JP2005222701A (ja) 組電池
EP3101714B1 (en) Battery module having voltage sensing member having receptacle structure
KR101578794B1 (ko) 우수한 결합력의 전극리드-전극 탭 결합부를 포함하는 전지셀
JP2013214497A (ja) 組電池
US10903471B2 (en) Battery pack
JP3606278B2 (ja) 電池の端子接続構造
CN108923004B (zh) 具备大电流用基板的电池模块
JP2014120369A (ja) 電池パック
JP2017084465A (ja) 組電池および組電池用のバスバカバー並びに組電池の製造方法
JP6737577B2 (ja) 組電池
CN109792006B (zh) 单电池和间隔件的组装体
JP4977356B2 (ja) 電気デバイス集合体
WO2017159469A1 (ja) 電池パック及び電池パックの製造方法
KR20130122564A (ko) 전극조립체의 내부 유동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킨 파우치형 이차전지
JP2017084464A (ja) 組電池
JP6861004B2 (ja) 単電池とスペーサとの組立体
KR200490873Y1 (ko) 파우치형 배터리의 단자 접속 구조
JP6676330B2 (ja) 組電池
US9997762B2 (en) Protection element and rechargeable battery including the same
JP2017084469A (ja) 組電池および組電池用のスペー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