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5559A - 올레핀계 단량체의 회수 장치 - Google Patents

올레핀계 단량체의 회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5559A
KR20180055559A KR1020160153517A KR20160153517A KR20180055559A KR 20180055559 A KR20180055559 A KR 20180055559A KR 1020160153517 A KR1020160153517 A KR 1020160153517A KR 20160153517 A KR20160153517 A KR 20160153517A KR 20180055559 A KR20180055559 A KR 201800555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lefin
gas
based monomer
knock
wa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3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9581B1 (ko
Inventor
신대영
주은정
신준호
허창회
장성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60153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9581B1/ko
Priority to CN201780033840.XA priority patent/CN109312016B/zh
Priority to US16/308,183 priority patent/US11478725B2/en
Priority to PCT/KR2017/011613 priority patent/WO2018093052A2/ko
Priority to EP17872684.0A priority patent/EP3447076B1/en
Publication of KR20180055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5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9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9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6/00Post-polymerisation treatments
    • C08F6/001Removal of residual monomers by phys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01D5/0003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by using heat-exchange surfaces for indirect contact between gases or vapours and the cooling medium
    • B01D5/0012Vertical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utilising gr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01D5/0078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characterised by auxiliary systems or arrangements
    • B01D5/009Collecting, removing and/or treatment of the condens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01D5/0078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characterised by auxiliary systems or arrangements
    • B01D5/0096Clea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10/02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6/00Post-polymerisation treat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11/0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 C08J11/02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solvents, plasticisers or unreacted mon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8Copolymers of eth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 수지의 제조 후, 미반응 단량체를 분리 및 회수하는 과정에서, 회수 장치 내의 파울링 및 압력 강하를 억제할 수 있는 올레핀계 단량체의 회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올레핀계 단량체의 회수 장치는 열 교환을 위한 냉각 매체가 수용되는 열 교환부 동체와, 상기 냉각 매체 내에 잠기도록 상기 열 교환부 동체 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고, 올레핀계 단량체 및 폴리올레핀 왁스를 포함한 기체가 통과하는 복수의 전열관을 포함하는 수직형 열 교환부; 및 상기 수직형 열 교환부의 전열관과 직접 연결되어 있는 기체 주입구와, 상기 기체로부터 올레핀계 단량체 함유 기체 및 폴리올레핀 왁스 함유 액체를 분리하는 녹 아웃(knock out) 분리 수단과, 녹 아웃(knock out) 드럼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올레핀계 단량체 함유 기체가 배출되는 제 1 배출관과, 녹 아웃(knock out) 드럼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폴리올레핀 왁스 함유 액체가 배출되는 제 2 배출관을 포함하는 녹 아웃 드럼부;를 포함하고, 폴리올레핀 수지 제조 후, 미반응 올레핀계 단량체의 분리 및 회수에 사용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올레핀계 단량체의 회수 장치 {RECOVERY APPARTUS OF OLEFIN-BASED MONOMER}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 수지의 제조 후, 미반응 단량체를 분리 및 회수하는 과정에서, 회수 장치 내의 파울링 및 압력 강하를 억제할 수 있는 올레핀계 단량체의 회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틸렌의 단일 중합체 또는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등으로 되는 폴리올레핀 수지는 일반적으로 오토클레이브(autoclave) 반응기 또는 관형 반응기에서 에틸렌 또는 알파올레핀 등의 올레핀계 단량체의 고압 중합 반응에 의해 제조된다. 이러한 고압 반응 중합 반응기에서 폴리올레핀 수지가 제조된 후,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한 중합 산물은 일단적으로 고압 분리기(HPS; High Pressure Separator)에서, 폴리올레핀 수지가 회수되고, 나머지 미반응 올레핀계 단량체 함유 기체가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미반응 올레핀계 단량체 함유 기체 중에는,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보다 낮은 분자량을 갖는 부산물,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왁스와 같은 부산물과, 상기 고압 분리기에서 미처 회수되지 않은 폴리올레핀 수지 등이 불순물로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미반응 올레핀계 단량체 함유 기체는 올레핀계 단량체의 회수 장치에 공급되어, 보다 순도가 높은 올레핀계 단량체 기체가 회수될 수 있으며, 이렇게 회수된 올레핀계 단량체는 폴리올레핀 수지 제조를 위한 중합 공정에서 재사용될 수 있다.
미국 등록 특허 제 3627746 호에는 상기 올레핀계 단량체의 회수 장치의 일 예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올레핀계 단량체 회수 장치는, 이미 상술한 폴리올레핀 수지의 분리 및 회수를 위한 고압 분리기를 포함하며, 이와 연결된 복수의 수평형(horizontal type) 열 교환기 및 녹 아웃 드럼(knock out drum)이 포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평형 열 교환기는 주로 shell and tube type으로 되며, 복수의 수평형 열 교환기와, 복수의 녹 아웃 드럼이 교대로 배치되어 서로 간에 별도의 배관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올레핀계 단량체의 회수 장치에서는,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가 고압 분리기에서 회수되고, 나머지 분리된 미반응 올레핀계 단량체 함유 기체가 교대로 배열 및 연결된 상기 복수의 수평형 열 교환기와, 복수의 녹 아웃 드럼을 통과할 수 있다. 열 교환기에서는, 상기 미반응 올레핀계 단량체 함유 기체가 냉각 매체에 의해 냉각되며, 냉각된 미반응 올레핀계 단량체 함유 기체로부터 상기 폴리올레핀 왁스와 같은 부산물과, 상기 고압 분리기에서 미처 회수되지 않은 폴리올레핀 수지 등을 포함한 액체가 분리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미반응 올레핀계 단량체가 기체 상태로 비교적 높은 순도로 회수되어 중합 공정에 재사용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올레핀계 단량체의 회수 장치의 경우, 상기 복수의 수평형 열 교환기와, 복수의 녹 아웃 드럼을 연결하는 각 배관에서, 파울링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상기 미반응 올레핀계 단량체 함유 기체가 각 배관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폴리올레핀 왁스나, 수지 등의 액체가 적하되어 배관벽 등에 쌓일 수 있기 때문이다. 더구나, 실제적인 올레핀계 단량체 회수 장치에서, 상기 배관은 전체 회수 장치의 설치 면적 등을 고려하여 직관으로 되기 어려운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상기 배관 내에서 압력 강하 등이 발생하여 이러한 파울링 현상은 더욱 심하게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파울링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열교환기 전열관 표면에서 열전달 효율이 감소하여 냉각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또, 상기 배관벽 등에 쌓인 왁스 또는 수지 성분은 추후 떨어져 나와 올레핀계 단량체 함유 기체와 함께 중합 반응기로 투입될 수 있으며, 이는 폴리올레핀 수지의 품질 저하의 일 요인이 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일정 기간 운전 후, 열교환기 및 배관 등을 청소하는 작업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생산성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더구나, 종래의 올레핀계 단량체 회수 장치의 경우, 복수의 배관 설치가 필요하게 되므로, 전체적인 장치의 설치 비용이나 면적이 크게 필요하게 되어, 공정의 경제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에 파울링 현상 및 압력 강하를 억제할 수 있고, 보다 컴팩트한 구조 등을 갖는 올레핀계 단량체의 회수 장치 등이 계속적으로 요청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 수지의 제조 후, 미반응 단량체를 분리 및 회수하는 과정에서, 회수 장치 내의 파울링 및 압력 강하를 억제할 수 있는 올레핀계 단량체의 회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열 교환을 위한 냉각 매체가 수용되는 열 교환부 동체와,
상기 냉각 매체 내에 잠기도록 상기 열 교환부 동체 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고, 올레핀계 단량체 및 폴리올레핀 왁스를 포함한 기체가 통과하는 복수의 전열관을 포함하는 수직형 열 교환부; 및
상기 수직형 열 교환부의 전열관과 직접 연결되어 있는 기체 주입구와,
상기 기체로부터 올레핀계 단량체 함유 기체 및 폴리올레핀 왁스 함유 액체를 분리하는 녹 아웃(knock out) 분리 수단과,
녹 아웃(knock out) 드럼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올레핀계 단량체 함유 기체가 배출되는 제 1 배출관과,
녹 아웃(knock out) 드럼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폴리올레핀 왁스 함유 액체가 배출되는 제 2 배출관을 포함하는 녹 아웃 드럼부;를 포함하고,
폴리올레핀 수지 제조 후, 미반응 올레핀계 단량체의 분리 및 회수에 사용되는 올레핀계 단량체 회수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올레핀계 단량체 회수 장치를 사용하여, 다음의 방법으로 올레핀계 단량체가 회수될 수 있다. 즉, 이러한 회수 방법은 폴리올레핀 수지,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보다 낮은 분자량을 갖는 폴리올레핀 왁스 및 미반응 올레핀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중합 산물을 고압 분리기로 통과시켜, 폴리올레핀 수지를 회수하고, 상기 올레핀계 단량체 및 폴리올레핀 왁스를 포함한 기체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올레핀계 단량체 및 폴리올레핀 왁스를 포함한 기체를 상기 수직형 열 교환부의 복수의 전열관으로 공급하여, 냉각 매체와의 열 교환에 의해 냉각시키는 단계;
상기 냉각된 기체를 상기 녹 아웃 드럼부의 기체 주입구를 통해 상기 녹 아웃 분리 수단에 공급하여, 상기 올레핀계 단량체 함유 기체 및 상기 폴리올레핀 왁스 함유 액체로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올레핀계 단량체 함유 기체 및 상기 폴리올레핀 왁스 함유 액체를 제 1 및 제 2 배출관으로 각각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올레핀 수지의 제조 후, 미반응 단량체를 분리 및 회수하는 과정에서, 회수 장치 내의 파울링 및 압력 강하를 억제할 수 있고, 배관의 설치 없이 보다 컴팩트한 구조를 갖는 올레핀계 단량체의 회수 장치 등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올레핀계 단량체의 회수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올레핀계 단량체의 회수 장치 및 이를 적용한 회수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발명의 하나의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서 구현예에 대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상부"란 열 교환부 또는 녹 아웃 드럼부 등의 용기, 장치 내지 장치에 포함된 각 구성 요소의 전체 높이로부터 50% 이상의 높이에 해당하는 부분을 의미하며, "하부"란 상기 용기, 장치 내지 장치에 포함된 각 구성 요소의 전체 높이로부터 50% 미만의 높이에 해당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중앙부"란 상기 "상부"와, "하부" 사이의 부분을 지칭하는 상대적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열 교환을 위한 냉각 매체가 수용되는 열 교환부 동체와,
상기 냉각 매체 내에 잠기도록 상기 열 교환부 동체 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고, 올레핀계 단량체 및 폴리올레핀 왁스를 포함한 기체가 통과하는 복수의 전열관을 포함하는 수직형 열 교환부; 및
상기 수직형 열 교환부의 전열관과 직접 연결되어 있는 기체 주입구와,
상기 기체로부터 올레핀계 단량체 함유 기체 및 폴리올레핀 왁스 함유 액체를 분리하는 녹 아웃(knock out) 분리 수단과,
녹 아웃(knock out) 드럼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올레핀계 단량체 함유 기체가 배출되는 제 1 배출관과,
녹 아웃(knock out) 드럼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폴리올레핀 왁스 함유 액체가 배출되는 제 2 배출관을 포함하는 녹 아웃 드럼부;를 포함하고,
폴리올레핀 수지 제조 후, 미반응 올레핀계 단량체의 분리 및 회수에 사용되는 올레핀계 단량체 회수 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일 구현예의 회수 장치는 기존에 적용되던 수평형 열 교환기 대신 상하로 연결된 복수의 전열관을 포함하는 수직형 열 교환부를 포함하며, 이러한 수직형 열 교환부가 하부의 녹 아웃 드럼부와 직접 연결된 것이다. 이때, 상기 수직형 열 교환부가 하부의 녹 아웃 드럼부가 "직접" 연결되어 있다 함은 상기 전열관이 상기 녹 아웃 드럼부의 기체 주입구에 "별도의 연결 배관 없이" 직접 연결되어 있고, 상기 수직형 열 교환부의 하부가 상기 녹 아웃 드럼부의 상부가 직접 맞닿아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일 구현예의 회수 장치에서는, 별도의 연결 배관이 설치되지 않음에 따라, 배관 내에서 파울링 현상이나 압력 강하가 일어날 우려가 없다. 또, 상하로 연결된 복수의 전열관 내를 올레핀계 단량체 함유 기체가 통과하면서 열 교환 및 냉각이 일어나며, 이러한 복수의 전열관이 직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전열관 내를 올레핀계 단량체 함유 기체가 통과하는 과정에서도, 이에 포함된 폴리올레핀 왁스나, 수지 등의 액체가 적하되어 파울링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최소화될 수 있다.
더구나, 상기 회수 장치는 별도의 연결 배관 등이 포함되지 않음에 따라, 기준의 올레핀계 단량체 회수 장치에 비해 매우 컴팩트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그 설치 비용 또한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일 구현예에 의한 올레핀계 단량체의 회수 장치는 종래 적용되던 회수 장치의 문제점(파울링 현상, 압력 강하 및 설치 면적과 비용의 증가 등)을 해결할 수 있으며, 폴리올레핀 수지 제조 후 미반응 올레핀계 단량체를 회수 및 재사용하는 과정에서 매우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일 구현예에 의한 올레핀계 단량체의 회수 장치를 이를 이용한 회수 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올레핀계 단량체의 회수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구현예의 회수 장치는 크게 수직형 열 교환부(100)와, 이러한 수직형 열 교환부(100)와 별도의 연결 배관 없이 직접 연결되어 있는 녹 아웃 드럼부(200)를 포함한다.
이중 수직형 열 교환부(100)는 열 교환을 위한 냉각 매체가 수용되는 열 교환부 동체(110)와, 상기 냉각 매체 내에 잠기도록 상기 열 교환부 동체(110) 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전열관(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상기 수직형 열 교환부(100)는 상기 복수의 전열관(120)과 연결되도록 수직형 열 교환부(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올레핀계 단량체 및 폴리올레핀 왁스를 포함한 기체 주입구(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틸렌 또는 에틸렌 및 알파올레핀의 고압 중합에 의해 폴리올레핀 수지가 제조된 후, 이러한 중합 산물이 고압 분리기(HPS; High Pressure Separator) 등을 통과하여 폴리올레핀 수지가 회수되고 나면, 나머지 분리된 미반응 올레핀계 단량체 함유 기체는 상기 올레핀계 단량체 및 폴리올레핀 왁스 등 부산물과, 상기 고압 분리기에서 미처 회수되지 않은 폴리올레핀 수지 등을 불순물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올레핀계 단량체 및 폴리올레핀 왁스를 포함한 기체는 상기 기체 주입구(130)를 통해, 수직형 열 교환부(100) 내의 복수의 전열관(120)을 통과할 수 있으며, 이러한 통과 과정에서 전열관(120) 주위의 냉각 매체와의 열 교환을 통해 상기 올레핀계 단량체 및 폴리올레핀 왁스를 포함한 기체가 냉각될 수 있다.
이러한 열 교환 과정에서, 상기 복수의 전열관(120)은 상하의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올레핀계 단량체 및 폴리올레핀 왁스를 포함한 기체가 수직으로 떨어지면서 열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상기 복수의 전열관(120)이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직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전열관(120) 내를 상기 기체가 통과하는 과정에서도, 이에 포함된 폴리올레핀 왁스나, 수지 등의 액체가 적하되어 파울링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최소화될 수 있다.
상술한 수직형 열 교환부(100)에서, 동체(110) 내부를 채우는 냉각 매체의 종류나, 동체(110) 및 전열관(120)의 재질 또는 스케일은 이전부터 올레핀계 단량체의 회수에 사용되던 열 교환기의 통상적인 구성에 따를 수 있으므로, 이에 관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수직형 열 교환부(100)는 상기 올레핀계 단량체 및 폴리올레핀 왁스를 포함한 기체 주입구(130)와 별도로, 상기 복수의 전열관(120)과 연결되도록 수직형 열 교환부(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에틸렌 기체 주입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이러한 에틸렌 기체 주입구(140)를 통해, 상기 올레핀계 단량체 및 폴리올레핀 왁스를 포함한 기체와 별도로 에틸렌 기체가 전열관(120)으로 더욱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에틸렌 기체는 전열관(120) 등의 통과 과정에서 일부 파울링이 발생하여 그 벽면 등에 붙어 있는 왁스나 수지 등을 이송하여 디파울링(defouling)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파울링된 왁스나 수지를 포함한 에틸렌 기체는 후술하는 녹 아웃 드럼부(200)의 제 1 배출관(23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로서 일 구현예의 회수 장치는 왁스 또는 수지의 파울링에 의한 문제점을 더욱 줄일 수 있다.
한편, 일 구현예의 회수 장치는 상술한 수직형 열 교환부(100)와 직접 연결된 녹 아웃 드럼부(20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직접 연결을 위해,
이러한 녹 아웃 드럼부(200)의 기체 주입구(210)는 상기 수직형 열 교환부(100)의 전열관(120)과 별도의 연결 배관 없이 직접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형 열 교환부(100)의 하부가 상기 녹 아웃 드럼부(200)의 상부가 직접 맞닿아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수직형 열 교환부(100)를 통과한 상기 올레핀계 단량체 및 폴리올레핀 왁스를 포함한 냉각 기체가 녹 아웃 드럼부(200)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파울링 현상이나 압력 강하 등이 발생할 우려가 실질적으로 없어지게 된다.
또, 상기 녹 아웃 드럼부(200)는 상기 기체 주입구(210)에서 공급된 기체로부터 올레핀계 단량체 함유 기체 및 폴리올레핀 왁스 함유 액체를 분리하는 녹 아웃 분리 수단(220)을 포함한다. 이러한 녹 아웃 분리 수단(220)은 통상적인 녹 아웃 드럼의 구성에 상응하게 밀도차를 이용한 기체 및 액적의 분리 수단으로 되거나, 원심 분리형 기체 및 액적의 분리 수단 등으로 될 수 있다. 다만, 원심분리형 분리 수단을 적용할 경우, 원심력이 인가되어 기체의 소용돌이가 발생하게 되는데, 일 구현예의 회수 장치에서는 녹 아웃 드럼부(200) 직 상부에 수직형 열 교환부(100)가 연결됨에 따라, 상기 기체의 소용돌이 발생 및 원심분리에 의한 기/액 분리가 곤란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일 구현예의 회수 장치에서 상기 녹 아웃 분리 수단(220)은 밀도차를 이용한 기체 및 액적의 분리 수단으로 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분리 수단을 거치게 되면, 상기 올레핀계 단량체 함유 기체와, 상기 폴리올레핀 왁스 및 선택적으로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한 액적이 이들 각각의 밀도 차이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이렇게 분리된 올레핀계 단량체 함유 기체는 녹 아웃 드럼부(2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 1 배출관(230)을 통해 배출될 수 있으며, 상기 폴리올레핀 왁스 및 선택적으로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한 액체는 액적 형태로 떨어져, 녹 아웃 드럼부(2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 2 배출관(24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명확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밀도차를 이용한 기체 및 액적의 분리 수단의 분리 효율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제 1 배출관(230)의 입구 측에 왁스 및 수지의 유입 방지벽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직형 열 교환부(100)에서의 추가적인 파울링 억제를 위해 상기 수직형 열 교환부(100)의 상부에 에틸렌 기체 주입구(140)가 더포함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주입된 에틸렌 기체가 전열관(120)의 벽면 등에 붙어있는 왁스나 수지 등을 이송하여 디파울링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디파울링된 왁스나 수지를 포함한 에틸렌 기체는 녹 아웃 드럼부(200)의 녹 아웃 분리 수단(220)에서, 디파울링된 왁스 또는 수지와, 에틸렌 기체로 분리될 수 있다. 이렇게 분리된 디파울링된 왁스 또는 수지는 상기 제 2 배출관(240)으로 배출될 수 있으며, 상기 에틸렌 기체는 상기 제 1 배출관(230)을 통해, 상기 올레핀계 단량체 함유 기체와 함께 배출될 수 있다. 이로서 일 구현예의 회수 장치는 왁스 또는 수지의 파울링에 의한 문제점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 1 배출관(230)으로 배출된 올레핀계 단량체 함유 기체 및 선택적인 에틸렌 기체는, 선택적으로 응축되어, 올레핀계 단량체로 회수되고, 추가적인 폴리올레핀 수지의 중합에 재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녹 아웃 드럼부(200)의 구성에 있어, 이상에서 설명한 점을 제외하고는, 통상적인 녹 아웃 드럼의 구성에 상응할 수 있으므로, 이에 관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일 구현예의 회수 장치를 사용한 올레핀계 단량체의 회수 방법은 다음과 같이 진행될 수 있다.
먼저, 오토클레이브(autoclave) 반응기 또는 관형 반응기에서 에틸렌 또는 알파올레핀 등의 올레핀계 단량체의 고압 중합 반응을 통해 폴리올레핀 수지를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중합을 거친 중합 산물은 폴리올레핀 수지,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보다 낮은 분자량을 갖는 폴리올레핀 왁스 및 미반응 올레핀계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중합 산물을 고압 분리기로 통과시켜, 폴리올레핀 수지를 회수하고, 상기 올레핀계 단량체 및 폴리올레핀 왁스를 포함한 기체를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체는 미처 회수되지 못한 소량의 폴리올레핀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올레핀계 단량체 및 폴리올레핀 왁스를 포함한 기체는 상기 수직형 열 교환부(100)의 복수의 전열관(120)으로 공급되어, 냉각 매체와의 열 교환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전열관(120)에는 추가적인 디파울링을 위한 별도의 에틸렌 기체가 더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에틸렌 기체는 상기 전열관(120)의 벽면에 붙어 있는 소량의 왁스 및 수지를 이송하여 디파울링시킬 수 있다.
이렇게 냉각된 기체, 즉, 상기 올레핀계 단량체 및 폴리올레핀 왁스를 포함한 기체는 상기 녹 아웃 드럼부(200)의 기체 주입구(210)를 통해 상기 녹 아웃 분리 수단(220)에 공급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올레핀계 단량체 함유 기체 및 상기 폴리올레핀 왁스 함유 액체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파울링 에틸렌 기체는 녹 아웃 드럼부(200)의 녹 아웃 분리 수단(220)에서, 디파울링된 왁스 또는 수지와, 에틸렌 기체로 분리될 수 있다. 이렇게 분리된 디파울링된 왁스 또는 수지는 상기 제 2 배출관(240)으로 배출될 수 있으며, 상기 에틸렌 기체는 상기 제 1 배출관(230)을 통해, 상기 올레핀계 단량체 함유 기체와 함께 배출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올레핀계 단량체 함유 기체(선택적으로 에틸렌 기체 포함) 및 상기 폴리올레핀 왁스 함유 액체(선택적으로 디파울링된 왁스 또는 수지 함유 액체 포함)를 제 1 및 제 2 배출관(230, 240)으로 각각 배출될 수 있으며, 제 1 배출관(230)으로 배출된 올레핀계 단량체 함유 기체는 회수되어 폴리올레핀 수지의 중합에 재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회수 방법에 의해, 파울링에 관한 우려 없이 올레핀계 단량체를 고순도로 회수할 수 있게 되며, 일 구현예의 회수 장치는 이러한 파울링의 우려를 최소화하면서도 별도의 연결 배관 없이 컴팩트한 구조 및 낮은 설치 비용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회수 장치 및 회수 방법은 폴리올레핀 수지의 제조 후, 에틸렌이나 알파 올레핀 등의 올레핀계 단량체를 회수하는데 매우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100: 수직형 열 교환부;
110: 열 교환부 동체;
120: 전열관;
130: 올레핀계 단량체 및 폴리올레핀 왁스를 포함한 기체 주입구;
140: 에틸렌 기체 주입구;
200: 녹 아웃 드럼부;
210: 기체 주입구;
220: 녹 아웃 분리 수단;
230: 제 1 배출관;
240: 제 2 배출관;

Claims (5)

  1. 열 교환을 위한 냉각 매체가 수용되는 열 교환부 동체와,
    상기 냉각 매체 내에 잠기도록 상기 열 교환부 동체 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고, 올레핀계 단량체 및 폴리올레핀 왁스를 포함한 기체가 통과하는 복수의 전열관을 포함하는 수직형 열 교환부; 및
    상기 수직형 열 교환부의 전열관과 직접 연결되어 있는 기체 주입구와,
    상기 기체로부터 올레핀계 단량체 함유 기체 및 폴리올레핀 왁스 함유 액체를 분리하는 녹 아웃(knock out) 분리 수단과,
    녹 아웃(knock out) 드럼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올레핀계 단량체 함유 기체가 배출되는 제 1 배출관과,
    녹 아웃(knock out) 드럼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폴리올레핀 왁스 함유 액체가 배출되는 제 2 배출관을 포함하는 녹 아웃 드럼부;를 포함하고,
    폴리올레핀 수지 제조 후, 미반응 올레핀계 단량체의 분리 및 회수에 사용되는 올레핀계 단량체 회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형 열 교환부의 복수의 전열관에는 상기 올레핀계 단량체 및 폴리올레핀 왁스를 포함한 기체와 별도로 에틸렌 기체가 공급되며,
    상기 에틸렌 기체는 상기 전열관 벽면의 폴리올레핀 왁스 또는 수지를 디파울링하고, 상기 녹 아웃 분리 수단에서, 디파울링된 왁스 또는 수지와, 에틸렌 기체로 분리된 후,
    상기 디파울링된 왁스 또는 수지는 상기 제 2 배출관으로 배출되고, 상기 에틸렌 기체는 상기 제 1 배출관으로 배출되는 올레핀계 단량체 회수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형 열 교환부는 상기 복수의 전열관과 연결되도록 그 상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상기 올레핀계 단량체 및 폴리올레핀 왁스를 포함한 기체의 주입구와, 상기 에틸렌 기체의 주입구를 더 포함하는 올레핀계 단량체 회수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녹 아운 분리 수단은 밀도차를 이용한 기체 및 액적의 분리 수단을 포함하는 올레핀계 단량체 회수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출관의 입구 측에 구비된 왁스 및 수지의 유입 방지벽을 더 포함하는 올레핀계 단량체 회수 장치.
KR1020160153517A 2016-11-17 2016-11-17 올레핀계 단량체의 회수 장치 KR101969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517A KR101969581B1 (ko) 2016-11-17 2016-11-17 올레핀계 단량체의 회수 장치
CN201780033840.XA CN109312016B (zh) 2016-11-17 2017-10-19 烯烃单体回收装置
US16/308,183 US11478725B2 (en) 2016-11-17 2017-10-19 Olefinic monomer recovery apparatus
PCT/KR2017/011613 WO2018093052A2 (ko) 2016-11-17 2017-10-19 올레핀계 단량체의 회수 장치
EP17872684.0A EP3447076B1 (en) 2016-11-17 2017-10-19 Use of an olefinic monomer recover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517A KR101969581B1 (ko) 2016-11-17 2016-11-17 올레핀계 단량체의 회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5559A true KR20180055559A (ko) 2018-05-25
KR101969581B1 KR101969581B1 (ko) 2019-08-13

Family

ID=62145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3517A KR101969581B1 (ko) 2016-11-17 2016-11-17 올레핀계 단량체의 회수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478725B2 (ko)
EP (1) EP3447076B1 (ko)
KR (1) KR101969581B1 (ko)
CN (1) CN109312016B (ko)
WO (1) WO201809305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08630A (zh) * 2021-09-27 2022-01-11 铁岭龙鑫钛业新材料有限公司 一种粉尘布袋除尘风冷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84468A (en) * 1955-03-09 1959-04-28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Process of producing cyclodiene monomers from polymer-containing streams
US3627746A (en) * 1970-05-25 1971-12-14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Ldpe recycle system defouling method
US5376742A (en) * 1993-09-23 1994-12-27 Quantum Chemical Corporation Monomer recovery in gas phase fluid bed olefin polymerization
KR19980018658A (ko) * 1996-08-13 1998-06-05 데이 수잔 자넷 중합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6909B (de) 1953-11-11 1958-03-27 Waagner Biro Ag Kombinierter Fliehkraftabscheider und Waermeaustauscher
US3925149A (en) 1972-11-14 1975-12-09 Austral Erwin Engineering Co Heat exchangers & evaporators
US3884766A (en) * 1973-03-09 1975-05-20 Monsanto Co Recovery of alkenyl-aromatic monomers by falling strand devolatilization
JPH06827B2 (ja) * 1985-04-01 1994-01-05 三井東圧化学株式会社 重合反応液混合物の連続的処理方法
US4693304A (en) * 1985-08-19 1987-09-15 Volland Craig S Submerged rotating heat exchanger-reactor
US5037955A (en) 1990-06-07 1991-08-06 The Dow Chemical Company Method for heating a viscous polyethylene solution
US5453559A (en) * 1994-04-01 1995-09-26 The M. W. Kellogg Company Hybrid condensation-absorption olefin recovery
KR19980018658U (ko) * 1996-09-30 1998-07-06 양재신 겨울철 자동차 윈드 실드 글라스의 성에 제거 장치
US6015933A (en) 1998-07-15 2000-01-18 Uop Llc Process for removing polymeric by-products from acetylene hydrogenation product
US6218484B1 (en) 1999-01-29 2001-04-17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Corporation Fluidized bed reactor and polymerization process
AU7123700A (en) 1999-09-16 2001-04-17 Texas Petrochemicals Lp Process for preparing polyolefin products
DE10016625A1 (de) 2000-04-04 2001-10-11 Basell Polyolefine Gmbh Gasphasenpolymerisationsverfahren mit Direktkühlsystem
DE10333577A1 (de) * 2003-07-24 2005-02-24 Bayer Technology Services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ntfernung von flüchtigen Substanzen aus hochviskosen Medien
GB0609974D0 (en) * 2006-05-19 2006-06-28 Exxonmobil Chem Patents Inc A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olyethylene and ethylene copolymers
CN101501079B (zh) * 2006-08-03 2011-09-14 巴塞尔聚烯烃股份有限公司 聚烯烃精制法
CA2659237A1 (en) 2006-08-03 2008-02-07 Basell Polyolefine Gmbh Process for the polyolefin finishing
TW200909449A (en) * 2007-07-18 2009-03-01 Basell Poliolefine Srl Process for the polymerization of olefins
JP2010065068A (ja) * 2008-09-08 2010-03-25 Sumitomo Chemical Co Ltd ポリオレフィン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US9458390B2 (en) 2009-07-01 2016-10-04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rocess and system for preparation of hydrocarbon feedstocks for catalytic cracking
KR102232165B1 (ko) 2013-12-05 2021-03-24 린데 악티엔게젤샤프트 액체상을 배출하기 위한 수집 채널을 갖는 열 교환기
CN104128063B (zh) * 2014-07-29 2017-01-18 神华集团有限责任公司 从聚丙烯生产尾气中回收烯烃单体的设备和方法
JP6891424B2 (ja) * 2015-09-28 2021-06-18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α−オレフィン低重合体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84468A (en) * 1955-03-09 1959-04-28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Process of producing cyclodiene monomers from polymer-containing streams
US3627746A (en) * 1970-05-25 1971-12-14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Ldpe recycle system defouling method
US5376742A (en) * 1993-09-23 1994-12-27 Quantum Chemical Corporation Monomer recovery in gas phase fluid bed olefin polymerization
KR19980018658A (ko) * 1996-08-13 1998-06-05 데이 수잔 자넷 중합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08630A (zh) * 2021-09-27 2022-01-11 铁岭龙鑫钛业新材料有限公司 一种粉尘布袋除尘风冷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47076A2 (en) 2019-02-27
EP3447076B1 (en) 2020-04-22
KR101969581B1 (ko) 2019-08-13
EP3447076A4 (en) 2019-05-15
US20190262742A1 (en) 2019-08-29
US11478725B2 (en) 2022-10-25
WO2018093052A2 (ko) 2018-05-24
CN109312016A (zh) 2019-02-05
WO2018093052A3 (ko) 2018-08-09
CN109312016B (zh) 202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A020150B1 (ru) Способ рециркуляции потоков продукта, отделенных от содержащего углеводороды сырьевого потока
US7524904B2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polymer solids, hydrocarbon fluids, and purge gas
TW297820B (ko)
KR101843209B1 (ko) 탈휘발화 장치 및 방법
US20180078921A1 (en) Treater Regeneration
KR20180055559A (ko) 올레핀계 단량체의 회수 장치
US11390697B2 (en) Methods of polyolefin solids recovery
KR101530752B1 (ko) 가스상 유동층 중합 반응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5558746A (en) Apparatus for quenching a gas stream in the production of vinyl chloride monomer
CA3079005C (en) A method of recovering olefins in a solution polymerisation process
US11390698B2 (en) Methods of polyolefin solids recovery
JP2006045531A (ja) 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の連続製造方法
CN220714902U (zh) 一种纤维液膜双氧水碱洗脱酸分离罐设备
US20230041232A1 (en) Apparatus for preparing oligomer
CN206188705U (zh) 一种产品质量高的eva装置用高压气体循环单元
CN109654912B (zh) 颗粒走壳程的卧式流化床换热器
TW201700500A (zh) 用於製備聚烯烴之方法及設備
JP2002060416A (ja) 塩化ビニル系重合体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回収装置
JPH06226080A (ja) 気相重合装置におけるガス分散板
WO2016172758A1 (en) Processing plant arrangement
WO2013039619A1 (en) Loop reactor configuration for high capac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