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6937A - 자숙기 - Google Patents

자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6937A
KR20180056937A KR1020160154896A KR20160154896A KR20180056937A KR 20180056937 A KR20180056937 A KR 20180056937A KR 1020160154896 A KR1020160154896 A KR 1020160154896A KR 20160154896 A KR20160154896 A KR 20160154896A KR 20180056937 A KR20180056937 A KR 201800569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portion
housing
tray
inle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4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1479B1 (ko
Inventor
현오남
Original Assignee
현오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오남 filed Critical 현오남
Priority to KR1020160154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1479B1/ko
Publication of KR20180056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6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1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1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05Preserving by heating
    • A23B4/0053Preserving by heating with gas or liquids, with or without shaping, e.g. in form of powder, granules or fl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에 설치되어 어획된 멸치와 같은 수산물을 자숙 처리하는 자숙기와 관련되며, 실시예로 채반에 담긴 수산물을 삶아내는 자숙기에 있어서, 중앙에 물을 가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입구와 출구가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중앙 저부에 설치되어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입구로부터 상기 출구에 걸쳐 배치되어 상기 채반을 상기 입구로부터 상기 출구까지 이동시키면서, 상기 채반이 물에 잠기도록 상기 하우징의 중앙에서의 높이가 상기 입구 및 상기 출구에서의 높이보다 낮은 이송벨트부 및 상기 이송벨트부의 상부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벨트부를 타고 이동하는 상기 채반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가리는 가림벨트부를 포함하는 자숙기를 제시한다.

Description

자숙기{Apparatus for boiling anchovy}
본 발명은 선박에 설치되어 어획된 멸치와 같은 수산물을 자숙 처리하는 자숙기와 관련된다.
멸치와 같은 일부 작은 어류는 어획 후 변질을 방지하기 위해 즉시 삶아 익히게 되는데, 이러한 자숙 처리는 어획이 이루어지는 선박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한 번에 다량으로 잡힌 수산물을 빠르게 처리하여야 다음의 조업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해상에 이루어지는 자숙처리는 다량의 수산물을 빠르게 삶아낼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선박의 공간 활용도를 좋게 하기 위해서는 자숙기가 차지하는 공간이 작을수록 유리하다. 흔들리는 선박에서 조업이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자의 피로는 쉽게 쌓이므로 자숙 작업의 편의성도 충족되어야 한다.
자숙 처리하는 수산물은 대개 사이즈가 작은 생선이다. 따라서 취급의 편의성을 위해 수확된 생선들을 채반에 일정분량씩 나눠 담고, 채반 단위로 취급하게 된다. 자숙 처리 작업에서도 복수의 채반을 쌓아 올린 상태에서 작업자가 이를 자숙기에 넣거나, 자숙처리가 완료된 채반을 꺼내 다른 곳으로 옮기게 된다. 바닷물을 끓여 삶아낸 채반들을 옮기는 과정 중에 화상의 위험이 있으며, 반복된 작업에 따라 작업자가 쉽게 피로하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0-0019960호 (2000.11.25)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60467호 (2013.06.10)
본 발명은 자숙 처리 공정의 번거로움을 줄임으로써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또한 신속한 자숙 처리가 가능하고, 삶아진 정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자숙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채반에 담긴 수산물을 삶아내는 자숙기에 있어서, 중앙에 물을 가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입구와 출구가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중앙 저부에 설치되어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입구로부터 상기 출구에 걸쳐 배치되어 상기 채반을 상기 입구로부터 상기 출구까지 이동시키면서, 상기 채반이 물에 잠기도록 상기 하우징의 중앙에서의 높이가 상기 입구 및 상기 출구에서의 높이보다 낮은 이송벨트부 및 상기 이송벨트부의 상부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벨트부를 타고 이동하는 상기 채반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가리는 가림벨트부를 포함하는 자숙기를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가림벨트부의 길이 방향에 따른 높이는, 상기 이송벨트부의 높낮이 변화에 맞춰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채반의 상부를 덮는 상기 가림벨트부의 벨트는 그물망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가열부는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가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가열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아래에 위치하는 버너, 상기 버너에서 토출된 연소가스를 수용하는 중앙관, 상기 중앙관과 연결되며 상기 중앙관의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연소가스를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역방향관, 상기 역배관과 연결되며 상기 역방향관의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연소가스를 다시 전방으로 흐르게 하는 복수의 외측관 및 상기 복수의 외측관과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로 연소가스를 배출하는 연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출구 주변의 물을 펌핑하여 상기 입구 쪽으로 반송시키는 반송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구 측의 상기 이송벨트부는 수평하게 연장되어 있고, 상기 입구 측에는, 수평하게 연장된 상기 이송벨트부 위로 채반을 미끄럼 이동시키는 롤러들을 구비한 투입테이블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화된 자숙 처리를 이룸으로써 균일한 품질을 얻을 수 있으며, 작업자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숙기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자숙기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자숙기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가열부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숙기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단, 도면들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번호는 통일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제한 해석해서는 아니된다. 이 기술분야에 속하는 전문가의 견지에서 도면에 도시된 일부 또는 전부가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형상, 모양, 순서가 아니라고 해석될 수 있다면,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한정하지 아니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숙기와 관련된다.
도시된 실시예의 자숙기(100)는 하우징(10), 가열부(20), 이송벨트부(30) 및 가림벨트부(4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중앙 부분에 물을 가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좌측과 우측에는 각기 입구(11)와 출구(12)가 형성되어 있다. 입구(11)와 출구(12)는 대향되게 형성됨으로써 채반이, 도면의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하면서 자숙 처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하우징(10)의 하부는 가열부(20)가 안치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내부에 담긴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배관이나 물을 채워 넣기 위한 급수 배관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가열부(20)는 하우징(10)의 중앙 저부에 설치되어 물을 가열하게 된다. 가열부(20)는 한 쌍의 가열유닛(20a)을 구비한다. 한 쌍의 가열유닛(20a)은 다량의 물을 빠르게 끓일 수 있게 하며, 충분한 열량을 공급할 수 있어 다량의 채반이 투입되는 상황에서도 끓는 물의 온도가 저하될 우려가 없게 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된 가열부(20)가 도시되어 있다. 한 쌍의 가열유닛(20a)은 서로 대향되게 위치함으로써, 버너(21)가 하우징(1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가열유닛(20a)은 버너(도 1의 21 참고), 중앙관(22), 역방향관(23), 외측관(24) 및 연통(26)을 포함한다.
버너(21)는 다양한 연료를 연소재로 사용할 수 있다. 버너의 종류에 따라 과급기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버너(21)에서 토출되는 화염이나 연소가스는 중앙관(22), 역방향관(23) 및 외측관(24)을 통과하면서 하우징(10)에 담긴 물과 열 교환된 후 연통(26)을 통해 외기로 배출된다.
중앙관(22)은 버너(21)에서 토출된 화염과 연소가스가 먼저 통과하는 관체이다. 버너(21)의 토출구와 연결된 중앙관(22)은 연소가스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도록, 역방향관(23)이나 외측관(24)보다 직경이 크다.
중앙관(22)의 전단에는 연소가스의 방향 전환을 위한 속이 빈 제1 연통블록(251)이 연결되어 있다. 제1 연통블록(251)의 일면에 중앙관(22)이 연결되고, 중앙관(22)의 양측에 복수의 역방향관(23)이 연결되어 있다.
복수의 역방향관(23)을 타고 연소가스가 역방향(버너를 향하는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이때 역방향관(23)을 지름이 작은 복수의 관으로 형성함으로써 물과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여 열교환 효율을 증대시키고 있다.
역방향관(23)의 후단에는 제2 연통블록(252)을 설치하여, 역방향관(23)과 외측관(24)이 연통되어 있다. 외측관(24)은 역방향관(23)의 측면에 나란히 복수가 연결되어 있다. 역방향관(23)을 타과 후측으로 이동한 연소가스는 다시 외측관(24)을 타고 전방으로 흐르게 된다.
복수의 외측관(24)을 통과한 연소가스는 제3 연통블록(253)에서 수렴되어, 연통(26)을 타고 외기로 배출된다.
제1 연통블록(251) 내지 제3 연통블록(253)도 물 속에 잠겨 있는 부분으로, 물과의 열 교환이 발생하게 된다.
중앙관(22), 복수의 역방향관(23) 및 복수의 외측관(24)은 좁은 면적에서 연소가스를 지그재그의 흐름으로 이동시키면서 열교환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돕는다.
한 쌍의 가열유닛(20a)은 기존 단일의 버너를 사용하는 자숙기에 비하여 2배의 열량을 제공할 수 있으며, 자숙 처리를 잠시 중단한 상태에서는 하나의 가열유닛만을 작동시킴으로써 연료 소비량을 줄일 수도 있다.
다시 도 1 내지 3을 참고하면, 이송벨트부(30)는 입구(11)로부터 출구(12)까지 배치되어 채반(B)을 이송시킨다. 이러한 이송벨트부(30)의 구성은 공지된 컨베이어 장치와 대략 유사하다. 다만 하우징(10) 안에서 끓는 물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공지의 컨베이어가 구비하는 벨트를 대신하여, 얇은 복수의 지지바(32)가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이송벨트부(30)는 양단부에 체인(31)이 배치되며, 체인들은 다수의 지지바(32)로 연결되어 있다. 체인(31)은 스프라켓(도시 생략)에 물려 있으며, 스프라켓은 구동모터(33)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또한 몇몇의 지지바(32)에는 경사진 이동 구간에서 채반(B)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톱퍼(321)가 결합되어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이송벨트부(30)는 입구 측과 출구 측의 높이가 중앙보다 높다. 즉 입구(11)에서는 중앙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고, 중앙에서 출구(12)로는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이송벨트부(30)를 타고 투입된 채반(B)은, 하우징(10)의 담긴 끓는 물에 서서히 잠겼다가, 잠긴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동한 후 다시 서서히 물 밖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한편 가림벨트부(40)는 이송벨트부(30)의 상부에 이격되게 배치되어, 이송벨트부(30)를 타고 이동하는 채반(B)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가리게 된다.
가림벨트부(40)는 체인(41), 스프라켓(도시 생략), 구동모터(42)를 포함하여, 그 구성은 전술한 이송벨트부(30)와 사실상 동일하다. 다만, 가림벨트부(40)에는 채반(B)의 윗 부분을 덮는 벨트를 구비하며, 그 벨트는 그물망(43)으로 구비되어 있다. 이 그물망(43)은 채반에 담긴 작은 멸치 등이 채반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면서, 끓는 물은 채반 내로 쉽게 들어가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에서 가림벨트부(40)의 길이 방향에 따른 높낮이는 이송벨트부(30)의 높낮이 변화에 대응하는 것이다. 채반(B)은 몇 판을 쌓아서 한 번에 투입하게 되는데, 이렇게 쌓인 채반(B)의 높이에 맞추어 가림벨트부(40)의 그물망(43)이 이동하는 채반(B)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가림벨트부(40)는, 경사진 구간을 통과하거나 이송되던 채반이 갑자기 멈춰 선 경우 등에 있어서, 높게 쌓은 채반(B)이 넘어지지 않게 잡아준다.
가림벨트부(40)의 그물망(43) 이동 속도와 이송벨트부(30)에 의한 채반(B) 이동 속도는 동일하게 맞추어질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하나의 유압펌프(P)를 사용하고, 분배기(D)를 통하여 각 구동모터로 적정한 고압유를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인 구성으로, 도 2를 참고하면, 하우징(10)에는 출구(12) 주변의 물을 펌핑하여 입구(11) 쪽으로 반송시키는 반송부(50)가 구비된다.
반송부(50)는 물을 이동시키는 유로를 제공하는 회수관(51)과, 회수관(51)에 연결된 유체펌프(52)를 포함한다.
입구(11) 측의 물은 새로이 투입되는 채반으로 인하여 쉽게 온도가 내려가게 된다. 반면에 자숙 처리가 완료되는 출구(12) 측에서는 충분한 고열이 유지된다. 이러한 입구 측 온도와 출구 측 온도의 차이는 연속적인 자숙 작업 시간이 길어질수록 커지게 되는데, 입구 측의 물 온도가 낮음에 따라 자숙 처리의 효율이 낮아질 우려가 있다. 이를 해소하고자 출구 측의 높은 온도의 물을 입구 측으로 공급함으로써, 입구 측의 물 온도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나아가 입구 측에 온도계를 설치하여 두고, 일정 수준 이하로 물 온도가 내려가면, 유체펌프가 작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추가적인 구성으로, 도 2를 참고하면 하우징(10)의 입구 측에서 이송벨트부(30)는 수평하게 연장되어 있고, 이 입구 측에는, 수평하게 연장된 이송벨트부 위로 채반을 미끄럼 이동시키는 롤러들(61)을 구비한 투입테이블(60)이 구비될 수 있다.
작업자는 낮게 위치한 채반을 쌓아 하우징의 입구 높이로 들어 이송벨트부에 올려야 하는 부담이 있다. 특히 자숙 처리 작업 중에는 이송벨트부가 계속 작동 중에 있으므로, 이송벨트부 위에 채반을 하나씩 쌓기 힘들고, 미리 쌓인 채반을 한 번에 올려야 한다. 따라서 미리 적정 층으로 쌓아 놓은 채반을 들어 옮겨야 하는데, 반복적인 작업으로 인한 피로도가 상당할 수 있다.
하우징(10)의 입구측에서 이송벨트부(30)는 거의 수평에 가까운 기울기로 연장되어 있다. 이렇게 연장된 부분에 맞추어 복수의 롤러(61)가 구비된 투입테이블(60)이 위치된다.
작업자는 투입테이블(60)의 롤러(61) 위에서 채반을 차례로 쌓은 후 연장된 이송벨트부(30) 위로 쌓은 채반을 밀어줌으로써, 무겁게 적층된 채반을 이송벨트부(30) 위로 손쉽게 옮길 수 있다. 이로써 작업의 피로도를 크게 낮출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이송벨트부로 옮겨진 채반은 체인(31)의 구동에 따라 이동하는 스톱퍼(321)에 밀려 하우징(10) 내부로 투입된다.
100 : 자숙기
10 : 하우징 11 : 입구 12 : 출구
20 : 가열부 20a : 가열유닛
21 : 버너 22 : 중앙관 23 : 역방향관 24 : 외측관
251 : 제1 연통블록 252 : 제2 연통블록 253 : 제3 연통블록
26 : 연통
30 : 이송벨트부
31 : 체인 32 : 지지바 321 : 스톱퍼 33 : 구동모터
40 : 가림벨트부
41 : 체인 42 : 구동모터 43 : 그물망
50 : 반송부
51 : 회수관 52 : 유체펌프
60 : 투입테이블 61 : 롤러
B : 채반 P : 유압펌프 D : 분배기

Claims (6)

  1. 채반에 담긴 수산물을 삶아내는 자숙기에 있어서,
    중앙에 물을 가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입구와 출구가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중앙 저부에 설치되어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입구로부터 상기 출구에 걸쳐 배치되어 상기 채반을 상기 입구로부터 상기 출구까지 이동시키면서, 상기 채반이 물에 잠기도록 상기 하우징의 중앙에서의 높이가 상기 입구 및 상기 출구에서의 높이보다 낮은 이송벨트부 및
    상기 이송벨트부의 상부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벨트부를 타고 이동하는 상기 채반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가리는 가림벨트부를 포함하는 자숙기.
  2. 제1항에서,
    상기 가림벨트부의 길이 방향에 따른 높이는,
    상기 이송벨트부의 높낮이 변화에 맞춰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숙기.
  3. 제1항에서,
    상기 채반의 상부를 덮는 상기 가림벨트부의 벨트는 그물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숙기.
  4. 제1항에서,
    상기 가열부는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가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가열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아래에 위치하는 버너,
    상기 버너에서 토출된 연소가스를 수용하는 중앙관,
    상기 중앙관과 연결되며 상기 중앙관의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연소가스를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역방향관,
    상기 역배관과 연결되며 상기 역방향관의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연소가스를 다시 전방으로 흐르게 하는 복수의 외측관 및
    상기 복수의 외측관과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로 연소가스를 배출하는 연통을 포함하는 자숙기.
  5. 제1항에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출구 주변의 물을 펌핑하여 상기 입구 쪽으로 반송시키는 반송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숙기.
  6. 제1항에서,
    상기 입구 측의 상기 이송벨트부는 수평하게 연장되어 있고,
    상기 입구 측에는, 수평하게 연장된 상기 이송벨트부 위로 채반을 미끄럼 이동시키는 롤러들을 구비한 투입테이블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숙기.
KR1020160154896A 2016-11-21 2016-11-21 자숙기 KR101921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896A KR101921479B1 (ko) 2016-11-21 2016-11-21 자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896A KR101921479B1 (ko) 2016-11-21 2016-11-21 자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937A true KR20180056937A (ko) 2018-05-30
KR101921479B1 KR101921479B1 (ko) 2018-11-23

Family

ID=62299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4896A KR101921479B1 (ko) 2016-11-21 2016-11-21 자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147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673Y1 (ko) * 2018-07-19 2019-10-01 김재덕 멸치 자숙 장치
KR20220125105A (ko) 2021-03-04 2022-09-14 현오남 멸치와 채반 자동공급장치
KR102497917B1 (ko) 2022-04-14 2023-02-08 현오남 수산물 및 채반 공급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0699B1 (ko) 2020-04-06 2020-08-03 이선주 멸치자숙기
KR20230083398A (ko) 2021-12-02 2023-06-12 주식회사 참코청하 고효율 멸치 자숙기
KR20240070233A (ko) 2022-11-14 2024-05-21 주식회사 참코청하 발장 자동 적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0732Y1 (ko) 2001-10-27 2002-01-17 윤영욱 멸치자숙장치
KR200362615Y1 (ko) * 2004-07-08 2004-09-18 정대균 멸치자숙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673Y1 (ko) * 2018-07-19 2019-10-01 김재덕 멸치 자숙 장치
KR20220125105A (ko) 2021-03-04 2022-09-14 현오남 멸치와 채반 자동공급장치
KR102497917B1 (ko) 2022-04-14 2023-02-08 현오남 수산물 및 채반 공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1479B1 (ko) 2018-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1479B1 (ko) 자숙기
KR920003641B1 (ko) 자동연속취반장치
EP2149518B1 (en) Apparatus for the separation of fruits
CN110558864A (zh) 油炸系统
KR20100134985A (ko) 어선용 자숙기의 멸치 공급장치
WO2015186157A1 (ja) 多段式蒸煮装置
RU2660062C1 (ru) Многоступенчатая машина для пропаривания
KR101956641B1 (ko) 생선 가공 장치
JP2004229906A (ja) 油揚げ装置
KR102140699B1 (ko) 멸치자숙기
JP5151796B2 (ja) 温湯消毒設備
KR200260732Y1 (ko) 멸치자숙장치
JP5614444B2 (ja) 温湯処理設備
EP0267185A1 (en) Apparatus for boiling a product such as shrimps
CN219249189U (zh) 一种玉米粒蒸煮两用装置
KR20130137257A (ko) 반자동 멸치발 수직 이송장치
JP2787062B2 (ja) 小魚等の自動煮沸装置
JP2831965B2 (ja) 食品蒸し機
JP3079088B2 (ja) 小魚等の煮沸加工装置
JP5156688B2 (ja) 種籾温湯消毒冷却装置
JP2013048598A (ja) 温湯加温・冷却設備
JPH0625232Y2 (ja) 食品蒸機
JPH0538638Y2 (ko)
JP2008008605A (ja) 乾燥装置
JP3031462B2 (ja) 小魚等の自動煮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