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5754A - 게임 유저 그룹에 대응하는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게임 유저 그룹에 대응하는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5754A
KR20180055754A KR1020170181201A KR20170181201A KR20180055754A KR 20180055754 A KR20180055754 A KR 20180055754A KR 1020170181201 A KR1020170181201 A KR 1020170181201A KR 20170181201 A KR20170181201 A KR 20170181201A KR 20180055754 A KR20180055754 A KR 20180055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ld
community
game
inform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1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제윤
조준영
김정환
조윤빈
이종하
민준
김영진
Original Assignee
넷마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넷마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넷마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81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5754A/ko
Publication of KR20180055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57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A63F13/79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player-related data, e.g. identities, accounts, preferences or play hist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5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details of game servers
    • A63F2300/55Details of game data or player data management
    • A63F2300/5546Details of game data or player data management using player registration data, e.g. identification, account, preferences, game histor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5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details of game servers
    • A63F2300/57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details of game servers details of game services offered to the player
    • A63F2300/572Communication between players during game play of non game information, e.g. e-mail, chat, file transfer, streaming of audio and streaming of vide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온라인 게임과 연동되는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방법이 개시된다. 실시예들에 의하면 온라인 게임에서 발생하는 사용자 그룹 생성, 그룹이나 그룹원의 정보 변경이 커뮤니티 서비스에 반영된다. 이러한 반영은 커뮤니티의 생성이나 커뮤니티 활동의 생성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게임 유저 그룹에 대응하는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ONLINE COMMUNITY SERVICE CORRESPONDING GAME USER GROUP}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에 연관되며, 보다 특정하게는 게임 유저 그룹의 이벤트 및 정보를 온라인 커뮤니티에 반영하는 서비스에 연관된다.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는 네티즌들이 정보를 생산하고 공유하는 등의 활동할 수 있도록 온라인 상에서의 공간을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게임 유저들 사이에서도 게임 정보와 의견을 공유하는 커뮤니티 서비스 이용은 일반적이다. PvP(Player vs Player), 즉 1대1 게임 외에 길드(guild) 대 길드의 집단 대결 게임이 인기를 얻으면서, 길드원(guild member)들 사이에서의 정보 교환이나 의견 공유도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근래에는 범용적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들인 포탈 웹 서비스 제공업체 (이를테면 네이버, 다음 등)의 카페 서비스 외에 게임 커뮤니티 전용 서비스들도 보편화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게임 커뮤니티에 있어서 게임 서버와 커뮤니티 서버는 서로 별개로 동작하였다.
한국 등록특허 10-1628350호 (공고일자 2016년6월9일)은 인게임 메신저 제공서비스를 제시한다.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한 텍스팅이 인게임 내 채팅으로 반영되는 내용에 관한 발명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115020호 (공개일자 2013년10월21일)은 유저의 게임 레벨에 따라 등급화된 복수의 온라인 커뮤니티들을 준비하여 두고, 특정 유저에게 수준에 맞는 커뮤니티를 추천하는 내용에 관한 발명이다.
일측에 따르면, 온라인 커뮤니티 서버의 동작 방법이 제공된다. 일실시예 따르면 온라인 커뮤니티 서버는 모바일 게임의 임게임 인터페이스에서 유저 그룹, 예시적으로 그러나 한정되지 않게 길드가 생성(create)되는 이벤트를 SDK(Software development kit)를 통해 전달 받는다. 그러면 온라인 커뮤니티 서버는 자동으로 상기 게임 유저 그룹에 대응하는 커뮤니티를 생성한다. 예시적으로, 인게임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가 길드와 같은 유저 그룹을 생성하면, 이와 동시에 자동으로 해당 길드의 커뮤니티도 생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커뮤니티로 접속할 수 있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이를테면 '커뮤니티' 버튼이 인게임 인터페이스에서 활성화된다. 사용자에 의해 상기 커뮤니티로의 접속 인터페이스가 선택되는 경우, SDK를 통해 상기 생성된 온라인 커뮤니티의 URL이 호출되어 상기 서버는 상기 커뮤니티로의 접속을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뮤니티로의 접속 제공 시, 해당 사용자의 기존 로그인 정보가 확인되지 않으면, 다시 말해 로그인이 필요한 상태이면, 적어도 하나의 SNS 계정 로그인 기능을 호출하여 제공하는 단계가 상기 방법에 더 포함된다. 예시적으로, 그러나 한정되지 않게 상기 SNS 계정 로그인 기능은, '페이스북으로 로그인하기', '카카오톡으로 로그인하기',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하기',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 하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커뮤니티 서버는, 인게임 쪽에서 임의의 제1 사용자가 상기 유저 그룹 (길드)에 가입하는 경우, 별도의 온라인 커뮤니티로의 가입 없이도 자동으로 상기 제1 사용자를 상기 커뮤니티에 가입시킨다. 그리고 커뮤니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한다. 따라서, 인게임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는 길드에 가입할 뿐인데, 자동으로 해당 길드의 커뮤니티로도 자동 가입이 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버의 동작 방법은 상기 온라인 게임에서 상기 게임 유저 그룹에 연관되는 미리 지정되는 종류의 제1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게임 유저 그룹에 대응하는 상기 커뮤니티에 상기 제1 이벤트를 반영하는 제1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한 '미리 지정되는 종류의 제1 이벤트'의 예는 다양하다. 예시적으로, 그러나 한정되지 않게, 이러한 제1 이벤트는, 새로운 길드원이 길드에 가입하거나, 길드원의 일부가 길드로부터 탈퇴하거나, 길드전 (단체 게임이나 공동 미션 수행)의 시작이나 종료, 길드에 관한 통계 (전적, 승률 등), 기념일, 길드원 개개인의 사용자 정보 변경 등 다양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정보 변경은 사용자 게임에서의 레벨의 변경, 프로필의 변경, 닉네임의 변경, 캐릭터의 변경, 아이템 보유상황의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온라인 커뮤니티 서버는 상기 제1 이벤트를 반영하는 제1 처리를 수행하는데, 상기 제1 처리는 다양한 실시예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한 사용자 정보 변경에 대응해서는 상기 커뮤니티에서의 해당 사용자의 정보를 연동하여 변경하는 것이 상기 제1 처리에 포함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인게임에서 길드원인 사용자 닉네임이 변경되거나, 사용자 레벨이 높아지면, 온라인 커뮤니티 쪽에서도 상기 사용자의 닉네임을 변경시키고 레벨을 상승시키는 것이 제1 처리에 포함될 수 있다. 물론, 무조건적으로 반영되는 것이 아니라, 커뮤니티 정책이나 사용자 설정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반영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처리는 커뮤니티 내에서 게시물을 자동으로 포스팅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1 이벤트는 상기 게임 유저 그룹에 연관되는 단체 게임의 시작, 상기 단체 게임의 종료, 상기 단체 게임의 결과, 미션 수행의 시작, 미션 수행의 종료 및 게임에 연관되는 통계의 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온라인 커뮤니티 서버스는 이러한 이벤트에 대해 자동으로 게시물을 생성하여 커뮤니티 내에 포스팅한다. 이러한 포스팅은 커뮤니티의 타임라인에 게시물을 노출시키는 것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순히 미리 지정된 텍스트가 포스팅될 수도 있으나, 길드전과 같은 게임 쪽의 스틸샷이 썸네일과 같은 형태로 게시물에 포함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뮤니티에서 새로운 활동, 이를테면 정보 변경이나 게시물 포스팅이 있는 경우, 상기 온라인 커뮤니티 서버에 연관되는 SDK를 통해 상기 인게임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새로운 활동의 발생을 알리는 블릿 아이콘을 표시하는 API를 호출하는 단계가 상기 방법에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블릿 아이콘은 이를 테면 "New"를 뜻하는 "N" 블릿 배지가 상기 '커뮤니티' GUI 위에 노출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게임 쪽에서의 특정 길드원의 길드 탈퇴가 온라인 커뮤니티에 자동으로 반영된다. 예시적으로, 상기 게임 유저 그룹 (길드) 및 상기 커뮤니티에 가입되어 있는 제2 사용자가 상기 인게임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게임 유저 그룹으로부터 탈퇴하는 경우, 상기 제2 사용자를 상기 커뮤니티에서 탈퇴 시키고 커뮤니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는 단계가 상기 방법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게임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게임 유저 그룹이 해체 (예시적으로 길드 소멸) 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게임 유저 그룹에 대응하는 상기 커뮤니티를 해체하는 단계가 상기 방법에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따라서 길드가 사라지면 해당 길드의 온라인 커뮤니티도 삭제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데이터는 임시 보관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커뮤니티 서버의 동작 방법은, 상기 커뮤니티가 미리 지정된 규정에 따라 사용 중지 및 폐쇄 중 어느 하나의 처분을 받는 경우, 상기 온라인 커뮤니티 서버에 연관되는 SDK를 통해 상기 인게임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처분에 연관되는 메시지를 노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측에 따르면, 기록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면 온라인 게임을 제공하는 일련의 방법이 수행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온라인 게임의 인게임 인터페이스에서 게임 유저 그룹이 생성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미리 지정된 커뮤니티 SDK를 호출하는 단계; 및 상기 커뮤니티 SDK를 통해 상기 게임 유저 그룹에 대응하는 커뮤니티를 신규 생성하는 API를 호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록매체에 저장되는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단계들을 수행하는 명령어 세트(instruction set)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인게임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커뮤니티로의 접속 인터페이스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커뮤니티 SDK를 통해 상기 커뮤니티의 URL을 호출하여 상기 커뮤니티로 접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록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이러한 단계를 수행하는 명령어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서비스 흐름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커뮤니티 서버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라 길드 커뮤니티가 생성된 경우의 인게임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라 인게임에서 SDK를 통해 커뮤니티로 접속하는 경우 서버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a 및 5b는 일실시예에 따른 커뮤니티 접속 과정에서의 로그인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라 커뮤니티 로그인 한 경우의 커뮤니티 화면을 도시한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라 길드 멤버가 아닌 유저가 길드 커뮤니티에 접근한 경우의 커뮤니티 화면을 도시한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라 길드 커뮤니티 내에 생성된 게시물 하단에 길드 멤버의 정보가 노출되는 예시적 화면 구성을 도시한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라 길드 커뮤니티에서 특정 멤버의 프로필을 노출하는 예시적 화면 구성을 도시한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라 인게임 길드 이벤트 발생 시 온라인 길드 커뮤니티에 해당 이벤트가 반영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라 새로운 길드원이 길드에 가입하는 경우, 온라인 길드 커뮤니티에 자동으로 길드원 가입 소식이 포스팅 되는 서비스를 도시한다.
도 12는 일실시예에 따라 온라인 길드 커뮤니티에 새로운 게시물이 발생하는 경우 온라인 게임의 인게임 인터페이스에서 블릿 뱃지가 노출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13은 일실시예에 따라 온라인 길드 커뮤니티에 새로운 게시물이 발생하는 경우 온라인 게임의 인게임의 필드에 해당 게시물 내용이 노출되는 내용을 도시한다.
이하에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연관되는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것으로 선택되었으나, 기술의 발달 및/또는 변화, 관례, 기술자의 선호 등에 따라 다른 용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설명 부분에서 상세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이해되어야 한다.
용어의 설명
길드(Guild)는 게임 내에서의 유저의 그룹을 말한다. 온라인 게임에서는 하나의 명칭 아래에 같은 소속감을 같는 유저의 무리들로 해석될 수 있다.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사용자 그룹의 한 예시적 명칭인 '길드'를 '사용자 그룹'과 혼용하여 사용하지만, 사용자 그룹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혈맹, 레기온(Legion), 동맹(Alliance), 그룹 등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길드원이란 길드에 가입 되어있는 멤버를 가리킨다. 각각의 개별 길드원이 모여 길드를 구성하게 된다. 길드의 명칭과 마찬가지로 길드원이라는 표현 뿐만 아니라 혈맹원, 레기온 멤버, 동맹원 등의 표현을 포함한다.
길드장이란 길드에 가입 되어있는 멤버 중 우두머리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는 길드를 최초에 생성한 멤버가 우두머리가 된다. 그러나 하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며, 길드의 운영에 있어서 길드원들의 선택에 따라 새로운 우두머리를 선출하는 경우에는 그가 길드장이 될 수 있다. 길드장은 해당 길드의 길드원의 가입 및 추방, 길드전의 참가 등의 길드 운영에 대한 전반적인 권한을 가진 자이다. 길드장이 전반적인 권한을 갖기는 하지만, 길드장 외에도 길드원 중 일부는 운영진(Staff)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운영진은, 길드 및/또는 길드 커뮤니티의 운영을 위한 운영 권한의 적어도 일부를 행사할 수 있다.
길드전이란 게임에 존재하는 수개의 길드끼리 전쟁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길드전의 목표는 단순히 적대적인 상대 길드원을 죽이거나, 게임 내 다른 몬스터를 처치하거나, 목표 지점을 방어하는 등의 임무를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어떤 다른 예에서는 길드전이 상대방 길드와의 전쟁 뿐만 아니라 미션의 수행이나 컴퓨터/인공지능과의 게임을 포함할 수도 있다.
게임의 길드 정보에 따른 커뮤니티 관리
실시예들에 따르면, 길드가 길드장에의해 최초로 생성되는 시점에 게임 서버와 커뮤니티 서버 간에 API를 통한 정보의 교환이 이루어진다. 커뮤니티 서버는 전송 받은 정보를 토대로 자동으로, 그리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해당 길드의 커뮤니티를 생성한다. 길드가 생성된 이후, 길드원이 가입하는 경우 해당 정보 (이벤트 정보)는 유사하게 API 호출 등의 방법으로 커뮤니티 서버로 전송된다. 길드원의 가입 정보를 전송받은 커뮤니티 서버는 해당 길드원을 커뮤니티에 자동으로 가입 시킨다. 게임내 길드원이 탈퇴하는 경우에는 길드원의 길드 탈퇴 정보를 즉각적으로 커뮤니티 서버가 전송을 받고 해당 길드원을 길드 커뮤니티에서도 탈퇴시킨다. 그리고, 길드장이 길드를 폐쇄하는 경우에는 게임 서버에서 길드가 폐쇄됨과 동시에 길드 커뮤니티도 함께 자동으로 폐쇄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일부에 불과하며 다양한 실시예들이 후술된다.
종래에도 온라인 게임의 해당 커뮤니티를 운영하는 커뮤니티 서비스는 존재하였다. 예시적으로 같은 게임을 하는 길드원이 자신만의 온라인 카페 공간을 비공개로 설정하여 이용하는 것 등이 있다. 그러나 게임사에서 단순히 커뮤니티만을 운영한다고 하여 유저들에게 동인(incentive)가 되지 않았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인게임 인터페이스에서 유저들이 자연스럽게 길드 활동 (길드의 생성, 길드 가입이나 탈퇴, 길드전 등 이벤트, 길드원의 정보 변경, 채팅 등을 포함)을 할 때 해당 길드 커뮤니티가 자동으로 생성되고, 커뮤니티 활동(게시물의 포스팅이나, 커뮤니티 멤버 구성 또는 정보의 변경 등)이 처리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커뮤니티 활동을 하는 번거로움을 겪지 않고 게임만 즐길 수 있으면서도, 커뮤니티가 활성화 되어 유저가 게임과 커뮤니티 활동을 적극적으로 하게 되는 동인이 될 수 있다.
전체적 서비스 흐름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서비스 흐름도이다. 좌측의 구성은 인게임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나타낸 것이고, 우측의 구성은 이러한 이벤트에 따라 해당 그룹에 연동되는 커뮤니티가 처리하는 내용을 나타낸 것이다.
게임 내에서 길드장이 길드를 생성(111)하게 되면 해당 길드의 커뮤니티가 커뮤니티 서버에 자동으로 생성(121)된다. 길드의 생성 정보가 SDK를 통해 커뮤니티 서버에 접속하게 된다. 길드 커뮤니티가 커뮤니티 서버에 생성되면 인게임으로 커뮤니티의 생성을 통보한다. 커뮤니티 생성을 통보 받은 인게임 인터페이스에는 커뮤니티 접속 버튼 (예시적으로 '커뮤니티'라고 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따위)이 노출(112)된다. 이 과정을 통해 길드가 생성되고 해당 길드 커뮤니티가 생성된다. 별도의 길드 커뮤니티 생성 절차를 필요로 하지 않고, 게임내 노출된 커뮤니티 접속 버튼만 누르면 되기 때문에 커뮤니티의 이용을 유도할 수 있어 편리함이 크게 높아졌다
길드에 길드원이 가입(113)하는 경우에 길드 커뮤니티 서버로 API를 호출하여 해당 길드원을 길드 커뮤니티에 자동으로 가입(123)시킨다. 길드원 게임 내 길드에만 가입하면 자동으로 해당 길드 커뮤니티에도 가입이 되기 때문에 별도의 가입신청 및 승인 절차를 필요로 하지 않아 커뮤니티로의 접근성이 좋다. 별도의 커뮤니티 가입만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길드 멤버들은 해당 길드 커뮤니티를 폐쇄적으로 운영하기 원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설정이나 정책 변경이 없는 한 해당 커뮤니티 가입은 인게임에서 길드 가입에 의해서만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커뮤니티 멤버가 아닌 (즉 길드원이 아닌) 다른 이는 해당 커뮤니티에 접속하더라도 최소한의 정보만을 확인할 수 있다. 길드 소개와 간략한 정보를 확인하는 정도일 수 있다. 물론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예에 불과하므로 다르게 설정될 수는 있다.
한편, 길드가 생성(111)되고, 길드원이 길드에 가입(112)하고 나면 길드의 실질적인 운영이 시작된다. 게임 내에서 이슈가 발생하거나 정보가 변경(114)되는 경우, 커뮤니티의 API를 호출하고 길드 커뮤니티에 해당 내용이 자동으로 포스팅(124)될 수 있다. 여기서 게임 내 이슈는 길드원의 가입, 길드원의 탈퇴, 길드원의 추방, 길드전의 시작, 길드전의 종료, 길드장의 변경, 길드원의 등급 변경 등을 가리킨다. 다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길드와 관련되어 발생할 수 있는 일반적인 사항을 포함한다.
반대로 길드 커뮤니티에서 활동, 이를테면 커뮤니티에서의 글쓰기, 컨텐츠 업로드하기, 댓글쓰기, '좋아요' 등의 인터페이스 기능이 수행되는 등의 활동이 발생(125)하는 경우, 이는 인게임으로 푸시 이벤트 전송될 수도 있다. 그러면 해당 정보는 인게임에 반영(115)된다. 예시적으로는 공지사항 등이 인게임의 메시지 창에 텍스팅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인게임에 반영된 정보를 길드원들이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에 새로운 것(new)을 의미하는 "N"블릿을 노출(115)시킬 수 있다. 이로써 인게임과 커뮤니티의 양방향 정보 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길드원이 길드를 탈퇴(116)하는 경우에 커뮤니티 서버에 API를 호출하여 길드 커뮤니티에서 자동으로 탈퇴(126)시킨다. 길드에서 탈퇴하면서 커뮤니티 멤버로는 남아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물론, 이 또한 정책에 따라서는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길드를 폐쇄(117)하는 경우 길드 커뮤니티도 자동으로 함께 폐쇄(127)된다. 이것이 길드와 길드 커뮤니티 서비스를 연동하여 제공하는 일련의 과정이다.
길드 생성 시 자동으로 커뮤니티 생성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라 온라인 게임에서 길드가 생성되는 경우 해당 길드의 커뮤니티가 생성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게임 서버에서 길드가 생성되면 커뮤니티 서버는 길드의 생성 이벤트를 수신(210)하게 된다. 수신된 정보를 토대로 온라인 커뮤니티 내에 해당 길드의 커뮤니티를 생성(220)한다. 이후 인게임 인터페이스에서 커뮤니티를 호출하면 그에 따른 처리(230)를 한다. 이와 같은 프로세스로 길드원이 게임 내 길드에 가입을 하면 커뮤니티 서버는 길드원 가입 이벤트를 수신하고, 길드 커뮤니티에 해당 길드원을 가입시킨다. 이후 길드원이 인게임 인터페이스에서 커뮤니티를 호출하는 경우에 해당 작업을 처리하게 된다.
인게임 인터페이스
모바일 기기(300)에서 인게임 인터페이스(310)가 제공되고 있다. 인게임 인터페이스에는 길드 정보, 길드 현황 등을 파악할 수 있는 탭 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라 길드 커뮤니티가 생성된 경우의 인게임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게임 내에서 길드가 생성되면 커뮤니티 서버에 길드 커뮤니티가 자동으로 생성되고, 인게임 인터페이스에서는 커뮤니티 버튼(320)이 생긴다. 없다가 생기는 실시예도 가능하고, 비활성화 되었다가 활성화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나아가 처음부터 커뮤니티 버튼(320)이 존재할 수도 있다. 커뮤니티 버튼은 커뮤니티로 접속할 수 있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일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상기 커뮤니티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SDK를 통해 상기 생성된 온라인 커뮤니티의 URL이 호출되어 커뮤니티 서버가 상기 커뮤니티로의 접속을 제공할 수 있다.
인게임에서 바로 커뮤니티 버튼(320) 선택을 통해 길드 커뮤니티로 이동 (팝업 또는 인앱/인웹 인터페이싱, 앱 호출 등)하게 된다. 따라서 최대한 간단한 동작을 통해 길드 커뮤니티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활용 가능성이 높아진다.
커뮤니티로의 접속과 로그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뮤니티로의 접속 제공 시, 해당 사용자의 기존 로그인 정보가 확인되지 않으면, 다시 말해 로그인이 필요한 상태이면, 적어도 하나의 SNS 계정 로그인 기능이나 SDK가 이용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라 인게임에서 SDK를 통해 커뮤니티로 접속하는 경우 서버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커뮤니티 서버의 동작 방법은 게임 SDK를 통한 커뮤니티 호출을 수신하는 단계(410), 커뮤니티 접속을 제공하는 단계(420), 로그인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430)를 포함한다. 기존 로그인 정보가 확인되는 경우라면 커뮤니티 페이지 로드 제공 단계(450)가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로그인 정보가 확인되지 않는다면, SNS 계정을 통한 로그인을 제공하는 단계(440)가 수행될 수 있다. 게임 SDK를 통해 커뮤니티의 호출 정보가 수신되면 일단 커뮤니티로의 접속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폐쇄적 커뮤니티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로그인이 요구된다. 따라서 유저의 로그인 정보를 확인하게 된다. 로그인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곧바로 커뮤니티 페이지로드를 제공하지만, 로그인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SNS 계정을 통한 로그인이 필요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로그인을 제공 시에 Google+, 네이버, 카카오 계정, 페이스북 계정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다만 위 열거된 SNS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계정 정보를 제공하는 SNS라면 어느 것이든 제공될 수 있다. SNS 계정 로그인을 제공하여 로그인 정보가 확인되고 난 후에 커뮤니티 페이지로드를 제공한다(450).
다만, 이러한 SNS 계정을 통한 로그인은 선택적으로 서비스될 수 있는 실시예일뿐, 다른 실시예에서는 SNS 계정을 통한 로그인이 아니라 커뮤니티 서비스에 대한 자체 회원 가입과 로그인 과정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자체 인증은 예를 들면, OAuth2.0 스펙의 인증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a 및 5b는 일실시예에 따른 커뮤니티 접속 과정에서의 로그인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길드장이 길드 커뮤니티에 최초 접속하는 경우에 SNS 로그인 인터페이스(510)를 보게 된다. SNS 로그인 인터페이스에는 길드의 이름, 환영 문구, SNS 로그인 버튼, 로그인 유예 버튼 등이 존재할 수 있다. 길드 커뮤니티의 이용을 위해서는 SNS 로그인 버튼을 누르고, 본인의 SNS 계정 중 하나를 선택하여 로그인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로그인을 유예하는 버튼을 누르면 다시 인게임 화면으로 돌아가거나, 해당 커뮤니티의 공개 정보(최소한의 정보)만 제공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게시글의 적어도 일부를 볼 수 없거나, 글을 작성하지 못하는 등의 이용 제약이 있을 수 있다.
길드장이 아닌 길드원이 길드 커뮤니티를 최초로 접속하는 경우에도 SNS 로그인 인터페이스(520)를 보게 된다. 길드장 아닌 길드원의 SNS 로그인 인터페이스에도 길드장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길드의 이름, 환영 문구, SNS 로그인 버튼, 로그인 유예 버튼 등이 존재할 수 있다.
커뮤니티 서비스의 제공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라 커뮤니티 로그인 한 경우의 커뮤니티 화면을 도시한다. 도 5에서의 SNS 로그인 버튼을 누르고 로그인을 완료한 경우에 길드 커뮤니티의 화면이 표시된다. 화면의 상단에는 길드의 이름(610)이 표시될 수 있다. 길드의 문양을 표시하는 부분(620)과 배경 이미지를 표시하는 부분(630)이 존재할 수 있다. 공지를 포함한 모든 게시물을 볼 수 있도록 선택할 수 있는 버튼(640)이 존재할 수 있으며, 화면의 하단에는 게시글(650)이 나타난다. 본 화면의 구성은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일 뿐 구체적으로 길드의 레벨, 길드의 등급 길드원의 수 등이 표시될 수 있으며, 길드에 관련된 사항이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화면의 구성은 게시글이 아래에 나타나는 것에 국한되지 않고 경우에 따라서는 전체 화면에 게시글이 나타날 수도 있다. 이러한 커뮤니티 인터페이스 구성은 큰 어려움 없이 당업자에게 이해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커뮤니티 멤버가 아닌 자의 접속 시 서비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라 길드 멤버가 아닌 유저가 길드 커뮤니티에 접근한 경우의 커뮤니티 화면을 도시한다. 길드의 멤버가 아닌 유저가 접근하는 경우에 해당 길드의 게시글을 열람할 수 없고, 길드의 이름, 길드의 랭킹, 길드 창설일 등의 일부 정보(710)만 열람이 가능하다. 길드의 게시글 중에는 길드전의 전략, 핵심적 멤버의 정보 등이 존재할 수 있다. 해당 길드원이 아닌 멤버가 길드 커뮤니티에 접근하여 상기 정보들을 열람하게 되면 전력이나 전략 등이 노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러한 접근에는 일정한 제한이 필요한 것이다. 또한 길드원이 아닌 유저가 길드 커뮤니티의 게시글을 모두 열람할 수 있게 되면 길드원의 결속력이 저하되거나 길드 전략이 노출되는 등 문제가 발생할 우려도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과정은 길드 커뮤니티의 폐쇄성을 제공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한편, 길드장이 게시판 권한을 전체공개로 변경하는 경우에는 길드 멤버가 아닌 경우에도 해당 게시판에 접근하여 글을 열람하거나 및/또는 글을 작성하는 등의 활동이 가능하다. 최초 커뮤니티 생성 시의 디폴트 값은 '멤버 공개' 설정이지만, 추후 길드장 등 관리자에 의해 권한의 변경이 가능하다.
커뮤니티 내에서의 게시물과 사용자 정보 제공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라 길드 커뮤니티 내에 생성된 게시물 하단에 길드 멤버의 정보가 노출되는 예시적 화면 구성을 도시한다. 길드 커뮤니티의 게시글(810)이 존재할 때, 게시글의 하단에는 작성자의 정보가 노출(820)된다. 작성자의 정보는 일종의 명함 (name card or user profile) 형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노출 방식은 명함 형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노출될 수 있는 정보는 길드의 이름, 게시자의 닉네임, 게시자가 게시한 글의 총 수, 게임 내 종족(Race) 등이 노출될 수 있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라 길드 커뮤니티에서 특정 멤버의 프로필을 노출하는 예시적 화면 구성을 도시한다. 길드원이 특정 길드원의 정보를 열람하는 경우에는 게임 내 각종 정보(910)가 공개된다. 예시적으로, 그러나 한정되지 않게 각종 정보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입된 길드의 이름, 캐릭터의 레벨, 캐릭터의 종족, 게임 내 리그의 등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게임 내 정보는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에 게임 서버로부터 전송 받아 업데이트 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과정도 인게임 쪽에서의 정보 변경이 커뮤니티 서버로 자동 전송되어 커뮤니티 사용자 정보에 자동 반영되는 것일 수 있다.
게임 정보의 커뮤니티 반영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라 인게임 길드 이벤트 발생 시 온라인 길드 커뮤니티에 해당 이벤트가 반영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온라인 게임에서 상기 게임 유저 그룹에 연관되는 미리 지정되는 종류의 제1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1010), 해당 이벤트에 대응하는 API가 실행될 수 있다(1020). 발생하는 개개의 이벤트에 따라서 그에 대응되는 이벤트 대응 API는 상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게임 유저 그룹에 대응하는 상기 커뮤니티에 상기 제1 이벤트를 반영하는 제1 처리가 수행된다(1030)
여기서 상기한 '미리 지정되는 종류의 제1 이벤트'의 예는 다양하다. 예시적으로, 그러나 한정되지 않게, 이러한 제1 이벤트는, 새로운 길드원이 길드에 가입하거나, 길드원의 일부가 길드로부터 탈퇴하거나, 길드전 (단체 게임이나 공동 미션 수행)의 시작이나 종료, 길드에 관한 통계 (전적, 승률 등), 기념일, 길드원 개개인의 사용자 정보 변경 등 다양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정보 변경은 사용자 게임에서의 레벨의 변경, 프로필의 변경, 닉네임의 변경, 캐릭터의 변경, 아이템 보유상황의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온라인 커뮤니티 서버는 상기 제1 이벤트를 반영하는 제1 처리를 수행하는데(1030), 상기 제1 처리는 다양한 실시예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한 사용자 정보 변경에 대응해서는 상기 커뮤니티에서의 해당 사용자의 정보를 연동하여 변경하는 것이 상기 제1 처리에 포함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인게임에서 길드원인 사용자 닉네임이 변경되거나, 사용자 레벨이 높아지면, 온라인 커뮤니티 쪽에서도 상기 사용자의 닉네임을 변경시키고 레벨을 상승시키는 것이 제1 처리에 포함될 수 있다. 물론, 무조건적으로 반영되는 것이 아니라, 커뮤니티 정책이나 사용자 설정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반영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길드 이벤트의 커뮤니티 포스팅
한편, 상기 제1 처리의 종류에는 커뮤니티 내에서 게시물을 자동으로 포스팅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1 이벤트는 상기 게임 유저 그룹에 연관되는 단체 게임의 시작, 상기 단체 게임의 종료, 상기 단체 게임의 결과, 미션 수행의 시작, 미션 수행의 종료 및 게임에 연관되는 통계의 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온라인 커뮤니티 서버스는 이러한 이벤트에 대해 자동으로 게시물을 생성하여 커뮤니티 내에 포스팅한다. 이러한 포스팅은 커뮤니티의 타임라인에 게시물을 노출시키는 것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포스팅 옵션들
단순히 미리 지정된 텍스트가 포스팅될 수도 있으나, 길드전과 같은 게임 쪽의 스틸샷이 썸네일과 같은 형태로 게시물에 포함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예시적으로, 그러나 한정적이지 않게, 동영상 클립, 하이퍼 링크 등 다양한 형태의 컨텐츠가 게시물 포스팅에 함께 포함될 수도 있다.
길드원 가입 시 커뮤니티 가입 처리
일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커뮤니티 서버는, 인게임 쪽에서 임의의 제1 사용자가 상기 유저 그룹 (길드)에 가입하는 경우, 별도의 온라인 커뮤니티로의 가입 없이도 자동으로 상기 제1 사용자를 상기 커뮤니티에 가입시킨다. 그리고 커뮤니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한다. 따라서, 인게임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는 길드에 가입할 뿐인데, 자동으로 해당 길드의 커뮤니티로도 자동 가입이 된다.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라 새로운 길드원이 길드에 가입하는 경우, 온라인 길드 커뮤니티에 자동으로 길드원 가입 소식이 포스팅되는 서비스를 도시한다.
게임 내에서 길드원이 새롭게 가입하는 경우에 대응 API가 실행되고, 자동으로 길드 커뮤니티에 게시글(1100)을 생성한다. 자동으로 생성된 게시글에는 신규 길드원의 가입을 알리는 문구(1110) 및 신규 길드원의 환영을 요청하는 문구 등이 기재될 수 있다. 자동으로 생성된 게시글은 길드원이 직접 작성하는 글과 마찬가지로 다른 길드원이 환영 댓글을 추가하거나 별도의 감정표현(1120) 등을 작성할 수 있다. 게시글에는 길드원의 게임 내 캐릭터 인터페이스, 레벨, 종족 등의 사항이 다양하게 기재될 수 있다. 종래의 길드 커뮤니티 시스템에서는 신입 길드원이 직접 본인의 소개글을 작성해야 하기 때문에 게시물의 작성에 따른 번거로움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유저가 직접 작성해야 한다는 점에서 거부감을 느낄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 게시글을 이용하면 새롭게 가입하는 길드원이 부담없이 자신을 소개할 수 있게 되고, 기존 길드원과 쉽게 어울릴 수 있다. 또한 기존 길드원은 자동 게시글을 통해 새로운 길드원의 가입 사실을 빠르게 파악하게 되고 환영해줄 수 있다. 길드원의 길드 커뮤니티로 접속을 유도함에 이어서 자동 게시글을 통해 길드 커뮤니티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는 길드 커뮤니티의 활성화, 그리고 이로 인한 게임의 인기 상승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커뮤니티 활동의 인게임으로의 반영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뮤니티에서 새로운 활동, 이를테면 정보 변경이나 게시물 포스팅이 있는 경우, 상기 온라인 커뮤니티 서버에 연관되는 SDK를 통해 상기 인게임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새로운 활동의 발생을 알리는 블릿 아이콘을 표시하는 API를 호출하는 단계가 상기 방법에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블릿 아이콘은 이를 테면 "New"를 뜻하는 "N" 블릿 배지가 상기 '커뮤니티' GUI 위에 노출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2는 일실시예에 따라 온라인 길드 커뮤니티에 새로운 게시물이 발생하는 경우 온라인 게임의 인게임 인터페이스에서 블릿 뱃지가 노출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인게임 인터페이스에서 제공되는 커뮤니티 버튼(1210)이 존재하고, 길드 커뮤니티에 새로운 게시물이 발생하는 경우에 길드 커뮤니티로 이동 버튼에 블릿 뱃지(1220)가 노출된다. 블릿 뱃지는 커뮤니티 이동 버튼의 좌측 상단뿐만 아니라 주변 어디든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게시물의 알림에는 블릿 뱃지의 노출 방식 이외에 커뮤니티 이동 버튼이 깜빡이거나, 기 설정된 다른 색으로 변경되는 등으로 인게임 내에 변화를 줄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새로운 커뮤니티 활동이 무엇인지 종류나 간략한 요약이 함께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3은 일실시예에 따라 인게임의 필드에 게시물 내용이 노출되는 내용을 도시한다. 게시물의 내용이 노출되는 게시부(1310)에 길드장이 작성한 게시물이 노출될 수 있다. 길드장은 인게임에서 해당 게시부(1310)에 직접 게시글을 작성할 수 있고, 이 경우 동일한 내용의 게시글이 길드 커뮤니티에도 자동으로 게시된다. 거꾸로 길드 커뮤니티에서 길드장이 공지글을 작성하는 경우에 해당 공지의 내용이 인게임의 게시부에도 노출될 수 있다. 게시부에 작성되는 글을 길드 커뮤니티에서도 자동으로 작성되도록 하여 동일한 공지를 반복하여 작성 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줄이고, 게임에 접속하지 않고 커뮤니티의 접속 만으로 게임 내 공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커뮤니티의 활용도를 증가시킨다.
길드원의 길드 탈퇴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게임 쪽에서의 특정 길드원의 길드 탈퇴가 온라인 커뮤니티에 자동으로 반영된다. 예시적으로, 상기 게임 유저 그룹 (길드) 및 상기 커뮤니티에 가입되어 있는 제2 사용자가 상기 인게임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게임 유저 그룹으로부터 탈퇴하는 경우, 상기 제2 사용자를 상기 커뮤니티에서 탈퇴 시키고 커뮤니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가 업데이트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길드에서 탈퇴되면 커뮤니티에서도 탈퇴되기에 커뮤니티의 폐쇄성이 유지될 수 있다.
커뮤니티의 사용 정지와 폐쇄
게임 내에서 길드가 폐쇄되는 경우에 연동된 해당 길드 커뮤니티는 자동으로 폐쇄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기 설정된 제1 기간이 경과한 후에 길드 커뮤니티의 DB(Data Base)를 삭제한다. 길드원 및 길드장이 길드 커뮤니티를 이용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길드 커뮤니티를 폐쇄한다. 다만 길드의 폐쇄와 달리 기 설정된 제2 기간이 경과된 후에 길드 커뮤니티를 폐쇄한다. 이후에 제1 기간이 경과하면 길드 커뮤니티의 DB를 삭제하게 되지만, 제1 기간 경과전 길드장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길드 커뮤니티를 재생성한다.
커뮤니티 서버는, 특정 커뮤니티가 미리 지정된 규정에 따라 사용 중지 및 폐쇄 중 어느 하나의 처분을 받는 경우, 상기 온라인 커뮤니티 서버에 연관되는 SDK를 통해 상기 인게임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처분에 연관되는 메시지를 노출할 수 도 있다. 길드원들에게 이러한 사실을 공지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

  1. 온라인 커뮤니티 서버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온라인 게임의 인게임 인터페이스에서 게임 유저 그룹이 생성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게임 유저 그룹에 대응하는 커뮤니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인게임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커뮤니티로의 접속 인터페이스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커뮤니티로의 접속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70181201A 2017-12-27 2017-12-27 게임 유저 그룹에 대응하는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800557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201A KR20180055754A (ko) 2017-12-27 2017-12-27 게임 유저 그룹에 대응하는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201A KR20180055754A (ko) 2017-12-27 2017-12-27 게임 유저 그룹에 대응하는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2677A Division KR101815478B1 (ko) 2016-11-16 2016-11-16 게임 유저 그룹에 대응하는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5754A true KR20180055754A (ko) 2018-05-25

Family

ID=62299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1201A KR20180055754A (ko) 2017-12-27 2017-12-27 게임 유저 그룹에 대응하는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57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5985A (ko) * 2019-06-18 2021-02-10 주식회사 비브로스 의료정보 기반의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5985A (ko) * 2019-06-18 2021-02-10 주식회사 비브로스 의료정보 기반의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55410B2 (ja) インタラクティブイベントプラットフォーム
JP6649426B2 (ja) 表示制御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システム
CN110945840B (zh) 提供与消息应用相关联的嵌入式应用的方法和系统
US8176421B2 (en) Virtual universe supervisory presence
CN110709869A (zh) 用于在聊天对话中与嵌入式应用一起使用的建议项目
US20140149867A1 (en) Web-based interactive experience utilizing video components
Dragona Counter-gamification: emerging tactics and practices against the rule of numbers
KR102535789B1 (ko) 다중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을 론칭하기 위한 초대 링크
US8764554B2 (en) Customized enhancement system
US2012015935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abling virtual social profiles
US20160217482A1 (en) Use-based software incentives
KR101815478B1 (ko) 게임 유저 그룹에 대응하는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21072965A (ja) ゲームリプレイ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180055754A (ko) 게임 유저 그룹에 대응하는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90068338A (ko) 온라인 게임에서의 아이템 다이어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500812B1 (ko) 온라인 게임 화면 인터페이스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Au et al. The anti-ageing secret of massively multiplayer online game: Managing its lifecycle
CN110855546A (zh) 活动分发方法、装置和设备
KR101385089B1 (ko) 특정 게임을 통해 경품을 제공하는 게임 방법
Morris MOBA Games: A Critical Analysis Into What Makes And Breaks Them, And What Influences Players to Keep Returning
Wang Transgressive Play and the Inherent Limits of Business Growth for China’s LGBTQ Platforms: The Case of a Social Game in Aloha
KR20130089791A (ko) 온라인 게임 제공 방법,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및 온라인 게임 제공 서버
Gu Chinese Cloud Players: How Proxy Play Develops From the Game Live Streaming
Myftari Study on the use of social networks for the creation of gaming experiences
KR101200630B1 (ko) 플래시 게임내 메시지 제공 시스템 및 플래시 게임내메시지 제공 방법, 웹서버, 웹페이지 제공 방법 및 방법실행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